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051A -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 Google Patents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051A
KR20040067051A KR1020030004008A KR20030004008A KR20040067051A KR 20040067051 A KR20040067051 A KR 20040067051A KR 1020030004008 A KR1020030004008 A KR 1020030004008A KR 20030004008 A KR20030004008 A KR 20030004008A KR 20040067051 A KR20040067051 A KR 20040067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ester
film
coating layer
colo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호
서기봉
김상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7051A/ko
Publication of KR2004006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05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건축물의 유리창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착색 필름으로서, 본 발명의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투명층(A)과, 염료 0.01∼10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컬러층(B)과, 접착성을 부여한 코팅층(C)이 적층되어진 3층 구조의 컬러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필름은 우수한 차광성을 가지며 접착제 또는 점착제등 호재(糊材)에 대한 도포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또는 건물의 유리창에 사용시 태양광의 자외선과 열선을 차단할 뿐 아니라, 착색으로 인하여 외부로의 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에 의해 유리창이 깨어지는 경우에도 유리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은 투명층(A)과 염료를 포함한 폴리에스테르 컬러층(B)과 접착성을 부여한 코팅층(C)의 3층으로된 적층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단층구조에 비해 탁월한 광택도와 낮은 탁도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접착성을 부여한 코팅층(C)을 사용함으로써 잉크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Polyester color film which has adhesive coating layer}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건축물의 유리에 부착시켜 태양광의 자외선과 열선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충격에 의해 유리창이 갑작스럽게 파손될 경우, 유리파편의 비산을 방지함으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고분자 가공제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필름용도 개발에 있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광범위한 용도와 공업용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라벨용, 전사용, 포장용, 사진용 및 이미지용 등 대체물의 용도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고분자물 소재(素材) 특히,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한 윈도우필름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한국특허 등록 제252022호에 의하면, 수성 호료 용액중에 최소한 1종의 분산염료를 분산시킨 분산액으로 구성되는 염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과 이 염료 혼합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피복하여 피막층을 형성하고, 최소한 1종의 염료가 이 피막층에서 필름 속으로 이염되도록 필름을 가열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착색 필름에 관한 것으로, 염료 혼합물의 점도가 실온에서 500센티포이스 이하의 점도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인 공개번호 제1999-67877호 특허공보에는 투명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착색제에 의해 착색된 적어도 한층의 착색 접착제층을 갖는 착색필름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 착색 접착제층은 접착제로서 폴리에스테르수지를 포함하며, 착색제는 안료와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일본특허 특개평 10-230577호, 미국특허 제 6,242,081 B1호 및 국내특허 공개번호 제1999-82060호 공보에는 염료가 첨가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3개층 이상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유리창 접착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필름이 소개되고 있고, 일본특허 공개번호 제2002-52675호, 미국특허 제 2002-64650 A1 및 국내특허 공개번호 제2002-13726호 공보에는 중간층에 염료를 함유하는 적어도 3개층의 폴리에스테르 층을 갖는 공압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필름의 적어도 일측에 대전방지 코팅층을 갖고있으며, 상기 대전방지 코팅이 10×1014Ω 이하의 고유 표면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소개되고 있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998-145057호에는 마그네슘화합물을 0.1∼0.01중량%첨가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축중합시킨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착색제로 하여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해 100∼1000ppm 첨가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착색제를 첨가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일정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제막, 연신, 열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또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998-68300호에는 하드코트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에 아크릴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혼합수지로 된 도포 수지와 용제로 희석된 염료 0.5∼5중량% 및 벤조트리아졸계 또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1∼5중량%로 구성된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컨트롤 착색 필름의 제조방법이소개되고 있다. 또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999-18537호에는 지지필름에 이형 박리층, 점착층 및 안티포그층을 형성시킨 솔라 컨트롤 착색 필름의 제조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솔라 컨트롤 필름은 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태양광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강한 물성 때문에 창유리에 대한 안전 강화용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이와같은 필름은 주로 태양광선 투과율을 감소시켜 차내의 냉방 및 난방효율 증대와 눈부심 방지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자외선 차단에 의한 피부의 노화방지를 도모하게 된다. 또한, 사고나 강한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창유리의 파편이 비산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이것은 지지체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의 강한 물성 및 접착력에 의하여 수행되어 진다.
