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4165A -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4165A
KR20040074165A KR1020030009746A KR20030009746A KR20040074165A KR 20040074165 A KR20040074165 A KR 20040074165A KR 1020030009746 A KR1020030009746 A KR 1020030009746A KR 20030009746 A KR20030009746 A KR 20030009746A KR 20040074165 A KR20040074165 A KR 2004007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stretched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호
서기봉
김상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4165A/ko
Publication of KR2004007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16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건축물등의 창유리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한 이축연신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이축연신 착색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투명층(A층)과 염료를 0.01~10 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컬러층(B층) 및 접착성을 갖는 코팅층(C층)으로 구성된 적어도 3개층의 구조(A층/B층/C층)를 가지며, 그 중 한층에 0.01∼ 5 중량%의 난연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으로서, 자동차 및 건축물등의 창유리면에 부착시 접착성과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며, 프라이버시를 보호함과 동시에 난연성이 우수하고, 외부충격에 의해 유리가 파손되더라도 유리 파편의 비산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자동차, 건축물등의 창유리면에 부착시켜 태양광중 자외선 과 열선의 투과를 차단하고, 난연성이 우수하며 외부로 부터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함과 동시에 갑작스런 충격에 의해 유리가 파손될 경우, 유리의 파편 비산을 방지함으로서 안전사고를 유도할 수 있는 이축연신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분자 가공제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필름용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광범위한 용도의 공업용 소재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라벨용도, 전사용도, 포장용도, 사진용도, 이미지 용도 등 주로 대체물로 용도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고분자 소재 특히,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한 윈도우 필름에 대하여 보면,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070135호에는 기재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실리콘 이형필름을 적층시킨 솔라 컨트롤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 기재필름으로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이의 유도체 0.1∼10 중량%와 분자량이 1만 이상인 스티렌-슬폰산의 나트륨염의 폴리머나 스틸렌-슬폰산의 나트륨염과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공중합물 0.1∼10 중량%를 함유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사용하고, 점착제로 염료, 자외선 흡수제 및 열선 흡수제를 배합시킨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컨트롤 필름의 제조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또 특허 등록번호 제10-0027863호에는 대전방지제의 혼입에 의하여 제전처리된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에 도공에 의하여 적층되고 염료가 배합된 접착제층과; 상기접착제층에 의하여 적층되어 염료층을 보호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에 적층되고 자외선 흡수제 및 열선 흡수제를 함유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 상에 적층되고 실리콘이 도공된 이형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컨트롤 필름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067877호에서는 투명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착색제에 의해 착색된 적어도 1층의 착색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착색필름으로서, 상기 착색 접착제층은 접착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착색제는 안료와 폴리에스테르 분산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필름이 소개되고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인 특개평10-230577, 미국특허인 USP 6,242,081 및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0082060호에는 염료가 혼입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3개층 이상으로 구성된 자동차 창유리 접착용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소개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인 특개2002-52675, 미국특허 USP 2002/0064650 A1및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0013726에는 중간층에 염료를 함유하는 적어도 3개층의 폴리에스테르 공압출 적층 필름으로 구성되고, 필름의 적어도 일측에 대전방지 코팅부(1014Ω 이하의 고유 표면저항을 갖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소개되고 있다. 