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82147A1 -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82147A1
WO2016182147A1 PCT/KR2015/011245 KR2015011245W WO2016182147A1 WO 2016182147 A1 WO2016182147 A1 WO 2016182147A1 KR 2015011245 W KR2015011245 W KR 2015011245W WO 2016182147 A1 WO2016182147 A1 WO 201618214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tive ingredient
periodontal disease
preventing
solanum carolin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12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은실
오경희
백광현
김양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영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영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Publication of WO201618214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82147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which contains the extract of Goblin branches as an active ingredient, more specifically,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against periodontitis bacterium containing the Goblin branche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extract of Goblin branches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containing, and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periodontal disease, containing the extract of goblin.
  • Solanum carolinense L. is a naturalized plant that came from North America. The flower resembles a branched flower, and it is said to be a botanical branch with many thorns on its stem and leaves. The leaves and stems have sharp and sharp thorns, and the fruit ripens yellow with small beads. Flowers bloom in June-October, with one to three inflorescences from the stem. Gecko branches are widely naturalized and distributed in Asia and Europe, but they are rarely used, and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effects and functionalities of gecko branches.
  • Periodontitis is an inflammation of the supporting tissues surrounding the teeth, which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caused by bacteria and toxins in the microbial plaque. Periodontitis is an idiom and is often referred to as flavor, and it is also called periodontal disease or periodontal disease. When periodontitis occurs, the gums settle down and the roots of the teeth appear, causing the symptom.
  • Various oral diseases including dental caries,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can be caused by a variety of causes.
  • the caus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systemic causes and local causes, more important of which are known to be local causes.
  • the most important local cause is bacteria that reside in the oral cavity, ie pathogenic microorganisms.
  •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resident in the oral cavity attach to the tooth surface, and after a few hours, they form a bacterial community called plaque and multiply, and initially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upper teeth.
  • plaque By forming plaque, but gradually progressing, plaque is also formed on the tooth surface under the gingiva.
  •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produce an acid by using sugars in the oral cavity, and the acid can cause tooth decay by demineralizing the mineral that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tooth.
  • Microorganisms that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inducing oral diseases as described above include Streptococcus mutans , which causes tooth decay,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 which causes periodontitis, and the like.
  • antimicrobial agents including antibiotics having bactericidal and bacteriostatic effects on the microorganisms have been developed as inhibitors and treatments for tooth decay, periodontal disease or gingivitis.
  • Conventionally used materials include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and chlorine, such as sodium copper chlorophyllin, sodium fluoride or benzethonium chloride, benzoic aicd, and the like.
  • Korean Patent No. 0829045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which contains a poison activ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Korean Patent No. 0605116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including Samchil-geun extract. Although it is different from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which contains the extract of Goblin branch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by the above requirements,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firm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Solanum carolinense extract exhibit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orphyromonas gingivalis , a periodontitis bacterium. Complet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against periodontitis bacteria containing Solanum carolinens 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containing the extract of Solanum carolinens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periodontal disease containing the extract of Solanum carolinense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Solanum carolinen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shows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periodontal bacterium Porphyromonas gingivalis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And it can be used as a dietary supplement for preventing or improving periodontal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antibacterial against periodontitis bacteria containing Solanum carolinens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eriodontal bacterium is Porphyromonas gingivalis , Tannerella forsythia , Fusobacterium nucleatum and Actinobacilli actinomy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and the like, preferably may be, but not limited to Porphyromonas gingivalis ( Porphyromonas gingivalis ).
  • the bulgogi branch extract may be an extract using a leaf or stem portion of the ground of the pla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 of goblin branches may be water,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or a mixed solvent extract of dried goblin branches, preferably the methanol extract of dried goblin branches Specifically, the dried Gobi bran cut to 2-3 cm using small green beans was dried for 2 to 4 days at a temperature of 30 to 50 ° C., and then 75 to 85% (v / v) of dry weight of 400 to 600 g. Methanol may be prepared by extracting and filtering by using an ultrasonic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containing the extract of Goblin as an active ingredient.
