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0274A1 - 절수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0274A1
WO2017030274A1 PCT/KR2016/005738 KR2016005738W WO2017030274A1 WO 2017030274 A1 WO2017030274 A1 WO 2017030274A1 KR 2016005738 W KR2016005738 W KR 2016005738W WO 2017030274 A1 WO2017030274 A1 WO 20170302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saving toilet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7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근식
Original Assignee
신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근식 filed Critical 신근식
Priority to CN201680044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923166A/zh
Priority to EP16837216.7A priority patent/EP3321433A4/en
Priority to JP2018501370A priority patent/JP2018529035A/ja
Publication of WO20170302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02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8Passive dispensers, i.e. without mov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2Twin or multiple flushing cister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water consumption by differentially discharging water from the reservoir to the body according to the type of bowel movement, and the waste and water in the body may be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ath.
  • the internal air flows to the discharge path to the outside when the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discharge path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dirt and water, even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the water-saving toilet to facilitate the treatment after defecation.
  • Both toilets the body for supporting the user in a seated state, the body for receiving dirt during defecation;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the reservoir to store the water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body through the interior space; including, the user can sit on the bowel movements in a seated state as well as the bowel position is comfortable after the bowel movement of the reservoir
  • the treatment after bowel movement is hygienic as the water is washed out inside the body and discharged along with the dirt to the outside of the body.
  • the improved toilet has approximately 6-7 liters of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during post-stool treatment by selectively operating a pair of button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servoir, and approximately 3-4 liters of stored in the reservoir during urine treatment. Since water is discharged, wat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compared to a general toilet.
  • the discharge path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toilet is formed trap part is always filled with air trap part, the discharge interference by the air of the trap part during discharge of dirt and water through the discharge path is considerable discharge of water and water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dirt and water through the discharge path when the water discharge to the body is lower than a certain level, that is, 3-4l when treating after urine and 6-7l when treating after stool, even in an improved toilet.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 longer reduce the water consump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and a water-saving toilet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water consumption for treatment after bowel movement as the entir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after defecation in the conventional toilet bowl is discharged to the body.
  • the purpose is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o maintain the water discharge to the body by a certain level or more by the discharge interference caused by the air filled in the trap portion of the discharge path in the waste water and discharge through the discharge path in the conventional toilet water for treatment after bowel movement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ater-saving toilet that can solve the problem that consumption can no longer be reduced.
  • Water-saving toile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to support the user in a seated state, the body receiving the dirt during defecation;
  • a reservoi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storing water for washing the interior of the body through a space therein;
  • An auxiliary reservoir mounted in the reservoir and containing a portion of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and receiving a portion of air in the body flowing when dirt and water ar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It is mounted in the auxiliary reservoir,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for varying the water discharge into the body according to the type of bowel; includes.
  • the body has a seating sheet that provides a seating surface at an upper end, an opening for discharging water at an inner lower side, and a discharge passage leading from the opening to the sewage pipe.
  • the discharge path includes an upper and a lower trap part.
  • the reservoir has a pair of buttons on the outer surface to start discharging the water after the bowel movement, has an inlet pip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pipe therein, and has a bottom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do.
  • the water inlet pipe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between the operation having a buoy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change in the reservoir.
  • the auxiliary reservoir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and has an inlet for inflow of water into the bottom and an outlet for facing the through hole of the reservoir,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flow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body Lower body having a; It is coupled to the lower body, the upper body having a depression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includes.
  • the inlet is disposed in the step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reservoir in the lower body.
  • the outlet port has a support piece for fixing the lower body to the bottom of the reservoir at the bottom.
  • the support piece is helically screwed up and down by the screw, and then lifts up and dow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 the air flow tube has an inflatable member that is inflatable at the top.
  • the expansion membe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f a soft material.
  • the expansion member may include a valve that opens automatically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air flow tube exceeds an allowable pressure.
  • the upper body has an inner space divided by a partition wal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bottom formed with an opening at a lower portion of the divided space.
  • the bottom has an extension tube leading to the bottom.
  • the depression has an open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 the recess is mounted inside the cleaning agent.
  •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the housing of the circular tube shape; A pair of pressing plates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connecting rod for elevating according to whether the pressing plate is pressed; A drain blocking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nnection rod and inserted into an inner side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by the connection rod ascending to open the through hol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a buoy which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a level change in the housing.
  • the pressing plate is pressed in contact with the button provided in the reservoir.
  • the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for vary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into the body according to the type of bowel movement, and the bowel movemen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ischarge of a small amount of water from the post-stool treatment after urine treatment.
  • the water consumption for subsequent treatment can be reduced.
  • the water-saving toilet when the auxiliary reservoir receives a portion of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when the water is discharged by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is stored in the auxiliary reservoir rather than the entir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is discharged Therefore, as the body is washed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ter consumption for treatment after bowel movement.
  • the auxiliary reservoir tank receives a portion of the air in the body flowing when the dirt an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bar, the air in the body is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reservoir tank negative pressure in the discharge path This is formed so that the dirt and water discharge smoothly by the negative pressure can be treated after the bowel movement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can reduce the water consumption for post- bowel treatment.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reservoir in the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reservoir in the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water reception through the auxiliary reservoir in the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air reception through the auxiliary reservoir in the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expansion of the expansion member of the auxiliary reservoir in the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detergent in the auxiliary reservoir in the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water discharge through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in the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saving toilet (A) includes a body 10, a reservoir 20, an auxiliary reservoir 30, and a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40. do.
