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82245A1 -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82245A1
WO2016182245A1 PCT/KR2016/004626 KR2016004626W WO2016182245A1 WO 2016182245 A1 WO2016182245 A1 WO 2016182245A1 KR 2016004626 W KR2016004626 W KR 2016004626W WO 2016182245 A1 WO2016182245 A1 WO 201618224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everage
nozzle
beverage container
disposed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46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인환
Original Assignee
엔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 filed Critical 엔피씨㈜
Priority to US15/573,44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01308B2/en
Priority to CN201680027577.9A priority patent/CN107580585B/zh
Priority to EP16792891.0A priority patent/EP3296252A4/en
Priority to JP2017559433A priority patent/JP2018517623A/ja
Publication of WO201618224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8224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2Froth control preventing fr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19/2233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related to the evolution of bubbles in carbonated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4Supports for the vessel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55Details relat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quid contain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5Openings fo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upply apparatus, in particular,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nozzle, the sealing member relates to a beverage supply apparatu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 the most commonly used beer mug is made of a glass or synthetic resin product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consumed in a relatively large amount at a time. Beer mugs for drinking beer are widely used.
  • the conventional beer mug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bottom is blocked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to inject beverage through the upper opening.
  • Beverages such as draft beer supplied through the beverage supply device pour beer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compared to other beverages, a large amount of foam is generated by the injection pressure bar, such as beer mugs There was a hassle, such as removing bubbles after injecting a drink.
  • the beer mugs until now have a problem that the beer is oxidized due to the contact with the air when the beer is poured, the taste is deteriorated, this phenomenon is more severe when drinking draft beer.
  • the draft beer foam can be properly maintained, but even after applying the method, the draft beer is injected into the bottom hole of the beverage container.
  • the method of sealing the holes is not suitable and cannot be adopted.
  • the prior art 1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beverage cup through the inlet, the inlet for supplying the beverage to the inside of the beverage cup through the nozzle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bottom outer surface and the bottom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cup, the nozzle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After the beverage is forced through the injection is made to include a magnetic shield is magnetically attached to seal the inlet.
  • the prior art 1 prevents the beverag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closing the injection hole by the magnetic force through the magnetic force when the injection is comple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inlet is open.
  • the prior art 1 is easy to contact the beverage as the magnetic shiel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magnetic force, such contact has a very high risk of deteriorating the beverage, such as rust when using the beverage cup for a long time
  • the effectiveness of the hygiene management and harmless to the human body as a beverage container that is directly drinkable by people is easy to contact the beverage as the magnetic shiel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magnetic force, such contact has a very high risk of deteriorating the beverage, such as rust when using the beverage cup for a long time.
  • Prior Art 2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4-180438 shows that an injection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flow of the injected liquid is swirled.
  • the prior art 1 has a problem that the injection por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is complicated to form a difficult shape, the injection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is not easy to connect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old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port and a lock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lder.
  • a beverage container has a problem that a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nozzle and the inner wall of the holder, so that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detached from the nozzle, the sealing member is not easily removed due to friction and pinching caused by the sealing member.
  • 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243302
  •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4-180438
  • 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4-0085888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beverage supply apparatus which can easily insert or pull out a beverage container to a nozzle and at the same time effectively seal the nozzle.
  •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nozzle inserted into the injection por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 seal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zzle, the sealing member is discharged of the nozzle It is disposed below the portion, the seal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under the holder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nozzle includes a shaft diameter portion, and the diameter portion disposed below the shaft diameter portion,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shaft diameter portion and the diameter diameter portion.
  • the nozzle includes a shaft diameter portion, and the diameter portion disposed below the shaft diameter portion,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shaft diameter portion and the diameter diameter portion.
  • a tapered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nozzle so that the outer diameter thereof becomes smaller toward the upper portion.
  • the upper edge of the nozzle may be formed round.
  • the beverage supply devic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n injection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nozzle inserted into the injection hole, the low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beverag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nozzle.
  •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nozzle, and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low the beverage container,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easily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nozzle and at the same time, the seal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 the sealing member may be disposed below the holder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make the sealing more effective.
  • the nozzle may include a shaft diameter portion and an enlarged diameter portion disposed below the shaft diameter portion, and the seal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haft diameter portion and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and the sealing member may be stably installed.
  • the upper portion of the nozzle is tapered to form a smaller outer diameter toward the upper portion, or the upper edge of the nozzle is formed to be round,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easily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nozzle even in a slightly inclined state rather than in the vertical direction.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B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5A.
  • FIG.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FIG. 5B.
  •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and the pack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ombined view of FIG.
  • FIG. 9 is a cross-sectional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5B.
  • FIG. 10 is a bottom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nozzle of a beverage supply device.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e state of injecting a beverage through the nozzle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to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plan view of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pper of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is fitted to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everage supply device assembly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n injection hole 11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10, and a nozzle 540 inserted into the injection hole 111. It includes a beverage supply device 500.
