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671B1 - 네로올리돌을 포함하는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네로올리돌을 포함하는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671B1
KR101685671B1 KR1020120108352A KR20120108352A KR101685671B1 KR 101685671 B1 KR101685671 B1 KR 101685671B1 KR 1020120108352 A KR1020120108352 A KR 1020120108352A KR 20120108352 A KR20120108352 A KR 20120108352A KR 101685671 B1 KR101685671 B1 KR 10168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al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251A (ko
Inventor
마진열
임남희
정영필
양혜진
유기종
김홍익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주)비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주)비타바이오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6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41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진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네르올리돌(nerolidol)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강진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강진향 추출물, 상기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치주균에 대하여 우수하면서도 특이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보다 효율적인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네로올리돌을 포함하는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eridontal disease comprising extract of Lignum Acronychiae containing nerolidol}
본 발명은 네로올리돌을 포함하는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강진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네르올리돌(nerolidol)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강진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주질환이란 치주조직을 손상시키는 질환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치주조직은 치조골, 치은 및 치주인대로 구성되는데, 상기 치주질환은 대체로 치은에 치주균이 감염되어 발생되고, 병변이 확장되거 치주인대 및 치조골이 손상되면서 그의 증상이 심화되어, 치은출혈, 종창, 치주낭의 형성, 부착치은의 상실, 치조골의 파괴, 구취 등의 다양한 병리증상을 나타내어 최종적으로는 치아를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치주질환은 상기 병변부위의 영역에 따라 치은염(gingivitis)과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구분되는데, 치은염은 상기 병변부위가 잇몸 즉, 연조직에만 발생하는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하고, 치주염은 상기 병변부위가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확장된 부위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한다.
치주질환은 전신질환인 동맥경화증, 심근경색, 뇌졸중, 당뇨병, 조산, 저체중, 유산, 자간전증 등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Desvarieux, M. et al., Circulation, 2005, 111, 576-582; Offenbacher, S. et al., J. Periodontol., 1996, 67, 1103-1113; Garcia, R. I. et al., Periodontol. 2000, 2001, 25, 21-36; Champagne, C. M. et al., J. Int. Acad. Periodontol., 2000, 2, 9-13; Paquette, D. W., J. Int. Acad. Periodontol., 2002, 4, 101-119), 이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치주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대체로 외과적인 방법이 사용되는데, 치은염의 경우에는 치주질환에 이환된 부분의 치태와 치석을 제거하는 물리적인 처치법(치석제거술 및 치근활택술)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고, 치주염의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치은박리소파술)로 치료할 수 있으나, 심각한 경우에는 치아를 발거하여야 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하여 치주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대체로 치아의 표면에서 접합상피의 상부에 있는 치석을 제거하는 스케일링(scaling)과 같은 외과적인 방법과 치주균에 대한 항균제제를 처리하는 비외과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항균제제를 사용할 경우, 장기간의 사용시 체내의 다른 부위에서 부작용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어, 부작용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나타내지 않고, 약리효과를 개선시킨 대체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천연물 치료제가 주목받고 있다. 생귀나리아(Sanguinaria) 추출물(미국등록특허 제4,689,216호), 귀전우 추출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82308호), 오미자 추출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47165호) 등은 예로부터 사용되어 인체에 무해함이 입증되었으면서도, 치주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상기 천연물 치료제는 종래의 항균제제와 비교할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항균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치주균 뿐만 아니라 다른 유익균에 대하여도 항균활성을 나타낸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해결해야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치주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면서도 치주균 특이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 유래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강진향의 추출물 및 상기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nerolidol)이 치주질환 원인균에 대하여 우수하면서도 특이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강진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르올리돌(nerolidol)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진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강진향 추출물, 상기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강진향(降眞香; Lignum Acronychiae)"이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강향단(Dalbergia odorifera T. Chen) 뿌리부분의 껍질을 제거한 심재를 의미하는데, 강진(降眞) 혹은 강향(降香)으로 명명되기도 한다. 