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461B1 - 장신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장신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461B1
KR101574461B1 KR1020150005330A KR20150005330A KR101574461B1 KR 101574461 B1 KR101574461 B1 KR 101574461B1 KR 1020150005330 A KR1020150005330 A KR 1020150005330A KR 20150005330 A KR20150005330 A KR 20150005330A KR 101574461 B1 KR101574461 B1 KR 10157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rotrusion
present
base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461B9 (ko
Inventor
최훈식
Original Assignee
최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8721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7446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KR2014015051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90087B1/ko
Application filed by 최훈식 filed Critical 최훈식
Priority to KR102015000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461B1/ko
Publication of KR10157446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46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2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이나 가죽 재질의 물품에 끈이나 걸쇠 등을 걸기 위한 고리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자체로 장신구의 역할을 하는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제1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와, 제1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제1 베이스와 확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분할리브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와,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제1 몸체는 제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확장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홈을 갖는다.

Description

장신구 조립체{Ornament assembly}
본 발명은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이나 가죽 재질의 물품에 끈이나 걸쇠 등을 걸기 위한 고리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자체로 장신구의 역할을 하는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 있어서 필수품인 가방은 단지 물건을 수납하는 용도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의상과 함께 중요한 패션 용품이기도 하다.
특히, 여성용 가방인 핸드백은 패션에 민감하여 나이, 직업, 옷차림, 계절, 모임 장소나 여행 목적 등 패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최신 디자인의 일환으로, 최근에는 가방이나 핸드백의 어깨걸이 끈을 금속 재질의 체인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런데, 가방이나 핸드백의 재질은 주로 천이나 가죽 등 얇고 표면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금속 재질의 끈이 연결되는 부분에 마모로 인한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특히 금속 재질의 끈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연결고리를 부착하여 가방이나 핸드백 원단의 마모를 방지하게 되는데, 이런 연결고리는 그 자체의 색감이나 형상에 의해 또 다른 장신구의 역할도 한다.
일반적인 연결고리는 가방이나 핸드백의 일면에 제1 몸체를 배치하고, 반대쪽 면에 제2 몸체를 배치하여 원단을 사이에 두고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결합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연결고리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나사 결합하거나,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결합 후 일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몸체 또는 제2 몸체의 돌출부를 가압하여 외측으로 펼치는 리벳 결합방식으로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종래의 연결고리는 사용중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상대 회전에 따른 마모 때문에 결합력이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리벳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종래의 연결고리는 별도의 프레스나 압착공정을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외측으로 펴진 돌출부가 외관상 눈에 띄어 미감이 좋지 못하며, 사용중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상대 회전시 그 사이에 개재된 원단이 마모되어 원단과 함께 연결고리가 통째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0-0045648 A (2010.05.04 공개) KR 20-2009-0003030 U (2009.03.25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성 및 결합력이 우수한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결합 후 상대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중 결합력이 헐거워지는 문제를 해결한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방이나 핸드백, 현수막이나 텐트 등 끈이 연결되는 고리 부분의 강도를 강화하여 마모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장신구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확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분할리브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확장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확장부의 삽입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제2 몸체의 제2 돌출부가 제1 몸체의 확장부의 삽입홈에 삽입되므로, 외관상 제2 돌출부의 끝단이 보이지 않아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결합 후 상대 회전이 방지되므로, 사용중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문제 및 원단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단순히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가압에 의해 결합이 완료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몸체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몸체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천이나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의 원단(1)에 부착되어 끈(미도시)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단(1)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몸체(2000)와, 그 반대면에 배치되어 제1 몸체(2000)와 결합하는 제2 몸체(300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링 형상의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고 있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원단(1)이 개재될 수 있는 간극(1100)이 형성된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는 원단(1) 및 원단(1)에 연결되는 끈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탄성을 가진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제2 몸체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 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천이나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의 원단(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단(1)은, 예컨대 가방이나 핸드백, 또는 현수막이나 텐트 등 일측에 끈이 연결되는 물품을 이루는 소재를 가리키며, 원단(1)에는 끈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공(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몸체(2000)가 원단(1)의 일측(도면상 상측)에 배치되고, 제2 몸체(3000)가 원단(1)의 타측(도면상 하측)에 배치된 후, 관통공(2)을 통해 상호 결합한다. 이때,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가 서로 자리를 바꿔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몸체(2000)는 중앙에 제1 관통홀(2110)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2100)와, 제1 관통홀(2110)의 둘레를 따라 도면상 하향 돌출 형성되며, 원단(1)의 관통공(2)으로 삽입되는 제1 돌출부(2200)와, 제1 돌출부(2200)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삽입홈(2210)을 가지는 확장부(2300)를 포함한다.