  •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ainer body 100 including a bottom surface 110 on which an injection hole 111 is formed, a side wall 120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110, and the container body 100.
  • a container body 100 including a bottom surface 110 on which an injection hole 111 is formed, a side wall 120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110, and the container body 100.
  • It includes a locking member 40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lder 200 in the direction, the locking member 400 is a first member 410, a seco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ember 410 And a resilient arm 420 elastically deformed by connecting the member 430 and the first member 410 and the second member 430.
  • the container body 100 is formed in a cup shape with an open top.
  • the side wall 120 may include a first side wall 121 disposed on the top of the bottom surface 110 and a second side wall 122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110. Include.
  • the first side wall 121 is taper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become larger toward the upper side.
  • a flang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wall 121, a first step portion is formed below the flange, and a second step portion is formed below the first step portion.
  • a circumferential recessed groov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ide wall 121 along a circumference.
  • the inner wall constituting the circumferential recessed groove is continuous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wall 122.
  • the container body 1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01 surrounded by the bottom surface 110 and the first side wall 121.
  • the second side wall 122 is tapered to have an outer diameter that in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 middle part of the 2nd side wall 122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locking protrusion 122a which hangs on the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500 mentioned below.
  • the engaging protrusion 122a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cking protrusion 122a is formed to be bent to have a semi-circular shape.
  • a locking groove o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formed on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500 is caught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ide wall 122.
  •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beverage supply device 500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and the other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to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is caught.
  • the rib 13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110 and the side wall 120.
  • the rib 130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radial direction. Rib 130 may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everage container.
  • the rib 130 may serve as a stopper so as not to pinch the containers when the beverage containers are stack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s.
  • the rib 130 is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0).
  • Rib 13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body (100).
  • the rib 1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110.
  • a curved portion 123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0 in which the rib 130 is formed.
  • bent portion 123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110 and the side wall 120.
  • the reinforcing rib 12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ide wall (122).
  • the reinforcing rib 124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110).
  • the holder 200 includes a disc-shaped cover part 210 covering the injection hole 111 and a holder side wall part formed under the cover part 210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220).
  • the cover part 210 is disposed horizontally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injection hole 111.
  • a cover protrusion 211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over 210.
  • the cover protrusion 211 is taper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thereof becomes smaller toward the top.
  •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cover protrusion 211 is formed to be similar to or the same as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 a cover groove 212 having an open top is formed at an upper center of the cover protrusion 211.
  •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hole 111 and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jection hole 221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injection hole 221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portion 101 when the injection hole 111 is opened.
  •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acking member 300 disposed between the holder 200 and the bottom surface 110, which is a surface on which the injection hole 111 is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00.
  • the packing member 300 is formed in a ring shape.
  • the packing member 300 has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which the upper surface is flat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generally form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Therefore, the packing member 300 is formed to decrease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as it goes down.
  • the packing member 300 has a fine protrusion 301 is formed along the perimeter at the bottom.
  • Two fine protrusions 301 are formed, and are disposed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Due to the fine protrusion 301, the sealing becomes effective and the packing member 300 is prevented from being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110, so tha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holder 200 can be smoothly performed.
  • the packing member 300 has a flat upper surface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10 of the holder 200.
  • the groove 114 into which the packing member 30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ridge 11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10.
  • the ridge 113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injection hole 111 from the bottom surface 110.
  • the groove 114 is formed by recess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ridge 113 downward.
  • the locking member 400 connects the first member 410, the second member 43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ember 410, and connects the first member 410 and the second member 430 to each other.
  • the elastic arm 420 is deformed.
  •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410 and 430 are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410 and 430 are formed in different diameters.
  • the first member 410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member 430.
  •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410 and 430 is coupled to the holder 200.
  • the second member 430 disposed below the first member 410 is coupled to the holder 200.
  • the holder 200 and the locking member 400 are coupled through a hook.
  • the first hook protrusion 230 protrudes from a lower portion of the holder side wall part 220 of the holder 200.
  • Four first hook protrusions 230 are form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plurality of first hook protrusions 2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urther improve durability of the holder 200.
  • a second hook protrusio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hook protrusion 431 described below is inserted is form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 the second hook protrusion insertion groove is disposed above the first hook protrusion 230.
  • the second hook protrusion 43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member 430.
  • the second hook protrusion 431 is formed all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430.
  • the second hook protrusion 431 is caught by the first hook protrusion 230 so that the holder 200 and the locking member 400 are coupled to each other.
  •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430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member 430 becomes larger toward the lower side. Therefore, the rigidity of the locking member 400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first member 4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110. In detail, the first member 410 is disposed below the groove 112.
  • a plurality of elastic arms 420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elastic arms 420 ar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elastic arm 420 has a first portion 421 formed in an up-down direction, a second portion 422 bent obliquely to the first portion 421 and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outer side to the second portion 422.
