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670A -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670A
KR20160008670A KR1020140088215A KR20140088215A KR20160008670A KR 20160008670 A KR20160008670 A KR 20160008670A KR 1020140088215 A KR1020140088215 A KR 1020140088215A KR 20140088215 A KR20140088215 A KR 20140088215A KR 20160008670 A KR20160008670 A KR 20160008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pattern
cover
glass substrate
h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성
조형식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40088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670A/ko
Publication of KR2016000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4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or ceramic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화되고, 다양한 색상을 제공할 수 있는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는 휴대단말기에 포함되며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가지는 투명기판, 투명기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부, 제1패턴부에 마련되는 제1색상부, 제1패턴부 및 제1색상부를 덮으며 투명기판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제1색상부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커버 색상부, 및 제1색상부 및 커버 색상부의 주변에서 휴대단말기의 내측을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COVER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림화되고, 다양한 색상을 제공할 수 있는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들로부터 휴대폰, 스마트폰, 휴대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 대한 슬림화 요구와 함께 디자인적인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슬림화와 함께, 특히, 터치스크린의 외층에 배치되는 커버부(main window)에 디자인을 가미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선을 가리기 위하여 흑색 잉크를 인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커버부의 베젤(bezel) 영역에 다양한 색상이나 패턴을 형성하는 등의 디자인적 요소가 가미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버글라스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커버글라스(10)는 유리기판(20)의 일면에 광학투명점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 이하 “OCA”라 함)(30)로 점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이하 “PET”라 함) 필름(40)이 마련된다. 그리고, PET 필름(40) 상에 UV(ultraviolet) 패턴(50)이 형성된다. UV 패턴(50)에는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레이어(60)가 코팅되며, 레이어(60)의 상부로 블랙 매트릭스 층(70)이 형성된다.
이처럼, PET 필름(40)과, PET 필름(40)을 유리기판(20)에 점착시키기 위한 OCA(30)가 더 마련되고, PET 필름(40) 상에 UV 패턴(50)이 형성됨에 따라, 종래의 커버글라스(10)로는 슬림화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UV 패턴(50)에 코팅된 레이어(60)는 동일 색상을 가지기 때문에, 패턴(50)이 형성된 패턴부와 패턴(50)이 형성되지 않은 주변부의 색상이 동일 색상으로 만 구현되어 심미감을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999-0051229호(1999.07.0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림화되고, 다양한 색상을 제공할 수 있는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휴대단말기에 포함되며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가지는 투명기판, 투명기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부, 제1패턴부에 마련되는 제1색상부, 제1패턴부 및 제1색상부를 덮으며 투명기판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제1색상부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커버 색상부, 및 제1색상부 및 커버 색상부의 주변에서 휴대단말기의 내측을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패턴부는 유리기판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유리기판에 에칭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색상부 및 커버 색상부는 증착, 인쇄, 스프레이 및 도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리기판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추가 패턴부가 더 형성되고, 추가 패턴부에는 제1색상부 및 커버 색상부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추가 색상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리기판의 제1패턴부에 제1색상부를 마련하고, 제1패턴부가 형성되지 않는 주변부에 커버 색상부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커버글라스에 2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리기판에 제1패턴부 및 제2패턴부를 형성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제1색상부 및 제2색상부를 마련하고, 패턴부가 형성되지 않은 주변부에 제1색상부 및 제2색상부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커버 색상부를 마련함으로써, 커버 글라스에 3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유리기판에 하나 이상의 패턴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패턴부에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색상부를 더 마련함으로써, 3 색상 이상의 다중 색상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리기판에 직접 패턴부가 형성되고, 패턴부에 색상부가 마련됨으로써 커버글라스의 슬림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커버글라스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2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의 제조 방법의 마스킹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에 2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에 3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에 2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에 3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의 제조 방법의 마스킹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2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100)는 유리기판(110), 제1패턴부(120), 제1색상부(130) 및 커버 색상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글라스는 윈도우 글라스(window glass)를 포함하여 각종의 유리기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글라스는 윈도우 글라스 또는 배터리 케이스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 전체를 덮는 것일 수 있다. 또, 커버글라스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 일부 또는 후면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글라스는 카메라 윈도우, 기능 버튼, 각종 데코부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커버글라스가 상기 카메라 윈도우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윈도우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덮으며 카메라의 렌즈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커버글라스가 기능 버튼으로 적용되는 경우, 기능 버튼의 표면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종 데코부는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서 장식 효과를 갖도록 배치되는 모든 유리 기판일 수 있으며, 일례로 카메라 윈도우를 둘러싸고 있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커버글라스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카메라 렌즈, 기능 버튼, 센서 등을 노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식 효과를 낼 수 있는 모든 부품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베젤 영역은 커버글라스 상의 가장자리 영역뿐만 아니라, 패턴이나 장식기능을 담당하는 비투과 영역, 또는 기능상의 구분을 위해 커버글라스 상의 일부분의 가장자리를 표시한 특정 영역을 의미하기도 한다.
