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88983A1 -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88983A1
WO2016088983A1 PCT/KR2015/008519 KR2015008519W WO2016088983A1 WO 2016088983 A1 WO2016088983 A1 WO 2016088983A1 KR 2015008519 W KR2015008519 W KR 2015008519W WO 2016088983 A1 WO2016088983 A1 WO 201608898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mera window
glass substrate
unit cell
imag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85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영환
박상훈
이정목
Original Assignee
엠엔지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01400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67707A/ko
Application filed by 엠엔지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엔지솔루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608898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889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window manufacturing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that can be attached to the outermost of the camera lens of a portable terminal to protect the camera lens and at the same time contain an image to cause aesthetics.
  • tempered glass having high thickness and high strength may be used. However, even when tempered glass is used, camera windows may be broken or scratches may occur due to external shocks whil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Thus, there are also portable terminals employing sapphire glass that is higher in strength than tempered glass to protect the camera lens.
  •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 includes a camera portion 10 ′ and a fresh portion 20 for generating illumination light when photographing, and the camera portion 10 ′ includes a camera lens 11 ′. ), A field of view 12 'that secures a viewing angle of the camera lens 11', and a camera window 15 'disposed at the outermost portion to cover / protect the camera lens 11' and the field of view 12 '. ).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window that can be attached to the outermost of the camera lens of the portable terminal to protect the camera len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window that is included in the image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camera por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viding a glass substr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cell region; (b) forming an image unit on an upper surface of the unit cell area; (c) cutting the glass substrate along the unit cell area; And (d) forming a multilayer thin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cell region.
  • the image is includ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camera por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 FIG. 1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with a conventional camera window.
  •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amera unit including a camer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to 11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amera unit 10 including the camera window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mera unit 10 includes a camera lens 11, a field of view 12 for securing a viewing angle of the camera lens 11, and a camera window 15 for covering / protecting the camera lens 11 and the field of view 12. ).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mage portion 13 is formed in the camera window 15.
  • the image unit 13 is to be understood as a generic term for a form having an intended message such as a specific design, text, symbol, or the like having a design element such as a pattern or a pattern.
  • the image unit 13 included in the camera window 15 may be formed in part or all of the camera window 15. However, the camera lens 11 and the viewing unit 12 covered by the camera window 15 may be prevented from covering the camera lens 11 with the image unit 13 to improve the quality and resolu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part 13 is formed in the remaining area except the area. Of course, since the image unit 13 may be finely formed at the micrometer to nanometer level, it is noted that the image unit 13 may be formed in the camera lens 11 and the region of the viewing unit 12.
  • the image unit 13 may be formed in the camera window 15 while having a specific picture or figure.
  • the petal-shaped image part 13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 the image portion 13 formed on the camera window 15 may exhibit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shape.
  • the translucent shape 13a of the image part 13 is mentioned later.
  • 3 to 11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amera window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glass substrate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cell regions a and b is prepared.
  • the unit cell areas a and b mean areas that can function as the camera window 15 after the glass substrate 100 is cut.
  • the glass substrate 100 includes four unit cell regions a and b, but the number thereof depends on the size of the glass substrate 100 or the size of the unit cell regions a and b. You can increase or decrease as much as you like.
  • the unit cell areas a and b are circular, but may have a shape such as a rectangle or a polygon.
  • the glass substrate 100 may be made of tempered glass having excellent hardness, and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amera window 15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camera lens 11 (and the field of view 12)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protect, and scratches do not easily occur on the surface of the camera lens 11.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use low iron glass, soda-lime glass, alumina silicate glass, etc. which contain a small amount of iron among tempered glass. Alternatively, the glass window may be added to a subsequent process after the camera window 15 is manufactured using the unreinforced glass.
  • the camera window 15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amera lens 11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at is, the outside of the camera unit 10), the camera window 15 is too thick to cover the rear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Consisting of glass, plastic, or metal material) has a problem of low unity, and if the camera window 15 is too thin, the strength may be weaken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glass substrate 100 is preferably 0.01 to 0.55 mm. Do.