  • the third part 423 is bent and formed, and the fourth part 424 is bent in the third part 423 and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first portion 421 is formed outside the second member 430.
  • the second portion 422 and the fourth portion 424 are formed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e fourth part 424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first member 410.
  • the container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14 that is accommodated when the elastic arm 420 is folded.
  • the receiving groove 11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110 to be dispos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groove 112.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tainer body 100 of the beverage container of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 the beverage container assembly method of this embodiment which has such a structure is as follows.
  • the holder 200 When the holder 200 is provided with the packing member 300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hole 111 of the container body 100 from the top, and the locking member 400 is pushed from the bottom, the first hook protrusion 230 and the second hook protrusion. 431 are hooked to each other to complete the assembly. In this way, the assembly can be made very simple and easy.
  • the diameter of the first member 41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member 430 and thus may be easily inserted.
  • the nozzle 540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top blocked.
  • the nozzle 54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of the holder 200.
  • the discharge part 545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nozzle 540 by cutt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discharge part 545 is provided in plurality (for example, three),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rts 545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discharge part 545 through which the beverage is discharge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jection hole 221.
  • the nozzle 540 includes an axis diameter portion 541 and an enlarged diameter portion 542 disposed below the axis diameter portion 541.
  • the shaft diameter portion 541 is formed to have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42.
  • the vertical length of the shaft diameter portion 541 is formed to be similar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wall length of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diameter portion 541 is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 the outer diameter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4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Therefore, when the nozzle 54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is caught by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42.
  • the tapered portion 544 is formed in the shaft diameter portion 541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nozzle 540 so that the outer diameter thereof becomes smaller toward the upper portion thereof.
  • the tapered portion 544 is formed by rounding the upper edge of the nozzle 540.
  • the nozzle 540 is formed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easily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nozzle 540 even in a slightly inclined state rather than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nozzle 540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543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ealing member 543 is provided with an O-ring.
  • the sealing member 543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ion 545 of the nozzle 540.
  • the sealing member 543 is disposed between the shaft portion 541 and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42. That is, the sealing member 543 is disposed outside the lower end of the shaft diameter portion 541 and is disposed above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42. As a result, the sealing member 543 may be stably installed.
  • the sealing member 543 is installed and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insertion of the nozzle 540 is complet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is caught.
  • the sealing member 543 is disposed below the beverage container,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easily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nozzle 540 and at the same time, the seal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 the sealing member 543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nozzle 540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500.
  • the sealing member 543 may be disposed below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of the holder 200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make the sealing more effective.
  • the sealing member 543 is disposed between the nozzle 540 and the surface (left and right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fitting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among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beverage container.
  •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gripper 530 disposed around both sides of the nozzle 540, and a support 510 on which the nozzle 540 and the gripper 530 are installed.
  • the gripper 530 is installed at the support part 510 by a limit housing 52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10.
  • Two limit housings 520 are provided and disposed between two grippers 530, respectively.
  • the gripper 530 has an upper surface 531 formed in an arc shape.
  • Limit seating grooves 535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531 of the gripper 530, respectively. Limit seating groove 535 is formed by recessing the outer edge portion of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531). A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limit housing 520 is seated in the limit seating groove 535.
  • Both ends of the gripper 530 are formed to protrude at right angles and inserted into grooves formed in the limit housing 520.
  • both ends of the gripper 530 are attached with a magnet or an iron plate 534 of a material attached to the magnet.
  • the iron plate 534 is attached to a magnet (not shown) installed on the surface facing the both ends of the gripper 530 in the limit housing 520.
  • a locking jaw 532 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122a is engaged is formed inside the gripper 530.
  • the catching jaw 532 is formed to be inclined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thereof becomes smaller toward the lower side.
  • the catching jaw 532 is form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531.
  • the locking jaw 532 is formed to be curved in an arc shape, so that the R value of the middle portion is smaller than the R value of the end portion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easily remove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tilted out.
  • Support legs 533 protrude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gripper 530.
  • the support legs 533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support leg 533 may be formed in a rib shape to minimize frictional resistance.
  • the support legs 533 ar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locking jaw 532.
  • the locking jaw 532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510.
  • the locking groove in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122a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locking jaw 532 and the support 510 of the gripper 530.
  • the beverage container is pushed down so that the nozzle 540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50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of the beverage container.
  • the nozzle 54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and the sealing member 543 is disposed below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 the locking protrusion 122a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532 of the gripper 530.
  • the sealing member 543 is pressed so that the nozzle 540 and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are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is can effectively seal between the nozzle 540 and the beverage container.
  • the nozzle 54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side wall portion 220 of the holder 200, and the elastic arm 420 of the locking member 40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folded by the pressure of the nozzle 540.
