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987B1 - 장신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장신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987B1
KR101618987B1 KR1020140170304A KR20140170304A KR101618987B1 KR 101618987 B1 KR101618987 B1 KR 101618987B1 KR 1020140170304 A KR1020140170304 A KR 1020140170304A KR 20140170304 A KR20140170304 A KR 20140170304A KR 101618987 B1 KR101618987 B1 KR 10161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portion
base
hole
presen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987B9 (ko
KR20160027871A (ko
Inventor
최훈식
Original Assignee
최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5391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1898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1628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85298B1/ko
Application filed by 최훈식 filed Critical 최훈식
Priority to KR1020140170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9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987B1/ko
Publication of KR10161898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98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2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이나 가죽 재질의 물품에 끈이나 걸쇠 등을 걸기 위한 고리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자체로 장신구의 역할을 하는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제1 베이스와, 제1 베이스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를 가진 제1 몸체; 및 제2 베이스와, 제2 베이스의 일면에서 제1 삽입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가진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제1 베이스의 일측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 삽입부의 내주면 일측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되, 걸림턱은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제1 관통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제2 삽입부는 제1 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끝단이 걸림턱에 걸려서 지지된다.

Description

장신구 조립체{Ornament assembly}
본 발명은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이나 가죽 재질의 물품에 끈이나 걸쇠 등을 걸기 위한 고리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자체로 장신구의 역할을 하는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 있어서 필수품인 가방은 단지 물건을 수납하는 용도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의상과 함께 중요한 패션 용품이기도 하다.
특히, 여성용 가방인 핸드백은 패션에 민감하여 나이, 직업, 옷차림, 계절, 모임 장소나 여행 목적 등 패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최신 디자인의 일환으로, 최근에는 가방이나 핸드백의 어깨걸이 끈을 금속 재질의 체인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런데, 가방이나 핸드백의 재질은 주로 천이나 가죽 등 얇고 표면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금속 재질의 끈이 연결되는 부분에 마모로 인한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특히 금속 재질의 끈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금속 재질의 연결고리를 부착하여 가방이나 핸드백 원단의 마모를 방지하게 되는데, 이런 연결고리는 그 자체의 색감이나 형상에 의해 또 다른 장신구의 역할도 한다.
일반적인 연결고리는 가방이나 핸드백의 일면에 제1 몸체를 배치하고, 반대쪽 면에 제2 몸체를 배치하여 원단을 사이에 두고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결합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연결고리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나사 결합하거나,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결합 후 일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를 가압하여 외측으로 펼치는 리벳 결합방식으로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종래의 연결고리는 사용중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상대 회전에 따른 마모 때문에 결합력이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리벳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종래의 연결고리는 별도의 프레스나 압착공정을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사용중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상대 회전시 그 사이에 개재된 원단이 마모되어 원단과 함께 연결고리가 통째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0-0045648 A (2010.05.04 공개) KR 20-2009-0003030 U (2009.03.25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성 및 결합력이 우수한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중 결합력이 헐거워지는 문제를 해결한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방이나 핸드백, 현수막이나 텐트 등 끈이 연결되는 고리 부분의 강도를 강화하여 마모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장신구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를 가진 제1 몸체; 및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삽입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가진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의 일측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내주면 일측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관통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끝단이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를 제공함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삽입부는, 원통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하여 상기 걸림턱이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은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1 