WO2017090851A1 - 메인기기의 시나리오 기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 Google Patents

메인기기의 시나리오 기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90851A1
WO2017090851A1 PCT/KR2016/005470 KR2016005470W WO2017090851A1 WO 2017090851 A1 WO2017090851 A1 WO 2017090851A1 KR 2016005470 W KR2016005470 W KR 2016005470W WO 2017090851 A1 WO2017090851 A1 WO 20170908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ent
external device
control signal
main devic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4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종용
Original Assignee
엠텍씨앤케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US15/316,13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250596A1/en
Application filed by 엠텍씨앤케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씨앤케이주식회사
Priority to EP16808541.3A priority patent/EP3367321A4/en
Priority to CN201680065401.2A priority patent/CN108352040A/zh
Publication of WO20170908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908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3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the player, e.g. authoring using a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9/00Model railw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in which one or more external devices operate in conjunction with scenario-based content executed in a main device.
  • a technology in which a toy equipped with an RFID reader reads a toy equipped with an RFID tag and outputs the story as voice or video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698943.
  • This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more interesting to the user than simply outputting a specific voice by embedding a voice chip in the toy.
  • this technology simply outputs the voice or video stored for each toy repeatedly, so that the user may easily get tired of time.
  • a scenario command consists of a sequential set of commands that allow each toy to perform certain functions at a particular time as the story progresses. These scenario commands are stored in each toy, and each toy counts time and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at a specific time.
  • This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stimulating the user's curiosity and increase the story immersion because each toy plays a different role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tory and outputs the video or audio.
  • this technique develops only one story pre-composed, whi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not actively engage in storytelling.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ne of the various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deo, game, educational program that is executed in the main device, such as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TV, smart phones, game consoles, game consoles, etc. And the like to link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external device, such as toys to the user's interest.
  •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TV, smart phones, game consoles, game consoles, etc.
  • the like to link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external device, such as toys to the user's interes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plurality of blocks and sub-blocks constituting the scenario-based content from the main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so that the content may not be developed as a uniform content, but may be changed into various contents. Therefore, the user can enjoy various contents with one content.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utomatic updating of content and facilitate the addition of external devices by scanning new external devices and retrieving and receiving content update information from newly discovered external devices when the main device executes the content. will be.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user to select an external device to be linked with the content before registering the content and to register a newly purchased external device to the content.
  • a content and an external device interworking system are provided.
  • the system includes a main device that stores and executes content,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hat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device.
  • the content includ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 the main device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content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executes a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 a main device for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device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content,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emory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executing the content.
  • the content includ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 the controller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content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content is executed, and the external device executes a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 an external device interoperating with main device conten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main device in which content is stored and executed, an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a specific specific func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operation unit.
  • the content includ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 a method of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device is provided.
  • the main device stores the content
  •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device
  • the content includ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 the main device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content to the external device so as to execute a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Link the device.
  • content such as a video, a game, an education program, etc., which are executed on a main device such as a smart device or a game device such as a smart TV,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various functions of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toy,
  • a main device such as a smart device or a game device such as a smart TV,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various functions of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toy
  • the user can select a plurality of blocks and sub-blocks constituting the scenario-based content from the main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so that the content is not developed as a uniform content, but various contents. It can be changed to this, so that the user can enjoy a variety of content as a single content.
  • the main device executes the content
  • the user can select the external device to be linked with the content before starting the content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gister the newly purchased external device to the content.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re linked to contents executed in a main device.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ain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scenario-bas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of a main device and functions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inking content of a main device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inking content of a main device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re linked to contents executed in a main device.
  • the main device 100 may store and execute content and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 the main device 100 may be a smart TV,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a mobile phone, an e-book reader, a desktop PC, a laptop PC, a notebook, a wearable device. device) (eg, a head-mounted-device (HMD) such as electronic glasses, electronic clothing, a smart watch, etc.).
  • HMD head-mounted-device
  • the external device 200 may be various toys having various functions as well as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 the main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main device 100 may store the content and execute the content according to a user input.
  • the main device 1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content to the external device 2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executes the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100.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ain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device 100 may include a memory 110, a communication module 120, a controller 130, a speaker 140, and a display 150.
  •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evice 100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mponents as essential or optional.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memory 110 stores scenario based content.
  • Content refers to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at are produced, processed, and distributed digitally including audio and video, and in particular, so-called scenario-based contents that are developed with stories or plots such as video, games, and educational programs.
  • the content includ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he content and the control signal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the memory 110 may store content upd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and receive a feedback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controller 130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main device 100. That is,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200 and executes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110 according to a user input.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extracts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content when the content is executed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 the transmission method may be both a unicast method for sending a control signal to a specific external device 200 and a multicast method for sending a control signal to all identified external devices 200.
  • the controller 130 may select and execute the corresponding subblock when receiving a feedback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or directly receiving a user input.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later.
  • the speaker 140 outputs audio such as voice, sound, and music of the content when the content is executed.
  • the display 150 When the content is executed, the display 150 outputs an image (video) such as a character, a sign, an image, and a video of the content.
