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27944A1 - 장신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장신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27944A1
WO2016027944A1 PCT/KR2014/013111 KR2014013111W WO2016027944A1 WO 2016027944 A1 WO2016027944 A1 WO 2016027944A1 KR 2014013111 W KR2014013111 W KR 2014013111W WO 2016027944 A1 WO2016027944 A1 WO 201602794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insertion groove
hole
present
jewelr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311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훈식
Original Assignee
최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5903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16027944(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훈식 filed Critical 최훈식
Priority to EP14900101.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83990B1/en
Priority to US14/425,577 priority patent/US9894963B2/en
Priority to CN201480002693.6A priority patent/CN105555165B/zh
Publication of WO201602794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27944A1/ko
Priority to US15/864,325 priority patent/US10575598B2/en
Priority to US16/683,437 priority patent/US1112945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 A44B13/0076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88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by separable snap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8Decorative devices for handbags or pur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welry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jewelry assembly that forms a ring hole for fastening a string or a clasp to a cloth or leather article, and serves as a jewelry itself.
  • a bag that is a necessity in everyday life is not only a function of storing things but also an important fashion item with clothes.
  • handbags which are women's bags, are sensitive to fashion and require various design changes according to fashion, such as age, occupation, attire, season, meeting place, or travel purpose.
  • the shoulder straps of bags or handbags are provided by metal chains.
  • the material of the bag or handbag mainly uses a thin material such as cloth or leather and can be easily damaged, there is a risk that the damage caused by abrasion occurs in the portion where the metal strap is connected.
  • a metal or plastic material is attached to the part where the strap is connected to prevent the wear of the bag or handbag fabric, which is a role of another ornament by its own color or shape.
  • the first ring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g or handbag, and the second body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fabric interposed therebetween.
  • connection ring coupled by rivet coupling method requires a separate press or crimping process, the workability is inferior, the outwardly protruding projections are notable in appearance, the taste is not goo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during use When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abric interposed therebetween we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hole ring is separated with the fabric.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ewelry assembly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bonding forc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ewelry assembly that solves the problem of loose coupling force during use by preventing relative rotation after coupl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ewelry assembly that can prevent damage due to abrasion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a hook portion such as a bag or a handbag, a banner, a tent, or the like to which the strap is connected, and can serve as an ornament by itself. have.
  • the first body including a first base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in the center, and a firs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body including a second base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faces the second protrusion.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jewel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sertion groove which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projection.
  • the first body may further include a cutou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protrusion.
  • the second body has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at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the lock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can be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incision.
  • the inner sidewall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protrusion may be inclined so that the locking portion of the second body is guided toward the cutout portion of the first body.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ner side wall of 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to 7 ° ⁇ 10 °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 a plurality of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hole,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protrus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 the first body may further comprise a split rib formed between the adjacent insertion groove.
  •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econd body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econd body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outer side so that the outer diameter is gradually reduced to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ortion.
  • the first body further comprises a locking jaw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protrusion, the second body protrudes outwardly at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 the loc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unit, and the locking unit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supported by the locking jaw.
  • the second body may further comprise a stepped step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protrusion.
  •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is not visible in appearance,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 the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lative rotation is prevented after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loosening or separation during use and damage to the fabric in advan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namen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GS.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of a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view of a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ottom view of a second bod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0 and 1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an orname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name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jewelry assembly 1000 is attached to a fabric 1 such as cloth, leather or synthetic resin to serve as a connection ring of a string (not shown), which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abric 1.
  • the first body 2000 and the second body 300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and coupled to the first body 2000.
  • Figure 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ing shape
  • the first body 2000 and the second body 3000 of the are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gap 11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body 2000 and the second body 3000 along which the fabric 1 may be interposed. do.
  • the first body 2000 and the second body 30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lasticity, such as plastic or metal, if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bric 1 and the string connected to the fabric 1.
  • FIGS.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4 and 5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6 and 7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second body.