  • the body 10 supports the user in a seated state and accommodates dirt during defecation.
  • 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 seat seat 11 to provide a seating surface on the top.
  • the body 10 includes the seat sheet 11, the seating state of the user is stabilized by the seat sheet 11.
  • 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2 for discharging dirt and water in the lower inner.
  • the body 10 includes the opening 12, the waste and the water inside the body 10 may be discharged by the opening 12.
  • the body 10 has a discharge passage 13 leading from the opening 12 to the sewage pipe (not shown in the figure).
  • the body 10 includes the discharge path 13 external discharge of dirt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0 by the discharge path 13 is possible.
  • the discharge path 13 includes the upper and lower trap portion (13a).
  • the discharge path 13 includes the trap part 13a, odor transmission from the discharge path 13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is doubled by the trap part 13a.
  •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ody 10 follows the body structure of the general toile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reservoir 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and stores water for washing inside the body 10 through an interior space.
  • the reservoir 20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pair of buttons 21 for starting the discharge of the water after the bowel movement on the outer surface.
  • the water discharge can be started to the body 10 after urine by operating any one of the buttons 21, and by operating any one of the buttons. After the stool, it is possible to start the water discharge to the body 10 side.
  • the reservoir 20 is provided with an inlet pipe 22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pipe (not shown in the figure) therein.
  • water is stored in the reservoir 20 as tap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22.
  • the water inlet pipe 22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ection 23 having a buoy 23a to rise and fall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change in the reservoir 20.
  • the reservoir 20 has a through-hole 24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 at the bottom.
  • the water in the reservoir 20 is discharged toward the body 10 as the through hole 24 is opened.
  •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eservoir 20 follows the reservoir structure of the general toilet, bar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auxiliary reservoir 30 is mounted in the reservoir 20, accommodates a portion of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0, and flows when dirt and water are discharged from the body 10. 10) Receive a portion of the air inside.
  • part of the air in the body 10 is part of the air filled in the trap portion (13a).
  • the auxiliary reservoir 30 has a lower body 30 ′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20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lower body 30 ′. (30 ").
  • the lower body (30 ') is provided with a water inlet 31 for inflow of water to the inside on the bottom.
  • the lower body 30 ′ includes the water inlet 31, a portion of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20 in the auxiliary water reservoir 30 is introduced as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20 flows through the water inlet 31. Stored.
  • the water inlet 31 is disposed in the step portion 32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reservoir 20 in the lower body (30 ').
  • the water inlet 31 is disposed in the step portion 32,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inlet 31 is opened, so that a part of the water in the reservoir 20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inlet 31.
  • the lower body 30 ′ has a water outlet 33 facing the through-hole 24 of the water storage tank 20 at the bottom thereof.
  • the water in the auxiliary reservoir 30 may flow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through hole 24 as the water outlet 33 is opened. Do.
  • the outlet 33 is provided with a support piece (33a).
  • the lower body 30 ′ is fixed to the water storage tank 20 as the water outlet 33 includes the support piece 33 a to cover the support piece 33 a over the through hole 24.
  • the support piece 33a is helically stitched on the screw 33b.
  • the support piece 33a is raised and lowered as the support piece 33a spirals the screw 33b, thereby rotating the support piece 33a on the screw 33b.
  • the support piece 33a is firmly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24 by raising the support piece 33a to the maximum.
  • the lower body 30 ′ includes an air flow tube 34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th 13 of the body 10 on an upper surface thereof.
  • the air of the trap part 13a flows into the air flow pipe 34, thereby entering the discharge path 13 of the body 10. Since negative pressure is formed, dirt and water in the body 10 can be sucked into the discharge path 13 by the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smoothly through the discharge path 13.
  • air flow pipe 34 is provided with an inflatable member (34a) at the top.
  • the air flow tube 34 includes the expansion member 34a, the air flow into the air flow tube 34 is increased by the expansion of the expansion member 34a.
  • the expansion member 34a may include a valve 34b which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air flow tube 34 exceeds an allowable pressure.
  • the expansion member 34a includes the valve 34b,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air flow tube 34 and the expansion member 34a due to excessive increase in the pressure inside the air flow tube 34.
  • the expansion member (34a) may be of any conventional structure and manner as long as it can expand as the air flows into the air inlet pipe 34, for example, may be a thin film of a soft material. .
  • valve 34b may be of any conventional structure and manner as long as the valve 34b can be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air flow tube 34 exceeds the allowable pressur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upper body 30 "includes a depression 35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 the body 50 is mounted from the auxiliary reservoir 30 as the cleaner 50 is seated in the recessed part 35 as shown in FIG. Since the cleaning component by the cleaner 50 is included in the water discharged to 10), the inside of the body 10 by the water is smoothly washed.
  • the depression 35 has an open groove 35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 the recess 35 has the opening 35a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reservoir 30 does not reach the top of the recess 35 even through the opening 35a. Since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cess 35, the cleaning component of the cleaner 50 may be easily included in the water in the auxiliary reservoir 30.