  • a masking film 200 may b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00 for masking.
  • the masking film 200 may use a photosensitive ink, an acid resistant photoresist, an acid resistant film, or an acid resistant tape, and will be described below using an acid resistant photoresist.
  • the masking layer 200 may not be easily etched in a strong acid, hydrofluoric acid, etc. in the wet etching process described later, so that the masking pattern 210 may be more precisely formed.
  • the coating method may be spin coating, dip coating, silk screen, slit coating or the like.
  • a masking pattern 210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masking film 200 to expose a portion to be etched from the glass substrate 100.
  • the masking pattern 21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image part 13. That i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ing pattern 210 may also have a petal shape formed in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camera lens 11 and the viewing part 12 region.
  • the masking pattern 210 may be formed using a photolithography process, which is a known patterning technique. An example of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 the ultraviolet light passing through the mask for forming a fine pattern is irradiated to the masking film 200 including the negative acid resistant photoresist to selectively expose the photoresist. This process activates the exposed portion of the photoresist and results in a change in dissolution properties between the exposed and unexposed areas.
  • a PEB (Post Exposure Bake) process is performed to heat the exposed photoresist at high temperature.
  • the PEB process may serve to enhance the resolution of the photoresist by promoting a cross-linking reaction so that the photoresist film exposed by ultraviolet light does not react with the developer. In some cases, the PEB process may be omitted.
  • the photoresist is developed with a known developer to remove the photoresist in an area not exposed to ultraviolet light. Accordingly, the masking pattern 2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00 as illustrated in FIGS. 5A and 5B.
  • the masking pattern 210 is formed using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sking pattern 210 can be formed more precisely, the image portion 13 having a high resolution can be easily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 the masking pattern 210 may be formed to etch the upper portion of the exposed glass substrate 100 to form the image etching unit 110.
  • the image etching part 110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unit cell areas a and b of the glass substrate 100, and as a whole, It may be formed.
  • the image etching unit 110 may substantially configure the image unit 13.
  • the image etching unit 110 may be formed by chemically wet etching an upper portion of the glass substrate 100 using the masking pattern 210 as a mask.
  • Chemically wet etching may be understood to mean etc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substrate 100 by chemically reacting the glass substrate 100 with a predetermined etchant.
  • an etchant including at least one of hydroflu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and non-fluoric acid may be used.
  • a process of spraying the etchant through one or more nozzles may be used to chemically wet-etch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substrate 100.
  • the angle between the glass substrate 100 and the ground may be variously adjusted.
  • the spray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glass substrate 100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spray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glass substrate 100 and the ground are horizontal.
  • the spray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glass substrate 100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 a process of dipping and downflowing the glass substrate 100 into the etchant may be used.
  • the glass substrate 100 may be performed by performing both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 the upper part can be etched.
  • the order of the spray process, the dipping and the down process may be changed.
  • etching methods such as dry etching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image etching unit 110 may be precisely formed.
  • the masking pattern 210 may be peeled off. Peeling can use peeling liquid of hydroxide type, such as potassium hydroxide (KOH). Alternatively, when the materials of the masking pattern 210 and the cut masking pattern 400 are the same, the process of FIG. 7 may be omitted and the cut masking pattern 4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may be immediately formed. .
  • hydroxide type such as potassium hydroxide (KOH).
  • the cut masking patterns 400 may b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glass substrate 100 to mask the unit cell regions a and b.
  • the cut masking pattern 400 may use the same material as the masking film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same method of forming the masking pattern 2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remaining exposed areas may be etched. Both surfaces of the glass substrate 100 may be etched to cut the glass substrate 100 into a plurality of unit cells 50.
  • the double-sided etching process of the glass substrate 100 may be performed by spraying an etching solution on both sides of the glass substrate 100 in a spray method, and the same method and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forming the image etching unit 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is can be done using In addition, the glass substrate 100 may be cut by dipping, sanding, or scribing.
