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002B1 -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002B1
KR100502002B1 KR10-2003-0002641A KR20030002641A KR100502002B1 KR 100502002 B1 KR100502002 B1 KR 100502002B1 KR 20030002641 A KR20030002641 A KR 20030002641A KR 100502002 B1 KR100502002 B1 KR 10050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polyester
weight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084A (ko
Inventor
김상필
서기봉
서창호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002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5Details of grooves or the like on the impac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through-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건축물의 유리창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착색 필름으로서, 본 발명 착색 필름은 특히 평균 입경 1∼10㎛인 무기입자 0.2∼4.0 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입자층(A층)과 염료 0.01∼10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된 기본층(B층)을 가지며, 상기 입자층(A층)과 기본층(B층)의 다른 한쪽면에 감압성 접착제층(C층)과 투명 필름층(D층)을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름으로서, 우수한 차광성을 가지며 접착제 또는 점착제등 호재(糊材)에 대한 도포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또는 건물의 유리창에 사용시 태양광의 자외선 과 열선을 차단할 뿐 아니라, 착색으로 인하여 외부로의 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에 의해 유리창이 깨어지는 경우에도 유리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Color polyester film for molding vessel}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건축물의 유리에 부착시켜 태양광의 자외선과 열선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충격에 의해 유리창이 갑작스럽게 파손될 경우, 유리파편의 비산을 방지함으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고분자 가공제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필름용도 개발에 있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광범위한 용도와 공업용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라벨용, 전사용, 포장용, 사진용 및 이미지용 등 대체물의 용도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고분자물 소재(素材) 특히,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한 윈도우필름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한국특허 등록 제252022호에 의하면, 수성 호료 용액중에 최소한 1종의 분산염료를 분산시킨 분산액으로 구성되는 염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과 이 염료 혼합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피복하여 피막층을 형성하고, 최소한 1종의 염료가 이 피막층에서 필름 속으로 이염되도록 필름을 가열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착색 필름에 관한 것으로, 염료 혼합물의 점도가 실온에서 100센티포이스 이하의 점도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이 소개되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공개특허인 제1999-67877호 특허공보에는 투명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착색제에 의해 착색된 적어도 한층의 착색 접착제층을 갖는 착색필름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 착색 접착제층은 접착제로서 폴리에스테르수지를 포함하며, 착색제는 안료와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입니다. 또 공개특허 제1999-82060호 공보에는 염료가 첨가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3개층 이상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유리창 접착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필름이 소개되고 있고, 공개특허 제2002-13726호 공보에는 중간층에 염료를 함유하는 적어도 3개층의 폴리에스테르 층을 갖는 공압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필름의 적어도 일측에 대전방지 코팅층을 갖고있으며, 상기 대전방지 코팅이 10×1014Ω 이하의 고유 표면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소개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998-145057호에는 마그네슘화합물을 0.1∼0.01중량%첨가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축중합시킨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착색제로 하여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해 100∼1000ppm 첨가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착색제를 첨가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일정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제막, 연신, 열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또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998-68300호에는 하드코트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에 아크릴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혼합수지로 된 도포 수지와 용제로 희석된 염료 0.5∼5중량% 및 벤조트리아졸계 또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1∼5중량%로 구성된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컨트롤 착색 필름의 제조방법이소개되고 있다. 또 공개특허 제1999-18537호에는 지지필름에 이형 박리층, 점착층 및 안티포그층을 형성시킨 솔라 컨트롤 착색 필름의 제조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솔라 컨트롤 필름은 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태양광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강한 물성 때문에 창유리에 대한 안전 강화용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이와같은 필름은 주로 태양광선 투과율을 감소시켜 차내의 냉방 및 난방효율 증대와 눈부심 방지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자외선 차단에 의한 피부의 노화방지를 도모하게 된다. 또한, 사고나 강한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창유리의 파편이 비산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이것은 지지체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의 강한 물성 및 접착력에 의하여 수행되어 진다.
