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728B1 -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728B1
KR101413728B1 KR1020120125952A KR20120125952A KR101413728B1 KR 101413728 B1 KR101413728 B1 KR 101413728B1 KR 1020120125952 A KR1020120125952 A KR 1020120125952A KR 20120125952 A KR20120125952 A KR 20120125952A KR 101413728 B1 KR101413728 B1 KR 101413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pack
valve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465A (ko
Inventor
문성수
Original Assignee
문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수 filed Critical 문성수
Priority to KR102012012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7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된 물이 물통팩의 내부에 저장된 채로 외부노출이 차단되도록 하고, 물통팩이 디스펜서에 연결된 후에 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는, 내부에 생수(10)가 저장되는 생수팩(30)에 형성되되, 상기 생수(10)가 주입 또는 배출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주입공(110)이 구비되는 주입구몸체(100); 상기 주입공(110)에 결합 되고, 상기 생수(10)가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유동공(210)이 구비되는 밸브몸체(200); 및 상기 밸브몸체(200)의 하부에 연결되어 탄성을 발휘하면서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하는 실링몸체(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VALVE FOR WATER POURING OF WATER PAIL}
본 발명은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된 물이 물통팩의 내부에 저장된 채로 외부노출이 차단되도록 하고, 물통팩이 디스펜서에 연결된 후에 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器具)를 말한다.
형태로 분류하면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결형과 물을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형이 있으며,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여과식은 저장된 물이 중력으로 세라믹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수된다. 세라믹 필터의 기공의 크기보다 작은 바이러스, 중금속, 발암물질, 화학오염물질 등 미세한 오염물질 제거에 한계가 있고 청소와 필터교환을 자주 해야 한다.
직결여과식은 수도꼭지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물이 수압에 의하여 마이크로필터를 지나면서 불순물이 걸러진다.
자연여과식과 마찬가지로 미세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가 힘들며, 필터를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이온교환수지식은 이온교환수지 필터를 이용하여 물 속에 녹아 있는 금속 이온을 분리, 제거하는 방식으로, 유기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증류식은 물이 끓을 때 생기는 수증기를 식혀서 정수하는 방법으로, 용존산소나 미네랄까지 파괴되는 단점이 있고, 역삼투압식은 압력으로 물이 반투막을 통과하도록 하여 불순물을 걸러주는 방식으로, 오염물질뿐 아니라 미네랄까지 제거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렇게 정수 된 물은 정수 통에 저장되어 이동되고, 이동된 정수 통은 디스펜서와 연결되어 디스펜서를 통해 뜨거운 물과 시원한 물로 구분되어 음용 가능하게 된다.
최근에는, 디스펜서에 연결되는 정수 통을 팩 형태로 이루어진 비닐 소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물이 내장된 팩을 이동시 팩에 내장된 물이 외부로 누수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이 내장된 팩을 디스펜서에 연결된 후에도, 외부에서 디스펜서의 작동 이전에 팩 내부의 물이 디스펜서의 외부로 누수 되어 물이 버려지고 디스펜서도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20-0174312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는, 외부에서 팩 내부로 원활하게 생수를 주입가능하고, 이동시 물이 팩의 외부로 누수 되는 것을 견고하게 차단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는, 디스펜서에 연결되는 팩의 내부에 내장된 물이 팩과 디스펜서의 외부로 누수 되어 물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는, 외부에서 팩 내부로 생수를 주입하고, 팩 내부에 주입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는, 내부에 생수(10)가 저장되는 생수팩(30)에 형성되되, 상기 생수(10)가 주입 또는 배출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주입공(110)이 구비되는 주입구몸체(100); 상기 주입공(110)에 결합 되고, 상기 생수(10)가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유동공(210)이 구비되는 밸브몸체(200); 및 상기 밸브몸체(200)의 하부에 연결되어 탄성을 발휘하면서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하는 실링몸체(300);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구몸체(100)는, 상기 생수팩(30)의 내부로 상기 생수(10)가 주입되기 이전에 상기 주입공(110)에 설치되어 상기 생수팩(30) 외부의 오염물이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판 형태의 차단판(120)과, 상기 생수팩(30)에 연결되기 위해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테두리 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판(150)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판(120)은, 상기 주입공(110)의 외부에서 파지가능하도록 상기 차단판(12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편(122)과, 상기 차단판(120)의 테두리부위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입공(110)에 연결되되,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주입공(110)과 분리되는 분리막(124)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판(120)은, 상기 주입공(110)에 억지 끼움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다.