  • the jewelry assembly 1000 is made of a first body 2000 and the opposite facing the fabric (1), such as cloth, leather or synthetic resin 2 body 3000 is included.
  • the fabric 1 refers to a material that forms an article, such as a bag, a handbag, or a banner or a tent,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fabric 1 has a through hole 2 for connecting the string.
  • the first body 2000 is disposed on one side (upper side in the drawing) of the fabric 1
  • the second body 3000 is on the other side (lower side in the drawing) of the fabric 1
  •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s 2.
  • the first body 2000 and the second body 3000 may b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by changing positions.
  • the first body 200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ase 2100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10, the first through hole 2110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first protrusion 220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
  • the second body 3000 protrudes upward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ase 310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having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through hole of the fabric ( 2) a second protrusion 3200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2200 of the first body 2000.
  • the second protrusion 32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in a radially outer sp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us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 Steps 3210 are formed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s 3200.
  • first base 2100 and the second base 3100 are circular
  • first base 2100 and the second base 3100 are respectively shown. It can be made in various shapes such as oval or polygon.
  • the through hole 2 of the fabric 1, the first through hole 2110 of the first body 200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of the second body 3000 are also circular, oval or polygonal, respectively. It may be made in a variety of shapes.
  • the round part 2111 is formed in the first base 2100 convexly inwardly along the edg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10, and as illustrated in FIGS. 3 and 7.
  • a round part 3111 is formed in the second base 3100 in a convex manner along an edg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a string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2110 and 3110 is caught or damaged due to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2110 and 3110 during use.
  • an insertion groove 2210 is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200 of the first body 2000 so as to face the second protrusion 3200 of the second body 3000, and the first body 2000 and the first body 2000 are formed.
  • the second protrusion 3200 of the second body 30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0 of the first body 2000.
  • the first body 2000 and the second body 3000 are coupled, the second protrusion 3200 of the second body 3000 is received into the first protrusion 2200 of the first body 2000.
  •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3200 of the second body 30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 and the overall aesthetics and feel of the product are improved. That is, as shown in Figure 4 and 7, the jewelry assembly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cond protrusion 3200 or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1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or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2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3200, the locking portion 3220 is protruded to the out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ide wall 2212 surrounding the insertion groove 2210
  • the jaw 2221 is formed.
  • the lower end of the cutout surface is formed as a locking jaw 2221. can do.
  • the cutout 2220 is an exampl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200,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cutout 2220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eded.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jewelry assembly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2000 and the second body 3000 is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with the fabric (1) in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3200 of the second body 30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200 of the first body 2000.
  • the inner sidewall 2211 of the insertion groove 221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and outward, and thus the second protrusion 3200 is opened along the inner sidewall 2211 of the insertion groove 2210 and opens outward.
  • the locking portion 3220 at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3200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locking jaw 2221 formed on the outer sidewall of the insertion groove 2210. That is, the inner sidewall 2211 of the insertion groove 2210 faces the locking portion 3220 at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3200 when the first body 2000 and the second body 3000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serves as a guide.
  • the second protrusions 32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s 3200 easily open to the outside, and each divided second protrusions ( Corresponding to 3200, the insertion groove 2210 of the first body 2000 is also preferably divided into a plurality. 3 and 5, split ribs 2230 are formed between adjacent insertion grooves 2210 and between adjacent cutouts 2220, respectively.
  •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20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3200 and the insertion groove 2210 are divided into four, but the number of division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product specifications.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ner side wall 2211 of the insertion groove 2210 is preferably 7 ° ⁇ 10 °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if less than 7 ° the locking portion 3220 at th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2210 is cau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upling force is not stable because it is not supported on the jaw (2221), and if greater than 10 °,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 second protrusion 3200, and the second protrusion 3200 may be deformed or damaged during the assembly process. There is concern. More preferabl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ner sidewall 2211 of the insertion groove 2210 is 8.5 ° in consideration of ease of assembly, prevention of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second protrusion 3200, and bonding force after assembly.