베이스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더 좁아지게 테이퍼질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에 의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제2 몸체의 제2 삽입부가 제1 몸체에 삽입되어 걸림턱에 걸리게 되므로, 예기치 못한 이탈을 방지하여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사용중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문제 및 원단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에 의하면, 단순히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가압에 의해 결합이 완료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폭 방향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길이 방향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2 몸체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천이나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의 원단(1)에 부착되어 끈(미도시)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단(1)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몸체와 그 반대면에 배치되는 제2 몸체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링 형상의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고 있다.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결합시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원단(1)이 개재될 수 있는 간극(20)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는 원단(1) 및 원단(1)에 연결되는 끈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2 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는 천이나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의 원단(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단(1)은, 예컨대 가방이나 핸드백, 또는 현수막이나 텐트 등 일측에 끈이 연결되는 물품을 이루는 소재를 가리키며, 원단(1)에는 끈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공(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몸체(100)가 원단(1)의 일측(도면상 상측)에 배치되고, 제2 몸체(200)가 원단(1)의 타측(도면상 하측)에 배치된 후, 관통공(2)을 통해 상호 결합한다. 이때,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서로 자리를 바꿔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몸체(100)는 제1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110)와, 제1 관통홀(111)의 둘레를 따라 도면상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120)를 포함한다. 제2 몸체(200)는 제2 관통홀(211)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210)와, 제2 관통홀(211)의 둘레를 따라 도면상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1 베이스(110)와 제2 베이스(210)가 원형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제1 베이스(110)와 제2 베이스(210)가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도 1에는 원단(1)의 관통공(2)과 제1 몸체(100)의 제1 관통홀(111), 그리고 제2 몸체(200)의 제2 관통홀(211)이 원형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들 역시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몸체(100)는 제1 관통홀(111)의 상측 둘레를 따라 걸림턱(112)이 낮게 단차 형성된다. 이 걸림턱(112)은 제2 몸체(200)의 제2 삽입부(220)가 제1 몸체(100)에 삽입될 때, 제2 삽입부(220) 끝단의 돌출부(221)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결합 후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예기치 못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삽입부(120)의 내주면은 경사면(121)으로 형성되며, 이 경사면(121)은 제2 몸체(200)와의 결합시 제2 삽입부(22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삽입부(120)의 내주면은 제1 베이스(110)로부터 제1 삽입부(120)의 끝단(도면상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테이퍼지며, 제1 삽입부(120)의 내주면은 축선과 평행한 수직선에 대하여 10°~ 20°의 경사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삽입부(120)의 내주면 경사각이 10°보다 작으면 제2 삽입부(220)와의 결합시 후술하는 제1 절개홈(122) 부분이 소성 변형되어 제1 삽입부(120)의 탄성에 의한 텐션(tension) 작용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경사각이 20°보다 크면 제2 삽입부(220)와의 사이에 너무 큰 간극이 발생하여 결합시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제1 삽입부(120)에는 소정의 폭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절개홈(122)이 제1 삽입부(12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하여 제1 삽입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삽입부(120)는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절개홈(122)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처럼 제1 절개홈(122)이 형성된 제1 삽입부(120)는 제2 삽입부(220)와의 결합시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관통공(2)이 형성된 원단(1)을 사이에 두고, 제1 몸체(100)와 대향하여 제2 몸체(200)가 배치된다.
제2 몸체(200)는 제2 관통홀(211)을 가진 제2 베이스(210)와, 제2 관통홀(211)의 둘레를 따라 원단(1)의 관통공(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삽입부(220)의 끝단(도면상 상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돌출된 돌출부(221)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221)는 제2 삽입부(220)를 제1 삽입부(120)의 내측에 삽입하였을 때, 제1 몸체(100)의 걸림턱(112)에 걸려서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결합 후 예기치 못한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미관을 위해서는 걸림턱(112)의 깊이와 돌출부(221)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여, 걸림턱(112)에 걸린 돌출부(221)의 상측면이 제1 베이스(110)의 상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결합시, 제2 몸체(200)의 제2 삽입부(220)는 제1 몸체(100)의 제1 삽입부(120) 내측으로 삽입된다. 제2 삽입부(220)의 외주면은 전술한 제1 삽입부(120)의 내주면과 대응하여 경사면(222)으로 형성되며, 제2 삽입부(220)는 제1 삽입부(120)의 내주면에 탄성 지지된다.
