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36442A1 -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36442A1
WO2011136442A1 PCT/KR2010/006095 KR2010006095W WO2011136442A1 WO 2011136442 A1 WO2011136442 A1 WO 2011136442A1 KR 2010006095 W KR2010006095 W KR 2010006095W WO 2011136442 A1 WO2011136442 A1 WO 20111364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outlet
switching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60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우승
이홍석
서동현
Original Assignee
이수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인(주) filed Critical 이수인(주)
Publication of WO20111364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364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conversion ball tap for toilet bow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conversion ball tap for toilet bowl that can be switched in the direction of storage of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water tank or transf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
  • the toilet is composed of a water tank to receive and store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ball tap and a toilet main bod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and the wash water is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toilet main body when the water cover is opened by the hand lever installed in the water tank. It is.
  • the present applicant has a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83510 "toilet toilet having a rim water supply device using a spray pump”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0555834 "an injection pump that can supply a fixed amount of cleaning water and a rim wat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Toilet” has disclosed a toilet including an injection pump for supplying the mixed water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sh water in the water tank through the injection pump between the ball tap of the water tank integral toilet and the rim channel. .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ilet having a rim side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a spray pu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 Figure 2 illustrates the components developed for ease of understanding.
  • the water tank 10 is provided with a ball tap 17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7.
  • the ball tab 17 is connected to the buckle 33, it is a simple ball tap to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 the water cover 13 connected to the hand lever 12 rotates upward to open the side channel 29 of the water tank 10.
  •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side waterway 29 is discharged to the jet nozzle 27 to wash the toilet and at the same time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25 of the rim through the ball tap 17, the toilet body 19
  • the stool remaining in the washing space of the will be washed.
  • An injection pump 50 is interposed between the rim side connection pipe 20 and the rim channel 23 of the ball tab 17, and the injection pump 50 includes an injection nozzle 51, a throat 55, and an enlargement. It consists of the pipe 57 and the rim connection 59, and the inlet port 53 is formed between the injection nozzle 51 and the throat 55.
  • a ball guide tube 63 extends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between the injection nozzle 51 and the throat 55, and a ball 69 is inserted into the ball guide tube 63.
  • the water supply is provided in the rim-side connecting pipe 20 connected to the ball tab 17 in the ball tap 17, wherein the injection pump 50 is operated to the rim channel 23 in the ball tap (The mixed rinsing water, which combines the water supply from 17) and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is supplied to effectively clean the rim.
  • the water cover 13 When all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is discharged, the water cover 13 is rotated downward by the magnetic force to block the side waterway 29 of the water tank.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is continuously provided in the ball tap 17, the ball 69 is sucked into the throat 55 inlet of the injection pump due to the suction pressur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injection pump, the sprayed water is supplied to the ball 69 While impinging on the water flows into the tank (10) is stored as washing water. At this time, the ball 69 continues to be confined to the throat 55 inlet by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is sprayed until the wash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tank 10 at a predetermined level.
  • a ball 69 is disposed between the nozzle 51 and the throat 55 of the injection pump by switching the water supply provided from the ball tap 17 to the rim side and the water tank side.
  • the water is sprayed to prevent the water to be sprayed, and the water is sent to the water tank 10.
  • the water to be sprayed from the nozzle 51 is rimmed through the throat 55. Watered to the side.
  • This water conversion method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operation accuracy and durability by the simplicity of the mechanical structure.
  • this configuration is to be applied from the nozzle 51 when the flow path discharged through the throat 55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nozzle 51 at the end, or to be applied to the toilet of a structure requiring a high discharge pressure. Since the water supply is stagnant and leaks to the outside while forming pressure in the throat 55, the injection pump function does not occur at all, and thus the ball 69 is not sucked.
  • FIG 3 is a view showing a toilet in which an external discharge port is directly injected into the jet water supply using a ball tap.
  • the ball tap 300 installed in the water tank 500 is a feed water conversion ball tap having an external discharge port and a water tank side discharge port, and an outlet is injected to the jet nozzle 1381 through the external discharge port 138.
  • the outlet of the water cover 600 opened and closed by the hand lever 700 is used as the water supply 5 of the rim wash water.
  • the jet nozzle 1381 has a strong discharge pressure, and thus the toilet can be more efficiently washed with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 FIG. 4 is a view showing a ball tap having a channel switching portion of another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is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90330, "Washing water control device for toilet bowl.”
  • the water supply switching unit 7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edge 72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ater supply pipe 81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82, switching integrally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edge 72
  • the lever 73 is comprised.
  • the changeover lever 73 is connected to the floats 75 and the string 74.
  • the water supply switching unit 70 has a water supply pressur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iece 72 blocks the water tank side water pipe and opens the external water pipe to the water supply to the outside. If this is high, the closing force of the opening / closing edge 72 also increases in proportion to it. Therefore, the operating load of the switching lever 73 should be large. However, in the manner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lever 73 depends on the mouth 72 and the string 74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toilet water tank,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operating load. have. In other words, a phenomenon in which the switching operation is not smooth occurs when a strong discharge pressure is required toward the external discharge port side.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supply switching unit to be applied to the toilet of the structure of the distal end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water tank external water supply us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injection pump nozzle, or requires a high discharge pressure on the discharge port sid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conversion ball tap for a toilet that can switch the water supply to the external discharge port and the water tank side discharge port by using the conversion bal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ll tap for opening and closing a water supply, a switch valve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ball tab and switching the water supply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or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and a direc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valve.
  • a water supply switching ball tap for a toilet bowl composed of a switching control device, wherein the switching valve comprises: a nozzle portion having a nozzle having an inlet connected to the simple ball tap for supplying water and an outlet having a diameter?
  • a switching ball working space connected to the nozzle and having a water tank-side discharge port opened upwardly and a throat having a diameter ⁇ th open to the side, and a switching ball located inside the switching ball working space, A switch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tank side discharge port or the throat while the switching ball moves up and down; And an external outlet having a 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throat, an outer discharge opening having a diameter ⁇ out1 connected to the flow passage, an inner discharge opening formed to have a diameter ⁇ out3 at the center of the flow passage, and a diamond positioned on the inner discharge opening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discharge opening.
  • the upper cap which is located on the diaphragm, forms a pressure chamber therebetween, and has an upper pressure cap outlet formed thereon, an inlet port connecting the pressure chamber and the flow path, and a switching valve opening / closing lever to open and close the pressure chamber outlet. It comprises a discharge valve portion configured.
  •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side discharge port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ort cover branched to the tank discharge port and the replenishment water connecting port.
  • the diameter? 2 of the end of the outer discharge por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N of the nozzle. That is, it means that the injection fluid velocity at the end of the outer discharge port is faster than the injection fluid velocity of the nozzle.
  • the diameter ⁇ out3 of the internal discharge por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 n of the nozzle. That is, it means that the injection fluid velocity of the internal discharge port is slower than the injection fluid velocity of the nozz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ll tap for opening and closing a water supply, a switching valve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ball tap and switching the water supply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or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valve.
  • a water supply switching ball tap for a toilet bowl composed of a direction change control device, wherein the direction change control device is installed while surrounding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of the ball tab, the upper water channel formed with a drain hole;
  • a water tank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upper channel, and a lower portion of which is provided with an outlet and an outlet plu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 a coupling link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cket and connected to an opening / closing lever of the switching valve whil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ucket;
  • an auxiliary buckle coupled to the connection link.