제2 몸체(3000)는 중앙에 제2 관통홀(3110)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3100)와,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도면상 상향 돌출 형성되며, 원단의 관통공(2)을 통해 제1 몸체(2000)의 확장부(2300)의 삽입홈(2210)에 결합되는 제2 돌출부(320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돌출부(3200)는 제2 관통홀(3110)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2 관통홀(3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제2 관통홀(3110)과 제2 돌출부(3200) 사이에 단턱(3210)이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제1 베이스(2100)와 제2 베이스(3100)가 원형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 베이스(2100)와 제2 베이스(3100)는 각각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단(1)의 관통공(2)과 제1 몸체(2000)의 제1 관통홀(2110), 그리고 제2 몸체(3000)의 제2 관통홀(3110) 역시 각각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2100)에는 제1 관통홀(2110)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부(2111)가 형성되며, 도 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3100)에는 제2 관통홀(3110)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부(311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 제1,제2 관통홀(2110,3110)에 연결된 끈이 사용중 제1,제2 관통홀(2110,3110)의 모서리에 걸려서 마모 또는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와 대향하도록 제1 몸체(2000)의 확장부(2300) 저면에 삽입홈(2210)이 형성되며,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삽입홈(2210)에 삽입 결합된다. 이처럼,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삽입홈(2210)에 결합됨에 따라,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 끝단이 제1 관통공(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제품의 전체적인 미감과 촉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도 4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제1 관통홀(2110)과 제2 관통홀(3110)을 통해 제2 돌출부(3200) 또는 제1 돌출부(2200)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320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걸림부(3220)가 돌출 형성되며, 삽입홈(2210)을 둘러싸는 외측 측벽(2212)의 내측면에는 걸림턱(2221)이 형성된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가 삽입홈(2210)으로 삽입된 후, 걸림턱(2221)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2300)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홈(2210)과 연통하는 절개부(2220)를 형성함으로써, 절개면 하단을 걸림턱(2221)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면상에는 절개부(2220)가 확장부(2300)의 상단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절개부(2220)의 형성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가 원단(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서 결합하는데,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확장부(2300)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210)으로 삽입된다.
이때,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은 상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2 돌출부(3200)는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을 따라 삽입되면서 외측으로 벌어지고,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가 삽입홈(2210)의 외측 측벽에 형성되는 걸림턱(2221)에 걸려서 지지된다. 즉,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은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를 걸림턱(2221)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돌출부(3200)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제2 돌출부(3200)는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분할된 제2 돌출부(3200)에 대응하여 제1 몸체(2000)의 삽입홈(2210) 역시 확장부(2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돌출부(2200)의 둘레를 따라 제1 베이스(2100)와 확장부(2300) 사이에 복수 개의 분할리브(2230)가 형성되며, 인접하는 절개부(2220)는 각각의 분할리브(2230)에 의해 분리된다. 또한,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돌출부(3200)들은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제2 돌출부(3200)와 삽입홈(2210)이 각각 4개로 분할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분할 개수는 소재의 변형 특성 및 제품 규격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돌출부(3200)와 삽입홈(2210)을 복수 개로 분할하는 경우,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인접하는 분할리브(2230) 사이의 걸림턱(2221)에 각각의 걸림부(3220)가 지지된다. 이때, 걸림부(3220)의 원주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분할리브(2230)로 인해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며, 따라서 종래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소음 발생이나, 원단(1)과 장신구 조립체(1000)의 마모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의 경사 각도는 중심축선에 대하여 7°~ 10°인 것이 바람직한데, 7°보다 작으면 삽입홈(2210) 끝단의 걸림부(3220)가 걸림턱(22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여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0°보다 크면 제2 돌출부(3200)의 조립이 어려울뿐더러 조립 과정에서 제2 돌출부(3200)가 구겨지는 등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립의 용이성과 제2 돌출부(3200)의 변형 또는 손상 방지, 그리고 조립 후의 결합력을 고려하여,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의 경사 각도는 8.5°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 돌출부(3200)는 조립시 삽입홈(2210)에 꽉 끼워지도록, 내측면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외측면은 걸림부(3220)의 하단까지 상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돌출부(3200)는 끝단 즉, 걸림부(3220)의 하단까지 갈수록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 제2 돌출부(3200)의 내측면은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에 밀착되고, 제2 돌출부(3200)의 외측면은 삽입홈(2210)의 외측 측벽(2212)에 밀착된다.
제1 몸체(2000)의 제1 돌출부(2200) 끝단은 제2 몸체(3000)의 제2 베이스(3100) 상측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삽입홈(2210)의 내측 측벽(2211)의 하단은 제2 돌출부(3200) 내측의 단턱(3210)에 밀착 지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제1 몸체(2000')의 제1 베이스(2100')와 제2 몸체(3000')의 제2 베이스(3100')가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그 외의 주요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베이스(2100')와 제2 베이스(3100')가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상에는 제1 관통홀(2110)과 제2 관통홀(3110)이 원형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관통홀(2110)과 제2 관통홀(3110)이 각각 타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에는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확장부(2300)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210)으로 삽입되며,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가 삽입홈(2210) 일측의 걸림턱(2221)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삽입홈(2210)에 결합됨에 따라, 외관상 제2 돌출부(3200)의 끝단이 제1 관통홀(2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걸림부(3220)의 양측이 분할리브(2230)에 의해 막혀 있음에 따라,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상대 회전 방지에 따른 소음 및 마모, 손상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00")는, 제1 몸체(2000")의 제1 베이스(2100")와 제1 관통홀(2110"), 제2 몸체(3000")의 제2 베이스(3100")와 제2 관통홀(3110")이 타원형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기능의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돌출부(2200")가 제1 관통홀(2110")의 둘레를 따라 타원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돌출부(3200") 역시 제2 관통홀(3110")의 테두리 외측에 이격하여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타원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홈(2210")과 제2 돌출부(3200")는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삽입홈(2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리브(2230)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되고, 제2 돌출부(3200")는 제2 관통홀(31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이때, 분할리브(2230)의 폭(두께)이나 형성 위치, 분할리브(2230) 간의 간격 등 분할 규격이 소재의 특성과 제품의 두께와 크기 등의 규격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절개부(2220")는 삽입홈(2210")과 연통하도록 제1 돌출부(2200") 상단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인접하는 절개부(2220")는 분할리브(2230)에 의해 구획된다.
제1 몸체(2000")와 제2 몸체(3000")의 결합시에는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가 제1 몸체(2000")의 확장부(2300")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210")으로 삽입되며, 제2 돌출부(3200") 끝단의 걸림부(3220")가 삽입홈(2210") 일측의 걸림턱(2221")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 몸체(3000")의 제2 돌출부(3200")는 제1 몸체(2000")의 삽입홈(2210")에 결합되므로 외관상 제2 돌출부(3200")의 끝단이 제1 관통홀(2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제품의 미감 및 촉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0, 1000', 1000" : 장신구 조립체
2000, 2000', 2000" : 제1 몸체
2100, 2100', 2100" : 제1 베이스
2200, 2200" : 제1 돌출부
2210, 2210" : 삽입홈
2220, 2220" : 절개부
2221, 2221" : 걸림턱
2300, 2300" : 확장부
3000, 3000', 3000" : 제2 몸체
3100, 3100', 3100" : 제2 베이스
3200, 3200" : 제2 돌출부
3220, 3220" : 걸림부

