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128A -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128A
KR20160133128A KR1020150065776A KR20150065776A KR20160133128A KR 20160133128 A KR20160133128 A KR 20160133128A KR 1020150065776 A KR1020150065776 A KR 1020150065776A KR 20150065776 A KR20150065776 A KR 20150065776A KR 20160133128 A KR20160133128 A KR 20160133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nozzle
beverage container
holder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252B1 (ko
Inventor
송인환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50065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252B1/ko
Priority to US15/573,449 priority patent/US10501308B2/en
Priority to PCT/KR2016/004626 priority patent/WO2016182245A1/ko
Priority to CN201680027577.9A priority patent/CN107580585B/zh
Priority to EP16792891.0A priority patent/EP3296252A4/en
Priority to JP2017559433A priority patent/JP2018517623A/ja
Publication of KR2016013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2Froth control preventing fr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19/2233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related to the evolution of bubbles in carbonated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4Supports for the vessel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55Details relat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quid contain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5Openings fo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실링부재는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노즐에 음료 용기를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으며 동시에 실링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Dispenser of beverage and dispenser assembly of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실링부재는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품이 형성되는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로써, 일례로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는 맥주잔은 투명한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 제품으로 이루어지며, 한 번에 비교적 많은 양을 따라 마시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500cc, 1000cc의 맥주를 담아 마실 수 있는 맥주잔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 종래의 맥주잔은 하부 바닥이 차단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음료가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음료 공급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생맥주 등의 음료는 다른음료에 비하여 맥주를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따르게 됨에 따라 주입 압력에 의하여 맥주 거품이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 되는바, 맥주잔 등의 용기에 음료를 주입한 후 거품을 일일이 제거해주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생맥주 공급장치로 음료 용기에 생맥주를 공급할 때, 주로 상측에서 공급하므로 온도가 맞지 않는 경우 거품이 다량 발생하여 흘러 내려 의복을 젖게 하거나 위생상 좋지 않았으며, 너무 많은 거품으로 인해 생맥주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맥주잔은 맥주를 따를 때 맥주가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산화되면서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생맥주를 마시는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음료 용기의 저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생맥주를 공급하는 경우 생맥주 거품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는 있으나, 이 방법을 적용하려고 하여도 생맥주를 음료 용기 바닥 구멍으로 주입한 후, 구멍을 밀봉하는 방법이 적절하지 않아 채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음료 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382호(2013.03.07.)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이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1은 음료컵의 바닥 내외부로 관통 형성되고,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컵 내부에 음료를 공급하는 주입구와, 음료컵의 바닥 외면과 바닥내면에 각각 마련되고,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가 강제 주입된 후 주입구를 밀봉하도록 자력 부착되는 자력차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 기술1은 주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료 주입이 완료되면 자력을 통해 자력차단부가 주입구를 폐쇄시켜 음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1은 자력을 갖는 금속 재질의 자력차단부가 사용됨에 따라 음료가 자력차단부에 접촉하기 쉽고, 이러한 접촉은 음료컵을 장기간 사용할경우 녹이 스는 등 음료를 변질시킬 위험성을 매우 크게 내포하고 있는바 사람이 직접 음용하는 음료 용기로써 위생 관리 및 인체에 무해한 용기로써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 기술1을 따를 경우 상기 자력차단부가 음료에 직접 접촉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기술이 요구되는 바, 이러한 제작 방식은 음료 컵의 제작용이성 관점에서 불합리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상승함에 따라 저가의 소비재로써 음료 컵을 대중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4-180438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는 주입구가 용기 측면에 형성되어 주입되는 액체의 흐름이 소용돌이 모양이 되도록 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은 주입구가 용기 측면에 형성되어 구조가 복잡하여 성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주입구가 용기 측면에 형성되어 음료 공급장치와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홀더를 탄성지지하는 락킹부재를 구비하는 음료 용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료 용기는 노즐의 측벽과 홀더의 내벽 사이에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음료 용기를 노즐에 탈착할 때 실링부재로 인한 마찰과 끼임현상으로 인해 탈착이 용이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4338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4-180438호 한국특허출원 제2014-008588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노즐에 음료 용기를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으며 동시에 실링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된 주입구에 삽입되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외주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음료 용기의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즐은 축경부와, 상기 축경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확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축경부와 상기 확경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상부에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의 상부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는, 주입구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음료 용기와, 상기 주입구에 삽입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용기의 하면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실링부재는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노즐에 음료 용기를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으며 동시에 실링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음료 용기의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어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축경부와, 상기 축경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확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축경부와 상기 확경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상부에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노즐의 상부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음료 용기를 수직방향이 아닌 약간 기울인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상기 노즐에 끼우거나 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주요부 분리 단면도.