  • the upper channel has a circular groove formed in the circumference, the outlet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outlet, the outlet jaw, and the excess drain is formed, the drain is formed between the outlet jaw and the excess drain It is characterized by.
  • it may further include a channel pin having a drain pin to be fitted to the drain port and the outlet pin to be fitted to the outlet.
  • the side of the bucket further includes a weight that can be moved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rotation time of the bucket.
  • a resistance plate exte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discharge port of the switching valve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link.
  • the water supply conversion ball tap for toilet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both toilet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distal end of the discharge port side is smaller than the nozzle or requires a high discharge pressure on the discharge port side, and the external discharge port and the water tank side through the switching ball. Since the water supply can be switched to the discharge port, there is no malfunction and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durable water supply switching function.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ilet having a rim-side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a spray pu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3 is a view showing a toilet in which an external discharge port is directly injected into the jet water supply using a ball tap.
  • FIG. 4 is a view showing a ball tap having a channel switching portion of another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5 is a graph of a preferred water supply timing of the toilet of FIG. 3.
  • FIG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water supply conversion ball tap for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ut perspective view of a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selector val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2 to 1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rection chang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upper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FIG. 17.
  • 19 to 22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irection switch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3 to 25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irection change control apparatus when the setting of the auxiliary fl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 than the remaining number.
  • Feed water conversion ball tap is a simple ball tap 3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the switching valve 100 for switching the water supply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ter tank by receiving the water supply from the simple ball tab 300, the switching valve ( The direction control device 2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100, and the cover 400 is composed of.
  • the ball tap 300 is a simple ball tap for opening and closing a normal water supply. Looking at the structure, the ball tap 30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above the water supply pipe, and operates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to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mouth. Can be.
  • the ball tap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the "applicable ball tap for toilet bowl" of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41703 and 443660.
  • the upper channel cover 400 may be installed to prevent intrus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upper channel of the direction control unit 200 and the ball tab 300.
  • the switching valve serves to convert the supplied water supply into the water tank or the water supply unit outside the water tank.
  • the switching valve is connected to the nozzle unit 110, the switching unit 120, and the discharge valve unit 130 to form a switching valve 100.
  • the nozzle unit 110 has a ball tab connector 111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nozzle 112 having a diameter ⁇ n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reof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 Switching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nozzle 112, the switching ball operating space 125 is formed with a water tank side discharge port 122 opened to the upper side and a throat 127 having a diameter ( ⁇ th) open to the side And a switching ball 121 having a buoyancy force located inside the switching ball operating space 125, wherein the switching ball 121 moves up and down by buoyancy and suction force, or the water tank side outlet 122.
  • the throat 127 is opened and closed.
  •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side discharge port 122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cover 123, and the discharge hole cover 123 is branched into a tank discharge port 1231 and a refill water connector 1232.
  • the discharge valve unit 130 has a flow path 131 connected to the throat 127 of the switching unit, an inner discharge port 132 formed to have a diameter ⁇ out3 at the center of the flow path 131, and on the internal discharge port 132.
  • the cap 136 is sequentially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discharge port 132.
  • the diaphragm 133 and the fixed plate 134 have inlets 1331 and 1341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pressure chamber 140 and the flow path 131 of the discharge valve unit are connected, and the inlets 1331 and 1341.
  • the pin 1351 of the inlet pin 135 is fitted therein.
  • the upper cap 136 is formed with a pressure chamber outlet 1361 connected to the pressure chamber 14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air of fixing pieces 1362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protrude.
  • the pressure chamber outlet 1361 is opened and closed by a switching valve opening and closing lever 137 hinged to the fixing piece 1362 of the upper cap, and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packing 1371 is provided in the switching valve opening and closing lever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chamber outlet 1361. Is formed.
  • an outer discharge port 138 having a diameter ⁇ out1 connected to the flow path 131 is formed at on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valve unit 130, and an end 1361 of the external discharge hole has a diameter ⁇ out2.
  • FIGS 12 to 1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se of understanding, each component is shown and developed.
  • water supplied from the ball tab 300 is supplied to the external discharge port end 1361 via the switching valve 100.
  •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500 is lower than the normal level, and immediately after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toilet is started, the ball tap is opened to supply water.
  • the switching valve opening / closing lever 137 is in a raised state in which the packing 1371 blocks the pressure chamber outlet 1361.
  • the inside of the pressure chamber 140 is the same as the pressure inside the flow path 131, and the diaphragm 133 maintains the closed state.
  • Water is supplied from the ball tap 300, sprayed from the nozzle 112, and supplied to the external discharge port 138 through the flow path 131 of the throat 127 and the discharge valve part 130, and the external discharge port end 1361. Sprayed from
  • the diameter ⁇ out2 of the outer discharge port end 1361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 n of the nozzle 112, so that the pressure in the flow path is higher than the theoretical discharge pressure of the injection pump determined by the throat cross-sectional area and the nozzle cross-sectional area ratio. Since the action of the pump does not occur, the suction pressure is not generated in the throat 127. Rather, the pressure formed in the switching ball operating space 125, which is the switching part 120 between the throat and the nozzle, is much higher than the head pressure of the remaining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so that the switching ball 121 is pressed into the water tank side outlet 122. Will be pushed back.
  • the pressure chamber ( The pressure of 140 is lowered to about the head of the water tank washing water so that the diaphragm 133 is rais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flow path 131 of the discharge valve 130 to open the internal discharge port 132.
  • the diameter ⁇ out3 of the internal discharge port 132 is much larger than the diameter ⁇ n of the nozzle 112, so that the discharge pressure is very low.
  • the discharge pressure is lower than the theoretical discharge pressure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nozzle 112 and the throat 127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injection pump.
  •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and the water tank storage water is sucked through the tank discharge port 1231 to enter the switch ball operating space 125 through the water tank side discharge port 122, the switching ball 121 ),
  • the suction force on the throat 131 side is greater than the buoyancy and starts to be sucked to the throat side.
  • the inner discharge port 132 and the external discharge port 138 are combined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ball tab and the storage water of the water tank 500. Mixed water is discharged.
  • the switching ball 121 i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to block the throat 127. From this tim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through the tank discharge port 1231 via the water tank side discharge port 122.
  • the switching ball 121 is continuously blocking the throat 127 by the dynamic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nozzle 112 and the positive pressure of the switching ball operating space 125.
  • the pressure is lowered to be equal to the head pressure of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 the pram 133 is gradually lowered by the self restoring force to block the internal discharge port 132 and to be home.
  •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rection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upper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 FIG. 1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17.
  • the direction change control device 200 rotates on an upper channel 210 installed arou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305 of the ball tab 300 and a lower side of the upper channel 210.
  • Bucket 2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 the connection link 230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valve opening and closing lever 137 of the switching valve 100 while moving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bucke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cket 220
  • the The auxiliary link 24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link 230 to move up and down.
  • the upper channel 210 draws water from the pressure chamber outlet 3051 of the on / off valve 305 of the ball tab 300 to draw water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to control the directional valve 100. It is channel to utilize in.
  •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all tap 300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305 and the description of the water flowing out during the opening of the water supply at the outlet 3051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ball tap of the general diaphragm structure, and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41703 of the applicant. No. and 443660, "Ball tap for toilet bowl,” and the lik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upper channel 210 is circular and has a channel groove 211 formed around the outlet, and an outlet 212, an outlet jaw 213, a drain 214, and an excess drain 215 are formed at an end of the channel groove 211. ) Is formed.
