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482A -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482A
KR20130098482A KR1020120020044A KR20120020044A KR20130098482A KR 20130098482 A KR20130098482 A KR 20130098482A KR 1020120020044 A KR1020120020044 A KR 1020120020044A KR 20120020044 A KR20120020044 A KR 20120020044A KR 20130098482 A KR20130098482 A KR 20130098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length adjusting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표
Original Assignee
(주)모비테크
정성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비테크, 정성표 filed Critical (주)모비테크
Priority to KR1020120020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8482A/ko
Publication of KR2013009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크기의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를 생산자의 입장에서 휴대단말기의 모델에 따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장착되고, 제1길이조정부가 형성되며, 일단에 휴대단말기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걸림부가 형성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장착되고, 제2길이조정부가 형성되며, 일단에 휴대단말기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걸림부가 형성된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길이조정부와 제2길이조정부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크기의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를 생산자의 입장에서 휴대단말기의 모델에 따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휴대폰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은 물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휴대단말기는 각종 정밀하고 미세한 전자부품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파손 및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휴대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로 인해 오염될 수 있는 바, 사용자가 이동통신 휴대단말기를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 케이스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케이스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고, 액정표시장치의 긁힘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단말기의 외관을 아름답게 꾸미는 용도로 사용된다.
대부분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외관과 동일한 사이즈와 형태로 제작되어 휴대단말기가 긴밀하게 장착 수납되어야 하므로, 가죽이나 섬유 등 연질 소재의 보호케이스일 경우에는 파우치 형태의 수납함 구조를 갖추어 휴대단말기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였고, 폴리카보네이트 등 경질의 소재일 경우에는 합성수지의 탄성력으로 휴대단말기의 외관 본체를 긴밀하게 잡아주어 휴대단말기가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여러 형태의 보호케이스는 해당 휴대단말기의 기종과 모델에 적합한 각각의 외형과 크기를 유지하는 관계로 항상 휴대단말기와 보호케이스는 일대일의 맞춤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다양한 기종과 크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범용적인 장착과 수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생산자는 다양한 휴대단말기의 모델에 따라 다양한 금형 등을 제작하여야 하고, 휴대단말기의 사용주기가 짧아 제조금형 등을 장시간 사용하지 못하여 계속하여 제작하여야 하는바, 경제적 부담이 크게 작용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단말기와 보호케이스의 결합구조가 개발되었다(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6597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단말기와 보호케이스의 결합구조는, 일면에 숫벨크로, 숫단추, 결합돌기, 양면 테잎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한쪽 면과 이에 대향되는 다른 쪽 면을 감싸며, 상기 숫벨크로, 숫단수,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암벨크로, 암단추, 수용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제1케이스(200);를 포함하며, 상기 숫벨크로와 상기 암벨크로, 상기 숫단추와 상기 암단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수용홈, 상기 양면 테잎 중 어느 하나의 결합구조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제1케이스(200)가 결합되도록 하였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단말기와 휴대용 케이스의 결합구조는,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고, 일면에 벨크로, 단추, 결합돌기, 양면 테잎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제2케이스(400); 및 상기 제2케이스의 한쪽 면과 이에 대향되는 다른 쪽 면을 감싸며, 상기 숫벨크로, 숫단수,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암벨크로, 암단추, 수용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제1케이스(200);를 포함하며, 상기 숫벨크로와 상기 암벨크로, 상기 숫단추와 상기 암단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수용홈, 상기 양면 테잎 중 어느 하나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2케이스(400)와 상기 제1케이스(200)가 결합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0) 자체에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110)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그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여 부착함이 쉽지 않고, 휴대단말기(100)를 제1케이스(200)로부터 분리하였을 때 상기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110)에 의해 휴대단말기(100) 자체의 외관이 단정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0)를 감싸는 제2케이스(400)를 구성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기(100)를 감싸는 별도의 제2케이스(400)를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제2케이스(400)는 휴대단말기(1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하여야 하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산자의 입장에서 다양한 제조 금형을 제작해야되는 경제적 부담이 크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형상 및 크기가 변경되어도 생산자의 입장에서 동일한 제조금형을 통해 생산된 부품을 통해 다양한 휴대단말기에 적용되도록 제작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장착되고, 제1길이조정부가 형성되며, 일단에 휴대단말기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걸림부가 형성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장착되고, 제2길이조정부가 형성되며, 일단에 휴대단말기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걸림부가 형성된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길이조정부와 제2길이조정부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길이조정부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제2길이조정부는 상기 제1길이조정부에 맞물리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톱니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길이조정부와 제2길이조정부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의 간격이 조정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는, 상기 제1길이조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제2고정부재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길이조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재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길이조정부와 제2길이조정부는 두께방향으로 상호 적층된다.