  • the holder 200 and the packing member 300 are raised.
  • the injection hole 221 communicates with the accommodation part 101. Therefore, the beverage injected through the nozzle 540 is injec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01 through the bottom surface 110.
  • the locking protrusion 122a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jaw 532 and the nozzle 540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 the elastic arm 4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ember 410 and the second member 420 becomes far. Therefore, the holder 200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420 is lowered down. As a result, the injection hole 111 is blocked by the cover portion 210.
  • the packing member 300 is also lower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protrusion 301 of the packing member 3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2, so that the sealing becomes more effective. Therefore,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01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jection port 111.
  • container body 101 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실링부재는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노즐에 음료 용기를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으며 동시에 실링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실링부재는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품이 형성되는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로써, 일례로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는 맥주잔은 투명한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 제품으로 이루어지며, 한 번에 비교적 많은 양을 따라 마시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500cc, 1000cc의 맥주를 담아 마실 수 있는 맥주잔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 종래의 맥주잔은 하부 바닥이 차단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음료가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음료 공급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생맥주 등의 음료는 다른음료에 비하여 맥주를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따르게 됨에 따라 주입 압력에 의하여 맥주 거품이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 되는바, 맥주잔 등의 용기에 음료를 주입한 후 거품을 일일이 제거해주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생맥주 공급장치로 음료 용기에 생맥주를 공급할 때, 주로 상측에서 공급하므로 온도가 맞지 않는 경우 거품이 다량 발생하여 흘러 내려 의복을 젖게 하거나 위생상 좋지 않았으며, 너무 많은 거품으로 인해 생맥주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맥주잔은 맥주를 따를 때 맥주가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산화되면서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생맥주를 마시는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음료 용기의 저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생맥주를 공급하는 경우 생맥주 거품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는 있으나, 이 방법을 적용하려고 하여도 생맥주를 음료 용기 바닥 구멍으로 주입한 후, 구멍을 밀봉하는 방법이 적절하지 않아 채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음료 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382호(2013.03.07.)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이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1은 음료컵의 바닥 내외부로 관통 형성되고,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컵 내부에 음료를 공급하는 주입구와, 음료컵의 바닥 외면과 바닥내면에 각각 마련되고,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가 강제 주입된 후 주입구를 밀봉하도록 자력 부착되는 자력차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 기술1은 주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료 주입이 완료되면 자력을 통해 자력차단부가 주입구를 폐쇄시켜 음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1은 자력을 갖는 금속 재질의 자력차단부가 사용됨에 따라 음료가 자력차단부에 접촉하기 쉽고, 이러한 접촉은 음료컵을 장기간 사용할경우 녹이 스는 등 음료를 변질시킬 위험성을 매우 크게 내포하고 있는바 사람이 직접 음용하는 음료 용기로써 위생 관리 및 인체에 무해한 용기로써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 기술1을 따를 경우 상기 자력차단부가 음료에 직접 접촉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기술이 요구되는 바, 이러한 제작 방식은 음료 컵의 제작용이성 관점에서 불합리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상승함에 따라 저가의 소비재로써 음료 컵을 대중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4-180438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는 주입구가 용기 측면에 형성되어 주입되는 액체의 흐름이 소용돌이 모양이 되도록 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은 주입구가 용기 측면에 형성되어 구조가 복잡하여 성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주입구가 용기 측면에 형성되어 음료 공급장치와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홀더를 탄성지지하는 락킹부재를 구비하는 음료 용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료 용기는 노즐의 측벽과 홀더의 내벽 사이에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음료 용기를 노즐에 탈착할 때 실링부재로 인한 마찰과 끼임현상으로 인해 탈착이 용이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43382호
(특허문헌2)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4-180438호
(특허문헌3) 한국특허출원 제2014-008588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노즐에 음료 용기를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으며 동시에 실링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된 주입구에 삽입되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외주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음료 용기의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즐은 축경부와, 상기 축경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확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축경부와 상기 확경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상부에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의 상부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는, 주입구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음료 용기와, 상기 주입구에 삽입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용기의 하면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실링부재는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노즐에 음료 용기를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으며 동시에 실링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음료 용기의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어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축경부와, 상기 축경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확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축경부와 상기 확경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상부에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노즐의 상부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음료 용기를 수직방향이 아닌 약간 기울인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상기 노즐에 끼우거나 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주요부 분리 단면도.
도 5b는 도 5a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5b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홀더와 패킹부재와 락킹부재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도.
도 9는 도 5b의 단면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에 끼워넣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를 주입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그리퍼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에 음료 용기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는, 주입구(111)가 바닥면(110)에 형성되는 음료 용기와, 상기 주입구(111)에 삽입되는 노즐(540)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는, 주입구(111)가 형성되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을 둘러싸는 측벽(120)을 포함하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111)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111)를 개폐하는 홀더(200)와, 상기 홀더(200)와 상기 용기본체(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200)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400)는 제1부재(410)와, 상기 제1부재(4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430)와, 상기 제1부재(410)와 상기 제2부재(430)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20)은 바닥면(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측벽(121)과 바닥면(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측벽(122)을 포함한다.