  • the channel pin guide 216 is disposed between the outlet port 212 and the drain port 214, and the channel pin 217 is coupled to the channel pin guide 216.
  • a side fixing plate 218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hannel, and a fixing groove 2181 is formed in the side fixing plate 218 so that the bucket 220 is coupled, and a pair of hinge holders 2182 extend. .
  • a pedestal 2183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hinge holders 2182.
  • the outlet 212 discharges a small amount of effluent water, which may be caused by a small amount of water flowing out of the pressure chamber outlet 305 of the ball tap due to an increase in the static water pressure of the tap water or a water hammer. This is, by discharging the water into the outflow water from the upper waterway 210 to the outside serves to prevent malfunction.
  • the drain port 214 discharges the discharge water, which flows much more tha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to the outlet 212 with water from the pressure chamber outlet 305 when the ball tap opens the water supply, and goes beyond the outlet jaw 213.
  • the water actually supplied to the bucket 220 through 214 actually contributes to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valve 100.
  • the excess drainage path 215 drains a large amount of water to the pressure chamber outlet 305 of the ball tap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above the drainage port 214 to maintain a constant amount of discharged water. do.
  • the channel pin 217 includes a guide groove 2171 coupled with the channel pin guide 216, a drain pin 2172 fitted into the drain port 214, and an outlet pin 2173 fitted into the outlet 212. .
  • the channel pin 217 prevents foreign matters from blocking a hole when a large foreign object enters the drain 214 or the outlet 212, and when a small foreign material enters, the foreign material may be caught between the pin and the hole. During operation, the pin can move up and down to release foreign substances.
  • the water tank 220 is a container for collecting the discharged water from the upper channel 210, respectively,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s 2181 and the hinge holder 2182 of the upper channel side fixing plate 218, respectively.
  • Rotating rod 221 and the rotation center hole 222 is coupled to rotate a predetermined angle.
  • the rotary center hole 222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bucket, and the bucket 220 is moved upward by the mutual magnitude of the reverse rotational power on the rotation axis side of the link link 230 and the gravity power generated by the water filling the bucket 220. Or rotate down.
  • the lower side of the bucket is formed with a connecting link rotary shaft 227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k 230.
  • Discharge port 223 is located below the water tank 220, the discharge stopper 224 is disposed.
  • the discharge stopper 224 has a pair of discharge legs 2241 extending downward, and the engaging jaw 2242 is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legs (2241).
  • the discharge leg 2241 is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pedestals 2183 of the upper channel, and the discharge plug 224 is lifted up when the locking jaw 2242 abuts on the pedestal 2183.
  • the discharge stopper 224 is lifted so that the discharge port 223 is opened to discharg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 the weight weight 225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ucket 220 to move from side to side, and the rotation time of the bucke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In other words, when the distance close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water tan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mall, the moment (rotation power) is not affected, but when the distance is long, the moment is large, even if a small amount of discharged water in the water tank can be rotated forward. In other words, under a condition that a certain amount of discharged water is secured, the rotation time of the bucket 220 can be adjusted quickly or slowly.
  • the channel pin contact plate 226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ucket 220, and when the bucket rotates upward, the outlet pin 2173 of the channel pin 217 is pushed up to allow the channel pin 217 to move up and down. So that foreign substance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connection link 230 is in the form of a bar extending up and down at the top of the bucket connection hole 231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link rotary shaft 227 of the bucket, a plurality of auxiliary port position movement grooves 232 in the middle portion, the lower portion In the switching valve opening / closing lever connecting hole 233 and the lowest end, a resistance plate 234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 the auxiliary buoy 240 moves up and down by inserting the buckle groove 241 into the connecting link 230, and the stop jaw 242 of the auxiliary buckle and the moving groove 232 of the connecting link are engag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nnecting link. Can be fixed.
  •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irection control device 2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valve 100 for switching the water supply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or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by receiving the water supply from the ball tap 300 Only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re briefly shown.
  • 19 to 22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irection change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nk link 230 has a lifting force, and maintains the switching valve opening and closing lever 137 and the water tank 220 in a position to rise.
  • the resistance plate 234 positioned below the water tank discharge port 1231 is applied to the auxiliary pressure port by the dynamic pressure of the discharged water. It is greater than the buoyancy of 240 and continues to have a descending force until the water supply is blocked. Therefor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drain port 214 to the bucket 220 is discharged out of the bucket 220 because the discharge stopper 224 is lifted.
  • the contact plate 226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ucket pushes the outlet pin 2173 to raise the drain pin 2172 connected thereto.
  • the drain pin 2172 and the outlet pin 2173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outlet 212 or the drain 214 whil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ownward or upward rotation of the bucket.
  • the selector valve 100 returns to the state of FIG. 15 described above, and the control device 200 returns to the state of FIG. 19.
  • the above case is a case where th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set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buckle 240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pper channel 210 and the water tank 220 are not involved in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valve 100.
  • Residual water level is the level that will always remain in normal use after the initial water supply to the water tank.
  • FIGS. 23 to 25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irection change control apparatus 200 when the setting of the auxiliary floa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 than the residual number.
  • the standby state and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cover is opened and the washing operation is started are the same as those in FIGS. 19 and 20.
  • the auxiliary buoy 240 is positioned below the residual water level to continue to have the buoyancy force F, so that the connection link 230 has the upward force. Accordingly, although the washing water discharge of the water tank 500 is finished, the switch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and the water is continuous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end 1361 (see FIG. 12). Water from the pressure chamber outlet of the ball tap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220 through the drain port 214 of the upper flow passage. Effluent water begins to collect in the bucket 220, but the buoyancy force (F) is large in the auxiliary buckle 240, the bucket 220 does not rotate to maintain the current state.
  • the resistance plate 234 positioned below the water tank discharge port 1231 is applied to the auxiliary pressure port by the dynamic pressure of the discharged water. It is greater than the buoyancy of 240 and continues to have a descending force until the water supply is blocked. Therefor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drain port 214 to the bucket 220 is discharged out of the bucket 220 because the discharge stopper 224 is lifted.
  • Ball ball consisting of a simple ball tap 3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witching valve 100 for changing the water channel and the direction change control device 200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the conventional FIG. 1 and FIG.
  • the rim-side water supply system using the injection pump shown in 2 may be substituted. In this case, the external discharge port of the selector valve 100 is injected to the rim side.
  • the external discharge port of the switching valve may be set to be directly injected into the jet water supply of the toilet.
  • the effluent of the wash water into the water cover of the water tank is used as the rim wash water.
  • the rotation time of the water tank can be adjusted, so that the time of the rim washing water and the jet water can be adjusted.
