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707A -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707A
KR20160067707A KR1020150014000A KR20150014000A KR20160067707A KR 20160067707 A KR20160067707 A KR 20160067707A KR 1020150014000 A KR1020150014000 A KR 1020150014000A KR 20150014000 A KR20150014000 A KR 20150014000A KR 20160067707 A KR20160067707 A KR 20160067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ell
glass substrate
region
image porti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환
박상훈
이정목
Original Assignee
엠엔지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엔지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엔지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85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88983A1/ko
Publication of KR20160067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은, (a) 복수의 단위셀 영역(a, b)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100)을 제공하는 단계; (b) 단위셀 영역(a, b)의 상면에 이미지부(13)를 형성하는 단계; (c) 유리 기판(100)을 단위셀 영역(a, b)에 따라 절단하는 단계; 및 (d) 단위셀 영역(a, b)의 하면에 다층 박막(500, 60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METHOD OF PRODUCING CAMERA WINDOW}
본 발명은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최외곽에 부착하여 카메라 렌즈를 보호함과 동시에 이미지가 포함되어 심미감을 일으킬 수 있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시대가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 시장 초기와 달리, 제조사별 출시 제품의 하드웨어 성능이 비슷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부분에서의 새로운 기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최외곽에 배치되는 카메라 윈도우(Camera Window)는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강도가 높은 강화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강화유리가 사용되어도 휴대용 단말기 사용 중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카메라 윈도우가 깨지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리하여,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기 위하여 강화 유리보다 강도가 높은 사파이어 글래스를 채택하는 휴대용 단말기도 존재한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윈도우(15')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1)는 후면부에 카메라부(10') 및 촬영시 조명광을 생성하는 후레쉬부(20)를 포함하며, 카메라부(10')는 카메라 렌즈(11'), 카메라 렌즈(11')의 시야각을 확보하는 시야부(12') 및 최외곽에 배치되어 카메라 렌즈(11') 및 시야부(12')를 커버/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윈도우(15')를 포함한다.
한편, 제조사별 휴대용 단말기의 하드웨어 성능이 비슷해짐에 따라, 소비자의 구성 부품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카메라 윈도우(15')의 경우에는 디자인적인 요소가 전혀 채용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었고, 디자인적인 요소를 채용하는 경우라면, 스핀이나 기하학 패턴을 인쇄 방식 또는 몰딩 방식을 통하여 삽입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수율이 낮고, 디자인이 단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최외곽에 부착하여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어 카메라 부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a) 복수의 단위셀 영역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단위셀 영역의 상면에 이미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유리 기판을 상기 단위셀 영역에 따라 절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위셀 영역의 하면에 다층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최외곽에 부착하여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어 카메라 부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윈도우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5)를 포함하는 카메라부(1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카메라부(10)는 카메라 렌즈(11), 카메라 렌즈(11)의 시야각을 확보하는 시야부(12) 및 카메라 렌즈(11) 및 시야부(12)를 커버/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윈도우(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윈도우(15)에 이미지부(Image Portion; 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미지부(13)라 함은 특정한 도안, 문자, 기호 등의 의도된 메세지를 지니는 형태, 또는 문양, 무늬 등의 디자인적 요소를 가지는 형태를 총칭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윈도우(15)가 포함하는 이미지부(13)는 카메라 윈도우(15)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렌즈(11)를 이미지부(13)가 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촬영하는 사진의 품질과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 윈도우(15)가 커버하는 카메라 렌즈(11) 및 시야부(1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이미지부(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미지부(13)가 마이크로미터 내지 나노미터 수준으로 미세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렌즈(11) 및 시야부(12) 영역 부분에 이미지부(13)가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미지부(13)는 특정한 그림, 도형을 가지면서 카메라 윈도우(15)에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꽃잎 형상의 이미지부(13)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카메라 윈도우(15) 상에 형성된 이미지부(13)는 투명 또는 반투명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미지부(13)의 반투명 형상(13a)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5)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복수의 단위셀 영역(a, b)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100)을 준비한다. 단위셀 영역(a, b)은 유리 기판(100)이 절단된 후 실질적으로 카메라 윈도우(15)로서 작용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유리 기판(100)이 4개의 단위셀 영역(a, b)을 포함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나, 유리 기판(100)의 크기 또는 단위셀 영역(a, b)의 크기에 따라 그 개수는 얼마든지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단위셀 영역(a, b)이 원형인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나, 사각형, 다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유리 기판(100)은 우수한 경도를 가지는 강화 유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카메라 윈도우(15)가 휴대용 단말기(1)의 카메라 렌즈(11)[및 시야부(12)]를 보호할 수 있고, 카메라 렌즈(11)의 표면에 흠집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특히, 강화 유리 중에서도 철분을 소량 함유하는 저철분 유리, 소다라임 유리, 알루미나 실리케이트 유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강화되지 않은 유리를 사용하여 카메라 윈도우(15)를 제조한 후에 후속 공정으로 유리 강화 공정을 추가할 수도 있다.
