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909B1 - 갯질경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갯질경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909B1
KR101734909B1 KR1020150056139A KR20150056139A KR101734909B1 KR 101734909 B1 KR101734909 B1 KR 101734909B1 KR 1020150056139 A KR1020150056139 A KR 1020150056139A KR 20150056139 A KR20150056139 A KR 20150056139A KR 101734909 B1 KR101734909 B1 KR 101734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hangover
group
pharmaceutical composition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230A (ko
Inventor
정은주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90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질경의 신규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또는 숙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할 수 있고, 항산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갯질경의 신규 용도{Novel use of Limonium tetragonum}
본 발명은 갯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갯질경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갯질경(Limonium tetragonum)은 갯질경이과(Plumbaginaceae)의 초본식물로, 알츠하이머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5304호).
한편, 알코올은 신체대사를 촉진하는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과도한 섭취는 숙취 내지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체에 있어 항산화 작용은 건강유지를 위해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으며, 항산화 작용을 하는 항산화제는 식품, 화장품 등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의약품으로 응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 숙취 등에 효과를 나타내고,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5304호, (2010.6.22), 청구범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갯질경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에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는 놀랍게도 갯질경(Limonium tetragonum)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 또는 숙취 등에 효과를 나타냄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갯질경의 항산화 용도,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또는 숙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및/또는 식품 용도를 제공한다. 치료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또는 숙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관련된 증상의 개선, 경감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고, 예방은 질병 이전 단계에서 질병으로 발전되는 것의 억제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 또는 숙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갯질경{Limonium tetragonum (Thunb) A.A. Bullock}은 두해살이풀로 원산지는 한국으로, 한국, 일본 등에 분포하며 바닷가에서 자란다. 이와 같은 갯질경은 자연에서 채취하거나 재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갯질경은 전초 또는 일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상부일 수 있다.
상기 갯질경은 생갯질경, 갯질경건조물, 또는 갯질경용매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극성용매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저급알코올일 수 있으며,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갯질경 용매추출물은 상기 생갯질경, 또는 상기 갯질경건조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추출한 조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추출한 분획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추출은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노말-부탄올 순으로 상기 조추출물을 분획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얻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갯질경 용매추출물은 상기 생갯질경 또는 상기 갯질경건조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 하나로 추출하여 조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조추출물과 물을 접촉시켜 접촉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접촉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되는 분획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추출은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노말-부탄올 순으로 상기 접촉물을 분획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얻는 것일 수 있다. 분획(fraction)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분획법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로 인한 약물 중독은 약물중독(drug intoxication) 중 알코올로 인한 것을 의미하며, 과량의 알코올이 체내에 유입되어 일어나는 약물중독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급성알코올중독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알코올로 인한 약물 중독에는 알코올중독(alcholism)은 제외될 수 있다.