  • the toilet can be washed more efficiently with a small amount of wash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물탱크 외부 급수 이용부의 토출구의 말단의 직경이 분사펌프 노즐보다 작거나, 또는 토출구측의 토출압력을 높게 필요로 하는 구조의 양변기에 적용하는 급수 전환부에 있어, 전환 볼을 사용하여 외부 토출구와 물탱크측 토출구로 급수를 전환할 수 있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은 토출구측의 말단의 직경이 노즐보다 작거나, 또는 토출구측의 토출압력을 높게 필요로 하는 구조의 양변기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전환 볼을 통해 외부 토출구와 물탱크측 토출구로 급수를 전환할 수 있어 오작동이 없고 내구성이 우수한 급수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탭의 외부 토출구가 젯트 급수로 직접 분사되는 양변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물탱크의 수위와 함께 작동 시간을 고려하여 수로 전환 시점을 제어할 수 있어, 양변기 림측의 세척수가 종료된 후에도 젯트노즐의 급수 분사를 일정시간 유지하여 세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본 발명은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공급받은 급수를 물탱크 내부로 저장 또는 물탱크 외부로의 전달 등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는 볼탭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물탱크와 물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변기본체로 이루어지며, 세척수는 물탱크에 설치된 핸드레버의 작동에 의해 물덮개가 열리게 되면 변기본체측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83510호인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와 특허등록 제10-0555834호인 "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펌프 및 이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에서 물탱크 일체형 양변기의 볼탭과 림 수로 사이에 분사펌프를 개재하여 급수관에서 공급되는 급수와 물탱크 내의 세척수가 합쳐진 혼합 세척수를 림 수로에 공급하는 분사펌프를 포함하는 양변기를 개시한 바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들을 전개하여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물탱크(10) 내부에는 외부 급수관(7)의 급수를 공급하는 볼탭(1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볼탭(17)에는 부구(33)가 연결되어 있으며, 수위에 따라서 급수를 개폐하는 단순볼탭이다. 용변을 세척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핸드레버(12)를 작동하면, 이 핸드레버(12)에 연결된 물덮개(13)가 상부로 회전하여 물탱크(10)의 측면수로(29)를 개방하게 되고, 이 측면수로(29)로 배출되는 세척수는 제트 분사구(27)로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함과 동시에 볼탭(17)을 통해 림의 배출공(25)으로 세척수가 배출되어 변기본체(19)의 세척공간 내에 잔류하는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상기 볼탭(17)의 림측 연결관(20)과 림 수로(23) 사이에는 분사펌프(50)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펌프(50)는 분사노즐(51), 쓰로트(55), 확대관(57), 및 림 연결부(59)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사노즐(51)과 쓰로트(55)의 사이에는 유입구(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사노즐(51)과 쓰로트(55) 사이에는 볼 안내관(63)이 소정길이만큼 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볼 안내관(63) 내부에는 볼(69)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물덮개(13)를 통한 배수시 볼탭(17)에서는 급수가 볼탭(17)에 연결된 림측 연결관(20)에 제공되는데, 이때 분사펌프(50)가 작동하여 림수로(23)에는 볼탭(17)에서 공급되는 급수와 물탱크 내의 세척수가 합친 혼합 세정수가 공급되어 림 세척이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물탱크(10) 내의 세척수가 모두 배출되면, 상기 물덮개(13)는 자력에 의하여 하부로 회전하여 물탱크의 측면수로(29)를 차단한다. 이때, 볼탭(17)에서는 급수가 계속 제공되는데, 볼(69)이 흡입압력으로 인하여 분사펌프의 쓰로트(55) 입구로 흡입되어서 분사펌프의 작동을 중지하며, 분사되는 급수는 볼(69)에 부딪히면서 물탱크(10)로 흘러나가 세척수로 저장된다. 이때, 세척수가 물탱크(10)에 일정수위에 저장될 때까지 볼(69)은 분사되는 급수의 압력에 의해 쓰로트(55) 입구에 계속 구속된다.
물탱크(10)에 정상수위까지 세척수의 저장이 완료되면, 부구(33)가 상승하여 볼탭(17)은 급수를 차단한다. 이때 볼(69)은 부력에 의해 볼 안내관(63)을 따라 위로 떠오르고, 다음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상술한 양변기는 볼탭(17)에서 제공되는 급수를 림측과 물탱크측으로 전환하는 방법으로 분사펌프의 노즐(51)과 쓰로트(55) 사이에 볼(69)을 두어 노즐(51) 앞단에 볼(69)이 위치하면 분사되는 급수를 막아 급수를 물탱크(10)측으로 보내고, 볼(69)이 떠오른 상태에서 급수가 제공되면 노즐(51)에서 분사되는 급수가 쓰로트(55)를 통해 림측으로 급수된다. 이러한 급수 전환 방식은 기계적 구조의 단순함에 의해 작동의 정확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쓰로트(55)를 통해 토출되는 유로가 말단에서 노즐(51) 직경보다 작거나, 높은 토출압력을 필요로 하는 구조의 양변기에 적용하려 할 경우, 노즐(51)에서 분사되는 급수가 쓰로트(55)에서 압력을 형성하면서 정체되어 외부로 누출되기 때문에 분사펌프 기능이 전혀 일어나지 않아 볼(69)이 흡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볼탭을 사용하여 외부 토출구가 젯트 급수로 직접 분사되는 양변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물탱크(500) 내에 설치된 볼탭(300)은 외부토출구와 물탱크측 토출구를 갖는 급수전환 볼탭으로, 출구는 외부 토출구(138)를 거쳐 젯트노즐(1381)에 분사된다. 핸드레버(700)에 의하여 개폐되는 물덮개(600)의 출구는 림세척수의 급수(5)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볼탭(300)의 외부 토출구를 젯트노즐(1381)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젯트 노즐(1381)에 강한 토출압력을 갖게 하여 적은 양의 세척수로 보다 효율적으로 양변기를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외부 토출구(138)의 말단인 젯트노즐(1381)에서 토출측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상술한 분사펌프의 작동이 일어나지 못하고, 쓰로트에서 흡입 압력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이 된다. 따라서, 전환 볼(69)을 노즐(51)과 쓰로트(55) 사이로 흡입시키지 못해 급수의 전환 작동이 불가능해진다.
