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69390A1 -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69390A1
WO2017069390A1 PCT/KR2016/009136 KR2016009136W WO2017069390A1 WO 2017069390 A1 WO2017069390 A1 WO 2017069390A1 KR 2016009136 W KR2016009136 W KR 2016009136W WO 2017069390 A1 WO2017069390 A1 WO 20170693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ncentration
enzyme complex
hangover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913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흥택
유재환
강보승
챈타위차야수윗윗수잇
방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엔텍
Publication of WO20170693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693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eliminating hangovers.
  • a hangover refers to headache, diarrhea, anorexia, nausea, vomiting, chills, and cold sweating after drinking alcohol. Objective symptoms include decreased cognition, decreased exercise ability, hematologic and hormonal changes.
  • Alcohol metabolism pathways in the liver are made by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NAD (P) +)-associated enzymes,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 NAD (P) +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 ADH alcohol dehydrogenase
  • ADH acetaldehyde dehydrogenase
  • ADH acetaldehyde dehydrogenase
  • ALDH acetaldehyde dehydrogenase
  • ADH2 has ADH2 * 1, ADH2 * 2 and ADH2 * 3 alleles found only in blacks, and reportedly increases the risk of alcohol hypersensitivity with ADH2 * 1 alleles.
  • ALDH2 is susceptible to drinking alcohol with ALDH2 * 2, a deficiency homozygous enzyme of this enzyme. It is becoming.
  • acetaldehyde reduces the fatty acid oxidative activity by the action of aldehyde oxidase and xanthin oxidase, another pathway of acetaldehyde oxidation, producing small amounts of free oxygen (O2-) and promoting lipid peroxidation.
  • acetaldehyde causes changes in the lipid components of the plasma membrane in the liver microsom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free oxygen scavenging ability.
  • chronic drinking leads to a continuous decrease in GSH resulting in peroxidation of lipid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eliminating hangover, which contains an enzyme complex containing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s an active ingredient.
  • ADH acetaldehyde dehydrogenase
  • the enzyme complex provides a hangover prevention or remedy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lcohol dehydrogenase (ADH).
  • ADH alcohol dehydrogenase
  • Glutathion glutathion
  • the enzyme complex provides a hangover prevention or remedy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obtained by fermenting grains containing rice using a strain.
  • the strain is a hangover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bifidum Or a composition for releasing is provided.
  • the content of the enzyme complex in the composition is in the range of 30 to 7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glutathione is in the range of 20 to 7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enzyme complex, or Provided are compositions for eliminatio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eliminating hangovers provid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ffects.
  •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eliminating hang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en to be safe as it contains an enzyme complex containing ADH and ALDH and the like, and has no side effects, and through the oral administration of the enzyme complex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glutathione, blood alcohol and It has a hangover effect by reducing the acetaldehyde concentration.
  • 1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for producing a fermented powder of mia having a hangover resolu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blood alcohol concentration decreasing ability and blood alcohol concentration-time under area curve (AUC) with time;
  •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ability to decrease the concentration of acetaldehyde in the blood and the concentration of acetaldehyde concentration-time under the curve (AUC),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highest concentration (Cmax) of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of FIG. 2 and the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of FIG.
  • Hangover prevention or remedy composition contains an enzyme complex containing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nzyme complex may further comprise an alcohol dehydrogenase (ADH).
  • the content of the enzyme complex in the composition may b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70 parts by weight. If i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effect may be reduced, and if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effect increase may be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increase in content.
  •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effect rises even more when the glutathione is further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eliminating hangovers (as shown in the examples below,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is increased when the glutathione is administered in combination). have).
  • the content of glutathione may be in the range of 20 to 7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0 parts by weight of the enzyme complex. If the amou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concomitant administration may be reduced, and if the amount is exceeded, the concomitant effect of increasing the concomitant administration may be insignificant.
  • the enzyme complex may preferably be obtained by fermenting grains including rice with strains.
  • the fine powder is finely ground in units of several tens to several tens of microns, and then sterilized in a range of 10 minutes to 1 hour at 100 to 150 ° C., and then fermented into a strain capable of generating an enzyme complex.
  • the strain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bifidum. Fermentation conditions are not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ferment for 15 to 30 days at a temperature of 40 to 45 °C. After fermentation is completed, pasteurization may be followed by freeze drying and pulverization to prepare a hangover prevention or remedy composition. Vitamin B, C, E, etc.