  • video such as a character, a sign, an image, and a video of the content.
  • the external device 200 may include a memory 210, a communication module 220, a controller 230, an operation unit 240, an input unit 250, and a display 260. ), And may include a speaker 270.
  •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200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ternal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mponents as essential or optional.
  • the memory 210 may store audio and video that may be output in association with content.
  • the memory 210 may store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100 or another external device 200.
  • the memory 210 may store content update information.
  •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device 100 and other external devices 200.
  •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and may transmit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another external device 200.
  •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may transmit a feedback signal to the main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 the controller 230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external device 200. That is, 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device 100 and the other external device 20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3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and displays the speaker 270 and the display to output audio and video stored in the memory 210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Control 260. 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operation unit 240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specified in the control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receives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50 and transmits a feedback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nput to the main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 the operation unit 240 performs a unique function of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operation unit 240 may perform a specific mechanical operation a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operation unit 240 may perform a specific audiovisual function of the external device 200 in association with the display 260 and the speaker 270.
  • the input unit 250 receives a user input.
  • the input unit 250 may be a key, a button,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d the like, and a voice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a gesture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user's gesture, and a user's approach for recognizing a user's approach. It may be a proximity sensor or the like.
  • the display 260 and the speaker 270 are interlocked with the content to output video and audio, respectively.
  • the mai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device 100 includes a bus 11, a processor 12, a memory 13, an input device 14, a speaker 15, a display 16, and a communication module 17. can do.
  • the bus 11 may be a circuit connecting the components of the main device 100 to each other and transferring communication (eg, a control message) between the components.
  • the processor 12 may receive an instruction from other components via the bus 11, decode the received instruction, and execute an operation or data processing according to the decrypted instruction.
  • the processor 12 corresponds to the controller 130 of FIG. 2.
  • the memory 13 may store instructions or data received from or generated by the processor 12 or other components.
  • the memory 13 may include programming modules such as a kernel 13-1, middleware 13-2,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3-3, an application 13-4, and the like. Such programming modules may be comprised of software, firm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memory 13 corresponds to the memory 110 of FIG. 2.
  • the kernel 13-1 may control or manage system resources (eg, the bus 11, the processor 12, etc.) used to execute an operation or a function implemented in the other programming modules.
  • the kernel 13-1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accessing and controlling or managing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main device 100 from the middleware 13-2, the API 13-3, and the application 13-4. Can provide.
  • the middleware 13-2 may serve as an intermediary to allow the API 13-3 or the application 13-4 to communicate with the kernel 13-1 to exchange data.
  • the middleware 13-2 may preferentially use the system resource of the main device 100 in at least one of the applications 13-4 with respect to the work requests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13-4. Control (eg, scheduling or load balancing) for work requests may be performed using methods such as ranking.
  • the API 13-3 is an interface for the application 13-4 to control functions provided by the kernel 13-1 or the middleware 13-2. For example, file control, window control, image processing, and the like. , At least one interface or function (eg, a command) for character control, and the like.
  • the application 13-4 may be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related to execution of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13.
  • the application 13-4 may be a content editing application for selectively mapping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content and a unique function included in each external device 200.
  • the application 13-4 may be an application related to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main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application 13-4 may be a device management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application 13-4 may be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scan of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application 13-4 may be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registering the new external device 200 with content.
  • the application 13-4 may be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 external device 200 linked to content.
  • the input device 14 may transmit a command or data input from a user to another component via the bus 11.
  • the input device 14 may be a touch screen, and may provide data about the user's touch input to the processor 12.
  •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14 are possible.
  • the input device 14 may be a key, a button, a touch panel, a pen sensor, an ultrasonic device, a gesture sensor,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ip sensor, a proximity sensor, or the like.
  • the speaker 15 may output audio information to the user.
  • the speaker 15 corresponds to the speaker 140 of FIG. 2.
  • the display 16 may display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 Display 16 corresponds to display 150 of FIG. 2.
  • the communication module 17 may conn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communication module 17 corresponds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of FIG. 2.
  • the communication module 17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20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fidelity (WiFi), Bluetooth (BT),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ZigBee,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cellular communication (eg,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or GSM).
  • the wired communic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universal serial bus (USB),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reduced standard 232 (RS-232), and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 USB universal serial bus
  •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 RS-232 reduced standard 232
  •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 the network 20 may be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the Internet of things, and a telephone network.
  • Protocols eg,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physical layer protocol, etc.
  •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may include an application 13-4, an API 13-3, and middleware ( 13-2), at least one of the kernel 13-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7 may be supported.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scenario-bas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ent 3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310 sequentially processed.
  • each block 310 is composed of one or a plurality of subblocks 320.
  • each subblock 320 is composed of the content of the previous step block 310, each subblock 320 is mutually It may be of different content. That is, the subblocks 320 included in the same block 310 are dependent on the previous block 310 but may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 the main device 100 may select and execute any one of the sub-blocks 320 forming the next block 310.
  • the main device 100 may select a specific subblock 320 according to a feedback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and when a user input is directly received, the main device 100 selects a specific subblock 320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You can also choose.