이때, 상기 제1길이조정부와 제2길이조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를 덮어 상기 케이스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는 상기 커버의 양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의 폭은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의 최대 간격과 같거나 크며, 상기 안착홈의 부위 중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가 미배치된 곳에는 충진재가 삽입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형상 및 크기가 변경되어도 생산자의 입장에서 동일한 제조금형을 통해 생산된 부품을 가지고 다양한 휴대단말기에 적용되도록 보호케이스를 제작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와 보호케이스의 결합구조의 결합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제1실시예 >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케이스본체(10)와,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휴대단말기(50)를 보호하는 것으로써,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본체(10)가 다이어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50)의 전면과 후면을 모두 덮어 보호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본체(10)는 합성수지뿐만 아니라 피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0)는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제1길이조정부(21)가 형성되며, 일단에 휴대단말기(50)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걸림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30)는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이웃하여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제2길이조정부(31)가 형성되며, 일단에 휴대단말기(50)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걸림부(35)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는 상기 케이스본체(10)에 리벳, 테이프, 접착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휴대단말기(50)의 탈착시 상기 제1걸림부(25) 및 제2걸림부(35)가 잘 휘어져 탈착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부(25) 및 제2걸림부(35)는 상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절곡형성되어, 휴대단말기(50)의 측면을 감싸 고정시킨다.
상기 제1길이조정부(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20)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길이조정부(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에 맞물리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30)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와 제2길이조정부(31)는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가 형성된 폭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다.
위와 같은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와 제2길이조정부(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별도의 다른 부재의 도움없이 휴대단말기(50)를 감싸는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새로운 구성부품이 아닌 동일한 구성부품을 가지고 생산자는 다양한 휴대단말기 모델에 따른 보호케이스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즉, 생산자는 휴대단말기의 모델에 따라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와 제2길이조정부(31)를 이용하여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생산할 수 있는바, 휴대단말기 모델별로 별도의 제조금형을 구입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와 제2길이조정부(31)가 상호 직접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의 간격을 일차적으로 용이하게 조정한 후,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를 상기 케이스본체(10)에 고정장착할 수 있는바,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를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장착할 때,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와 제2길이조정부(31)가 직접적으로 상호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를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장착할 때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의 간격 유지를 위한 별도의 다른 부품이 필요 없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를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장착한 후에는 별도의 다른 부품없이도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가 상호 체결되어 있는바 개별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금형을 통해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를 모두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와 제2길이조정부(31)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위와 같이 하나의 금형을 통해 동일한 형상의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를 생산할 수 있음으로써, 제조금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짝을 맞출 필요가 없어 생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는,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를 덮어 상기 케이스본체(10)에 결합되는 커버(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커버(40)를 이용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를 덮음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50)의 장착이전에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40)를 장착한 후에는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가 휴대단말기(50)의 양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커버(40)의 양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는 상기 케이스본체(110)의 내측면의 표면에 그대로 장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안착홈(11)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11)에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를 안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착홈(11)의 폭은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의 최대 간격과 같거나 크도록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가 최대 간격에서도 상기 안착홈(11)에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11)의 부위 중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가 미배치된 곳에는 충진재(미도시)가 삽입 배치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안착홈(11)에 상기 충진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의 두께와 상기 충진재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여 단차없는 형상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11)에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를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40)를 이용하여 그 상부를 덮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생산자는 상기 케이스본체(10),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를 각각 제작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는 그 형상이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의 금형을 통해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50)의 폭을 측정한 후, 그 폭에 맞도록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와 제2길이조정부(31)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를 조절한다.
상기 제1길이조정부(21) 및 제2길이조정부(31)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 사이의 간격이 정해지면, 생산자는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를 리벳, 테이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본체(10)에 고정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는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와 제2길이조정부(31)가 상호 결합됨으로 인해, 상호 유동됨이 없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바, 생산자는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케이스본체(10)에 고정결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를 별도의 부품을 통해 상호 결합함이 없이 상호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11)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안착홈(11)에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를 배치하고, 상기 충진재를 충진한 후, 상기 커버(40)를 덮어 제작을 완성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 사이에 휴대단말기(5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하고 고정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50)의 형상 및 크기가 변경되어도 생산자의 입장에서 동일한 제조금형을 통해 생산된 부품을 통해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다양한 휴대단말기(50)에 적합한 보호케이스를 제작할 수 있는바,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다양한 휴대단말기(50)의 보호케이스를 쉽게 생산할 수 있다.