또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0145057에서는 마그네슘화합물을 0.1~0.01 중량% 함유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축중합시킨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착색제로 하여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해 100~1000ppm 첨가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착색제를 첨가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일정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제막, 연신, 열처리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068300은 하드코트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에 아크릴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혼합수지로 된 도포 수지와 용제로 희석된 용제가용성 염료 0.5~5 중량% 및 벤조트리아졸계 또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1~5 중량%로 구성된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조하는 솔라 컨트롤필름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018537은 지지필름에 이형박리층, 점착층 및 안티포그층을 형성시켜 솔라 컨트롤필름의 제조시, 안티포그층 형성을 위하여 친수성 고분자 물질 또는 발수성 고분자 물질을 고분자 바인더에 분산시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컨트롤필름의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018538은 베이스필름에 이형박리층, 점착층 및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제조되는 솔라 컨트롤필름에 있어서, 점착층을 점착용 수지에 근적외선 영역에 큰 흡수파장역을 갖는 유기계 화합물인 열선흡수제를 배합한 접착제를 도포하고, 하드 코팅층은 자외선 경화용 수지에 염료를 배합한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컨트롤필름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솔라 컨트롤필름은 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태양광을 차단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강한 물성에 의하여 창유리에 대한 안전강화용으로 이용되며, 이러한 솔라 컨트롤필름을 일명 "안전필름"이라고 한다. 이러한 필름의 보다 상세한 사용 목적은 첫째, 태양광선의차단용으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즉, 태양광선 투과율을 감소시킴으로서 냉방 및 난방효율의 증대 및 눈부심 방지를 도모할 수 있고, 반거울 효과에 의한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에 의한 피부 노화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둘째, 사고나 강한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된 창유리 파편의 비산으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제2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진다. 즉, 이는 기재(지지체)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타레이트 필름의 강한 물성 및 접착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셋째, 조색에 의하여 다채로운 색상을 표출함으로서 자동차나 건물의 외관 품질을 높히고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는 장식목적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 필름을 포괄적으로 명명하면 윈도우 필름이라 하는데, 윈도우 필름을 기능상 분류하면, 솔라 컨트롤 필름, 비산방지 필름, 단열필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열필름은 "열차단필름"이라고도 하는데, 처음에 증착필름을 창유리에 부착하여 햇볕을 제거한 것으로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축물의 창문용 필름으로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단열필름은 25 내지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알루미늄 보호층, 반대면에는 감압성 점착제를 도포하여 구성한 것으로, 감압성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점착제층 또는 다른 층에 보호층을 만들어 자외선 흡수제와 착색제를 혼입시킨 것이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필름은 창유리 안쪽에 부착하여 태양광을 반사 또는 흡수케 함으로써 실내환경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유리 비산 방지필름은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감압형 점착제를 도포하고, 오버코트필름을벗겨 창유리의 내측 전면에 시공하여 유리가 파괴되어도 그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필름이다.
유리 비산 방지필름은 대부분의 경우, 단열필름과 기능을 겸하는 것이 많다. 즉, 태양광의 차단효과가 크고 냉방 및 온방 효율을 높이고, 유리 파손시의 2차 재해를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반거울 효과가 있고, 건물의 외관을 향상시킨다. 솔라 컨트롤필름은 자동차용 썬팅필름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광선 차단이 고유 목적이었으나, 주 사용목적이 차량 장식용으로 바뀌고 있다. 현재의 솔라 컨트롤필름은 기존의 단열필름, 유리비산 방지 필름의 기능을 종합한 기능을 가진 제품이 대부분이다. 솔라 컨트롤필름의 용도는 자동차용과 건축물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동차용은 자동차용 유리의 태양광선 차단 및 내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장식용이다. 자동차의 전면 유리는 자동차용 접합유리가 부착되어 있고, 운전석 창유리를 제외한 측면 및 후방유리에 적용된다. 측면 및 후방의 유리는 사고시 탑승자의 탈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접합유리가 아닌 강화유리를 사용한다.
건축물용은 냉방 및 난방효율의 향상, 프라이버시 보호 및 외관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되어진다.