주성분으로는, 달버진(dalbergin), 노르달버진(nordalbergin), 이소들버진(isodlbergin), 들베게논(dlbegenone), 달버지크로민(dalbergichromene), 아크로닐린(acronylin), 아크로베스톤(acrovestone), 디메틸아크로베스톤 1(demethylacrovestone 1), 버갑텐(bergapten), 딕타민(dictamnine), 스키미아닌(skimmianine), 이볼리트린(evolitrine), 코쿠스아기닌(kokusaginine), 바우레놀(baurenol)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추가로, 히드록시옵투스티렌(hydroxyobtustyrene), 이소무크로너스티렌(isomucronustyrene), 메틸(methyl)-2-히드록시(hydroxy)-3,4-디메톡시벤조산(dimethoxybenzoate), (+)-듀어틴(duartin), (-)-멜리로토카펜(melilotocarpan) C, (-)-멜리로토카펜(melilotocarpan) D4, (-)-메틸니솔린(methylnissolin), (-)-오도리카펜(odoricarpan), 3'-메톡시다이드제인(methoxydaidzein), 3(R)-5'-메톡시베스티톨(methoxyvestitol), (3R-형)-클라우스퀴논(claussequinone), 달버진 플라번 다이머(dalbergia flavan dimer) Do-18, 달버진 플라번 다이머(dalbergia flavan dimer) Do-19, 달버진 플라번 다이머(dalbergia flavan dimer) Do-20, 달버진 플라번 다이머(dalbergia flavan dimer) Do-21, 달버진 비스 이소플라번(dalbergia-bis-isoflavan), 포르모노네틴(formononetin), (dl-형)-이소듀어틴(isoduartin),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이소메디카핀(isomedicarpin), (dl-형)-메디카핀(medicarpin), (dl-형)-뮤크로눌라톨(mucronulatol), 옵투스티렌(obtustyrene), 오도리플라벤(odoriflavene), (3R-형)-베스티톨(vestitol), (dl-형)-베스티톨(vestitol), 네르올리돌(nerolidol), 2-아릴(aryl)-2',6-디히드록시(dihydroxy)-4'-메톡시벤조퓨란(methoxybenzofuran), 6-디메틸비그나퓨란(demethylvignafuran), 6-히드록시(hydroxy)-2-(2-히드록시(hydroxy)-4-메톡시페닐(methoxyphenyl))벤조퓨란(benzofuran), β-비스아볼렌(bisabolene), β-파르네센(farnesene), 바우레놀(baurenol) 등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강진향 추출물"이란, 상기 강진향을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치주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될 수 있다. 상기 강진향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핵산, 클로로포름, 메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강진향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강진향의 열수 추출물 또는 70% 에탄올 추출물이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네르올리돌(nerolidol)"이란, 강진향의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식물 및 꽃의 정유(essential oil)에서 발견되는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류 화합물의 일종을 의미하는데, 화학적으로는 3,7,11-트리메틸-1,6,10-도데카트리엔-3-올(3,7,11-Trimethyl-1,6,10-dodecatrien-3-ol)로 표시되고, 페루비올(peruviol)이라고도 한다. 상기 네르올리돌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의 치주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환자의 치료에 적합한 산 부가 염 또는 염기 부가 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염은 네르올리돌에 산 또는 염기를 부가하여 치주질환이 발병될 가능성이 있는 개체에서 치주질환을 예방하거나 또는 치주질환이 발병된 개체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치주질환"이란, 치조골 또는 상기 치조골을 치은에 지지 및 결합시키는 치조골 주변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을 총괄하는 용어를 의미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치조골 또는 치조골 주변조직에 감염된 치주균에 의하여 분비되는 병독성 대사산물에 의하여 치아의 구조와 치은의 세포조직을 손상 시키고 치은조직의 면역력을 약화시키는 병변이 발생되며, 상기 병변부위에서 치주균의 증식이 촉진되고, 증식된 치주균에 의하여 병독성 대사산물이 분비되는 병변부위가 확장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어 발생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러한 치주질환은 상기 병변부위의 영역에 따라 치은염(gingivitis)과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구분되는데, 치은염은 상기 병변부위가 잇몸 즉, 연조직에만 발생하는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하고, 치주염은 상기 병변부위가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확장된 부위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주균"이란, 상기 치조골 또는 상기 치조골 주변조직에 감염되어 서식하면서, 병독성 대사산물을 분비함으로써, 치주질환을 유발시키는 원인균을 의미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그람음성 혐기성 세균이 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티노바실러스 속(Actinobacillus sp.) 미생물, 액티노마이세스 속(Actinomyces sp.) 미생물, 캄필로박터 속(Campylobacter sp.) 미생물, 엔테로코커스 속(Enterococcus sp.) 미생물, 퓨소박테리움 속(Fusobacterium sp.) 미생물, 클렙시엘라 속(Klebsiella sp.) 미생물, 펜토에아 속(Pantoea sp.) 