분사펌프 작용이 일어나지 못하여, 쓰로트(55)에서 전환 볼의 흡입이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쓰로트와 노즐 사이의 전환 볼(69)의 작동 공간에서 형성된 압력이 물탱크의 잔여 수위의 수두압보다 훨씬 높아 전환 볼이 물탱크측으로 압력을 받으며 밀려나게 되어 수로의 전환이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외부 토출구(138) 측에서 강한 토출압력이 필요한 경우에, 종래의 다른 형식의 수로 전환부를 갖는 볼탭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외부 토출구(138) 측으로 강한 토출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볼탭에 급수되는 수압이 높고 유량이 크기 때문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방식의 수로 전환부를 갖는 볼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0330호인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급수전환부(70)가 제1 급수관(81)과 제2 급수관(8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변(72)이 구비되고, 개폐변(72)과 일체로 연동하는 전환레버(73)로 구성된다. 전환레버(73)는 부구(75)와 끈(74)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볼탭을 상기 도 3의 양변기 구조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급수전환부(70)는 개폐편(72)이 물탱크측 급수관을 막고 외부 급수관을 개방하여 외부로 급수로 보내고 있을 때, 급수 압력이 높으면 그에 비례하여 개폐변(72)의 닫힘력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환레버(73)의 작동 하중이 커져야 하는데, 전환레버(73)의 작동을 양변기 물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72)와 끈(74)에 의존하는 방식에서는 작동하중을 크게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하면, 외부 토출구측으로 강한 토출압력이 필요한 경우에 전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도 3의 양변기 구조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양변기의 급수 타이밍 그래프처럼, 젯트급수 유지시간을 보다 길게 설정하여 오물의 배출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림측의 세척수가 종료된 후에도 젯트노즐의 급수 분사가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이 세척성능 향상에 유리한데, 종래의 부구에 의한 전환 작동 제어로는 이러한 작동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탱크 외부 급수 이용부의 토출구의 말단의 직경이 분사펌프 노즐보다 작거나, 또는 토출구측의 토출압력을 높게 필요로 하는 구조의 양변기에 적용하는 급수 전환부에 있어, 전환 볼을 사용하여 외부 토출구와 물탱크측 토출구로 급수를 전환할 수 있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급수를 개폐하는 볼탭, 상기 볼탭에서 급수를 공급받아 물탱크의 내부 또는 물탱크의 외부로 급수를 전환하는 전환밸브, 및 상기 전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향전환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으로서, 상기 전환밸브는, 인입구는 급수를 공급하는 상기 단순 볼탭에 연결되며 출구는 직경(φn)을 갖는 노즐이 형성된 노즐부; 상기 노즐과 연결되며 상부로 개방된 물탱크측 토출구와 측면으로 개방된 직경(φth)를 갖는 쓰로트가 형성되는 전환볼 작동공간, 및 상기 전환볼 작동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전환 볼을 구비하여, 상기 전환 볼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물탱크측 토출구 또는 상기 쓰로트를 개폐하는 전환부; 및 상기 쓰로트와 연결되는 유로, 상기 유로와 연결되는 직경(φout1)을 갖는 외부 토출구, 상기 유로 중앙에 직경(φout3)를 갖도록 형성된 내부 토출구, 상기 내부 토출구 상에 위치하며 내부 토출구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 상에 위치하며 그 사이에 압력실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압력실 유출구가 형성된 상부캡, 상기 압력실과 상기 유로를 연결하는 유입구, 및 상기 압력실 유출구를 개폐하는 전환밸브 개폐레버로 구성되는 토출밸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측 토출구 상부로는 탱크 토출구와 보충수 연결구로 분기되는 토출구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토출구 말단의 직경(φout2)이 상기 노즐의 직경(φn)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노즐의 분사 유체 속도보다 외부 토출구 말단의 분사 유체 속도가 더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토출구의 직경(φout3)은 상기 노즐의 직경(φn)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내부 토출구의 분사 유체 속도가 노즐의 분사 유체 속도보다 느리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급수를 개폐하는 볼탭, 상기 볼탭에서 급수를 공급받아 물탱크의 내부 또는 물탱크의 외부로 급수를 전환하는 전환밸브, 및 상기 전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향전환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으로서, 상기 방향전환 제어장치는, 상기 볼탭의 개폐밸브의 주위를 감싸면서 설치되며 배수구가 형성된 상부수로; 상기 상부수로의 하부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마개가 형성된 물통; 상기 물통의 하부에 결합하여 물통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전환밸브의 개폐레버와 연결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에 결합한 보조 부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로는 원형으로서 둘레에 수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로 홈의 단부에는 유출구, 유출구 턱, 및 초과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는 유출구 턱과 초과 배수로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구에 끼워지는 배수구 핀과 상기 유출구에 끼워지는 유출구 핀을 구비하는 수로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측면에는 좌우로 이동할 수 무게 추를 더 포함하여, 물통의 회전시점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의 최하단부에는 상기 전환밸브의 물탱크 토출구 하단으로 연장된 저항판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은 토출구측의 말단의 직경이 노즐보다 작거나, 또는 토출구측의 토출압력을 높게 필요로 하는 구조의 양변기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전환 볼을 통해 외부 토출구와 물탱크측 토출구로 급수를 전환할 수 있어 오작동이 없고 내구성이 우수한 급수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탭의 외부 토출구가 젯트 급수로 직접 분사되는 양변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물탱크의 수위와 함께 작동 시간을 고려하여 수로 전환 시점을 제어할 수 있어, 양변기 림측의 세척수가 종료된 후에도 젯트노즐의 급수 분사를 일정시간 유지하여 세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볼탭을 사용하여 외부 토출구가 젯트 급수로 직접 분사되는 양변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방식의 수로 전환부를 갖는 볼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양변기의 바람직한 급수 타이밍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환밸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환밸브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환밸브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환밸브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환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수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 제어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구의 설정이 잔수보다 낮은 위치일 경우 방향전환 제어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급수 전환 볼탭은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급수를 개폐하는 단순 볼탭(300), 단순 볼탭(300)에서 급수를 공급받아 물탱크의 내부 또는 외부로 급수를 전환하는 전환밸브(100), 전환밸브(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향전환 제어장치(200), 및 덮개(400)로 구성된다.
볼탭(300)은 통상의 물공급을 개폐하는 단순 볼탭으로서, 그 구조를 살펴보면, 물 공급관 상측으로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이 개폐밸브를 동작시켜 토출관으로 부구의 높낮이에 따라 물 공급을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볼탭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인 제441703호 및 제443660호인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에 개시되어 있다.
상부 수로 덮개(400)는 방향 전환 제어부(200) 및 볼탭(300)의 상부 수로에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환밸브(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환밸브의 분리 사시도, 결합 사시도, 절단 사시도, 및 전개 단면도이다. 전환밸브는 공급받는 급수를 물탱크 내부에 저장 또는 물탱크 외부의 급수 이용부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전환밸브는 노즐부(110), 전환부(120), 및 토출 밸브부(130)가 서로 연결되어 전환밸브(100)가 형성된다.
노즐부(110)는 상부에 볼탭 접속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수평방향으로 직경(φn)을 갖는 노즐(112)이 형성되어 있다.
전환부(120)는 노즐(112)과 연결되며 상부로 개방된 물탱크측 토출구(122)와 측면으로 개방된 직경(φth)를 갖는 쓰로트(127)가 형성되는 전환볼 작동공간(125), 및 상기 전환볼 작동공간(125) 내부에 위치하고 부력을 갖는 전환 볼(121)을 구비하여, 상기 전환 볼(121)이 부력과 흡입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물탱크측 토출구(122) 또는 상기 쓰로트(127)를 개폐한다. 물탱크측 토출구(122) 상부로는 토출구 덮개(123)를 구비할 수 있는데, 토출구 덮개(123)는 탱크 토출구(1231)와 보충수 연결구(1232)로 분기되어 있다.
토출 밸브부(130)는 상기 전환부의 쓰로트(127)와 연결되는 유로(131), 상기 유로(131) 중앙에 직경(φout3)를 갖도록 형성된 내부 토출구(132), 상기 내부 토출구(132) 상에 내부 토출구(132)를 개폐하도록 차례로 형성된 다이아프램(133), 고정판(134), 및 유입구핀(135), 상기 다이아프램(133)을 고정하면서 그 사이에 압력실(140)이 형성하는 상부캡(136)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이아프램(133)과 고정판(134)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유입구(1331, 1341)가 형성되어 압력실(140)과 토출밸브부의 유로(131)가 연결되며, 유입구(1331, 1341)에는 유입구 핀(135)의 핀(1351)이 끼워진다.
상기 상부캡(136)에는 상부로 압력실(140)과 연결되는 압력실 유출구(13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결합홀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편(1362)이 돌출되어 있다. 압력실 유출구(1361)는 상부캡의 고정편(1362)과 힌지 결합한 전환밸브 개폐레버(137)에 의하여 개폐되며, 압력실 유출구(1361)에 대응되는 전환밸브 개폐레버에는 개폐레버 패킹(137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 밸브부(130)의 하부 일측면으로는 상기 유로(131)와 연결되는 직경(φout1)을 갖는 외부 토출구(138)가 형성되며, 외부 토출구의 말단(1381)은 직경(φout2)를 갖는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환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각 구성요소를 전개하여 도시하였다.