도 5b는 도 5a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5b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홀더와 패킹부재와 락킹부재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도.
도 9는 도 5b의 단면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에 끼워넣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를 주입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그리퍼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에 음료 용기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는, 주입구(111)가 바닥면(110)에 형성되는 음료 용기와, 상기 주입구(111)에 삽입되는 노즐(540)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는, 주입구(111)가 형성되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을 둘러싸는 측벽(120)을 포함하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111)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111)를 개폐하는 홀더(200)와, 상기 홀더(200)와 상기 용기본체(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200)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400)는 제1부재(410)와, 상기 제1부재(4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430)와, 상기 제1부재(410)와 상기 제2부재(430)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20)은 바닥면(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측벽(121)과 바닥면(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측벽(122)을 포함한다.
제1측벽(121)은 상부로 향할수록 내경 및 외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제1측벽(121) 상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플랜지 하부에는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차부 하부에는 제2단차부가 형성된다. 제1측벽(121) 하단에는 둘레를 따라 둘레함몰홈이 형성된다. 상기 둘레함몰홈을 이루는 내측벽은 제2측벽(122)의 상단에 연속되게 형성된다.
용기본체(100)에는 바닥면(110)과 제1측벽(121)에 의해 둘러싸이는 수용부(101)가 형성된다.
제2측벽(122)은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제2측벽(122) 중간 부분에는 외주면에 이하 서술되는 음료 주입 장치(500)에 걸리는 걸림돌기(122a)가 형성된다.
걸림돌기(122a)는 양끝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돌기(122a)의 수직 단면형상은 반원형상이 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음료 주입 장치(500)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제2측벽(1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음료 용기의 외주면과 음료 공급 장치(500) 중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0)는 바닥면(110)과 측벽(120)의 연결부분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리브(130)는 방사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형성된다. 리브(130)는 음료 용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130)는 음료 용기를 여러개 겹쳐서 적층시켜서 보관할 경우 용기끼리 서로 끼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130)는 용기본체(100) 내부에 배치된다.
리브(130)는 용기본체(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리브(1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110)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용기본체(100)에서 리브(130)가 형성된 면에는 굴곡부(123)가 형성된다.
즉, 바닥면(110)과 측벽(120)의 연결부분에 굴곡부(123)가 형성된다.
한편, 제2측벽(122)의 내측 상부에는 보강리브(12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강리브(124)는 바닥면(110)의 저면에 상부가 연결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0)는 주입구(111)를 덮는 원판형상의 덮개부(210)와, 덮개부(210) 하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측벽부(220)를 포함한다.
덮개부(210)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주입구(111)보다 단면적이 큰 원형으로 형성된다.
덮개부(210) 중앙 부분에는 상부로 돌출된 덮개돌출부(211)가 형성된다.
덮개돌출부(211)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덮개돌출부(211)의 최대외경은 홀더측벽부(220)와 유사 또는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덮개돌출부(211)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덮개홈(212)이 형성된다.