  • the cut masking pattern 400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may be peeled off. Peeling of the cut masking pattern 400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the same method of peeling the masking pattern 210 illustrated in FIG. 7. As a result, the unit cell 50 in which the image unit 13 is formed remains.
  • multi-layers 500 and 60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nit cell 50 region.
  • the multilayer thin films 500 and 600 may use any known thin film forming method without limitation, but in order to form a thin film finely, it is preferable to use a vapor deposition method, preferably in a vacuum atmosphere. If necessary, the multilayer cells 500 and 600 may be formed after flipping the unit cell 50 in which the image part 13 is formed.
  • Each layer constituting the multilayer thin films 500 and 600 includes a titanium dioxide layer (TiO 2 ), a silicon dioxide layer (SiO 2 ), a chromium layer (Cr), a copper layer (Cu), a gold layer (Au), a silver layer (Ag),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luminum layer (Al). Since the multilayer thin films 500 and 600 made of the material may control various wavelengths of ligh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camera window 15 or the image unit 13 may have various colors. In this sense, the multilayer thin films 500 and 60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unit cell 50 region, or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cell 50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unit 13.
  • the camera window 15 coated with the multilayer thin films 500 and 600 may be manufacture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oats the multilayer thin films 500 and 60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mage part 13 having various colors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olors of the multilayer thin films 500 and 600.
  • the multilayer thin films 500 and 600 may have a translucent shape 13a (see FIG. 2).
  • the translucent shape 13a does not necessarily mean having a lattice shape, as shown in FIG. 2, and may be understood to mean that the degree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thin film has an intermediate value between transparent and opaque.
  • the multilayer thin films 500 and 600 may be translucent because they are formed in a thin thickness ranging from several micrometers to several micrometers. When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 thin films 500 and 600 becomes thick, transparency decreases, and of course, when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 thin films 500 and 600 becomes thin, transparency increases.
  • the multi-layered thin films 500 and 60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nit cell 50 on which the image part 13 (or the image etching part 110 is formed) have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shape 13a, various colors and In addition, various images can be mad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esign elements of the camera unit 11 (or the camera window 15).
  • color, transparency, and the like may be added to the image unit 13 by depositing a predetermined thin film in the pattern of the image etching unit 110.
  • the predetermined thin film may use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multilayer thin films 500 and 600 described above.
  • a process of forming the image etching unit 110 is omitted, and immediately after the masking pattern 210 is formed on the unit cell regions a and b of the glass substrate 100. It is also possible to coat the image portion 13 directly, or inkjet printing or printing a mirror ink or Ag ink.
  • the masking film containing a colored photosensitive ink on the glass substrate 100 omitt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image etching unit 110 by etching the glass substrate 100 ( Immediately after forming 200,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mage unit 13 to be formed. Then, the masking film 200 including the colored photosensitive ink is patter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hape of the image portion 13, and the image portion 13 may be formed by itself when it is completely dried.
  • the image unit 13 directly on the glass substrate 100 after masking using a shadow mask on the glass substrate 100 without forming the masking pattern 210, the image unit 13 directly on the glass substrate 100. ) Can be coated or printed.
  • the camera window 15 may be further subjected to a reinforcement step, a cleaning step, and an inspection step as necessary, and may include a fingerprint coating layer (not shown), a self-adhesive film (not shown), and an anti-scattering film (not shown) on one surface. By attaching more), it can be made into a final product.
  • the camera window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forming the image portion 13 in the camera window 15, the same applies to the cover glass and the protective glass disposed on the outermost of the portable terminal (1) Note that it can be applied to form an image portion.