  • the second protrusion 3200 is vertically formed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3200 is tightly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0 and the outer surface is inclined upwardly to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art 3220.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3200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that is, to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art 3220.
  •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3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wall 2211 of the insertion groove 2210, and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protrusion 3200.
  • the sid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wall 2212 of the insertion groove (2210).
  •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200 of the first body 2000 is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3100 of the second body 3000, and at this time, the inner sidewall 2211 of the insertion groove 2210 The low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 3210 inside the second protrusion 3200.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10 and 11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n orna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 the first base 2100 ′ of the first body 2000 ′ and the second base 3100 ′ of the second body 3000 ′ are rectangular in shape. It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it is made, the other main configuration and func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first base 2100 'and the second base 3100' have a rectangular shape.
  • the first through hole 21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are illustrated in a circular shape, the first through hole 21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are respectively elliptical or rectangular. It may be formed of a polygon as described above.
  • the second protrusion 3200 of the second body 3000 ′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200 of the first body 2000 ′.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0 is formed, the locking portion 3220 at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3200 is securely coupled by being caught by the locking jaw (2221) of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2210). As the second protrusion 3200 of the second body 3000 ′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protrusion 2200 of the first body 2000,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3200 may have a first through hole 2110. A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nd both sides of the locking portion 3220 is blocked by the split rib 2230, the first body 2000 'and the second body 3000' Noise, wear and damage are prevented.
  •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14 and 1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nament assembly according to the.
  • the jewelry assembly 1000 ′′ may include a first base 2100 ′′, a first through hole 2110 ′′, and a second body 3000 ′′ of the first body 2000 ′′.
  • the second base 3100 ′′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 ar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duplicate explanation will be omitted.
  • the first protrusion 2200 ′′ extends in an elliptic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10 ′′, and the second protrusion 3200 ′′ also includes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Along the outer edge of the ”) is formed extending in an ov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 the insertion groove 2210 "and the second protrusion 3200" are preferably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the insertion groove 22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by at least one or more split ribs 2230, and the second The protrusions 320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110".
  • the division siz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product, etc.
  • the cutout 2220 ′′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groove 2210 ′′. 2200 ")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p, and adjacent cutouts 2220" are defined by split ribs 2230.
  • the second protrusion 3200 "of the second body 3000” is the first protrusion 2200 "of the first body 20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0 ") formed on the bottom, the locking portion 3220" of the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3200 "is securely coupled by being caught by the locking projection (2221")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2210 ") do.
  •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3200 ′′ is apparently firs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 2110 ′′,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and feel of the product as compared to the prior art.
  •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is not visible in appearance, the aesthetics of the jewelry assembly is improved.
  • the jewelr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loosening or separating the assembly during 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fabric.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이나 가죽 재질의 물품에 끈이나 걸쇠 등을 걸기 위한 고리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자체로 장신구의 역할을 하는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와,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제1 돌출부는 제2 돌출부 대향면에 제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을 갖는다.

Description

장신구 조립체
본 발명은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이나 가죽 재질의 물품에 끈이나 걸쇠 등을 걸기 위한 고리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자체로 장신구의 역할을 하는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 있어서 필수품인 가방은 단지 물건을 수납하는 용도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의상과 함께 중요한 패션 용품이기도 하다.
특히, 여성용 가방인 핸드백은 패션에 민감하여 나이, 직업, 옷차림, 계절, 모임 장소나 여행 목적 등 패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최신 디자인의 일환으로, 최근에는 가방이나 핸드백의 어깨걸이 끈을 금속 재질의 체인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런데, 가방이나 핸드백의 재질은 주로 천이나 가죽 등 얇고 표면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금속 재질의 끈이 연결되는 부분에 마모로 인한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특히 금속 재질의 끈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연결고리를 부착하여 가방이나 핸드백 원단의 마모를 방지하게 되는데, 이런 연결고리는 그 자체의 색감이나 형상에 의해 또 다른 장신구의 역할도 한다.