홀더측벽부(220)는 주입구(111)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주입구멍(221)이 형성된다. 주입구멍(221)은 주입구(111)가 열릴 때 수용부(101)에 연통된다.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는 상기 홀더(200)와 상기 용기본체(100)에서 상기 주입구(111)가 형성된 면인 바닥면(110)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재(300)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패킹부재(300)는 수직 단면형상이 상면은 평탄하고 하면은 대체적으로 반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패킹부재(300)는 아래로 향할수록 수직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패킹부재(300)는 하단에 온 둘레를 따라 미세돌기(301)가 형성되어 있다.
미세돌기(301)는 두개가 형성되고, 내측과 외측에 방사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미세돌기(301)로 인해 실링은 효과적으로 되는 동시에 패킹부재(300)가 바닥면(110)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홀더(200)의 승강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300)는 평탄한 상면이 홀더(200)의 덮개부(210) 하면에 설치된다.
나아가, 패킹부재(300)가 삽입되는 홈(114)이 바닥면(110)에 형성된 융기부(113)에 형성된다.
융기부(113)는 바닥면(110)에서 주입구(111) 둘레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홈(114)은 융기부(113)의 중간 부분이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융기부(113)의 내측단에는 주입구(111)를 둘러싸는 둘레부가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락킹부재(400)는 제1부재(410)와, 제1부재(4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430)와, 제1부재(410)와 제2부재(430)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420)을 포함한다.
제1,2부재(410, 43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2부재(410, 430)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410)는 제2부재(43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2부재(410, 430) 중 하나는 홀더(2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410)보다 하부에 배치된 제2부재(430)가 홀더(200)에 결합된다.
홀더(200)와 락킹부재(400)는 후크를 통해 결합된다.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 하부에는 제1후크돌기(23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후크돌기(230)는 4개가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제1후크돌기(230)는 서로 연결되어 홀더(200)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의 외주면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2후크돌기(431)가 삽입되는 제2후크돌기삽입홈이 온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후크돌기삽입홈은 제1후크돌기(230) 상부에 배치된다.
제2부재(430)에는 내측에 제2후크돌기(43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후크돌기(431)는 제2부재(430)의 내주면을 따라 온둘레에 형성된다.
제2후크돌기(431)는 제1후크돌기(230)에 걸려서 홀더(200)와 락킹부재(400)는 서로 결합된다.
제2부재(430)의 외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부재(430)의 외경은 하부로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락킹부재(400)의 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1부재(410)는 바닥면(110)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세하게는, 제1부재(410)는 홈(112) 하부에 배치된다.
탄성암(420)은 여러개 형성되며, 여러개의 탄성암(420)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탄성암(420)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부분(421)과, 제1부분(421)에 경사지게 절곡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부분(422)과, 제2부분(422)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부분(423)과, 제3부분(423)에 절곡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부분(424)을 포함한다.
제1부분(421)은 제2부재(430) 외측에 형성된다.
제2부분(422)과 제4부분(424)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4부분(424)은 제1부재(4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용기본체(100)에는 탄성암(420)이 접힐 때 수용되는 수용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수용홈(114)은 상기 둘레부와 홈(112) 사이에 배치되도록 바닥면(110)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의 용기본체(10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입구(111)가 형성되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을 둘러싸는 측벽(120)을 포함하는 용기본체(100)를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측벽(120)의 제2측벽(122)의 외주면에 음료 주입 장치(500)에 걸리는 걸림돌기(122a)를 핫멜트 공법으로 형성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걸림돌기(122a)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 조립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용기본체(100)의 주입구(111)에 패킹부재(300)가 설치된 홀더(200)를 상부에서 끼워넣고, 하부에서 락킹부재(400)를 밀어넣으면 제1후크돌기(230)와 제2후크돌기(431)가 서로 걸려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아주 단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락킹부재(400)를 밀어넣을 때 제1부재(410)의 직경이 제2부재(430)의 직경보다 커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500)의 노즐(540)은 상부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노즐(540)은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된다.
노즐(540)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출부(545)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배출부(545)는 복수개(예를 들어 3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배출부(545)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545)는 주입구멍(221)에 연통된다.
노즐(540)은 축경부(541)와, 상기 축경부(541)의 하부에 배치되는 확경부(542)를 포함한다.