제1측벽(121)은 상부로 향할수록 내경 및 외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제1측벽(121) 상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플랜지 하부에는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차부 하부에는 제2단차부가 형성된다. 제1측벽(121) 하단에는 둘레를 따라 둘레함몰홈이 형성된다. 상기 둘레함몰홈을 이루는 내측벽은 제2측벽(122)의 상단에 연속되게 형성된다.
용기본체(100)에는 바닥면(110)과 제1측벽(121)에 의해 둘러싸이는 수용부(101)가 형성된다.
제2측벽(122)은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제2측벽(122) 중간 부분에는 외주면에 이하 서술되는 음료 주입 장치(500)에 걸리는 걸림돌기(122a)가 형성된다.
걸림돌기(122a)는 양끝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돌기(122a)의 수직 단면형상은 반원형상이 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음료 주입 장치(500)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제2측벽(1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음료 용기의 외주면과 음료 공급 장치(500) 중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0)는 바닥면(110)과 측벽(120)의 연결부분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리브(130)는 방사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형성된다. 리브(130)는 음료 용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130)는 음료 용기를 여러개 겹쳐서 적층시켜서 보관할 경우 용기끼리 서로 끼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130)는 용기본체(100) 내부에 배치된다.
리브(130)는 용기본체(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리브(1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110)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용기본체(100)에서 리브(130)가 형성된 면에는 굴곡부(123)가 형성된다.
즉, 바닥면(110)과 측벽(120)의 연결부분에 굴곡부(123)가 형성된다.
한편, 제2측벽(122)의 내측 상부에는 보강리브(12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강리브(124)는 바닥면(110)의 저면에 상부가 연결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0)는 주입구(111)를 덮는 원판형상의 덮개부(210)와, 덮개부(210) 하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측벽부(220)를 포함한다.
덮개부(210)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주입구(111)보다 단면적이 큰 원형으로 형성된다.
덮개부(210) 중앙 부분에는 상부로 돌출된 덮개돌출부(211)가 형성된다.
덮개돌출부(211)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덮개돌출부(211)의 최대외경은 홀더측벽부(220)와 유사 또는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덮개돌출부(211)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덮개홈(212)이 형성된다.
홀더측벽부(220)는 주입구(111)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주입구멍(221)이 형성된다. 주입구멍(221)은 주입구(111)가 열릴 때 수용부(101)에 연통된다.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는 상기 홀더(200)와 상기 용기본체(100)에서 상기 주입구(111)가 형성된 면인 바닥면(110)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재(300)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패킹부재(300)는 수직 단면형상이 상면은 평탄하고 하면은 대체적으로 반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패킹부재(300)는 아래로 향할수록 수직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패킹부재(300)는 하단에 온 둘레를 따라 미세돌기(301)가 형성되어 있다.
미세돌기(301)는 두개가 형성되고, 내측과 외측에 방사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미세돌기(301)로 인해 실링은 효과적으로 되는 동시에 패킹부재(300)가 바닥면(110)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홀더(200)의 승강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300)는 평탄한 상면이 홀더(200)의 덮개부(210) 하면에 설치된다.
나아가, 패킹부재(300)가 삽입되는 홈(114)이 바닥면(110)에 형성된 융기부(113)에 형성된다.
융기부(113)는 바닥면(110)에서 주입구(111) 둘레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홈(114)은 융기부(113)의 중간 부분이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융기부(113)의 내측단에는 주입구(111)를 둘러싸는 둘레부가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락킹부재(400)는 제1부재(410)와, 제1부재(4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430)와, 제1부재(410)와 제2부재(430)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420)을 포함한다.
제1,2부재(410, 43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2부재(410, 430)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410)는 제2부재(43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2부재(410, 430) 중 하나는 홀더(2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410)보다 하부에 배치된 제2부재(430)가 홀더(200)에 결합된다.
홀더(200)와 락킹부재(400)는 후크를 통해 결합된다.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 하부에는 제1후크돌기(23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후크돌기(230)는 4개가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제1후크돌기(230)는 서로 연결되어 홀더(200)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의 외주면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2후크돌기(431)가 삽입되는 제2후크돌기삽입홈이 온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후크돌기삽입홈은 제1후크돌기(230) 상부에 배치된다.
제2부재(430)에는 내측에 제2후크돌기(43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후크돌기(431)는 제2부재(430)의 내주면을 따라 온둘레에 형성된다.
제2후크돌기(431)는 제1후크돌기(230)에 걸려서 홀더(200)와 락킹부재(400)는 서로 결합된다.