도 12를 참조하면, 볼탭(300)에서 공급되는 급수가 전환밸브(100)를 거쳐 외부 토출구 말단(1381)으로 공급되고 있다. 물탱크(500) 내의 세척수는 정상 수위보다 낮은 상태로써 양변기의 세척동작이 개시된 직후 볼탭이 개방되어 급수를 공급하는 상태이다. 전환밸브 개폐레버(137)는 상승상태로서 패킹(1371)이 압력실 유출구(1361)을 막은 상태이다. 압력실(140) 내부는 유로(131) 내부의 압력과 동일한 상태로써 다이아프램(133)은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볼탭(300)에서 급수가 공급되어 노즐(112)에서 분사되고 쓰로트(127)와 토출밸브부(130)의 유로(131)를 거쳐 외부 토출구(138)로 공급되어, 외부 토출구 말단(1381)에서 분사된다.
외부 토출구 말단(1381)의 직경(φout2)이 노즐(112)의 직경(φn)보다 작아, 유로에서의 압력이 쓰로트 단면적과 노즐 단면적 비율에 의해 결정되는 분사펌프의 이론적인 토출 압력보다 높아서 분사펌프의 작용이 일어나지 못하여, 쓰로트(127)에서는 흡입압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오히려, 쓰로트와 노즐 사이 전환부(120)인 전환볼 작동 공간(125)에서 형성된 압력이 물탱크의 잔여 수위의 수두압보다 휠씬 높아 전환 볼(121)이 물탱크측 토출구(122)로 압력을 받으며 밀려있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양변기 세척 작동이 진행되면서 급수의 전환 시점에서 방향전환 제어장치(200)에 의해 전환밸브 개폐레버(137)가 하강 회전하여 압력실 유출구(1361)가 개방되면, 압력실(140)의 압력이 물탱크 세척수 수두 정도로 낮아져 토출 밸브부(130)의 유로(131) 내부의 압력에 의해 다이아프램(133)이 상승하여 내부 토출구(132)가 개방된다. 내부 토출구(132)의 직경(φout3)은 노즐(112)의 직경(φn)보다 훨씬 커서 토출 압력이 매우 낮게 형성된다. 이때, 토출 압력이 노즐(112)과 쓰로트(127)의 직경 비율에 따른 이론적인 토출 압력보다 낮아 분사펌프의 작동이 개시된다.
따라서, 쓰로트(127)에서는 흡입력이 발생하고 탱크 토출구(1231)를 통해 물탱크 저장수가 흡입되어 물탱크측 토출구(122)를 통하여 전환볼 작동 공간(125)으로 들어오게 되며, 전환볼(121)은 부력보다 쓰로트(131)측의 흡입력이 커서 쓰로트측으로 빨려들기 시작한다. 분사펌프가 작동하여 전환 볼(121)이 쓰로트(127)로 빨려들기 전까지의 순간에는 내부 토출구(132)와 외부 토출구(138)로는 볼탭에서 제공되는 급수와 물탱크(500)의 저장수가 합쳐진 혼합수가 토출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환 볼(121)이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 쓰로트(127)를 막는다. 이때부터, 급수는 물탱크측 토출구(122)를 경유하여 탱크 토출구(1231)를 통해 물탱크로 공급된다. 전환 볼(121)은 노즐(112)에서 분사되는 급수의 동압과 전환볼 작동공간(125)의 정압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쓰로트(127)을 막고 있는다.
토출밸브부(130)의 유로(131)에는 쓰로트(127)가 전환볼(121)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급수가 유입되지 못하므로, 압력이 물탱크 내부 수위의 수두압과 동일하게 낮아져, 다이아프램(133)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서서히 내려와 내부 토출구(132)를 막고 원위치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물탱크(500) 내의 수위가 정상수위에 도달하여 급수가 차단되면, 전환 볼(121)은 부력에 의해 쓰로트(127)에서 이탈해서 상승하여 물탱크측 토출구(122)로 이동한다.
이하, 상술한 전환밸브(100)의 개폐레버(137)를 물탱크 수위와 작동시간에 연계하여 조작하는 방향전환 제어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 제어장치(20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수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방향 전환 제어장치(200)는 볼탭(300)의 개폐밸브(305)의 주위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상부수로(210), 상기 상부수로(210)의 하부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통(220), 상기 물통(220)의 하부에 결합하여 물통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전환밸브(100)의 전환밸브 개폐레버(137)와 연결되는 연결링크(230), 상기 연결링크(230)에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한 보조 부구(240)로 구성된다.
도 16 내지 18을 참조하면, 상부 수로(210)는 볼탭(300)의 개폐밸브(305)의 압력실 유출구(3051)에서 급수의 개방 작동 중에 나온 물을 유인하여 방향 전환밸브(100)의 제어에 활용하기 위한 수로이다. 볼탭(300), 개폐밸브(305)의 상세한 구조 및 유출구(3051)에서 급수 개방 중 유출되는 물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인 다이아프램 구조의 볼탭과 동일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인 제441703호 및 제443660호인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등에서 공지된 사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 수로(210)는 원형으로서 둘레에 수로 홈(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로 홈(211)의 단부에는 유출구(212), 유출구 턱(213), 배수구(214), 및 초과 배수로(2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출구(212)와 배수구(214) 사이에는 수로 핀 가이드(216)가 배치되며, 수로 핀 가이드(216)에는 수로 핀(217)이 결합되어 있다. 상부 수로 하부 일측으로는 측면 고정판(218)이 연장되며, 측면 고정판(218)에는 물통(220)이 결합하도록 고정홈(218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힌지 고정대(2182)가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힌지 고정대(2182)의 사이에는 받침대(218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212)는 소량의 유출수를 배출하는데, 이는 볼탭이 급수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상수도의 정지 수압이 상승하거나, 수격 작용 등에 의하여 소량의 물이 볼탭의 압력실 유출구(305)에서 흘러 나올 수 있는데, 이러한 물을 상부 수로(210)에서 외부로 유출수로 배출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구(214)에서는 배출수를 배출하는데, 이는 볼탭이 급수를 개방할 때 압력실 유출구(305)에서 나온 물로 유출구(212)로 배출되는 유출수보다 휠씬 많은 유량이 나와 유출구 턱(213)을 넘어 배수구(214)를 통하여 실제로 물통(220)에 공급되는 물로서 실제로 전환밸브(100)의 제어에 기여한다.
상기 초과 배수로(215)는 급수압이 높을 경우, 볼탭의 압력실 유출구(305)로 많은 양의 물이 나올 경우 이를 배수하여 배수구(214) 위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배출수의 양을 일정하게 한다.
상기 수로 핀(217)은 수로 핀 가이드(216)와 결합하는 안내홈(2171)과 배수구(214)에 끼워지는 배수구 핀(2172)과 유출구(212)에 끼워지는 유출구 핀(2173)을 구비한다. 수로 핀(217)은 배수구(214)나 유출구(212)에 큰 이물질이 들어왔을 경우 이물질이 구멍을 막아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며, 작은 이물질이 들어왔을 경우에는 이물질이 핀과 구멍 사이에 끼일 수 있는 있는데 작동 중에 핀이 상하 운동을 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물통(220)은 상부수로(210)에서 배출수를 모으는 통으로, 상부수로 측면 고정판(218)의 고정홈(2181)과 힌지 고정대(2182)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회전봉(221)과 회전중심구멍(222)이 결합되어 일정 각도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중심구멍(222)이 물통의 한쪽 끝에 위치하여 연결링크(230) 회전축 측의 역회전력과 물통(220)에 물이 차면서 생기는 중력에 의한 정회전력의 상호 크기에 의해 물통(220)은 상부로 또는 하부로 회전한다. 물통 하부 측면으로는 연결링크(230)와 접속하는 연결링크 회전축(227)이 형성되어 있다.