  • the camera window manufact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outermost of the camera len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protecting the camera lens, and the image is included,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portable termi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은, (a) 복수의 단위셀 영역(a, b)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100)을 제공하는 단계; (b) 단위셀 영역(a, b)의 상면에 이미지부(13)를 형성하는 단계; (c) 유리 기판(100)을 단위셀 영역(a, b)에 따라 절단하는 단계; 및 (d) 단위셀 영역(a, b)의 하면에 다층 박막(500, 60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최외곽에 부착하여 카메라 렌즈를 보호함과 동시에 이미지가 포함되어 심미감을 일으킬 수 있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시대가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 시장 초기와 달리, 제조사별 출시 제품의 하드웨어 성능이 비슷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부분에서의 새로운 기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최외곽에 배치되는 카메라 윈도우(Camera Window)는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강도가 높은 강화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강화유리가 사용되어도 휴대용 단말기 사용 중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카메라 윈도우가 깨지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리하여,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기 위하여 강화 유리보다 강도가 높은 사파이어 글래스를 채택하는 휴대용 단말기도 존재한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윈도우(15')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1)는 후면부에 카메라부(10') 및 촬영시 조명광을 생성하는 후레쉬부(20)를 포함하며, 카메라부(10')는 카메라 렌즈(11'), 카메라 렌즈(11')의 시야각을 확보하는 시야부(12') 및 최외곽에 배치되어 카메라 렌즈(11') 및 시야부(12')를 커버/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윈도우(15')를 포함한다.
한편, 제조사별 휴대용 단말기의 하드웨어 성능이 비슷해짐에 따라, 소비자의 구성 부품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카메라 윈도우(15')의 경우에는 디자인적인 요소가 전혀 채용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었고, 디자인적인 요소를 채용하는 경우라면, 스핀이나 기하학 패턴을 인쇄 방식 또는 몰딩 방식을 통하여 삽입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수율이 낮고, 디자인이 단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최외곽에 부착하여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어 카메라 부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a) 복수의 단위셀 영역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단위셀 영역의 상면에 이미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유리 기판을 상기 단위셀 영역에 따라 절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위셀 영역의 하면에 다층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최외곽에 부착하여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어 카메라 부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윈도우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휴대용 단말기
10, 10': 카메라부
11, 11': 카메라 렌즈
12, 12': 시야부
13: 이미지부
15, 15': 카메라 윈도우
20: 후레쉬부
50: 단위셀
100: 유리 기판
110: 이미지 식각부
200: 마스킹 막
210: 마스킹 패턴
400: 절단 마스킹 패턴
500, 600: 다층 박막
a, b: 단위셀 영역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5)를 포함하는 카메라부(1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카메라부(10)는 카메라 렌즈(11), 카메라 렌즈(11)의 시야각을 확보하는 시야부(12) 및 카메라 렌즈(11) 및 시야부(12)를 커버/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윈도우(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윈도우(15)에 이미지부(Image Portion; 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미지부(13)라 함은 특정한 도안, 문자, 기호 등의 의도된 메세지를 지니는 형태, 또는 문양, 무늬 등의 디자인적 요소를 가지는 형태를 총칭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윈도우(15)가 포함하는 이미지부(13)는 카메라 윈도우(15)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렌즈(11)를 이미지부(13)가 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촬영하는 사진의 품질과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 윈도우(15)가 커버하는 카메라 렌즈(11) 및 시야부(1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이미지부(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미지부(13)가 마이크로미터 내지 나노미터 수준으로 미세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렌즈(11) 및 시야부(12) 영역 부분에 이미지부(13)가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미지부(13)는 특정한 그림, 도형을 가지면서 카메라 윈도우(15)에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꽃잎 형상의 이미지부(13)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카메라 윈도우(15) 상에 형성된 이미지부(13)는 투명 또는 반투명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미지부(13)의 반투명 형상(13a)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5)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복수의 단위셀 영역(a, b)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100)을 준비한다. 단위셀 영역(a, b)은 유리 기판(100)이 절단된 후 실질적으로 카메라 윈도우(15)로서 작용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유리 기판(100)이 4개의 단위셀 영역(a, b)을 포함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나, 유리 기판(100)의 크기 또는 단위셀 영역(a, b)의 크기에 따라 그 개수는 얼마든지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단위셀 영역(a, b)이 원형인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나, 사각형, 다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유리 기판(100)은 우수한 경도를 가지는 강화 유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카메라 윈도우(15)가 휴대용 단말기(1)의 카메라 렌즈(11)[및 시야부(12)]를 보호할 수 있고, 카메라 렌즈(11)의 표면에 흠집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특히, 강화 유리 중에서도 철분을 소량 함유하는 저철분 유리, 소다라임 유리, 알루미나 실리케이트 유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강화되지 않은 유리를 사용하여 카메라 윈도우(15)를 제조한 후에 후속 공정으로 유리 강화 공정을 추가할 수도 있다.