상기 주입구몸체(100)는,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상기 생수(10)가 주입된 후 상기 생수팩(30)의 내부로 오염물이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주입공(110)을 밀폐하되, 상기 주입공(110)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주입공(110)의 부착부위에 접착층(132)이 형성되는 밀폐시트(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밸브몸체(200)는, 상기 주입공(110)에 체결되기 위해 외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230)와, 상기 실링몸체(300)와 연결되는 상기 밸브몸체(200)의 하부에 음각형성되는 연결홈(220)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공(110)은, 상기 체결돌기(230)와 체결되도록 상기 주입공(110)의 내경에 음각 형성되는 체결홈(112)을 포함한다.
상기 실링몸체(300)는, 상기 유동공(210)에 연결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하는 개폐판(310)과, 상기 밸브몸체(200)의 외면과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내면 사이에 밀착고정되는 밀착편(320)과, 상기 밀착편(320)과 상기 개폐판(310)의 테두리 부위를 상호 연결하며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다수 개가 사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310)이 상기 유동공(210)을 개구시, 상기 생수팩(30) 내부의 상기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암(330)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판(310)의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개폐판(310)이 상기 유동공(210)에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생수팩(30) 내부에 충진 된 상기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으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밸브몸체(200)를 가압하는 다수 개의 누수차단편(312)이 구비된다.
상기 밀착편(320)의 외면에는, 상기 밸브몸체(200)의 외면과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내면 사이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밸브몸체(200)의 외면과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내면 사이로 상기 생수(10)가 누수 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링(340)이 구비된다.
내부에 생수(10)가 저장되는 생수팩(30)에 형성되되, 상기 생수(10)가 주입 또는 배출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주입공(110)이 구비되는 주입구몸체(100); 상기 주입공(110)에 결합 되고, 상기 생수(10)가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유동공(210)이 구비되는 밸브몸체(200); 상기 밸브몸체(200)의 하부에 연결되어 탄성을 발휘하면서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하는 실링몸체(300); 및 상기 생수팩(30)이 안치되는 디스펜서(5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50)는, 상기 유동공(210)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상기 실링몸체(300)를 가압하여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할 수 있는 관 형태의 개폐봉(70)과, 상기 개폐봉(70)을 감싸면서 내부에서 상기 개폐봉(70)이 수평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하우징(80)과, 상기 연결하우징(80)의 외부에서 상기 개폐봉(70)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봉(70)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하우징(90) 및 상기 회전하우징(9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하우징(9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볼륨손잡이(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봉(70)은, 상기 연결하우징(80)에 연결되도록 상기 개폐봉(7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돌기(7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하우징(80)은, 상기 개폐봉(70)의 돌출돌기(72)가 관통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봉(70)이 상기 연결하우징(80)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하우징(8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나선 형태의 안내공(82)과, 상기 연결하우징(8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개폐봉(7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생수(10)가 상기 연결하우징(80)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50)의 내부로 유동 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하우징(80)의 외면 하부에 관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공급관(84)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하우징(90)은, 상기 돌출돌기(72)를 감싸는 장 홈 형태의 돌기연결홈(9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는, 팩 내부에 생수가 저장된 채로 그 팩이 이동시에, 생수가 팩 외부로 누수 되는 것을 견고하게 차단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는, 팩과 디스펜서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팩과 디스펜서의 외부로 팩 내부의 물이 누수 되는 것을 차단하여 물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 인해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는, 외부에서 팩 내부로 생수를 주입하고, 팩 내부에 주입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5b는 도 5a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된 물이 물통팩의 내부에 저장된 채로 외부노출이 차단되도록 하고, 물통팩이 디스펜서에 연결된 후에 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특히, 주입구몸체, 밸브몸체, 실링몸체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는, 내부에 생수(10)가 저장되는 생수팩(30)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로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상기 생수(10)가 유동 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생수팩(30)의 측면에 배치되는 주입구몸체(1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주입구몸체(100)에는, 상기 생수(10)가 주입 또는 배출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주입공(110)이 구비된다.
상기 주입공(110)은, 관 형태로 천공되어 상기 생수(10)가 상기 생수팩(3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공(110)에는, 상기 생수(10)가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유동공(210)이 구비되는 밸브몸체(200)가 결합 된다.