< 제2실시예 >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보호케이스는, 케이스본체(10)와,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 커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본체(10) 및 커버(4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 중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와 제2길이조정부(31)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길이조정부(21)는 상기 제1고정부재(2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20)의 타단에서 상기 제2고정부재(30)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길이조정부(31)는 상기 제2고정부재(3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30)의 타단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20)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와 제2길이조정부(3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방향으로 상호 적층된다.
이때,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와 제2길이조정부(31) 중 어느 하나에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체결돌기(23)를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돌기(23)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체결홈(33)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에 상기 체결돌기(23)를 형성하고, 상기 제2길이조정부(31)에 상기 체결홈(33)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23)가 상기 체결홈(33)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1걸림부(25)와 제2걸림부(3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체결돌기(23) 및 체결홈(33) 없이 상기 제1길이조정부(21)와 제2길이조정부(31)를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 결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부품없이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30)가 직접적으로 상호 접하여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케이스본체, 11 : 안착홈,
20 : 제1고정부재, 21 : 제1길이조정부, 23 : 체결돌기, 25 : 제1걸림부,
30 : 제2고정부재, 31 : 제2길이조정부, 33 : 체결홈, 35 : 제2걸림부,
40 : 커버,
50 : 휴대단말기,

Claims (7)

  1.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장착되고, 제1길이조정부가 형성되며, 일단에 휴대단말기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걸림부가 형성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장착되고, 제2길이조정부가 형성되며, 일단에 휴대단말기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걸림부가 형성된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길이조정부와 제2길이조정부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길이조정부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제2길이조정부는 상기 제1길이조정부에 맞물리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톱니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길이조정부와 제2길이조정부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길이조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제2고정부재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길이조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재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길이조정부와 제2길이조정부는 두께방향으로 상호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제1길이조정부와 제2길이조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6. 청구항1 내지 청구항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를 덮어 상기 케이스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는 상기 커버의 양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의 폭은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의 최대 간격과 같거나 크며,
    상기 안착홈의 부위 중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가 미배치된 곳에는 충진재가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20120020044A 2012-02-28 2012-02-28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130098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044A KR20130098482A (ko) 2012-02-28 2012-02-28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044A KR20130098482A (ko) 2012-02-28 2012-02-28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482A true KR20130098482A (ko) 2013-09-05

Family

ID=4945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044A KR20130098482A (ko) 2012-02-28 2012-02-28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84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13Y1 (ko) * 2013-09-23 2014-09-03 주식회사 솔로젠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160034594A (ko) * 2014-09-22 2016-03-30 주식회사 테슬라앤코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기기의 보호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13Y1 (ko) * 2013-09-23 2014-09-03 주식회사 솔로젠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160034594A (ko) * 2014-09-22 2016-03-30 주식회사 테슬라앤코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기기의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6075B (zh) 用於一電子裝置之附接系統
KR102339759B1 (ko)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배터리 컴파트먼트들
US9660682B2 (en) Apparatus for holding an electronic device
US20150333302A1 (en) Flexible band or strap with integrated battery
US2012005096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peripheral items to devices
US9696756B1 (en) Device case with added functionality
CN103932460B (zh) 锁扣结构及使用其的手表
KR20130054309A (ko)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KR20120003703U (ko) 이중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400260B1 (ko) 배터리 교체 도어가 부착된 배터리커버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KR20130098482A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462821Y1 (ko) 캐릭터 형상의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JP2014175767A (ja) 平板状携帯端末機器の装飾保護部材
CN203574698U (zh) 一种可拆卸连接的手机保护件
KR200473933Y1 (ko) 케이스커버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용기기 보호케이스
KR101370928B1 (ko)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KR200462641Y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CN204091161U (zh) 智能手环
CN103746415B (zh) 腕带式移动电源
KR200470018Y1 (ko) 양면형 휴대용 단말기 커버
KR200387238Y1 (ko)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JP5681934B1 (ja) 無線通信装置
US20200019121A1 (en) Smart watch
KR20130002666U (ko) 휴대폰 케이스
KR101316453B1 (ko) 휴대용 기기의 홀딩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