유리기판(1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된 유리기판(110)을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기판(110)은 휴대 단말기 내부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투과시킨다. 유리기판(110)의 가장자리의 베젤 영역(101)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선(미도시), 스피커(미도시), 카메라(미도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유리기판(110)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다음, 표면이 세척 건조될 수 있다. 유리기판(110)은 소다라임 유리기판, 무알칼리 유리기판 또는 강화유리기판 등이거나, 또는 아크릴과 같은 투명 수지일 수도 있다.
제1패턴부(120)는 유리기판(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패턴부(120)는 베젤 영역(10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패턴부(120)는 유리기판(1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커버글라스에서와는 달리, 유리기판(110)으로 입사된 광은 다른 재질의 구성요소(종래의 커버글라스(10, 도 1 참조)에 구비되는OCA(30, 도 1 참조), PET 필름(40, 도 1 참조) 및 UV 패턴(50, 도 1 참조))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1패턴부(120)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커버글라스(10)에서보다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으며, 슬림화도 가능해질 수 있다.
제1패턴부(120)는 다양한 형상 및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패턴부(120)는 선, 도형 등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들이 반복 형성되어 헤어라인이나 직조 패턴과 같은 기하학 무늬를 나타낼 수 있다. 더하여, 제1패턴부(120)는 기호, 숫자, 글자 등의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패턴부(120)는 형상 별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색상부(130)는 제1패턴부(120)에 마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1패턴부(120)의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색상부(130)는 증착, 인쇄, 스프레이 및 도금 등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색상부(130)는 다층의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색상부(130)가 다층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다층의 박막은 금속 산화물 층 및 비금속 산화물 층 중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다층의 박막은 제1패턴부(120)로 유입되는 빛의 파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리기판(110) 상에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커버 색상부(160)는 유리기판(11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색상부(130)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커버 색상부(160)는 제1색상부(13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주변부(106)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색상부(160)가 제1색상부(13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진다’는 의미는 커버 색상부(160)에서 제1색상부(13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이 ‘구현된다’는 의미로, 커버 색상부(160) 자체가 특정한 색상을 가지거나, 빛을 반사하면서 특정한 색상을 나타내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리기판(110)에는 제1색상부(130)와 커버 색상부(160)에 의해 2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유리기판(110)에는 제1색상부(130)에 의해 색상이 표현되는 제1패턴부(120)와, 커버 색상부(160)에 의해 색상이 표현되는 주변부(10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패턴부(120)와 주변부(106)는 서로 다른 색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커버 색상부(160)는 제1색상부(130)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커버글라스(100)는 카메라 윈도우에 적용될 수 있다. 유리기판(110)의 일면, 즉 제1패턴부(120), 제1색상부(130) 및 커버 색상부(160)가 형성된 부분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유리기판(110)의 다른 일면이 휴대 단말기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즉, 사용자는 유리기판(110)의 다른 일면을 통해 커버글라스(100)를 바라보게 되며, 제1색상부(130) 및 그 주변을 둘러싼 커버 색상부(160)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커버글라스(100)는 카메라 렌즈를 노출시킨다. 즉, 커버글라스(100)의 카메라 렌즈에 대응되는 부분은 제1 색상부(130) 및 커버 색상부(160)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투명하다. 이와 같이 투명하게 노출된 부분을 통해 카메라 렌즈가 보여진다. 상기 노출된 부분은 제1 색상부(130) 및 커버 색상부(160)의 주변에 배치되며, 일례로 제1색상부(130) 및 커버 색상부(16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글라스(100)는 인쇄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부(170)는 커버 색상부(16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인쇄부(170)는 제1색상부(130) 및 커버 색상부(160)의 색상을 보완하여 색상이 더 선명하게 표현되도록 한다. 일례로 인쇄부(170)는 흑색이거나 회색 또는 백색일 수 있다. 