  • subblock 320 may be selectively executed for each block 310, various combinations of the subblocks 320 may be performed through one content 300, and various stories or plots may be enjoyed.
  • the content 300 includ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external device 200.
  • the meaning that the content 300 includes a control signal may be that the control signal is included in the content 300 itself, but it is sufficient that the content 300 and the control signal are mapped.
  • a control signal may be included in each subblock 320 constituting the content 300.
  • the control signal i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 and includes a unique code of the external device 200 and a unique code of a function to be performed by the external device 200.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of a main device and functions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pping relationship, the format of the control signal, and the like shown in FIG. 5 are for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 various mapping relationships and control signal formats may be applied.
  • content executed in a mai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s, each block includes at least one subblock, and each subblock includ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device.
  •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unique code of the external device and a function code of the external device.
  • control signal '02 -01-n-A2B2C2 ' is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subblock of the second block, and the A2 function (audio output) and the B2 function (video display) of the nth external device. , Means to perform C2 function (specific operation).
  • control signal '02 -02-1-A3XXC3 ' is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subblock of the second block, and the A3 function (audio output) and the C2 function (specific operation) of the first external device. Means that the image display function is not performed.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inking content of a main device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S1 the main device 100 executes content. That is, a specific block included in the content is executed.
  • step S2 the main device 100 extracts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content and transmits it to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only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200-1 in a unicast manner, or may be transmitted to all external devices 200-1,..., 200-n in a multicast manner.
  • the first external device 200-1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100 to another external device.
  • the external devices 200-1,..., 200-n that receive the control signal perform specific functions in step S3.
  • the content block executed in step S1 may request a user to select a next subblock to be executed.
  • the first external device 200-1 may receive a user input. Then, the first external device 200-1 transmits a feedback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nput to the main device 100 in step S5.
  • the main device 100 receiving the feedback signal from the first external device 200-1 selects and executes a subblock corresponding to the feedback signal in step S6, and extracts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subblock in step S7. Transmit to external device 200.
  • the external devices 200-1,..., 200-n perform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 the subblock executed in step S6 may also request the user to select the next subblock to be executed.
  • the nth external device 200-n may receive a user input in operation S9 and transmit a feedback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nput to the main device 100 in operation S10.
  • the main device 100 receiving the feedback signal from the nth external device 200-n selects and executes a subblock corresponding to the feedback signal in step S11.
  • the main device 100 itself may request a user to select a subblock through a speaker and / or a display and receive a user selection.
  • the external device 200 may transmit a preset feedback signal to the main device 100, or the main device 100 may execute a preset subblock.
  • the content executed in the main device 100 is an education program that allows the children to cross the crossing safely.
  • the external device 200 includes a car toy, a traffic light toy, and a pedestrian toy.
  • the speaker and the display of the main device 100 output audio and video of the content.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device 100, the car toy performs the function of moving while making a "bread" sound, the traffic light toy performs the function of blinking the traffic light, the pedestrian toy waits without moving at the crossing. (I.e. it does not perform a function).
  • the main device 100 may display the crossing signal light in red color along with the screen where the crossing crossing is visible through the display, and “how should I cross the crossing? Touch pedestrians to cross and wait to avoid crossing. ”
  • the pedestrian toy performs the function of crossing the crossing, and the car toy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flashing the headlight while passing the crossing.
  • the main device 100 outputs audio and video generated by a traffic accident through a speaker and a display.
  • the traffic light toy turns green after the car toy passes the crossing, and the pedestrian toy crosses the crossing.
  • the main device outputs applause and praise phrases through the speaker and the display.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adding a new external device.
  • the main device scans a new external device, retrieves and receives content update information from the newly found external device, and updates the content.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inking content of a main device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device 100 scans whether there is an external device 200 connected to the main device 100 by communication (step S12).
  • step S15 If all of the searched external devices 200 correspond to the external device 200 linked with the content 300, that is, if a new external device not linked with the content 300 is not found, the main device 100 is detected. Immediately executes the content 300 without updating the content (step S15).
  • the main device 100 needs to update the content 300 so that the new external device 200 is linked with the content 300. That is, in order to link the new external device 200 with the content 300, the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content 300 must be modified.
  • the main device 100 receives the content update information from the new external device 200 (step S13), and updates the content 300 by modifying a control signal of the content 300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nt update information. (Step S14).
  • the main device 100 backs up the content 300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ain device 100 before updating the content 300 through the content upd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ew external device 200.
  • the damage of 300) can be prevented and the update can be performed. Therefore, when the content 300 is damaged during the update, the recovery can be easily performed, and when the added external device 200 is removed, the previous content 300 can be executed.
  • the main device 1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or menu item)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external device 200 to be linked with the content 300 before starting the content 300.
  • the user interface (or menu item) provided by the main device 100 the user may not only enjoy one content 300 in various ways by selecting the external device 200 that he / she wants, The newly purchased external device 200 may be easily registered in the content 300.
  • the external device 200 interoperable with the content 300 may be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various smart devices or wearable devices as well as various toys having various functions.