  • the upper body 30 is divided into an inner space by a partition wall (not show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bottom (not shown) formed with an open hole (not show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ivided space. Equipped.
  • the bottom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ipe 36 leading to the bottom.
  • the water can be stored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ody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40 is installed as the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extension pipe 36.
  • the coupling of the upper body 30 "and the lower body 30 ' may be any conventional coupling method as long as it is to maintain the coupling state firmly, for example, the engagement of the projections and grooves Can be.
  •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40 is mounted in the auxiliary reservoir 30, and varies the water discharge into the body 10 according to the type of bowel movement.
  •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40 as described above discharges a portion of 1.5-2.0 L of the total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reservoir 30 during the urine treatment, and after the stool is treated inside the auxiliary reservoir 30. By discharging the total 3.0-4.0 liter of stored water,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water consumption of the post- bowel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oilet.
  •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40 the housing 41 of the circular tube shape; A pair of pressing plates 42 disposed on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41; A connecting rod 43 for elevating according to whether the pressing plate 42 is pressed; A drain blocking plate 44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43 and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from the outside by the rising of the connecting rod 43 to open the through hole 24 of the reservoir 20; And a buoy 45 for elevating in response to a change in water level in the housing 41.
  • the housing 41 is open to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it is possible to enter the water.
  • the pressing plate 42 is disposed under the button 21 provided in the water storage tank 20 to be pressed by the contact with the button 21.
  • the reservoir 20 is provided with the water inlet pipe 22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pipe inside the bar, the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20 as the tap water flows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22.
  • auxiliary reservoir 30 is mounted in the reservoir 20, the auxiliary reservoir 30 is provided with the inlet 31, as shown in Figure 5 through the inlet 31 As water in the reservoir 20 is introduced, a portion of the water in the reservoir 20 is stored in the auxiliary reservoir 30.
  •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40 is mounted, including a buoy 45 for elevating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41.
  • the pressing plate 42 is pressurized to raise the connection rod 43, and thus, by raising the connection rod 43.
  • the through hole 24 of the bottom of the reservoir 20 in which the combined drain blocking plate 44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from the state protruding outside the housing 41 and the opening is blocked by the drain blocking plate 44. 9 is opened as shown in FIG. 9, whereby water may be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reservoir 30 into the body 10, so that the body 10 is washed by water, and thus the body 10 is removed. Since the dirt contained therein is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ath 13 through the opening 12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together with water, the treatment after defecation can be made neatly.
  •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40 varies the water discharge into the body 10 according to the type of bowel movement.
  •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40 when any one of the pair of buttons 21 provided in the reservoir 20 is operated to press any one of the pressing plate 42, and the one When the other of the pair of buttons 21 is operated to press any other of the pressing plate 42, the water discharge rate is different.
  • the button 21 is operated to allow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1.5-2.0 L) to be discharged after urine, an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ter (3.0-4.0 L) is discharged after the feces. 21) can minimize water consumption during post-treatment treatment.
  • the trap part 13a of the discharge path 13 provided in the body 10 is filled with air, interference with air may be caused when air and water are discharged. If you discharge a small amount of water 1.5-2.0l compared to, or discharge 3.0-4.0l of water a small amount compared to the general toilet when processing after the stool, the discharge is not smooth due to the discharge interference by air, difficult to process after bowel movement May follow.
  • the auxiliary reservoir 30 is provided with the air flow pipe 34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13 of the body 10, the dirt and water along the discharge passage 13 When flowing, a part of the air inside the trap part 13a is accommodated in the air flow pipe 34 as shown in FIG. 6 so that a part of the discharge path 13 is empty and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This can be sucked into the discharge path, even if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reservoir 30 to the body 10 can be easily processed after bowel movement.
  • the air flow pipe 34 is provided with an inflatable member (34a) at the upper end, as shown in Figure 7 by the expansion of the expansion member (34a) air into the air flow tube 34 Since the inflow is increased, a stronger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discharge path 13, so that dirt and water can be smoothly discharged by the negative pressure.
  • the water-saving toilet (A) includes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40 for varying the discharge of water into the body 10 according to the type of bowel movement, when the urine is treated.
  •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40 for varying the discharge of water into the body 10 according to the type of bowel movement, when the urine is treated.
  • water consumption for post-stool treatment can be reduced, and the auxiliary reservoir 30 accommodates a part of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0,
  • the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40 the water stored in the sub reservoir 30 is discharged instead of the entir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0, so that the body 10 is washed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 the auxiliary reservoir 30 accommodates a part of air in the body 10 that flows when dirt and water are discharged from the body 10.As part of the air in the body 10 is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reservoir 30,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discharge passage 13, so that dirt and water are smoothly discharged by the negative pressure, so that treatment after bowel movement is performed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Can be made to reduce the water consumption for post- bowel treatment.
