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087B1 - 장신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장신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087B1
KR101490087B1 KR20140150510A KR20140150510A KR101490087B1 KR 101490087 B1 KR101490087 B1 KR 101490087B1 KR 20140150510 A KR20140150510 A KR 20140150510A KR 20140150510 A KR20140150510 A KR 20140150510A KR 101490087 B1 KR101490087 B1 KR 10149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hole
insertion groove
present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0087B9 (ko
Inventor
최훈식
Original Assignee
최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5903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9008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훈식 filed Critical 최훈식
Priority to EP14900101.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83990B1/en
Priority to CN201480002693.6A priority patent/CN105555165B/zh
Priority to US14/425,577 priority patent/US9894963B2/en
Priority to PCT/KR2014/013111 priority patent/WO2016027944A1/ko
Priority to KR1020150005330A priority patent/KR101574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087B1/ko
Priority to US15/864,325 priority patent/US10575598B2/en
Priority to US16/683,437 priority patent/US11129451B2/en
Publication of KR10149008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08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 A44B13/0076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88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by separable snap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8Decorative devices for handbags or pur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이나 가죽 재질의 물품에 끈이나 걸쇠 등을 걸기 위한 고리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자체로 장신구의 역할을 하는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와,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제1 돌출부는 제2 돌출부 대향면에 제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을 갖는다.