  • the external device 200 may be various home appliances or mobile devices to which the IoT can be applied.
  • a user may select an external device 200 to be linked with the content 300.
  • the selected external device 200 may be selected by an individual device unit or by type or group. .
  • the main device 100 registers the selected external device 200 to the content 300. That i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ain device 100 modifies the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content 300 to update the content 300.
  • the main device 100 may modify data of the content 300 according to the selected external device 200. That is, the content 300 includes audio /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main device 100 may also modify the scenario of the content 300 according to the selected external device 200. That is, when the content 300 is executed, some of the blocks that proceed in sequence may be omitted or the order may be changed.
  • the external device 20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device 100 may perform a specific function and receive a user input and transmit a feedback signal to the main device 100.
  • the wearable device may recogniz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a user's touch, voice, motion, gaze, location, and health status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main device 100 as a feedback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기기에서 실행되는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에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가 연동되어 작동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컨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인기기와, 상기 메인기기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기기에서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메인기기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Description

메인기기의 시나리오 기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본 발명은 메인기기에서 실행되는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에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가 연동되어 작동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RFID 리더를 장착한 완구가 RFID 태그를 장착한 완구를 판독하고 해당 이야기를 음성이나 영상으로 출력하는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0-069894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단순히 완구에 음성 칩을 내장하여 특정 음성을 출력하는 것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좀 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단순히 완구별로 저장된 음성이나 영상을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느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시나리오 명령을 기반으로 다수의 완구들을 제어하면서 이야기를 전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한국등록특허 제10-141903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시나리오 명령은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 각각의 완구들이 특정 시간에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순차적인 명령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나리오 명령은 각각의 완구에 저장되며, 각 완구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특정 시간에 해당 명령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이 기술은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각 완구들이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면서 해당 영상이나 음성을 출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이야기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미리 짜여진 하나의 이야기만을 전개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이야기 전개에 관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목적들 중 하나는 스마트 TV,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와 같은 스마트기기나 게임기 등의 메인기기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게임, 교육프로그램 등의 컨텐츠를 완구 등의 외부기기의 다양한 기능들과 연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블록들 및 서브블록들을 메인기기나 외부기기에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가 일률적인 내용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내용들로 변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하나의 컨텐츠로 다양한 내용들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기기가 컨텐츠를 실행할 때 새로운 외부기기를 스캔하고 새로 발견된 외부기기로부터 컨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검색하여 수신함으로써 컨텐츠의 자동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고 외부기기의 추가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를 시작하기 전에 컨텐츠와 연동될 외부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새로 구매한 외부기기를 컨텐츠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컨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인기기와, 상기 메인기기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기기에서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메인기기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을 위한 메인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메인기기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기기 컨텐츠와 연동되는 외부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외부기기는 컨텐츠가 저장되고 실행되는 메인기기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 고유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동부,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메인기기가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작동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메인기기가 컨텐츠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가 상기 메인기기와 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텐츠가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기기에서 상기 저장된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메인기기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의 해당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여 상기 콘텐츠와 상기 외부기기를 연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TV,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와 같은 스마트기기나 게임기 등의 메인기기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게임, 교육프로그램 등의 컨텐츠를 완구 등의 외부기기의 다양한 기능들과 연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블록들 및 서브 블록들을 메인기기나 외부기기에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가 일률적인 내용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내용들로 변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하나의 컨텐츠로 다양한 내용들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인기기가 컨텐츠를 실행할 때 새로운 외부기기를 스캔하고 새로 발견된 외부기기로부터 컨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검색하여 수신함으로써 컨텐츠의 자동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고 외부기기의 추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츠를 시작하기 전에 컨텐츠와 연동될 외부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새로 구매한 외부기기를 컨텐츠에 등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다수의 외부기기들이 메인기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에 연동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기와 외부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 컨텐츠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기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기능 간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기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기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 및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매우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거나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명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기술 용어들 및 과학 용어들을 비롯하여 여기에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한편, 단수 형태로 기재되더라도,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외부기기들이 메인기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에 연동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인기기(100)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할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을 보유한 전자장치이다. 예를 들어, 메인기기(100)는 스마트 TV,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휴대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톱 PC, 랩탑(laptop) PC, 노트북,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와 같은 다양한 유형들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외부기기(200)는 메인기기(10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유형의 전자장치들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각종 완구들이 될 수 있다. 메인기기(100)와 외부기기(2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된다.