  • lipases may be further added to the composition, lipases, amylases, proteases, proteinases, glucanases, cellulases Digestive enzymes, such as lactase, may be further added.
  • lipases amylases, proteases, proteinases, glucanases, cellulases Digestive enzymes, such as lactase
  • other known ingredients for further formulation may be added.
  • an enzyme complex comprising ADH and ALDH was prepared. That is, after grinding the mia in 15 ⁇ m unit sterilized for 30 minutes at 121 °C. Then fermented for 21 days in the range 40 ⁇ 45 °C to the strain represented in FIG. After the fermentation was completed, the pasteurizer was pasteurized at 65 ° C for 10 minutes. Thereafter, lyophilized and triturated to obtain an enzyme complex. Enzyme activity in the obtained enzyme complex was analyzed by UV spectrometry method by National Institute of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BIOTECH), and ADH enzyme activity was 1.68 U / g and ALDH enzyme activity was 4.07 U / g. It was determined by the presence of enzymes involved in alcohol metabolism, ADH and ALDH.
  • the obtained enzyme complex was prepared at a 150 mg / kg dose concentration.
  • K150 150 mg / kg dose concentration
  • the enzyme complex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prepared at a 220 mg / kg dose concentration for animal administ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K220.
  • Glutathione was added to the enzyme complex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to prepare an enzyme complex to which glutathione was added.
  • enzyme complex 150 mg / kg, glutathione 100 mg / kg dose concentration was prepared.
  • K150 + G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K150 + G100.
  • Glutathione was added to the enzyme complex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to prepare an enzyme complex to which glutathione was added.
  • enzyme complex 220 mg / kg, glutathione 100 mg / kg dose concentration was prepared.
  • K220 + G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K220 + G100.
  • Glutathione was prepared at a 100 mg / kg dose concentration for animal administration. Hereafter referred to as G100.
  • ADH alcohol dehydrogenase
  •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 ⁇ A Sample (A2-A1)-Blank (A2-A1)
  • the concentration-time subarea curve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t 0 (before administration), 1, 3, 5 and 8 hours after alcohol administration using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value of FIG. 2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2 (b).
  • AUC (mg / L) (((0 hour concentration + 1 hour concentration) * 1) / 2) + (((1 hour concentration + 3 hour concentration) * 2) / 2) + (( (3 hours concentration + 5 hours concentration) * 2) / 2) + (((5 hours concentration + 8 hours concentration) * 3) / 2)
  • Experimental method is the same as Experimental Example 1 above, serum was separated from the collected blood, and the blood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a commercial acetaldehyde concentration measurement kit.
  • the acetaldehyde concentration method and the concentration-time area curves were as follows. Same as (C) and (D).
  • reaction mixture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9.0 + NAD + tablet about 0.8 mg
  •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blood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 A Sample (A2-A1)-Blank (A2-A1)
  • the concentration of acetaldehyde in blood was the highest in all experimental groups after 1 hour of ethanol administration.
  • (a) of Figure 3 when looking at the concentration of acetaldehyde in the blood for 0-8 hours,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ue decreases in a time-dependent manner compared to the ethanol alone group in all sample administration group.
  • the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of the K150 or G100 alone group did not differ from the ethanol alone group, whereas K220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G100 was 68.2 ( p ⁇ 0.001) and 36.4 ( p ⁇ 0.01) and 79.4% ( p ⁇ 0.001).
  • AUC (mg / L) (((0 hour concentration + 1 hour concentration) * 1) / 2) + (((1 hour concentration + 3 hour concentration) * 2) / 2) + (( (3 hours concentration + 5 hours concentration) * 2) / 2) + (((5 hours concentration + 8 hours concentration) * 3) / 2)
  • AU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administration groups except glutathione 100 mg / kg alone compared to ethanol alone, and AUC was decreased by co-administration with glutathione than enzyme complex alone. It could be confirmed that was larger.
  • Figure 4 is a result showing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alcohol and acetaldehyde in the blood.
  • Cmax was decreased in all the sample administration groups compared to the alcohol alone group, and particularly in the enzyme complex and glutathione combination group, the enzyme complex 220 alone, or the combination administration grou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를 포함하는 효소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숙취해소 효과를 제공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숙취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두통,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한, 식은땀을 뜻하며 객관적인 증상으로는 인지능 저하, 운동 능력 저하, 혈액학적 및 호르몬 변화를 일컫는다.
