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26003A1 -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26003A1
WO2016126003A1 PCT/KR2015/013698 KR2015013698W WO2016126003A1 WO 2016126003 A1 WO2016126003 A1 WO 2016126003A1 KR 2015013698 W KR2015013698 W KR 2015013698W WO 2016126003 A1 WO2016126003 A1 WO 20161260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film
adhesive layer
window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6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민창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링크
Publication of WO20161260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260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9Iridescent, pearlescen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for attaching a glass window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film for attaching to a glass window of a vehicle or a glass window of a build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various functional films have been attached to glass windows of vehicles or buildings.
  • the film for attaching the window provided various functions, such as a safety function to prevent the glass from being scattered or broken, or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indoor living space by using proper coloring.
  •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94307 is a base layer formed with a heat shield layer to block the radiant heat flowing in and out of the room, and the protective layer formed with an adhesive layer that can be bonded to the heat shield layer And a layer, wherein the thermal barrier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are dried by microwave waves.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03461 relates to a film attached to a window to block visible light and near infrared rays, and more specifically, is formed on a support layer and one surface of the support layer to display visible light and near infrared rays. It includes a shielding layer for blocking, the shielding layer discloses a film formed by coating a coating liquid in which inorganic compound particles containing nitrogen is dispers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layer.
  •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functional films provide various functionalities, but there is a limit in providing a decorative function due to the necessity of securing visibility of the window glas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and to provide a decorative window to the vehicle or building exterior, while providing a window mounting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ensure visibility in the room.
  • a glass window attachment film including a first base film and a second base film, an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base film and a second base film, and the adhesive layer is not formed.
  • 1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film and adhered to the interior side of the glass window to be decorated and mixed with a pearl pigment, and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ase film where the adhesive layer is not formed.
  • At least one of the first base film, the adhesive layer,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protective layer is colored such that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the glass-winding film is 50% or less.
  • the average pigment size of the pearl pigment is less than 250 micrometers
  • the pearl pig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lass flake coated with a metal oxide.
  • Another glass window attach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nd mixed with a pearl pigment, and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film;
  • any one or more of the base film or the protective layer is colored so that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the glass-winding film is 50% or less.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earl pigment is 250 micrometers or less, a glass window attachment film comprising a glass oxide coated metal oxide.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stick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for coating and drying the adhesive layer solution on the first base film, the adhesive step for adhering the colored second base film to the formed adhesive lay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ing step of coating and dr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ixed with a pearl pigment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ase film, the adhesive layer is not formed, a release film attaching step of attaching a release film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is not bonded to the adhesive layer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ase film.
  • the glass window attachmen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earance that is shiny in various colors by the pearl pigment of the adhesive layer attached to the vehicle or building glass window to face the outside. In addition, when observed indoors, light reflected or refracted by the pearl pigment is blocked by the colored layer,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 the functional layer of the glass-win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blocking infrared rays to block ultraviolet rays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increase the cooling and heating effect.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ndow mounting fil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mounting fil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window mounting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ndow mounting fil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l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ase film (11).
  • the first base film 11 is a film made of various plastic materials having transparency, and may be, for exampl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naphthalate, acetate resins, polyether sulfone resins, polycarbonate resins, polyamide resins, polyimide resins, polyolefin resins, (meth) acrylic resins, and polyvinyl chlorides It may be made of a resin, polyvinylidene chloride, polystyrene resin, polyvinyl alcohol resin, polyallylate resin, polyphenylene sulfide resin.
  • the adhesive layer 12 is a layer containing a binder resin, and any of a thermoplastic resin, a thermosetting resin, a photocurable resin, and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may be used as the binder resin.
  • a thermoplastic resin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polycarbonate resin, acrylic resin, polystyrene res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rmosetting resi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phenol resin, epoxy resin, acrylic resin, urethane resin, melamine resin, urea resin, polycarbonate res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otocurable resin or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urethane acrylate resins, polyester acrylate resins,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silicone acrylate resins, epoxy acrylate resins, and the like, What mixed photoinitiator etc. can also be used. If necessary, a curing agent, a curing accelerator, a caking additive, a surface conditioner, a dye, a plastic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 light stabilizer, or the like may be mixed with the resin. In addition, these resin may be a copolymer, or may be a heterogeneous resin mixture.