  • Periodontitis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disease. It is a relatively light and fast-recovering form of periodontal disease that is limited to the gums, ie soft tissues, is called gingivitis, and when this inflammation progresses to the gums and around the gum bone, it is called periodontitis.
  •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th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of th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form of thei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as well as in a suitable collection.
  • the extra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oral formulation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have.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extract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And various compounds or mixtures including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and the like.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the solid preparations may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in the extract. )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are mixed.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and syrups, and may includ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the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0,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Preferred dosages of th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extent of the disease, the form of the dru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dur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dministered at 0.0001 to 100 mg / kg, preferably 0.001 to 100 mg / kg per day.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divided several times. Th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aspect.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mammals such as mice, mice, livestock, humans, etc. by various routes. All modes of administration can be expected, for example oral, by inj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periodontal disease, containing the extract of Dokkebi branch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xtract of the Goblin branch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periodontitis of porphyromonas gingivalis bacteria, it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periodontal diseases such as periodontitis.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food additive, the extract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ed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n amount of 15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raw material in the manufacture of food or beverage.
  • the amount may be below the above range, and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becaus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
  • the kind of foo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of food.
  • the food to which the extract can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dairy products including other noodles, gums, ice cream, various soups, drinks, tea, drink,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nd includes all of the dietary supplements in the conventional sense.
  • the extract of Solanum carolinense L. was used on the ground of the goblin branches, and the leaf and stem areas were used.
  • the leaves and stems of the goblin branch identified by the plant taxonomy were cut evenly to about 2.54 cm using small beans, and then dried at 40 ° C. in a drying oven for 3 days.
  • extraction was performed using an ultrasonic instrument in 80% methanol, and these liquids were filtered through a membrane filter (0.2 ⁇ m) and then the solvent was removed in vacuo to leave a methanol extract.
  • the goblin branch extract becomes a methanol extract mainly containing the trace components of the goblin branch. All solvents used were analytical grade, purchased from Sigma-Aldrich (USA) or Merck (USA).
  •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of Goji bergamot against periodontitis is shown in Table 1. As a result, it showed a high growth inhibition rate of about 90% at 0.6 mg / ml concentration of the ghost bran extract, 100% growth inhibition at 94 and 3.6 mg / ml concentration at 1.8 mg / ml concentr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goblin methanol extract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due to the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eriodont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염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 치주염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L.)는 북아메리카에서 건너온 귀화식물로써, 꽃은 가지꽃 모양을 닮았고, 줄기와 잎에 가시가 많아서 도깨비가지라 한다. 잎과 줄기에 뾰족하고 날카로운 가시가 많고 열매는 작은 구슬만하고 노랗게 익는다. 꽃은 6~10월에 피며, 줄기 옆에서 나온 총상 꽃차례에 1~3개가 달린다. 도깨비가지는 아시아와 유럽에 널리 귀화하여 분포하고 있으나,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으며, 도깨비가지의 생리활성 효과 및 기능성에 관한 연구도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치주염은 치아를 둘러싼 지지조직에 생긴 염증으로 치태(microbial plaque)내의 세균 및 독소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치아를 지탱하고 있는 치주조직이 서서히 파괴되어 이가 흔들리게 되고 끝내 빠져 버리는 병이다. 치주염은 관용어이며 흔히 풍치라고 하는데, 치주질환, 혹은 치주병이라고도 불리며, 치주염이 생기면 잇몸이 내려앉아 치아 뿌리가 드러나면서 시린 증상이 나타난다.
치과 의학상 충치, 치은염 및 치주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강질환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 상기 원인은 전신적인 원인 및 국소적인 원인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더욱 중요한 원인은 국소적인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소적인 원인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구강 내에 상주하는 세균 즉, 병원성 미생물이다.