숙취의 원인은 탈수, 알코올 (에탄올 및 메탄올) 및 알코올 대사물 (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톤 등)의 독성, 흡수 장애에 의한 영양소 결핍 (혈당 저하, 비타민 및 무기질 결핍)으로 알려져 있다.
간에서의 알코올 대사 경로를 보면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NAD(P)+)관련 효소, 알코올 탈수소효소 (ADH; alcohol dehydrogenase)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 (ALDH; acet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이루어진다. 세포질에서 ADH, 소포체에서 cytochrome P4502E1 (CYP2E1), 퍼옥시좀 (peroxisome)에서 카탈라아제 (catalase)등의 세 가지 효소에 의해서 아세트알데히드로 바뀐 뒤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여 공통 경로인 ALDH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최종 산화되는 경로를 거치게 된다.
ADH와 ALDH의 유전자형 중에 알코올의 간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ADH2와 ALDH2이다. ADH2에는 ADH2*1,ADH2*2 및 흑인에게만 발견되는 ADH2*3 대립유전자가 있는데, ADH2*1 대립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 알코올 과민 반응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ALDH2는 이 효소의 결핍형 동형접합체인 ALDH2*2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음주에 취약하다고 많은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으며, 서양인에게는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동양인 전체 인구 중 특히 한, 중, 일 인구의 약 50%에서 발견되고 있다.
동물 실험에서 아세트알데히드는 아세트알데히드 산화의 다른 경로인 알데히드 산화효소 (oxidase)와 xanthin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지방산 산화능을 감소시켜 소량의 유리산소 (O2-)가 생성되며 지질 과산화를 촉진시킨다.
또한,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의 마이크로솜에서 혈장막의 지질 성분의 변화를 일으켜 유리산소 소거능을 저하시키고, 결국 만성 음주는 GSH의 지속적인 감소를 일으켜 지질의 과산화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음주 후 유발되는 숙취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의 숙취해소 제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어느 하나 이상의 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ADH 및 ALDH 등을 함유한 효소 복합물을 포함하여 안전성이 입증되어 부작용이 없으며, 글루타치온과의 병용 투여를 통해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모두 감소시킴으로써 숙취해소 효과를 가지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를 포함하는 효소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효소 복합물에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D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글루타치온(Glutathio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효소 복합물은 쌀을 포함하는 곡물을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40 내지 45℃의 온도조건에서 15일 내지 30일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조성물 내의 상기 효소 복합물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 30 내지 70 중량부 범위내이며, 상기 글루타치온의 함유량은 효소 복합물 100 중량 대비 20 내지 70 중량부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은 다음의 효과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은 ADH 및 ALDH 등을 함유한 효소 복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안전성이 입증되어 부작용이 없으며, 경구를 통한 효소 복합물 단독 또는 글루타치온과의 병용 투여를 통해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숙취해소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숙취 해소능을 갖는 미아발효분말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2는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능 및 혈중 알코올 농도-시간 면적하 곡선 (AUC; Area Under the Curve)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감소능 및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시간 면적하 곡선 (AUC; Area Under the Curve)을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도 2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도 3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최고농도 (Cmax)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를 포함하는 효소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효소 복합물에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D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효소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숙취 예방 또는 해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성물 내의 상기 효소 복합물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 바람직하기로는 30 내지 70 중량부 범위내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 대비 효과 상승이 미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에 글루타치온(Glutathion)을 더 포함하는 경우 더욱 더 효과 상승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후술하는 실시예 에서 보듯이 글루타치온 병용 투여시 효과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글루타치온의 함유량은 효소 복합물 100 중량 대비,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70 중량부 범위내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병용 투여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 대비 병용 투여 효과 상승이 미미할 수 있다.
