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641Y1 -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641Y1
KR200462641Y1 KR2020120000884U KR20120000884U KR200462641Y1 KR 200462641 Y1 KR200462641 Y1 KR 200462641Y1 KR 2020120000884 U KR2020120000884 U KR 2020120000884U KR 20120000884 U KR20120000884 U KR 20120000884U KR 200462641 Y1 KR200462641 Y1 KR 200462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fasten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현
Original Assignee
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현 filed Critical 박지현
Priority to KR2020120000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6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 상기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의 하측부와 상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가 슬라이딩 연결되도록 하는 상측연결부와 하측연결부; 및 상기 상측연결부와 하측연결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측연결부와 하측연결부의 연결 상태 유지를 위하여 상호간 체결되는 상측체결부와 하측체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Cas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가 연결부의 슬라이딩을 통해 상호간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에 형성된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를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착용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에서 통신을 위해서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그 가격이 고가임은 물론 외표면의 특수 처리 등으로 인해 전자기기의 보호를 위한 다양한 수단들이 연구 및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를 휴대하는 경우 그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 배면 및 모서리 부분이 다른 물체와 접촉하여 흠집 또는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손의 파지에 의해 부분적인 마모가 초래하는 경우를 방지함은 물론,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양한 조작버튼 또는 키를 보호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여 외형을 보호하도록 하는 다양한 케이스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결합 및 해제할 때 케이스가 용이하게 늘어날 수 있도록 하거나 부주의로 케이스를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하드재질(폴리카보네이트 내지 ABS 등)로 제작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케이스 전체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충격 보호 역할의 기능이 저하되고 반면 하드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착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분리시켜 수용하는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에서 단차를 가지는 연결부가 상호간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케이스가 개시된 바 있으나,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 방식의 케이스는 단순하게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가 연결부의 단차 결합을 통해서만 상호간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결합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가 연결부의 슬라이딩을 통해 상호간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에 형성된 체결부에 의해 케이스들이 체결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착용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 및 체결부가 색상을 달리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착용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 상기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의 하측부와 상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가 슬라이딩 연결되도록 하는 상측연결부와 하측연결부; 및 상기 상측연결부와 하측연결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측연결부와 하측연결부의 연결 상태 유지를 위하여 상호간 체결되는 상측체결부와 하측체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연결부는, 상기 상측케이스의 개구된 하측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단차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는 상측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측연결부는, 상기 하측케이스의 개구된 상측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으로 단차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는 하측연결면을 포함하며, 상측케이스의 하측부에 하측케이스의 상측부가 슬라이딩시 상측연결면과 하측연결면이 상호간 연결된 상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측체결부는, 상기 상측연결면의 하면 중앙부 또는 좌우측면부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측체결부는, 체결공이 형성된 상측연결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측케이스의 하측부에 하측케이스의 상측부가 슬라이딩되어 상측연결면과 하측연결면이 상호간 연결된 상태를 가지게 되는 경우 체결돌기가 탄력적으로 체결공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측연결면의 단부에는 체결해제용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에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가 연결부의 슬라이딩을 통해 상호간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에 형성된 체결부에 의해 케이스들이 체결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착용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 및 체결부가 색상을 달리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착용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 및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 및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과 도 2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S)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 상기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의 하측부와 상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가 슬라이딩 연결되도록 하는 상측연결부(130)와 하측연결부(140) 및 상기 상측연결부(130)와 하측연결부(140)에 각각 형성되어 상측연결부(130)와 하측연결부(140)의 연결 상태 유지를 위하여 상호간 체결되는 상측체결부(150)와 하측체결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성부들(110 내지 160)은, 합성수지,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되, 전자기기(S)와 견고한 접촉을 위해 다소의 탄성 또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S)의 정면(디스플레이부)을 제외한 배면, 좌측면, 우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의 외형에 대응되는 내형을 가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는 1 대 1 또는 2 대 1의 비율로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측케이스(110)는 하측면과 정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하측케이스(120)는 상측면과 정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의 배면, 좌측면, 우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에는 휴대용 전자기기(S)의 각종 기능버튼과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V)이 해당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상측연결부(130)와 하측연결부(140)는, 상기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의 하측부와 상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가 슬라이딩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호간 중첩이 가능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슬라이딩 연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측연결부(130)에는 상기 상측케이스(110)의 하측부, 즉, 개구된 하측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단차를 가지면서 상측연결면(131)이 연장 형성되고, 하측연결부(140)에는 상기 하측케이스(120)의 상측부 즉, 개구된 상측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으로 단차를 가지면서 하측연결면(141)이 연장 형성되어, 상측케이스(110)의 하측부에 하측케이스(120)의 상측부가 슬라이딩시 상측연결면(131)과 하측연결면(141)이 상호간 연결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상측케이스(110)가 전자기기(S)의 상측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측케이스(120)가 전자기기(S)의 하측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측케이스(110)의 상측연결부(130)에 하측케이스(120)의 하측연결부(140)가 위치되도록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측연결부(130)의 상측연결면(131) 상에 하측연결부(140)의 하측연결면(141)이 위치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상측연결면(131)의 상측에 하측연결면(141)이 슬라이딩 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연결면들의 단차를 반대로 형성하여 하측연결면(141)의 상측에 상측연결면(131)이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사실이다.