미생물, 펩토스트렙토코커스 속(Peptostreptococcus sp.) 미생물, 포르피로모나스 속(Porphyromonas sp.) 미생물, 스타필로코커스 속(Staphylococcus sp.) 미생물,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트레포네마 속(Treponema sp.) 미생물, 베일로넬라 속(Veillonella sp.) 미생물,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속(Propionibacterium sp.) 미생물 등이 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Actinomyces viscosus),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서스 생귀스(Streptococcus sanguis) 등이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이란, 상기 강진향 추출물, 상기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투여로 치주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란, 상기 강진향 추출물, 상기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치주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진향의 열수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 또는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은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및 스트렙토코서스 생귀스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도 1 내지 도 6). 상술한 바와 같이, 치주균 특이적으로 농도 의존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강진향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은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강진향 추출물, 상기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강진향 추출물은 종래로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고, 상기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 역시 종래로부터 약재로 사용되어온 강진향의 추출물로부터 유래되어 그의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강진향 추출물, 상기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한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30g, 바람직하게는 3 ~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강진향 추출물, 상기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농산물, 축산물 또는 수산물의 특성을 살려 변형시키는 동시에 저장성을 좋게한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가공식품에는 예들 들어, 과자,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륙가공식품, 국수 등을 포함한다. 과자는 비스킷, 파이, 케익, 빵, 캔디, 젤리, 껌, 시리얼(곡물푸레이크 등의 식사대용품류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음료는 탄산음료, 기능성이온음료, 쥬스(예들 들어, 사과, 배, 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 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주류는 청주, 위스키, 소주, 맥주, 양주, 과실주 등을 포함한다. 발효식품은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을 포함한다. 통조림은 수산물 통조림(예들 들어, 참치, 고등어, 꽁치, 소라 통조림 등), 축산물 통조림(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 통조림 등), 농산물 통조림(옥수수, 복숭아, 파일애플 통조림 등)을 포함한다. 우유가공식품은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을 포함한다. 육류가공식품은 돈까스, 비프까스, 치킨까스, 소세지. 탕수육, 너겟류, 너비아니 등을 포함한다. 밀봉포장생면 등의 국수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조성물은 레토르트식품, 스프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기능성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건강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는 건강 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기능성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상기 식품은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강진향 추출물, 상기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강진향 추출물, 상기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구강의 치주에 감염되어 치주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치주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구강을 청결하게 하여 치주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구강질환의 발병을 예방할 수 있는 구강세정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은 세정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도 충치 예방제, 살균제, 생약제, 염증 완화제, 효소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치 예방제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불화나트륨, 불화인산나트륨, 불화아민, 불화주석, 크실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살균제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클로로헥시딘,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 트리클로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생약제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죽염, 프로폴리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염증 완화제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알란토인, 아미노카프론산, 트라넥사민산, 초산토코페롤, 메틸설포닐메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효소제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덱스트라나제, 글루코스옥시다제, 글루코아밀라제, α, β-아밀라제, 락토퍼옥시다제, 