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987A -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987A
KR20140116987A KR1020130031307A KR20130031307A KR20140116987A KR 20140116987 A KR20140116987 A KR 20140116987A KR 1020130031307 A KR1020130031307 A KR 1020130031307A KR 20130031307 A KR20130031307 A KR 20130031307A KR 20140116987 A KR20140116987 A KR 20140116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information
mobile device
media board
persona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1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6987A/ko
Publication of KR2014011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은,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미디어 보드 단말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에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 미디어 보드 단말기와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및 미디어 보드 단말기와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 간을 중계하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수신하여 미디어 보드 단말기로 전달하고,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사용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보를 미디어 보드 단말기로 제공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며, 개인용 모바일 기기의 중계 기능인 테더링 (tethering)을 활용하여 미디어 보드 단말기에서 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개인용 모바일 기기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정보를 공유하며, 공유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개인용 모바일 기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정보(콘텐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Media board system using personal mobi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디어 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의 중계 기능인 테더링(tethering)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공유하고, 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3G/4G 데이터 기반 셀룰러 망 보급이 확산되면서 데이터를 이용한 여러 서비스가 선을 보이고 있다. 그 중에서 현재 MID(Mobile Internet Device)나 라우터(router) 등과 같은 제품이 틈새 시장에서 선전을 하고 있다. 또한 시내 버스나 엘리베이터 등의 공공 시설물들에 디지털 미디어 보드가 설치되어 날씨나 광고, 뉴스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 보드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용 모듈이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있다. 미디어 보드가 늘어날수록 통신모듈의 수는 늘어나고, 유선망의 경우 해당 시스템과 센터 간의 통신망 구성이 이루어져야 하며, 무선의 경우도 무선 모듈의 내장으로 단가 상승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으로 인한 무선망 점유가 발생한다. 만약 이러한 미디어 보드가 유선/무선 모듈(광대역 통신용)을 내장하지 않고, 반경 10m 정도 내외의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만 내장하고, 주변의 개인용 모바일 장치(Mobile Router /Smart Phone)를 활용하여 정보를 업데이트한다면 더욱 낮은 단가에 미디어 보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고, 서비스 단가도 낮아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미디어 보드 시스템은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미디어 보드 단말기(110)와, 미디어 보드 단말기(110)에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120)로 크게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종래 미디어 보드 시스템은 미디어 보드 단말기(110)에서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12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받아 업데이트하고, 디스플레이(111)를 통해 단순히 표시하는 구조이다. 즉, 사용자(시청자)가 누구이며, 사용자의 유무에 관계없이 단순히 저장된 정보만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된 미디어 보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마트의 할인 판매 등의 정보가 표시될 경우, 일반 주부가 탑승했을 때는 마트의 할인 판매 등의 정보는 유용하겠으나, 학생이 탑승했을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트의 할인 판매 정보는 효용성이 거의 없는 정보일 뿐이다. 그리고, 이러한 불필요한 정보를 위해 통신망이 계속 동작하는 것은 하나의 낭비 요소에 불과하다.도 1에서 참조번호 111은 디스플레이, 112는 제어부, 113은 광역통신부, 114는 전원부, 130은 네트워크, 140은 전용 유선/무선망을 각각 나타낸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17943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00674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개인용 모바일 기기의 중계 기능인 테더링(tethering)을 활용하여 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공유하여 모바일 개인 사용자에게 맞춤형 정보(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은,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미디어 보드 단말기;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에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와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및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와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 간을 중계하며,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로 전달하고,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사용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보를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로 제공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상기 개인용 모바일 기기의 중계 기능인 테더링(tethering)을 활용하여 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개인용 모바일 기기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정보를 공유하며, 공유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개인용 모바일 기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정보(콘텐츠)를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로부터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전송받아 업데이트 및 업데이트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통신 영역 내에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중계 기능(테더링)을 통해 미디어 정보(콘텐츠)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개인용 모바일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근거리 통신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쓰(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성별, 직업, 연령대, 관심사 우선 순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용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폰, 휴대용 라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미디어 보드 단말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 네트워크 및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운용방법으로서,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통신 영역 내에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감지하여 그 개인용 모바일 기기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개인용 모바일 기기의 중계 기능(테더링)을 통해,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통신 영역 내에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감지하고, 그 개인용 모바일 기기로부터 제공되어 공유된 개인용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 중 해당 사용자에 적합한 