제2부재(430)의 외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부재(430)의 외경은 하부로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락킹부재(400)의 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1부재(410)는 바닥면(110)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세하게는, 제1부재(410)는 홈(112) 하부에 배치된다.
탄성암(420)은 여러개 형성되며, 여러개의 탄성암(420)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탄성암(420)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부분(421)과, 제1부분(421)에 경사지게 절곡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부분(422)과, 제2부분(422)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부분(423)과, 제3부분(423)에 절곡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부분(424)을 포함한다.
제1부분(421)은 제2부재(430) 외측에 형성된다.
제2부분(422)과 제4부분(424)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4부분(424)은 제1부재(4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용기본체(100)에는 탄성암(420)이 접힐 때 수용되는 수용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수용홈(114)은 상기 둘레부와 홈(112) 사이에 배치되도록 바닥면(110)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의 용기본체(10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입구(111)가 형성되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을 둘러싸는 측벽(120)을 포함하는 용기본체(100)를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측벽(120)의 제2측벽(122)의 외주면에 음료 주입 장치(500)에 걸리는 걸림돌기(122a)를 핫멜트 공법으로 형성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걸림돌기(122a)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 조립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용기본체(100)의 주입구(111)에 패킹부재(300)가 설치된 홀더(200)를 상부에서 끼워넣고, 하부에서 락킹부재(400)를 밀어넣으면 제1후크돌기(230)와 제2후크돌기(431)가 서로 걸려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아주 단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락킹부재(400)를 밀어넣을 때 제1부재(410)의 직경이 제2부재(430)의 직경보다 커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500)의 노즐(540)은 상부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노즐(540)은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된다.
노즐(540)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출부(545)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배출부(545)는 복수개(예를 들어 3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배출부(545)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545)는 주입구멍(221)에 연통된다.
노즐(540)은 축경부(541)와, 상기 축경부(541)의 하부에 배치되는 확경부(542)를 포함한다.
축경부(541)는 확경부(542)보다 외경이 작도록 형성된다.
축경부(541)의 상하길이는 홀더측벽부(220)의 내벽 길이와 동일 유사하거나 작도록 형성된다.
축경부(541)의 외경은 홀더측벽부(220)의 내경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된다.
확경부(542)의 외경은 홀더측벽부(220)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540)을 홀더측벽부(220)에 끼울 때 홀더측벽부(220)의 하면은 확경부(542)에 걸리게 된다.
노즐(540)의 상부인 축경부(541)에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부(544)가 형성된다.
테이퍼부(544)는 노즐(540)의 상부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노즐(540)이 형성되어 음료 용기를 수직방향이 아닌 약간 기울인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상기 노즐(540)에 끼우거나 뺄 수 있다.
노즐(540)은 외주면에 실링부재(543)가 설치된다. 실링부재(543)는 오링으로 구비된다.
실링부재(543)는 노즐(540)의 배출부(545)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실링부재(543)는 축경부(541)와 상기 확경부(542) 사이에 배치된다. 즉, 실링부재(543)는 축경부(541)의 하단 외측에 배치되고 확경부(542)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실링부재(543)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543)는 노즐(540)의 삽입이 완료되어 홀더측벽부(220)의 하면이 걸리는 부분에 설치 및 배치된다.
실링부재(543)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노즐(540)에 음료 용기를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으며 동시에 실링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즉, 실링부재(543)는 상기 음료 용기의 하면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500)의 노즐(540) 사이에 배치된다.
실링부재(543)는 상기 음료 용기의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543)는 노즐(540)과 음료 용기의 마주보는 면 중에서 상기 음료 용기의 끼워지는 방향(상하방향)에 수직한 면(좌우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500)는 노즐(540)의 양측 둘레에 각각 배치되는 그리퍼(530)와, 노즐(540)과 그리퍼(530)가 설치되는 지지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530)는 지지부(51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리미트 하우징(520)에 의해 지지부(510)에 설치된다. 리미트 하우징(520)은 두개가 구비되어 두개의 그리퍼(530)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퍼(530)는 상면(531)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퍼(530)의 상면(531) 양측에는 리미트 안착홈(535)이 각각 형성된다. 리미트 안착홈(535)은 상면(531)의 양 끝단 외측 모서리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리미트 안착홈(535)에는 리미트 하우징(520)의 양측 일부가 안착된다.
그리퍼(530)의 양 끝단은 직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리미트 하우징(5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또한, 그리퍼(530)의 양 끝단의 측벽에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재질의 철판(534)이 부착된다. 이러한 철판(534)은 리미트 하우징(520)에서 그리퍼(530)의 양 끝단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는 자석(미도시)에 부착된다.
그리퍼(530)의 내측에는 걸림돌기(122a)가 걸리는 걸림턱(532)이 형성된다.
걸림턱(532)은 하부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걸림턱(532)은 상면(531)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다.