물통(220) 하부에는 배출구(223)가 위치하는데, 배출구에는 배출마개(224)가 배치된다. 배출마개(224)에는 한 쌍의 배출다리(2241)가 아래로 연장되어 있으며, 배출다리(2241) 사이에는 걸림턱(2242)이 배치되어 있다. 배출다리(2241)는 상부수로의 한 쌍의 받침대(2183) 사이에 끼워지며, 걸림턱(2242)이 받침대(2183)에 맞닿으면 배출마개(224)가 들려지는 구조이다. 물통이 상부로 회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배출마개(224)가 들려져 배출구(223)가 개방되어 물통의 물을 배출되는 구조이다.
물통(220)의 측면에는 좌우로 이동할 수 무게 추(225)가 배치되어, 물통의 회전시점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물통의 회전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가까운 거리에 두면 모멘트(회전력)이 적어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먼 거리에 두면 모멘트가 커서 물통에 적은 량의 배출수가 모여도 물통을 정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정량의 배출수가 확보된 조건에서, 물통(220)의 회전 시점을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이 가능해진다.
물통(220)의 또 다른 측면에는 수로 핀 접촉판(226)가 배치되어 물통이 상향으로 회전할 때, 수로 핀(217)의 유출구 핀(2173)을 밀어 올려 수로 핀(217)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연결링크(230)는 상하로 연장되는 바의 형태로서 상단에는 물통의 연결링크 회전축(227)과 결합하는 물통 접속구멍(231), 중간부위에는 다수 개의 보조부구 위치 이동 홈(232), 하부에는 전환밸브 개폐레버 접속구멍(233), 최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저항판(234)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부구(240)는 연결링크(230)에 부구 홈(241)이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하며, 보조부구의 멈춤턱(242)과 연결링크의 이동 홈(232)이 맞물려 연결링크의 일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볼탭(300)에서 급수를 공급받아 물탱크의 내부 또는 물탱크의 외부로 급수를 전환하는 전환밸브(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향전환 제어장치(200)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각 구성부분만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 제어장치(200)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대기상태로서, 물통(220) 속에는 배출수 중 잔량이 소량 남아 있을 수 있다. 보조부구(240)의 부력(F)에 의해 연결링크(230)는 상승력을 갖고, 전환밸브 개폐레버(137)와 물통(220)을 상승시키는 위치로 유지시킨다.
도 20을 참조하면, 물덮개(600)가 열려 세척 작동이 개시되어 볼탭(미도시)에서 급수를 공급하면, 볼탭의 압력실 유출구에서 나온 물이 상부유로의 배수구(214)를 통하여 배출수로 물통(220)에 공급을 개시한다. 물통(220)에 배출수가 모이기 시작하지만, 보조 부구(240)에 부력(F)이 커서 물통(220)은 회전하지 못하고 현 상태를 유지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물탱크(500) 세척수가 잔수 수위로 내려오면, 보조 부구(240)는 수면 위로 노출되어 부력을 상실한다. 따라서, 물통에 모인 배출수와 각 부품들의 자중에 의해 연결링크(230)가 하강하여 전환밸브 개폐레버(137)가 회전한다. 전환밸브 개폐레버(137)가 회전함에 따라 전환밸브 압력실 유출구(1361)가 개방되어 전환밸브(100)가 전환동작(전환볼 작동)을 일으킨다(상술한 도 13 및 도 14 참조).
전환 동작으로 급수가 물탱크 토출구(1231)와 보충수 연결구(1232)로 공급되면, 물탱크 토출구(1231) 하부에 위치하는 저항판(234)에는 토출되는 급수의 동압에 의한 힘이 보조부구(240)의 부력보다 커서 급수가 차단될 때까지 하강력을 계속 갖는다. 따라서, 배수구(214)에서 물통(220)으로 공급되는 물은 배출마개(224)가 들려져 있으므로 물통(220) 밖으로 그대로 빠져 나간다.
한편, 물통(220)이 하강 회전하면서, 물통의 측면에 배치된 유출구 핀(2173)을 지지하던 접촉판(226)도 하강하면서, 유출구 핀(2173) 및 배수구 핀(2172)이 하강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물탱크(500)에 급수가 계속 공급되어 정상수위에 도달되면, 볼탭의 급수가 차단된다. 따라서 저항판(234)에 작용하는 힘도 없어져 보조부구(240)의 부력에 의해 연결링크(230)가 상승하고 물통(220)이 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하며 물통(220)의 내부에는 아주 소량의 잔수만 남고 대기 상태로 된다.
또한, 물통(220)이 회전하면서 물통의 측면에 배치된 접촉판(226)이 유출구 핀(2173)을 밀어 올려 이와 연결된 배수구 핀(2172)도 상승하게 된다. 배수구 핀(2172)과 유출구 핀(2173)은 물통의 하향 또는 상향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유출구(212) 또는 배수구(214)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정상 수위에서는 전환밸브(100)는 상술한 도 15의 상태로 복귀하며, 제어장치(200)는 도 19의 상태로 복귀한다.
상술한 경우는 상부수로(210), 물통(220)이 전환밸브(100)의 전환동작에 관여하지 않은 상황으로 보조부구(240)의 설정수위에 의해 전환 작동이 이루어진 경우이다.
한편, 보조 부구(240)의 설정이 잔수보다 낮은 위치일 경우가 있다. 잔수 수위는 물탱크에 최초 급수 후 정상적인 사용시 항상 남는 수위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구(240)의 설정이 잔수보다 낮은 위치일 경우 방향전환 제어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대기상태와 물덮개가 열려 세척 동작이 개시되는 상태는 도 19 및 도 20과 동일하다.
도 23을 참조하면, 세척수가 잔수까지 하강했지만 보조 부구(240)가 잔수 수위 아래에 위치하여 계속 부력(F)을 갖고 있어 연결링크(230)가 상승력을 갖는다. 따라서, 물탱크(500)의 세척수 배출이 끝났지만 전환 작동이 되지 않고 있어 급수는 지속적으로 토출구 말단(1381)으로 계속 토출되고 있다(도 12 참조). 볼탭의 압력실 유출구에서 나온 물이 상부유로의 배수구(214)를 통하여 배출수로 물통(220)에 공급되고 있다. 물통(220)에 배출수가 모이기 시작하지만, 보조부구(240)에 부력(F)이 커서 물통(220)은 회전하지 못하고 현 상태를 유지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물통(220)에 배출수가 계속 모여 물의 무게에 의한 회전력(W)이 보조부구(240)의 부력에 의한 회전력(F)보다 커지면 물통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일단 회전이 시작하면 모인 물의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보다 더 멀어져 회전력은 더 증가하여 신속히 회전하여 연결링크(230)가 하강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연결링크(230)가 하강하여 전환밸브 개폐레버(137)가 회전함에 따라 전환밸브 압력실 유출구(1361)가 개방되어 전환밸브(100)가 전환동작(전환볼 작동)을 일으킨다(상술한 도 13 및 도 14 참조).