맞춤형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의 통신 영역 내에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에 대한 감지는, 미디어 보드 단말기에서 주변의 통신 반경 내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 개인용 모바일 기기에 호출 신호를 보내고, 해당 모바일 기기로부터 송출된 회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용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공유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기기(단말기) 내부 설정(또는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에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공개 가능한 사용자의 프로필(profile)을 입력하여, 모바일 기기가 미디어 보드 단말기에 접근하였을 때, 모바일 기기로부터 미디어 보드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사용자에 적합한 맞춤형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표시함에 있어서, 미디어 보드 단말기의 설치 시 미디어 보드 단말기의 내부 설정에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기본 환경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두고,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기본 환경에 부합되는 사용자가 검색되면, 그 사용자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그 사용자에 적합한 맞춤형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를 부여함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가 있을 경우 사용자 성분을 분석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사용자 성분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디어 보드 단말기에 근거리용 통신 장치만 내장함으로써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주변 사용자(시청자)로부터 정보를 습득하여 맞춤형 광고를 표시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운용방법의 실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은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220), 네트워크(230),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이와 같은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1)와,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220)로부터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전송받아 업데이트 및 업데이트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고,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11)에 의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12)와, 통신 영역 내에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제어부(212)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중계 기능(테더링)을 통해 미디어 정보(콘텐츠)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개인용 모바일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213) 및 상기 디스플레이(211), 제어부(212) 및 근거리 통신부(213)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부(213)로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쓰(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성별(남/녀), 직업(학생/회사원/자영업자/주부 등), 연령대(10대/20∼30대/40∼50대 등), 관심사 우선 순위(마트 할인정보/공연 정보/스포츠 경기 정보/등산 및 낚시 정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220)는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에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러한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220)는 특정 광고 나 뉴스, 홈 쇼핑 정보, 혹은 애플리케이션 제공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230)는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와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2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230)로는 기존의 통신사들에 의해 구축되어 있는 기존 통신망(인터넷)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는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와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220) 간을 중계하며,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220)로부터 제공되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로 전달하고,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보를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로 제공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는 스마트폰, 휴대용 라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참조 번호 240은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와 네트워크(230)를 연결해주는 기지국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는 상기 개인용 모바일 기기 (250a,250b)의 중계 기능인 테더링(tethering)을 활용하여 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정보를 공유하며, 공유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개인용 모바일 기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정보(콘텐츠)를 제공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동작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운용방법의 실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220), 네트워크(230) 및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를 포함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먼저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가 통신 영역 내에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 (250a,250b)를 감지하여 그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에 접속한다(단계 S301).
여기서,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의 통신 영역 내에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에 대한 감지는,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에서 주변의 통신 반경 내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에 호출 신호를 보내고, 해당 모바일 기기 (250a,250b)로부터 송출된 회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에서는 주변의 통신 반경 내(예, 근거리 반경 10m 내외)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신호가 감지되었을 때 해당 모바일 기기(250a,250b)에 호출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해당 모바일 기기 (250a,250b)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출하고,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는 모바일 기기(250a,250b)로부터의 회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모바일 기기 (250a,250b)와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 간의 대략적인 거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회신 신호의 강도가 강할수록 모바일 기기(250a,250b)와 미디어 보드 단말기 (210) 간의 거리가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가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에 접속되면, 그 접속된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의 중계 기능(테더링)을 통해,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가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220)로부터 제공되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한다(단계 S302).
이후,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가 통신 영역 내에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를 감지하고, 그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로부터 제공되어 공유된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검색한다(단계 S303).