인쇄부(170)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여 유리기판(110)의 가운데 부분으로만 디스플레이 패널이 표시되도록 하고, 외부 입사광은 반사시키는 베젤 영역(10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편의상 제1패턴부(120)를 좌우 양측의 베젤 영역(101)에 각각 하나씩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2에서와 같이, 제1패턴부(12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의 제조 방법의 마스킹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에 2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에 3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2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의 제조 방법은 유리기판(110)의 일면에 마스킹을 하는 공정(S210)을 가진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기판(110)의 일면에 마스킹을 하는 공정(S210)은 유리기판(110)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잉크 또는 감광성 필름(DFR, Dry Film Photoresist)을 도포하는 공정(S211)을 포함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 잉크는 유리를 에칭하기 위한 에칭액(etchant)에 반응하지 않는 내산성 포토레지스트 잉크일 수 있다. 또한, 포토레지스트 잉크는 노광시 가용성이 되는 포지형(positive type)이거나, 불용성이 되는 네거형(negative type)일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 잉크는 스크린 인쇄(screen print), 스핀 코트(spin coat), 페인팅(painting), 스프레이(spray), 딥코팅(dip coating), 피딩(feeding) 및 슬릿 다이 코팅(slit die coating) 등의 방법으로 유리기판(110)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유리기판(110)의 일면에 마스킹을 하는 공정(S210)은 포토레지스트 잉크 또는 감광성 필름이 도포된 레지스트 필름의 상측에 마스크 패턴을 배치하여 노광하는 공정(S212)과, 레지스트 필름에 형성된 노광 패턴을 현상하는 공정(S213)을 포함할 수 있다. 노광하는 공정(S212)에서 마스크 패턴에 조사되는 빛은 UV광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기판(110)의 일면에 제1패턴부(120)를 형성하는 공정(S220)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패턴부(120)는 유리기판(1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제1패턴부(120)에 제1색상부(130)를 마련하는 공정(S230)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패턴부(120)는 제1색상부(130)에만 마련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실제의 공정상에서는 도 6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색상부(130)가 레지스트 필름(111)과 제1패턴부(120)에 모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색상부(130)는 증착, 인쇄, 스프레이 및 도금 등 중에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스킹을 제거하는 공정(S240)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킹을 제거하는 공정(S240)에서는 유리기판(110)을 상온 이상(예를 들면, 40℃ 이상)에서 알칼리 또는 강알칼리 수용액에 담금으로써 레지스트 필름(111)이 박리되도록 할 수 있다. 알칼리 또는 강알칼리 수용액은 제1색상부(130)에는 반응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지스트 필름(111)만 박리될 수 있다. 그리고, 레지스트 필름(111)이 박리되면서, 레지스트 필름(111) 상에 코팅된 제1색상부(130)도 같이 제거되어, 결과적으로는 유리기판(110) 상의 제1색상부(130)만 남을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6의 (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색상부(13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커버 색상부(160)가 제1색상부(130)를 덮으면서 유리기판(110)의 일면에 마련되도록 하는 공정(S250)이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색상부(160)는 증착, 인쇄, 스프레이 및 도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리기판(110)에는 제1색상부(130) 및 커버 색상부(160)에 의한 2가지의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g)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 색상부(160)의 상부에 베젤 영역을 형성하는 인쇄부(170)를 마련하는 공정(S260)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하여, 커버 색상부(160)에서 베젤 영역을 벗어난 부분(161)을 제거하는 공정(S270)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 색상부(160)에서 베젤 영역을 벗어난 부분(161)을 제거하는 공정(S270)은 커버 색상부(160)에서 인쇄부(170)를 벗어난 부분(161)을 제거하는 공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02, 도 2 참조)로 돌출된 커버 색상부(160)의 부분(161)은 도 6의 (h)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 색상부(160)에서 베젤 영역을 벗어난 부분(161)을 제거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거된 부분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내측, 일례로 디스플레이부(102) 또는 카메라모듈이 노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3가지의 색상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글라스(100)는 추가 패턴부(140)와, 추가 패턴부(140)에 마련되는 추가 색상부(150)를 더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 패턴부는 제1패턴부 이후에 추가로 형성되는 패턴부를 의미한다. 추가 패턴부는 제1패턴부가 형성된 이후의 형성 순서에 따라 제2패턴부, 제3패턴부, 제4패턴부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색상부는 상기 추가 패턴부에 마련되는 색상부를 의미한다. 추가 패턴부와 마찬가지로, 추가 색상부는 제1색상부가 마련된 이후의 마련 순서에 따라 제2색상부, 제3색상부, 제4색상부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패턴부(120) 및 제1색상부(130) 이후에 마련되는 추가 패턴부(140) 및 추가 색상부(150)는 제2패턴부 및 제2색상부를 의미하게 된다.