  • the second base film 13 i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12 again. That is, the first base film 11 and the second base film 14 are bonded to each other with the adhesive layer 12 therebetween.
  • the second base film 13 is a film made of various plastic materials.
  • the second base film 13 may b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naphthalate, acetate resins, polyether sulfone resins, polycarbonate resins, polyamide resins, polyimide resins, polyolefin resins, (meth) acrylic resins, and polyvinyl chlorides Resins, polyvinylidene chloride resins, polystyrene resins, polyvinyl alcohol resins, polyallylate resins, polyphenylene sulfide resins, and the like.
  • the second base film 13 is a colored film is used.
  • the protective layer 14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film 13.
  • the protective layer 14 is a layer formed to protect the surface from external impact, scratches, or the like.
  • the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the protective layer 14 include a thermosetting resin, a thermoplastic resin, a photocurable resin, and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 a thermosetting resin for example, polycarbonat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henoxy resin, epoxy resin, polyolefin resin or the like can be used.
  • thermoplastic resin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polycarbonate resin, acrylic resin, polystyrene res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otocurable resin or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urethane acrylate resins, polyester acrylate resins,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silicone acrylate resins, epoxy acrylate resins, and the like, if necessary, The thing which mixed its photoinitiator etc. can also be used. As needed, you may mix a hardening
  • the adhesive layer 15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11.
  • a raw material of the adhesion layer 15 if it has transparency, it can use without a restriction
  • rubber type such as acrylic polymer, silicone polymer, polyester, polyurethane, polyamide, polyvinyl ether, vinyl acetate / vinyl chloride copolymer, modified polyolefin, epoxy type, fluorine type,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etc.
  • What uses a polymer, such as a base polymer can be selected suitably and can be used.
  •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e from the point which is excellent in optical transparency, exhibits adhesive properties, such as moderate wettability, cohesion, and adhesiveness, and also excellent in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etc.
  • the adhesive layer 15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corresponding to the base polymer.
  • the adhesive layer 15 is usually formed of an adhesive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a base polymer or a composition thereof in a solvent.
  • a solvent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d use a suitable thing according to the kind of adhesive, such as organic solvents, such as toluene and ethyl acetate.
  • a pearl pigment (Pearlescent Pigment, Effect Pigment) that can give a variety of gloss effect to the adhesive layer 15 is mixed.
  • Pigment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absorption pigments, metal effect pigments, and pearlescent pigments, depending on their functional base.
  • Absorption pigments are pigments that absorb most of the incident light, such as watercolor paint, and show their natural color through some scattering.
  • Metal effect pigments are pigments that exhibit an effect like a mirror surface by reflecting most of incident light.
  • Pearl pigments are pigments in which incident light causes reflections and refractions at the surface and deep layers, and these lights give various colors in rainbow colors by reinforcing and canceling each other.
  • Pearl pigment has a form in which a metal oxide is coated on a plate-like fine particle called flake. Since the use of natural mica (Flake) has been developed to synthetic mica, alumina (Al 2 O 3 ), silica (SiO 2 ), glass (borosilicate) and the like. These flakes basically have a transparency to light, but among them glass flakes in particular provide the best transparenc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pearl pigment made of glass flakes in a film for attaching to a glass window, which is important to ensure visibility, such as inside a vehicle.
  • titanium dioxide (TiO 2 ) having a large refractive index is commonly used as the metal oxide to be coated on the flakes described above.
  • the color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earl pigment i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of the coated metal oxide. Therefore, the user can obtain the desired color effect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metal oxide.
  • the size of the flake particles in pearl pigments affects the external visual effects.
  • the user can use a pearl pigment having an appropriate particle size according to the desired effect.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earl pigment ad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5 in the glass-win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250 micrometers or less.
  • the amount of the pearl pigment added to the adhesive layer 15 also affects the visual effect appearing outside.
  • the pearl pigment is 6 wt% or less in the adhesive layer 15.
  • the other side of the adhesive layer 15 is attached to the release film 16 to protect it.