축경부(541)는 확경부(542)보다 외경이 작도록 형성된다.
축경부(541)의 상하길이는 홀더측벽부(220)의 내벽 길이와 동일 유사하거나 작도록 형성된다.
축경부(541)의 외경은 홀더측벽부(220)의 내경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된다.
확경부(542)의 외경은 홀더측벽부(220)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540)을 홀더측벽부(220)에 끼울 때 홀더측벽부(220)의 하면은 확경부(542)에 걸리게 된다.
노즐(540)의 상부인 축경부(541)에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부(544)가 형성된다.
테이퍼부(544)는 노즐(540)의 상부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노즐(540)이 형성되어 음료 용기를 수직방향이 아닌 약간 기울인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상기 노즐(540)에 끼우거나 뺄 수 있다.
노즐(540)은 외주면에 실링부재(543)가 설치된다. 실링부재(543)는 오링으로 구비된다.
실링부재(543)는 노즐(540)의 배출부(545)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실링부재(543)는 축경부(541)와 상기 확경부(542) 사이에 배치된다. 즉, 실링부재(543)는 축경부(541)의 하단 외측에 배치되고 확경부(542)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실링부재(543)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543)는 노즐(540)의 삽입이 완료되어 홀더측벽부(220)의 하면이 걸리는 부분에 설치 및 배치된다.
실링부재(543)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노즐(540)에 음료 용기를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으며 동시에 실링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즉, 실링부재(543)는 상기 음료 용기의 하면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500)의 노즐(540) 사이에 배치된다.
실링부재(543)는 상기 음료 용기의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543)는 노즐(540)과 음료 용기의 마주보는 면 중에서 상기 음료 용기의 끼워지는 방향(상하방향)에 수직한 면(좌우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500)는 노즐(540)의 양측 둘레에 각각 배치되는 그리퍼(530)와, 노즐(540)과 그리퍼(530)가 설치되는 지지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530)는 지지부(51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리미트 하우징(520)에 의해 지지부(510)에 설치된다. 리미트 하우징(520)은 두개가 구비되어 두개의 그리퍼(530)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퍼(530)는 상면(531)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퍼(530)의 상면(531) 양측에는 리미트 안착홈(535)이 각각 형성된다. 리미트 안착홈(535)은 상면(531)의 양 끝단 외측 모서리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리미트 안착홈(535)에는 리미트 하우징(520)의 양측 일부가 안착된다.
그리퍼(530)의 양 끝단은 직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리미트 하우징(5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또한, 그리퍼(530)의 양 끝단의 측벽에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재질의 철판(534)이 부착된다. 이러한 철판(534)은 리미트 하우징(520)에서 그리퍼(530)의 양 끝단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는 자석(미도시)에 부착된다.
그리퍼(530)의 내측에는 걸림돌기(122a)가 걸리는 걸림턱(532)이 형성된다.
걸림턱(532)은 하부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걸림턱(532)은 상면(531)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다.
걸림턱(532)은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되, 중간 부분의 R값이 끝단 부분의 R값보다 작게 해서 음료 용기를 기울려서 빼낼 때 보다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리퍼(530)의 양단 하부에는 지지다리(533)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다리(533)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다리(533)는 리브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지다리(533)는 걸림턱(532)의 양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걸림턱(532)은 지지부(5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걸림돌기(122a)가 삽입되는 상기 걸림홈은 상기 그리퍼(530)의 걸림턱(532)과 지지부(510) 사이에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음료 공급 장치(500)의 노즐(540)이 음료 용기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되도록 상기 음료 용기를 아래로 밀어 넣는다. 이로 인해, 노즐(540)은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되고 실링부재(543)은 홀더측벽부(2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음료 용기의 걸림돌기(122a)는 그리퍼(530)의 걸림턱(532)에 걸린다. 따라서, 실링부재(543)는 눌리게 되어 노즐(540)과 홀더측벽부(220)는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로 인해 노즐(540)과 상기 음료 용기 사이의 실링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노즐(540)이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되어, 상기 노즐(540)의 가압에 의하여 락킹부재(400)의 탄성암(420)은 탄성변형되어 접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홀더(200) 및 패킹부재(300)는 상승한다. 이로 인해, 주입구멍(221)은 수용부(101)에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540)을 통해 주입되는 음료가 바닥면(110)을 통해 수용부(101)로 주입된다.