일반적으로, 윈도우필름을 기능상 분류하면, 솔라 컨트롤 필름, 비산방지 필름, 단열용 필름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단열용 필름은 증착필름을 창유리에 부착하여 햇볕을 차단하는 것으로,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축물의 창문용 필름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단열용 필름은 25 또는 100㎛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알루미늄 보호층을 도포하고, 반대면에는 감압성 점착제를 도포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필름은 창유리의 내측에부착하여 태양광의 반사 또는 흡수에 의해 실내환경을 개선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유리의 비산방지용 필름은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감압형 점착제를 도포하고, 오버코트필름을 벗겨 창유리의 내측 전면에 시공함으로써 유리가 파괴되어도 그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필름이다. 비산방지용 필름은 대부분의 경우, 단열필름과 기능을 겸하는 것이 많다. 즉, 태양광의 차단효과가 크고 냉방 및 온방 효율을 높이며, 유리가 파손될 때 2차 재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반 거울 효과가 있고, 건물의 외관이 향상된다. 솔라컨트롤 필름은 자동차용 썬팅필름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광선차단이 원래의 목적이었으나, 주 사용목적이 차량장식용으로 전이되고 있다. 현재의 솔라 컨트롤 필름은 기존의 단열필름, 유리 비산방지용 필름등의 기능을 종합한 기능을 가진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건축물의 유리에 접합시켜 태양광의 자외선과 열선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프라이버시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한 유리창 파손시 파편의 비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조색에 의하여 다채로운 색상을 표출함으로써 자동차나 건물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의 단면 예시도(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의 단면 예시도(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의 단면 예시도(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의 단면 예시도(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의 단면 예시도(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의 단면 예시도(6),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의 단면 예시도(7).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A : 투명층 B : 컬러층
C : 코팅층 D, D' : 접착제층
E : 증착층 F : 투명필름층
도 1은 본 발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1)이며, 도 2는 본 발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2)이며, 도 3은 본 발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3)이며, 도 4는 본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4)이며, 도 5는 본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5)이며, 도 6은 본 발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6)이며, 도 7은 본 발명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예시도(6)이다.
상기 목적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투명층(A)과, 염료 0.01∼10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컬러층(B)과, 접착성을 부여한 코팅층(C)의 3층 구조로 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도 1 참조)과, 도 1의 칼러필름에 있어서 투명층(A)의 타의 일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D)을 포함하는 컬러필름(도 2참조)과, 도 1의 칼러필름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C)의 다른 한면에 형성된 증착층(E)을 포함하는 컬러필름(도 3참조)과, 도 3의 칼러필름에 있어서 증착층(E)의 다른 한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D)을 포함하는 컬러필름(도 4참조)과, 도 2의 칼러필름에 있어서 접착제층(D)의 바깥면에 투명필름층(F)을 적층시킨 컬러필름(도 5 참조)과, 도 5의 칼러필름에 있어서 투명필름층(F)의 다른 한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D)을 포함하는 컬러필름(도 6참조)과, 도 4의 칼러필름에 있어서 투명층(A)의 다른 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D)과 투명필름층(F)을 적층시킨 컬러필름(도 7 참조)을 제조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은 건축물 및 자동차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향후에 솔라 컨트롤 필름으로 다양한 용도가 전개될 것으로 기대된다.
필름에 첨가제를 로딩시켜 기능을 부여하는 데 있어서 사용되는 첨가제는 크게 나누면 무기입자와 유기화합물로 분류할 수 있다.
무기입자를 형상에 따라 나누면 일차원 형상의 입자, 이차원 형상의 입자, 삼차원 형상의 입자로 나누어진다. 일차원 형상의 입자에는 울레스토나이트, 그래스 파이버, 카본 파이버, 아라미드 파이버 등이 있고, 이차원 형상의 입자에는 탤크, 마이카 등이 있고, 삼차원 형상의 입자에는 칼슘 카보네이트계열, 실리케이트계열 등이 있다.
