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541B1 -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항균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항균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541B1
KR100967541B1 KR1020080031345A KR20080031345A KR100967541B1 KR 100967541 B1 KR100967541 B1 KR 100967541B1 KR 1020080031345 A KR1020080031345 A KR 1020080031345A KR 20080031345 A KR20080031345 A KR 20080031345A KR 100967541 B1 KR100967541 B1 KR 100967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xtract
oxo
oleanene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376A (ko
Inventor
김원곤
정창길
김기영
손미진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90016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0Aceraceae (Map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리필릭산 에이와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리필릭산 에이와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퀴놀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Quinolone-resistant S. aureus), 아키네토박테르 칼코아케티쿠스(Acinetobacter calcoaceticus),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luteus), 고초균(Bacillus subtilis) 또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병원성 세균, 내성균 또는 충치 유발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돌단풍 추출물, 아세리필릭산 에이,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 항균, 구강용, 약학 조성물

Description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Antibacteri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ceriphyllum rossii extract and 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them}
본 발명은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피해는 경제, 환경, 의학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식품산업에서의 식품 유통 과정 중의 부패로 인한 손실, 농산업에서의 농작물에 대한 과량의 화학 살충제의 사용으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 및 환경오염,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 균주의 출현 등 사회 전반에서 많은 문제들을 야기시키고 있다.
인체 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의 마지막 치료제로 알려진 반코마이신에 고도의 내성을 보이는 포도상구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이, 2002년 미국 질병 통제국(Centers for Disease Control)에서 세계 최초로 보고됨으로써 소위 슈퍼 박테리아의 확산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는 반코마이신에 의해서만 치료가 되는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 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이 1970년대부터 문제시된 이후 1988년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구균(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VRE)이 유럽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고, 1990년 후반에는 일본, 미국, 프랑스, 한국에서 보고된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 intermediate-resistant s. aureus, VISA)이 발생하면서 범세계적인 위기로 떠오른 항생제 내성의 새로운 예로서 내성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 주고 있어 새로운 항생제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Pfeltz, R. F. and Wilkinson, B. J. 2004. The escalating challenge of vancomycin resistance in Staphylococcus aureus. Drug targets - infect . Disord . 4: 273-294.; Levy, S. B. and Marshall, B. 2004. Antibacterial resistance worldwide: causes, challenges and responses. Nature Med. 10: 122-129.).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항생제는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서 고비용이 소요되며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균물질을 분리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균물질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항균 스펙트럼이 광범위하고 장기간 투여하여도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여야 한다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구강질환은 구강에 살고 있는 각종 세균들에 의해 발생한다. 이들 세균은 충치를 발생시키는 세균과 잇몸질환을 유발시키는 세균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충치 유발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균과 치주질환 유발균인 포피로보나스 진지바리스(P. gingivalis)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구강균을 제거하기 위해 각종 살균제들이 구강용 제품에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구강용 제품에 사용되는 살균제에는 염화세틸 피리디늄, 염화헥살코늄, 염화벤잘코니움, 염화데카리늄, 클로로헥시딘, 트리클로산, 티몰, 이소프로필메칠페놀, 염화알킬디아미노에칠글리산 등의 원료, 천연추출 성분인 폴리페놀류, 은 성분 등이 있다. 최근에는 자연추출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각종 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구강에의 효과들이 알려지면서 많은 식물 추출물들이 구강질환예방 등에 관련된 구강용 조성물에 응용되고 있다.
한편, 돌단풍(Aceriphyllum rossi)은 장미목 범의귀과의 쌍떡잎식물에 속하는 높이가 10~30㎝인 다년생 초본으로 돌나리 또는 장장포라고도 불리운다. 잎이 단풍나무와 비슷하고 돌에서 자란다고 돌단풍이라 명명되었다. 돌단풍의 꽃, 손바닥 모양의 잎은 가장자리가 5~7개로 깊게 갈라지고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광택이 난다. 특히 어린잎은 식용한다. 돌단풍은 강심, 이뇨작용의 효능이 있어 심계항진, 소변불리에 하루 10~15 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민간에서는 뿌리를 석창포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돌단풍의 유효성분으로는 트리테르펜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들어 있다. 트리테르펜 화합물은 암세포(K562, HL-60)에 대한 세포독성과 ACAT 제해 활성이 알려져 있으며,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은 항산화 활성이 보고되어 있다(Han et al., Arch Pharm Res 27:390-395, 2004).