음료 주입이 끝나서 상기 음료 용기를 기울여서 빼내면 걸림돌기(122a)는 걸림턱(532)으로부터 빠져나오고 노즐(540)은 홀더(200)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탄성암(420)은 원상태로 복귀되어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의 사이 거리는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부재(420)에 연결된 홀더(200)는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주입구(111)는 덮개부(210)로 막히게 된다. 또한, 홀더(200)가 하강됨에 따라 패킹부재(300)도 동시에 하강되어, 패킹부재(300)의 돌출부(301)는 홈(112)에 삽입되어,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된다. 따라서, 수용부(101)에 수용된 음료는 주입구(111)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용기본체 101 : 수용부
110 : 바닥면 111 : 주입구
120 : 측벽 130 : 리브
200 : 홀더 300 : 패킹부재
400 : 락킹부재

Claims (6)

  1. 음료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된 주입구에 삽입되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외주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음료 용기의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축경부와, 상기 축경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확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축경부와 상기 확경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상부에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상부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6. 주입구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음료 용기;
    상기 주입구에 삽입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용기의 하면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노즐의 배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KR1020150065776A 2015-05-12 2015-05-12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KR101701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776A KR101701252B1 (ko) 2015-05-12 2015-05-12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US15/573,449 US10501308B2 (en) 2015-05-12 2016-05-02 Beverage feeder and beverage feeder assembly
PCT/KR2016/004626 WO2016182245A1 (ko) 2015-05-12 2016-05-02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CN201680027577.9A CN107580585B (zh) 2015-05-12 2016-05-02 饮料供给器和饮料供给器组件
EP16792891.0A EP3296252A4 (en) 2015-05-12 2016-05-02 Beverage feeder and beverage feeder assembly
JP2017559433A JP2018517623A (ja) 2015-05-12 2016-05-02 飲料供給装置及び飲料供給装置アセンブ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776A KR101701252B1 (ko) 2015-05-12 2015-05-12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128A true KR20160133128A (ko) 2016-11-22
KR101701252B1 KR101701252B1 (ko) 2017-02-01

Family

ID=5724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776A KR101701252B1 (ko) 2015-05-12 2015-05-12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01308B2 (ko)
EP (1) EP3296252A4 (ko)
JP (1) JP2018517623A (ko)
KR (1) KR101701252B1 (ko)
CN (1) CN107580585B (ko)
WO (1) WO2016182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K1218485A2 (zh) * 2015-12-29 2017-02-17 劉育衡 號 底部往上液體灌注系統
PL422627A1 (pl) * 2017-08-24 2019-02-25 Chuptyś Janusz Contissi System do napełniania od dołu pojemników porcjowych napojami, zwłaszcza gazowanymi
JP7361760B2 (ja) * 2018-08-01 2023-10-16 ノヴァデルタ - コメルシオ エ インダストリア デ カフェス,エルディーエー 複合型飲用容器を備えた飲料分配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プロセス
USD906056S1 (en) * 2018-12-05 2020-12-29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68893S1 (en) 2019-06-24 2022-11-08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62702S1 (en) * 2020-06-19 2022-09-06 Silgan Containers Llc Stackable, thin-metal cup
USD974845S1 (en) 2020-07-15 2023-01-10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1012617S1 (en) 2021-02-22 2024-01-30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1878A (ja) * 1995-01-09 1998-11-17 スプリントヴェス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ヌ.ブイ. 折り畳み式石鹸ディスペンサー
KR20120065298A (ko) * 2012-05-09 2012-06-20 정인 용기바닥면에 차폐장치를 구비한 음료공급시스템
KR101243382B1 (ko) 2011-09-27 2013-03-21 문하규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85888A (ko) 2012-12-2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밸브용 캠