즉, 상기 밸브몸체(200)의 외경은 상기 주입공(110)의 내경에 밀착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되게 되고, 상기 유동공(210)은 상기 밸브몸체(200)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형성되게 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주입구몸체(100)를 통해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유동 되는 상기 생수(10)는 상기 유동공(210)을 통해 유동 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200)의 하부에는 탄성을 발휘하면서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하는 실링몸체(300)가 결합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실링몸체(300)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탄성을 갖고, 외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유동공(210) 상에서 유동 되면서 상기 생수팩(30) 내부에 저장된 상기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으로 유동 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몸체(200)는, 상기 주입공(110)에 체결되기 위해 외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230)와, 상기 실링몸체(300)와 연결되는 상기 밸브몸체(200)의 하부에 음각형성되는 연결홈(22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주입공(110)은, 상기 체결돌기(230)와 체결되도록 상기 주입공(110)의 내경에 음각 형성되는 체결홈(112)을 갖는다.
또한, 상기 실링몸체(300)는, 상기 유동공(210)에 연결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하는 개폐판(310)과, 상기 밸브몸체(200)의 외면과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내면 사이에 밀착고정되는 밀착편(320)을 갖는다.
상기 실링몸체(300)는, 상기 밀착편(320)과 상기 개폐판(310)의 테두리 부위를 상호 연결하며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다수 개가 사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310)이 상기 유동공(210)을 개구시, 상기 생수팩(30) 내부의 상기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암(33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주입구몸체(100)와 상기 밸브몸체(2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링몸체(300)는,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몸체(100)에는, 상기 생수팩(30)에 연결되기 위해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테두리 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판(150)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주입구몸체(100)는 상기 생수팩(30)의 측면을 관통하며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일부는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생수팩(3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주입구몸체(100)의 상기 주입공(110)에는 상기 밸브몸체(200)가 체결되어 고정배치되고, 상기 밸브몸체(200)의 하부에는 상기 실링몸체(300)가 체결 고정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충진 된 상기 생수(10)는, 상기 밸브몸체(200)의 상기 유동공(210)을 통해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공(210)을 통해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상기 실링몸체(300)가 상기 밸브몸체(200)에 연결된 채로 외부의 가압에 의해 탄성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실링몸체(300)가 상기 밸브몸체(200)에서 탄성을 발휘하는 것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 4a 내지, 도 4c를 살펴보면, 비닐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생수팩(30)의 내부에는 생수(10)가 저장되게 된다.
이러한 생수팩(30)에는, 사용자들이 상기 생수(10)를 음용 할 수 있도록 생수팩(30) 내부의 상기 생수(10)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개폐기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생수(10)가 상기 생수팩(30) 내부로 주입 되도록 하거나,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생수(10)가 상기 생수팩(30)의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도록 하는 주입공(110)이 구비된 주입구몸체(10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주입공(110)에는, 상기 생수(10)가 내부를 관통하여 유동 가능하도록 하는 유동공(210)이 구비되는 밸브몸체(200)가 결합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200)의 하부에는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 가능하도록 감싸면서 탄성을 발휘하는 실링몸체(300)가 결합 고정되게 된다.
상기 주입구몸체(100)와 밸브몸체(200) 및 실링몸체(300)는, 상기 생수팩(30) 내부로 상기 생수(10)가 진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생수팩(30) 내부로 진입된 상기 생수(10)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생수팩(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하기 에서는 상기 주입구몸체(100)와 밸브몸체(200) 및 실링몸체(300)가 상기 생수팩(3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주입구몸체(100)는, 부품의 제작시 상기 주입공(110)에 설치되는 차단판(120)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주입구몸체(100)는, 상기 차단판(12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생수팩(30)의 측면에 고정설치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생수팩(30)의 내부는 빈 상태가 된다.
상기 차단판(12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공(110)에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120)은, 상기 주입공(110)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파지가능하도록 상기 차단판(12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손잡이편(122)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120)은, 상기 차단판(120)의 테두리부위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입공(110)에 연결되되,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주입공(110)과 분리되는 분리막(124)을 갖는다.
상기 분리막(124)은, 상기 차단판(120)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절 되게 된다.