일반적인 연결고리는 가방이나 핸드백의 일면에 제1 몸체를 배치하고, 반대쪽 면에 제2 몸체를 배치하여 원단을 사이에 두고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결합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연결고리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나사 결합하거나,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결합 후 일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몸체 또는 제2 몸체의 돌출부를 가압하여 외측으로 펼치는 리벳 결합방식으로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종래의 연결고리는 사용중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상대 회전에 따른 마모 때문에 결합력이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리벳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종래의 연결고리는 별도의 프레스나 압착공정을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외측으로 펴진 돌출부가 외관상 눈에 띄어 미감이 좋지 못하며, 사용중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상대 회전시 그 사이에 개재된 원단이 마모되어 원단과 함께 연결고리가 통째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성 및 결합력이 우수한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결합 후 상대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중 결합력이 헐거워지는 문제를 해결한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방이나 핸드백, 현수막이나 텐트 등 끈이 연결되는 고리 부분의 강도를 강화하여 마모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장신구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돌출부 대향면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과 연통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의 걸림부가 상기 제1 몸체의 절개부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의 내측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삽입홈의 내측 측벽의 경사 각도가 중심축선에 대하여 7°~ 10°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이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는, 인접하는 삽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분할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의 제2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의 제2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의 하단까지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내측에 단차 형성되는 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제2 몸체의 제2 돌출부가 제1 몸체의 제1 돌출부에 삽입되므로, 외관상 제2 돌출부의 끝단이 보이지 않아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결합 후 상대 회전이 방지되므로, 사용중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문제 및 원단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단순히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가압에 의해 결합이 완료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몸체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몸체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천이나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의 원단(1)에 부착되어 끈(미도시)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단(1)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몸체(2000)와, 그 반대면에 배치되어 제1 몸체(2000)와 결합하는 제2 몸체(300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링 형상의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고 있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원단(1)이 개재될 수 있는 간극(1100)이 형성된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는 원단(1) 및 원단(1)에 연결되는 끈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탄성을 가진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제2 몸체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 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천이나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의 원단(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단(1)은, 예컨대 가방이나 핸드백, 또는 현수막이나 텐트 등 일측에 끈이 연결되는 물품을 이루는 소재를 가리키며, 원단(1)에는 끈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공(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몸체(2000)가 원단(1)의 일측(도면상 상측)에 배치되고, 제2 몸체(3000)가 원단(1)의 타측(도면상 하측)에 배치된 후, 관통공(2)을 통해 상호 결합한다. 이때,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가 서로 자리를 바꿔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몸체(2000)는 중앙에 제1 관통홀(2110)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2100)와, 제1 관통홀(2110)의 둘레를 따라 도면상 하향 돌출 형성되며, 원단(1)의 관통공(2)으로 삽입되는 제1 돌출부(2200)를 포함한다.
제2 몸체(3000)는 중앙에 제2 관통홀(3110)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3100)와,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도면상 상향 돌출 형성되며, 원단의 관통공(2)을 통해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에 결합되는 제2 돌출부(320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돌출부(3200)는 제2 관통홀(3110)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2 관통홀(3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제2 관통홀(3110)과 제2 돌출부(3200) 사이에 단턱(3210)이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제1 베이스(2100)와 제2 베이스(3100)가 원형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 베이스(2100)와 제2 베이스(3100)는 각각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단(1)의 관통공(2)과 제1 몸체(2000)의 제1 관통홀(2110), 그리고 제2 몸체(3000)의 제2 관통홀(3110) 역시 각각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2100)에는 제1 관통홀(2110)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부(2111)가 형성되며, 도 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3100)에는 제2 관통홀(3110)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부(311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 제1,제2 관통홀(2110,3110)에 연결된 끈이 사용중 제1,제2 관통홀(2110,3110)의 모서리에 걸려서 마모 또는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와 대향하도록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저면에 삽입홈(2210)이 형성되며,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삽입홈(2210)에 삽입 결합된다. 이처럼,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 끝단이 제1 관통공(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제품의 전체적인 미감과 촉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도 4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제1 관통홀(2110)과 제2 관통홀(3110)을 통해 제2 돌출부(3200) 또는 제1 돌출부(2200)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320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걸림부(3220)가 돌출 형성되며, 삽입홈(2210)을 둘러싸는 외측 측벽(2212)의 내측면에는 걸림턱(2221)이 형성된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가 삽입홈(2210)으로 삽입된 후, 걸림턱(2221)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200)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홈(2210)과 연통하는 절개부(2220)를 형성함으로써, 절개면 하단을 걸림턱(2221)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면상에는 절개부(2220)가 제1 돌출부(2200)의 상단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절개부(2220)의 형성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가 원단(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서 결합하는데,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210)으로 삽입된다.