Description

장신구 조립체{Ornament assembly}
본 발명은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이나 가죽 재질의 물품에 끈이나 걸쇠 등을 걸기 위한 고리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자체로 장신구의 역할을 하는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 있어서 필수품인 가방은 단지 물건을 수납하는 용도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의상과 함께 중요한 패션 용품이기도 하다.
특히, 여성용 가방인 핸드백은 패션에 민감하여 나이, 직업, 옷차림, 계절, 모임 장소나 여행 목적 등 패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최신 디자인의 일환으로, 최근에는 가방이나 핸드백의 어깨걸이 끈을 금속 재질의 체인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런데, 가방이나 핸드백의 재질은 주로 천이나 가죽 등 얇고 표면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금속 재질의 끈이 연결되는 부분에 마모로 인한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특히 금속 재질의 끈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연결고리를 부착하여 가방이나 핸드백 원단의 마모를 방지하게 되는데, 이런 연결고리는 그 자체의 색감이나 형상에 의해 또 다른 장신구의 역할도 한다.
일반적인 연결고리는 가방이나 핸드백의 일면에 제1 몸체를 배치하고, 반대쪽 면에 제2 몸체를 배치하여 원단을 사이에 두고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결합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연결고리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나사 결합하거나,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결합 후 일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몸체 또는 제2 몸체의 돌출부를 가압하여 외측으로 펼치는 리벳 결합방식으로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종래의 연결고리는 사용중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상대 회전에 따른 마모 때문에 결합력이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리벳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종래의 연결고리는 별도의 프레스나 압착공정을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외측으로 펴진 돌출부가 외관상 눈에 띄어 미감이 좋지 못하며, 사용중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상대 회전시 그 사이에 개재된 원단이 마모되어 원단과 함께 연결고리가 통째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0-0045648 A (2010.05.04 공개) KR 20-2009-0003030 U (2009.03.25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성 및 결합력이 우수한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결합 후 상대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중 결합력이 헐거워지는 문제를 해결한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방이나 핸드백, 현수막이나 텐트 등 끈이 연결되는 고리 부분의 강도를 강화하여 마모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장신구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돌출부 대향면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과 연통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의 걸림부가 상기 제1 몸체의 절개부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의 내측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삽입홈의 내측 측벽의 경사 각도가 중심축선에 대하여 7°~ 10°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이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는, 인접하는 삽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분할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의 제2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의 제2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의 하단까지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내측에 단차 형성되는 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제2 몸체의 제2 돌출부가 제1 몸체의 제1 돌출부에 삽입되므로, 외관상 제2 돌출부의 끝단이 보이지 않아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결합 후 상대 회전이 방지되므로, 사용중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문제 및 원단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단순히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가압에 의해 결합이 완료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몸체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몸체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천이나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의 원단(1)에 부착되어 끈(미도시)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단(1)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몸체(2000)와, 그 반대면에 배치되어 제1 몸체(2000)와 결합하는 제2 몸체(300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링 형상의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고 있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원단(1)이 개재될 수 있는 간극(1100)이 형성된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는 원단(1) 및 원단(1)에 연결되는 끈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탄성을 가진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제2 몸체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 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천이나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의 원단(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단(1)은, 예컨대 가방이나 핸드백, 또는 현수막이나 텐트 등 일측에 끈이 연결되는 물품을 이루는 소재를 가리키며, 원단(1)에는 끈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공(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몸체(2000)가 원단(1)의 일측(도면상 상측)에 배치되고, 제2 몸체(3000)가 원단(1)의 타측(도면상 하측)에 배치된 후, 관통공(2)을 통해 상호 결합한다. 이때,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가 서로 자리를 바꿔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몸체(2000)는 중앙에 제1 관통홀(2110)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2100)와, 제1 관통홀(2110)의 둘레를 따라 도면상 하향 돌출 형성되며, 원단(1)의 관통공(2)으로 삽입되는 제1 돌출부(2200)를 포함한다.
제2 몸체(3000)는 중앙에 제2 관통홀(3110)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3100)와,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도면상 상향 돌출 형성되며, 원단의 관통공(2)을 통해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에 결합되는 제2 돌출부(320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돌출부(3200)는 제2 관통홀(3110)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2 관통홀(3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제2 관통홀(3110)과 제2 돌출부(3200) 사이에 단턱(3210)이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제1 베이스(2100)와 제2 베이스(3100)가 원형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 베이스(2100)와 제2 베이스(3100)는 각각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단(1)의 관통공(2)과 제1 몸체(2000)의 제1 관통홀(2110), 그리고 제2 몸체(3000)의 제2 관통홀(3110) 역시 각각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2100)에는 제1 관통홀(2110)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부(2111)가 형성되며, 도 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3100)에는 제2 관통홀(3110)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부(311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 제1,제2 관통홀(2110,3110)에 연결된 끈이 사용중 제1,제2 관통홀(2110,3110)의 모서리에 걸려서 마모 또는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와 대향하도록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저면에 삽입홈(2210)이 형성되며,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삽입홈(2210)에 삽입 결합된다. 