메인기기(100)는 컨텐츠를 저장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컨텐츠가 실행되면 메인기기(100)는 컨텐츠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외부기기(200)로 전송하며, 외부기기(200)는 메인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컨텐츠와 연동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기와 외부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기(100)는 메모리(110), 통신모듈(120), 제어부(130), 스피커(140),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메인기기(100)의 구성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 밖에도 메인기기(100)는 필수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기기(100)의 구성에 관한 다른 예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메모리(110)는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저장한다. 컨텐츠란 오디오와 비디오를 포함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 처리, 유통되는 각종 정보를 일컬으며, 특히 동영상, 게임, 교육프로그램 등과 같이 이야기나 줄거리를 가지고 전개되는 소위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이다. 컨텐츠는 외부기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컨텐츠와 제어신호에 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뒤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메모리(110)는 외부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모듈(120)은 외부기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모듈(120)은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외부기기(2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외부기기(200)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메인기기(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모듈(120)을 제어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된 컨텐츠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130)는 컨텐츠가 실행될 때 컨텐츠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통신모듈(120)을 통해 외부기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 방식은 특정 외부기기(200)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유니캐스트 방식과, 식별된 모든 외부기기(200)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멀티캐스트 방식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외부기기(200)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거나 직접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서브블록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스피커(140)는 컨텐츠가 실행될 때 컨텐츠의 음성, 음향, 음악과 같은 오디오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50)는 컨텐츠가 실행될 때 컨텐츠의 문자, 부호,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영상(비디오)을 출력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200)는 메모리(210), 통신모듈(220), 제어부(230), 작동부(240), 입력부(250), 디스플레이(260), 스피커(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부기기(200)의 구성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 밖에도 외부기기(200)는 필수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컨텐츠와 연동되어 출력될 수 있는 오디오 및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메인기기(100) 또는 다른 외부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컨텐츠 업데이트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모듈(220)은 메인기기(100) 및 다른 외부기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모듈(220)은 제어부(230)의 제어 하에 메인기기(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제어신호를 다른 외부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220)은 제어부(230)의 제어 하에 메인기기(100)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외부기기(2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30)는 메인기기(100) 및 다른 외부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모듈(220)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30)는 통신모듈(220)을 통해 메인기기(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210)에 저장된 오디오와 영상을 출력하도록 스피커(270)와 디스플레이(26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제어신호에서 규정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작동부(2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입력부(25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통신모듈(220)을 통해 메인기기(100)로 전송한다.
작동부(240)는 외부기기(200)의 고유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작동부(240)는 외부기기(200)에 부여된 특정 기계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240)는 디스플레이(260) 및 스피커(270)와 연계하여 외부기기(200)가 가지는 특정 시청각적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250)는 키, 버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이 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모듈,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제스처인식 모듈,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근접센서 등이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60)와 스피커(270)는 컨텐츠와 연동되어 각각 영상과 오디오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메인기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기기(100)는 버스(11), 프로세서(12), 메모리(13), 입력장치(14), 스피커(15), 디스플레이(16), 통신모듈(17)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1)는 메인기기(100)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버스(11)를 통해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도 2의 제어부(130)에 대응한다.
메모리(13)는 프로세서(12)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12)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는 커널(13-1), 미들웨어(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13-3,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어플리케이션(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3)는 도 2의 메모리(110)에 대응한다.
커널(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컨대, 버스(11), 프로세서(12)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3-1)은 미들웨어(13-2), API(13-3), 어플리케이션(13-4)에서 메인기기(1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3-2)는 API(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이 커널(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3-2)는 어플리케이션(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어플리케이션(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메인기기(100)의 시스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컨대, 스케줄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API(13-3)는 어플리케이션(13-4)이 커널(13-1) 또는 미들웨어(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컨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3-4)은 메모리(13)에 저장된 컨텐츠의 실행과 관련된 각종 유형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3-4)은 컨텐츠에 포함된 제어신호와 각각의 외부기기(200)가 구비한 고유 기능을 선택적으로 매핑하기 위한 컨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3-4)은 메인기기(100)와 외부기기(200)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3-4)은 외부기기(200)의 관리를 위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3-4)은 외부기기(200)의 스캔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3-4)은 신규 외부기기(200)를 컨텐츠에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3-4)은 컨텐츠에 연동하는 외부기기(200)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입력장치(1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버스(11)를 통해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장치(14)는 터치스크린으로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서(12)로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입력장치(14)가 가능하다. 예컨대, 입력장치(14)는 키, 버튼, 터치패널, 펜 센서, 초음파 장치,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등이 가능하다.
스피커(15)는 사용자에게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5)는 도 2의 스피커(140)에 대응한다.
디스플레이(16)는 사용자에게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는 도 2의 디스플레이(150)에 대응한다.
통신모듈(17)은 메인기기(100)와 외부기기(200)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통신모듈(17)은 도 2의 통신모듈(120)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통신모듈(17)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외부기기(200)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cellular 통신(예컨대,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기기(100)와 외부기기(200)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컨대,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physical layer protocol 등)은 어플리케이션(13-4), API(13-3), 미들웨어(13-2), 커널(13-1), 통신모듈(17)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메인기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 컨텐츠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300)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다수 개의 블록(31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블록(310)은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서브블록(320)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블록(310)에 다수 개의 서브블록(320)이 존재할 경우, 각각의 서브블록(320)은 이전 단계의 블록(310)과 연속되는 내용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서브블록(320)은 서로 다른 내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동일 블록(310)에 포함된 서브블록(320)들은 이전 블록(310)에 종속적이지만, 상호간에는 독립적일 수 있다.