이를 위해, 제2 삽입부(220)의 외주면은 제2 베이스(210)로부터 제2 삽입부(220)의 끝단(도면상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며, 경사면(222)은 축선과 평행한 수직선에 대하여 3°~ 7°의 경사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삽입부(220)의 외주면 경사각이 3°보다 작으면 후술하는 제2 절개홈(223) 부분이 소성 변형되어 제2 삽입부(220)의 탄성에 의한 텐션 작용을 기대할 수 없고, 경사각이 7°보다 크면 제1 삽입부(120)와의 사이에 너무 큰 간극이 발생하여 결합시 결합력이 저하된다.
아울러, 제2 삽입부(220)에는 소정의 폭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절개홈(223)이 제2 삽입부(22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하여 제2 삽입부(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삽입부(220)는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절개홈(223)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삽입부(220)에 제2 절개홈(223)이 형성되면, 제1 삽입부(120)의 내측에 제2 삽입부(220)를 삽입할 때 제2 삽입부(220)가 내측으로 약간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제2 삽입부(220)의 삽입 완료시에는 제2 삽입부(220)의 끝단이 탄성 회복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끝단의 돌출부(221)가 제1 몸체(100)의 걸림턱에 걸리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삽입부(120)의 내주면이 축선과 평행한 수직선에 대하여 10°~ 20°의 경사각을 이루고, 제2 삽입부(220)의 외주면이 축선과 평행한 수직선에 대하여 3°~ 7°의 경사각을 이루는 한편, 제1 삽입부(120) 또는 제2 삽입부(220)가 제1 절개홈(122) 또는 제2 절개홈(223)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되어 자체 텐션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1 삽입부(120)의 내측에 제2 삽입부(220) 삽입시, 제1 삽입부(120) 또는 제2 삽입부(220)가 탄성 변형되면서 구겨짐 등 부품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삽입되고, 제2 삽입부(220) 끝단의 돌출부(221)가 제1 삽입부(120)의 걸림턱(112)에 펼쳐지면서 걸리게 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는 원단(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결합된다.
이때, 제2 몸체(200)의 제2 삽입부(220)가 제1 몸체(100)의 제1 삽입부(120) 내측으로 삽입되며, 제2 삽입부(220)의 돌출부(221)가 제1 몸체(100)의 걸림턱(112)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사용중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예기치 못한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삽입부(120)의 내주면과 제2 삽입부(220)의 외주면이 각각 소정 각도의 경사면(121,222)을 이룸으로써, 제1 삽입부(120)와 제2 삽입부(220) 사이에는 약간의 공차가 형성되며, 따라서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는 상대 회전 가능하다. 종래에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 사이에 별도의 공차를 두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중 외력에 의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상대 회전함으로써 결합력이 저하되고 마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끔 공차를 미리 형성함으로써, 결합력을 계속 유지하고 마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폭 방향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는, 제1 베이스(110')와 제2 베이스(210'), 제1 관통홀(111')과 제2 관통홀(211')이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이라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그 외의 주요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몸체(100')가 원단(미도시)의 일측(도면상 상측)에 배치되고, 제2 몸체(200')가 원단의 타측(도면상 하측)에 배치된 후, 원단의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상호 결합한다. 이때, 원단의 관통공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서로 자리를 바꾸어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몸체(100')는 사각형의 제1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제1 베이스(110')와, 제1 관통홀(111')의 둘레를 따라 도면상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120')를 포함한다. 제2 몸체(200')는 사각형의 제2 관통홀(211')이 형성되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제2 베이스(210')와, 제2 관통홀(211')의 둘레를 따라 도면상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220')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110')와 제2 베이스(210')의 코너부는 미감을 위해 둥글게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100')는 제1 관통홀(111')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걸림턱(112')이 낮게 단차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112')은 네 모서리에 모두 형성되거나, 필요에 따라 네 모서리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몸체(200')의 제2 삽입부(2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절개홈(223')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2 삽입부(220')가 복수 개로 분할된다. 일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210')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삽입부(220')와, 길이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삽입부(220')가 제2 절개홈(223')에 의해 서로 이격할 수 있다.