이처럼,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 끝단이 제1 관통공(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제품의 전체적인 미감과 촉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도 4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제1 관통홀(2110)과 제2 관통홀(3110)을 통해 제2 돌출부(3200) 또는 제1 돌출부(2200)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320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걸림부(3220)가 돌출 형성되며, 삽입홈(2210)을 둘러싸는 외측 측벽(2212)의 내측면에는 걸림턱(2221)이 형성된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가 삽입홈(2210)으로 삽입된 후, 걸림턱(2221)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200)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홈(2210)과 연통하는 절개부(2220)를 형성함으로써, 절개면 하단을 걸림턱(2221)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면상에는 절개부(2220)가 제1 돌출부(2200)의 상단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절개부(2220)의 형성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가 원단(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서 결합하는데,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210)으로 삽입된다.
이때,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은 상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2 돌출부(3200)는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을 따라 삽입되면서 외측으로 벌어지고,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가 삽입홈(2210)의 외측 측벽에 형성되는 걸림턱(2221)에 걸려서 지지된다. 즉,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은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를 걸림턱(2221)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돌출부(3200)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제2 돌출부(3200)는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분할된 제2 돌출부(3200)에 대응하여 제1 몸체(2000)의 삽입홈(2210) 역시 복수 개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인접하는 삽입홈(2210) 사이, 그리고 인접하는 절개부(2220) 사이에 각각 분할리브(2230)가 형성된다. 또한,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돌출부(3200)들은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제2 돌출부(3200)와 삽입홈(2210)이 각각 4개로 분할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분할 개수는 소재의 변형 특성 및 제품 규격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돌출부(3200)와 삽입홈(2210)을 복수 개로 분할하는 경우,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인접하는 분할리브(2230) 사이의 걸림턱(2221)에 각각의 걸림부(3220)가 지지된다. 이때, 걸림부(3220)의 원주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분할리브(2230)로 인해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며, 따라서 종래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소음 발생이나, 원단(1)과 장신구 조립체(1000)의 마모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의 경사 각도는 중심축선에 대하여 7°~ 10°인 것이 바람직한데, 7°보다 작으면 삽입홈(2210) 끝단의 걸림부(3220)가 걸림턱(22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여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0°보다 크면 제2 돌출부(3200)의 조립이 어려울뿐더러 조립 과정에서 제2 돌출부(3200)가 구겨지는 등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립의 용이성과 제2 돌출부(3200)의 변형 또는 손상 방지, 그리고 조립 후의 결합력을 고려하여,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의 경사 각도는 8.5°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 돌출부(3200)는 조립시 삽입홈(2210)에 꽉 끼워지도록, 내측면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외측면은 걸림부(3220)의 하단까지 상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돌출부(3200)는 끝단 즉, 걸림부(3220)의 하단까지 갈수록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돌출부(3200)의 내측면은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에 밀착되고, 제2 돌출부(3200)의 외측면은 삽입홈(2210)의 외측 측벽(2212)에 밀착된다.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끝단은 제2 몸체(3000)의 제2 베이스(3100) 상측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의 하단은 제2 돌출부(3200) 내측의 단턱(3210)에 밀착 지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제1 몸체(2000')의 제1 베이스(2100')와 제2 몸체(3000')의 제2 베이스(3100')가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그 외의 주요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베이스(2100')와 제2 베이스(3100')가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상에는 제1 관통홀(2110)과 제2 관통홀(3110)이 원형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관통홀(2110)과 제2 관통홀(3110)이 각각 타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에는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210)으로 삽입되며,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가 삽입홈(2210) 일측의 걸림턱(2221)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외관상 제2 돌출부(3200)의 끝단이 제1 관통홀(2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걸림부(3220)의 양측이 분할리브(2230)에 의해 막혀 있음에 따라,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상대 회전 방지에 따른 소음 및 마모, 손상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제1 몸체(2000")의 제1 베이스(2100")와 제1 관통홀(2110"), 제2 몸체(3000")의 제2 베이스(3100")와 제2 관통홀(3110")이 타원형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기능의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돌출부(2200")가 제1 관통홀(2110")의 둘레를 따라 타원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돌출부(3200") 역시 제2 관통홀(3110")의 테두리 외측에 이격하여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타원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홈(2210")과 제2 돌출부(3200")는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삽입홈(2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리브(2230)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되고, 제2 돌출부(3200")는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이때, 분할리브(2230)의 폭(두께)이나 형성 위치, 분할리브(2230) 간의 간격 등 분할 규격이 소재의 특성과 제품의 두께와 크기 등의 규격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절개부(2220")는 삽입홈(2210")과 연통하도록 제1 돌출부(2200") 상단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인접하는 절개부(2220")는 분할리브(2230)에 의해 구획된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에는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210")으로 삽입되며,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가 삽입홈(2210") 일측의 걸림턱(2221")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는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내부에 수용되므로 외관상 제2 돌출부(3200")의 끝단이 제1 관통홀(2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제품의 미감 및 촉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0, 1000', 1000" : 장신구 조립체
2000, 2000', 2000" : 제1 몸체
2100, 2100', 2100" : 제1 베이스
2200, 2200" : 제1 돌출부
2210, 2210" : 삽입홈
2220, 2220" : 절개부
2221, 2221" : 걸림턱
3000, 3000', 3000" : 제2 몸체
3100, 3100', 3100" : 제2 베이스
3200, 3200" : 제2 돌출부
3220, 3220" : 걸림부