각 블록(310)의 실행이 완료될 때, 메인기기(100)는 다음 블록(310)을 이루는 서브블록(32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메인기기(100)는 외부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에 따라 특정 서브블록(320)을 선택할 수 있고, 직접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특정 서브블록(320)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블록(310)마다 서브블록(320)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컨텐츠(300)를 통하여 서브블록(320)들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해지고 다양한 이야기나 줄거리를 즐길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텐츠(300)는 각각의 외부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컨텐츠(300)가 제어신호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컨텐츠(300) 자체에 제어신호가 포함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컨텐츠(300)와 제어신호가 매핑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300)를 이루는 각각의 서브블록(320)마다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는 다수의 외부기기(20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으로, 외부기기(200)의 고유코드와 외부기기(200)가 수행하여야 할 기능의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어신호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기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기능 간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매핑 관계나 제어신호의 형식 등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매핑 관계나 제어신호 형식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기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는 다수의 블록들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블록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서브블록은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신호는 외부기기의 고유코드와 외부기기의 기능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례로, 제어신호 ‘02-01-n-A2B2C2’의 경우, 2번째 블록의 1번째 서브블록에 포함된 제어신호이고, n번째 외부기기의 A2 기능(오디오 출력), B2 기능(영상 표시), C2 기능(특정 동작)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02-02-1-A3XXC3’라는 제어신호의 경우, 2번째 블록의 2번째 서브블록에 포함된 제어신호이고, 1번째 외부기기의 A3 기능(오디오 출력)과 C2 기능(특정 동작)을 수행하고 영상 표시 기능은 수행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어서, 메인기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기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S1 단계에서 메인기기(100)는 컨텐츠를 실행한다. 즉, 컨텐츠에 포함된 특정 블록을 실행한다.
컨텐츠가 실행되면, S2 단계에서 메인기기(100)는 컨텐츠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외부기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신호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제1 외부기기(200-1)에만 전송될 수도 있고,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모든 외부기기들(200-1, …, 200-n)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제1 외부기기(200-1)는 메인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다른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외부기기들(200-1, …, 200-n)은 S3 단계에서 각각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S1 단계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블록은 다음 실행될 서브블록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4 단계에서 제1 외부기기(200-1)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외부기기(200-1)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S5 단계에서 메인기기(100)로 전송한다.
제1 외부기기(200-1)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 메인기기(100)는 S6 단계에서 피드백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블록을 선택하여 실행하고, S7 단계에서 서브블록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외부기기(200)로 전송한다.
S8 단계에서 외부기기들(200-1, …, 200-n)은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S6 단계에서 실행되는 서브블록도 다음 실행될 서브블록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n 외부기기(200-n)는 S9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S10 단계에서 메인기기(100)로 전송한다.
제n 외부기기(200-n)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 메인기기(100)는 S11 단계에서 피드백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블록을 선택하여 실행한다.
한편, 모든 블록이나 서브블록이 사용자 선택을 요청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사용자 선택이 반드시 외부기기(200)로부터 이루어져야 하는 것도 아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기기(100) 자체에서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서브블록 선택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을 경우, 외부기기(200)는 미리 설정된 피드백 신호를 메인기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메인기기(100)가 미리 설정된 서브블록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메인기기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방법에 대하여 실제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메인기기(10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가 아이들이 건널목을 안전하게 건너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라 가정한다. 또한, 외부기기(200)는 자동차 장난감, 신호등 장난감, 보행자 장난감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메인기기(100)에서 컨텐츠가 실행되면 메인기기(100)의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는 컨텐츠의 오디오와 영상을 출력한다. 그리고 메인기기(100)에서 전송한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 장난감은 “빵빵” 소리를 내면서 움직이는 기능을 수행하고, 신호등 장난감은 신호등을 깜박이는 기능을 수행하며, 보행자 장난감은 건널목에서 움직이지 않고 기다린다(즉,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어서, 메인기기(1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건널목이 보이는 화면과 함께 건널목 신호등을 붉은색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이럴 경우 어떻게 하지 건널목을 건너야 할까? 건너려면 보행자를 만지고 건너지 않으려면 기다리세요.”라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보행자 장난감에 손가락을 대거나 근접시키면, 보행자 장난감이 건널목을 건너는 기능을 수행하고 자동차 장난감도 건널목을 지나면서 헤드라이트를 번쩍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메인기기(100)는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오디오와 영상을 출력한다.
만약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으면, 자동차 장난감이 건널목을 지나간 후 신호등 장난감이 녹색으로 바뀌는 기능을 수행하고 보행자 장난감이 건널목을 건너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인기기는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박수소리와 칭찬문구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새로운 외부기기를 추가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기기는 컨텐츠를 실행할 때 새로운 외부기기를 스캔하고 새로 발견된 외부기기로부터 컨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검색하여 수신하고 컨텐츠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기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인기기(100)는 컨텐츠(300)를 실행한 후(S11 단계), 메인기기(100)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외부기기(200)가 있는지 스캔한다(S12 단계).