걸림턱(532)은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되, 중간 부분의 R값이 끝단 부분의 R값보다 작게 해서 음료 용기를 기울려서 빼낼 때 보다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리퍼(530)의 양단 하부에는 지지다리(533)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다리(533)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다리(533)는 리브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지다리(533)는 걸림턱(532)의 양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걸림턱(532)은 지지부(5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걸림돌기(122a)가 삽입되는 상기 걸림홈은 상기 그리퍼(530)의 걸림턱(532)과 지지부(510) 사이에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음료 공급 장치(500)의 노즐(540)이 음료 용기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되도록 상기 음료 용기를 아래로 밀어 넣는다. 이로 인해, 노즐(540)은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되고 실링부재(543)은 홀더측벽부(2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음료 용기의 걸림돌기(122a)는 그리퍼(530)의 걸림턱(532)에 걸린다. 따라서, 실링부재(543)는 눌리게 되어 노즐(540)과 홀더측벽부(220)는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로 인해 노즐(540)과 상기 음료 용기 사이의 실링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노즐(540)이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되어, 상기 노즐(540)의 가압에 의하여 락킹부재(400)의 탄성암(420)은 탄성변형되어 접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홀더(200) 및 패킹부재(300)는 상승한다. 이로 인해, 주입구멍(221)은 수용부(101)에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540)을 통해 주입되는 음료가 바닥면(110)을 통해 수용부(101)로 주입된다.
음료 주입이 끝나서 상기 음료 용기를 기울여서 빼내면 걸림돌기(122a)는 걸림턱(532)으로부터 빠져나오고 노즐(540)은 홀더(200)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탄성암(420)은 원상태로 복귀되어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의 사이 거리는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부재(420)에 연결된 홀더(200)는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주입구(111)는 덮개부(210)로 막히게 된다. 또한, 홀더(200)가 하강됨에 따라 패킹부재(300)도 동시에 하강되어, 패킹부재(300)의 돌출부(301)는 홈(112)에 삽입되어,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된다. 따라서, 수용부(101)에 수용된 음료는 주입구(111)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본체 101 : 수용부
110 : 바닥면 111 : 주입구
120 : 측벽 130 : 리브
200 : 홀더 300 : 패킹부재
400 : 락킹부재

Claims (6)

  1. 음료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된 주입구에 삽입되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외주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음료 용기의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축경부와, 상기 축경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확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축경부와 상기 확경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상부에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상부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6. 주입구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음료 용기;
    상기 주입구에 삽입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용기의 하면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PCT/KR2016/004626 2015-05-12 2016-05-02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WO2016182245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73,449 US10501308B2 (en) 2015-05-12 2016-05-02 Beverage feeder and beverage feeder assembly
CN201680027577.9A CN107580585B (zh) 2015-05-12 2016-05-02 饮料供给器和饮料供给器组件
EP16792891.0A EP3296252A4 (en) 2015-05-12 2016-05-02 Beverage feeder and beverage feeder assembly
JP2017559433A JP2018517623A (ja) 2015-05-12 2016-05-02 飲料供給装置及び飲料供給装置アセンブ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776 2015-05-12
KR1020150065776A KR101701252B1 (ko) 2015-05-12 2015-05-12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2245A1 true WO2016182245A1 (ko) 2016-11-17

Family

ID=5724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4626 WO2016182245A1 (ko) 2015-05-12 2016-05-02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01308B2 (ko)
EP (1) EP3296252A4 (ko)
JP (1) JP2018517623A (ko)
KR (1) KR101701252B1 (ko)
CN (1) CN107580585B (ko)
WO (1) WO20161822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22627A1 (pl) * 2017-08-24 2019-02-25 Chuptyś Janusz Contissi System do napełniania od dołu pojemników porcjowych napojami, zwłaszcza gazowanymi
KR20190002057U (ko) * 2015-12-29 2019-08-13 과노베이션 리미티드 저부로부터 위로 액체를 주입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1760B2 (ja) * 2018-08-01 2023-10-16 ノヴァデルタ - コメルシオ エ インダストリア デ カフェス,エルディーエー 複合型飲用容器を備えた飲料分配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プロセス
USD906056S1 (en) * 2018-12-05 2020-12-29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68893S1 (en) 2019-06-24 2022-11-08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62702S1 (en) * 2020-06-19 2022-09-06 Silgan Containers Llc Stackable, thin-metal cup
USD974845S1 (en) 2020-07-15 2023-01-10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1012617S1 (en) 2021-02-22 2024-01-30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1878A (ja) * 1995-01-09 1998-11-17 スプリントヴェス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ヌ.ブイ. 折り畳み式石鹸ディスペンサー
KR20120065298A (ko) * 2012-05-09 2012-06-20 정인 용기바닥면에 차폐장치를 구비한 음료공급시스템