카메라 윈도우(15)는 휴대용 단말기(1)의 카메라 렌즈(11)의 외곽[즉, 카메라부(10)의 외곽]에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카메라 윈도우(15)가 너무 두꺼우면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커버(글라스, 플라스틱 또는 메탈 소재로 이루어짐)와의 일체감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카메라 윈도우(15)가 너무 얇으면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므로, 유리 기판(100)의 두께는 0.01 내지 0.5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유리 기판(100)의 상면에 마스킹을 위해 마스킹 막(200)을 도포할 수 있다. 마스킹 막(200)은 감광성 잉크, 내산성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내산성 필름 또는 내산성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내산성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한다. 마스킹 막(200)이 내산성을 가지면 후술하는 습식 식각 공정에서 강산, 불산 등에 쉽게 식각되지 않아 마스킹 패턴(210)을 보다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포 방법은 스핀코팅, 딥코팅, 실크스크린, 슬릿코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유리 기판(100)의 식각할 부분이 노출되도록 마스킹 막(200)의 일부에 마스킹 패턴(210)을 형성할 수 있다. 마스킹 패턴(210)은 이미지부(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스킹 패턴(210)도 카메라 렌즈(11) 및 시야부(1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꽃잎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스킹 패턴(210)의 형성과정은 공지의 패터닝 기술인 사진 식각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사진 식각 공정의 일 예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세 패턴 형성용 마스크(미도시)를 통과한 자외선이 네거티브의 내산성 포토레지스트를 포함하는 마스킹 막(200)에 조사되도록 하여 포토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노광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포토레지스트의 노광된 부분이 활성화되고 노광 및 노광되지 않은 영역 사이에서 용해 특성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어서,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고온에서 열처리 하는 PEB(Post Exposure Bake) 공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PEB 공정은, 자외선에 의해서 노광된 포토레지스트 막이 현상액에 의해서 반응하지 않도록 가교결합(cross-linking) 반응을 촉진시켜 포토레지스트의 분해능(resolution)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PEB 공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이어서, 공지의 현상액으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여 자외선에 노광되지 않은 영역의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00) 상면 상에 마스킹 패턴(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사진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마스킹 패턴(210)을 형성하는 경우, 마스킹 패턴(210)을 보다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고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부(13)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킹 패턴(210)이 형성되어 노출된 유리 기판(100)의 상부를 식각하여 이미지 식각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 윈도우(15) 상에 이미지부(13)가 형성되므로, 이미지 식각부(110)는 유리 기판(100)의 단위셀 영역(a, b)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미지 식각부(110)는 실질적으로 이미지부(13)를 구성할 수 있다.
이미지 식각부(110)는 마스킹 패턴(21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유리 기판(100)의 상부를 화학적으로 습식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샌드 블래스팅법 등 물리적인 식각을 통해 유리를 식각하였으나, 강화 유리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습식 식각으로 경도가 높은 강화 유리를 식각할 수 있다. 화학적으로 습식 식각한다 함은 유리 기판(100)과 소정의 식각액을 화학 반응시켜 유리 기판(100) 상부를 식각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식각액으로는 불산, 황산, 질산, 인산, 비불산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각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유리 기판(100) 상부를 화학적으로 습식 식각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하여 상기 식각액을 스프레이 하는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 공정 시에 유리 기판(100)과 지면과의 각도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기판(100)과 지면이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스프레이 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유리 기판(100)과 지면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스프레이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 기판(100)이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상태에서 스프레이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유리 기판(100)을 상기 식각액에 디핑(dipping), 다운 플로우(down flow)하는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술한 두 가지의 공정 모두를 수행하여 유리 기판(100) 상부를 식각할 수 있다. 두 가지의 공정 모두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스프레이 공정과 디핑, 다운 플로우 공정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이미지 식각부(110)를 정교하게 형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건식 식각 등 다른 식각 방법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마스킹 패턴(210)을 박리할 수 있다. 박리는 수산화칼륨(KOH) 등의 수산화계열의 박리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마스킹 패턴(210)과 절단 마스킹 패턴(400)의 물질이 동일할 경우에는, 도 7의 과정을 생략하고,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절단 마스킹 패턴(400)을 곧바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유리 기판(100)의 양면에 절단 마스킹 패턴(400)을 형성하여 단위셀 영역(a, b)을 마스킹 할 수 있다. 절단 마스킹 패턴(400)은 도 4에서 설명한 마스킹 막(200)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도 5에서 설명한 마스킹 패턴(210)을 형성하는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유리 기판(100) 양면의 마스킹 된 단위셀 영역(a, b)을 제외하고 노출된 나머지 영역을 식각할 수 있다. 