Claims (3)

  1.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확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분할리브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확장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확장부의 삽입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3. 삭제
KR1020150005330A 2014-10-31 2015-01-13 장신구 조립체 KR10157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5330A KR101574461B1 (ko) 2014-10-31 2015-01-13 장신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0510A KR101490087B1 (ko) 2014-08-18 2014-10-31 장신구 조립체
KR1020150005330A KR101574461B1 (ko) 2014-10-31 2015-01-13 장신구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0510A Division KR101490087B1 (ko) 2014-08-18 2014-10-31 장신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461B1 true KR101574461B1 (ko) 2015-12-03
KR101574461B9 KR101574461B9 (ko) 2021-07-21

Family

ID=5487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5330A KR101574461B1 (ko) 2014-10-31 2015-01-13 장신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149B1 (ko) * 2016-02-16 2016-07-11 김홍관 금속 장식물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6775B2 (ja) * 2009-02-23 2014-05-28 Ykk株式会社 スナップボタ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6775B2 (ja) * 2009-02-23 2014-05-28 Ykk株式会社 スナップボタ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149B1 (ko) * 2016-02-16 2016-07-11 김홍관 금속 장식물 고정장치
US10351082B2 (en) 2016-02-16 2019-07-16 Hong Kwan Kim Metal gromm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461B9 (ko)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087B1 (ko) 장신구 조립체
US10130148B1 (en) Snap button
US20080244873A1 (en) Separable ornamented button
AU2020277163B2 (en) Interchangeable strap closure system for footwear
US20140259295A1 (en) Decorative eyelet cover for footwear, garments, and the like
US7930900B2 (en) Charm clasp for pearl necklaces and bracelets
US20150282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ccessories to jewelry
KR101556864B1 (ko) 장신구 조립체
KR101179615B1 (ko)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아일렛
KR101574461B1 (ko) 장신구 조립체
KR101490874B1 (ko) 2피스 트윈 스냅 버튼 조립체
KR102091850B1 (ko) 스냅파스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스냅파스너
KR200483243Y1 (ko) 스냅단추용 암단추
KR101729290B1 (ko) 스냅단추용 암단추
WO2007022632A1 (en) Interchangeable jewellery insert and item for receiving the insert
CN218073657U (zh) 一种合金汽眼及服饰
EP1444913A1 (en) Button fastener
KR101618987B1 (ko) 장신구 조립체
KR20130000779U (ko) 장식용 암스냅단추
KR102420295B1 (ko) 고리형 장신구
KR101842939B1 (ko) 착용성 및 체결력이 우수한 팔찌용 힌지부의 체결구조
US2916788A (en) Prong ring fastener members
CA2621143C (en) Interchangeable jewellery insert and item for receiving the insert
KR200321292Y1 (ko) 커플 목걸이용 이중 펜던트
KR200475671Y1 (ko) 귀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085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0313

Effective date: 2019093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44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101

Effective date: 2019123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217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220

Effective date: 20201127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300012045;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1222

Effective date: 2021040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04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422

Effective date: 202105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026;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409

Effective date: 202106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4331;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727

Effective date: 2022011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7528;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1025

Effective date: 202201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3000001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0209

Effective date: 2022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