  • connection rod 44 drain blocking p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량의 물로도 배변 이후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를 착좌 상태로 지지하고, 배변시의 오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몸체 내부의 세척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장착되고, 상기 저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오물 및 물이 배출될 때 유동하는 상기 몸체 내의 공기 일부를 수용하는 보조저수조; 상기 보조저수조 내에 장착되고, 배변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하는 물배출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수형 양변기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변 종류에 따라 저수조로부터 몸체로의 물 배출량에 차등을 둠으로써 물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몸체 내의 오물 및 물이 배출로를 따라 배출될 때 배출로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동하여 배출로 내에 부압이 형성됨에 따라 오물 및 물의 배출이 원활해짐으로써 더욱 소량의 물로도 배변 이후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배변시 양변기 이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양변기는, 사용자를 착좌 상태로 지지하고, 배변시의 오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몸체 내부의 세척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착좌 상태로 배변에 임할 수 있어 배변 자세가 편할 뿐만 아니라 배변 이후 저수조의 물이 몸체 내부를 세척한 후 오물과 함께 몸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배변 이후 처리가 위생적이다.
그러나, 일반 양변기는 배변 이후 저수조에 저장된 대략 12-15ℓ의 물 전체가 몸체 내부로 배출되므로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가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일부 가정에서는 저수조 내에 블럭 등을 배치하여 저수용량을 줄임으로써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최소화하고 있으나, 이는 물 배출량이 다소 감소할 뿐 배변 종류와 무관하게 저수조에 저장된 물 전체가 배출되므로 여전히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가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최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95110호(공개일 : 2010. 03. 30.)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변 종류에 따라 저수조로부터의 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형 양변기가 제안된바 있다.
개선형 양변기는, 저수조의 외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버튼을 선택적으로 조작함에 따라 대변 이후 처리시 저수조에 저장된 대략 6-7ℓ의 물을 배출하고, 소변 이후 처리시 저수조에 저장된 대략 3-4ℓ의 물을 배출하므로 일반 양변기에 비해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양변기의 몸체 내하부에 구비되는 배출로에는 트랩부가 형성되어 트랩부에 항상 공기가 채워지는바, 배출로를 통한 오물 및 물 배출시 트랩부의 공기로 인한 배출 간섭이 상당하여 오물 및 물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였으므로 개선형 양변기라 하더라도 몸체로의 물 배출량을 일정 수준 이하, 즉 소변 이후 처리시 3-4ℓ, 대변 이후 처리시 6-7ℓ 이하로 할 경우 배출로를 통한 오물 및 물 배출에 곤란함을 겪게 되어 물 소비를 더 이상 절감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배변 종류에 따라 저수조로부터 몸체로의 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트랩부에 채워진 공기로 인한 배출 간섭을 최소화하여 보다 소량으로 물로도 몸체 내부의 오물 및 물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절수형 양변기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양변기에서 배변 이후 저수조에 저장된 물 전체가 몸체로 배출됨에 따라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가 상당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양변기에서 배출로를 통한 오물 및 물 배출시 배출로의 트랩부에 채워진 공기로 인한 배출 간섭에 의해 몸체로의 물 배출량을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밖에 없어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더 이상 절감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는, 사용자를 착좌 상태로 지지하고, 배변시의 오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몸체 내부의 세척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장착되고, 상기 저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오물 및 물이 배출될 때 유동하는 상기 몸체 내의 공기 일부를 수용하는 보조저수조; 상기 보조저수조 내에 장착되고, 배변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하는 물배출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상단에 착좌면을 제공하는 착좌시트를 구비하고, 내측 하부에 물 배출을 위한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구로부터 오수관으로 이어지는 배출로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로는 상측 및 하측 트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조는, 외면에 배변 이후 내부의 물 배출을 개시하는 한 쌍의 버튼을 구비하고, 내부에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되는 입수관을 구비하며, 바닥부에 상기 몸체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통공을 구비한다.
상기 입수관은 상기 저수조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를 구비하는 작동간의 작동에 따라 개폐된다.
상기 보조저수조는,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되, 저면에 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위한 입수구 및 상기 저수조의 통공과 마주하는 출수구를 구비하고, 상면에 상기 몸체의 배출로와 연통하는 공기유동관을 구비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와 결합하되, 상면 일측에 함몰부를 구비하는 상부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입수구는 상기 하부몸체에서 상기 저수조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단차부에 배치된다.
상기 출수구는 하단에 상기 저수조 바닥에의 상기 하부몸체 고정을 위한 지지편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편은 스크류에 나선 물림하여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한다.
상기 공기유동관은 상단에 팽창 가능한 팽창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팽창부재는 연질 소재의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공기유동관 내부 압력이 허용 압력을 넘어설 때 자동 개방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는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되며, 분할된 일측의 공간 하부에 개방구가 형성된 바닥을 구비한다.
상기 바닥은 하부로 이어지는 연장관을 구비한다.
상기 함몰부는 일측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개방홈을 구비한다.