또한, 제2 삽입부(22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부(221')가 돌출 형성되며, 이 돌출부(221')는 복수 개로 분할된 제2 삽입부(22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 개로 분할된 제2 삽입부(220')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삽입부(120') 역시 제1 절개홈(미도시)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결합시 제1 삽입부(120') 및/또는 제2 삽입부(220')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결합이 용이하고, 탄성회복력에 의해 제2 삽입부(220')의 돌출부(221')가 제1 몸체(100')의 걸림턱(112')에 지지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삽입부(120')의 내측면은 경사면(121')으로 형성되며, 이 경사면(121')은 제2 몸체(200')와의 결합시 제2 삽입부(22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삽입부(120')의 내측면은 제1 베이스(110')로부터 제1 삽입부(120')의 끝단(도면상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경사지며, 제1 삽입부(120') 내측의 경사면(121')은 축선과 평행한 수직선에 대하여 10°~ 20°의 경사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삽입부(120')의 내측면 경사각이 10°보다 작으면, 제2 삽입부(220')와의 결합시 제1 삽입부(120')에 긁힘 등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제2 삽입부(220')가 구겨지는 등 소성 변형되어 제2 삽입부(220')의 탄성에 의한 텐션 작용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경사각이 20°보다 크면 제2 삽입부(220')와의 사이에 너무 큰 간극이 발생하여 결합시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제2 삽입부(220')의 외측면은 제2 베이스(210')로부터 제2 삽입부(220')의 끝단(도면상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며, 제2 삽입부(220')의 외측면은 축선과 평행한 수직선에 대하여 3°~ 7°의 경사각을 이루는 경사면(222')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삽입부(220')의 외측면 경사각이 3°보다 작으면 제2 삽입부(220')가 구겨지는 등 소성 변형되어 제2 절개홈(223')에 의한 텐션 작용을 기대할 수 없고, 경사각이 7°보다 크면 제1 삽입부(120')와의 사이에 너무 큰 간극이 발생하여 결합시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제1 삽입부(120')의 내측면과 제2 삽입부(220')의 외측면이 각각 소정 각도의 경사면(121',222')을 이룸으로써 제1 삽입부(120')와 제2 삽입부(220')의 결합시 약간의 공차가 형성되며, 제1 삽입부(120') 또는 제2 삽입부(220')가 복수 개로 분할되어 자체 탄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질 때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는 소정 간격 상대 이동하면서 외력을 흡수하여, 마모 발생으로 인해 결합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10")는 천이나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의 원단(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몸체(100")가 원단(1)의 일측(도면상 상측)에 배치되고, 제2 몸체(200")가 원단(1)의 타측(도면상 하측)에 배치된 후, 원단(1)에 형성된 관통공(2)을 통해 상호 결합한다. 이때,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서로 자리를 바꿔서 반대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몸체(100")는 제1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110")와, 제1 관통홀(111")의 둘레를 따라 도면상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120")를 포함한다. 제2 몸체(200")는 제2 관통홀(211")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210")와, 제2 관통홀(211")의 둘레를 따라 도면상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베이스(110")와 제2 베이스(210"), 원단(1)의 관통공(2)과 제1,2 관통홀(111",211")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몸체(100")는 제1 관통홀(111")의 상측 둘레를 따라 걸림턱(112")이 낮게 단차 형성된다. 이 걸림턱(112")은 제2 몸체(200")의 제2 삽입부(220")가 제1 몸체(100")에 삽입될 때, 제2 삽입부(220") 끝단의 돌출부(224")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결합 후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예기치 못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삽입부(120")는 제1 베이스(110")의 저면에서 제1 관통홀(111")의 하측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2 몸체(200")의 제2 삽입부(220")가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원통형의 제1 가이드부(121")와, 제1 가이드부(121")의 상단에서 제1 관통홀(11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112")의 저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122")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121")의 내주면은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122")의 내주면은 제1 베이스(11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더 좁아지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 가이드부(122")의 경사 각도는 중심축선에 대하여 20°~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이드부(122")의 경사 각도가 20°보다 작으면, 가조립을 위해 제2 삽입부(220")를 제1 삽입부(120")의 내측에 삽입할 때, 제1 몸체(100")의 축선과 제2 몸체(200")의 축선이 동일 선상에 있지 