카메라 윈도우(15)는 휴대용 단말기(1)의 카메라 렌즈(11)의 외곽[즉, 카메라부(10)의 외곽]에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카메라 윈도우(15)가 너무 두꺼우면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커버(글라스, 플라스틱 또는 메탈 소재로 이루어짐)와의 일체감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카메라 윈도우(15)가 너무 얇으면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므로, 유리 기판(100)의 두께는 0.01 내지 0.5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유리 기판(100)의 상면에 마스킹을 위해 마스킹 막(200)을 도포할 수 있다. 마스킹 막(200)은 감광성 잉크, 내산성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내산성 필름 또는 내산성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내산성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한다. 마스킹 막(200)이 내산성을 가지면 후술하는 습식 식각 공정에서 강산, 불산 등에 쉽게 식각되지 않아 마스킹 패턴(210)을 보다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포 방법은 스핀코팅, 딥코팅, 실크스크린, 슬릿코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유리 기판(100)의 식각할 부분이 노출되도록 마스킹 막(200)의 일부에 마스킹 패턴(210)을 형성할 수 있다. 마스킹 패턴(210)은 이미지부(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스킹 패턴(210)도 카메라 렌즈(11) 및 시야부(1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꽃잎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스킹 패턴(210)의 형성과정은 공지의 패터닝 기술인 사진 식각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사진 식각 공정의 일 예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세 패턴 형성용 마스크(미도시)를 통과한 자외선이 네거티브의 내산성 포토레지스트를 포함하는 마스킹 막(200)에 조사되도록 하여 포토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노광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포토레지스트의 노광된 부분이 활성화되고 노광 및 노광되지 않은 영역 사이에서 용해 특성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어서,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고온에서 열처리 하는 PEB(Post Exposure Bake) 공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PEB 공정은, 자외선에 의해서 노광된 포토레지스트 막이 현상액에 의해서 반응하지 않도록 가교결합(cross-linking) 반응을 촉진시켜 포토레지스트의 분해능(resolution)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PEB 공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이어서, 공지의 현상액으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여 자외선에 노광되지 않은 영역의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00) 상면 상에 마스킹 패턴(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사진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마스킹 패턴(210)을 형성하는 경우, 마스킹 패턴(210)을 보다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고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부(13)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킹 패턴(210)이 형성되어 노출된 유리 기판(100)의 상부를 식각하여 이미지 식각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 윈도우(15) 상에 이미지부(13)가 형성되므로, 이미지 식각부(110)는 유리 기판(100)의 단위셀 영역(a, b)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미지 식각부(110)는 실질적으로 이미지부(13)를 구성할 수 있다.