본 발명은 건축물 및 자동차 창유리에 사용될 컬러필름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컬러필름은 향후 솔라컨트롤 필름으로 컬러필름의 다기능화 내지 고기능화로 인한 다양한 용도 전개가 기대되는 것으로, 특히 자동차 및 건축물에 사용될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착색 필름은 안전 필름의 기능뿐만 아니라 외부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의 기능도 함께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착색 필름은 종래에 열가소성 수지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구조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열에 대한 저항성이 취약하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열이 가해짐에 따라 열분해가 일어나며, 동시에 유독가스를 방출하므로 이를 방지하고 저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름에 화재 발생시 난연특성 및 지연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면 무엇보다도 유익하다고 할 것입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건축물의 유리창에 부착시 접착성이 뛰어나고 난연특성 과 지연특성을 가지며, 연소시 유독가스의 발생을 저지하고, 외부충격에 의해 유리가 파손되더라도 유리 파편의 비산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 착색필름의 제반 특성을 개선함을 그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폴리에스테르필름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착색필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착색필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착색필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착색필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착색필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착색필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
A : 투명층 B ; 컬러층
C : 코팅층 D : 접착제층
E : 증착층 F : 투명필름층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투명층(A층)과 염료를 0.01~10 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컬러층(B층) 및 접착성을 부여한 코팅층(C층)으로 구성된 적어도 3개층의 구조(A층/B층/C층)로 이루어지고, 그 중 1개층은 0.01∼ 5 중량%의 난연제를 함유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컬러필름으로서, 자동차 및 건축물의 창유리면에 부착 사용시 태양광의 자외선과 열선을 차단하고, 열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시켜 난연특성과 지연특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외부충격에 의해 유리가 파손되더라도 유리 파편의 비산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폴리에스테르 투명층(A층), 염료를 0.01∼10 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컬러층(B층) 및 점착성을 부여한 코팅층(C층)의 3층 구조(A층/B층/C층)를 가지며, 적어도 한층에는 난연제를 0.01∼5중량% 함유하는 이축연신 컬러필름(도1);상기의 컬러필름(도1)에 있어서, 투명층(A층)의 다른 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D층)을 포함하는 컬러필름(도2); 상기의 컬러필름(도1)에 있어서, 코팅층(C층)의 다른 면에 형성된 증착층(E층)을 포함하는 컬러필름(도3);상기의 컬러필름(도3)에 있어서, 증착층(E층)의 다른 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D층)을 포함하는 컬러필름(도4); 상기의 컬러필름(도2)에 있어서, 접착제층(D층)의 바깥면에 적층된 투명 필름층(F층)을 포함하는 컬러필름(도5); 상기의 컬러필름(도5)에 있어서, 투명 필름층(F층)의 다른 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D층)을 포함하는 컬러필름(도6); 상기의 컬러필름(도4)에 있어서, 투명층(A층)의 다른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D층)과 투명 필름층(F층)을 적층한 컬러필름(도7)으로 구성된다.
특히, 폴리에스테르를 비롯한 열가소성 수지는 구조적인 면에서 볼 때 열에 대한 저항성이 취약하다. 수지는 열이 가해짐에 따라 열분해가 일어나며 동시에 유독가스를 방출하므로 이를 방지하고 저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열가소성 수지의 난연 특성과 지연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면 그 유익함은 두말할 나위 없는 것이다.
인화성을 지연시키는 난연제는 알루미나 트리하이드레이트계, 할로게계,
인계, 할로게이티드 인계의 첨가형 난연제 또는 반응형 난연제가 사용된다.
알루미나 트리하이드레이트계 난연제는 가연성을 충분히 억제하기 위해서는 다량 첨가가 필요하다. 알루미나 트리하이드레이트계 난연제는 가격이 싸고, 불완전 연소를 일으키지 아니 하므로 연기나 유독성 가스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고,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할로겐 화합물이 난연성을 부여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잇고, 그 효과의 순서는 I > Br > Cl > F 이다. 요오드 화합물은 가장 효과적인 지연제이지만, 가격이 비싸고 수지에 적용하기에는 열안전성이 부족하므로 브롬 화합물과 염소 화합물이 주로 사용된다. 예를들면, 첨가형 난연제는 염소화 파라핀계, 염소화 사이크로 지방족계, 브롬화 방향족계, 브롬화 방향족 고분자계 등이며,
반응형 난연제는 크로렌딕 안하이드라이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테트라브로모프테릭 안하이드라이드 등이다.