즉, 상기 주입공(110)과 상기 차단판(120)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분리막(124)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쉽게 파절 되어 상기 주입공(110)에서 상기 차단판(120)을 절개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차단판(120)은, 상기 생수팩(30)의 내부로 상기 생수(10)가 주입되기 이전에 상기 주입공(110)에 설치되어 상기 생수팩(30) 외부의 오염물이 상기 생수팩(30)의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주입공(110)에서 상기 차단판(120)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편(122)을 파지한 채로 상기 손잡이편(122)을 잡아당기면, 상기 분리막(124)이 파절 되면서 상기 차단판(120)이 상기 주입공(110)에서 제거되게 된다.
특히, 상기 차단판(120)은, 상기 주입공(110)에 억지 끼움 결합 된 후, 간편하게 상기 주입공(110)에서 분리되도록 사용가능하다.
즉, 상기 차단판(120)은, 상기 주입공(110)에 억지 끼움을 통해 결합 가능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편(122)을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주입공(110)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주입공(110)에서 상기 차단판(120)을 제거하는 이유는, 상기 주입공(110)을 통해 상기 생수(10)를 상기 생수팩(30)의 내부로 주입시키기 위해서 시행되게 되는 것이다.
도 4b를 살펴보면, 이렇게 상기 차단판(120)이 상기 주입공(110)에서 제거되면, 상기 주입공(110)에 상기 밸브몸체(200)를 체결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200)에는 상기 실링몸체(300)가 체결 고정되게 된다.
특히, 상기 밸브몸체(200)가 상기 주입공(110)에 밀착 결합 되기 위해, 상기 주입공(110)의 내경 크기는 상기 밸브몸체(200)의 외경 크기에 대응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상기 주입공(110)에 상기 밸브몸체(200)가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서 상기 주입공(110)에는, 상기 주입공(110)의 내경에 음각 형성되는 체결홈(1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200)에는, 상기 체결홈(112)에 결합 되기 위해 상기 밸브몸체(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2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체결홈(112)과 상기 체결돌기(230)는, 상기 주입공(110)에 상기 밸브몸체(200)가 견고하게 상호 결합 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112)의 홈은 돌기로 대체되고, 상기 체결돌기(230)의 돌기는 홈으로 대체되어 상호 결합가능하게 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밸브몸체(200)에는,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충진 된 상기 생수(10)가 상기 생수팩(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동공(210)이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주입구몸체(100)에 형성되는 상기 주입공(110)은 상기 밸브몸체(200)가 구비되기 위한 구성이고, 실질적으로 상기 밸브몸체(200)의 상기 유동공(210)을 통해서 상기 생수(10)가 상기 생수팩(30)의 내부로 진입되거나 또는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200)의 상기 생수팩(30)과 연결된 부위에는 상기 실링몸체(300)가 결합고정되게 된다.
상기 실링몸체(300)는, 상기 유동공(210)에 연결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하는 개폐판(310)과, 상기 밸브몸체(200)의 외면과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내면 사이에 밀착고정되는 밀착편(320)을 갖는다.
상기 실링몸체(300)는, 상기 밀착편(320)과 상기 개폐판(310)의 테두리 부위를 상호 연결하며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다수 개가 사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310)이 상기 유동공(210)을 개구시, 상기 생수팩(30) 내부의 상기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암(330)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밸브몸체(200)에 상기 실링몸체(300)가 결합 되기 위해서, 상기 밸브몸체(200)에는, 상기 실링몸체(300)의 상기 밀착편(320)과 밀착되고 상기 밸브몸체(200)의 상기 생수팩(30)과 연결되는 부위에 음각형성되는 연결홈(220)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밀착편(320)은, 상기 밸브몸체(200)의 상기 연결홈(220)과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내면인 상기 주입공(110)의 사이에 밀착된 채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상기 주입공(110)에 상기 밸브몸체(200)가 결합되고, 상기 밸브몸체(200)에 상기 실링몸체(300)가 결합 된 후, 상기 밸브몸체(200)의 상기 유동공(210)을 통하여 상기 생수(10)가 상기 생수팩(30)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되어 충진 되게 된다.