상기 효소 복합물은 바람직하기로는 쌀을 포함하는 곡물을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미아 분말을 수~수십 미크론 단위로 미세하게 분쇄한 후 100~150℃에서 10분 내지 1시간 범위내에서 살균한 후 효소 복합물 생성 가능한 균주로 발효한다. 균주는 바람직하기로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발효 조건은 제한되지 않으나 40 내지 45℃의 온도조건에서 15일 내지 30일 발효시키는 것이 좋다. 발효 완료 후 저온 살균한 후 동결 건조 및 분쇄를 통해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비타민 B, C, E 등을 더 첨가할 수 있으며, 리파제(lipases), 아밀라제(amylases), 프로테아제(proteases), 프로테인아제(proteinases), 글루카나제(glucanases), 셀룰라제(cellulases), 락타제(lactase) 등의 소화효소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외에도 기타 제형화를 위한 공지의 성분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도 1에 도시된 제조 흐름도와 같이, ADH 및 ALDH를 포함하는 효소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즉, 미아를 15㎛ 단위로 분쇄한 후 121℃에서 30분간 살균하였다. 그 후 도 1에 표현된 균주로 40~45℃ 범위에서 21일간 발효시켰다. 발효 완료 후 65℃에서 10분간 저온 살균하였다. 그 후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효소복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효소복합물내의 효소 활성을 National Institute of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생화학 실험전문 국가기관, BIOTECH)에 의뢰하여 UV spectrometry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ADH 효소 활성이 1.68 U/g, ALDH 효소 활성이 4.07 U/g으로 측정되어 알코올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인 ADH 및 ALDH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동물 투여를 위해, 얻어진 효소 복합물을 150 mg/kg 투여 농도로 준비하였다. 이하 K150이라 명명한다.
<제조예 2>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효소 복합물을 동물 투여를 위해 220 mg/kg 투여 농도로 준비하였다. 이하 K220이라 명명한다.
<제조예 3>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효소 복합물에 글루타치온을 첨가하여 글루타치온이 첨가된 효소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동물 투여를 위해, 효소 복합물 150 mg/kg, 글루타치온 100 mg/kg 투여 농도로 준비하였다. 이하 K150+G100 이라 명명한다.
<제조예 4>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효소 복합물에 글루타치온을 첨가하여 글루타치온이 첨가된 효소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동물 투여를 위해, 효소 복합물 220 mg/kg, 글루타치온 100 mg/kg 투여 농도로 준비하였다. 이하 K220+G100 이라 명명한다.
<비교제조예 1>
동물 투여를 위해 글루타치온을 100 mg/kg 투여 농도로 준비하였다. 이하 G100 이라 명명한다.
<실험예 1>
혈중 알코올 농도 및 농도-시간 면적하 곡선 (AUC) 확인
실험동물인 수컷 Sprague Dawley (SD) 랫드를 입수한 후 일주일간 순화시켰으며, 순화 후 실험군당 5마리로 실험군을 분리하였다. 실험동물을 18 시간 절식시킨 후, 표 1의 대조군, 제조예 1 내지 4, 비교제조예 1을 경구를 통해 투여를 실시하였다.
표 1
구분 성분
대조군 에탄올 단독
제조예 1 K150
제조예 2 K220
제조예 3 K150+G100
제조예 4 K220+G100
비교제조예 1 G100
투여 30분 후에 알코올 3 g/kg을 경구 투여하고, 투여 0 (투여 전), 1, 3, 5 및 8 시간 후 꼬리 정맥을 통해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은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상업용 알코올 농도 측정 kit를 이용하여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알코올 농도 측정법과 농도-시간 면적하 곡선은 각각 아래의 (가) 및 (나)와 같다.
가.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방법
① Reaction mixture 3 mL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9.0 + NAD+ tablet)에 혈청 0.1 mL를 혼합하였다.
② 3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③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340 nm에서 흡광도 측정(A1)
④ ADH (alcohol dehydrogenase)를 0.05 mL 넣어 혼합하였다.
⑤ 5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⑥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340 nm에서 흡광도 측정(A2)
혈중 알코올 농도는 하기 [식 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식 1] □ Concentration = 0.7259 /3.6×△A
△A = Sample (A2-A1) - Blank (A2-A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투여 1 시간 후 모든 실험군에서 혈중 에탄올 농도가 최대를 나타냈다. 도 2의 (가)에서 보듯이, 0~8시간 동안의 혈중 에탄올 농도를 보면, 모든 시료 투여군에서 에탄올 단독군 대비 시간 의존적으로 그 수치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8시간 후 에탄올 단독 투여군을 100%로 했을 때 K150, K220, G100 단독 투여군에서 각각 55.1 (p<0.05), 83.5 (p<0.001) 및 47.3% 감소하였으며, 농도별 효소 복합물 단독 투여가 글루타치온 단독 투여 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소 복합물과 글루타치온 100 mg/kg 병용 투여에 의한 숙취 해소능을 확인해 본 결과, 모든 시간대에서 병용 투여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의 감소능이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이로써, 글루타치온 병용 투여시 숙취 해소능이 더 우수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 혈중 알코올 농도-시간 면적하 곡선 계산법
도 2의 혈중 알코올 농도의 수치를 이용한 알코올 투여 후 0 (투여 전), 1, 3, 5 및 8 시간의 혈중 알코올 농도의 농도-시간 면적하 곡선은 하기 [식 2]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도 2 (나)에 나타내었다.