이미지 식각부(110)는 마스킹 패턴(21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유리 기판(100)의 상부를 화학적으로 습식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샌드 블래스팅법 등 물리적인 식각을 통해 유리를 식각하였으나, 강화 유리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습식 식각으로 경도가 높은 강화 유리를 식각할 수 있다. 화학적으로 습식 식각한다 함은 유리 기판(100)과 소정의 식각액을 화학 반응시켜 유리 기판(100) 상부를 식각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식각액으로는 불산, 황산, 질산, 인산, 비불산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각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유리 기판(100) 상부를 화학적으로 습식 식각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하여 상기 식각액을 스프레이 하는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 공정 시에 유리 기판(100)과 지면과의 각도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기판(100)과 지면이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스프레이 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유리 기판(100)과 지면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스프레이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 기판(100)이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상태에서 스프레이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유리 기판(100)을 상기 식각액에 디핑(dipping), 다운 플로우(down flow)하는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술한 두 가지의 공정 모두를 수행하여 유리 기판(100) 상부를 식각할 수 있다. 두 가지의 공정 모두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스프레이 공정과 디핑, 다운 플로우 공정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이미지 식각부(110)를 정교하게 형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건식 식각 등 다른 식각 방법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마스킹 패턴(210)을 박리할 수 있다. 박리는 수산화칼륨(KOH) 등의 수산화계열의 박리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마스킹 패턴(210)과 절단 마스킹 패턴(400)의 물질이 동일할 경우에는, 도 7의 과정을 생략하고,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절단 마스킹 패턴(400)을 곧바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유리 기판(100)의 양면에 절단 마스킹 패턴(400)을 형성하여 단위셀 영역(a, b)을 마스킹 할 수 있다. 절단 마스킹 패턴(400)은 도 4에서 설명한 마스킹 막(200)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도 5에서 설명한 마스킹 패턴(210)을 형성하는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유리 기판(100) 양면의 마스킹 된 단위셀 영역(a, b)을 제외하고 노출된 나머지 영역을 식각할 수 있다. 유리 기판(100)의 양면을 식각하여 유리 기판(100)을 복수의 단위셀(50)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유리 기판(100)의 양면 식각 공정은, 유리 기판(100)의 양면에 식각액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수행할 수 있고, 도 6에서 설명한 이미지 식각부(110)를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딥핑(diping), 샌딩, 스크라이빙의 방식을 사용하여 유리 기판(100)을 절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위셀의 양면에 형성된 절단 마스킹 패턴(400)을 박리할 수 있다. 절단 마스킹 패턴(400)의 박리는 도 7에 도시된 마스킹 패턴(210)의 박리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미지부(13)가 형성된 단위셀(50)이 남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단위셀(50) 영역의 하면에 다층 박막(multi-layer; 500, 60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층 박막(500, 600)은 공지의 박막 형성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미세하게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증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공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미지부(13)가 형성된 단위셀(50)을 뒤집은 후에 다층 박막(500, 6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층 박막(500, 600)을 구성하는 각층은 이산화티타늄층(TiO2), 이산화규소층(SiO2), 크롬층(Cr), 구리층(Cu), 금층(Au), 은층(Ag), 알루미늄층(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로 구성된 다층 박막(500, 600)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의 파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윈도우(15) 또는 이미지부(13)가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다층 박막(500, 600)은 단위셀(50) 영역의 하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미지부(13)와 대응되는 단위셀(50) 영역의 하면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다층 박막(500, 600)을 코팅한 카메라 윈도우(15)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층 박막(500, 600)을 코팅하므로, 다층 박막(500, 600)의 색상에 따라서 여러가지 색상을 가지는 이미지부(13)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다층 박막(500, 600)은 반투명 형상(13a)[도 2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반투명 형상(13a)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반드시 격자 모양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박막을 통과하는 빛의 정도가 투명과 불투명의 중간값을 가지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다층 박막(500, 600)은 수 Å 내지 수㎛에 이르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반투명 할 수 있다. 