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90669A1 -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90669A1
WO2015190669A1 PCT/KR2015/001763 KR2015001763W WO2015190669A1 WO 2015190669 A1 WO2015190669 A1 WO 2015190669A1 KR 2015001763 W KR2015001763 W KR 2015001763W WO 2015190669 A1 WO2015190669 A1 WO 201519066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hotocurable resin
light
unit
light sourc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17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상조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5/318,31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95840B2/en
Publication of WO201519066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906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29C64/129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characterised by the energy source therefor, e.g. by global irradiation combined with a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29C64/241Driving means for rotary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64Arrangements for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64Arrangements for irradiation
    • B29C64/277Arrangements for irradiation using multiple radiation means, e.g. micromirrors or multiple light-emitting diodes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64Arrangements for irradiation
    • B29C64/286Optical filters, e.g.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79Handling of additively manufactured objects, e.g. using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a photocurable resin, and more particularly, a photocurable resin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in a cured state by moving the accommodating part containing the photocurable resin along the spiral direction.
  •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is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by stacking a material such as polymer (resin), metal, etc. in a liquid or powder form in a layer-by-layer process according to the design data.
  • RP Rapid Prototyping
  • 3D CAD 3D CAD using laser and powder materials. It is a concept opposite to Subtractive Manufacturing, which produces three-dimensional objects by cutting or cutting three-dimensional materials by machining or laser.
  •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 MAM photocurable resin and Multi Jetting Modeling
  • the DLP method has the advantages of low cost, uniform work speed, and relatively fast molding speed. Despite these advantages,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adheres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during curing of the photocurable resin, and thus the shape of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is damag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the photocurable resin can be e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ing portion by moving the receiving portion accommodated therein along the spiral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a photocurable resin.
  • the object is provided wit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he receiving portion for providing a space for curing the photocurable resin contained therein through the light; A moving part for moving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photocurable resi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is sequentially cured by the light; And a separation guide part mounted on the accommodating part and simultaneously moving with the accommodating part in a spiral direction so that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Is achieved by.
  •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the body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 a driving unit having a rotating shaft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ody to move one end of the body along a direction of gravity through rotation of the protrusion; It is preferably provided as a pair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any one of the pair of the movement of the drive unit is fixed in position and the other sliding portion sliding on the body; preferably includes.
  • the sliding portion is preferably rotatably mounted at both edges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 a rail unit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is connected to the sliding unit so that the sliding unit can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separation guide part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reventing part having one end rotatably mounted at both edges of one end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penetr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so as to prevent the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a predetermined movement direction. It is preferable.
  •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is mounted 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returning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and the body to the original position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light information from the optical sensor and control the intensity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 the restriction par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restriction part is separated from the body is a time point at which the accommodation part and the moving part contact each other.
  •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a photocurable resin that can effectively separate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 the photocurable resin can be efficiently cured by measuring the intensity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 the case is connected between the case and the body, the restriction portion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by limi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body in a direction close to the case;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a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ving part in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FIG. 1,
  •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paration guide in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a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FIG.
  •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a tilt occurs in a body in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FIG. 1,
  •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a twist occurs in a body in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FIG. 1,
  •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how a tilt and a twist occur simultaneously in a body in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FIG. 1,
  • FIG. 7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n the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FIG. 1,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a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a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100 using the photocurable resin includes a cured photocurable resin from an inner wall surface of a receiving portion without deforming the shape of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 the light source 110 emits light for curing the photocurable resin.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may be provided with ultraviolet (UV).
  • UV ultraviolet
  • fine pixels can be used by having a phase-modulated exposure head using ultraviolet rays as a light sourc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ght of any region may be used, such as an electron beam (EB) or visible light, as long as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can be printed by curing the photocurable resin.
  • EB electron beam
  • visible light any region
  • the light adjusting unit 120 is provided between the light source 110 and the receiv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controls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to reach the receiving unit 130 side.
  • the light adjusting unit 120 is installed on the light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to adjust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ight reaching the receiving unit 130 side.
  • the light adjusting unit 120 may be a shutter for determining the progress of the light by entering or leaving the light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 the light adjusting part 120 may completely enter the light path of the light to completely block the progress of the light, In order to control the area to be cured accordingly, the light control unit 120 may adjust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ight by completely leaving or partially entering the light path of the light.
  • the light adjusting unit 120 is not implemented only by the above description, it is natural that any means for adjusting the irradiation area of light can be applied.
  • the accommodating part 130 accommodates the photocurable resin therein, and provides a space where the photocurable resin is cured.
  • the photocurable resi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30 is applied to the light in the ultraviolet reg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with the ultraviolet curing resin hardened
  • the photocurable resi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30 may use an electron beam curable resin, and also, the light source When emitting light corresponding to the region of visible light from 110, a cured resin cured through light in the region of visible light may be used.