  • the release film 16 provides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adhesive layer 15 in a transport process until the glass window attach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glass window. That is, the glass window attachment film is used by removing the release film 16 and attaching the adhesive layer 15 to the glass window to be used.
  • the release film 16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like, and the synthetic resin may be polyolefin resin, polyester resin, vinyl chloride resin, or the like.
  • a release treatment agent may be applied to the release film 16. As the peeling treatment agent, silicone resin, alkyd resin, or the like may be used.
  • the glass window attachmen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attach to the interior side of the vehicle or building glass window so that the adhesive layer 15 faces outward. Therefore, when observed from the outside, the effect of the pearl pigments mixed in the adhesive layer 15 has a shiny appearance in various colors. On the other hand, when observed indoors, the light reflected or refracted by the pearl pigment of the adhesive layer 15 passes through the colored second base film 13 and is blocked in a large part, so that the outside can be easily seen without the glare of the glass window.
  • the light L incident from the outside passes through the adhesive layer mixed with the pearl pigment, and some L r1 is reflected back to the outside, and some L r2 is incident inside.
  • the light L r2 incident to the room is block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strength is weakened, and the shiny luster of the pearl pigment is substantially reduced.
  • the light L r1 is usually observed through a transparent glass window and there is no element blocking it, so most of the pearlescent's shiny luster is transmitted as it is.
  • the shiny luster of the pearl pigment is mostly blocked in the second base film 13.
  • VLT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film for window sticking is demonstrated.
  • the above-described first base film 11 is prepared, and an adhesive layer forming step (S11)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12 on one surface thereof is performed.
  • the binder resin forming the adhesive layer 12 is dissolved and coated with a solution.
  • a coating method micro gravure coating may be used.
  • various coating methods such as comma coating and slot die coating may be used.
  • a drying method a hot air drying method may be used.
  • UV drying, infrared drying, vacuum drying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 an adhesive step (S12) of adhering the prepared second base film 13 to the adhesive layer 12 is performed.
  • an adhesive layer forming step (S13)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12 is perform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olution mixed with the above-mentioned pearl pigment is coated and dried.
  • a coating method micro gravure coating may be used.
  • various coating methods such as comma coating and slot die coating may be used.
  • a drying method a hot air drying method may be used.
  • UV drying, infrared drying, vacuum drying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 a release film attaching step (S14) of attaching the prepared release film 16 to the adhesive layer 15 is performed.
  • the protective layer forming step S15 of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14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film 13 is performed.
  • a solution in which the protective layer 14 material is mixed is coated and dried.
  • a coating method micro gravure coating may be used.
  • various coating methods such as comma coating and slot die coating may be used.
  • a drying method a hot air drying method may be used.
  • UV drying, infrared drying, vacuum drying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 the second base film 13 as described above serves to block most of the light that is refracted and reflected by the pearl pigment of the adhesive layer 15 as a colored film.
  • these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ways.
  • a coloring film is used as the first base film 11 instead of the second base film 13, or coloring is performed by adding coloring dyes or pigments to the adhesive layer 12 or the protective layer 14. It may be the way.
  • the method may be a method of forming a colored layer on at least two of the first base film 11, the second base film 13, the adhesive layer 12, and the protective layer 14.
  • an adhesive layer 15 in which a pearl pigment is mixed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lored first base film 11 without the second base film 13, and the release film 16 is formed.
  • the film for attaching the glass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configured by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14 on the other side.
  • the window attaching fil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the first base film 21, the adhesive layer 22, the second base film 23, the protective layer 24, and the adhesive. Layer 25, release film 26.
  • the functional layer 27 is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first base film 21 and the adhesive layer 22.
  • the functional layer 27 is a layer containing functional particles that block infrared (IR) or ultraviolet (UV) light.
  • Such functional particles are inorganic oxides such as antimony oxide, indium oxide, zinc oxide, aluminum oxide, or dimony And organic compounds such as phthalocyanine and hexaboride compounds.
  • Functional particles are blended with a binder, an organic solvent, and other additives.
  • a binder an acrylic binder, a urethane binder, a modified epoxy binder, an ester binder, etc.