인계 난연제로는 인산, 인산염 등이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암모늄포스페이트계, 암모늄포스페이트 고분자계, 알킬 포스포네이트계, 알킬 포스페네이트계, 트리아릴 포스페이트계, 할로게네이티드 알킬 포스포네이트계, 할로게네이티드 알킬 포스페이트계, 포스포늄염계, 포스페젠계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사용되는 난연제로는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 안티모니 펜톡사이드와 같은 안티모니 옥사이드 화합물과 보론산, 보론염과 같은 보론 화합물등 여러 화합물이 필름의 인화성을 제어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 및 자동차에 사용될 컬러필름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향후 솔라 컨트롤필름으로 컬러 필름의 다기능화 및 고기능화된 것이므로 다양한 용도가 전개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동차 및 건축물에 사용될 본 발명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안전 필름의 기능뿐만 아니라 외부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의 기능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 착색필름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 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착색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투명층(A층), 염료를 0.01~10 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컬러층(B층), 접착성을 부여한 코팅층(C층)등 3개층(A층/B층/C층)으로 구성되고, 그 중 적어도 한층에는 난연제를 0.01∼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컬러필름(도1)으로서, 투명층(A층)과 칼러층(B층)중 적어도 한층에 평균입경이 0.05∼5㎛인 무기입자를 0.01∼1 중량% 함유하고, 코팅층(C층)은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코팅층의 두께가 0.01∼1 ㎛인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의 접착제층을 형성하며, 난연제로는 알루미나 트리하이드레이트계, 할로겐계, 인계, 할로게이티드 인계 등의 첨가형 난연제 또는 반응형 난연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컬러필름(도1)에 있어서, 투명층(A층)의 다른 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D층)을 포함하는 컬러필름(도2)과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컬러필름(도1)의 코팅층(C층)의 다른 면에 형성된 증착층(E층)을 적층시킨 구조의 컬러필름(도3)과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컬러필름(도3)에 있어서, 증착층(E층)의 다른 면에 감압성 접착제층(D층)을 적층시킨 구조의 컬러필름(도4)과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은 컬러필름(도2)에 있어서, 접착제층(D층)의 바깥면에 투명 필름층(F층)을 적층시킨 구조의 컬러필름(도5)과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컬러필름(도5)에 있어서, 투명 필름층(F층)의 다른 면에 감압성 접착제층(D층)을 적층한구조의 컬러필름(도6) 및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은 컬러필름(도4)에 있어서, 투명층(A층)의 바깥면에 감압성 접착제층(D층)과 투명 필름층(F층)을 적층한 구조의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 착색필름에 첨가제를 로딩시켜 기능을 부여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첨가제는 크게 나누면 무기입자와 유기화합물로 분류할 수 있다. 무기입자를 형상에 따라 나누면 일차원 형상의 입자, 이차원 형상의 입자, 삼차원 형상의 입자로 나눌 수 있으며, 일차원 형상의 입자는 울레스토나이트, 그래스 파이버, 카본 파이버, 아라미드 파이버 등이 있고, 이차원 형상의 입자는 탤크, 마이카 등이 있으며, 삼차원 형상의 입자는 칼슘카보네이트계열, 실리케이트계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입자중 가장 유효하게 사용되는 입자는 실리카 이다. 또한 유기화합물은 염료, 난연제, 자외선 안정제, 적외선 흡수제, 공중합물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화합물 중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용도로 유기염료는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다. 폴리에스테르제품 생산에 이용되는 여러 고분자 공정 중에서 필름공정은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며, 공정이 복잡 다단하기 때문에 유기염료의 사용은 제한되어 왔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염료는 고온의 고분자 용융공정을 거치면서 캐스팅공정 트러블을 야기시키고, 텐터를 오염시키게 된다. 본 특허에서는 입자필름의 표면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압출 기술과 무기입자 설계기술을 이용하여 필름의 표면 조도를 사전에 입력함으로서 낮은 탁도(헤이즈)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재료의 특성이 상이한 본 발명에서 기재는 각각의 재료의 유동 메카니즘을 이해함으로서 나타나는 압출 불안정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무기입자로는 이산화 실리콘(실리카)의 주로 사용된다. 아울러 입자량이 많아도 공압출층 두께에 따라 요구되는 탁도(헤이즈)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주요 물성측정은 탁도(헤이즈)의 경우, ASTM D 1003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접착특성은 ASTM D 3359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잉크에 대한 접착성의 평가를 ASTM D 3359에서 보이는 엑스-컷 테이프 테스트와 크로스-컷 테이프 테스트 중에서 크로스-컷 테이프 테스트의 평가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즉, 5B, 4B, 3B, 2B, 1B, 0B의 6 등급으로 아래와 같이 특정 지워진다.