이러한 입자 중에서 공업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입자는 실리카이며, 유기화합물에는 염료, 난연제, 자외선안정제, 적외선안정제, 공중합물 등이 있는데, 이러한 유기화합물 중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용도로 유기염료는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다.
폴리에스테르제품 생산에 이용되는 여러 고분자공정 중에서 필름공정은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고 공정이 복잡다단하기 때문에 유기염료의 사용은 제한되어 왔다.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염료는 고온의 고분자 용융공정을 거치면서 캐스팅공정 트러블을 야기시키고 텐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필름을 고기능화시킴으로서 컬러필름의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고자 한다.
입자필름의 표면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압출 기술과 무기입자설계 기술을 이용하여 필름표면 조도를 입력함으로서 낮은 탁도(헤이즈)를 얻고자 한다. 재료의 유변특성이 상이한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기재는 각각의 재료 유동 메카니즘을 이해함으로서 나타나는 압출 불안정 등 수반되는 문제를 해결할수 있다.
무기입자 중에서 이산화 실리콘(실리카)의 경우가 주로 사용된다. 아울러 입자량이 많아도 공압출 층 두께에 따라 요구되는 탁도(헤이즈) 조절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주요 물성측정은 탁도(헤이즈)의 경우 ASTM D 1003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접착특성은 ASTM D 3359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고유점도 0.65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제1원료(PM1)로 하고, 평균 입자크기 2㎛인 이산화실리콘을 1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2원료(PM2)로 하여, 클라리언트사제 염료 "Red GFP", "Blue RBL" 및 "Yellow GG"를 각각 5.5중량%, 3.5중량% 및 1.0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3원료(PM3)로 한다.
상기 원료 PM1, PM2및 PM3을 표 1에 나타낸 중량% 비율로 조합시키고 건조시킨 다음, 피이드 블럭에서 적층(A층과 B층) 및 공압출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캐스팅드럼에서 냉각시켜 쉬트를 제조하였다.
이 쉬트를 종방향으로 75∼130℃의 온도 범위에서 3.0배 연신 후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이 2.0 중량% 함유된 수분산체를 인 라인 코터로 코팅(C층) 후 횡방향으로 90∼145℃의 온도 범위에서 3.3배 연신하여 215∼235℃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평균 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제조된 각 층 (A층/B층/C층)의 두께는 2㎛/22.95㎛ /0.05㎛이었다.
표 1
구분 층종류 층두께(㎛) 함량 (중량 %) 비고
PM1 PM2 PM3
실시예 1 A 2 96 4 0 적층
B 22.95 80 0 20
C 0.05 - - -
실시예 2 A 2 97 3 0 적층
B 22.95 80 0 20
C 0.05 - - -
실시예 3 A 4 93 7 0 적층
B 20.95 80 0 20
C 0.05 - - -
실시예 4 A 4 94 6 0 적층
B 20.95 80 0 20
C 0.05 - - -
비교예 1 - 25 72 8 20 단층
비교예 2 - 25 78 2 20 단층
실시예 2
표 1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균 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제조된 각층(A층/B층/C층)의 두께는 2㎛/22.95㎛/0.05㎛ 이었다.
실시예 3
표 1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균 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제조된 각 층 (A층/B층/C층)의 두께는 4㎛/20.95㎛/0.05㎛ 이었다.
실시예 4
표 1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균 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제조된 각 층 (A층/B층/C층)의 두께는 4㎛/20.95㎛/0.05㎛이었다.
비교예 1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고유점도 0.65dl/g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 1원료(PM1)로 하고, 평균 입자크기 4㎛인 이산화실리콘을 5 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 2원료(PM2)로 하고, 클라리언트사 염료 Red GFP, Blue RBL 및 Yellow GG를 각각 5.5 중량%, 3.5 중량% 및 1.0 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 3원료(PM3)으로 한다.