  • E-Beam electron beam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and the photocurable resi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130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 the three-dimensional printing is to cure the photocurable resin corresponding to the two-dimensional plane to which light is irradiated, but this process is repeated sequentially to eventually print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tended by the user, the receiving portion 130
  • the bottom surface is positioned to face the light source 110 to cure the photocurable resin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130 in a two-dimensional plane.
  • the region where the curing of the photocurable resin occurs is a region close to the light source 110, that is, the region clos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0, more preferably the receiving portion 130 It can be the hypodermic.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ving part in the 3D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FIG. 1.
  • the moving part 140 is for sequentially curing the photocurable resin in three dimensions,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 the moving unit 140 moves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in the direction of gravity, more preferably, the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be printed by the user. Move away from the light source 110 along the direction.
  • uncured photocurable resins are introduced into a region where curing of the photocurable resin occurs in the accommodating part 130, and then the light whose irradiation area is controlled by the light control part 120 is irradiated, The photocurable resin is cured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imensional structure.
  • the moving part 140 is provided to move the cured photocurable resins by attaching the curable photocurable resins on the bottom surface facing the light source 110 at the same time.
  • At least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40 is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30, and curing of the photocurable resin occurs in a reg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40 and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 the photocurable resin is cured at the same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unit 140 Preferably, they are spaced at intervals that can be attached.
  •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4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better adhesion to the photocurable resin tha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paration guide part in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FIG. 1.
  • the separation guide part 150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 the body 151, the driving portion 152, the sliding portion 155, the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156 and the elastic member 157 include.
  • the body 151 serves as a main frame of the separation guide unit 150 and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130. More preferably, the body 151 and the accommodating part 130 may be integrally moved by being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 the body 151 is provided as a flat member, and the insertion portion 151a into which the accommodation portion 130 can be inserted is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ody 151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in a state where no tilt and twist have occurred.
  •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a tilt occurs in a body in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FIG. 1.
  • the driving unit 15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ody 151 and guides a tilt to occur at one end of the body 151, and radiates on the rotation shaft 153 and the rotation shaft 153.
  • a protrusion 154 protruding along the direction is formed.
  • the rotating shaft 153 of the driving unit 152 maintains a state of contact with one end of the body 151, and the rotating shaft 153 of the driving unit 152 rotates to protrude a portion of one end of the body 151.
  • one end of the body 151 is inclined downward, which is defined as tilt.
  • the inclination degree of one end of the body 151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protrusion 154 and the body 151, the body (if the protrusion 154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one end of the body 151) 151) The inclination of one end is maximum.
  • the accommodating part 130 also generates a tilt with the body 151.
  •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53 of the drive unit 152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the body by appropriately adjusting any one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53 and a pair of sliding parts 155 to be described later.
  •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151 may be changed.
  •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a twist occurs in a body in the 3D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FIG. 1.
  • a pair of the sliding parts 155 are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51, and in detail, when the driving part 152 moves, the protrusion 154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body 151. In this case, any one of the pair is fixed and the other is to generate a twist of the body 151 by slid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ne 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51.
  • the sliding part 155 is rotatably mounted at both side edges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151, which is adapted to move the other one of the sliding parts 155 by a tilt generated at one end of the body 151. It is for sliding.
  • the body 151 may be rotated around the fixed sliding part 155.
  •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ody 151 is determined depending on which sliding part of the pair of sliding parts 155 to fix, the direc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how a tilt and a twist occur simultaneously in a body in the 3D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FIG. 1.
  • the body 151 moves along the spiral direction by simultaneously generating tilt and rotation, and the receiving part 130 moving simultaneously with the body 151 also moves along the spiral direction.
  • the movement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30 along the spiral direction is for effectively separating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30. That is, the shear force and the vertical drag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photocurable resin attached to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to separate them.
  • the shape of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by simply moving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through the moving part 140 or by separating the receiving part 130 from the moving part 140, the shape of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Since the damage is very hig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wist and a tilt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accommodating part 130 so that the damage of the shape does not occur.
  • the sliding part 155 is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at least in contact with the opposite sides of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151,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liding portion 155 and the body 151 when the rotation of the body 151 occurs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withstand the applied load.
  •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body 151 is provided to be smaller than the degree of tilt of the body 151, thereby minimizing the load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liding part 155 and the body 151.
  • the detachment preventing part 156 is rotatably mounted at one end of the body 151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151 is moved by the driving unit 152 by penetr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6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to prevent the movement from the predetermined direction of movement.
  •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156 limits the movement range of the body 151, and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body 151 can repeatedly move within this movement range.
  •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156 is disposed between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156 and the case 160, or the elastic member disposed to be supported by the case 160 through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56 ( 157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elastic member 157 is connected to the body 151.
  •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o maintain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body 151 and the rotation shaft 153.