전환 동작으로 급수가 물탱크 토출구(1231)와 보충수 연결구(1232)로 공급되면, 물탱크 토출구(1231) 하부에 위치하는 저항판(234)에는 토출되는 급수의 동압에 의한 힘이 보조부구(240)의 부력보다 커서 급수가 차단될 때까지 하강력을 계속 갖는다. 따라서, 배수구(214)에서 물통(220)으로 공급되는 물은 배출마개(224)가 들려져 있으므로 물통(220) 밖으로 그대로 빠져 나간다.
다음으로, 물탱크(500)에 급수가 계속 공급되어 정상수위에 도달되면, 볼탭의 급수가 차단된다. 따라서 저항판(234)에 작용하는 힘도 없어져 보조부구(240)의 부력에 의해 연결링크(230)가 상승하고 물통(220)이 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하며 물통(220)의 내부에는 아주 소량의 잔수만 남고 대기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물탱크에서 급수가 계속 공급되어 정상수위에 도달되면, 전환밸브(100)는 상술한 도 15의 상태로 복귀하며, 제어장치(200)는 도 19의 상태로 복귀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를 개폐하는 단순 볼탭(300), 수로를 변경하는 전환밸브(100)와 급수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 전환 제어장치(200)로 이루어진 볼탭은, 종래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밸브(100)의 외부 토출구는 림측으로 분사되는 구조이다.
이와는 달리, 도 3과 같은 양변기 구조에서는 전환밸브의 외부 토출구가 양변기의 젯트 급수로 직접 분사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탱크의 물덮개로의 세척수의 배출수는 림 세척수를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전환밸브의 출구를 젯트급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통의 회전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림 세척수와 젯트급수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림 세척수보다 젯트급수의 시간을 연장하는 경우 적은 양의 세척수로 보다 효율적으로 양변기를 세척할 수 있다.

Claims (9)

  1. 급수를 개폐하는 볼탭, 상기 볼탭에서 급수를 공급받아 물탱크의 내부 또는 물탱크의 외부로 급수를 전환하는 전환밸브, 및 상기 전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향전환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으로서,
    상기 전환밸브는,
    인입구는 급수를 공급하는 상기 단순 볼탭에 연결되며 출구는 직경(φn)을 갖는 노즐이 형성된 노즐부;
    상기 노즐과 연결되며 상부로 개방된 물탱크측 토출구와 측면으로 개방된 직경(φth)를 갖는 쓰로트가 형성되는 전환볼 작동공간, 및
    상기 전환볼 작동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전환 볼을 구비하여, 상기 전환 볼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물탱크측 토출구 또는 상기 쓰로트를 개폐하는 전환부; 및
    상기 쓰로트와 연결되는 유로,
    상기 유로와 연결되는 직경(φout1)을 갖는 외부 토출구,
    상기 유로 중앙에 직경(φout3)를 갖도록 형성된 내부 토출구,
    상기 내부 토출구 상에 위치하며 내부 토출구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 상에 위치하며 그 사이에 압력실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압력실 유출구가 형성된 상부캡,
    상기 압력실과 상기 유로를 연결하는 유입구, 및
    상기 압력실 유출구를 개폐하는 전환밸브 개폐레버로 구성되는 토출밸브부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측 토출구 상부로는 탱크 토출구와 보충수 연결구로 분기되는 토출구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토출구 말단의 직경(φout2)이 상기 노즐의 직경(φn)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토출구의 직경(φout3)은 상기 노즐의 직경(φn)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5. 급수를 개폐하는 볼탭, 상기 볼탭에서 급수를 공급받아 물탱크의 내부 또는 물탱크의 외부로 급수를 전환하는 전환밸브, 및 상기 전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향전환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으로서,
    상기 방향전환 제어장치는,
    상기 볼탭의 개폐밸브의 주위를 감싸면서 설치되며 배수구가 형성된 상부수로;
    상기 상부수로의 하부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마개가 형성된 물통;
    상기 물통의 하부에 결합하여 물통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전환밸브의 개폐레버와 연결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에 결합한 보조 부구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로는 원형으로서 둘레에 수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로 홈의 단부에는 유출구, 유출구 턱, 및 초과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는 유출구 턱과 초과 배수로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끼워지는 배수구 핀과 상기 유출구에 끼워지는 유출구 핀을 구비하는 수로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측면에는 좌우로 이동할 수 무게 추를 더 포함하여, 물통의 회전시점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의 최하단부에는 상기 전환밸브의 물탱크 토출구 하단으로 연장된 저항판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PCT/KR2010/006095 2010-04-26 2010-09-08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WO201113644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85 2010-04-26
KR1020100038685A KR101143269B1 (ko) 2010-04-26 2010-04-26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6442A1 true WO2011136442A1 (ko) 2011-11-03

Family

ID=4486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6095 WO2011136442A1 (ko) 2010-04-26 2010-09-08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3269B1 (ko)
WO (1) WO20111364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884B1 (ko) * 2013-06-28 2014-12-05 이수인 (주)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CN105386491A (zh) * 2015-11-30 2016-03-09 刘文健 防回流马桶进水阀
KR101682338B1 (ko) 2016-09-05 2016-12-02 계림요업주식회사 저소음 분배 밸브가 결합된 변기 급수장치
KR102034015B1 (ko) 2019-04-19 2019-10-18 이수인 (주) 비전기식 절수형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CN111561031B (zh) * 2020-04-16 2021-05-28 海益(厦门)建材工业有限公司 进水、排水结合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347A (ja) * 1994-11-21 1996-06-04 Inax Corp 便器洗浄用の切換弁
KR200335731Y1 (ko) * 2003-09-17 2003-12-11 이정우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0483510B1 (ko) * 2004-04-29 2005-04-19 이수인 (주)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20060072180A (ko) * 2004-12-22 2006-06-28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347A (ja) * 1994-11-21 1996-06-04 Inax Corp 便器洗浄用の切換弁
KR200335731Y1 (ko) * 2003-09-17 2003-12-11 이정우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0483510B1 (ko) * 2004-04-29 2005-04-19 이수인 (주)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20060072180A (ko) * 2004-12-22 2006-06-28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152A (ko) 2011-11-02
KR101143269B1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6442A1 (ko)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WO2016023418A1 (zh) 马桶及其冲水系统
WO2018236043A1 (ko)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WO2016023419A1 (zh) 马桶及其冲水系统
WO2010021499A2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WO2020213801A1 (ko) 비전기식 절수형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WO2019226034A1 (ko) 절수형 욕실 시스템
WO2016017868A1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 세척기
WO2012108735A9 (ko) 다용도 세척기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WO2021141366A1 (ko) 물탱크용 및 직수형 후레쉬밸브용 양변기 겸용 자동물내림 기능을 갖는 전자식 비데의 자동물내림장치
CN213836912U (zh) 预湿润蹲式马桶
WO2013005865A1 (ko) 절수를 위한 보조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WO2009116834A2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WO2009116823A2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100736871B1 (ko)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CN212853393U (zh) 独立式水槽洗碗设备及外置沥水架
WO2021153921A1 (ko) 물탱크용 및 직수형 후레쉬밸브용 양변기 겸용 정전시 계속 물내림 해지장치
WO2022102808A1 (ko) 자동 잔수 드레인 밸브
CN212955830U (zh) 一种带双向密封空气阻断器的负吸式自动投放装置
CN210767073U (zh) 一种进排水联动的冲刷系统
CN2893003Y (zh) 无水箱节水抽水马桶
WO2018236044A1 (ko)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CN109577437A (zh) 一种多用途如厕系统
WO2014010860A1 (ko) 분수 노즐을 갖는 세면기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508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508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