특히, 상기 주입공(110)에 상기 밸브몸체(200)가 결합 되기 전에, 상기 주입공(110)을 통하여 상기 생수(10)가 상기 생수팩(30)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되어 충진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수팩(30)의 내부로 상기 생수(10)를 주입시에는 상기 주입구몸체(100)가 상기 생수팩(3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생수(10)를 상기 생수팩(30)에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를 살펴보면, 상기 생수팩(30)의 내부로 상기 생수(10)가 모두 충진 되면 상기 생수팩(3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디스펜서로 연결되기 위해 이동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생수팩(30) 내부에 충진 된 상기 생수(10)가 외부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외면은 판 형태의 밀폐시트(130)에 의해 밀폐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밀폐시트(130)는, 상기 주입공(110)의 테두리 부위의 상기 주입구몸체(100)를 감싸면서 상기 주입공(110)을 밀폐하게 되고, 상기 밀폐시트(130)에는 접착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132)이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밀폐시트(130)의 상기 접착층(132)이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외면에 접착됨으로써, 상기 밀폐시트(130)가 상기 주입구몸체(100)를 감싸면서 상기 주입공(110)을 밀폐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밀폐시트(130)는,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상기 생수(10)가 주입된 후 상기 생수팩(30)의 내부로 오염물이 진입되는 것을 단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생수팩(30)은, 내부에 상기 생수(10)를 저장한 채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포장 및 이송되면서도 내부에 오염물이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밀폐시트(130)는, 사용자가 상기 생수팩(30)의 생수(10)를 음용하는 시점에서, 상기 주입구몸체(100)로부터 분리시켜 간편하게 제거하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 5a 및 도 5b를 살펴보면,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상기 생수(10)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생수팩(30)은 포장 및 이송되어 사용자가 음용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충진 된 상기 생수(10)를 온수와 냉수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5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이송되어온 상기 생수팩(30)은, 상기 디스펜서(50)에 거치 된 채로 사용자가 음용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생수팩(30)은, 상기 디스펜서(50)의 상부에 거치 되되, 상기 주입구몸체(100)가 상기 생수팩(30)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생수팩(30)이 상기 디스펜서(50)에 원활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50)는, 상부가 개구 된 원통 형태의 저장통(55)을 갖는다.
즉, 상기 생수팩(30)은, 내부에 물이 충진 된 채로 그 형태를 고정유지할 수 없는 얇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의 유동에 의해 상기 생수팩(3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생수팩(30)은, 상기 저장통(55)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생수팩(30)의 외형을 상기 저장통(55)의 내면 형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50)에는, 상기 디스펜서(50)에서 상기 유동공(210)의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개폐판(310)을 가압할 수 있는 개폐봉(70)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봉(70)은, 상기 유동공(21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개폐판(310)을 가압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개폐판(310)에서 이격 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펜서(50)에는, 상기 개폐봉(70)이 수평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펜서(50)에 구비되는 볼륨손잡이(6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볼륨손잡이(60)는 회전을 통해 상기 개폐봉(70)이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볼륨손잡이(60)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개폐봉(70)이 유동 되면서 상기 개폐판(31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생수팩(30)의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디스펜서(50)로 제공 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봉(70)과 상기 디스펜서(50)의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볼륨손잡이(60)를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개폐봉(70)이 반대 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상기 개폐판(310)과 이격 되어 상기 개폐판(310)이 상기 유동공(210)을 다시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륨손잡이(60)와 상기 개폐봉(70)은, 상기 개폐판(310)을 가압하거나 상기 개폐판(310)에서 이격 되는 운동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요소로 대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볼륨손잡이(60)의 회전운동을 상기 개폐봉(70)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경하는 것은 주지 관용 기술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생수팩(30)의 상기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개폐봉(70)에 의해서 상기 개폐판(310)이 가압 되면, 상기 개폐판(310)과 상기 밀착편(320)의 사이에 연결형성되는 상기 탄성암(330)이 탄성을 발휘하면서 늘어나게 되어 상기 개폐판(310)이 상기 생수팩(30) 내부로 형성된 상기 유동공(210)을 개구 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개폐판(310)이 상기 유동공(210)에서 이격 되면서 상기 유동공(210)을 개구하게 되면,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을 통해 상기 생수팩(30)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유동공(210)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50)로 유동 되어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50)로 제공된 상기 생수(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온수와 냉수로 구분되어 제공되어 사용자가 음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봉(70)이 상기 개폐판(310)의 가압을 멈추게 되면, 상기 개폐판(310)은 다시 상기 유동공(210)을 밀폐하게 되고, 상기 생수팩(30) 내부의 상기 생수(10)는 더 이상 배출되지 않고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몸체(200)에 가압 되는 상기 개폐판(310)의 테두리 부위에는, 다수 개의 누수차단편(312)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누수차단편(312)은, 상기 밸브몸체(200)와 상기 개폐판(310)의 사이로 상기 생수팩(30) 내부의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으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다수 개의 상기 누수차단편(312)은, 상기 밸브몸체(200)에 가압 된 상태로 음각 형성되기 때문에 그 음각 형성 부위로 상기 생수(10)가 스며들고 더 이상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실링몸체(300)의 상기 밀착편(320)의 외면에는, 링 형태의 오링(43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오링(340)은, 상기 밸브몸체(200)의 외면과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내면 사이에 밀착고정되어 밸브몸체(200)의 외면과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내면 사이로 상기 생수(10)가 누수 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오링(340)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오링(340)을 통해, 상기 개폐판(310)이 상기 유동공(210)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생수팩(30) 내부에 저장된 상기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으로 누수 되는 것을 더욱 견고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6a는 도 5b는 도 5a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도 6a 및 도 6b를 살펴보면, 상기 생수팩(30)은, 상기 디스펜서(50)의 상부에 거치 되되, 상기 주입구몸체(100)가 상기 생수팩(30)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상기 생수팩(30)이 상기 디스펜서(50)에 원활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50)는, 상부가 개구 된 원통 형태의 저장통(55)을 갖는다.