  • a tackifier a filler, a softener, a heat stabilizer, an antioxidant, and the like may be added as other additives as necessary.
  • the mixed solution is coated on the first base film 21 and dried.
  • a coating method micro gravure coating may be used.
  • various coating methods such as comma coating and slot die coating may be used.
  • a drying method a hot air drying method may be used.
  • UV drying, infrared drying, vacuum drying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 the adhesive layer 22 is formed on the functional layer 27, and the second base film 23 is attached. Then, the adhesive layer 25 is formed, the release film 26 is attached, and the protective layer 24 is formed. Since these processes are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 2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functional layer 27 may be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22.
  • the functional particles may be blending the functional particles together in a solution containing a binder resi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22 to form an adhesive layer 22 containing the functional particles without a separate process for forming the functional layer 27.
  •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 the window attachmen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in automobiles, buildings and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관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면서도, 실내에서의 시인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은 제1 베이스 필름 및 제2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제2 베이스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반대편 일면에 형성되며 장식할 유리창의 실내측에 점착되며 진주안료가 혼합된 점착층과, 상기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 필름, 상기 접착층,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기 보호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유리창 혹은 건물의 유리창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량이나 건물의 유리창에는 다양한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실내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피부노화나 실내 용품의 탈색, 변색 등을 유발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 또는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을 차단하는 기능, 또는 외부충격으로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막아주거나 파손된 유리가 비산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 기능, 또는 적정한 착색을 이용해 실내 생활공간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유리창 부착용 필름이 제공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예로써,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8-0094307은 실내외로 유입, 유출되는 복사열을 차단하는 열차단층이 형성된 기재층과, 상기 열차단층과 접착할 수 있는 접착층이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열차단층과 상기 접착층이 마이크로웨이브파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써,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4-0103461호는 윈도우에 부착되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필름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차폐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층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 입자가 분산된 도포액을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코팅하여 형성된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기능성 필름들은 다양한 기능성을 제공하나 유리창 본연의 시인성(visibility, 視認性) 확보의 필요로 인해 장식적인 기능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이나 건물 외관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면서도, 실내에서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은 제1 베이스 필름 및 제2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제2 베이스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반대편 일면에 형성되며 장식할 유리창의 실내측에 점착되며 진주안료가 혼합된 점착층과, 상기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50%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제1베이스 필름, 상기 접착층,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기 보호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주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는 250마이크로미터 이하이고, 상기 진주안료는 금속산화물이 코팅된 글래스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은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며 진주안료가 혼합된 점착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50% 이하가 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 또는 상기 보호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주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는 250마이크로미터 이하이고, 금속산화물이 코팅된 글래스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유리창 부착용 필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1 베이스 필름에 접착층 용액을 코팅하고 건조하는 접착층 형성 단계와, 형성된 접착층에 착색된 제2 베이스 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와,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베이스 필름의 다른 일면에 진주안료가 혼합된 점착제를 코팅하고 건조하는 점착층 형성 단계와, 점착층에 이형 필름을 부착하는 이형필름 부착단계와, 접착층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제2 베이스 필름의 다른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은 바깥을 향하도록 차량이나 건물 유리창에 부착되는 점착층의 진주안료에 의해 다양한 색으로 반짝이는 외관을 제공한다. 또한 실내에서 관찰시는 진주안료에 의해 반사되거나 굴절되는 빛이 착색층에 의해 차단되어 시인성을 향상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기능층은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해주고 냉난방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적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3은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들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필름은 제1 베이스필름(11)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필름(11)은 투명성을 갖는 각종 플라스틱 재료를 만들어진 필름으로써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일 수 있다. 그 외에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도 있다.
제1 베이스필름(11)의 일면에는 접착층(12)이 형성된다. 접착층(12)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써, 바인더 수지로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어느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롤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필요한 경우에, 그의 광개시제 등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경화제, 경화 촉진제, 점결제, 표면 조정제, 염료,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등을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의 수지는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또는 이종의 수지 혼합체일 수도 있다.