  • the tilt of the body 151 is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152, but is recovered by the elastic member 157.
  •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156 does not move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but moves in a direction that is partially defle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twist) occurs.
  • the twisted displacements are generated in a small way, so that they can be seen to move substantially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 the case 160 accommodates the light source 110, the light control unit 120, and the separation guide unit 150 therein.
  • At least the process of curing the photocurable resin is carried out inside the case 160, thereby inadvertently interfering with elements that negatively affect the process of curing the photocurable resin Can be excluded.
  • the case 160 may further include a rail unit 161 connected to the sliding unit 155 of the separation guide unit 150 to allow the sliding unit 155 to slide.
  • the rail part 161 extend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60 and extends with the sliding part 155 so that the sliding part 155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connection part 162 extend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60 to fix the position of the rail 163.
  • the rail 163 is a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body 151 to the other end or from the other e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ength direction”), and is a member to which the sliding part 155 is slidably mounted.
  • the rail 161 is provided in pair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sliding parts 155.
  • the limiting unit 170 is connected between the body 151 and the case 160, and in particular, one end connected to the case 160 is provided as a detachable member with the case 160. In this case, the movement path of the body 151 in the direction close to the case 160 is limited.
  • the limiting unit 170 is provided with a pair between the pair of escape preventing parts 156, but one end penetrates through the case 160, but the limiting part by one end and the diameter is reduced in the middle portion.
  • the path of movement of 170 is limited. This also limits the movement path of the body 151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miting portion 170, in particular, the extent to which the body 151 is close to the case 160, that is, the upward of the body 151 Limit the path of movement to
  • the limiting unit 170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current between the body 151. This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patterning initial position by measur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130 and the moving portion 140.
  • the limiting unit 170 is the body The contact state of the limiting unit 170 and the body 151 is released from the 151.
  • the tilt 151 on the body 151 Is the case, which is the case that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unit 140 is in contact.
  • the time point at which the flow of current is cut off between the body 151 and the limiting part 170 is determined as the initial time of patterning, and from this time, the moving part 140 is raised by a certain height so as to lower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130.
  •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unit 140 may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portion 140 are spaced approximately 25 to 50 ⁇ m, and if the moving portion 140 is moved upwards by about 50 ⁇ m each time, At the time point irradiated to the accommodating part 130 side,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ardened photocurable resin remain spaced at substantially the same interval.
  •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3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unit 14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s necessary.
  • the optical sensor unit measures informa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 the optical sensor unit measures the information of the light by converting the light intensity into a voltage.
  • FIG. 7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n the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FIG. 1.
  • the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may be constantly output by measuring it at a real time o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 the controller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light from the above-described optical sensor unit (not shown) and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 the reason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optical sensor unit (not show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a photocurable re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ing a photocurable resin irradiation step (S110) and light control step (S120), separation step (S130) and moving step (S140) ) And a repeating step (S150).
  • the irradiation step (S110) is a step of irradia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to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30.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photocurable resin, as described above.
  • the irradiation step S110 may further include a light measuring step S111 and a light amount controlling step S112.
  • the light measuring step S111 measure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by measur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in real time o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light amount controlling step S112 is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 the controller not shown
  • the light irradiated to the receiving unit 130 may maintain a constant intensity.
  • the light adjusting step (S120) is a step of adjusting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through the light adjusting unit 120.
  • the light adjusting unit 120 is disposed on the optical path to block the progress of light toward the receiving unit 1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paration step (S130) is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unit 140, through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150, more precisely through the tilt (tilt) and the rotation (twist) of the body (151) receiving portion ( It is a step of separating the photocurable resin attach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0 in a cured state by moving the 130 in a spiral direction.
  • the position of the pair of sliding part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tilt (tilt)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in a spiral direction more precisely, one end of the body 110 in a spiral direction Through the rotation (twist) about the other one is fixed,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receiving portion 130 at the same time with the separation guide 150.
  •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without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inner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0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cotton.
  • the moving step S140 is a step of moving the photocurable resin separat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art 130 through the separating part S130 upward through the moving part 140.
  • the three-dimensional printing is carried out through the step-by-step curing in the receiving unit 130, the present movement step (S140) is a photocurable resin cured in the receiving unit 130 is a region where curing occurs And the liquid photocurable resin enters the region where curing occurs.
  • the present movement step (S140) is a photocurable resin cured in the receiving unit 130 is a region where curing occurs
  • the liquid photocurable resin enters the region where curing occurs.
  • the interval for moving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by the moving unit 140 is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is separated from the area where the curing occurs, more preferably the bottom surface of the cured photocurable resin The photocurable resin is moved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terface of the region where curing occurs.