상기한 바와 같이, 돌단풍에 대해 다양한 약리활성이 보고되어 있지만, 아직까지 돌단풍의 항균활성에 대한 보고와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자원으로부터 새로운 항균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2000 여종의 식물 추출물로부터 세균의 생육 저해 활성물질을 스크리닝하던 중,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물질이 병원성 세균, 내성균 또는 충치 유발균에 대해 강력한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분리하여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건조된 돌단풍 뿌리를 메탄올 등의 유기용매에 가하고 교반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돌단풍 뿌리 메탄올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돌단풍 뿌리 메탄올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용매추출하고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돌단풍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돌단풍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 10:1인 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얻는다. 상기 활성분획을 다시 클로로포름:메탄올 30:1인 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순수한 화합물 1 및 화합물 2를 얻는다. 상기 화합물 1 및 화합물 2는 각각 아세리필릭산 에이(aceriphyllic acid A) 및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3-oxo-12-oleanen-27-oic acid)으로 동정하였다.
상기 아세리필릭산 에이 및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든 염, 에스테르 유도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젖산, 말레인산, 우마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콘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세리필릭산 에이 및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천연 생약재, 예를 들어 돌단풍으로부터 추출·분리하여 사용하였으나, 화학적인 합성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시판되는 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리필릭산 에이와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퀴놀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Quinolone-resistant S. aureus), 아키네토박테르 칼코아케티쿠스 (Acinetobacter calcoaceticus),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luteus), 고초균 (Bacillus subtilis) 또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리필릭산 에이와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병원성 세균, 내성균또는 충치 유발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리필릭산 에이와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과 함께 병원성 세균 및 내성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리필릭산 에이와 3-옥소-12-올레아 넨-27-오익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리필릭산 에이와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의 일일 투여량은 1㎎/㎏ 내지 0.5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0.05g/㎏ 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병원성 세균 및 내성균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 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치약, 구강용 세정제, 구강 청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치약의 경우에는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감미제, pH조절제, 방부제, 약효성분, 향료, 증백제, 색소, 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연마제로는 탄산칼슘, 침강 실리카, 수산화 알루미늄, 인산일수소칼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등이 있으며,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폴리에칠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기포제로는 폴리옥시에칠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칠렌(경화) 피마자유,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알킬올아미도, 알킬글루코시드등의 비이온계면활성제나 N-알킬디아미노 에틸글리신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등을 단독 혹은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결합제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잔탄검, 카라기난, 알긴산 나트륨 등이 있으며, 감미제로는 사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자일리톨, 감초산등이 있으며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pH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구연산, 주석산등을 사용하고,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그 밖의 유효성분으로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클로로헥시딘, 알란토인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네이트, 아미노카프론산, 트리클로산, 염화세틸피리디움, 염화아연, 염산피리독신, 초산토코페롤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 상 혼합하여 사용하고, 향료로는 페퍼민트오일, 스피아민트오일, 멘톨, 아네톨 등을 적당량 혼합하여 사용하며, 증백제로는 산화티탄올, 색소로는 식용색소를, 용제로는 정제수 및 에탄올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돌단풍 뿌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돌단풍 뿌리 2㎏을 메탄올 4㎏에 가하고 교반하여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돌단풍 뿌리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돌단풍 뿌리 메탄올 추출물에 에틸아세테이트 500g을 넣고 1시간 동안 용매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돌단풍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돌단풍 뿌리 추출물로부터 활성성분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돌단풍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이 10:1인 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얻었다. 상기 활성분획을 클로로포름:메탄올이 30:1인 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순수한 화합물 1 및 화합물 2를 얻었다. 상기 화합물 1 및 화합물 2는 물질의 성상, 분자량, 분자식, 편광도 및 13C-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각각 아세리필릭산 에이(aceriphyllic acid A) 및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3-oxo-12-oleanen-27-oic acid)으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1> 아세리필릭산 에이
Figure 112008024382089-pat00001
1) 성상 : 흰색 분말,
2) 분자량 : 472,
3) 분자식 : C30H48O4,
4) 편광도([α]D) : 84.4 (c 1.09, CHCl3),
5) 13C-NMR(75MHz, CDCl3): 36.68 (C-1), 26.05 (C-2), 75.81 (C-3), 40.15 (C-4), 46.72 (C-5), 18.08 (C-6), 33.0 (C-7), 35.97 (C-8), 49.47 (C-9), 39.65 (C-10), 22.91 (C-11), 124.42 (C-12), 139.86 (C-13), 57.03 (C-14), 22.41 (C-15), 28.10 (C-16), 31.00 (C-17), 42.13 (C-18), 44.21 (C-19), 33.4 (C-20), 34.29 (C-21), 36.82 (C-22), 70.24 (C-23), 18.08 (C-24), 16.45 (C-25), 18.35 (C-26), 181.3 (C-27), 28.44 (C-28), 33.21 (C-29), 24.01 (C-30).