접착층(12) 위에는 다시 제2 베이스 필름(13)이 구성된다. 즉 접착층(12)을 사이에 두고 제1 베이스필름(11)과 제2 베이스 필름(14)이 서로 접착된다. 제2 베이스 필름(13)은 각종 플라스틱 재료를 만들어진 필름으로써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일 수 있다. 그 외에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등일 수도 있다. 한편, 제1베이스 필름(11)과 달리 제2 베이스 필름(13)은 착색된 필름이 사용된다.
제2 베이스필름(13)의 다른 일면에는 보호층(14)이 형성된다. 보호층(14)은 외부 충격이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층이다. 보호층(14)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소재로는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페녹시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롤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 등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과, 필요한 경우에, 그의 광개시제 등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경화제, 경화 촉진제, 점결제, 표면 조정제, 안료,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등을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지는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이종의 수지 혼합체일 수도 있다. 또한, 광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좋은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 후에 경화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베이스 필름(11)의 다른 일면에는 점착층(15)이 형성된다. 점착층(15)의 소재로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에테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코폴리머, 변성 폴리올레핀, 에폭시계, 불소계,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등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 응집성 및 접착성 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도 우수하다는 점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층(15)에는 베이스 폴리머에 따른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층(15)은 통상 베이스 폴리머 또는 그 조성물을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점착제 용액으로 형성된다. 상기 용제로는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제등 점착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에 있어서 외관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점착층(15)에 다양한 광택 효과를 낼 수 있는 진주안료(Pearlescent Pigment, Effect Pigment)를 혼합한다. 일반적으로 안료(Pigment)는 그 작용기재에 따라 흡수 안료(absorption pigments), 금속효과안료(metal effect pigments), 진주안료(pearlescent pigments)로 구분된다. 흡수 안료는 수채 물감과 같이 입사되는 빛을 대부분 흡수하고 일부 산란을 통해 본연의 색을 나타내는 안료이다. 금속효과안료는 입사되는 대부분의 빛을 반사함으로써 마치 거울표면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안료이다. 진주안료는 입사되는 빛이 표면과 심층에서 반사 및 굴절을 일으키고 이 빛들이 서로 보강과 상쇄를 일으킴으로써 무지개색의 다양한 빛깔을 내도록 한 안료이다.
진주안료는 플레이크(Flake)라고 불리는 판상의 미립자에 금속산화물이 코팅된 형태를 갖는다. 플레이크(Flake)로는 자연운모(natural mica)가 사용되기 시작한 이래로 합성운모(synthetic mica),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글래스(borosilicate)등으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플레이크들은 기본적으로 빛에 대한 투과성(transparency)이 있으나 이들 중에서도 특히 글래스 플레이크가 가장 우수한 투과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서와 같이 시인성 확보가 중요한 유리창에 부착하는 용도의 필름에는 글래스 플레이크로 만든 진주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플레이크에 코팅되는 금속산화물로는 굴절률이 큰 이산화티탄(TiO2)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진주안료에서 반사되는 빛의 색깔은 코팅된 금속산화물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금속산화물의 두께를 조절하여 원하는 색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진주안료가 가지는 플레이크 입자의 크기는 외부로 나타나는 시각적인 효과에 영향을 준다. 즉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부드러운 질감과 은은한 효과를 주는 반면에 입자 크기가 클수록 거친 질감과 반짝임이 강한 효과를 준다. 사용자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적절한 입자크기를 갖는 진주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입자크기가 너무 크면 유리창에 부착될 점착층(15)의 표면 품위(surface integrity)가 나빠지고, 부착된 유리창과 점착층(15) 사이에 다수의 기포가 유발되어 시인성 확보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에 있어서 점착층(15)에 첨가되는 진주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는 250마이크로미터(㎛)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층(15)에 첨가하는 진주안료의 양도 외부로 나타나는 시각적인 효과에 영향을 준다. 