상기 항산화는 간조직 중 항산화효소 활성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 또는 예방은 상기 갯질경에 의한 알코올대사 촉진, 알데하이드 디하이드로게나아제 활성 증가, 간조직 중 항산화효소 활성 증가, 또는 간조직 내 알코올에 의한 과산화지질 증가 억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효소는 슈퍼옥시드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SOD),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 GSH-px), 또는 카탈라아제(catalal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과산화지질 증가 억제는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 형성 억제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95중량%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 중독 또는 숙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서 언급된 사항이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개선'은 '치료'에 포함되며, 상태 또는 증세가 호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숙취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은 숙취해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음료를 포함하는 식품에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고, 음료, 껌, 차, 건강기능식품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대한민국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2669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한 식품을 말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은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나트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조성물은 식품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갯질경을 투여를 필요로 하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법,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 중독 또는 숙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갯질경의 항산화제, 또는 갯질경의 알코올로 인한 약물 중독 또는 숙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제제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투여되는 갯질경은 유효량의 갯질경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제를 제공한다.
항산화제는 항산화 용도를 갖는 약학 조성물, 및/또는 식품 조성물 등을 포함하며,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등과 동일하게 제제화될 수 있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식품조성물, 항산화제, 방법, 및 용도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각각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갯질경,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항산화제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제제화하여 투여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또는 젤라틴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또한, 마그네슘, 탈크 등 윤활제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주사가능한 액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비강세척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주사가능한 액제, 현탁제, 유제는 물, 비수성용제나 현탁용제와 유효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또는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로 투여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항산화제에 포함되거나, 용도 또는 방법 중 사용되는 갯질경은 성인 기준으로 1일 1 ~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0~500mg/kg의 용량으로 사용가능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 투여량 및 투여횟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갯질경은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제제화에 관한 내용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등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항산화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분 및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또는 상기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알코올로 인한 약물 중독 또는 숙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할 수 있으며, 항산화가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혈중알코올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ADH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ALDH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생갯질경'은 채취 후 별도의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은 갯질경의 전초 또는 일부를 의미하고, '갯질경건조물'은 생갯질경을 건조한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시약 등은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최상급을 사용하였으며, 시그마사 등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갯질경의 항산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 또는 숙취 개선, 치료, 및/또는 예방 효과 확인
1-1. 갯질경 준비
야생의 생갯질경 전초를 대한민국 신안군 해변에서 채취하여(2013.7),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생약학 실험실에 채집표본(voucher specimen)(GNP-70)으로 기탁하였다. 기탁한 표본과 동일한 갯질경의 지상부를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갯질경건조물(2kg)을 얻은 후 파쇄하고, 건조 시료 부피와 동량 이상의 메탄올을 가하여 섭씨 25도의 저온상태에서 3시간 초음파 추출하여 1차 추출액으로 하고,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2회 추가 추출하여 2차추출액과 3차추출액을 얻었다. 1차, 2차, 3차 추출액을 모두 혼합하여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농축물(569.9g)을 얻었다. 농축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동량의 클로로포름을 가하고 30~60분 분획깔때기에서 방치한 후 층이 완전히 나뉘면 클로로포름층만을 1차 분획물로 얻는다. 동일한 방법으로 2회 추가 분획하여 2차 분획물과 3차분획물을 얻었고, 1차, 2차, 및 3차 분획물을 모두 혼합하여 클로로포름 분획으로 하였다. 클로로포름 분획을 실시하고 남은 증류수 현탁액에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노말-부탄올 분획을 순차적으로 얻었다. 그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갯질경 용매추출물을 준비하였다.
1-2. 실험동물 준비
실험동물은 7주령의 웅성 흰쥐(Spargue-Dawley rat)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적응기간 중 동물 사육실의 환경은 온도 섭씨 23±1도, 습도 50±5%, 12시간의 명암주기를 유지하도록 조절하였으며, 사료는 실험동물용 사료를 음수는 정제수를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1-3. 실험동물 처리