않고 소정 각도 서로 기울어져서, 가압시 힘이 불균일하게 전달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제2 가이드부(122")의 경사 각도가 50°보다 크면, 결합 과정에서 제2 삽입부(220")가 제2 가이드부(122")에 의해 제2 베이스(210") 방향으로 눌려서 소성 변형되어, 제2 삽입부(220")의 탄성에 의한 텐션(tension) 작용을 기대할 수 없거나, 결합 후 제1 삽입부(120")와 제2 삽입부(220") 사이에 너무 큰 간극이 발생하여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제2 몸체(200")는 제2 관통홀(211")을 가진 제2 베이스(210")와, 제2 관통홀(211")의 둘레를 따라 원단(1)의 관통공(2) 방향으로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삽입부(220")는, 제2 삽입부(220")의 둘레를 따라 수직하게 절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225")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되며, 절개홈(225")은 제2 삽입부(22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삽입부(220")의 외주면에는 오목하게 라운드진 라운드홈(226")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즉, 제2 삽입부(220")는 제2 관통홀(211")의 상측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이 수직한 제1 지지부(221")와, 제1 지지부(221")의 상단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이 오목하게 라운드진 라운드부(222")와, 라운드부(222")의 상단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이 수직한 제2 지지부(223")를 포함한다.
제2 삽입부(220")의 끝단 즉, 제2 지지부(223")의 상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돌출된 돌출부(224")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224")는 제2 삽입부(220")를 제1 삽입부(120")의 내측에 삽입하였을 때, 제1 몸체(100")의 걸림턱(112")에 걸려서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결합 후 예기치 못한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미관을 위해서는 걸림턱(112")의 깊이와 돌출부(224")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여, 걸림턱(112")에 걸린 돌출부(224")의 상측면이 제1 베이스(110")의 상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돌출부(224")의 외주면은 제1 몸체(100")로 삽입되는 상단에서 걸림턱(112")에 안착되는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더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224")가 제1 가이드부(121")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된 후, 걸림턱(112")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돌출부(224")의 외주면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다. 한편, 돌출부(224")의 상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걸림턱(112")에 걸렸을 때 외관상 제1 베이스(110")의 상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삽입부(220")가 절개홈(225")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되어 자체 탄성을 가지며,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조립시 제2 삽입부(220")의 돌출부(224")가 상대적으로 크게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제2 삽입부(220")의 내주면은 제1 지지부(221")에서 돌출부(224")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더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베이스(210") 상에 지지되는 제1 지지부(221")의 두께는 두껍게 하여 견고하게 지지되게끔 하고, 탄성 변형되는 돌출부(224")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게 하여 조립시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2 삽입부(220")의 내주면이 중심축선과 이루는 경사 각도는 5°~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삽입부(220")의 내주면 경사 각도가 5°보다 작으면 제1 지지부(221")에 대한 돌출부(224")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지 못하고, 제2 삽입부(220")의 경사 각도가 20°보다 크면 돌출부(224") 쪽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너무 얇아서 소성 변형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제1 삽입부(120")의 내측으로 제2 삽입부(220")를 삽입한다. 이때, 제2 삽입부(220")의 돌출부(224")는 제1 가이드부(121")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되어 제2 가이드부(122")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며,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는 동일 축선 상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후, 가압에 의해 돌출부(224")가 제2 가이드부(122")의 내주면을 따라 제1 관통홀(111")로 삽입되며, 이때 제2 삽입부(220")는 내측 방향으로 눌리면서 탄성 변형된다. 돌출부(224")가 걸림턱(112")을 지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 삽입부(220")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며, 돌출부(224")의 저면이 걸림턱(112")의 상측에 걸려서 지지된다.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제2 삽입부(220")의 외주면과, 제1 관통홀(111")의 내주면 및 제1 삽입부(120")의 내주면 사이에 약간의 공차가 형성되며, 따라서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는 상대 회전 가능하다.