첨가하는 진주안료의 양이 많을수록 외부로 나타나는 장식적인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으나, 실내에서의 시인성 확보를 위해서는 일정량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에 있어서는 점착층(15)에 있어서 진주안료는 6중량%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15)의 다른 일면에는 이를 보호하는 이형필름(16)이 부착된다. 이형필름(16)은 본 발명의 유리창 부착용 필름을 유리창에 부착하기 전까지의 운반과정등에서 점착층(15)을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유리창 부착용 필름은 이형필름(16)을 제거하고 점착층(15)을 사용하고자 하는 유리창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형필름(16)은 합성수지등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합성수지로는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염화비닐수지등이 있을 수 있다. 이형필름(16)에는 박리처리제가 도포될 수 있다. 박리처리제로는 실리콘수지, 알키드수지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은 점착층(15)이 바깥을 향하도록 차량이나 건물 유리창의 실내측에 부착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관찰하면 점착층(15)에 혼합된 진주안료의 효과에 의해 다양한 색으로 반짝이는 외관을 갖게 된다. 반면에서 실내에서 관찰시에는 점착층(15)의 진주안료에서 반사되거나 굴절된 빛은 착색된 제2 베이스필름(13)을 지나면서 상당부분 차단되기 때문에 유리창의 반짝임이 없이 외부가 잘 보이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 L은 진주안료가 혼합된 점착층을 지나면서 일부 Lr1는 다시 외부로 반사되고, 일부 Lr2는 내부로 입사된다. 실내로 입사되는 빛 Lr2는 제2 베이스필름을 지나면서 차단되어 강도가 약해지고 진주안료의 반짝이는 광택이 상당부분 감소하게 된다. 외부에서 관찰되는 빛 Lr1는 통상적으로 투명한 유리창을 통해 관찰되고 이를 차단하는 요소가 없기 때문에 진주안료의 반짝이는 광택이 대부분 그대로 전달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실내에서의 시인성 확보를 위해서는 진주안료의 반짝이는 광택이 제2 베이스 필름(13)에서 대부분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제2 베이스 필름(13)의 가시광선투과율(Visible Light Transmittance, VLT)은 50%이하인 착색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상술한 제1 베이스필름(11)을 준비하고 그 일면에 접착층(12)을 형성하는 접착층 형성 단계(S11)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접착층(12)을 형성하는 바인더 수지가 용해된 용액을 코팅하여 건조시킨다. 코팅 방법으로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Micro gravure coating)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콤마코팅(Comma coating), 슬롯다이코팅(Slot die coating)등 다양한 코팅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건조 방법으로는 열풍건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자외선 건조, 적외선 건조, 진공건조방식이나 이들을 조합한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준비한 제2 베이스필름(13)을 접착층(12)에 접착하는 접착단계(S12)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1베이스 필름(12)의 다른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층 형성 단계(S13)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진주안료가 혼합된 점착제 용약을 코팅하고 건조시킨다. 코팅 방법으로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Micro gravure coating)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콤마코팅(Comma coating), 슬롯다이코팅(Slot die coating)등 다양한 코팅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건조 방법으로는 열풍건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자외선 건조, 적외선 건조, 진공건조방식이나 이들을 조합한 방법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준비한 이형필름(16)을 점착층(15)에 부착하는 이형필름 부착 단계(S14)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2 베이스 필름(13)의 다른 일면에 보호층(14)을 형성하는 보호층 형성단계(S15)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보호층(14) 소재가 혼합된 용액을 코팅하고 건조시킨다. 코팅 방법으로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Micro gravure coating)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콤마코팅(Comma coating), 슬롯다이코팅(Slot die coating)등 다양한 코팅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건조 방법으로는 열풍건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자외선 건조, 적외선 건조, 진공건조방식이나 이들을 조합한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제2 베이스 필름(13)은 착색필름으로써 점착층(15)의 진주안료에서 굴절, 반사되는 대부분의 빛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능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 필름(13) 대신 제1 베이스 필름(11)으로 착색 필름을 사용하거나, 접착층(12) 또는 보호층(14)에 착색 염료(dye)나 안료(pigment)를 첨가하여 착색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는 제1 베이스 필름(11), 제2 베이스 필름(13), 접착층(12), 보호층(14) 중 어느 둘 이상에 착색층을 형성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써, 도3을 참조하면, 제2 베이스필름(13) 없이 착색된 제1 베이스 필름(11)의 일면에 진주안료가 혼합된 점착층(15)을 형성하고 이형필름(16)을 부착한 후, 다른 일면에 보호층(14)을 형성하는 방식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을 구성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4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은 제1 베이스필름(21), 접착층(22), 제2 베이스 필름(23), 보호층(24), 점착층(25), 이형필름(26)을 포함한다. 