Claims (11)

  1.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돌출부 대향면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을 갖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과 연통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의 일측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걸림부가 상기 제1 몸체의 절개부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의 내측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내측 측벽의 경사 각도가 중심축선에 대하여 7°~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이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7.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돌출부 대향면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을 가지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이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는 인접하는 삽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분할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제2 돌출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제2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의 하단까지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삽입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내측에 단차 형성되는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KR20140150510A 2014-08-18 2014-10-31 장신구 조립체 KR101490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900101.8A EP3183990B1 (en) 2014-08-18 2014-12-31 Accessory assembly
CN201480002693.6A CN105555165B (zh) 2014-08-18 2014-12-31 装饰组件
US14/425,577 US9894963B2 (en) 2014-08-18 2014-12-31 Ornament assembly
PCT/KR2014/013111 WO2016027944A1 (ko) 2014-08-18 2014-12-31 장신구 조립체
KR1020150005330A KR101574461B1 (ko) 2014-10-31 2015-01-13 장신구 조립체
US15/864,325 US10575598B2 (en) 2014-08-18 2018-01-08 Ornament assembly
US16/683,437 US11129451B2 (en) 2014-08-18 2019-11-14 Ornamen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284 2014-08-18
KR20140107284 2014-08-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5330A Division KR101574461B1 (ko) 2014-10-31 2015-01-13 장신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087B1 true KR101490087B1 (ko) 2015-02-04
KR101490087B9 KR101490087B9 (ko) 2021-07-21