여기서, 상기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공유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 사용자의 기기(단말기) 내부 설정(또는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에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공개 가능한 사용자의 프로필(profile)을 입력하여, 모바일 기기(250a,250b)가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에 접근하였을 때, 모바일 기기(250a,250b)로부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모바일 기기(250a,250b) 사용자의 기기(단말기) 내부 설정(또는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에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공개 가능한 사용자의 프로필을 입력하여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에 근접하였을 때,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는 모바일 기기(250a,250b)를 감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250a,250b)는 해당 정보를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이때, 공개 가능한 사용자의 프로필은 개인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는 정도의 정보, 예를 들면, 성별(남/녀), 직업(학생/회사원/자영업자/주부 등), 연령대(10대/20∼30대/40∼50대 등), 관심사 우선순위(마트 할인정보/공연정보/스포츠 경기 정보/등산 및 낚시 정보, 주변 아파트나 상가 정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순한 내용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개 또는 비공개로 하여, 해당 정보를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에 전송한다. 이때, 해당 정보의 공개 유무 및 미디어 보드 단말기의 사용 가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단계 S301 및 S302에서의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즉, 미디어 보드 단말기에 의해 감지 및 미디어 정보(콘텐츠)의 업데이트에 활용된 모바일 기기)와 이 단계 S303에서의 사용자의 개인용 모바일 기기는 동일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303에서의 검색이 완료되면, 그 검색된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 S302에서의 업데이트된 정보 중 해당 사용자에 적합한 맞춤형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의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304).
여기서,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의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해당 사용자에 적합한 맞춤형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표시함에 있어서,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의 설치 시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의 내부 설정에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가 설치된 장소의 기본 환경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두고,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가 설치된 장소의 기본 환경에 부합되는 사용자가 검색되면, 그 사용자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그 사용자에 적합한 맞춤형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우선 순위를 부여함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가 있을 경우 사용자 성분을 분석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사용자 성분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즉,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의 설치 시,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의 내부 설정에 설치된 장소의 기본 환경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택가/회사 업무단지/학교(초등/중·고등/대학 등) 등의 설정 사항을 두어 미디어 보드가 설치된 기본 환경에 부합되는 사용자가 검출되면 우선 순위를 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중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사용자 성분을 분석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사용자가 대부분 학생이고, 소수의 주부가 있을 경우 학생에 우선 순위를 부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의 구매력이 강한 사용자가 있을 경우, 예를 들면, 마트 주변에 설치된 미디어 보드 단말기에 소수의 주부 사용자와 다수의 학생 사용자가 존재할 때, 주부를 우선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유동적으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성분을 분석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발렌타인 데이나 크리스마스처럼 특정한 기념일에 해당 정보에 가장 민감한 대상을 우선 순위에 놓을 수 있다. 또한, 각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에는 고유의 구별 코드가 부여될 수 있으며, 해당 정보가 업데이트 될 때, 일정 기간 동안에 수집된 사용자 성분 분석 정보를 미디어 보드 운용사서버((220)에 전송하여 원격으로 통제(설정 변경, 우선순위 조정 등)를 받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정보 업데이트를 위한 테더링 기능의 온/오프 제어 방법은 개인용 모바일 기기(250a,250b) 사용자의 설정에 따르며, 모바일 기기(250a,250b)의 내부 설정에 미디어 보드 정보 업데이트를 위한 테더링 기능 공개/비공개 항목의 선택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해당 동작 시 유발된 데이터망 공유(테더링된 데이터)에 대한 보상을 통신비 차감 또는 쿠폰 제공 등의 방법을 통해 보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정류장과 같이 대중 교통이 운행되고 사용자 또한 짧은 시간 동안(버스를 타기 위해 잠깐 대기하는 동안) 유동이 많은 경우, 버스가 정차하는 동안 버스에 장착된 AP(Access Point 중계기)를 통해 미디어 보드 단말기(210)의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은 미디어 보드 단말기에 근거리용 통신 장치만 내장함으로써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주변 사용자(시청자)로부터 정보를 습득하여 맞춤형 광고를 표시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210...미디어 보드 단말기 111,211...디스플레이
112,212...제어부 113...광역 통신부
114,214...전원부 120,220...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
130,230...네트워크 140...전용 유선/무선망
213...근거리 통신부 240...이동국
250a,250b...개인용 모바일 기기

Claims (10)

  1.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미디어 보드 단말기;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에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와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및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와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 간을 중계하며,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로 전달하고,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사용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보를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로 제공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상기 개인용 모바일 기기의 중계 기능인 테더링(tethering)을 활용하여 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개인용 모바일 기기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정보를 공유하며, 공유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개인용 모바일 기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정보(콘텐츠)를 제공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로부터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전송받아 업데이트 및 업데이트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통신 영역 내에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중계 기능(테더링)을 통해 미디어 정보(콘텐츠)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개인용 모바일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근거리 통신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쓰(Bluetooth), 지그비 (Zigbee) 중 어느 하나인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성별, 직업, 연령대, 관심사 우선 순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폰, 휴대용 라우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6. 