상기 상측체결부(150)와 하측체결부(160)는, 상기 상측연결부(130)의 상측연결면(131)과 하측연결부(140)의 하측연결면(141)에 각각 형성되어 상측연결부(130)에 하측연결부(140)의 슬라이딩시 연결 상태 유지를 위해 상호간 체결되는 것으로, 상호간 강제 체결이 가능하도록 암수 체결구조를 가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체결부(150)는 상기 상측연결면(131)의 하면 중앙부 또는 좌우측면부에 복수개의 체결공(151)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체결부(160)는 체결공(151)이 형성된 상측연결면(131)과 접촉되는 접촉면에 상기 체결공(151)에 삽입되는 체결돌기(161)가 형성되어, 상측케이스(110)의 하측부에 하측케이스(120)의 상측부가 슬라이딩되어 상측연결면(131)과 하측연결면(141)이 상호간 연결된 상태를 가지게 되는 경우 체결돌기(161)가 탄력적으로 체결공(151)에 삽입되어 상측연결면(131)과 하측연결면(141)이 견고한 연결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즉, 상기 상측케이스(110)가 전자기기(S)의 상측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측케이스(120)가 전자기기(S)의 하측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측케이스(110)의 상측연결부(130)에 하측케이스(120)의 하측연결부(140)가 위치되도록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측연결부(130)의 상측연결면(131) 상에 하측연결부(140)의 하측연결면(141)이 위치되며, 이때, 하측연결면(141)의 저면부(바닥부)에 위치된 체결돌기(161)가 상측연결면(131)의 체결공(151)에 끼움 지지되어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가 상호간 견고한 체결 상태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연결면(131)과 하측연결면(141)은 다소의 탄성 또는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체결돌기(161)가 하측연결면(141)의 저면부에 돌출 형성되더라도 전자기기(S)의 수용을 위한 상기 케이스(110,120)들의 상호간 결합시 탄력적으로 체결공(151)에 강제 끼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연결면(131)은, 그 단부 즉, 하측연결면(141)의 연장부위에 접촉되는 부위에 반원형상의 체결해제용 파지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파지홈에 사용자의 손가락 단부가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연결면(131)의 단부를 잡아당기는 경우 체결돌기(161)가 체결공(151)으로부터 탄력적으로 끼움 해제되도록 하여 케이스의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상측연결면(131)에 형성된 체결공(151)에 하측연결면(141)에 형성된 체결돌기(161)가 삽입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연결면들의 단차가 반대로 형성되어 하측연결면(141)의 상측에 상측연결면(131)이 슬라이딩 되는 경우 상기 체결공(151)이 하측연결면(141)에 형성되고 체결돌기(161)가 상측연결면(131)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사실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측연결면(131)과 하측연결면(141)의 중첩시 두께는 상측케이스(110) 또는 하측케이스(120)의 하측면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체결공(151)의 깊이와 체결돌기(161)의 높이 또한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자기기(S)가 수용된 케이스의 파지시 이물감 또는 거친감이 완전히 회피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 및 체결돌기(161)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휴대용 전자기기(S)에 케이스의 착용시 다양한 색상을 통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측케이스(110)의 내측면에 전자기기(S)의 상측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하측케이스(120)의 내측면에 전자기기(S)의 하측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측케이스(120)가 전자기기(S)의 하측부를 수용하면서 하측케이스(120)의 하측연결면(141)이 상측케이스(110)의 상측연결면(131)의 상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상측연결부(130)의 상측연결면(131) 상에 하측연결부(140)의 하측연결면(141)이 위치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측연결면(141)이 지속적으로 상측연결면(131)의 상측에 슬라이딩되는 경우, 하측연결면(141)의 저면부에 위치된 체결돌기(161)가 상측연결면(131)의 체결공(151)에 억지 끼움되고 이에 따라,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가 상호간 견고한 체결 상태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의 내측면 즉, 전자기기(S)와 접촉면은, 상기 전자기기(S)의 외형에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또한, 다소의 탄성 또는 신축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110,120)들과 전자기기(S)의 끼움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상호간 견고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공(151)과 체결돌기(161)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된 케이스(110,120)들의 체결해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체결공(151)이 형성된 상측체결면(131)이 잡아당겨지면 상측체결면(131)의 탄력에 의해 체결공(151)으로부터 체결돌기(161)의 끼움 상태가 해제되고 이때, 상측케이스(110)가 하측케이스(120)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케이스(110,120)들이 상호간 분리되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에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가 연결부의 슬라이딩을 통해 상호간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에 형성된 체결부에 의해 케이스들이 체결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착용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 및 체결부가 색상을 달리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착용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휴대용 전자기기(S)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