스캔 결과 검색된 외부기기(200)들이 모두 컨텐츠(300)와 연동되는 외부기기(200)에 해당되는 경우, 즉 컨텐츠(300)와 연동되지 않은 새로운 외부기기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 메인기기(100)는 컨텐츠 업데이트 없이 바로 컨텐츠(300)를 실행한다(S15 단계).
만약 스캔 결과 새로운 외부기기(200)가 발견될 경우, 메인기기(100)는 새로운 외부기기(200)가 컨텐츠(300)와 연동되도록 컨텐츠(300)를 업데이트시켜야 한다. 즉, 새로운 외부기기(200)와 컨텐츠(300)를 연동시키기 위해서는 컨텐츠(300)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수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메인기기(100)는 새로운 외부기기(200)로부터 컨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S13 단계), 수신된 컨텐츠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컨텐츠(300)의 제어신호를 수정함으로써 컨텐츠(300)를 업데이트하게 된다(S14 단계).
한편, 메인기기(100)는 새로운 외부기기(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통하여 컨텐츠(300)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메인기기(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300)를 백업하여 기존의 컨텐츠(3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업데이트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업데이트 중에 컨텐츠(300)가 손상될 경우 용이하게 복구를 진행할 수 있고, 추가된 외부기기(200)를 제거할 경우에 종전의 컨텐츠(300)를 실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메인기기(100)는 컨텐츠(300)를 시작하기 전에 컨텐츠(300)와 연동될 외부기기(200)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또는 메뉴 항목)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기기(100)가 제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또는 메뉴 항목)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외부기기(200)를 선택함으로써 하나의 컨텐츠(300)를 다양한 방식으로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 구매한 외부기기(200)를 간편하게 컨텐츠(300)에 등록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300)와 연동 가능한 외부기기(200)는 각종 스마트 기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전자장치들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각종 완구들이 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외부기기(200)는 사물 인터넷이 적용 가능한 각종 가전제품이나 모바일 장비도 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기기(200)들 중에서 사용자는 컨텐츠(300)와 연동될 외부기기(200)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때 선택되는 외부기기(200)는 개별 기기 단위로 또는 유형이나 그룹 단위로 선택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외부기기(200)가 선택되면, 메인기기(100)는 선택된 외부기기(200)를 컨텐츠(300)에 등록한다. 즉,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인기기(100)는 컨텐츠(300)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수정하여 컨텐츠(300)를 업데이트한다. 아울러, 메인기기(100)는 선택된 외부기기(200)에 따라 컨텐츠(300)의 데이터를 수정할 수도 있다. 즉, 컨텐츠(300)에는 외부기기(200)에 해당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데, 외부기기(200)의 선택이 달라지면 그에 맞게 컨텐츠(300)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도 수정된다. 또한, 메인기기(100)는 선택된 외부기기(200)에 따라 컨텐츠(300)의 시나리오도 수정 가능하다. 즉, 컨텐츠(300)가 실행될 때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블록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그 순서를 바꾸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기기(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외부기기(200)는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피드백 신호를 메인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는데, 만일 외부기기(2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음성, 동작, 시선, 위치, 건강상태 등의 각종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피드백 신호로서 메인기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1)

  1. 컨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인기기;
    상기 메인기기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
    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기기에서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메인기기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 시스템.
  2.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을 위한 메인기기.
  3. 컨텐츠가 저장되고 실행되는 메인기기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
    고유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동부;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메인기기가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작동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기기 컨텐츠와 연동되는 외부기기.
  4. 메인기기가 컨텐츠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가 상기 메인기기와 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텐츠가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기기에서 상기 저장된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메인기기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의 해당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여 상기 콘텐츠와 상기 외부기기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다수 개의 블록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블록은 하나 이상의 서브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기는 각 블록의 실행이 완료될 때,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에 따라 다음 블록의 서브블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외부기기의 고유코드 및 상기 외부기기의 기능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실행될 때, 상기 메인기기는 통신으로 연결되는 외부기기를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결과 새로운 외부기기가 발견되면, 상기 메인기기는 상기 새로운 외부기기로부터 컨텐츠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실행되기 전에, 상기 메인기기는 상기 컨텐츠와 연동될 외부기기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메인기기는 상기 메인기기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를 수정하여 상기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 방법.