미디어 보드 단말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 네트워크 및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운용방법으로서,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통신 영역 내에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감지하여 그 개인용 모바일 기기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개인용 모바일 기기의 중계 기능(테더링)을 통해,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상기 미디어 보드 운용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통신 영역 내에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감지하고, 그 개인용 모바일 기기로부터 제공되어 공유된 개인용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 중 해당 사용자에 적합한 맞춤형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운용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의 통신 영역 내에 있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에 대한 감지는, 미디어 보드 단말기에서 주변의 통신 반경 내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 개인용 모바일 기기에 호출 신호를 보내고, 해당 모바일 기기로부터 송출된 회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운용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공유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기기(단말기) 내부 설정(또는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에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공개 가능한 사용자의 프로필(profile)을 입력하여, 모바일 기기가 미디어 보드 단말기에 접근하였을 때, 모바일 기기로부터 미디어 보드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운용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보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사용자에 적합한 맞춤형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표시함에 있어서, 미디어 보드 단말기의 설치 시 미디어 보드 단말기의 내부 설정에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기본 환경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두고, 미디어 보드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기본 환경에 부합되는 사용자가 검색되면, 그 사용자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그 사용자에 적합한 맞춤형 미디어 정보(콘텐츠)를 표시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운용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를 부여함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가 있을 경우 사용자 성분을 분석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사용자 성분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30031307A 2013-03-25 2013-03-25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40116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07A KR20140116987A (ko) 2013-03-25 2013-03-25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07A KR20140116987A (ko) 2013-03-25 2013-03-25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987A true KR20140116987A (ko) 2014-10-07

Family

ID=5199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307A KR20140116987A (ko) 2013-03-25 2013-03-25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69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51A1 (ko) * 2015-11-26 2017-06-01 엠텍씨앤케이주식회사 메인기기의 시나리오 기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WO2018212621A1 (ko) * 2017-05-18 2018-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다른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51A1 (ko) * 2015-11-26 2017-06-01 엠텍씨앤케이주식회사 메인기기의 시나리오 기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WO2018212621A1 (ko) * 2017-05-18 2018-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다른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126737A (ko) * 2017-05-18 2018-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다른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23557B2 (en) 2017-05-18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ctivity information of user and activity information of other users received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1528A1 (en) Multifunctional interactive beacon with mobile device interaction
US9477964B2 (en) Marketing system and marketing method
US9386508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EP2973304B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location-based digital signage services
US20140046774A1 (en) Server and system for streetlight advertising
CN105809339A (zh) 用于实现酒店房间服务的方法与设备
US20140204925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189623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무선통신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JP5753288B2 (ja) ユーザ情報提供装置、ユーザ情報提供方法、ユーザ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広告配信システム
CN105022766B (zh) 区域化的附加信息递送方法及系统
US201500193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n audience in a defined space
JP5486116B1 (ja) ユーザ情報提供装置、ユーザ情報提供方法、ユーザ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広告配信システム
KR20150117733A (ko) 개인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WO2017021853A1 (en) Multifunctional interactive beacon and management system
JP6720365B1 (ja) 広告接触判定システム、広告接触判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95205A (ko) 차량내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광고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JP6169124B2 (ja) ユーザ情報提供装置、ユーザ情報提供方法、ユーザ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広告配信システム
WO2015030269A1 (ko) 상점의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KR20140116987A (ko)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681521B1 (ko) 근거리 유저 식별을 통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20150091200A (ko) 사물통신 기반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20076639A (ko) 네트워크 서버 그리고 고객 맞춤형 광고 시스템 및 방법
JP2020024609A (ja) 広告制御装置、及び広告制御システム
JP201405654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サーバ
KR101614805B1 (ko) 버스 와이파이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