유리 기판(100)의 양면을 식각하여 유리 기판(100)을 복수의 단위셀(50)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유리 기판(100)의 양면 식각 공정은, 유리 기판(100)의 양면에 식각액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수행할 수 있고, 도 6에서 설명한 이미지 식각부(110)를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딥핑(diping), 샌딩, 스크라이빙의 방식을 사용하여 유리 기판(100)을 절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위셀의 양면에 형성된 절단 마스킹 패턴(400)을 박리할 수 있다. 절단 마스킹 패턴(400)의 박리는 도 7에 도시된 마스킹 패턴(210)의 박리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미지부(13)가 형성된 단위셀(50)이 남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단위셀(50) 영역의 하면에 다층 박막(multi-layer; 500, 60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층 박막(500, 600)은 공지의 박막 형성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미세하게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증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공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미지부(13)가 형성된 단위셀(50)을 뒤집은 후에 다층 박막(500, 6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층 박막(500, 600)을 구성하는 각층은 이산화티타늄층(TiO2), 이산화규소층(SiO2), 크롬층(Cr), 구리층(Cu), 금층(Au), 은층(Ag), 알루미늄층(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로 구성된 다층 박막(500, 600)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의 파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윈도우(15) 또는 이미지부(13)가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다층 박막(500, 600)은 단위셀(50) 영역의 하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미지부(13)와 대응되는 단위셀(50) 영역의 하면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다층 박막(500, 600)을 코팅한 카메라 윈도우(15)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층 박막(500, 600)을 코팅하므로, 다층 박막(500, 600)의 색상에 따라서 여러가지 색상을 가지는 이미지부(13)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다층 박막(500, 600)은 반투명 형상(13a)[도 2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반투명 형상(13a)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반드시 격자 모양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박막을 통과하는 빛의 정도가 투명과 불투명의 중간값을 가지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다층 박막(500, 600)은 수 Å 내지 수㎛에 이르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반투명 할 수 있다. 다층 박막(500, 600)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투명도가 낮아지고, 다층 박막(500, 600)의 두께가 얇아지면 투명도가 높아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미지부(13)[또는, 이미지 식각부(110)]가 형성된 단위셀(50)의 반대면에 형성된 다층 박막(500, 600)이 투명 또는 반투명 형상(13a)을 가짐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더불어 다양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고, 이에 의해 카메라부(11)[또는, 카메라 윈도우(15)]의 디자인적인 요소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식각부(110)의 패턴 내에 소정의 박막을 증착함으로써 이미지부(13)에 색상, 투명도 등을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박막은 상술한 다층 박막(500, 600)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식각부(110)를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하고, 유리 기판(100)을 단위셀 영역(a, b) 상에 마스킹 패턴(210)을 형성한 직후, 직접 이미지부(13)를 코팅하거나, 미러잉크 또는 Ag잉크를 잉크젯 프린팅 또는 인쇄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 기판(100)을 식각하여 이미지 식각부(110)를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하고, 유리 기판(100) 상에 유색의 감광성 잉크를 포함하는 마스킹 막(200)을 형성한 직후, 형성하고자 하는 이미지부(13)의 형태에 맞게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하면, 유색의 감광성 잉크를 포함하는 마스킹 막(200)이 이미지부(13)의 형태와 동일하게 패터닝 되고, 완전히 건조를 마치면 그 자체로 이미지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킹 패턴(210)을 형성함이 없이, 유리 기판(100) 상에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마스킹 한 후, 유리 기판(100) 상에 직접 이미지부(13)를 코팅하거나, 프린팅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카메라 윈도우(15)는 필요에 따라 강화단계, 세정단계, 검사단계를 더 거칠 수 있고, 어느 한 면에 내지문 코팅층(미도시), 자가접착필름(미도시) 및 비산방지필름(미도시)을 더 부착함에 따라 최종 제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카메라 윈도우 제조방법은 카메라 윈도우(15)에 이미지부(13)를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용 단말기(1)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커버글래스 및 보호글래스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이미지부를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카메라 윈도우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최외곽에 부착되어,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고,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카메라 윈도우 내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공정이 간단하므로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층 박막에 의해 여러가지 색상을 가지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휴대용 단말기
10, 10': 카메라부
11, 11': 카메라 렌즈
12, 12': 시야부
13: 이미지부
15, 15': 카메라 윈도우
20: 후레쉬부
50: 단위셀
100: 유리 기판
110: 이미지 식각부
200: 마스킹 막
210: 마스킹 패턴
400: 절단 마스킹 패턴
500, 600: 다층 박막
a, b: 단위셀 영역

Claims (17)

  1. (a) 복수의 단위셀 영역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단위셀 영역의 상면에 이미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유리 기판을 상기 단위셀 영역에 따라 절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위셀 영역의 하면에 다층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유리 기판의 상면을 마스킹하는 단계; 및
    (b2)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단위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식각하여 이미지 식각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유리 기판의 상면을 마스킹하는 단계; 및