일반적으로, 윈도우필름을 기능상 분류하면, 솔라 컨트롤 필름, 비산방지 필름, 단열용 필름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단열용 필름은 증착필름을 창유리에 부착하여 햇볕을 차단하는 것으로,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축물의 창문용 필름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단열용 필름은 25 또는 100㎛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알루미늄 보호층을 도포하고, 반대면에는 감압성 점착제를 도포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필름은 창유리의 내측에 부착하여 태양광의 반사 또는 흡수에 의해 실내환경을 개선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유리의 비산방지용 필름은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감압형 점착제를 도포하고, 오버코트필름을 벗겨 창유리의 내측 전면에 시공함으로써 유리가 파괴되어도 그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필름이다. 비산방지용 필름은 대부분의 경우, 단열필름과 기능을 겸하는 것이 많다. 즉, 태양광의 차단효과가 크고 냉방 및 온방 효율을 높이며, 유리가 파손될 때 2차 재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반 거울 효과가 있고, 건물의 외관이 향상된다. 솔라컨트롤 필름은 자동차용 썬팅필름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광선차단이 원래의 목적이었으나, 주 사용목적이 차량장식용으로 전이되고 있다. 현재의 솔라 컨트롤 필름은 기존의 단열필름, 유리 비산방지용 필름등의 기능을 종합한 기능을 가진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건축물의 유리에 접합시켜 태양광의 자외선과 열선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프라이버시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한 유리창 파손시 파편의 비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윈도우 필름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평균입자의 크기가 1∼10㎛인 무기입자를 0.2∼4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입자층 (A층) 과 기본층 (B층) 으로 구성되고, 상기 입자층(A)과 기본층(B)중 적어도 한 개의 층에 염료 0.01∼10 중량%을 함유케 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1)과 상기 칼러필름(1)에 있어서, 입자층(A층)의 타의 일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C층)을 포함하는 컬러필름(2) 와 상기 기본층(B층)의 다른 한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C층)을 포함하는 컬러필름(3) 및 상기 컬러필름(2)에 있어서, 접착제층(C층)의 바깥쪽에 투명필름층(D층)을 적층시킨 컬러필름(4) 및 상기 컬러필름(4)에 있어서, 기본층(B)과 투명필름층(D층) 중 어느 한쪽의 바깥면에 감압성 접착제층(C층)을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름(5) 및 칼러필름(6)을 제조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한 본 발명 칼러필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을 하고자 도 1∼ 도 6에서 본발명 착색필름의 구조를 도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주요 물성의 측정으로, 60도 광택도는 ASTM D 523의 방법으로 구하고, 탁도(헤이즈)는 ASTM D 1003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고유점도 0.65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제1원료(PM1)로 하고, 평균 입자크기 4㎛인 이산화실리콘을 5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2원료(PM2)로 하여, 클라리언트사제 염료 "Red GFP", "Blue RBL" 및 "Yellow GG"를 각각 5.5중량%, 3.5중량% 및 1.0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3원료(PM3)로 한다.
상기 원료 (PM1), (PM2), (PM3) 및 (PM4)을 표 1에 나타낸 중량% 비율로 조합시키고 건조시킨 다음, 피이드 블럭에서 2층으로 적층 및 공압출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캐스팅드럼에서 냉각시켜 쉬트를 제조하였다. 이 쉬트를 종방향으로 75∼130℃의 온도 범위에서 3.0배 연신 후 횡방향으로 90∼145℃의 온도 범위에서 3.3배 연신하여 215∼235℃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평균 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제조된 각 층 (A/B)의 두께는 2㎛/23㎛ 이었다.
표 1
구분 층종류 층두께(㎛) 함량(중량%) 비고
PM1 PM2 PM3
실시예 1 A 2 35 45 20 적층
B 23 80 0 20
실시예 2 A 2 50 30 20 적층
B 23 80 0 20
비교예 1 - 25 35 45 20 단층
비교예 2 - 25 50 30 20 단층
실시예 2
표 1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균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제조된 각층(A/B)의 두께는 2㎛/23㎛ 이었다.
비교예 1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고유점도 0.65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제1원료(PM1)로 하고, 평균 입자크기 4㎛인 이산화실리콘을 5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2원료(PM2)로 하고, 클라리언트사제품 염료 "Red GFP", "Blue RBL" 및 "Yellow GG"를 각각 5.5 중량%, 3.5 중량% 및 1.0 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3원료 (PM3)로 한다. 상기의 원료 (PM1), (PM2 ) 및 (PM3)을 표 1에 나타낸 중량% 비율로 건조 시킨후 단층으로 압출하여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시켜 쉬트를 제조하였다.