5B : 절단부분의 가장자리가 완전히 매끄럽고, 격자의 사각이 떨어지지
않은 상태.
4B : 격자의 교차점에서 도포의 작은 조각이 떨어지고, 영향을 받은
면적이 5% 이하인 상태.
3B : 가장자리와 절단부분의 교차점에서 작은 조각이 떨어지고, 영향을
받은 면적이 격자의 5%에서 15%인 상태.
2B : 도포된 가장자리 및 사각의 일부가 조각으로 떨어지고, 영향을 받은
면적이 격자의 15%에서 35%인 상태.
1B : 도포가 절단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큰 띠 형태로 벗겨져 떨어지고
모든 사각이 떨어지며, 영향을 받은 면적이 격자의 35%에서 65%인
상태.
0B : 벗겨져 떨어지고 분리된 상태가 1B 등급보다 나쁘고, 영향을 받은
면적이 65% 이상인 경우.
필름의 난연성은 L01 값으로 평가하는데 L01는 인화 연소에 필요한 산소의 최소 농도를 부피%로 나타낸 수치이다. 높은 L01 값은 낮은 인화성을 나타낸다.
14㎝× 6㎝×25㎝의 시료를 L01 Flammability Unit를 사용하여 L01 값을 측정하였다. 산소와 질소의 플로우레이트를 조정하여 토탈 플로우레이트는 항상 18 L/min이나, 산소/질소 비율은 변화된다. 초기 산소 농도는 25%로 정하고, 부탄 연소기를 사용하여 시료의 윗부분을 변화시킨다. 시료가 타지 않으면 산소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반면, 시료의 연소가 일어나면 산소의 농도를 감소시킨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1 ]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고유점도 0.65 dl/g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원료 (PM1)로 하고, 평균 입자크기 2㎛인 이산화실리콘을 1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원료(PM2)로 하여, 클라리언트사 염료 Red GFP, Blue RBL 및 Yellow GG를 각각 5.5 중량%, 3.5 중량% 및 1.0 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원료(PM3)로 하고, 인계 난연제를 0.7 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원료(PM4)로 한다. 상기 원료(PM1), (PM2), (PM3) 및 (PM4)을 [표 1]에 나타낸 중량% 비율로 건조시킨 후, 피이드 블록에서 2층으로 적층 및 공압출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시켜 쉬트를 제조하였다.
이 쉬트를 종방향으로 75∼130℃의 온도 범위에서 3.0배 연신시킨 후 수용성 아크릴에멀젼이 2.0 중량% 함유된 수분산체를 인라인 코터로 코팅한 후, 횡방향으로
90∼145℃의 온도 범위에서 3.3배 연신하고, 215∼235℃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를 한 후, 평균 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제조된 각 층 (A/B/C)의 두께는 2㎛/22.95㎛/0.05㎛이었다.