사람의 구강 내에는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약 300여 종의 미생물이 치아표면, 치근부의 치아와 잇몸 사이, 혀의 표면 등에 상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의 존재는 적절한 구강위생 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정상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구강위생 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한 미생물 중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충치, 구취, 치은염 또는 치주질환 등 각종 구강질환이 야기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치아를 상실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내에 상주하는 병원성 미생물은 치아표면에 부착하여 몇 시간만 지나면 치태라고 하는 세균군집을 형성하고 증식하게 되며, 처음에는 눈에 보이는 치은 상부의 치아 표면에 집중적으로 병원성 미생물이 부착하여 치태를 형성하지만, 점차 진행되면 치은 하부에 있는 치아표면에도 치태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치태가 치아표면에서 형성될 경우,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구강 내에 들어온 당분을 이용하여 산을 생산하고 이 산은 치아의 주성분인 무기질을 탈회시킴으로써 치아가 파괴되는 충치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강질환을 유발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생물로는 충치발생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eptococcus mutans), 치주염 발생 원인균인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등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 미생물들에 대한 살균 및 정균작용을 갖는 항생제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항균제제가 충치, 치주질환 또는 치은염 등의 억제 및 치료제로써 개발되어 왔다.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는 물질은 소듐 카퍼 클로로필린(sodium copper chlorophyllin), 소듐 플로라이드(sodium fluoride) 또는 벤제토니움 클로라이드(benzethonium chloride) 등과 같은 불소와 염소성분이 함유된 합성물, 안식향산(benzoic aicd) 등을 포함하는 방향족 카르복시산, 알란토인(allantoin), 초산 토코페롤, 항플라스민제 또는 항생제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불소와 염소성분이 함유된 합성물의 경우에는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문제되고 있으며, 항생제의 경우 설사, 구토 등을 포함한 신체 전반에 대한 전신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구강 내 내성균의 출현 및 균교대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사용이 곤란하여 단지 치료제만으로 이용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술요법이나 기계적 요법에 의한 치료의 경우, 치료가 용이하지 아니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술요법이나 기계적 요법에 비하여 그 예방 또는 치료가 용이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항생제와 같이 내성이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지 않고, 불소와 염소성분이 함유된 합성물과 같이 부작용도 문제되지 않는 천연물질 유래의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며 천연물질로부터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829045호에는 독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605116호에는 삼칠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추출물이 치주염균인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염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치주염균인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이므로,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염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서, 상기 치주염균은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타네렐라 포시아(Tannerella forsythia),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텀(Fusobacterium nucleatum) 및 액티노바실러스 액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서, 상기 도깨비가지 추출물은 식물체의 지상부인 잎 또는 줄기 부위를 이용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서, 상기 도깨비가지 추출물은 건조된 도깨비가지의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의 혼합 용매 추출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도깨비가지의 메탄올 추출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작두를 사용하여 2~3 cm로 자른 도깨비가지를 30~50℃의 온도에서 2~4일간 건조시킨 후, 400~600 g의 건중량에 75~85%(v/v)의 메탄올을 넣고 초음파 기기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여과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이란 흔히 풍치라고도 하는데, 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gingivitis)과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나뉜다. 비교적 가볍고 회복이 빠른 형태의 치주질환으로 잇몸 즉, 연조직에만 국한된 형태를 치은염이라고 하고, 이러한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0,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깨비가지 추출물은 치주염균인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이므로 치주염과 같은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도깨비가지 추출물의 제조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L.)의 추출물은 도깨비가지의 지상부를 이용했는데, 잎, 줄기 부위를 사용하였다. 식물 분류학자가 확인한 도깨비가지의 잎, 줄기 부위를 작두를 이용하여 2.54 cm 정도로 고르게 자른 후, 건조 오븐에서 40℃로 3일간 건조시켰다. 약 500 g의 식물 건중량을 이용하여, 80% 메탄올에서 초음파 기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이들 액체를 멤브레인 필터(0.2 ㎛)에 통과시켜 여과한 후, 진공상태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남겼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도깨비가지의 구성성분 중 섬유소 등은 정제 과정을 통해 걸러지고, 도깨비가지 추출물은 도깨비가지의 미량성분을 주로 포함하는 메탄올 추출물이 된다. 사용한 모든 용매들은 분석용 등급으로써, Sigma-Aldrich(미국)나 Merck(미국)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예 1: 치주염 원인균 생장 저해 검정
도깨비가지 추출물의 치주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하였다. 간단하게, 5 ㎖ 세럼 보틀(serum bottle)에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W83(ATCC BAA-1703)을 각각 1×107 cfu/㎖ 준비하고, 도깨비가지 메탄올 추출물은 3.6, 1.8 및 0.6 ㎎/㎖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였다. 그 후, 혐기상태를 유지하면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치주염 원인균의 생장 저해율을 분석하였다. 총 3번 반복 실험을 수행하였고, 각 실험마다 3번 반복하였다.