상기 디스펜서(50)에는, 상기 디스펜서(50)에서 상기 유동공(210)의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개폐판(310)을 가압할 수 있는 개폐봉(70)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봉(70)은, 상기 유동공(21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개폐판(310)을 가압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개폐판(310)에서 이격 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펜서(50)에는, 상기 개폐봉(70)이 수평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펜서(50)에 구비되는 볼륨손잡이(6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볼륨손잡이(60)는 회전을 통해 상기 개폐봉(70)이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50)는, 상기 개폐봉(70)이 내부에 진입된 채로 회전됨으로 인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개폐판(310)을 가압하거나 또는 이격 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봉(70)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연결하우징(8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개폐봉(70)은, 내부가 관통된 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개폐봉(70)의 외면에는 상기 연결하우징(80)에 연결되도록 외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돌기(72)를 갖는다.
상기 연결하우징(80)은, 상기 개폐봉(70)의 돌출돌기(72)가 관통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봉(70)이 상기 연결하우징(80)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하우징(8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나선 형태의 안내공(8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하우징(80)의 외면 하부에는, 상기 연결하우징(8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개폐봉(7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생수(10)가 상기 연결하우징(80)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50)의 내부로 유동 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공급관(84)을 더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디스펜서(50)는, 상기 공급관(84)을 제외한 상기 연결하우징(8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안내공(82)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돌출돌기(72)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봉(70)을 상기 연결하우징(80) 내에서 수평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회전하우징(9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하우징(90)은, 상기 돌출돌기(72)를 감싸는 돌기연결홈(92)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회전하우징(90)은, 상기 디스펜서(50)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볼륨손잡이(60)와 연결되어 상기 볼륨손잡이(60)의 회전에 의해 연동 되게 된다.
즉, 상기 볼륨손잡이(60)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하우징(90)이 연동 되어 회전되고, 상기 회전하우징(90)이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봉(70)이 상기 연결하우징(80)의 내부에서 수평 왕복운동 하면서 상기 유동공(210)에서 상기 개폐판(310)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개폐판(310)이 상기 유동공(210)에서 개폐됨에 따라, 상기 생수팩(30) 내부에 저장된 상기 생수(10)가 상기 디스펜서(50) 내부를 통해 유동 되어,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50)로부터 상기 생수(10)를 제공받아 음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개폐판(310)의 개폐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볼륨손잡이(60)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볼륨손잡이(60)와 연결되어 연동 되는 상기 회전하우징(9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하우징(90)이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봉(70)의 상기 돌출돌기(72)가 상기 연결하우징(80)의 상기 안내공(82)을 따라 유동 되면서 상기 개폐봉(70)이 상기 개폐판(310)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개폐판(310)이 가압 되면 개폐판(310)이 상기 유동공(210)에서 열리면서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충진 된 상기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을 통해 관 형태로 형성된 상기 개폐봉(7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개폐봉(7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생수(10)는, 상기 연결하우징(80)의 상기 공급관(84)으로 유동 되면서 상기 디스펜서(50)로 유동 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50) 외부로 토출 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디스펜서(50) 외부로 토출된 상기 생수(10)는, 사용자가 원활하게 음용 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볼륨손잡이(60)를 일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볼륨손잡이(60)와 연결되어 연동 되는 상기 회전하우징(90)이 이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하우징(90)이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봉(70)의 상기 돌출돌기(72)가 상기 연결하우징(80)의 상기 안내공(82)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상기 개폐봉(70)이 상기 개폐판(310)에서 이격 되게 된다.