  • the repeating step (S150) is a step of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irradiation step (S110) to the moving step (S140) until the printing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comple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경화성 수지가 수용된 수용부를 나선방향을 따라 운동시킴으로써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제공받으며, 상기 광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광경화성 수지가 상기 광에 의해 순차적으로 경화되도록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수용부에 장착되며,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가 상기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나선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와 동시에 움직이는 분리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본 발명은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경화성 수지가 수용된 수용부를 나선방향을 따라 운동시킴으로써 경화된 상태로 수용부의 바닥면에 부착된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2차원 프린터(2D printer) 뿐만 아니라 3차원의 입체물을 프린팅할 수 있는 3차원 프린터(3D printer)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3차원 프린터는 설계 데이터에 따라 액체 또는 파우더 형태의 폴리머(수지), 금속 등의 재료를 가공·적층방식(Layer-by-layer)으로 쌓아올려 입체물을 제조하는 장비이다.
이는, 3차원 CAD에 따라 생산하고자 하는 형상을 레이저와 파우더 재료를 활용하여 신속 조형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RP(Rapid Prototyping)에서 유래되었다. 입체형상의 재료를 기계가공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자르거나 깎는 방식으로 입체물을 생산하는 절삭가공(Subtractive Manufacturing)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현재까지는 다양한 3차원 프린터가 개발되었으며, 필라멘트 형태의 열가소성 물질을 노즐 내부에서 용융시켜 얇은 필름 형태로 출력하는 방식으로 적층하는 용융 침착 모델링(Fused Deposition Modeling:FDM) 방식, 프린터 헤드에서 광경화성 수지와 왁스(wax)를 동시분사한 후, 자외선으로 고형화하는 방식으로 적층하는 멀티 젯팅 모델링(Multi Jetting Modeling:MJM) 방식,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수지에 조형하고자 하는 모양의 빛을 DLP(Digital Light Projector)에 투사하여 적층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DLP 방식은 가격이 저렴하고 작업속도가 균일하며, 비교적 빠른 조형 속도를 가진다는 장점이 존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동안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가 수용부의 내측벽면에 부착되고 이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의 형상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특히 DLP 방식을 통해 3차원 구조물 형상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부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얼마나 효율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는지 여부가 해결해야할 과제 중 하나로서, 이의 해결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경화성 수지가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를 나선방향을 따라 운동시킴으로써 수용부의 내측 벽면에서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효율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제공받으며, 상기 광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광경화성 수지가 상기 광에 의해 순차적으로 경화되도록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수용부에 장착되며,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가 상기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나선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와 동시에 움직이는 분리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안내부는, 상기 수용부의 외면을 감싸는 몸체; 외면상에 돌출부가 형성된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전을 통해 상기 몸체의 일단을 중력방향을 따라 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몸체 타단에 장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의 운동시 한 쌍 중 어느 하나는 위치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몸체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몸체 타단의 양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 상기 광조절부 및 상기 분리안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안내부는 상기 몸체가 기설정된 운동방향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단은 상기 몸체 일단의 양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을 관통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안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 상에 장착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에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분리안내부 및 상기 몸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정보를 측정하는 광 센서부; 상기 광 센서부로부터 광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한부는 상기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한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하는 시점을 상기 수용부와 상기 이동부가 접촉하는 시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부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부가 반복적으로 움직이더라도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최초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몸체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의 운동경로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서 이동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서 분리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서 몸체에 틸트(tilt)가 발생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서 몸체에 회전(twist)가 발생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서 몸체에 틸트(tilt) 및 회전(twist)가 동시에 발생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의 변화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100)는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의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부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광원(110)과 광조절부(120)와 수용부(130)와 이동부(140)와 분리안내부(150)와 케이스(160)와 광센서부(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110)은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광을 방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자외선(UV)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다른 가시광선에 비하여 파장이 짧기 때문에 자외선을 광원으로 하는 위상변조 노광헤드를 갖추는 것으로 미세한 화소를 쓰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3차원 구조를 인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전자빔(Electron Beam:EB) 또는 가시광선과 같이 어떠한 영역의 광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광조절부(120)는 광원(110)과 후술할 수용부(130) 사이에 마련되며,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어 수용부(130) 측에 도달하는 광의 조사 면적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광조절부(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광경로 상에 설치되어 수용부(130) 측으로 도달하는 광의 조사 면적을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광조절부(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광경로상에 진입하거나 또는 이탈함으로써 광의 진행을 결정하는 셔터(shutter)일 수 있다.