이때,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은 상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2 돌출부(3200)는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을 따라 삽입되면서 외측으로 벌어지고,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가 삽입홈(2210)의 외측 측벽에 형성되는 걸림턱(2221)에 걸려서 지지된다. 즉,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은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를 걸림턱(2221)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돌출부(3200)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제2 돌출부(3200)는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분할된 제2 돌출부(3200)에 대응하여 제1 몸체(2000)의 삽입홈(2210) 역시 복수 개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인접하는 삽입홈(2210) 사이, 그리고 인접하는 절개부(2220) 사이에 각각 분할리브(2230)가 형성된다. 또한,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돌출부(3200)들은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제2 돌출부(3200)와 삽입홈(2210)이 각각 4개로 분할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분할 개수는 소재의 변형 특성 및 제품 규격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돌출부(3200)와 삽입홈(2210)을 복수 개로 분할하는 경우,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인접하는 분할리브(2230) 사이의 걸림턱(2221)에 각각의 걸림부(3220)가 지지된다. 이때, 걸림부(3220)의 원주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분할리브(2230)로 인해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며, 따라서 종래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소음 발생이나, 원단(1)과 장신구 조립체(1000)의 마모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의 경사 각도는 중심축선에 대하여 7°~ 10°인 것이 바람직한데, 7°보다 작으면 삽입홈(2210) 끝단의 걸림부(3220)가 걸림턱(22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여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0°보다 크면 제2 돌출부(3200)의 조립이 어려울뿐더러 조립 과정에서 제2 돌출부(3200)가 구겨지는 등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립의 용이성과 제2 돌출부(3200)의 변형 또는 손상 방지, 그리고 조립 후의 결합력을 고려하여,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의 경사 각도는 8.5°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 돌출부(3200)는 조립시 삽입홈(2210)에 꽉 끼워지도록, 내측면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외측면은 걸림부(3220)의 하단까지 상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돌출부(3200)는 끝단 즉, 걸림부(3220)의 하단까지 갈수록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돌출부(3200)의 내측면은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에 밀착되고, 제2 돌출부(3200)의 외측면은 삽입홈(2210)의 외측 측벽(2212)에 밀착된다.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끝단은 제2 몸체(3000)의 제2 베이스(3100) 상측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의 하단은 제2 돌출부(3200) 내측의 단턱(3210)에 밀착 지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제1 몸체(2000')의 제1 베이스(2100')와 제2 몸체(3000')의 제2 베이스(3100')가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그 외의 주요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베이스(2100')와 제2 베이스(3100')가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상에는 제1 관통홀(2110)과 제2 관통홀(3110)이 원형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관통홀(2110)과 제2 관통홀(3110)이 각각 타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에는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210)으로 삽입되며,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가 삽입홈(2210) 일측의 걸림턱(2221)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외관상 제2 돌출부(3200)의 끝단이 제1 관통홀(2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걸림부(3220)의 양측이 분할리브(2230)에 의해 막혀 있음에 따라,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상대 회전 방지에 따른 소음 및 마모, 손상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제1 몸체(2000")의 제1 베이스(2100")와 제1 관통홀(2110"), 제2 몸체(3000")의 제2 베이스(3100")와 제2 관통홀(3110")이 타원형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기능의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돌출부(2200")가 제1 관통홀(2110")의 둘레를 따라 타원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돌출부(3200") 역시 제2 관통홀(3110")의 테두리 외측에 이격하여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타원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홈(2210")과 제2 돌출부(3200")는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삽입홈(2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리브(2230)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되고, 제2 돌출부(3200")는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이때, 분할리브(2230)의 폭(두께)이나 형성 위치, 분할리브(2230) 간의 간격 등 분할 규격이 소재의 특성과 제품의 두께와 크기 등의 규격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절개부(2220")는 삽입홈(2210")과 연통하도록 제1 돌출부(2200") 상단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인접하는 절개부(2220")는 분할리브(2230)에 의해 구획된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에는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210")으로 삽입되며,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가 삽입홈(2210") 일측의 걸림턱(2221")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는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내부에 수용되므로 외관상 제2 돌출부(3200")의 끝단이 제1 관통홀(2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제품의 미감 및 촉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외관상 제2 돌출부의 끝단이 보이지 않으므로, 장신구 조립체의 미감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사용중 조립체가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원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작업성이 향상됨에 따라 제조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며 생산성이 향상된다.