Family

ID=525903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286A KR101485298B1 (ko) 2014-08-18 2014-09-02 장신구 조립체
KR20140150510A KR101490087B1 (ko) 2014-08-18 2014-10-31 장신구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286A KR101485298B1 (ko) 2014-08-18 2014-09-02 장신구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894963B2 (ko)
EP (1) EP3183990B1 (ko)
KR (2) KR101485298B1 (ko)
CN (1) CN105555165B (ko)
WO (2) WO20160279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359B1 (ko) 2015-11-24 2016-01-07 김홍관 장신구 결합장치
KR102121609B1 (ko) * 2020-03-25 2020-06-11 신왕수 자력 부착 수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080B1 (ko) * 2015-10-22 2016-04-20 박승동 아일렛
US10969037B2 (en) * 2016-12-08 2021-04-06 Hellermanntyton Corporation Protective bundle routing grommet for wide range panel thickness
KR102002471B1 (ko) * 2018-02-28 2019-10-21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스트랩 가이드 및 이를 갖는 페일팩
USD891294S1 (en) * 2018-11-16 2020-07-28 Hyuck Sang Jo Eyelet
DE102019111078A1 (de) * 2019-04-29 2020-10-29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Befestigungsanordnung mit Dämpfungswirkung und Bauteilverbindung mit der Befestigungsanordn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281U (ja) * 2011-02-01 2011-04-14 隆▲きょう▼實業股▲ふん▼有限公司 ボタン構造
KR20120066876A (ko) * 2010-12-15 2012-06-25 이기훈 결합형 장식물
CN103607919A (zh) 2011-07-14 2014-02-26 Ykk株式会社 按扣
JP5506775B2 (ja) * 2009-02-23 2014-05-28 Ykk株式会社 スナップボタン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2057A (en) * 1934-09-21 1936-11-24 William H Hobby Automobile license plate holder
US3091795A (en) * 1960-08-05 1963-06-04 Gilbert G Budwig Grommet
US3210820A (en) * 1964-05-26 1965-10-12 Scovill Manufacturing Co One-way snap fastener combination
DE1610354A1 (de) * 1967-06-19 1971-06-03 Kurt Mueller Kunststoffoese zum Verhindern des Ausreissens von Papier,Pappe,Vlies,Stoff,Leder oder anderen zu verstaerkende Materialien
JPS51251B2 (ko) * 1972-08-16 1976-01-06
SE389008B (sv) 1975-08-29 1976-10-25 S A J Liljendahl Knapp
JPS617522Y2 (ko) 1979-03-30 1986-03-07
US4376605A (en) * 1981-07-14 1983-03-15 Weckesser Co. Inc. Captive standoff bushing
JPS58164512U (ja) * 1981-12-07 1983-11-01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被服用スナツプ
US4621961A (en) * 1985-02-28 1986-11-11 Bulent Gulistan Captive panel fastener
US4656689A (en) * 1986-04-01 1987-04-14 Molded Products Company Grommet
US4702443A (en) * 1986-08-08 1987-10-27 Callaway James J Cord holding device
US5031268A (en) * 1990-04-11 1991-07-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rner guard assembly
JPH0617522U (ja) * 1992-04-03 1994-03-08 株式会社横谷 アイレット
US5295652A (en) * 1992-06-19 1994-03-22 Byrne Thomas W Isolation grommet
US5475901A (en) * 1992-09-18 1995-12-19 National Molding Corporation Swivelling snaphook
JP2604107B2 (ja) * 1993-03-29 1997-04-30 萩原工業株式会社 鳩目付き合成樹脂シート
JPH07222606A (ja) * 1994-02-10 1995-08-22 Airisu:Kk 組合せ釦
US5573825A (en) * 1994-07-14 1996-11-12 Permar Systems, Inc. Laser imprintable data-tag system
US5537714A (en) * 1994-09-01 1996-07-23 Erico International Corp. Metal stud grommet
JP3403560B2 (ja) 1995-11-29 2003-05-06 矢崎総業株式会社 筒状体の端面へのカバー固定構造
DE19731207C2 (de) * 1997-07-21 2000-11-02 Ykk Corp Druckknopf
US7980415B2 (en) * 2000-10-30 2011-07-19 Crawley Timothy M Apparatus for replacing gripping member on wire bucket handle
JP4894102B2 (ja) * 2001-07-23 2012-03-14 タカタ株式会社 布シートの車体への取付構造
KR100433816B1 (ko) * 2002-02-28 2004-06-04 백태선 캐릭터물 착탈구
KR200330145Y1 (ko) * 2003-05-12 2003-10-17 주식회사 다다실업 광고용 아일렛을 가진 모자
KR20050094082A (ko) * 2004-03-22 2005-09-27 (주)알에프캠프 Rfid용 아일렛
KR20080082033A (ko) 2007-03-07 2008-09-11 권석웅 플라스틱 아일릿
KR20090003030U (ko) 2007-09-21 2009-03-25 권은경 가방의 끈 연결구
JP4989520B2 (ja) * 2008-02-29 2012-08-01 Ykk株式会社 雄スナップ及び雌スナップ
KR101011229B1 (ko) 2008-10-24 2011-01-26 주식회사태진인터내셔날 가방 끈 고정구 체결구조
US8096017B2 (en) * 2008-10-27 2012-01-17 J. Van Walraven Holding Bv Grommet for metal stud
KR101179615B1 (ko) 2010-05-03 2012-09-06 정재진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아일렛