이들의 물질 조성이나 제조방법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에 있어서는 제1 베이스필름(21)과 접착층(22) 사이에 기능층(27)이 더 포함되어 있다. 기능층(27)은 적외선(IR)이나 자외선(UV)를 차단하는 기능성 입자들이 포함된 층으로써, 이러한 기능성 입자는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무기산화물이나, 디모니엄, 프탈로시안, 6붕화 화합물과 같은 유기화합물일 수 있다. 기능성 입자는 바인더, 유기용제, 기타 첨가제등과 함께 배합된다. 바인더로는 아크릴 바인더, 우레탄 바인터, 변성 에폭시 바인더, 에스테르계 바인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기용제로는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콜, 에칠셀로솔브, 이소부틸알콜, 디메틸포미드, 에탄올, 부틸셀로솔브, 크실렌, 1-옥타놀,디에틸렌, 글리콜, 니트로벤젠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로써 점착부여제, 충전제, 연화제, 열광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렇게 배합된 용액은 제1 베이스필름(21)에 코팅하여 건조된다. 코팅 방법으로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Micro gravure coating)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콤마코팅(Comma coating), 슬롯다이코팅(Slot die coating)등 다양한 코팅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건조 방법으로는 열풍건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자외선 건조, 적외선 건조, 진공건조방식이나 이들을 조합한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능층(27) 위에는 접착층(22)을 형성하고, 제2 베이스 필름(23)을 부착한다. 그리고 나서 점착층(25)을 형성하고 이형필름(26)을 부착하고 보호층(24)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정들은 상술한 도2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2실시예의 변형예로써, 상기 기능층(27)은 상기 접착층(22)에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접착층(22)을 형성하기 위한 바인더 수지가 배합된 용액에 상기 기능성 입자들을 함께 배합함으로써 기능층(27) 형성을 위한 별도의 공정 없이 상기 기능성 입자들이 포함된 접착층(22)을 형성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써, 기능성 입자들을 보호층(24)이나 점착층(25)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부착용 필름은 자동차, 건물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제1 베이스 필름 및 제2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제2 베이스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반대편 일면에 형성되며 장식할 유리창의 실내측에 점착되며 진주안료가 혼합된 점착층과,
    상기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 필름, 상기 접착층,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기 보호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착색된 유리창 부착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50%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제1베이스 필름, 상기 접착층,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기 보호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착색된 유리창 부착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는 25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유리창 부착용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금속산화물이 코팅된 글래스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유리창 부착용 필름.
  5.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며 진주안료가 혼합된 점착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 또는 상기 보호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착색된 유리창 부착용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 부착용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50% 이하가 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 또는 상기 보호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착색된 유리창 부착용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는 25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유리창 부착용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금속산화물이 코팅된 글래스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유리창 부착용 필름.
  9. 제1 베이스 필름에 접착층 용액을 코팅하고 건조하는 접착층 형성 단계와,
    형성된 접착층에 착색된 제2 베이스 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와,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베이스 필름의 다른 일면에 진주안료가 혼합된 점착제를 코팅하고 건조하는 점착층 형성 단계와,
    점착층에 이형 필름을 부착하는 이형필름 부착단계와,
    접착층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제2 베이스 필름의 다른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창 부착용 필름 제조 방법.