종래에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 사이에 별도의 공차를 두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중 외력에 의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상대 회전함으로써 결합력이 저하되고 마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끔 제2 가이드부(122")의 내주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제2 삽입부(220")의 외주면에 라운드홈(226")을 형성하는 등 상대 회전에 필요한 공차를 미리 형성함으로써, 결합력을 계속 유지하고 마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는, 제1 베이스(110a)와 제1 삽입부(120a)를 가진 제1 몸체(100a)와, 제2 베이스(210,210',210")와 제2 삽입부(220,220',220")를 가진 제2 몸체(200,200',20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삽입부(220,220',220")는 제1 삽입부(120a)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제2 몸체(200,200',2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2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몸체(100a)는 제1 베이스(110a)와, 제1 베이스(110a)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120a)를 포함한다. 도 11과 도 12에서는 링 형상의 제1 베이스(110a)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베이스(110a)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삽입부(120a)는 제1 베이스(110a)의 일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의 지지부(121a)와, 지지부(121a)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몸체의 제2 삽입부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가이드부(122a)를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부(122a)의 내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가이드부(122a)의 내주면은 지지부(121a)의 끝단에서 제1 베이스(110a)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더 좁아지게 테이퍼지며, 가이드부(122a)의 제1 베이스(110a) 쪽 끝단에는 제1 베이스(110a)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걸림턱(123a)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부(122a)의 내주면 경사 각도는 중심축선에 대하여 20°~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22a)의 경사 각도가 20°보다 작으면 가이드부(122a)의 두께 때문에 제1 삽입부(120a)의 탄성 변형이 어렵게 되거나, 걸림턱(123a)의 폭이 너무 좁게 형성되어 제2 삽입부의 돌출부(221,221',224")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고, 가이드부(122a)의 경사 각도가 50°보다 크면 결합과정에서 제2 삽입부가 가이드부(122a)에 의해 제2 베이스 방향으로 눌려서 좌굴되는 등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걸림턱(123a)은 제1 삽입부(120a)의 내주면 일측에 제1 베이스(110a)와 대향하여 형성되며, 제1 몸체(100a)와 제2 몸체(200,200',200")의 결합시 제1 삽입부(120a)의 내측으로 삽입된 제2 삽입부(220,220',220")의 돌출부(221,221',224")가 이 걸림턱(123a)에 걸려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베이스(110a)의 중앙에 제1 관통홀(111a)이 관통 형성되고, 이 제1 관통홀(111a)의 테두리를 따라 제1 관통홀(111a)의 반경 방향 외측에 이격하도록 걸림턱(123a)이 형성된다. 이는, 제1 관통홀(111a)을 통해 제1 몸체(100a) 내부의 걸림턱(123a)이 외관상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걸림턱(123a)과 돌출부 사이의 간극에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는 한편, 미감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1 관통홀(111a)의 모서리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베이스(110a)의 외측 모서리 역시 라운드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 베이스(110a)에 제1 관통홀(111a)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몸체의 제2 삽입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가이드부(122a)를 따라 제1 삽입부(120a)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제2 삽입부가 가이드부(122a)를 지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면서 제2 삽입부 끝단의 돌출부가 걸림턱(123a)에 걸려서 지지된다. 이때, 제1 몸체(100a)의 걸림턱(123a)이 제1 베이스(110a)의 일측(도면상 하측)으로 이격하여 제1 관통홀(111a)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됨에 따라, 제1 관통홀(111a)을 통해 제1 몸체(100a)와 제2 몸체의 결합부(걸림턱(123a) 및 돌출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오염되거나 외관상 지저분해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조립체는 전술한 제4 실시예의 장신구 조립체와 그 구성이 거의 동일하며, 다만 제1 몸체(100a')의 제1 삽입부(120a)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130a)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4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몸체(100a')의 제1 삽입부(120a) 둘레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진 절개홈(130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절개홈(130a)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된 제1 삽입부(120a)는 자체 텐션을 가지며,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제2 삽입부가 제1 삽입부(120a)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복수 개의 제1 삽입부(120a)가 외측으로 밀리면서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 : 원단 2 : 관통공