제1색상부(130), 추가 색상부(150) 및 커버 색상부(160)는 각각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버글라스(100)는 3가지 색상을 구현할 수가 있다.
3가지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전술한 마스킹을 제거하는 공정(S240) 이후에, 유리기판(110)의 일면에 추가 마스킹을 하여 추가 패턴부(140)를 형성하는 공정(S241)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8의 (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가 마스크(112)는 제1색상부(130)의 상부와, 유리기판(11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g’)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가 마스크(112)에 추가 패턴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추가 패턴부(140)는 유리기판(1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8의 (h’)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가 패턴부(140)에 제1색상부(13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추가 색상부(150)를 마련하는 공정(S242)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i’)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가 마스킹을 제거하는 공정(S243)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 마스크(112)의 제거는 전술한 마스킹을 제거하는 공정(S240)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알칼리 또는 강알칼리 수용액이 제1색상부(130) 및 추가 색상부(150)에 반응하지 않음으로써, 추가 마스크(112)만 박리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마스크(112)가 제거되면서, 추가 마스크(112) 상에 코팅된 추가 색상부(150)도 같이 제거되어, 결과적으로는 유리기판(110)의 일면에 제1색상부(130) 및 추가 색상부(150)만 남을 수 있게 된다.
추가 마스킹을 제거하는 공정(S243) 이후에는 커버 색상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8의 (j’)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기판(110)의 일면에 마련되는 커버 색상부(160)는 제1색상부(130) 및 추가 색상부(150)를 덮도록 마련되고, 제1색상부(130) 및 추가 색상부(15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글라스(100)는 3색상을 구현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추가 패턴부(140)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유리기판(110)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추가 패턴부가 더 형성될 수가 있다. 그리고, 형성되는 추가 패턴부에는 제1색상부(130) 및 커버 색상부(160)의 색상과 다른 색을 가지는 추가 색상부를 마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글라스(100)에 3가지 색상 이상의 다중 색상을 구현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8의 (k’)에서와 같이, 커버 색상부(160)의 상부에는 베젤 영역을 형성하는 인쇄부(170)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패턴부의 형성 순서에 따라 편의상 제1패턴부(120) 및 추가 패턴부(140)로 구별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패턴부의 개수는 얼마든지 늘릴 수 있으며, 따라서, 색상의 종류 또한 얼마든지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다중 색상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에 2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패턴부가 에칭을 통해 유리기판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색상부의 마련 위치가 다를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패턴부(320)는 유리기판(310)의 일면에 에칭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패턴부(320)는 다양한 형상 및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패턴부(320)는 형상 별로 깊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10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유리기판(310)의 일면에 마스킹(311)이 된 상태에서 도10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기판(310)에 에칭을 통해 제1패턴부(32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의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패턴부(320)에 제1색상부(330)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후, 마스킹을 제거하여 도 10의 (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기판(310)에 제1색상부(330)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패턴부(320)가 유리기판(310)에 에칭을 통해 형성되어 음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색상부(330)는 유리기판(3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의 (g)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색상부(33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커버 