상기 개폐봉(70)이 상기 개폐판(310)에서 이격 되면 개폐판(310)이 상기 유동공(210)을 폐쇄하게 되면서 상기 생수(10)가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팩 내부에 생수가 저장된 채로 그 팩이 이동시에, 생수가 팩 외부로 누수 되는 것을 견고하게 차단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팩과 디스펜서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팩과 디스펜서의 외부로 팩 내부의 물이 누수 되는 것을 차단하여 물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 인해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외부에서 팩 내부로 생수를 주입하고, 팩 내부에 주입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생수 30 : 생수팩
50 : 디스펜서 60 : 볼륨손잡이
70 : 개폐봉 72 : 돌출돌기
80 : 연결하우징 82 : 안내공
84 : 공급관
90 : 회전하우징 92 : 돌기연결홈
100 : 주입구몸체
110 : 주입공
112 : 체결홈 120 : 차단판
122 : 손잡이편 124 : 분리막
130 : 밀폐시트 132 : 접착층
150 : 연결판
200 : 밸브몸체
210 : 유동공
220 : 연결홈 230 : 체결돌기
300 : 실링몸체
310 : 개폐판
312 : 누수차단편 320 : 밀착편
330 : 탄성암 340 : 오링

Claims (11)

  1. 내부에 생수(10)가 저장되는 생수팩(30)에 형성되되, 상기 생수(10)가 주입 또는 배출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주입공(110)이 구비되는 주입구몸체(100);
    상기 주입공(110)에 결합 되고, 상기 생수(10)가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유동공(210)이 구비되는 밸브몸체(200); 및
    상기 밸브몸체(200)의 하부에 연결되어 탄성을 발휘하면서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하는 실링몸체(300);를 포함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몸체(100)는,
    상기 생수팩(30)의 내부로 상기 생수(10)가 주입되기 이전에 상기 주입공(110)에 설치되어 상기 생수팩(30) 외부의 오염물이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판 형태의 차단판(120)과,
    상기 생수팩(30)에 연결되기 위해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테두리 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판(150)을 포함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120)은,
    상기 주입공(110)의 외부에서 파지가능하도록 상기 차단판(12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편(122)과,
    상기 차단판(120)의 테두리부위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입공(110)에 연결되되,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주입공(110)과 분리되는 분리막(124)을 포함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120)은,
    상기 주입공(110)에 억지 끼움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몸체(100)는,
    상기 생수팩(30)의 내부에 상기 생수(10)가 주입된 후 상기 생수팩(30)의 내부로 오염물이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주입공(110)을 밀폐하되, 상기 주입공(110)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주입공(110)의 부착부위에 접착층(132)이 형성되는 밀폐시트(130)를 더 포함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200)는,
    상기 주입공(110)에 체결되기 위해 외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230)와,
    상기 실링몸체(300)와 연결되는 상기 밸브몸체(200)의 하부에 음각형성되는 연결홈(220)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공(110)은,
    상기 체결돌기(230)와 체결되도록 상기 주입공(110)의 내경에 음각 형성되는 체결홈(112)을 포함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몸체(300)는,
    상기 유동공(210)에 연결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하는 개폐판(310)과,
    상기 밸브몸체(200)의 외면과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내면 사이에 밀착고정되는 밀착편(320)과,
    상기 밀착편(320)과 상기 개폐판(310)의 테두리 부위를 상호 연결하며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다수 개가 사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310)이 상기 유동공(210)을 개구시, 상기 생수팩(30) 내부의 상기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암(330)을 포함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10)의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개폐판(310)이 상기 유동공(210)에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생수팩(30) 내부에 충진 된 상기 생수(10)가 상기 유동공(210)으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밸브몸체(200)를 가압하는 다수 개의 누수차단편(3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편(320)의 외면에는,
    상기 밸브몸체(200)의 외면과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내면 사이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밸브몸체(200)의 외면과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내면 사이로 상기 생수(10)가 누수 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링(3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10. 내부에 생수(10)가 저장되는 생수팩(30)에 형성되되, 상기 생수(10)가 주입 또는 배출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주입공(110)이 구비되는 주입구몸체(100);
    상기 주입공(110)에 결합 되고, 상기 생수(10)가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유동공(210)이 구비되는 밸브몸체(200);
    상기 밸브몸체(200)의 하부에 연결되어 탄성을 발휘하면서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하는 실링몸체(300); 및
    상기 생수팩(30)이 안치되는 디스펜서(5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50)는,