상기의 원료 PM1, PM2및 PM3을 표 1에 나타낸 중량% 비율로 건조 후 단층으로 압출하여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시켜 쉬트를 제조하였다. 이 쉬트를 종방향으로 75∼130℃의 온도 범위에서 3.0배 연신 후 횡방향으로 90∼145℃의 온도 범위에서 3.3배 연신하여 215∼235℃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평균 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표 1 및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균 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하기의 표 2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입자량, 광택도, 탁도를 나타낸다.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해 보면, 실시예에서는 적절한 광택도와 낮은 탁도를 나타내나 비교예에서는 낮은 광택도와 높은 탁도를 보이고 있다.
표 2
구분 층종류 층두께(㎛) 실리카함량(중량 %) 탁도(%) 비고
실시예 1 A 2 0.04 0.4 적층
B 22.95 0
C 0.05 -
실시예 2 A 2 0.03 0.3 적층
B 22.95 0
C 0.05 -
실시예 3 A 4 0.07 0.6 적층
B 20.95 0
C 0.05 -
실시예 4 A 4 0.06 0.5 적층
B 20.95 0
C 0.05 -
비교예 1 - 25 0.08 4 단층
비교예 2 - 25 0.02 1 단층
한편, 하기의 표 3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잉크에 대한 접착성을 나타낸다. 실시예와 비교예를 대비해 보면, 실시예에서는 접착성을 부여한 코팅층(C)에 의하여 잉크에 대한 접착성이 대단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에서는 잉크에 대한 접착성이 나쁘게 나타났다.
표 3
구 분 잉크에 대한 접착성
바인더 용제 바인더 용제 바인더 용제 바인더 용제 바인더 용제
AC EA NC TOL/MEK EVA TOL/IPA/EA VC-VA MEK CAB MEK
실시예 1 A 1B 1B 1B 1B 1B
B - - - - -
C 4B 4B 5B 4B 5B
실시예 2 A 1B 1B 1B 1B 1B
B - - - - -
C 4B 4B 5B 4B 5B
실시예 3 A 1B 1B 1B 1B 1B
B - - - - -
C 4B 4B 5B 4B 5B
실시예 4 A 1B 1B 1B 1B 1B
B - - - - -
C 4B 4B 5B 4B 5B
비교예 1 - 1B 1B 1B 1B 1B
비교예 2 - 1B 1B 1B 1B 1B
AC: 아크릴, EA: 에틸 아세테이트, NC: 니트로 셀루로즈,
TOL: 톨루엔, MEK: 메틸 에틸 케톤, EVA: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IPA: 이소프로필 알콜, VC-VA: 비닐 크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CAB: 셀루로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잉크에 대한 접착성의 평가를 ASTM D 3359에서 보이는 엑스-컷 테이프 테스트와 크로스-컷 테이프 테스트 중에서 크로스-컷 테이프 테스트의 평가 기준으로 나타냈으며, 아래와 같이 5B, 4B, 3B, 2B, 1B, 0B의 6 등급으로 특정 지워진다.
5B : 절단부분의 가장자리가 완전히 매끄럽고, 격자의 사각이 떨어지지 않은 상태.
4B : 격자의 교차점에서 도포의 작은 조각이 떨어지고, 영향을 받은 면적이 5% 이하인 상태.
3B : 가장자리와 절단부분의 교차점에서 작은 조각이 떨어지고, 영향을 받은 면적이 격자의 5%에서 15%인 상태.
2B : 도포된 가장자리 및 사각의 일부가 조각으로 떨어지고, 영향을 받은 면적이 격자의 15%에서 35%인 상태.
1B : 도포가 절단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큰 띠 형태로 벗겨져 떨어지고 모든 사각이 떨어지며, 영향을 받은 면적이 격자의 35%에서 65%인 상태.
0B : 벗겨져 떨어지고 분리된 상태가 1B 등급보다 나쁘고, 영향을 받은 면적이 65% 이상인 상태이다.