즉,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부(130)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 과정 동안에 광조절부(120)는 광의 광경로 상에 완전히 진입하여 광의 진행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고, 인쇄되는 형상에 따라 경화되는 영역을 조절하기 위해 광조절부(120)는 광의 광경로 상에 완전히 이탈하거나 일부 진입함으로써 광의 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조절부(120)가 상술한 내용에 의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광의 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수용부(130)는 내부에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하며, 또한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광원(110)은 자외선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용부(130) 내부에 수용되는 광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영역의 광에 반응하여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수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는 달리 광원(110)이 전자빔(E-Beam)을 방출하는 경우에는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광경화성 수지는 전자빔 경화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광원(110)으로부터 가시광선의 영역에 해당되는 광을 방출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선의 영역의 광을 통해 경화되는 경화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및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광경화성 수지는 서로 대응되게 마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3차원 인쇄는 광이 조사되는 2차원 평면에 대응되게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되 이러한 과정이 순차적으로 반복됨으로써 종국적으로 사용자가 의도하는 3차원 구조를 인쇄하게 되므로, 수용부(130)는 하면이 광원(110)을 마주보게 위치시킴으로써 수용부(130) 내부의 광경화성 수지를 2차원 평면으로 경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가 발생하는 영역은 광원(110)에 근접한 영역, 즉, 수용부(130)의 하면에 근접한 영역, 더 바람직하게는 수용부(130)의 최하면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서 이동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140)는 광경화성 수지를 3차원으로 순차적으로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3차원 형상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광경화성 수지가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된 광에 의해 경화가 완료되면, 이동부(140)는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중력방향, 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인쇄하고자 하는 3차원 구조의 높이방향을 따라 광원(1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수용부(130) 내부에서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가 발생하는 영역에는 경화되지 않은 광경화성 수지들이 유입되고, 이후 광조절부(120)에 의해 조사 면적이 조절된 광이 조사됨으로써, 3차원 구조의 형상에 대응되게 순차적으로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140)는 광원(110)을 마주보는 하면상에 광경화성 수지들이 경화됨과 동시에 부착됨으로써,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들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즉, 적어도 이동부(140)의 하면은 수용부(130) 내부에 위치하고, 이동부(140)의 하면과 수용부(130)의 내측 하면의 사이 영역에서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가 발생한다.
여기서, 이동부(140)의 하면과 수용부(130) 내측 하면 사이의 이격 간격은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고려하여,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됨과 동시에 이동부(14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부(140) 하면은 광경화성 수지와의 부착력이 수용부(130)의 내측 하면보다 더 우수한 소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서 분리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분리안내부(150)는 상술한 이동부(140)가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이동시키는 경우,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가 수용부(130) 내측 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수용부(130)를 나선방향을 따라 운동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몸체(151)와 구동부(152)와 슬라이딩부(155)와 이탈방지부(156)와 탄성부재(157)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51)는 분리안내부(150)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수용부(130)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수용부(130)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됨으로써 몸체(151)와 수용부(130)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몸체(151)는 평판형의 부재로 마련되며, 수용부(1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51a)가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몸체(151)는 틸트(tilt) 및 회전(twist)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서 몸체에 틸트(tilt)가 발생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52)는 몸체(151)의 일단에 연결되어 몸체(151)의 일단에 틸트(tilt)가 발생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회전축(153)과 회전축(153) 상에서 방사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154)가 형성된다.
즉,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구동부(152)의 회전축(153)이 몸체(151)의 일단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구동부(152)의 회전축(153)이 회전하여 몸체(151)의 일단에 돌출부(154)가 접촉하게 되면, 몸체(151)의 일단은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이를 틸트(tilt)라 정의한다.
여기서, 돌출부(154)와 몸체(151) 일단의 접촉 위치에 따라서 몸체(151) 일단의 기울어짐 정도가 상이해지며, 돌출부(154)가 몸체(151) 일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몸체(151) 일단의 기울어짐이 최대가 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130)도 몸체(151)와 함께 틸트(tilt)가 발생한다.
또한, 구동부(152)의 회전축(153)의 회전방향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회전축(153)의 회전방향 및 후술할 한 쌍의 슬라이딩부(155) 중 고정되는 어느 하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몸체(151)의 회전(twist)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서 몸체에 회전(twist)가 발생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155)는 한 쌍이 몸체(151)의 타단에 장착되며, 구동부(152)의 움직임 시, 더 자세히는 돌출부(154)가 몸체(151) 일단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한 쌍 중 어느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몸체(151)의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몸체(151)의 회전(twist)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슬라이딩부(155)는 몸체(151) 타단의 양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는, 몸체(151) 일단에 발생하는 틸트에 의해 슬라이딩부(155) 중 다른 하나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함이다.
즉, 슬라이딩부(155)가 몸체(151) 타단의 양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 몸체(151) 일단의 틸트에 부정적인 영향을 배제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슬라이딩부(155) 중 어느 하나는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는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고정된 슬라이딩부(155)를 중심으로 하여 몸체(1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몸체(151)의 회전방향은 한 쌍의 슬라이딩부(155) 중 어느 슬라이딩부를 고정시키는지에 따라 결정되며, 그 방향성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서 몸체에 틸트(tilt) 및 회전(twist)가 동시에 발생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구동부(152)와 슬라이딩부(155)의 연동과정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구동부(152)의 돌출부(154)에 의해 몸체(151) 일단에 틸트(tilt)가 발생하는 경우, 몸체(151)의 타단에서는 고정된 슬라이딩부(155)를 중심으로 회전(twist)이 발생한다.