이 쉬트를 종방향으로 75∼130℃의 온도 범위에서 3.0배 연신 후, 횡방향으로 90∼145℃의 온도 범위에서 3.3배 연신하여 215∼235℃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평균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표 1 및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균 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하기의 표 2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입자량, 광택도, 탁도를 나타낸다.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해 보면, 실시예에서는 적절한 광택도와 낮은 탁도를 나타내나, 비교예는 낮은 광택도와 높은 탁도를 보이고 있다.
표 2
구분 층종류 층두께(㎛) 실리카함량(중량%) 광택도(%) 탁도(%) 비고
실시예 1 A 2 2.25 67 31 적층
B 23 0 133
실시예 2 A 2 1.50 87 20 적층
B 23 0 145
비교예 1 - 25 2.25 23 91 단층
비교예 2 - 25 1.50 29 82 단층
본 발명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상에서와 같이 우수한 차광성을 가지며, 접착제 또는 점착제등 호재(糊材)에 대한 도포성이 우수하며, 자동차 또는 건물의 유리창에 사용하면 태양광의 자외선 과 열선을 차단할 뿐 아니라, 착색으로 인하여 외부로의 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에 의해 유리창이 깨어지더라도 유리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창 점착용 필름으로 가공한 후에도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공업적 가치가 높은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1)
도 2는 본 발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2)
도 3은 본 발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3)
도 4는 본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4)
도 5는 본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5)
도 6은 본 발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6)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입자층 2 : 기본층
3 : 접착제층 4 : 투명필름층

Claims (3)

  1. 복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공압출(共押出)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평균 입경 1∼10㎛인 무기입자 0.2∼4.0 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된 입자층(A층)과 염료 0.01∼10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된 기본층(B층)을 가지며, 상기 입자층(A층)과 기본층(B층)의 다른 면에 감압성 접착제층(C층)과 투명 필름층(D층)을 적층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컬러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입자층(A층)의 무기입자가 실리카 입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컬러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입자층(A층)의 두께가 1∼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컬러 필름.
KR10-2003-0002641A 2003-01-15 2003-01-15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50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641A KR100502002B1 (ko) 2003-01-15 2003-01-15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641A KR100502002B1 (ko) 2003-01-15 2003-01-15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084A KR20040065084A (ko) 2004-07-21
KR100502002B1 true KR100502002B1 (ko) 2005-07-18

Family

ID=3735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641A KR100502002B1 (ko) 2003-01-15 2003-01-15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513B1 (ko) 2019-01-21 2019-10-04 리그마글라스주식회사 투명 컬러 비산방지필름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084A (ko) 200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59082A (en) A plastic object with low heat conductivity, high light transmission and absorption in a nearby infrared region
CN106061729A (zh) 耐久性挤出型染色聚酯膜
WO2016006388A1 (ja) 光学フィルム
WO2016126003A1 (ko)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ZA200307815B (en) Heat-absorbing layer system.
WO1998026929A1 (fr) Film polyester stratifie oriente, destine a etre enduit sur des vitres d&#39;automobile
JP4311838B2 (ja) 窓貼り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502002B1 (ko)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5319722A (ja) 光線吸収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040185281A1 (en) Polyester color film
KR102027513B1 (ko) 투명 컬러 비산방지필름 제조 방법
KR20040067051A (ko)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JP4334108B2 (ja) 窓貼り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498056B1 (ko)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40072862A (ko) 윈도우 필름용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12940632B (zh) 一种防可见光短波伤害窗膜
KR100553158B1 (ko)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JP7087662B2 (ja) 防眩性シート、防眩性合わせガラスおよび防眩性の評価方法
US7223467B2 (en)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KR101610516B1 (ko) 윈도우용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40074165A (ko)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17169810A1 (ja) 光学反射フィルム
KR102287502B1 (ko) 블라인드용 필름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4189896B2 (ja) 窓貼り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GB2262938A (en) Simulated stained gl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