<화합물 2>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
Figure 112008024382089-pat00002
1) 성상 : 흰색 분말,
2) 분자량 : 454,
3) 분자식 : C30H46O3,
4) 편광도([α]D) : 106.42 (c 1.09, CHCl3),
5) 13C-NMR(75MHz, CDCl3): 39.2 (C-1), 34.2 (C-2), 218.1 (C-3), 47.1 (C-4), 54.7 (C-5), 19.8 (C-6), 36.1 (C-7), 40.0 (C-8), 46.3 (C-9), 36.9 (C-10), 23.1 (C-11), 125.7 (C-12), 138.2 (C-13), 56.1 (C-14), 22.8 (C-15), 27.9 (C-16), 33.0 (C-17), 49.4 (C-18), 44.4 (C-19), 31.3 (C-20), 34.0 (C-21), 36.7 (C-22), 21.6 (C-23), 27.3 (C-24), 16.5 (C-25), 18.1 (C-26), 181.0 (C-27), 28.5 (C-28), 33.9 (C-29), 23.8 (C-30).
비교예 1 :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돌단풍 지상부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의 항균 활성 측정
본 발명의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의 항균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균은 Mueller Hinton broth에서 배양하여 액체 배지 희석법(broth microdilution)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수기 중기까지 배양한 시험균액을 같은 배지에 105/㎖이 되도록 균주를 맞춘 다음,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0.2㎖ 씩 균주한 다음, 상기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시료를 2배수씩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30℃에서 18시간 배양하여 세균의 생육을 650㎚에서 측정하였다. 세균의 생육을 완전히 저해하는 화합물의 최소농도를 MIC로 정의하였다.
돌단풍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황색포도상구균을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아세 리필릭산 에이 및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의 항균활성은 15균주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비교물질로는 시판되는 항생제인 트리클로산(triclosan), 옥사실린(oxacillin) 및 노르플록사신(norfloxacin)을 사용하였다.
돌단풍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돌단풍 추출물, 아세리필릭산 에이 및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의 항균활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돌단풍 추출물의 황색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
MIC(㎍/㎖) 항균활성(%)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 돌단풍 뿌리 추출물
200 100 100
100 74 100
50 55 100
25 46 100
12.5 - 100
6.25 - 100
3.125 - 45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MIC는 200㎍/㎖인 반면, 돌단풍 뿌리 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MIC는 6.25㎍/㎖로서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보다 32배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과 돌단풍 뿌리 추출물은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퀴놀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Quinolone-resistant S. aureus)에서도 황색포도상구균에서와 비슷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돌단풍 추출물, 아세리필릭산 에이 및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의 항균활성
균주 MIC(㎍/㎖)
추출물 아세리필릭산 에이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 트리클로산 옥사실린 노르플록사신
Staphylococcus aureus 503 4 2 2 0.006 0.25 1
Staphylococcus aureus KCTC1916 8 4 2 0.006 0.25 0.25
Staphylococcus aureus RN4220 8 4 4 0.006 0.25 1
Staphylococcus aureus CCARM3167(MRSA) 8 4 4 0.006 500 8
Staphylococcus aureus CCARM3506(MRSA) 8 4 8 0.006 500 1
Staphylococcus aureus CCARM3505(QRSA) 16 4 8 0.006 0.5 250
Staphylococcus aureus CCARM3519(QRSA) 16 4 8 0.006 0.5 125
Bacillus subtilis KCTC1021 8 1 2 0.003 0.25 0.25
Acinetobacter calcoaceticus KCTC2357 4 2 2 0.003 0.125 0.25
Micrococcus luteus KCTC1056 8 2 2 1 8 2
Streptococcus pneumoniae KCTC3932 >64 32 16 32 2 2
Enterococcus faecium KCTC3122 16 8 >64 4 2 8
Streptococcus mutans
KCTC 5248
8 2 4 1 0.06 8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8 2 4 1 0.06 8
Streptococcus mutans
KCTC 3289
8 4 4 1 0.06 8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단풍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퀴놀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Quinolone-resistant S. aureus)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4~16㎍/㎖의 MIC를 보였다 .아세리필릭산 에이는 황색포도상구균,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퀴놀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에 대해 2~4㎍/㎖의 MIC를 보여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도 황색포도상구균,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퀴놀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에 대해 2~8㎍/㎖의 MIC를 보여 아세리필릭산 에이와 비슷하거나 약간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세리필릭산 에이 및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아키네토박테르 칼코아케티쿠스(Acinetobacter calcoaceticus), 마이크로코커스 (Micrococcus luteus), 고초균(Bacillus subtilis)에 대해 1~2㎍/㎖의 MIC를 나타내었다.