    상기 유동공(210)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상기 실링몸체(300)를 가압하여 상기 유동공(210)을 개폐할 수 있는 관 형태의 개폐봉(70)과,
    상기 개폐봉(70)을 감싸면서 내부에서 상기 개폐봉(70)이 수평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하우징(80)과,
    상기 연결하우징(80)의 외부에서 상기 개폐봉(70)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봉(70)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하우징(90) 및
    상기 회전하우징(9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하우징(9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볼륨손잡이(60)를 더 포함하는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70)은,
    상기 연결하우징(80)에 연결되도록 상기 개폐봉(7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돌기(7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하우징(80)은,
    상기 개폐봉(70)의 돌출돌기(72)가 관통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봉(70)이 상기 연결하우징(80)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하우징(8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나선 형태의 안내공(82)과,
    상기 연결하우징(8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개폐봉(7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생수(10)가 상기 연결하우징(80)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50)의 내부로 유동 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하우징(80)의 외면 하부에 관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공급관(84)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하우징(90)은,
    상기 돌출돌기(72)를 감싸는 장 홈 형태의 돌기연결홈(92)을 포함하는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KR1020120125952A 2012-11-08 2012-11-08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KR101413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952A KR101413728B1 (ko) 2012-11-08 2012-11-08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952A KR101413728B1 (ko) 2012-11-08 2012-11-08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465A KR20140059465A (ko) 2014-05-16
KR101413728B1 true KR101413728B1 (ko) 2014-07-01

Family

ID=5088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952A KR101413728B1 (ko) 2012-11-08 2012-11-08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51B1 (ko) * 2014-05-26 2015-03-09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WO2016006771A1 (ko) * 2014-07-09 2016-01-14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101701252B1 (ko) * 2015-05-12 2017-02-01 엔피씨(주)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KR20160133127A (ko) * 2015-05-12 2016-11-22 엔피씨(주)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락킹부재
DE102017002306A1 (de) 2017-03-10 2018-09-13 Maglassx Gmbh Kunststoffgefäß mit beherbergtem Metallelement und Verfahren seiner Herstellung
KR101962244B1 (ko) * 2017-09-29 2019-03-29 주식회사 위드원 압축 비닐팩을 위한 흡입 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965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물통 연결장치
KR20110020025A (ko) * 2009-08-21 2011-03-02 주식회사 제로팩 탈부착식 체크밸브 및 이것이 장착된 비닐봉투
KR20110026191A (ko) * 2009-09-07 2011-03-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밸브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965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물통 연결장치
KR20110020025A (ko) * 2009-08-21 2011-03-02 주식회사 제로팩 탈부착식 체크밸브 및 이것이 장착된 비닐봉투
KR20110026191A (ko) * 2009-09-07 2011-03-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밸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465A (ko)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728B1 (ko)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US11179657B2 (en) Filtration container assemblies and methods
US5733448A (en) Manually pressurized water filtering container
US10011499B2 (en) Water filter cartridge
JP2013506547A (ja) 水処理カートリッジ
JP2013506607A (ja) 水処理装置のためのボトル
JP7065095B2 (ja) 水筒
KR20060003109A (ko)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위한 카트리지
KR101869389B1 (ko) 휴대용 정수기
JP5715631B2 (ja) ボトルドウォーターを製造するための水処理装置
KR20120138464A (ko) 수밀형 오링, 이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및 필터 하우징
JP2010247129A (ja) ピッチャー型浄水器
JP5170332B1 (ja) 浄水器
KR101933634B1 (ko) 휴대용 정수 물병
JP5640372B2 (ja) 水処理装置
JP2013094715A (ja) 浄水器
KR20140065919A (ko) 공기배출장치가 구비된 음용수 저장체
TW201332629A (zh) 液體處理系統
JP2008307462A (ja) 浄水器アダプ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