색상부(360)가 제1색상부(330)를 덮으면서 유리기판(31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10의 (h) 및 (i)에서와 같이, 커버 색상부(360)의 상부에 베젤 영역을 형성하는 인쇄부(37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커버 색상부(360)에서 베젤 영역, 즉, 인쇄부(370)를 벗어난 부분은 제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를 통해서도, 커버글라스(300)가 제1색상부(330) 및 커버 색상부(360)에 의해 2가지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통해서도 3가지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포함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에 3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3가지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도 11 및 도 12의 (f’) 내지 (i’)에서와 같이 마스킹이 제거된 유리기판(310)의 일면에 추가 마스킹을 하여 추가 패턴부(34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패턴부(340)는 유리기판(310)에 에칭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j’)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가 패턴부(340)에 제1색상부(33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추가 색상부(350)를 마련할 수 있다. 이후, 도 12의 (k’)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가 마스크(312)를 제거하여 유리기판(310)에 제1색상부(330) 및 추가 색상부(350)만 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l’)에서와 같이, 제1색상부(330) 및 추가 색상부(350)와 다른 색상을 가지는 커버 색상부(360)가 제1색상부(330) 및 추가 색상부(350)를 덮으면서 유리기판(310)의 일면에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m’)에서와 같이, 커버 색상부(360)의 상부에 베젤 영역을 형성하는 인쇄부(370)를 마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글라스(300)는 제1색상부(330), 추가 색상부(350) 및 커버 색상부(360)에 의한 3가지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패턴부(120, 도 8 참조) 및 추가 패턴부(140, 도 8 참조)가 유리기판(110, 도 8 참조)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패턴부(320) 및 추가 패턴부(340)가 유리기판(310)의 일면에 에칭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실시예의 제1패턴부 및/또는 추가 패턴부가 에칭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고, 제2실시예의 제1패턴부(320) 및/또는 추가 패턴부(340)가 유리기판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의 제조 방법의 마스킹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버글라스(400)의 제1패턴부(420)는 유리기판(410)의 일면에 마련되는 투명한 노광 패턴(4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리기판의 일면에 마스킹을 하는 공정은, 유리기판에 포토레지스트 잉크 또는 감광성 필름을 도포하는 공정(S510)과, 포토레지스트 잉크 또는 감광성 필름이 도포된 레지스트 필름의 상측에 마스크 패턴을 배치하고 노광하여, 투명한 노광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S5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5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기판(410)의 일면에 레지스트 필름(411)이 도포되고, 도 15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광을 하여 투명한 노광 패턴(412)을 얻을 수 있다.
이후, 도 15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지스트 필름(411)을 박리함으로써 투명한 노광 패턴(412)을 얻을 수 있으며, 도 15의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명한 노광 패턴으로 제1패턴부(42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15의 (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패턴부(420)의 상부에 바로 인쇄부(47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리기판(410)의 타면에서 보았을 때, 제1패턴부(420) 상에 마련된 인쇄부(470)의 색상은 유리기판(410)의 표면에 마련된 인쇄부(470)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즉, 제1패턴부(420)에 의해 제1패턴부(420) 상의 인쇄부(470)의 색상이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패턴부(420)에 인쇄부(470) 만을 마련하더라도, 커버글라스(400)는 2가지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제1패턴부(420)에 의해 인쇄부(470)의 색상이 달라보이는 효과에 따라, 제1패턴부(420)는 헤어라인이나 직조 패턴과 같은 기하학 무늬뿐만 아니라, 기호, 숫자, 글자 등의 로고(logo)형상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 16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유리기판(410)의 일면에 투명한 노광 패턴(412)을 형성한 후, 도 16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지스트 필름(411) 및 제1패턴부(420) 상에 제1색상부(430)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의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지스트 필름(411)을 제거하여, 제1패턴부(420) 및 제1색상부(430)를 얻을 수 있다. 레지스트 필름(411)은 현상을 통해 제거될 수 있으며, 레지스트 필름(411)과 함께 레지스트 필름(411) 위에 마련된 제1 색상부(430) 부분도 함께 제거된다.