상기 함몰부는 내부에 세정제가 안착된다.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는, 원형 관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누름판; 상기 누름판의 가압 여부에 따라 승강하는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로드 상승에 의해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의 통공을 개방시키는 배수차단판;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판은 상기 저수조에 구비된 버튼과 접촉함에 따라 가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는, 배변 종류에 따라 몸체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하는 물배출 조절장치를 포함하는바, 소변 이후 처리시 대변 이후 처리시에 비해 소량의 물 배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는, 보조저수조가 저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는바, 물배출 조절장치에 의해 물 배출이 이루어질 때 저수조 내에 저장된 물 전체가 아닌 보조저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므로 비교적 소량의 물로 몸체 세척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는, 보조저수조가 몸체 내부로부터 오물 및 물이 배출될 때 유동하는 몸체 내의 공기 일부를 수용하는바, 몸체 내의 공기 일부가 보조저수조에 수용됨에 의해 배출로에 부압이 형성되어 부압에 의해 오물 및 물 배출이 원활해지므로 비교적 소량의 물로도 배변 이후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보조저수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보조저수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보조저수조를 통한 물 수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보조저수조를 통한 공기 수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보조저수조의 팽창부재 팽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보조저수조에의 세정제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물배출 조절장치를 통한 물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A)는, 몸체(10)와, 저수조(20)와, 보조저수조(30)와, 물배출 조절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사용자를 착좌 상태로 지지하고, 배변시의 오물을 수용한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10)는 상단에 착좌면을 제공하는 착좌시트(11)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0)가 상기 착좌시트(1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착좌시트(11)에 의해 사용자의 착좌 상태가 안정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내측 하부에 오물 및 물 배출을 위한 개방구(12)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0)가 상기 개방구(1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개방구(12)에 의해 상기 몸체(10) 내부 오물 및 물의 배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상기 개방구(12)로부터 오수관(도면상 미도시)으로 이어지는 배출로(13)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0)가 상기 배출로(1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출로(13)에 의해 상기 몸체(10)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오물 및 물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배출로(13)는 상측 및 하측 트랩부(13a)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로(13)가 상기 트랩부(13a)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트랩부(13a)에 의해 상기 배출로(13)로부터 상기 몸체(10) 내부로의 악취 전달이 2중으로 차단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세부 구조는 일반 양변기의 몸체 구조를 따르는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저수조(20)는, 상기 몸체(10)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몸체(10) 내부의 세척을 위한 물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저수조(20)는 외면에 배변 이후 내부의 물 배출을 개시하는 한 쌍의 버튼(21)을 구비한다.
상기 저수조(20)가 상기 버튼(2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버튼(21) 중의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소변 이후 상기 몸체(10) 측으로의 물 배출 개시가 가능하고, 상기 버튼 중의 다른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대변 이후 상기 몸체(10) 측으로의 물 배출 개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20)는 내부에 외부의 수도관(도면상 미도시)과 연결되는 입수관(22)을 구비한다.
상기 저수조(20)가 상기 입수관(22)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입수관(22)을 통해 수돗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저수조(20) 내에 물 저장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입수관(22)은 상기 저수조(20)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23a)를 구비하는 작동간(23)의 작동에 개폐된다.
상기 입수관(22)이 상기 작동간(23)의 작동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상기 저수조(20) 내부의 물이 저수위일 때 자동으로 물 보충이 진행되고, 상기 저수조(20) 내부의 물이 만수위일 때 자동으로 물 보충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20)는 바닥부에 상기 몸체(10)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통공(24)을 구비한다.
상기 저수조(20)가 상기 통공(24)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통공(24)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저수조(20) 내부의 물이 상기 몸체(10) 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저수조(20)의 세부 구조는 일반 양변기의 저수조 구조를 따르는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보조저수조(30)는, 상기 저수조(20) 내에 장착되고, 상기 저수조(20) 내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몸체(10) 내부로부터 오물 및 물이 배출될 때 유동하는 상기 몸체(10) 내의 공기 일부를 수용한다.
이때, 상기 몸체(10) 내의 공기 일부는 상기 트랩부(13a)에 채워지는 공기의 일부이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저수조(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20)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몸체(30') 및 상기 하부몸체(30')와 결합하는 상부몸체(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30')는 저면에 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위한 입수구(31)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몸체(30')가 상기 입수구(3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입수구(31)를 통해 상기 저수조(20) 내의 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에 상기 저수조(20)의 물 일부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입수구(31)는 상기 하부몸체(30')에서 상기 저수조(2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단차부(32)에 배치된다.
상기 입수구(31)가 상기 단차부(32)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입수구(31) 하단이 개방되므로 상기 입수구(31)를 통해 상기 저수조(20) 물 일부의 유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30')는 저면에 상기 저수조(20)의 상기 통공(24)과 마주하는 출수구(33)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몸체(30')가 상기 출수구(3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출수구(33)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의 물이 상기 통공(24)을 거쳐 상기 몸체(10) 내부 측으로 유동 가능하다.
이때, 상기 출수구(33)는 지지편(33a)을 구비한다.
상기 출수구(33)가 상기 지지편(33a)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편(33a)을 상기 통공(24)에 걸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하부몸체(30')가 상기 저수조(2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33a)은 스크류(33b)에 나선 물림한다.
상기 지지편(33a)이 상기 스크류(33b)에 나선 물림함으로써 상기 스크류(33b)상의 상기 지지편(33a)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편(33a)이 승강하므로 상기 통공(24)에 걸쳐진 상기 지지편(33a)을 최대로 상승시킴에 의해 상기 지지편(33a)이 상기 통공(24)에 견고히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30')는 상면에 상기 몸체(10)의 상기 배출로(13)와 연통하는 공기유동관(34)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몸체(30')가 상기 공기유동관(34)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공기유동관(34) 내부로 상기 트랩부(13a)의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상기 배출로(13)에 부압이 형성되므로 상기 몸체(10) 내의 오물 및 물이 부압에 의해 상기 배출로(13)로 빨려들어갈 수 있어 상기 배출로(13)를 통한 물 배출이 원활하다.