PCT/KR2015/013698 2015-02-05 2015-12-15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1612600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279 2015-02-05
KR1020150018279A KR101559966B1 (ko) 2015-02-05 2015-02-05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6003A1 true WO2016126003A1 (ko) 2016-08-11

Family

ID=5439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698 WO2016126003A1 (ko) 2015-02-05 2015-12-15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9966B1 (ko)
WO (1) WO20161260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7278A (zh) * 2020-02-19 2021-10-26 爱思开希高科技材料有限公司 多层膜及包括其的层叠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966B1 (ko) * 2015-02-05 2015-10-20 주식회사 필링크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877782B1 (ko) * 2016-04-28 2018-07-16 (주)필링크 페인트 보호 필름
KR101891564B1 (ko) * 2017-10-27 2018-08-28 (주)필링크 차량용 외장 필름
KR102381324B1 (ko) * 2020-08-19 2022-04-01 주식회사 스텍 그래핀이 함유된 차량용 윈도우 필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620A (ko) * 1987-05-02 1988-12-21 원본미기재 도장 방법
JPH09255924A (ja) * 1996-03-21 1997-09-30 Sekisui Chem Co Ltd 装飾用粘着シート
KR20020003546A (ko) * 1999-03-10 2002-01-12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창 유리용 장식 필름
KR20100077684A (ko) * 2008-12-29 2010-07-08 김승용 펄 감을 구비한 홍보물 부착방지 시트와 그 제조방법
KR101089630B1 (ko) * 2011-09-09 2011-12-06 주식회사 상보 안료성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착색필름
KR20130013873A (ko) * 2011-07-29 2013-02-06 동진기연 주식회사 유리창 부착용 인테리어 시트
KR101559966B1 (ko) * 2015-02-05 2015-10-20 주식회사 필링크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072B1 (ko) * 2014-08-27 2015-04-28 주식회사 상보 안료물질과 금속산화물이 혼합된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착색가능 열선 차단 카본-세라믹 필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620A (ko) * 1987-05-02 1988-12-21 원본미기재 도장 방법
JPH09255924A (ja) * 1996-03-21 1997-09-30 Sekisui Chem Co Ltd 装飾用粘着シート
KR20020003546A (ko) * 1999-03-10 2002-01-12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창 유리용 장식 필름
KR20100077684A (ko) * 2008-12-29 2010-07-08 김승용 펄 감을 구비한 홍보물 부착방지 시트와 그 제조방법
KR20130013873A (ko) * 2011-07-29 2013-02-06 동진기연 주식회사 유리창 부착용 인테리어 시트
KR101089630B1 (ko) * 2011-09-09 2011-12-06 주식회사 상보 안료성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착색필름
KR101559966B1 (ko) * 2015-02-05 2015-10-20 주식회사 필링크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7278A (zh) * 2020-02-19 2021-10-26 爱思开希高科技材料有限公司 多层膜及包括其的层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966B1 (ko)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26003A1 (ko)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767453B1 (ko) 자동차 및 인테리어용 필름
WO2017188728A2 (ko) 페인트 보호 필름
US8427742B2 (en) Laminate having photochromic function and infrared shield function
EP3100084B1 (en) Colored retroreflective articles
US10197714B2 (en) Colored retroreflective articles
JP5499837B2 (ja) 熱線遮蔽フィルム
JP2004198617A (ja) 赤外線透過膜及びこれを用いた赤外線センサカバー並びに赤外線センサユニット
JP5865412B2 (ja) 窓貼用赤外線遮断フイルム
KR101067277B1 (ko) 적외선 차단 필름
EP1536251A1 (en) Visible light absorbing film, structural body having the visible light absorbing film, and visible light absorbing ink for forming visible light absorbing film
KR101220813B1 (ko) 글래스 비드와 글래스 비드 제조 방법
KR20010045215A (ko) 자외선 차단필름
KR102027513B1 (ko) 투명 컬러 비산방지필름 제조 방법
KR20160097114A (ko)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7087662B2 (ja) 防眩性シート、防眩性合わせガラスおよび防眩性の評価方法
JP2014085408A (ja) 熱線制御シート
KR19990018538A (ko) 솔라컨트롤필름의 제조방법
JP2005001301A (ja) 着色ガラス用着色シート及び着色ガラス
KR102527596B1 (ko) 열변색성 데코레이션 및 비산방지 필름,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023009A1 (ko) 홀로그램을 갖는 유리창 부착용 착색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05255643A (ja) 熱線吸収用ハードコート剤及び熱線遮蔽体
JPH0881567A (ja) 遮熱シート
KR100502002B1 (ko)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891564B1 (ko) 차량용 외장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813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813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