JP2014180438A (ja) 2013-03-19 2014-09-29 Yutaka Sangyo:Kk 飲料コップ本体
KR20140115749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더팬 코리아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
KR101498251B1 (ko) * 2014-05-26 2015-03-09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3152C1 (en) * 1991-10-07 2001-11-13 Oasis Corp Bottle cap and valve assembly for a bottled water station
CA2588827C (en) * 2004-11-21 2015-06-23 David Mitchell Windmiller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US20080223478A1 (en) * 2007-03-18 2008-09-18 Eerik Torm Hantso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bottom-up filling of beverage containers
US8777182B2 (en) * 2008-05-20 2014-07-15 Grinon Industries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CN102099251B (zh) * 2008-05-20 2015-07-01 格里南实业公司 流体输送组件及流体输送方法
EP2539229A4 (en) * 2010-02-26 2014-06-11 Manitowoc Foodservice Co Inc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CA2862646C (en) * 2011-12-30 2020-06-02 Grinon Industries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KR101333154B1 (ko) * 2012-05-09 2013-11-26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생맥주 자동 정량 주출장치
KR101413728B1 (ko) * 2012-11-08 2014-07-01 문성수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US9016333B2 (en) * 2013-01-02 2015-04-28 General Electric Company Bottom fill kitchen sink feature
EP2837427B1 (en) * 2013-08-14 2016-06-08 Caseti Company Limited Refill system of a liquid container
SG11201607707TA (en) * 2014-07-09 2016-11-29 Jrp Corp Beverage container for injecting beverage through bottom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1878A (ja) * 1995-01-09 1998-11-17 スプリントヴェス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ヌ.ブイ. 折り畳み式石鹸ディスペンサー
KR101243382B1 (ko) 2011-09-27 2013-03-21 문하규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65298A (ko) * 2012-05-09 2012-06-20 정인 용기바닥면에 차폐장치를 구비한 음료공급시스템
KR20140085888A (ko) 2012-12-2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밸브용 캠
JP2014180438A (ja) 2013-03-19 2014-09-29 Yutaka Sangyo:Kk 飲料コップ本体
KR20140115749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더팬 코리아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
KR101498251B1 (ko) * 2014-05-26 2015-03-09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6252A4 (en) 2018-12-05
CN107580585A (zh) 2018-01-12
JP2018517623A (ja) 2018-07-05
WO2016182245A1 (ko) 2016-11-17
EP3296252A1 (en) 2018-03-21
CN107580585B (zh) 2019-09-27
US10501308B2 (en) 2019-12-10
KR101701252B1 (ko) 2017-02-01
US20180141799A1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252B1 (ko)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CN108202915B (zh) 杯盖
KR101783349B1 (ko)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
JP3890382B2 (ja) 液体容器
US7757728B2 (en) Funnel with shut off valve
US7066360B2 (en) Push-pull container closure
US20030094467A1 (en) Flui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of use
EP1874645A1 (en) Asymmetric lid for use with an open-top container
KR101498251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US20060273119A1 (en)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KR101667353B1 (ko) 음료 용기
KR101802358B1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KR20160133127A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락킹부재
JP5777131B1 (ja) 懸垂容器の注出ノズル自動閉止機構
US9517864B2 (en) Closure with an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
KR20160133129A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KR200489498Y1 (ko) 음료용 컵 뚜껑 및 이의 성형장치
WO2004039688A9 (en) Disposable leak proof child drinking cup
KR101656422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JP2575719Y2 (ja) 液体容器の栓
KR101660485B1 (ko) 음료 주입 장치
WO2004067398A1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JP2009515790A (ja) 飲料タンク用抜き弁並びにこのタイプの抜き弁が設けられた飲料タンク
CN103974646B (zh) 用于饮水杯的封闭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