이때, 상기 공기유동관(34)의 하단과 상기 배출로(13)의 사이는 별도의 연결관(도면부호 미표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동관(34)은 상단에 팽창 가능한 팽창부재(34a)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유동관(34)이 상기 팽창부재(34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팽창부재(34a)의 팽창에 의해 상기 공기유동관(34)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이 증가된다.
여기서, 상기 팽창부재(34a)는 상기 공기유동관(34) 내부 압력이 허용 압력을 넘어설 때 자동 개방되는 밸브(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재(34a)가 상기 밸브(34b)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공기유동관(34)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함으로 인한 상기 공기유동관(34) 및 상기 팽창부재(34a)의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팽창부재(34a)는 상기 공기유입관(34) 내부로의 공기 유입에 따라 팽창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연질 소재의 박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34b)는 상기 공기유동관(34) 내부 압력이 허용 압력을 넘어설 때 자동 개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몸체(30")는 상면 일측에 함몰부(35)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몸체(30")가 상기 함몰부(35)를 구비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35)에 세정제(50)를 안착시킴에 따라 상기 보조저수조(30)로부터 상기 몸체(10)로 배출되는 물에 상기 세정제(50)에 의한 세정 성분이 포함되므로 물에 의한 상기 몸체(10) 내부의 세척이 원활하다.
이때, 상기 함몰부(35)는 일측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개방홈(35a)을 구비한다.
상기 함몰부(35)가 상기 개방홈(35a)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가 상기 함몰부(35) 상단에 이르지 못하는 비교적 저수위 상황에서도 상기 개방홈(35a)을 통해 상기 함몰부(35) 내측으로 물 유입이 가능하므로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의 물에 상기 세정제(50)의 세정 성분 포함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30")는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격벽(도면부포 미표시)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되며, 분할된 일측의 공간 하부에 개방홀(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된 바닥(도면부호 미표시)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몸체(30")가 분할된 내부 공간 일측에 상기 개방홀이 형성된 상기 바닥을 구비함로써 상기 바닥에 의해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의 설치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바닥은 하부로 이어지는 연장관(36)을 구비한다.
상기 바닥이 상기 연장관(36)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장관(36)을 통해 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가 설치되는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 공간을 통해서도 물 저장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30")와 상기 하부몸체(30')의 결합은 그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결합방법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돌기 및 홈의 맞물림이 될 수 있다.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는,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에 장착되고, 배변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10)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한다.
이와 같은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는 소변 이후 처리시 상기 보조저수조(30) 내부에 저장된 전체 물 중 1.5-2.0ℓ의 일부 물을 배출하고, 대변 이후 처리시 상기 보조저수조(30) 내부에 저장된 3.0-4.0ℓ의 전체 물을 배출함으로써 종래의 양변기에 비해 배변 이후 처리에 따른 물 소비를 현격히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는, 원형 관 형태의 하우징(41); 상기 하우징(41) 내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누름판(42); 상기 누름판(42)의 가압 여부에 따라 승강하는 연결로드(43); 상기 연결로드(43)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로드(43) 상승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20)의 통공(24)을 개방시키는 배수차단판(44); 상기 하우징(41)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41)은 외면의 일부가 개방됨으로써 그 내부로 물 유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42)은 상기 저수조(20)에 구비되는 상기 버튼(21) 직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버튼(21)과의 접촉에 의해 가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를 통한 물 소비 절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저수조(20)는 내부에 외부의 상기 수도관과 연결되는 상기 입수관(22)을 구비하는바, 상기 입수관(22)을 통해 수돗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저수조(20) 내에 물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20) 내에는 상기 보조저수조(30)가 장착되고, 상기 보조저수조(30)는 상기 입수구(31)를 구비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구(31)를 통해 상기 저수조(20) 내부 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에 상기 저수조(20) 내의 물 일부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에는, 원형 관 형태의 하우징(41); 상기 하우징(41) 내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누름판(42); 상기 누름판(42)의 가압 여부에 따라 승강하는 연결로드(43); 상기 연결로드(43)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로드(43) 상승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20)의 통공(24)을 개방시키는 배수차단판(44); 상기 하우징(41)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45);를 포함하는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가 장착된다.
따라서, 배변 이후 상기 저수조(20) 외면에 마련되는 상기 버튼(21)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누름판(42)이 가압되어 상기 연결로드(43)가 상승하며, 상기 연결로드(43) 상승에 의해 이와 결합된 상기 배수차단판(44)이 상기 하우징(41)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배수차단판(44)에 의해 개방이 차단되어 있던 상기 저수조(20) 바닥의 상기 통공(24)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보조저수조(30)로부터 상기 몸체(10) 내부로 물이 배출될 수 있어 물에 의해 상기 몸체(10) 내부가 세척되면서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오물이 물과 함께 상기 몸체(10) 내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개방구(12)를 거쳐 상기 배출로(13)를 따라 배출되므로 배변 이후 처리가 말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는 배변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10)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한다.