다층 박막(500, 600)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투명도가 낮아지고, 다층 박막(500, 600)의 두께가 얇아지면 투명도가 높아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미지부(13)[또는, 이미지 식각부(110)]가 형성된 단위셀(50)의 반대면에 형성된 다층 박막(500, 600)이 투명 또는 반투명 형상(13a)을 가짐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더불어 다양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고, 이에 의해 카메라부(11)[또는, 카메라 윈도우(15)]의 디자인적인 요소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식각부(110)의 패턴 내에 소정의 박막을 증착함으로써 이미지부(13)에 색상, 투명도 등을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박막은 상술한 다층 박막(500, 600)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식각부(110)를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하고, 유리 기판(100)을 단위셀 영역(a, b) 상에 마스킹 패턴(210)을 형성한 직후, 직접 이미지부(13)를 코팅하거나, 미러잉크 또는 Ag잉크를 잉크젯 프린팅 또는 인쇄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 기판(100)을 식각하여 이미지 식각부(110)를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하고, 유리 기판(100) 상에 유색의 감광성 잉크를 포함하는 마스킹 막(200)을 형성한 직후, 형성하고자 하는 이미지부(13)의 형태에 맞게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하면, 유색의 감광성 잉크를 포함하는 마스킹 막(200)이 이미지부(13)의 형태와 동일하게 패터닝 되고, 완전히 건조를 마치면 그 자체로 이미지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킹 패턴(210)을 형성함이 없이, 유리 기판(100) 상에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마스킹 한 후, 유리 기판(100) 상에 직접 이미지부(13)를 코팅하거나, 프린팅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카메라 윈도우(15)는 필요에 따라 강화단계, 세정단계, 검사단계를 더 거칠 수 있고, 어느 한 면에 내지문 코팅층(미도시), 자가접착필름(미도시) 및 비산방지필름(미도시)을 더 부착함에 따라 최종 제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카메라 윈도우 제조방법은 카메라 윈도우(15)에 이미지부(13)를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용 단말기(1)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커버글래스 및 보호글래스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이미지부를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카메라 윈도우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최외곽에 부착되어,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고,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카메라 윈도우 내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공정이 간단하므로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층 박막에 의해 여러가지 색상을 가지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7)

  1. (a) 복수의 단위셀 영역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단위셀 영역의 상면에 이미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유리 기판을 상기 단위셀 영역에 따라 절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위셀 영역의 하면에 다층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유리 기판의 상면을 마스킹하는 단계; 및
    (b2)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단위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식각하여 이미지 식각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유리 기판의 상면을 마스킹하는 단계; 및
    (b2)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단위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이미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이미지부는, 상기 단위셀 상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하거나, 미러잉크 또는 Ag잉크를 잉크젯 프린팅 또는 인쇄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단위셀 영역의 상면 및 하면을 마스킹하는 단계;
    (c2)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마스킹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식각하는 단계; 및
    (c3) 상기 유리 기판을 상기 단위셀 영역에 따라 절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박막은 반투명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박막은, 이산화티타늄층(TiO2), 이산화규소층(SiO2), 크롬층(Cr), 구리층(Cu), 금층(Au), 은층(Ag), 알루미늄층(Al) 중 적어도 하나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박막은 상기 단위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증착, 코팅 또는 인쇄의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박막은 상기 단위셀 영역의 카메라 렌즈 및 시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은 강화 유리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의 두께는 0.01 mm 내지 0.5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부는 상기 단위셀 영역의 카메라 렌즈 및 시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은 감광성 잉크, 내산성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내산성 필름 또는 내산성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식각부는 습식 식각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불산, 황산, 질산, 인산, 비불산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각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단위셀의 적어도 일면에 내지문 코팅층, 자가접착필름 및 비산방지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6.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최외곽에 부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는 카메라 윈도우로서, 상기 카메라 윈도우는 적어도 일부에 이미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부가 형성된 반대면에 다층 박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PCT/KR2015/008519 2014-12-04 2015-08-13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WO201608898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3379 2014-12-04
KR10-2014-0173379 2014-12-04
KR1020150014000A KR20160067707A (ko) 2014-12-04 2015-01-29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KR10-2015-0014000 2015-0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8983A1 true WO2016088983A1 (ko) 2016-06-09

Family

ID=5609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8519 WO2016088983A1 (ko) 2014-12-04 2015-08-13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088983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5490A (zh) * 2019-06-05 2020-12-08 苹果公司 电子设备
US11369028B2 (en) 2019-06-05 2022-06-2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having a textured glass component
US11372137B2 (en) 2019-05-29 2022-06-28 Apple Inc. Textured cover assemblies for display applications