1주일간 적응시킨 흰쥐를 8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정상대조군, 에탄올투여군, 갯질경투여군으로 구분하였다. 정상대조군은 0.5%-CMC(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용액을 투여하였고, 갯질경투여군에는 1-1.에서 준비된 갯질경 추출물 200mg/kg을 0.5%-CMC에 녹여 경구 투여하였다. 1시간 후, 갯질경투여군과 에탄올투여군에 40%에탄올 10mg/kg을 1회 경구투여하였다. 에탄올투여 1, 2, 4시간 후에 정상대조군, 에탄올투여군, 갯질경투여군의 꼬리정맥으로부터 1mL의 혈액을 채취하였고, 마지막 채혈 후 즉시 간을 적출하였다.
1-4.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1-3.에서 채취한 혈액을 분리시험관(seperation tube)에 넣어 실온에 30분 방치 후,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만 취하여 섭씨 영하 70도에서 보관하였다. 보관된 상층액에 대하여, 에탄올측정 키트(Bio-vision, Cat# K620-100)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혈중알코올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x축은 경과시간(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알코올농도(nM)을 나타낸다. 도 1의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내고, *은 에탄올투여군 대비 p<0.001을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탄올 투여 후 상승한 혈중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투여 4시간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에탄올투여군에 비해 갯질경투여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빠른 속도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갯질경에 의한 알코올대사 촉진 작용에 의해,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 및/또는 숙취의 치료, 예방, 및/또는 개선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5. 간조직 중 ALDH 측정
혈중 알코올 분해 촉진이 실제 생체 내에서 어떤 기작에 의해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체내 알코올 대사에 관여하는 ADH 및 ALDH 활성 증진 정도를 측정하였다.
1-3.에서 적출한 간의 일정량을 4배량의 0.25M 수크로오스 용액에 넣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20%(w/v)마쇄균질액을 제조하였다. 마쇄균질액을 600xg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다시 상층액을 1,000xg에서 20분, 다시 상층액을 15,000xg에서 1시간 동안 초원심분리하여 분획을 얻었다. 이 분획 내 존재하는 알코올디하이드로게나아제(alcohol dehydrogenase; ADH)와 알데하이드 디하이드로게나아제(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도를 각각 ADH assay kit(Biovision Cat. #787-100)와 ALDH assay kit(Biovision Cat. #731-1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법은 제조사의 지시를 따랐다.
그 결과를 도 2,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실시예 1의 ADH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실시예 1의 ALDH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와 도 3의 x축은 군을 나타내고, 도 2의 y축은 ADH활성도(시간당 NADH 함량)를 나타내고, 도 3의 y축은 ALDH활성도(시간당 NADH 함량)를 나타낸다. 도 2와 도 3의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내고, #은 정상대조군 대비 p<0.01을 나타내고, *은 에탄올투여군 대비 p<0.01을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탄올투여군의 ADH 활성도가 정상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갯질경투여군의 ADH 활성도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약간 상승하였으나, 에탄올투여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ALDH 활성도의 경우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탄올투여군의 경우 에탄올투여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갯질경투여군의 경우는 에탄올투여군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갯질경이 체내 알코올 대사 특히 숙취와 관련된 알데하이드 분해활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갯질경에 의한 알데하이드디하이드로게나아제 활성 증가에 의해,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 및/또는 숙취의 치료, 예방, 및/또는 개선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6. 간조직 중 항산화효소 활성 측정
1-3.에서 적출한 간의 일정량을 4배량의 0.1M 포스페이트 버퍼(pH 7.4)에 넣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마쇄균질액을 제조한 후, 3000x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SOD의 활성도는 McCord and Fridovich method(J. Biol. Chem. 1969, 244, 6056-6063)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조직 상층액 200 ul에 반응액 (0.2 mM hydroxylamine and hypoxanthine)을 동량 첨가한 후 200ul의 xanthine oxidase와 함께 섭씨 37도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중지시킨 후 상온에서 20분간 방치하고 UV흡광장치를 이용하여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활성단위는 사람의 적혈구 효소를 이용하여 SOD 표준치 값과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GSH-px의 활성도는 GSH(glutathione)에서 GSSG(glutathione disulfide)로의 산화율을 cumene hydroperoxide로 측정하였다(Methods Enzymol. 1984, 105, 114-121.). 조직 상층액 200ul을 53ul의 glutathione reductase, 133ul GSH, 100ul NADPH(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가 담긴 880ul phosphate buffer(pH 7.2)에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섭씨 37도씨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흡광도의 감소 정도를 340nm에서 2분간 매 15초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Catalase의 활성도 측정을 위하여 조직 상층액 200ul를 150ul의 19mM 과산화수소가 담긴 microcuvette에 첨가하였다. 과산화수소의 고갈정도를 UV흡광장치를 이용하여 240nm에서 측정하였다(J. Bil. Chem. 1952, 195, 133-140 참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값은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에탄올투여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SOD, GSH-px, 카탈라아제의 효소 활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갯질경투여군의 경우는 에탄올투여군에 비해 3종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SH-px와 카탈라아제의 경우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대조군