[식 2] □ AUC (mg/L) = (((0 시간 농도 + 1 시간 농도)*1)/2) + (((1 시간 농도 + 3 시간 농도 )*2)/2) + (((3 시간 농도 + 5 시간 농도 )*2)/2) + (((5 시간 농도 + 8 시간 농도 )*3)/2)
도 2의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투여군에서의 AUC가 에탄올 단독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효소 복합물 단독보다 글루타치온과의 병용 투여에 의한 AUC의 감소가 더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및 농도-시간 면적하 곡선 ( AUC )확인
실험방법은 위의 실험예 1과 같으며 채혈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한 후 상업용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 kit를 이용하여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법과 농도-시간 면적하 곡선은 각각 아래의 (다) 및 (라)와 같다.
다.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 방법
① Reaction mixture 3 mL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9.0 + NAD+ tablet 약 0.8 mg)에 혈액 0.2 mL를 혼합하였다.
② 3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③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340 nm에서 흡광도 측정(A1)
④ ALDH (acetaldehyde dehydrogenase)를 0.05 mL 넣어 혼합하였다.
⑤ 5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⑥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340 nm에서 흡광도 측정(A2)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하기 [식 3]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도 C에 나타내었다.
[식 3] □ Concentration = 0.7158 /3.6×△A
△A = Sample (A2-A1) - Blank (A2-A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투여 1시간 후 모든 실험군에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가 최대를 나타냈다. 도 3의 (가)에서 보듯이, 0~8시간 동안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보면, 모든 시료 투여군에서 에탄올 단독군 대비 시간 의존적으로 그 수치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8시간 후 K150 또는 G100 단독 투여군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에탄올 단독군과 차이가 나지 않는 반면, K220 단독 또는 G100과의 병용투여의 경우 에탄올 단독군 대비 각각 68.2 (p<0.001), 36.4 (p<0.01) 및 79.4 % (p<0.001) 감소하였다.
K150+G100 병용 투여 결과를 보면, 1~8 시간 후 효소 복합물 단독 투여군 대비 병용 투여군에서 각각 14.6, 17.5, 16.0, 및 29.4% 감소하였다. 반면, K220 단독 또는 K220+G100 병용 투여에 의한 효능 정도는 비슷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혈중 알코올 농도 결과와 마찬가지로 단독 투여보다는 병용투여시 효능 향상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라.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시간 면적하 곡선 계산법
도 3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수치를 이용한 알코올 투여 후 0 (투여 전), 1, 3, 5 및 8 시간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농도-시간 면적하 곡선은 하기 [식 4]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도 3 (나)에 나타내었다.