Claims (11)

  1.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돌출부 대향면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과 연통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의 일측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걸림부가 상기 제1 몸체의 절개부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의 내측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내측 측벽의 경사 각도가 중심축선에 대하여 7°~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이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인접하는 삽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분할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제2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제2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의 하단까지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내측에 단차 형성되는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PCT/KR2014/013111 2014-08-18 2014-12-31 장신구 조립체 WO2016027944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900101.8A EP3183990B1 (en) 2014-08-18 2014-12-31 Accessory assembly
US14/425,577 US9894963B2 (en) 2014-08-18 2014-12-31 Ornament assembly
CN201480002693.6A CN105555165B (zh) 2014-08-18 2014-12-31 装饰组件
US15/864,325 US10575598B2 (en) 2014-08-18 2018-01-08 Ornament assembly
US16/683,437 US11129451B2 (en) 2014-08-18 2019-11-14 Ornamen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7284 2014-08-18
KR10-2014-0107284 2014-08-18
KR20140150510A KR101490087B1 (ko) 2014-08-18 2014-10-31 장신구 조립체
KR10-2014-0150510 2014-10-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425,577 A-371-Of-International US9894963B2 (en) 2014-08-18 2014-12-31 Ornament assembly
US15/864,325 Continuation US10575598B2 (en) 2014-08-18 2018-01-08 Ornament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7944A1 true WO2016027944A1 (ko) 2016-02-25

Family

ID=525903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8694 WO2016027920A1 (ko) 2014-08-18 2014-09-18 장신구 조립체
PCT/KR2014/013111 WO2016027944A1 (ko) 2014-08-18 2014-12-31 장신구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8694 WO2016027920A1 (ko) 2014-08-18 2014-09-18 장신구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894963B2 (ko)
EP (1) EP3183990B1 (ko)
KR (2) KR101485298B1 (ko)
CN (1) CN105555165B (ko)
WO (2) WO2016027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080B1 (ko) * 2015-10-22 2016-04-20 박승동 아일렛
KR101583359B1 (ko) 2015-11-24 2016-01-07 김홍관 장신구 결합장치
US10969037B2 (en) * 2016-12-08 2021-04-06 Hellermanntyton Corporation Protective bundle routing grommet for wide range panel thickness
KR102002471B1 (ko) 2018-02-28 2019-10-21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스트랩 가이드 및 이를 갖는 페일팩
USD891294S1 (en) * 2018-11-16 2020-07-28 Hyuck Sang Jo Eyelet
DE102019111078A1 (de) * 2019-04-29 2020-10-29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Befestigungsanordnung mit Dämpfungswirkung und Bauteilverbindung mit der Befestigungsanordnung