    상기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의 하측부와 상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측케이스(110)와 하측케이스(120)가 슬라이딩 연결되도록 하는 상측연결부(130)와 하측연결부(140); 및
    상기 상측연결부(130)와 하측연결부(140)에 각각 형성되어 상측연결부(130)와 하측연결부(140)의 연결 상태 유지를 위하여 상호간 체결되는 상측체결부(150)와 하측체결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연결부(130)는,
    상기 상측케이스(110)의 개구된 하측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단차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는 상측연결면(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연결부(140)는,
    상기 하측케이스(120)의 개구된 상측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으로 단차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는 하측연결면(141)을 포함하며,
    상측케이스(110)의 하측부에 하측케이스(120)의 상측부가 슬라이딩시 상측연결면(131)과 하측연결면(141)이 상호간 연결된 상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체결부(150)는,
    상기 상측연결면(131)의 하면 중앙부 또는 좌우측면부에 형성되는 체결공(1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체결부(160)는,
    체결공(151)이 형성된 상측연결면(131)과 접촉되는 접촉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51)에 삽입되는 체결돌기(161)를 포함하며,
    상측케이스(110)의 하측부에 하측케이스(120)의 상측부가 슬라이딩되어 상측연결면(131)과 하측연결면(141)이 상호간 연결된 상태를 가지게 되는 경우 체결돌기(161)가 탄력적으로 체결공(15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연결면(131)의 단부에는 체결해제용 파지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20120000884U 2012-02-06 2012-02-06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62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884U KR200462641Y1 (ko) 2012-02-06 2012-02-06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884U KR200462641Y1 (ko) 2012-02-06 2012-02-06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641Y1 true KR200462641Y1 (ko) 2012-09-21

Family

ID=4755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884U KR200462641Y1 (ko) 2012-02-06 2012-02-06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6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14Y1 (ko) 2013-06-03 2014-07-11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측면 일체형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CN106134023A (zh) * 2014-03-24 2016-11-16 菲尼克斯电气公司 壳体、特别是工业用壳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9005A1 (en) 2009-08-12 2011-03-03 Uncommon Llc Two-Piece Protective Carrying Ca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9005A1 (en) 2009-08-12 2011-03-03 Uncommon Llc Two-Piece Protective Carrying C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14Y1 (ko) 2013-06-03 2014-07-11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측면 일체형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CN106134023A (zh) * 2014-03-24 2016-11-16 菲尼克斯电气公司 壳体、特别是工业用壳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368Y1 (ko) 전자 장치용 부착 시스템
US10123593B2 (en) Consumer product attachment systems having a locking assembly
USD824172S1 (en) Handbag
USD794952S1 (en) Case for mobile phone with a detachable strap
USD698689S1 (en) Watch and accessory band
USD760680S1 (en) Mobile phone
CA136678S (en) Keychain usb cable
CA136679S (en) Keychain usb cable
JP2015521925A (ja) 保護具
KR200462641Y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71390Y1 (ko) 액세서리 연결고리
USD831637S1 (en) Waterproof phone case
USD728421S1 (en) Chain for slide fastener
USD836327S1 (en) Mobile phone case
KR200462642Y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70018Y1 (ko) 양면형 휴대용 단말기 커버
CN203708667U (zh) 保护壳
KR20130098482A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140001913U (ko) 케이스커버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용기기 보호케이스
KR200468315Y1 (ko) 커버판넬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12619Y1 (ko) 핸드폰 케이스
KR20110126311A (ko) 장식의 교환이 가능한 교통칩이 내장된 핸드폰 악세사리
KR20180000431U (ko) 스마트폰 액세서리
KR20130080404A (ko) 분리 가능한 휴대전화 케이스
TWM461813U (zh) 通訊及資訊產品之護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