즉, 몸체(151)는 틸트(tilt)와 회전(twist)이 동시에 발생함으로써 나선방향을 따라 움직이게 되며, 몸체(151)와 동시에 움직이는 수용부(130)도 나선방향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수용부(130)를 나선방향을 따라 움직이게 하는 것은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부(130)의 내측 하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함이다. 즉, 수용부(130)의 내측 하면에 부착된 광경화성 수지에 전단력 및 수직항력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이를 분리해낸다. 단순히, 이동부(140)를 통해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수용부(130)를 이동부(140)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의 형상이 훼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러한 형상의 훼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수용부(130)에 회전(twist)와 틸트(tilt)를 동시에 가하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딩부(155)는 적어도 몸체(151)의 타면 양측 모서리와 접촉하는 부분이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마련되어, 몸체(151)의 회전 발생시 슬라이딩부(155)와 몸체(151)의 연결부위에 인가되는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51)의 회전(twist) 정도는 몸체(151)의 틸트(tilt) 정도보다 작게 마련함으로써 슬라이딩부(155)와 몸체(151)의 연결부위에 인가되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156)는 일단이 몸체(151)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후술할 케이스(160)의 외면을 관통함으로써 구동부(152)에 의해 운동하는 몸체(151) 일단의 움직임이 기설정된 운동방향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이탈방지부(156)는 몸체(151)의 운동범위를 제한하고, 이러한 운동범위 내에서 몸체(151)가 반복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이탈방지부(156)는 이탈방지부(156)와 케이스(160)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이탈방지부(156)를 관통하되 케이스(160)에 의해 지지되게 배치되는 탄성부재(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구동부(152)의 돌출부(154)가 몸체(151) 일단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부(152)의 회전축(153)이 더 회전할 때, 탄성부재(157)는 몸체(151)에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몸체(151)와 회전축(153)의 접촉 상태를 유지시킨다.
다시 설명하면, 몸체(151)의 틸트(tilt)는 구동부(152)에 의해 발생되나, 탄성부재(157)에 의해 회복된다.
한편, 이탈방지부(156)는 중력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은 아니며, 회전(twist)이 발생되는 방향으로 일부 편향되게 움직인다. 물론, 트위스트(twist)되는 변위가 미소하게 발생되므로 실질적으로 중력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케이스(160)는 광원(110), 광조절부(120) 및 분리안내부(150)를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과정이 케이스(160) 내부에서 수행되게 함으로써,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의도치않게 간섭하는 것을 배재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스(160)는 분리안내부(150)의 슬라이딩부(155)와 연결되어, 슬라이딩부(155)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레일부(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161)는 케이스(160)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연장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부(155)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155)와 연장되는 부재로서, 연결부(162)와 레일(163)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62)는 케이스(160)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레일(163)의 위치를 고정하는 부재이다.
상기 레일(163)은 몸체(151)의 일단에서 타단, 또는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는 방향(이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슬라이딩부(155)가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부재이다.
한편, 레일부(161)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155)와 대응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한부(170)는 몸체(151)와 케이스(160) 사이에 연결되되, 특히, 케이스(160)와 연결되는 일단은 케이스(160)와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부재로서, 케이스(16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몸체(151)의 운동경로를 제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한부(170)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156) 사이에 한 쌍이 마련되되 일단은 케이스(160)를 관통하되 일단 및 중단에 직경이 감소되는 부분에 의해 제한부(170)의 운동 경로가 제한된다. 이는, 제한부(170)의 타단과 탈착가능하게 연결된 몸체(151)의 운동 경로도 역시 제한하며, 특히, 몸체(151)가 케이스(160)에 근접하는 정도, 즉, 몸체(151)의 상향으로의 운동 경로를 제한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한부(170)는 몸체(151)와의 사이에서 전류가 발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수용부(130)와 이동부(140) 사이의 접촉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패터닝 초기 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동부(140)의 움직임에 의해 수용부(130)와 이동부(140)가 접촉함으로써 몸체(151)에 틸트(tilt)만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한부(170)는 몸체(151)로부터 이탈되어 제한부(170)와 몸체(151)의 접촉 상태는 해제된다.
여기서, 이동부(140)의 움직임에 의해 수용부(130)의 내측 하면과 이동부(140)의 하면이 접촉하면, 수용부(130)에 중력방향으로의 힘이 인가되므로 몸체(151)에 틸트(tilt)만이 발생한다.