에탄올투여군

갯질경투여군

SOD
(mmol/mg protein)

102.79±12.78

69.22±8.89#

78.34±5.57*

GSH-px
(nU/mg protein)

326.80±25.57

259.61±31.90#

318.99±22.28*

카탈라아제
(U/g protein)

204.79±19.89

165.77±13.34#

189.57±17.20*
# 정상대조군 대비 p<0.01
* 에탄올투여군 대비 p<0.01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갯질경에 의한 간조직 중 항산화효소 활성 증가 작용에 의해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 및/또는 숙취의 치료, 예방, 및/또는 개선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갯질경이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갯질경은 항산화제, 항산화용 의약 또는 식품 용도를 가질 수 있다.
1-7. 간조직 내 과산화지질 측정
1-3.에서 적출한 간의 일정량을 0.02M 포스페이트 버퍼(pH 7.4)에 넣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10%(w/v)마쇄균질액을 제조한 후, 0.02M 포스페이트 버퍼(pH 7.4)로 희석하여 5%(w/v) 균질액이 되도록 하였다. 9000x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미토콘드리아 다음 상등액(post mitochondrial supernatant)에서 과산화 생성물의 마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를 티오바비튜릭산(thiobarbituric acid)법에 의해 측정하였다(Buege, J.A.; Aust, S.D. Methods Enzymol. 1978, 52, 302-310).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의 값은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물 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에탄올투여군의 경우 증가하였으나, 갯질경투여군의 경우 감소되어 정상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대조군

에탄올투여군

갯질경투여군

MDA
(mmol/mg protein)

23.45±1.39

49.89±3.45#

35.44±3.20*
# 정상대조군 대비 p<0.01
* 에탄올투여군 대비 p<0.01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갯질경에 의한 간조직 내 알코올에 의한 과산화지질 증가 억제 작용에 의해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 및/또는 숙취의 치료, 예방, 및/또는 개선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4.~1-7.의 결과로부터 갯질경은 알코올대사 촉진, 알데하이드 디하이드로게나아제 활성 증가, 간조직 중 항산화효소 활성 증가, 간조직 내 알코올에 의한 과산화지질 증가 억제 등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갯질경은 숙취 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갯질경은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갯질경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갯질경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 또는 숙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약학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갯질경 추출물 100mg, 옥수수 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갯질경 추출물(10중량 %), 액상과당(0.5중량%), 올리고당(2중량%), 설탕(2중량%), 및 식염(0.5중량%)에 물을 추가하여 잔량을 맞춘 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9)

  1.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갯질경은 생갯질경, 갯질경건조물 또는 갯질경용매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갯질경 용매추출물은 상기 생갯질경 또는 상기 갯질경건조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추출한 조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추출한 분획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6. 삭제
  7.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9.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50056139A 2015-04-21 2015-04-21 갯질경의 신규 용도 KR101734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139A KR101734909B1 (ko) 2015-04-21 2015-04-21 갯질경의 신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139A KR101734909B1 (ko) 2015-04-21 2015-04-21 갯질경의 신규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230A KR20160125230A (ko) 2016-10-31
KR101734909B1 true KR101734909B1 (ko) 2017-05-15

Family

ID=5744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139A KR101734909B1 (ko) 2015-04-21 2015-04-21 갯질경의 신규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123B1 (ko) * 2021-11-29 2022-11-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갯질경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구력 증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1.OCEAN AND POLAR RESERCH, V33(2),(2011), PP185-19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230A (ko) 201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4966B2 (ja) 新規なラクトバチルス・サケイ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EP2441463A1 (en) Alkaline decomposition product of hop extract and use thereof
TWI764960B (zh) 至少一種甘草屬植物製劑之用途、包括該製劑之解毒劑、及該解毒劑之用途
JP2020511156A (ja) 白扁豆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二日酔いの解消及びアルコール性胃腸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US7767236B2 (en) Plant seed extrac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9724361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liver function deterioration, containing citrus peel extract or narirutin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extracting narirutin from citrus peel
KR101296995B1 (ko) 발효 쌀겨 및 미배아를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킨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7698B1 (ko) 붉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및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29003B1 (ko)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4909B1 (ko) 갯질경의 신규 용도
JP2016152817A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
JP2011207815A (ja) 抗酸化ストレス剤
KR20230138679A (ko) 홍경천 발효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6721905B2 (ja) 血中尿酸値低下剤
KR20090043758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101769592B1 (ko) 갯질경의 새로운 용도
JPH0840923A (ja) 栄養補助剤
KR102092586B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16764B1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039284B2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活性阻害用組成物
KR20180013204A (ko)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21529183A (ja) 酵母抽出物を含む糖尿改善または抗酸化用の組成物と酵母抽出物の製造方法
JP2010037335A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及び尿酸生成阻害剤
KR101655882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2006016340A (ja) ザクロ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尿酸値低下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