즉,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는, 상기 저수조(20)에 구비되는 상기 한 쌍의 버튼(21)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어 상기 누름판(42)의 어느 하나를 가압할 때와, 상기 한 쌍의 버튼(21) 중 다른 어느 하나가 조작되어 상기 누름판(42)의 다른 어느 하나를 가압할 때의 물 배출량이 상이하다.
따라서, 소변 이후 상대적으로 소량의 물(1.5-2.0ℓ)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버튼(21)을 조작하고, 대변 이후 상대적으로 다량의 물(3.0-4.0ℓ)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버튼(21)을 조작함으로써 배면 이후 처리시의 물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몸체(10)에 구비되는 상기 배출로(13)의 상기 트랩부(13a)에는 공기가 채워지므로 오물 및 물 배출시 공기에 의한 배출 간섭이 따를 수 있는바, 소변 이후 처리시 일반 양변기에 비해 소량인 1.5-2.0ℓ의 물을 배출하거나, 대변 이후 처리시 일반 양변기에 비해 소량인 3.0-4.0ℓ물을 배출하게 되면 공기에 의한 배출 간섭에 의해 배출이 원활치 못하게 되어 배변 이후 처리에 곤란함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저수조(30)는 상기 몸체(10)의 상기 배출로(13)와 연통하는 상기 공기유동관(34)을 구비하는바, 상기 배출로(13)를 따라 오물 및 물이 유동할 때 상기 트랩부(13a) 내부 공기 일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관(34)에 수용되어 상기 배출로(13)의 일부가 비며 부압이 형성되므로 부압에 의해 상기 오물 및 물이 상기 배출로로 빨려들어갈 수 있어 상기 보조저수조(30)로부터 상기 몸체(10)로 비교적 소량의 물이 배출되더라도 배변 이후 처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유동관(34)은 상단에 팽창 가능한 팽창부재(34a)를 구비하는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부재(34a)의 팽창에 의해 상기 공기유동관(34)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배출로(13) 내에 더욱 강한 부압이 형성되므로 상기 부압에 의해 오물 및 물 배출이 원활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A)는, 배변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10)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하는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를 포함하는바, 소변 이후 처리시 대변 이후 처리시에 비해 소량의 물 배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상기 보조저수조(30)가 상기 저수조(20) 내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는바,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에 의해 물 배출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저수조(20) 내에 저장된 물 전체가 아닌 상기 보조저수조(3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므로 비교적 소량의 물로 상기 몸체(10) 세척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저수조(30)가 상기 몸체(10) 내부로부터 오물 및 물이 배출될 때 유동하는 상기 몸체(10) 내의 공기 일부를 수용하는바, 상기 몸체(10) 내의 공기 일부가 상기 보조저수조(30)에 수용됨에 의해 상기 배출로(13)에 부압이 형성되어 부압에 의해 오물 및 물 배출이 원활해지므로 비교적 소량의 물로도 배변 이후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착좌시트
12 : 개방구 13 : 배출로
13a : 트랩부 20 : 저수조
21 : 버튼 22 : 입수관
23 : 작동간 23a : 부구
24 : 통공 30 : 보조저수조
30' : 하부몸체 30" : 상부몸체
31 : 입수구 32 : 단차부
33 : 출수구 33a :지지편
33b : 스크류 34 : 공기유동관
34a : 팽창부재 34b : 밸브
35 : 함몰부 35a : 개방홈
36 : 연장관 40 : 물배출 조절장치
41 : 하우징 42 : 누름판
43 : 연결로드 44 : 배수차단판
45 : 부구 50 : 세정제
A : 절수형 양변기

Claims (18)

  1. 사용자를 착좌 상태로 지지하고, 배변시의 오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몸체 내부의 세척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장착되고, 상기 저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오물 및 물이 배출될 때 유동하는 상기 몸체 내의 공기 일부를 수용하는 보조저수조;
    상기 보조저수조 내에 장착되고, 배변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하는 물배출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절수형 양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단에 착좌면을 제공하는 착좌시트를 구비하고, 내측 하부에 물 배출을 위한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구로부터 오수관으로 이어지는 배출로를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는 상측 및 하측 트랩부를 포함하는 절수형 양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외면에 배변 이후 내부의 물 배출을 개시하는 한 쌍의 버튼을 구비하고, 내부에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되는 입수관을 구비하며, 바닥부에 상기 몸체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통공을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은 상기 저수조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를 구비하는 작동간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절수형 양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수조는,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되, 저면에 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위한 입수구 및 상기 저수조의 통공과 마주하는 출수구를 구비하고, 상면에 상기 몸체의 배출로와 연통하는 공기유동관을 구비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와 결합하되, 상면 일측에 함몰부를 구비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는 절수형 양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는 상기 하부몸체에서 상기 저수조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단차부에 배치되는 절수형 양변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는 하단에 상기 저수조 바닥에의 상기 하부몸체 고정을 위한 지지편을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스크류에 나선 물림하여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절수형 양변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관은 상단에 팽창 가능한 팽창부재를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는 연질 소재의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절수형 양변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공기유동관 내부 압력이 허용 압력을 넘어설 때 자동 개방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절수형 양변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되며, 분할된 일측의 공간 하부에 개방홀이 형성된 바닥을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하부로 이어지는 연장관을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일측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개방홈을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내부에 세정제가 안착되는 절수형 양변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는, 원형 관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누름판; 상기 누름판의 가압 여부에 따라 승강하는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로드 상승에 의해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의 통공을 개방시키는 배수차단판;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를 포함하는 절수형 양변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저수조에 구비된 버튼과 접촉함에 따라 가압되는 절수형 양변기.