즉, 이동부(140)가 수용부(130) 측으로 근접하는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서, 몸체(151)와 제한부(170) 사이에서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면, 몸체(151)에 틸트(151)만이 발생한 경우이고, 이는 수용부(130)의 내측 하면과 이동부(140)의 하면이 접촉한 경우에 해당된다.
따라서, 몸체(151)와 제한부(170) 사이에서 전류의 흐름이 차단된 시점을 패터닝 초기 시점으로 결정하고, 이때부터 이동부(140)를 일정한 높이만큼 상승시켜 수용부(130)의 내측 하면과 이동부(140)의 하면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용부(130)의 내측 하면과 이동부(140)의 하면은 대략 25 ~ 50 ㎛ 이격되며, 이동부(140)를 1회마다 50 ㎛ 정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광이 수용부(130) 측에 조사되는 시점에서는 수용부(130)의 내측 하면과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의 하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수용부(130)의 내측 하면과 이동부(140)의 하면의 이격 간격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부(미도시)는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정보를 측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광센서부(미도시)는 광의 세기를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광의 정보를 측정한다.
도 7은 도 1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에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의 변화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광량은 시간에 따라 변하게 되므로, 이를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함으로써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가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술한 광센서부(미도시)로부터 광의 정보를 입력받아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이유는 상술한 광센서부(미도시)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의 작동 방법은 조사단계(S110)와 광조절단계(S120)와 분리단계(S130)와 이동단계(S140)와 반복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조사단계(S110)는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용부(130)의 외측 하면으로 조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광경화성 수지의 성질에 따라 선택되는 것은, 상술한 것과 같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사단계(S110)는 광 측정단계(S111) 및 광량 제어단계(S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광원(110)으로부터 수용부(130)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는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함에 비해,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광 측정단계(S111)는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를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측정함으로써 광량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광량 제어단계(S112)는 이러한 광량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수용부(130)에 조사되는 광이 일정한 세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조절단계(S120)는 광조절부(120)를 통해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조사 면적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용부(130) 측으로 광의 진행이 차단되도록 광조절부(120)를 광경로 상에 배치시키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리단계(S130)는 이동부(140)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분리안내부(150)를 통해, 더 정확히는 몸체(151)의 틸트(tilt) 및 회전(twist)을 통해 수용부(130)를 나선방향을 따라 운동시킴으로써 경화된 상태로 수용부(130) 내측 바닥면에 부착된 광경화성 수지를 분리시키는 단계이다.
종래에는 단순히 수용부(130) 또는 이동부(140)를 이동시킴으로써 수직항력 또는 전단응력을 가함으로써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부(13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는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의 3차원 형상이 훼손되는 문제가 상당수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분리안내부(150)를 나선방향, 더 정확히는 몸체(110) 일단의 기울어짐을 의미하는 틸트(tilt) 및 몸체(110) 타단에 장착된 한 쌍의 슬라이딩부 중 위치가 고정된 다른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twist)을 통해, 분리안내부(150)와 동시에 움직이는 수용부(130)를 운동하게 한다.
즉, 수용부(130)와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의 접촉 부위에 전단력 및 수직항력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종래보다 더 효과적으로, 3차원 구조의 형상변형 없이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수용부(130)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단계(S140)는 분리단계(S130)를 통해 수용부(13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된 광경화성 수지를 이동부(140)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3차원 인쇄는 수용부(130)에서 단계적인 경화를 통해 수행되므로, 본 이동단계(S140)는 수용부(130) 내에서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는 경화가 발생하는 영역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가 발생하는 영역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이동부(140)에 의해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이동시키는 간격은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의 바닥면이 경화가 발생하는 영역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더 바람직하게는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의 바닥면이 경화가 발생하는 영역의 경계면과 접할 때까지 광경화성 수지를 이동시킨다.
상기 반복단계(S150)는 3차원 구조의 인쇄가 완료되기까지 상술한 조사단계(S110) 내지 이동단계(S140)를 반복하는 단계이다.
즉, 이동단계(S140)가 완료된 상태에서, 다시 수용부(130)로 광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경화된 상태로 수용부(130)의 내측 바닥면에 부착된 광경화성 수지를 분리시키며, 2회에 걸쳐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이동부(140)를 통해 이동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고, 다시 반복한다.