[표 1]
구분 층종류 층두께(㎛) 함량 (중량 %) 비고
PM1 PM2 PM3 PM4
실시예 1 A 2 96 4 0 15 적층
B 22.95 80 0 20 15
C 0.05 - - - -
실시예 2 A 2 97 3 0 15 적층
B 22.95 80 0 20 15
C 0.05 - - - -
실시예 3 A 4 93 7 0 15 적층
B 20.95 80 0 20 15
C 0.05 - - - -
실시예 4 A 4 94 6 0 15 적층
B 20.95 80 0 20 15
C 0.05 - - - -
비교예 1 - 25 72 8 20 0 단층
비교예 2 - 25 78 2 20 0 단층
[ 실시예 2 ]
원료(PM1), (PM2), (PM3) 및 (PM4)를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는 중량% 비율로 건조시킨 다음,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평균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제조된 필름의 각층(A/B/C)의 두께는 2㎛/22.95㎛/0.05㎛ 이었다.
[ 실시예 3 ]
원료(PM1), (PM2), (PM3), (PM4) 및 (PM5)를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는 중량%비율로 건조시킨 다음,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평균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제조된 필름의 각층(A/B/C)의 두께는 4㎛/20.95㎛/0.05㎛이었다.
[ 실시예 4 ]
원료(PM1), (PM2), (PM3) 및 (PM4) 를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는 중량% 비율로 건조시킨 다음,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평균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제조된 필름의 각층(A/B/C)의 두께는 4㎛/20.95㎛/0.05㎛ 이었다.
[ 비교예 1 ]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고유점도 0.65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원료 (PM1)로 하고, 평균 입자크기 4㎛인 이산화실리콘을 5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원료 (PM2)로 하고, 클라리언트사 염료 Red GFP, Blue RBL 및 Yellow GG를 각각 5.5 중량%, 3.5 중량% 및 1.0 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원료(PM3)으로 한다. 상기의 원료 (PM1), (PM2)및 (PM3)을 [표 1]에 나타낸 중량% 비율로 건조시킨 후, 단층으로 압출하여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시켜 쉬트를 제조하였다. 이 쉬트를 종방향으로 75∼130℃의 온도 범위에서 3.3배 연신하여 215∼235℃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평균 두께 25㎛의 필름을 얻었다.
[ 비교예 2 ]
원료(PM1), (PM2), (PM3) 및 (PM4)을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는 중량% 비율로 건조시킨 다음,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해서 평균두께 25㎛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아래 [표 2]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입자량, 광택도, 탁도, L01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와 비교예를 대비해 보면, 실시예에서는 적절한 광택도 와 낮은 탁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비교예에서는 낮은 광택도와 높은 탁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하면 상이한 L01 값을 나타내고 있다. 즉 실시예의 필름은 난연 특성을 갖고 있으나, 비교예의 필름은 난연 특성을 갖지 않는다.