PCT/KR2016/005738 2015-08-20 2016-05-31 절수형 양변기 WO201703027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44878.2A CN107923166A (zh) 2015-08-20 2016-05-31 节水型坐便器
EP16837216.7A EP3321433A4 (en) 2015-08-20 2016-05-31 TOILET BOWL SAVES WATER
JP2018501370A JP2018529035A (ja) 2015-08-20 2016-05-31 節水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150 2015-08-20
KR1020150117150A KR101582074B1 (ko) 2015-08-20 2015-08-20 절수형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0274A1 true WO2017030274A1 (ko) 2017-02-23

Family

ID=5512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738 WO2017030274A1 (ko) 2015-08-20 2016-05-31 절수형 양변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321433A4 (ko)
JP (1) JP2018529035A (ko)
KR (1) KR101582074B1 (ko)
CN (1) CN107923166A (ko)
WO (1) WO2017030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463B1 (ko) 2020-01-20 2020-09-09 정현호 초절수형 양변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069A (ko) * 2001-09-06 2001-10-18 조우정 절수식 변기용 세정제 수용장치 및 그 절수방법
JP3511387B2 (ja) * 1992-03-24 2004-03-29 カロマ・インダストリイズ・リミテッド シスターン装置
JP2010013801A (ja) * 2008-07-01 2010-01-21 Inax Corp 水洗式便器
KR20100097089A (ko) * 2007-12-11 2010-09-02 피&씨 헤네시 홀딩스, 아이엔씨. 압축 트랩을 갖는 절수형 양변기
KR101460508B1 (ko) * 2013-10-11 2014-11-13 (주)그린엘리트 절수형 양변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87B1 (ko) * 1970-06-29 1976-01-16
JPH0421903Y2 (ko) * 1989-12-19 1992-05-19
JPH06248682A (ja) * 1993-03-01 1994-09-06 Matsushima Yakuhin:Kk 水洗トイレタンク内部に収納する、固形芳香洗浄剤の、溶解装置並びに、溶解液農度の調整方法
JP3216845B2 (ja) * 1993-08-03 2001-10-09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式便器
US5539938A (en) * 1993-12-08 1996-07-30 Tubbs; Elton H. Water closet
JP4306146B2 (ja) * 2001-05-22 2009-07-29 Toto株式会社 ロータンク排水弁
US7159251B2 (en) * 2004-07-22 2007-01-09 Philip Hennessy Water saver flush system
US8141179B2 (en) * 2010-06-01 2012-03-27 P & C Hennessy Holdings, Inc. Water saver toilet with uniform water spot
CA2826077A1 (en) * 2011-02-10 2012-08-16 Lixil Corporation Toilet flushing device and flush toil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1387B2 (ja) * 1992-03-24 2004-03-29 カロマ・インダストリイズ・リミテッド シスターン装置
KR20010090069A (ko) * 2001-09-06 2001-10-18 조우정 절수식 변기용 세정제 수용장치 및 그 절수방법
KR20100097089A (ko) * 2007-12-11 2010-09-02 피&씨 헤네시 홀딩스, 아이엔씨. 압축 트랩을 갖는 절수형 양변기
JP2010013801A (ja) * 2008-07-01 2010-01-21 Inax Corp 水洗式便器
KR101460508B1 (ko) * 2013-10-11 2014-11-13 (주)그린엘리트 절수형 양변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321433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23166A (zh) 2018-04-17
JP2018529035A (ja) 2018-10-04
EP3321433A4 (en) 2019-05-01
EP3321433A1 (en) 2018-05-16
KR101582074B1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47447A1 (ko) 절수형 양변기
WO2012161465A1 (ko) 인체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대소변을 구분하여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WO2017171128A1 (ko)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WO2014129734A1 (ko) 위생 변기
WO2010085056A2 (ko) 절수형 양변기
WO2020213801A1 (ko) 비전기식 절수형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WO2013137651A1 (ko)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200202253Y1 (ko) 절수용 변기
WO2017030274A1 (ko) 절수형 양변기
WO2010090372A1 (ko)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WO2010114219A2 (ko) 양변기 필밸브의 림측급수관 물량조절밸브
WO2009116834A2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WO2021141366A1 (ko) 물탱크용 및 직수형 후레쉬밸브용 양변기 겸용 자동물내림 기능을 갖는 전자식 비데의 자동물내림장치
WO2011136442A1 (ko)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WO2021149952A1 (ko) 초절수형 양변기
WO2009116823A2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WO2009116826A2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 구비된 변좌시트
WO2013100428A1 (ko)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WO2010033003A2 (ko) 세면대 일체형 절수, 탈취 및 소음저감 양변기
WO2011065667A2 (ko) 악취배출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WO2021153921A1 (ko) 물탱크용 및 직수형 후레쉬밸브용 양변기 겸용 정전시 계속 물내림 해지장치
WO2022055211A1 (ko)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WO2009142419A2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WO2020222502A1 (ko)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WO2010013955A2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372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0137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37216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