[식 4] □ AUC (mg/L) = (((0 시간 농도 + 1 시간 농도)*1)/2) + (((1 시간 농도 + 3 시간 농도 )*2)/2) + (((3 시간 농도 + 5 시간 농도 )*2)/2) + (((5 시간 농도 + 8 시간 농도 )*3)/2)
도 3의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단독군 대비 글루타치온 100 mg/kg 단독 투여군을 제외한 모든 투여군에서의 AUC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효소 복합물 단독보다 글루타치온과의 병용 투여에 의한 AUC의 감소가 더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4는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최고농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 단독군 대비 모든 시료 투여군에서 Cmax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효소 복합물과 글루타치온 병용 투여군, 효소 복합물 220 단독 또는 병용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Claims (7)

  1.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를 포함하는 효소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복합물에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D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글루타치온(Glutathio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복합물은 쌀을 포함하는 곡물을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40 내지 45℃의 온도조건에서 15일 내지 30일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 내의 상기 효소 복합물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 30 내지 70 중량부 범위내이며, 상기 글루타치온의 함유량은 효소 복합물 100 중량 대비 20 내지 70 중량부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PCT/KR2016/009136 2015-10-21 2016-08-19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WO20170693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03A KR20170046540A (ko) 2015-10-21 2015-10-21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2015-0147003 2015-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390A1 true WO2017069390A1 (ko) 2017-04-27

Family

ID=5855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9136 WO2017069390A1 (ko) 2015-10-21 2016-08-19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46540A (ko)
WO (1) WO20170693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8255A (zh) * 2018-05-02 2019-05-07 艾美科健株式会社 一种消除宿醉酶粉末的制备方法和含有该成分的消除宿醉用组合物
CN113924003A (zh) * 2019-10-08 2022-01-11 (株)康乐生命科学 用于消除宿醉及肠道问题的包含来源于谷物的乳酸菌的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356A1 (ko) * 2020-02-18 2021-08-26 주식회사 피코엔텍 글루타치온과 알데히드탈수소효소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KR102460589B1 (ko) * 2021-02-17 2022-10-28 주식회사 피코엔텍 글루타치온과 알데히드탈수소효소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487A (ko) * 2001-12-11 2003-06-25 (주)두루원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솔잎의 다단발효추출물
KR20050042860A (ko) * 2003-11-04 2005-05-11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 활성과 감소능이우수한 젖산균
US20050271739A1 (en) * 2004-06-08 2005-12-08 Wang Xiang H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ccelerating alcohol metabolism
KR100828708B1 (ko) * 2007-06-19 2008-05-09 씨제이제일제당 (주)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34381A (ko) * 2009-06-15 2010-12-23 (주)아모레퍼시픽 체내 알코올 분해 촉진을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487A (ko) * 2001-12-11 2003-06-25 (주)두루원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솔잎의 다단발효추출물
KR20050042860A (ko) * 2003-11-04 2005-05-11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 활성과 감소능이우수한 젖산균
US20050271739A1 (en) * 2004-06-08 2005-12-08 Wang Xiang H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ccelerating alcohol metabolism
KR100828708B1 (ko) * 2007-06-19 2008-05-09 씨제이제일제당 (주)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34381A (ko) * 2009-06-15 2010-12-23 (주)아모레퍼시픽 체내 알코올 분해 촉진을 위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8255A (zh) * 2018-05-02 2019-05-07 艾美科健株式会社 一种消除宿醉酶粉末的制备方法和含有该成分的消除宿醉用组合物
CN109718255B (zh) * 2018-05-02 2023-02-10 艾美科健株式会社 一种消除宿醉酶粉末的制备方法和含有该成分的消除宿醉用组合物
CN113924003A (zh) * 2019-10-08 2022-01-11 (株)康乐生命科学 用于消除宿醉及肠道问题的包含来源于谷物的乳酸菌的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540A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9390A1 (ko)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EP3511407B1 (en) Christensenella intestinihominis and application thereof
WO2020050460A1 (ko)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173763A1 (en) Compositions for use in balancing microbiome
KR102460589B1 (ko) 글루타치온과 알데히드탈수소효소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CN111280252B (zh) 长双歧杆菌长亚种、含其的组合物及用途
WO2021167356A1 (ko) 글루타치온과 알데히드탈수소효소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Zhao et al. Effects of dietary glucose oxidase on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health of AA broilers challenged by Clostridium perfringens
WO2021230581A1 (ko) 신규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32 균주의 발견 및 장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응용
WO2015178517A1 (ko)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과 나토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압 강하용 조성물
Tillonen et al. Metronidazole increases intracolonic but not peripheral blood acetaldehyde in chronic ethanol‐treated rats
JP2020533008A (ja) Megamonas funiformis及びその適用
WO2021194011A1 (ko)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US10799540B2 (en) Faecalibacterium longum and application thereof
JP4854841B2 (ja) 肝障害低減剤
Jokelainen et al. Inhibition of bacteriocolonic pathway for ethanol oxidation by ciprofloxacin in rats
WO2022139489A1 (ko) 알코올성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9051789A1 (zh) 粪厌氧棒形菌(Anaerofustis stercorihominis)及其应用
CN112121105B (zh) 一种宠物用漱口水喷雾剂及其制备方法
WO2017061787A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WO2019212202A1 (ko)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JP4535554B2 (ja) 2次胆汁酸産生抑制剤及び飲食品
WO2023043218A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낫또 배양균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WO2022149851A1 (ko)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4909B1 (ko) 갯질경의 신규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576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576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