이후, 도 16의 (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쇄부(470)를 마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글라스(400)는 제1색상부(430)의 색상과, 인쇄부(470)의 색상에 의한 다중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e’) 및 (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색상부(430) 및 유리기판(410)의 표면 상에 커버 색상부(46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의 (g”) 및 (h”)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 색상부(460) 상에 인쇄부(47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베젤 영역을 벗어난 부분의 커버 색상부(461)를 제거함으로써 베젤 영역을 벗어난 부분의 인쇄부(471)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앞에서는 패턴부를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고, 이외의 부분으로 주변부를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패턴부를 이용하여 주변부를 형성하고, 패턴부 이외의 부분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300,400: 커버글라스
110,310,410: 유리기판
120,320,420: 제1패턴부
130,330,430: 제1색상부
140,340: 제2패턴부
150,350: 제2색상부
160,360,460: 커버 색상부
170,370,470: 인쇄부

Claims (4)

  1. 휴대단말기에 포함되며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가지는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부;
    상기 제1패턴부에 마련되는 제1색상부;
    상기 제1패턴부 및 제1색상부를 덮으며 상기 투명기판의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색상부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커버 색상부; 및
    상기 제1색상부 및 상기 커버 색상부의 주변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내측을 노출시키는 노출부;
    를 포함하는 커버글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는 상기 유리기판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유리기판에 에칭을 통해 형성되는 것인 커버글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상부 및 상기 커버 색상부는 증착, 인쇄, 스프레이 및 도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인 커버글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추가 패턴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추가 패턴부에는 상기 제1색상부 및 상기 커버 색상부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추가 색상부가 마련되는 것인 커버글라스.
KR1020140088215A 2014-07-14 2014-07-14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08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215A KR20160008670A (ko) 2014-07-14 2014-07-14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215A KR20160008670A (ko) 2014-07-14 2014-07-14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901A Division KR20160027957A (ko) 2016-02-18 2016-02-18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670A true KR20160008670A (ko) 2016-01-25

Family

ID=5530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215A KR20160008670A (ko) 2014-07-14 2014-07-14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6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559B1 (ko) * 2016-06-21 2017-02-28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디스플레이 기기의 다수 곡면을 갖는 입체 글라스 컬러 형성방법 및 그 형성구조
KR20180134724A (ko) * 2017-06-09 2018-12-19 권문찬 휴대 단말기용 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145A (ko) 1999-11-18 2001-06-15 장부관 정보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주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145A (ko) 1999-11-18 2001-06-15 장부관 정보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주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559B1 (ko) * 2016-06-21 2017-02-28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디스플레이 기기의 다수 곡면을 갖는 입체 글라스 컬러 형성방법 및 그 형성구조
KR20180134724A (ko) * 2017-06-09 2018-12-19 권문찬 휴대 단말기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364B1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7425B1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53606B1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EP3826275A1 (en) Housing and mobile terminal
US10519062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amera window having distinctive pattern and camera window having the distinctive pattern
CN104003623A (zh) 电子装置、玻璃盖板与玻璃盖板的制造方法
KR101594877B1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102512A (ja) 保護パネル付き電子機器、保護パネル
US11223712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ecorativ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60008670A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3081B1 (ko) 휴대 단말기용 커버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88773B1 (ko)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687206B1 (ko) 커버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버글라스
KR20150126317A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27957A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84840Y1 (ko)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KR102443605B1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7707A (ko) 카메라 윈도우 제조 방법
KR101707392B1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205015859U (zh) 玻璃盖板
KR20150125909A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26571A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26316A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0048667A (ja) キートップ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87074A (ko) 보호글래스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