본 발명의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상에서와 같이 우수한 차광성을 가지며, 접착제 또는 점착제등 호재(糊材)에 대한 도포성이 우수하며, 자동차 또는 건물의 유리창에 사용하면 태양광의 자외선과 열선을 차단할 뿐 아니라, 착색으로 인하여 외부로의 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에 의해 유리창이 깨어지더라도 유리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창 점착용 필름으로 가공한 후에도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공업적 가치가 높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은 투명층(A)과 염료를 포함한 폴리에스테르 컬러층(B)과 접착성을 부여한 코팅층(C)의 3층으로된 적층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단층구조에 비해 탁월한 광택도와 낮은 탁도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접착성을 부여한 코팅층(C)을 사용함으로써 잉크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복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공압출(共押出)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투명층(A)과, 염료 0.01∼10 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컬러층(B)과, 접착성을 부여하기위한 코팅층(C)이 상하 적층되어지되, 상기 폴리에스테르 투명층(A)과 폴리에스테르 컬러층(B)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층에는 무기입자 0.01∼1중량%가 함유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A)의 노출된 표면에는 감압성 접착제층(D)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C)의 노출된 표면에는 증착층(E)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E)의 노출된 표면에는 감압성 접착제층(D)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D)의 노출된 표면에는 투명필름층(F)이 적층되고, 그 상부에는 감압성 접착제층(D)이 선택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A)의 노출된 표면에는 감압성 접착제층(D)과 투명필름층(F)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무기입자가 실리카 입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A)의 두께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C)에서는 접착성을 부여하기위해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중에서 1종이상이 포함된 접착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C)의 두께가 0.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KR1020030004008A 2003-01-21 2003-01-21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KR20040067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008A KR20040067051A (ko) 2003-01-21 2003-01-21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008A KR20040067051A (ko) 2003-01-21 2003-01-21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051A true KR20040067051A (ko) 2004-07-30

Family

ID=3735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008A KR20040067051A (ko) 2003-01-21 2003-01-21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70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025B1 (ko) * 2011-07-29 2013-09-06 동진기연 주식회사 유리창 부착용 인테리어 시트
KR102027513B1 (ko) 2019-01-21 2019-10-04 리그마글라스주식회사 투명 컬러 비산방지필름 제조 방법
KR102214896B1 (ko) 2019-10-08 2021-02-15 주식회사 라온티알엠 재박리형 건축용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박리형 건축용 윈도우 필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025B1 (ko) * 2011-07-29 2013-09-06 동진기연 주식회사 유리창 부착용 인테리어 시트
KR102027513B1 (ko) 2019-01-21 2019-10-04 리그마글라스주식회사 투명 컬러 비산방지필름 제조 방법
KR102214896B1 (ko) 2019-10-08 2021-02-15 주식회사 라온티알엠 재박리형 건축용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박리형 건축용 윈도우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45083A1 (ja) 近赤外線領域光反射性能を有する暗色シート状物
IL159082A (en) A plastic object with low heat conductivity, high light transmission and absorption in a nearby infrared region
EP1200250A1 (en) Light-stable colored transparent composite films
US10294373B2 (en) Method of reducing iridescence
CN112159630B (zh) 一种光学薄膜、其制备方法以及复合增亮膜
EP2739475B1 (en) Optically clear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with anti-iridescent primer layer
JP4311838B2 (ja) 窓貼り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40067051A (ko)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KR100502002B1 (ko)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27513B1 (ko) 투명 컬러 비산방지필름 제조 방법
KR20040072862A (ko) 윈도우 필름용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334108B2 (ja) 窓貼り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7223467B2 (en)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JP2016505411A (ja) プライマー層中にポリマー粒子を有する虹色を呈さないフィルム
KR100553158B1 (ko)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KR100498056B1 (ko)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US20080318073A1 (en) Amber-colored Polyester Film with Particular Suitability for Metallization and Steel-lamination
KR20040074165A (ko)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9020708A (ja) 防眩性シートおよび防眩性合わせガラス
KR101610516B1 (ko) 윈도우용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189896B2 (ja) 窓貼り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4034382A1 (en) Decorative film including black layer
WO2018128392A1 (ko) 유리 질감의 폴리에스테르계 데코시트
TW200928258A (en) Translucent solar energy collector
JP2012224489A (ja) 合わせガラス用着色積層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