실시예 1: 도깨비가지 추출물의 치주염 원인균 생장 저해율
도깨비가지 메탄올 추출물의 치주염균에 대한 항균 활성 효과는 표 1과 같다. 그 결과, 도깨비가지 추출물 0.6 ㎎/㎖ 농도에서 거의 90% 정도의 높은 생장 저해율을 보여주었고, 1.8 ㎎/㎖ 농도에서는 94% 및 3.6 ㎎/㎖ 농도에서는 100% 생장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도깨비가지 메탄올 추출물은 치주염균에 대한 높은 항균 활성으로 인해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1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 생장 저해율(%)
추출물 농도 생장 저해율(%)
0.6 ㎎/㎖ 89±0.32
1.8 ㎎/㎖ 94±0.44
3.6 ㎎/㎖ 100±0.00

Claims (5)

  1.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염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염균은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깨비가지 추출물은 건조된 도깨비가지의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의 혼합 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4.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CT/KR2015/011245 2015-05-12 2015-10-23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8214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183 2015-05-12
KR1020150066183A KR101561441B1 (ko) 2015-05-12 2015-05-12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2147A1 true WO2016182147A1 (ko) 2016-11-17

Family

ID=5439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1245 WO2016182147A1 (ko) 2015-05-12 2015-10-23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61441B1 (ko)
WO (1) WO20161821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441B1 (ko) * 2015-05-12 2015-10-20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1525A1 (en) * 1995-02-07 2004-09-02 Legere Pharmaceuticals, Ltd. Method of using lecti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and alimentary tract disorders
KR20140040721A (ko) * 2011-04-21 2014-04-03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스킨 케어 제형
US20140227203A1 (en) * 2011-08-09 2014-08-14 Lotte Co., Ltd. Oral composition
KR101561441B1 (ko) * 2015-05-12 2015-10-20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1525A1 (en) * 1995-02-07 2004-09-02 Legere Pharmaceuticals, Ltd. Method of using lecti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and alimentary tract disorders
KR20140040721A (ko) * 2011-04-21 2014-04-03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스킨 케어 제형
US20140227203A1 (en) * 2011-08-09 2014-08-14 Lotte Co., Ltd. Oral composition
KR101561441B1 (ko) * 2015-05-12 2015-10-20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AB, R. ET AL.: "Beneficial Effects of Solanum Melongena (Solanaceae) Peduncles Extracts, in Periodontal Diseases", JOURNAL OF MEDICAL PLANTS RESEARCH, vol. 5, no. 11, 2011, pages 2309 - 2315, XP05532802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441B1 (ko)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733261B1 (ko) 지방 분해 촉진 조성물
JP4948044B2 (ja) プラーク形成抑制剤、または抗う蝕菌剤
KR101756775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래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94807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40037316A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론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14003151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WO2016182147A1 (ko)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4674B1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WO2016182158A1 (ko) 가시상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80666A2 (ko)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4210B1 (ko) 캠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0868B1 (ko) 야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1685671B1 (ko) 네로올리돌을 포함하는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20069727A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282356B1 (ko) 오가피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67541B1 (ko)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항균용 약학 조성물
KR20160059606A (ko) 아까시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82157A1 (ko) 쇠채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7528B1 (ko) 미국자리공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14873A (ko) 참가시나무 열매 및 바나바 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90054852A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59741A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26238B1 (ko) 구강질환 예방 및 치료용 천연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919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919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