[표 2]
구분 층종류 층두께(㎛) 실리카함량(중량 %) 탁도(%) LOI(부피 %) 비고
실시예 1 A 2 0.04 0.4 27 적층
B 22.95 0
C 0.05 -
실시예 2 A 2 0.03 0.3 27 적층
B 22.95 0
C 0.05 -
실시예 3 A 4 0.07 0.6 28 적층
B 20.95 0
C 0.05 -
실시예 4 A 4 0.06 0.5 26 적층
B 20.95 0
C 0.05 -
비교예 1 - 25 0.08 4 20 단층
비교예 2 - 25 0.02 1 20 단층
[표 3]
구 분 잉크에 대한 접착성
바인더 용제 바인더 용제 바인더 용제 바인더 용제 바인더 용제
AC EA NC TOL/MEK EVA TOL/IPA/EA VC-VA MEK CAB MEK
실시예 1 A 1B 1B 1B 1B 1B
B - - - - -
C 4B 4B 5B 4B 5B
실시예 2 A 1B 1B 1B 1B 1B
B - - - - -
C 4B 4B 5B 4B 5B
실시예 3 A 1B 1B 1B 1B 1B
B - - - - -
C 4B 4B 5B 4B 5B
실시예 4 A 1B 1B 1B 1B 1B
B - - - - -
C 4B 4B 5B 4B 5B
비교예 1 - 1B 1B 1B 1B 1B
비교예 2 - 1B 1B 1B 1B 1B
상기 표에서,
AC: 아크릴,EA: 에틸 아세테이트,NC: 니트로셀루로즈,
TOL: 톨루엔,MEK: 메틸에틸케톤,EVA: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IPA: 이소프로필알콜,VC-VA: 비닐 크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CAB: 셀루로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본 발명 착색 필름은 상기에서와 같이 탁도가 우수하며, 자동차 및 건축물에 부착 사용시 접착성이 우수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유리가 파손되더라도 유리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Claims (15)

  1. 폴리에스테르 투명층(A층), 염료를 0.01~10 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컬러층(B층) 및 접착성을 부여한 코팅층(C층)등 3층 구조(A층/B층/C층)를 가지며, 적어도 한층에 난연제를 0.01에서 5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투명층(A층)의 다른쪽 면에 감압성 접착제층(D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코팅층(C층)의 다른쪽 면에 증착층(E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증착층(E층)의 다른쪽 면에 감압성 접착제층(D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접착제층(D층)의 바깥쪽 면에 투명 필름층(F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청구항 5에 있어서, 투명 필름층(F층)의 바깥쪽 면에 감압성 접착제층(D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청구항 4에 있어서, 투명층(A층)의 다른쪽 면에 감압성 접착제층(D층)과 투명 필름층(F)을 적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청구항 1에 있어서, 투명층(A층) 및 컬러층(B층) 중 적어도 어느 한층에 무기입자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청구항 8에 있어서, 무기입자의 함량이 0.01~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무기입자의 평균 입경이 0.0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청구항 8에 있어서, 무기입자가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투명층(A층)의 두께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코팅층(C층)에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의 접착제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코팅층(C층)의 두께가 0.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난연제는 알루미나 트리하이드레이트계, 할로게계,
    인계, 할로게이티드 인계 등의 첨가형 난연제 또는 반응형 난연제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030009746A 2003-02-17 2003-02-17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40074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746A KR20040074165A (ko) 2003-02-17 2003-02-17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746A KR20040074165A (ko) 2003-02-17 2003-02-17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165A true KR20040074165A (ko) 2004-08-23

Family

ID=3736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746A KR20040074165A (ko) 2003-02-17 2003-02-17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41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8419B2 (en) White opaque film having low transparency and improved dielectric strength
JPH11508842A (ja) 熱可塑性中間膜フィルム
KR101487052B1 (ko) 차열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점착 필름
JP6962109B2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
JP6353362B2 (ja) 虹色光沢防止プライマー層を備えた光学的に透明な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11702359B2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laminated glass, and glass structure
KR20170004940A (ko) 자외선 차단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 필름
US20040185281A1 (en) Polyester color film
JP2005319722A (ja) 光線吸収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311838B2 (ja) 窓貼り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40072862A (ko) 윈도우 필름용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10039606A (ko) 적외선 차단 필름
KR100553158B1 (ko)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KR20040074165A (ko)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40067051A (ko) 접착코팅층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컬러필름
JP2016505411A (ja) プライマー層中にポリマー粒子を有する虹色を呈さないフィルム
KR100502002B1 (ko)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27513B1 (ko) 투명 컬러 비산방지필름 제조 방법
KR20070107690A (ko) Ir 반사성을 갖는 반투명 uv 투과성 패널
KR100498056B1 (ko) 컬러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287502B1 (ko) 블라인드용 필름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0516B1 (ko) 윈도우용 착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EP4261195A1 (en) Laminated glass
TW200928258A (en) Translucent solar energy collector
JP2002137290A (ja) 光学用2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光学用易接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