라이소자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강세정용 조성물은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등을 추가하여 고체상, 페이스트상, 분말상, 액체상 또는 분무제상의 형태로 제제화 될 수 있고, 기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미제, 향료, 색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마제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지르코늄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함수알루미나, 경질탄산칼슘, 중질탄산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메타인산염, 알루미늄실리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습윤제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농도 98%의 농축글리세린, 농도 70%의 소르비톨 수용액, 농도 70%의 비결정성 소르비톨수용액, 자일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제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라기난, 잔탄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기포제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진향 추출물, 상기 강진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치주균에 대하여 우수하면서도 특이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보다 효율적인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강진향의 열수 추출물에 의한 각 치주균의 균체수 감소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강진향의 7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각 치주균의 균체수 감소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네르올리돌에 의한 각 치주균의 균체수 감소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각 치주균에 미치는 강진향의 열수 추출물의 최소살균농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각 치주균에 미치는 강진향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살균농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각 치주균에 미치는 네르올리돌의 최소살균농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치주균에 대한 강진향 추출물의 항균활성
실시예 1-1: 치주균의 배양
치주균으로 알려진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KCTC 3206, ATCC 19433),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Actinomyces viscosus)(KCTC 9146, ATCC 15988),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KCTC 3065, ATCC 25175) 및 스트렙토코서스 생귀스(Streptococcus sanguis)(NCTC 9811)를 BHI(Brain Heart Infusion) Broth 배지(BHI, Difco, USA)에서 1차 배양하고, 1차 배양된 배양물을 아가를 포함하는 BHI 고체배지에서 계대배양하였다.
실시예 1-2: 강진향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강진향 50g을 증류수 1리터에 침지하여,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한 다음, 이를 동결건조하여 강진향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강진향 7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강진향 50g을 70% 에탄올 0.5리터에 침지하여, 1시간 동안 25℃에서 초음파처리하고, 이를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한 다음, 이를 감압하에서 회전식 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강진향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치주균에 대한 강진향 추출물의 항균활성
치주균에 대한 강진향 추출물의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1에서 계대배양된 각 치주균을 BHI Broth 배지에서 배양하고, 550nm에서 흡광도값이 0.1이 되도록 균액을 희석한 다음, 희석된 균액을 새로운 BHI Broth 배지에 1%로 접종하고, 이를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200㎕씩 분주하였다. 상기 분주된 각 웰에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강진향 열수 추출물과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강진향 70%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2.5 mg/㎖의 농도로 가하고, 20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이 종료된 후 550nm에서 흡광도값을 측정하여 치주균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도 1 및 도 2).
도 1은 강진향의 열수 추출물에 의한 치주균의 균체수 감소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강진향의 7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치주균의 균체수 감소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강진향의 열수 추출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치주균의 균체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강진향 추출물에 의하여 균체수가 가장 많이 감소되는 균주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이고, 그 다음으로 스트렙토코서스 생귀스,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 및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의 순서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강진향 추출물에 의하여 각 치주균별로 서로 다른 수준의 항균활성이 나타내었는 바, 이는 본 발명의 강진향 추출물이 치주균에 대한 특이성과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시예 1-5: 치주균에 대한 네르올리돌(nerolidol)의 증식억제 활성
강진향 열수 추출물 또는 70% 에탄올 추출물 대신에, 강진향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으로 알려진 네르올리돌(sigma-aldrich)을 0.625 mg/㎖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치주균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도 3).