PCT/KR2016/005470 2015-11-26 2016-05-24 메인기기의 시나리오 기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WO20170908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16,137 US20180250596A1 (en) 2015-11-26 2016-05-14 Interworking between scenario-based content of main device and external device
EP16808541.3A EP3367321A4 (en) 2015-11-26 2016-05-24 Association of external device with scenario-based content of main device
CN201680065401.2A CN108352040A (zh) 2015-11-26 2016-05-24 主要设备的基于场景的内容与外部设备的联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492 2015-11-26
KR1020150166492A KR101824977B1 (ko) 2015-11-26 2015-11-26 컨텐츠와 외부기기 연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0851A1 true WO2017090851A1 (ko) 2017-06-01

Family

ID=5876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470 WO2017090851A1 (ko) 2015-11-26 2016-05-24 메인기기의 시나리오 기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250596A1 (ko)
EP (1) EP3367321A4 (ko)
KR (1) KR101824977B1 (ko)
CN (1) CN108352040A (ko)
WO (1) WO20170908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3803B2 (ja) 2017-03-10 2019-10-23 株式会社Subaru 画像表示装置
JP6429413B2 (ja) * 2017-03-10 2018-11-28 株式会社Subaru 画像表示装置
JP6515125B2 (ja) 2017-03-10 2019-05-15 株式会社Subaru 画像表示装置
JP6497818B2 (ja) 2017-03-10 2019-04-10 株式会社Subaru 画像表示装置
JP6465317B2 (ja) 2017-03-10 2019-02-06 株式会社Subaru 画像表示装置
JP6497819B2 (ja) 2017-03-10 2019-04-10 株式会社Subaru 画像表示装置
JP6465318B2 (ja) 2017-03-10 2019-02-06 株式会社Subaru 画像表示装置
KR102252076B1 (ko) * 2019-09-02 2021-05-13 곽창섭 퍼즐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611A (ko) * 1999-08-31 2002-04-10 밀러 럿셀 비 가상 작업공간에서의 동기 유지
KR100698943B1 (ko) 2006-07-25 2007-03-22 주식회사 지팡이 이야기이력을 활용하는 이야기지원 완구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88008A (ko) * 2010-09-13 2012-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콘텐츠 연동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연동 방법
KR101419038B1 (ko) 2013-11-20 2014-07-11 김종용 시나리오 명령을 통한 완구의 제어 시스템
KR20140116987A (ko) * 2013-03-25 2014-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50030947A (ko) * 2013-09-13 2015-03-23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유아용 플레이보드 동작 방법 및 시스템
KR101526508B1 (ko) * 2014-12-03 2015-06-09 엠텍씨앤케이주식회사 외부 기기와 연동하는 퍼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7714B1 (en) * 1997-02-04 2001-11-13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and associated mechanical characters operable for continuously performing received control data while engaging in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over a single communications channel
CA2296119A1 (en) * 1998-04-16 1999-10-28 Creator Ltd. Interactive toy
US6773344B1 (en) * 2000-03-16 2004-08-10 Creator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gration of interactive toys with interactive television an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KR20040033517A (ko) * 2002-10-15 2004-04-28 주식회사위프랜 웹을 응용한 토이 제어 시스템 및 토이 제어 방법
US20070087655A1 (en) * 2005-10-19 2007-04-19 Rifkin Andrew B Interleaving story toy
GB0714148D0 (en) * 2007-07-19 2007-08-29 Lipman Steven interacting toys
US8444452B2 (en) * 2010-10-25 2013-05-21 Hallmark Cards, Incorporated Wireless musical figurines
US9011194B2 (en) * 2013-03-15 2015-04-21 Disney Enterprises, Inc. Managing virtual content based 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oy objec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611A (ko) * 1999-08-31 2002-04-10 밀러 럿셀 비 가상 작업공간에서의 동기 유지
KR100698943B1 (ko) 2006-07-25 2007-03-22 주식회사 지팡이 이야기이력을 활용하는 이야기지원 완구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88008A (ko) * 2010-09-13 2012-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콘텐츠 연동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연동 방법
KR20140116987A (ko) * 2013-03-25 2014-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50030947A (ko) * 2013-09-13 2015-03-23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유아용 플레이보드 동작 방법 및 시스템
KR101419038B1 (ko) 2013-11-20 2014-07-11 김종용 시나리오 명령을 통한 완구의 제어 시스템
KR101526508B1 (ko) * 2014-12-03 2015-06-09 엠텍씨앤케이주식회사 외부 기기와 연동하는 퍼즐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367321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52040A (zh) 2018-07-31
KR20170061448A (ko) 2017-06-05
EP3367321A4 (en) 2018-11-14
EP3367321A1 (en) 2018-08-29
KR101824977B1 (ko) 2018-02-02
US20180250596A1 (en)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0851A1 (ko) 메인기기의 시나리오 기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WO20160480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WO2013085213A1 (ko) 복수의 휴대 단말을 연동시키는 더미 터치 스크린 시스템
WO2011025188A2 (en)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widget and device using the same
WO2011046345A2 (en)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display device, and video system
WO20130700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ating entire area using partial area touch in a portable equipment
EP39248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learning and enabling commands via user demonstration
WO201215789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data of peripher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WO2020075999A1 (en)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1652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3105760A1 (en)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4069847A1 (en) Object based server page reception in electronic device
WO2013042815A1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단말 제어방법, 그리고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단말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11991767B2 (en)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capable of reducing complexity of pairing bluetooth host device with bluetooth device set for user
WO2013176342A1 (ko) 사용자단말과 외부장치 간 연결 시스템 및 방법
WO201706545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4003448A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131770A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412974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951601B (zh) 一种家教学习机的系统切换方法及系统、家教学习机
WO2013109012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terminal for managing service provided from server
WO2016089130A1 (ko)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재생 방법
WO2011059227A2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to external apparatus
WO2015108282A1 (ko) 전자 장치의 광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6006729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컨텐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316137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085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085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