KR102121609B1 (ko) * 2020-03-25 2020-06-11 신왕수 자력 부착 수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033A (ko) * 2007-03-07 2008-09-11 권석웅 플라스틱 아일릿
JP2009207525A (ja) * 2008-02-29 2009-09-17 Ykk Corp 雄スナップ及び雌スナップ
KR101139106B1 (ko) * 2012-01-12 2012-04-30 이성환 아일릿
KR101229936B1 (ko) * 2011-08-10 2013-02-06 정선후 아일릿부재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2057A (en) * 1934-09-21 1936-11-24 William H Hobby Automobile license plate holder
US3091795A (en) * 1960-08-05 1963-06-04 Gilbert G Budwig Grommet
US3210820A (en) * 1964-05-26 1965-10-12 Scovill Manufacturing Co One-way snap fastener combination
DE1610354A1 (de) * 1967-06-19 1971-06-03 Kurt Mueller Kunststoffoese zum Verhindern des Ausreissens von Papier,Pappe,Vlies,Stoff,Leder oder anderen zu verstaerkende Materialien
JPS51251B2 (ko) * 1972-08-16 1976-01-06
SE389008B (sv) 1975-08-29 1976-10-25 S A J Liljendahl Knapp
JPS617522Y2 (ko) 1979-03-30 1986-03-07
US4376605A (en) * 1981-07-14 1983-03-15 Weckesser Co. Inc. Captive standoff bushing
JPS58164512U (ja) * 1981-12-07 1983-11-01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被服用スナツプ
US4621961A (en) * 1985-02-28 1986-11-11 Bulent Gulistan Captive panel fastener
US4656689A (en) * 1986-04-01 1987-04-14 Molded Products Company Grommet
US4702443A (en) * 1986-08-08 1987-10-27 Callaway James J Cord holding device
US5031268A (en) * 1990-04-11 1991-07-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rner guard assembly
JPH0617522U (ja) * 1992-04-03 1994-03-08 株式会社横谷 アイレット
US5295652A (en) * 1992-06-19 1994-03-22 Byrne Thomas W Isolation grommet
US5475901A (en) * 1992-09-18 1995-12-19 National Molding Corporation Swivelling snaphook
JP2604107B2 (ja) * 1993-03-29 1997-04-30 萩原工業株式会社 鳩目付き合成樹脂シート
JPH07222606A (ja) * 1994-02-10 1995-08-22 Airisu:Kk 組合せ釦
US5573825A (en) * 1994-07-14 1996-11-12 Permar Systems, Inc. Laser imprintable data-tag system
US5537714A (en) * 1994-09-01 1996-07-23 Erico International Corp. Metal stud grommet
JP3403560B2 (ja) 1995-11-29 2003-05-06 矢崎総業株式会社 筒状体の端面へのカバー固定構造
DE19731207C2 (de) * 1997-07-21 2000-11-02 Ykk Corp Druckknopf
US7980415B2 (en) * 2000-10-30 2011-07-19 Crawley Timothy M Apparatus for replacing gripping member on wire bucket handle
JP4894102B2 (ja) * 2001-07-23 2012-03-14 タカタ株式会社 布シートの車体への取付構造
KR100433816B1 (ko) * 2002-02-28 2004-06-04 백태선 캐릭터물 착탈구
KR200330145Y1 (ko) * 2003-05-12 2003-10-17 주식회사 다다실업 광고용 아일렛을 가진 모자
KR20050094082A (ko) * 2004-03-22 2005-09-27 (주)알에프캠프 Rfid용 아일렛
KR20090003030U (ko) 2007-09-21 2009-03-25 권은경 가방의 끈 연결구
KR101011229B1 (ko) 2008-10-24 2011-01-26 주식회사태진인터내셔날 가방 끈 고정구 체결구조
US8096017B2 (en) * 2008-10-27 2012-01-17 J. Van Walraven Holding Bv Grommet for metal stud
DE112009004247B4 (de) * 2009-02-23 2017-12-28 Ykk Corp. Druckknopf
KR101179615B1 (ko) 2010-05-03 2012-09-06 정재진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아일렛