도 3은 네르올리돌에 의한 치주균의 균체수 감소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강진향 추출물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 네르올리돌은 농도의존적으로 치주균의 균체수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네르올리돌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의 균체수를 가장 많이 감소시키고,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의 균체수를 가장 적게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강진향의 열수 추출물과 유사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였으나, 스트렙토코서스 생귀스 보다는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의 균체수를 더욱 많이 감소시키고, 낮은 농도로 처리하여도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의 균체수를 일정수준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각각의 강진향 추출물과는 구별되는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네르올리돌에 의하여 각 치주균별로 서로 다른 수준의 향균활성을 나타내었으므로, 네르올리돌 또한 강진향 추출물과 유사하게 치주균에 대한 특이성과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시예 2: 치주균에 대한 최소살균농도의 결정
상기 실시예 1-4 및 1-5에서 배양한 각 배양물 2㎕를 각각 실시예 1-1에서 사용한 BHI 고체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최소살균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를 결정하였다(도 4 내지 도 6).
도 4는 치주균에 미치는 강진향의 열수 추출물의 최소살균농도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5는 치주균에 미치는 강진향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살균농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6은 치주균에 미치는 네르올리돌의 최소살균농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먼저, 강진향의 열수 추출물의 경우,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 및 스트렙토코서스 생귀스에 대한 최소살균농도는 2,500㎍/㎖ 이상이고,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에 대한 최소살균농도는 2,500㎍/㎖임을 확인하였다(도 4). 다음으로, 강진향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및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에 대한 최소살균농도는 2,500㎍/㎖ 이상이고, 스트렙토코서스 생귀스에 대한 최소살균농도는 2,500㎍/㎖이며,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에 대한 최소살균농도는 1,250㎍/㎖임을 확인하였다(도 5). 끝으로, 네르올리돌의 경우,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 및 스트렙토코서스 생귀스에 대한 최소살균농도는 2,500㎍/㎖ 이상이고,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에 대한 최소살균농도는 1,250㎍/㎖임을 확인하였다(도 6).
이러한 결과는, 강진향 추출물 및 네르올리돌의 항균활성에 의하여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균주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라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 1-4 및 1-5의 결과에 부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시예 3: 강진향 추출물의 급성독성실험
실시예 3-1: 실험동물의 준비
4주령의 암수 ICR 마우스를 입수하여 외관을 육안으로 검사한 후, 일주일간 시험을 실시하는 동물실에서 순화시키고 그 중 건강한 동물을 골라 실험에 사용하였다. 순화 기간 중, 일반 임상증상을 관찰하여 건강한 동물을 암수 각각 20마리씩 선정하여 체중범위에 따른 무작위법에 의하여 군 분리를 실시하여 실험동물을 준비하였다. 본 실시예를 위한 실험은 실험동물윤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쳤으며, 순화 및 실험기간 동안의 사육환경은 온도 23±3℃, 상대습도 50±10%, 환기횟수는 시간당 12~16회, 조명은 12시간 명암주기(점등 7:00, 소등 19:00), 조도는 150-300 Lx로 조정하여 일정한 사육환경 조건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실험동물용 고형사료(PMI nutrition, USA)와 물은 자유 섭취 조건으로 하였다.
실시예 3-: 강진향 추출물의 급성독성 평가
상기 실시예 3-1에서 준비된 실험동물을 사용하여, 강진향 열수 추출물이 투여된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하고, 강진향 열수 추출물 투여로 인한 급성독성 여부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투여용량을 경구투여 한계용량 5000 ㎎/㎏를 기준으로 하여 공비 0.5로 설정한 각각 3개 군(각 5마리)을 준비하였으며, 대조군을 포함하여 암수 ICR 마우스를 각각 4개의 용량군으로 나누었다. 투여 경로는 한방 임상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경구투여법을 이용하였으며, 각 용량군의 한약재는 투여 직전에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실험에 공시하였으며 동물을 하룻밤 절식시킨 후 배부 피부 고정법으로 고정하고 경구투여용 금속제 존데와 주사관을 이용하여 강제 경구 투여 하였다.