USD695591S1 (en) 2011-05-23 2013-12-17 S.C. Johnson & Son, Inc. Fastener
USD700501S1 (en) 2011-05-23 2014-03-04 S.C. Johnson & Son, Inc. Fastener
KR20130001081U (ko) 2011-08-08 2013-02-18 박상곤 원터치식 아일렛
KR101229936B1 (ko) * 2011-08-10 2013-02-06 정선후 아일릿부재
CN102423170A (zh) * 2011-12-13 2012-04-25 立兆股份有限公司 一种方便安装的按扣
KR101139106B1 (ko) * 2012-01-12 2012-04-30 이성환 아일릿
US9521889B2 (en) * 2013-03-15 2016-12-20 Incipio, Llc Case for mobile device
USD714531S1 (en) 2013-03-15 2014-10-07 Crowns Xl, Llc Eyelet cover
KR101357229B1 (ko) 2013-12-12 2014-02-04 이성환 암수 결합형 장식구 및 그 제조방법
US9273707B2 (en) * 2014-01-07 2016-03-01 Seong Hwan Lee Female-male combination type ornament
JP5929962B2 (ja) * 2014-05-16 2016-06-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付勢部材の取付構造
US10124742B2 (en) * 2017-03-13 2018-11-13 Honda Patents & Technologies North America, Llc. Fastener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6775B2 (ja) * 2009-02-23 2014-05-28 Ykk株式会社 スナップボタン
KR20120066876A (ko) * 2010-12-15 2012-06-25 이기훈 결합형 장식물
JP3167281U (ja) * 2011-02-01 2011-04-14 隆▲きょう▼實業股▲ふん▼有限公司 ボタン構造
CN103607919A (zh) 2011-07-14 2014-02-26 Ykk株式会社 按扣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359B1 (ko) 2015-11-24 2016-01-07 김홍관 장신구 결합장치
KR102121609B1 (ko) * 2020-03-25 2020-06-11 신왕수 자력 부착 수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55165B (zh) 2017-06-16
CN105555165A (zh) 2016-05-04
WO2016027920A1 (ko) 2016-02-25
US11129451B2 (en) 2021-09-28
EP3183990B1 (en) 2020-10-14
US9894963B2 (en) 2018-02-20
US20160255917A1 (en) 2016-09-08
EP3183990A4 (en) 2018-02-07
US20200077750A1 (en) 2020-03-12
WO2016027944A1 (ko) 2016-02-25
KR101485298B1 (ko) 2015-01-23
US10575598B2 (en) 2020-03-03
US20180125174A1 (en) 2018-05-10
KR101490087B9 (ko) 2021-07-21
EP3183990A1 (en)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087B1 (ko) 장신구 조립체
US20080244873A1 (en) Separable ornamented button
US20140259295A1 (en) Decorative eyelet cover for footwear, garments, and the like
WO2019105089A1 (en) Snap button
AU2020277163A1 (en) Interchangeable strap closure system for footwear
US10327491B2 (en) Locking button system
KR101556864B1 (ko) 장신구 조립체
US20150282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ccessories to jewelry
KR101179615B1 (ko)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아일렛
KR101574461B1 (ko) 장신구 조립체
KR101490874B1 (ko) 2피스 트윈 스냅 버튼 조립체
US6298527B1 (en) Button fastener
KR101729290B1 (ko) 스냅단추용 암단추
KR101942780B1 (ko) 스냅단추용 암단추
KR102091850B1 (ko) 스냅파스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스냅파스너
KR200483243Y1 (ko) 스냅단추용 암단추
EP1916921A1 (en) Interchangeable jewellery insert and item for receiving the insert
KR101659984B1 (ko) 아일렛
EP1444913A1 (en) Button fastener
CN218073657U (zh) 一种合金汽眼及服饰
CN217743375U (zh) 一种外设圈体结构的弹簧扣
KR20160027871A (ko) 장신구 조립체
US2916788A (en) Prong ring fastener members
JP3196570U (ja) スナップ留め具
CA2621143C (en) Interchangeable jewellery insert and item for receiving the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53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108

Effective date: 201912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41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0726

Effective date: 201912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2185;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220

Effective date: 20201127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04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326

Effective date: 202106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008;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125

Effective date: 202106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432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727

Effective date: 2022011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2161;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220

Effective date: 202201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3000001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0209

Effective date: 2022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