    (b2)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단위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이미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이미지부는, 상기 단위셀 상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하거나, 미러잉크 또는 Ag잉크를 잉크젯 프린팅 또는 인쇄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단위셀 영역의 상면 및 하면을 마스킹하는 단계;
    (c2)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마스킹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식각하는 단계; 및
    (c3) 상기 유리 기판을 상기 단위셀 영역에 따라 절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박막은 반투명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박막은, 이산화티타늄층(TiO2), 이산화규소층(SiO2), 크롬층(Cr), 구리층(Cu), 금층(Au), 은층(Ag), 알루미늄층(Al) 중 적어도 하나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박막은 상기 단위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증착, 코팅 또는 인쇄의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박막은 상기 단위셀 영역의 카메라 렌즈 및 시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은 강화 유리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의 두께는 0.01 mm 내지 0.5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부는 상기 단위셀 영역의 카메라 렌즈 및 시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은 감광성 잉크, 내산성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내산성 필름 또는 내산성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식각부는 습식 식각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불산, 황산, 질산, 인산, 비불산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각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단위셀의 적어도 일면에 내지문 코팅층, 자가접착필름 및 비산방지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16.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최외곽에 부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는 카메라 윈도우로서, 상기 카메라 윈도우는 적어도 일부에 이미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부가 형성된 반대면에 다층 박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윈도우.
KR1020150014000A 2014-12-04 2015-01-29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KR20160067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8519 WO2016088983A1 (ko) 2014-12-04 2015-08-13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79 2014-12-04
KR20140173379 2014-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707A true KR20160067707A (ko) 2016-06-14

Family

ID=5619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000A KR20160067707A (ko) 2014-12-04 2015-01-29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77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119A (ko) * 2016-10-24 2018-05-04 (주)유티아이 전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KR20180045120A (ko) * 2016-10-24 2018-05-04 (주)유티아이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KR101963444B1 (ko) * 2018-03-12 2019-03-28 주식회사 프로코텍 모바일기기 카메라모듈용 박판 글라스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119A (ko) * 2016-10-24 2018-05-04 (주)유티아이 전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KR20180045120A (ko) * 2016-10-24 2018-05-04 (주)유티아이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KR101963444B1 (ko) * 2018-03-12 2019-03-28 주식회사 프로코텍 모바일기기 카메라모듈용 박판 글라스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562B1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TWI758876B (zh) 製造柔性蓋板的方法
WO2016088983A1 (ko)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US8730415B2 (en) Cover glass integrated sensor
JP6225053B2 (ja) 感光性積層体、転写材料、パターン化された感光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4601710B1 (ja) 狭額縁タッチ入力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US10590029B2 (en) Camera window having distinctive pattern
US20220248552A1 (en) Shell assembl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device
KR101425364B1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3606B1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41880A1 (ja) 転写材料、静電容量型入力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静電容量型入力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US10754247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etal grating, metal grating and display device
KR20160067707A (ko)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WO2014115415A1 (ja) 透明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722317B1 (en) Transparent member having an image and method for forming the image on the transparent member
KR20170019698A (ko) 글라스 절단 방법
US9662928B2 (en) Method for fabricating curved decoration plate and curved display device
KR101531671B1 (ko) 보호글래스 제조 방법
JP2015156270A (ja) 透明電極パターンの形成方法
KR20150126317A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87074A (ko) 보호글래스 제조 방법
US20220283653A1 (en) Stacking structure and touch sensor
KR101687206B1 (ko) 커버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버글라스
KR20160008670A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08266A1 (ko) 보호글래스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