그 후, 14일(1일 1회) 동안 사육하면서, 투여전과 투여 후 1, 3, 7, 14일에 체중변화를 측정하고(표 1), 상기 실험동물 중에서 사망한 개체가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표 2).
강진향 추출물이 투여된 실험동물의 체중변화
성별 강진향 투여량(g/kg) 체중(g)
0일 1일 3일 7일 14일
수컷 0
5
2.5
1.25
19.944
20.680
20.558
20.540
22.146
23.104
22.476
22.140
22.410
23.450
22.466
22.406
23.060
23.654
22.694
22.190
23.388
23.868
22.646
23.176
암컷 0
5
2.5
1.25
25.802
26.880
26.386
26.050
29.816
30.332
29.142
29.126
30.682
31.584
31.086
29.158
32.204
32.966
32.812
31.610
33.662
33.722
33.334
32.432
강진향 추출물이 투여된 실험동물 중 사망 개체수
성별 강진향 투여량(g/kg) 사망 개체수(마리)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수컷 0
5
2.5
1.25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암컷 0
5
2.5
1.25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강진향 추출물의 투여로 인한 실험동물의 체중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강진향 추출물의 투여로 인한 실험동물의 사망도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실험동물의 단위 체중(1kg)당 5g까지 투여한 경우에도 사망한 개체는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강진향 추출물의 LD50 값은 적어도 5g/kg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질환은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Actinomyces viscosus),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또는 스트렙토코서스 생귀스(Streptococcus sanguis)의 감염에 의해 발병되는 질환인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질환은 치주염 또는 치은염인 것인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네르올리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KR1020120108352A 2012-09-27 2012-09-27 네로올리돌을 포함하는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85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352A KR101685671B1 (ko) 2012-09-27 2012-09-27 네로올리돌을 포함하는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352A KR101685671B1 (ko) 2012-09-27 2012-09-27 네로올리돌을 포함하는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251A KR20140041251A (ko) 2014-04-04
KR101685671B1 true KR101685671B1 (ko) 2016-12-12

Family

ID=5065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352A KR101685671B1 (ko) 2012-09-27 2012-09-27 네로올리돌을 포함하는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8998A (zh) * 2015-03-17 2015-06-10 苏州市天灵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治疗牙周炎的中药片剂及其制备方法
KR101847479B1 (ko) * 2017-06-14 2018-04-12 한국한의학연구원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1880A (ja) * 2000-12-13 2004-07-22 ユニバ−シティ オブ ロチェスタ− 口腔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841901B1 (ko) * 2002-03-18 2008-06-27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 플라보노이드 계열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강진향추출물을 함유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활성저해제 및 기능성 식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1880A (ja) * 2000-12-13 2004-07-22 ユニバ−シティ オブ ロチェスタ− 口腔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841901B1 (ko) * 2002-03-18 2008-06-27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 플라보노이드 계열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강진향추출물을 함유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활성저해제 및 기능성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251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0835899B1 (ko) 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저롤을 포함하는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1702B1 (ko) 모링가 잎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20210014231A (ko)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8613A (ko)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1046621B1 (ko)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17525B1 (ko)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101685671B1 (ko) 네로올리돌을 포함하는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438800B1 (ko) 유산균 발효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151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00071360A (ko) 로즈힙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594674B1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757841B1 (ko) 바이칼린-아연착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20070113330A (ko) 곰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80118994A (ko) 구강 병원균의 증식에 의한 치아우식증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280868B1 (ko) 야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040043396A (ko) 항균활성을 갖는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및자몽종자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596438B1 (ko) 글라브리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0829B1 (ko) 에키나코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0017B1 (ko) 구강 개선용 조성물
KR102483814B1 (ko) 파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89506B1 (ko)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취 제거용 조성물
KR102115575B1 (ko) 개똥쑥과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6563B1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32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608

Effective date: 201610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