또한 돌단풍 추출물, 아세리필릭산 에이 및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의 충치 유발균(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각각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돌단풍 추출물은 8 ㎍/㎖의 MIC를 보였으며, 아세리필릭산 에이는 2~4㎍/㎖의 MIC를 보였고,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4㎍/㎖의 MIC를 보여 충치균에 대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리필릭산 에이와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충치 유발균을 포함한 미생물에 강력한 항균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산제의 제조
돌단풍 추출물(또는 아세리필릭산 에이 또는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 0.1 g
유당 1.5 g
탈크 0.5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정제의 제조
돌단풍 추출물(또는 아세리필릭산 에이 또는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 0.1 g
락토오스 7.9 g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5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직타법(direct tableting method)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 캡슐제의 제조
돌단풍 추출물(또는 아세리필릭산 에이 또는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 0.1 g
옥수수전분 5 g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4.9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분말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경질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 주사제의 제조
돌단풍 추출물(또는 아세리필릭산 에이 또는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 0.1 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5 : 액제의 제조
돌단풍 추출물(또는 아세리필릭산 에이 또는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 0.1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리필릭산 에이와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퀴놀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Quinolone-resistant S. aureus), 아키네토박테르 칼코아케티쿠스 (Acinetobacter calcoaceticus),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luteus), 고초균 (Bacillus subtilis) 또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리필릭산 에이와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병원성 세균, 내성균 또는 충치 유발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돌단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단풍 추출물은 돌단풍 뿌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단풍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퀴놀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Quinolone-resistant S. aureus), 아키네토박테르 칼코아케티쿠스 (Acinetobacter calcoaceticus),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luteus), 고초균 (Bacillus subtilis)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4. 아세리필릭산 에이(aceriphyllic acid A) 또는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3-oxo-12-oleanen-27-oic acid)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세리필릭산 에이 또는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돌단풍 뿌리로부터 추출·분리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세리필릭산 에이 또는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퀴놀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Quinolone-resistant S. aureus), 아키네토박테르 칼코아케티쿠스(Acinetobacter calcoaceticus), 마이크로코커스 (Micrococcus luteus), 고초균(Bacillus subtilis)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7. 돌단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아세리필릭산 에이(aceriphyllic acid A) 또는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3-oxo-12-oleanen-27-oic acid)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아세리필릭산 에이 또는 3-옥소-12-올레아넨-27-오익산은 돌단풍 뿌리로부터 추출·분리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의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위생용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강위생용품은 치약, 구강용 세정제 및 구강용 청정제로 구성되는 것인 구강위생용품.
KR1020080031345A 2007-08-10 2008-04-03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항균용 약학 조성물 KR100967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938 2007-08-10
KR20070080938 2007-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376A KR20090016376A (ko) 2009-02-13
KR100967541B1 true KR100967541B1 (ko) 2010-07-05

Family

ID=4068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345A KR100967541B1 (ko) 2007-08-10 2008-04-03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항균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5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100B1 (ko) 2012-12-14 2014-10-07 한국콜마주식회사 돌단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KR20150073497A (ko) 2013-12-23 2015-07-01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rsa 및 vrsa의 항균을 위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anta Medica, 2002, 68, pp.558-56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100B1 (ko) 2012-12-14 2014-10-07 한국콜마주식회사 돌단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KR20150073497A (ko) 2013-12-23 2015-07-01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rsa 및 vrsa의 항균을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376A (ko) 200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400B1 (ko) 흰점박이꽃무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73221B1 (ko)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WO2018026103A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 재생용 조성물
WO2019225786A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0567431B1 (ko) 리그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967541B1 (ko)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항균용 약학 조성물
KR101965983B1 (ko) 파낙시놀 또는 파낙시돌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703732B1 (ko)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JP5542145B2 (ja) イワヤツデ抽出物およびそれから分離した活性成分を含む抗菌性薬学組成物
KR20100028202A (ko)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367027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208566B1 (ko)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67261B1 (ko) 메이스리그난 또는 육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손상 개선용 조성물
KR101077522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691792B1 (ko)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충치와 치주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구강 조성물
KR101634210B1 (ko) 캠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96438B1 (ko) 글라브리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0829B1 (ko) 에키나코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3665B1 (ko) 그람음성구균 녹농균에 대해 항생제와 상승적 항균효과를 가지는 디플로르에톡하이드록시카르말롤 및 이의 용도
KR20120068522A (ko) 맥문동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WO2016182147A1 (ko)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4885A (ko) 아리스톨록사진 c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WO2016182158A1 (ko) 가시상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4886A (ko) 아사로이독사진 b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