10,10',10" : 장신구 조립체 100,100',100",100a,100a' : 제1 몸체
110,110',110",110a : 제1 베이스 111,111',111",111a : 제1 관통홀
112,112',112",123a : 걸림턱 120,120',120",120a : 제1 삽입부
121,121' : 경사면 122 : 제1 절개홈
130a : 절개홈
200,200',200" : 제2 몸체 210,210',210" : 제2 베이스
211,211',211" : 제2 관통홀 220,220',220" : 제2 삽입부
221,221',224" : 돌출부 222,222' : 경사면
223,223' : 제2 절개홈

Claims (5)

  1.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를 가진 제1 몸체; 및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삽입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가진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의 일측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내주면 일측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관통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끝단이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는, 원통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하여 상기 걸림턱이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은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1 베이스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더 좁아지게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에 의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조립체.
  5. 삭제
KR1020140170304A 2014-09-02 2014-12-02 장신구 조립체 KR101618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304A KR101618987B1 (ko) 2014-09-02 2014-12-02 장신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286A KR101485298B1 (ko) 2014-08-18 2014-09-02 장신구 조립체
KR1020140170304A KR101618987B1 (ko) 2014-09-02 2014-12-02 장신구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286A Division KR101485298B1 (ko) 2014-08-18 2014-09-02 장신구 조립체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871A KR20160027871A (ko) 2016-03-10
KR101618987B1 true KR101618987B1 (ko) 2016-05-12
KR101618987B9 KR101618987B9 (ko) 2021-07-29

Family

ID=5553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304A KR101618987B1 (ko) 2014-09-02 2014-12-02 장신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9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414A (ja) * 2002-04-22 2002-12-17 Tokai Tac:Kk カーテ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030U (ko) 2007-09-21 2009-03-25 권은경 가방의 끈 연결구
KR101011229B1 (ko) 2008-10-24 2011-01-26 주식회사태진인터내셔날 가방 끈 고정구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414A (ja) * 2002-04-22 2002-12-17 Tokai Tac:Kk カーテ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987B9 (ko) 2021-07-29
KR20160027871A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298B1 (ko) 장신구 조립체
KR101556864B1 (ko) 장신구 조립체
KR101829410B1 (ko) 트윈 스냅 버튼
KR100479400B1 (ko) 스냅 파스너가 달린 테이프
US20050265132A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a watchcase with a watch chain
EP0081148A1 (en) Snap fastener for use on garments
US20080244873A1 (en) Separable ornamented button
WO2011118173A1 (ja) フロアマット用クリップ
US20150089976A1 (en) Jewelry and/or holder for coins or other objects
US7649741B2 (en) Case structure for card-type electronic product
US20170354208A1 (en) Assembly type ornament device
CN106998858B (zh) 母按扣
KR101618987B1 (ko) 장신구 조립체
KR20110122019A (ko)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아일렛
KR101490874B1 (ko) 2피스 트윈 스냅 버튼 조립체
JP2013063258A (ja) マグネットを使用した自動ロック式装身具用連結部品
US10111497B2 (en) Button back and button
US20080197625A1 (en) Garden Hose Coupling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9516929B1 (en) Fastening structure of jewellery
KR101574461B1 (ko) 장신구 조립체
TW201536205A (zh) 按扣
US20170000221A1 (en) Zip slider structure
KR101942780B1 (ko) 스냅단추용 암단추
CN212345601U (zh) 腕戴设备
CN216293219U (zh) 扣合更牢固的四合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65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119

Effective date: 202010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41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0726

Effective date: 202011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7715;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010;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204

Effective date: 20210629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