KR101165164B1 (ko) * 2010-12-15 2012-07-11 이기훈 결합형 장식물
JP3167281U (ja) * 2011-02-01 2011-04-14 隆▲きょう▼實業股▲ふん▼有限公司 ボタン構造
USD700501S1 (en) 2011-05-23 2014-03-04 S.C. Johnson & Son, Inc. Fastener
USD695591S1 (en) 2011-05-23 2013-12-17 S.C. Johnson & Son, Inc. Fastener
CN103607919B (zh) 2011-07-14 2016-05-25 Ykk株式会社 按扣
KR20130001081U (ko) 2011-08-08 2013-02-18 박상곤 원터치식 아일렛
CN102423170A (zh) * 2011-12-13 2012-04-25 立兆股份有限公司 一种方便安装的按扣
USD714531S1 (en) 2013-03-15 2014-10-07 Crowns Xl, Llc Eyelet cover
US9521889B2 (en) * 2013-03-15 2016-12-20 Incipio, Llc Case for mobile device
KR101357229B1 (ko) 2013-12-12 2014-02-04 이성환 암수 결합형 장식구 및 그 제조방법
US9273707B2 (en) * 2014-01-07 2016-03-01 Seong Hwan Lee Female-male combination type ornament
JP5929962B2 (ja) * 2014-05-16 2016-06-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付勢部材の取付構造
US10124742B2 (en) * 2017-03-13 2018-11-13 Honda Patents & Technologies North America, Llc. Fastener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033A (ko) * 2007-03-07 2008-09-11 권석웅 플라스틱 아일릿
JP2009207525A (ja) * 2008-02-29 2009-09-17 Ykk Corp 雄スナップ及び雌スナップ
KR101229936B1 (ko) * 2011-08-10 2013-02-06 정선후 아일릿부재
KR101139106B1 (ko) * 2012-01-12 2012-04-30 이성환 아일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298B1 (ko) 2015-01-23
US20160255917A1 (en) 2016-09-08
US20180125174A1 (en) 2018-05-10
EP3183990A1 (en) 2017-06-28
KR101490087B1 (ko) 2015-02-04
EP3183990B1 (en) 2020-10-14
KR101490087B9 (ko) 2021-07-21
US11129451B2 (en) 2021-09-28
US10575598B2 (en) 2020-03-03
US20200077750A1 (en) 2020-03-12
WO2016027920A1 (ko) 2016-02-25
CN105555165A (zh) 2016-05-04
CN105555165B (zh) 2017-06-16
EP3183990A4 (en) 2018-02-07
US9894963B2 (en)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7944A1 (ko) 장신구 조립체
WO2016200209A1 (ko) 끈 조임장치
US20080244873A1 (en) Separable ornamented button
WO2017034095A1 (ko) 360도 회전 가능한 장신구
US7047602B2 (en) Tab mechanism
WO2017090946A1 (ko) 조립형 장식구
CN209875670U (zh) 组合件的扣合结构
CN108378511A (zh) 带连接构件
KR101556864B1 (ko) 장신구 조립체
CN205900894U (zh) 挂件式数据线
WO2016010395A1 (ko) 결합형 반지
ITMI20040368U1 (it) Bottone cromatico
KR101574461B1 (ko) 장신구 조립체
TWI663107B (zh) 可卡扣罐蓋的金屬容器
US3124856A (en) Supporting device for suspending small articles
KR960014744B1 (ko) 끈고정구
KR200497300Y1 (ko) 양말의 분리방지를 위한 고리형 모듈 구조체
CN218073657U (zh) 一种合金汽眼及服饰
WO2012115325A1 (ko) 안전 캔 용기
KR200497742Y1 (ko) 단추 덮개 기능을 구비한 양말의 분리방지 구조체
CN203369471U (zh) 一种配饰及其双保险插杆扣
WO2024029948A1 (ko) 투-타입 연출이 가능한 링 귀걸이
CN209883204U (zh) 一种插扣带
JPH0742323Y2 (ja) 係止部付き紐留具
EP2078469A2 (en) Interchangeable but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02693.6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25577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9001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9001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9001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