JP2013520376A (ja) * 2010-02-26 2013-06-06 マニトワック・フードサービス・カンパニーズ・エルエルシー 分注システム及び分注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KR101333154B1 (ko) * 2012-05-09 2013-11-26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생맥주 자동 정량 주출장치
KR20140115749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더팬 코리아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3152C1 (en) * 1991-10-07 2001-11-13 Oasis Corp Bottle cap and valve assembly for a bottled water station
CA2588827C (en) * 2004-11-21 2015-06-23 David Mitchell Windmiller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US20080223478A1 (en) * 2007-03-18 2008-09-18 Eerik Torm Hantso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bottom-up filling of beverage containers
US8777182B2 (en) * 2008-05-20 2014-07-15 Grinon Industries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CN102099251B (zh) * 2008-05-20 2015-07-01 格里南实业公司 流体输送组件及流体输送方法
KR101243382B1 (ko) 2011-09-27 2013-03-21 문하규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A2862646C (en) * 2011-12-30 2020-06-02 Grinon Industries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KR101413728B1 (ko) * 2012-11-08 2014-07-01 문성수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KR101428334B1 (ko) 2012-12-28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밸브용 캠
US9016333B2 (en) * 2013-01-02 2015-04-28 General Electric Company Bottom fill kitchen sink feature
JP6105343B2 (ja) 2013-03-19 2017-03-29 有限会社ユタカ産業 飲料コップ本体
EP2837427B1 (en) * 2013-08-14 2016-06-08 Caseti Company Limited Refill system of a liquid container
KR101498251B1 (ko) * 2014-05-26 2015-03-09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SG11201607707TA (en) * 2014-07-09 2016-11-29 Jrp Corp Beverage container for injecting beverage through bottom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1878A (ja) * 1995-01-09 1998-11-17 スプリントヴェス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ヌ.ブイ. 折り畳み式石鹸ディスペンサー
JP2013520376A (ja) * 2010-02-26 2013-06-06 マニトワック・フードサービス・カンパニーズ・エルエルシー 分注システム及び分注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KR20120065298A (ko) * 2012-05-09 2012-06-20 정인 용기바닥면에 차폐장치를 구비한 음료공급시스템
KR101333154B1 (ko) * 2012-05-09 2013-11-26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생맥주 자동 정량 주출장치
KR20140115749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더팬 코리아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VERSE TAP.", YOUTUBE, 9 May 2015 (2015-05-09), XP054977003,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www.youtube.com/watch?v-a-4Dq-GP1x0> *
See also references of EP3296252A4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057U (ko) * 2015-12-29 2019-08-13 과노베이션 리미티드 저부로부터 위로 액체를 주입하는 시스템
JP2020500794A (ja) * 2015-12-29 2020-01-16 石榴創新有限公司Guanovation Limited ボトムアップ型液体注ぎシステム
KR200494935Y1 (ko) * 2015-12-29 2022-02-08 과노베이션 리미티드 저부로부터 위로 액체를 주입하는 시스템
PL422627A1 (pl) * 2017-08-24 2019-02-25 Chuptyś Janusz Contissi System do napełniania od dołu pojemników porcjowych napojami, zwłaszcza gazowanym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6252A4 (en) 2018-12-05
CN107580585A (zh) 2018-01-12
JP2018517623A (ja) 2018-07-05
KR20160133128A (ko) 2016-11-22
EP3296252A1 (en) 2018-03-21
CN107580585B (zh) 2019-09-27
US10501308B2 (en) 2019-12-10
KR101701252B1 (ko) 2017-02-01
US20180141799A1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82245A1 (ko)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WO2018026070A1 (ko)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
CA2996946C (en) Child resistant cap and dispenser
EP1341226B1 (en) Seal member, and substrate storage container using the seal member
WO2010101389A2 (ko) 용기 마개
ES2518991T3 (es) Cierre de distribución indicativo de manipulación indebida
WO2013151264A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
US4171749A (en) Pourer closure
WO2013109103A1 (ko) 저장용기
WO2017171443A1 (ko)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EP4129850A1 (en) A tamper-evident closure
WO2017039091A1 (ko) 전기밥솥
WO2016200172A1 (ko) 세척 가능 빨대
KR840003488A (ko) 플래스틱 뚜껑과 용기의 목부분의 조립체
WO2023054949A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WO2016182244A1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락킹부재
WO2016182247A1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및 음료 용기 제조방법
WO2013065952A1 (ko) 화장품 용기
WO2016122157A1 (ko) 음료 용기
WO2016182305A1 (ko)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WO2017155153A1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WO2017057816A1 (ko) 첨가제 투입수단이 구비된 음료용기용 캡슐형 마개
WO2017039380A1 (ko) 살균 기능을 가지는 분리형 용기
WO2020153668A1 (ko)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장치
WO2016182246A1 (ko) 음료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928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5943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7344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792891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