US11397449B2 (en) 2018-07-20 2022-07-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housing member
US11402669B2 (en) 2018-04-27 2022-08-02 Apple Inc. Housing surface with tactile friction features
US11691912B2 (en) 2018-12-18 2023-07-04 Apple Inc. Chemically strengthened and textured glass housing member
US11897809B2 (en) 2020-09-02 2024-02-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textured glass and glass ceramic componen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0428A1 (en) * 2000-06-22 2002-09-19 Wei Te Chung Of Foxconn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anufacturing protective lens for display
KR20070052119A (ko) * 2005-11-16 2007-05-21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팝업형 휴대 단말기
KR20110006116A (ko) * 2009-07-13 2011-01-20 강성근 장식 패턴이 인쇄된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윈도 글라스의 양산 방법
KR101217768B1 (ko) * 2011-10-20 2013-01-02 주식회사 세종미래기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KR101336934B1 (ko) * 2013-03-05 2013-12-03 크루셜텍 (주)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0428A1 (en) * 2000-06-22 2002-09-19 Wei Te Chung Of Foxconn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anufacturing protective lens for display
KR20070052119A (ko) * 2005-11-16 2007-05-21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팝업형 휴대 단말기
KR20110006116A (ko) * 2009-07-13 2011-01-20 강성근 장식 패턴이 인쇄된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윈도 글라스의 양산 방법
KR101217768B1 (ko) * 2011-10-20 2013-01-02 주식회사 세종미래기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KR101336934B1 (ko) * 2013-03-05 2013-12-03 크루셜텍 (주)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2669B2 (en) 2018-04-27 2022-08-02 Apple Inc. Housing surface with tactile friction features
US11397449B2 (en) 2018-07-20 2022-07-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housing member
US11822385B2 (en) 2018-07-20 2023-11-2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housing member
US11691912B2 (en) 2018-12-18 2023-07-04 Apple Inc. Chemically strengthened and textured glass housing member
US11372137B2 (en) 2019-05-29 2022-06-28 Apple Inc. Textured cover assemblies for display applications
US11940594B2 (en) 2019-05-29 2024-03-26 Apple Inc. Textured cover assemblies for display applications
CN112055490A (zh) * 2019-06-05 2020-12-08 苹果公司 电子设备
US11369028B2 (en) 2019-06-05 2022-06-2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having a textured glass component
US11533817B2 (en) 2019-06-05 2022-12-20 Apple Inc. Textured glass component for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US11849554B2 (en) 2019-06-05 2023-12-1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having a textured glass component
US11910551B2 (en) 2019-06-05 2024-02-20 Apple Inc. Textured glass component for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US11897809B2 (en) 2020-09-02 2024-02-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textured glass and glass ceramic compon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88983A1 (ko)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WO2014137058A1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US8730415B2 (en) Cover glass integrated sensor
JP4601710B1 (ja) 狭額縁タッチ入力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6225053B2 (ja) 感光性積層体、転写材料、パターン化された感光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並びに画像表示装置
US20220248552A1 (en) Shell assembl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device
WO2010114261A2 (ko)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 센서 및 제조 방법
WO2015137755A1 (ko) 전자기기용 필름부재
WO2015099258A1 (ko) 커버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719393A (zh) 摄像头镜片及其制备方法、摄像头组件、电子设备
KR101553606B1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00721B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WO2017131497A1 (ko) 필름 마스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140148418A (ko) 감광성 필름, 정전용량형 입력장치의 제조방법, 정전용량형 입력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JP5026580B2 (ja) カバーガラス一体型センサー
WO2015125853A1 (ja) 転写フィルム、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透明積層体、透明積層体の製造方法、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7018692A1 (ko) 패턴을 갖는 투명 유리
KR20160067707A (ko)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CN108227989B (zh) 触控基板及其制备方法、金属掩膜板以及显示装置
WO2019059589A1 (ko) 투명 발광소자 디스플레이용 전극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207537351U (zh) 具有色彩图案的特种功能镀膜玻璃及其制备系统
KR20140123025A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커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WO2016088982A1 (ko) 커버글라스 인쇄 방법
WO2015108266A1 (ko) 보호글래스 제조 방법
CN106295462A (zh) 指纹成像模组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649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2/11/20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649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