결국, 반복단계(S150)가 완료되는 시점에 3차원 구조의 인쇄는 완료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Claims (9)

  1.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제공받으며, 상기 광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광경화성 수지가 상기 광에 의해 순차적으로 경화되도록,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수용부에 장착되며,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가 상기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나선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와 동시에 움직이는 분리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안내부는,
    상기 수용부의 외면을 감싸는 몸체;
    외면상에 돌출부가 형성된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전을 통해 상기 몸체의 일단을 중력방향을 따라 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장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의 운동시 한 쌍 중 어느 하나는 위치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몸체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몸체 타단의 양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상기 광조절부 및 상기 분리안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안내부는,
    상기 몸체가 기설정된 운동방향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몸체 일단의 양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면을 관통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안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 상에 장착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에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분리안내부 및 상기 몸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몸체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의 운동경로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한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하는 시점을, 상기 수용부와 상기 상기 이동부가 접촉하는 시점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정보를 측정하는 광 센서부; 및
    상기 광 센서부로부터 광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PCT/KR2015/001763 2014-06-13 2015-02-24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WO201519066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18,319 US10195840B2 (en) 2014-06-13 2015-02-24 Three-dimensional printer using photocurable res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308 2014-06-13
KR1020140072308A KR101624035B1 (ko) 2014-06-13 2014-06-13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0669A1 true WO2015190669A1 (ko) 2015-12-17

Family

ID=5483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1763 WO2015190669A1 (ko) 2014-06-13 2015-02-24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95840B2 (ko)
KR (1) KR101624035B1 (ko)
WO (1) WO20151906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15269B (zh) * 2016-12-22 2018-02-21 綠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三維列印裝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0897B2 (en) * 2015-05-07 2021-06-01 Addifab Aps Additive manufacturing yield improvement
KR101842511B1 (ko) * 2016-03-22 2018-03-27 이병극 광경화식 3d 성형장치
TW201811542A (zh) 2016-07-28 2018-04-01 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控制用於積層製造的能量束之強度分佈
KR102261904B1 (ko) * 2017-11-03 2021-06-08 주식회사 쓰리딜라이트 캘리브레이션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KR102261912B1 (ko) * 2017-11-03 2021-06-08 주식회사 쓰리딜라이트 출력물 세척 장치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CN110435137A (zh) * 2019-08-23 2019-11-12 杭州德迪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高频剪切光固化三维成形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9068A2 (en) * 1989-01-18 1990-07-25 Mitsui Engineering and Shipbuilding Co, Ltd. Optical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50108953A (ko) * 2004-05-14 2005-11-17 안정호 쾌속광조형기
KR100930788B1 (ko) * 2008-10-28 2009-12-09 주식회사 캐리마 대, 소형 광조형 장치.
KR20120033352A (ko) * 2009-08-03 2012-04-06 디더블유에스 에스.알.엘. 개선된 스테레오리소그래피 머신
US20130052292A1 (en) * 2010-05-17 2013-02-28 Dws S.R.L. Stereolithography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2746B1 (de) 2004-05-07 2011-04-27 Envisiontec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eidimensionalen objekts mit verbesserter trennung ausgehärteter materialschichten von einer bauebene
DK2083992T3 (en) 2006-11-10 2016-09-12 Envisiontec Gmbh Continuous, generative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US8003039B2 (en) * 2007-01-17 2011-08-23 3D Systems, Inc. Method for tilting solid image build platform for reducing air entrainment and for build release
JP2010240865A (ja) * 2009-04-01 2010-10-28 Real Vision Systems Inc 光造形装置
US8372330B2 (en) * 2009-10-19 2013-02-12 Global Filtration Systems Resin solidification substrate and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9068A2 (en) * 1989-01-18 1990-07-25 Mitsui Engineering and Shipbuilding Co, Ltd. Optical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50108953A (ko) * 2004-05-14 2005-11-17 안정호 쾌속광조형기
KR100930788B1 (ko) * 2008-10-28 2009-12-09 주식회사 캐리마 대, 소형 광조형 장치.
KR20120033352A (ko) * 2009-08-03 2012-04-06 디더블유에스 에스.알.엘. 개선된 스테레오리소그래피 머신
US20130052292A1 (en) * 2010-05-17 2013-02-28 Dws S.R.L. Stereolithography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15269B (zh) * 2016-12-22 2018-02-21 綠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三維列印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13419A1 (en) 2017-04-27
KR20150143968A (ko) 2015-12-24
US10195840B2 (en) 2019-02-05
KR101624035B1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90669A1 (ko)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US5556590A (en) Apparatus for production of three-dimensional objects by stereolithography
WO2018117351A1 (ko) Lcd 방식 3d 프린터
US10067420B2 (en) Imprin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US9770850B2 (en) Imprint apparatus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US10228624B2 (en) Lithography apparatus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BR112018070901B1 (pt) Método para a aderência de um objeto a um portador de objeto em um processo estereolitográfico e dispositivo para a realização do método
US11413793B2 (en) Imprint apparatus, imprint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duct
WO2016200015A1 (ko) 3차원 프린터 및 그의 작동방법
US20180067392A1 (en) Imprin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JP2011097114A5 (ja) 露光装置及び液体供給方法
KR20150143321A (ko) 임프린트 방법, 임프린트 장치 및 물품의 제조 방법
WO2018174338A1 (ko) 3d 프린팅 시스템 및 그의 오류 검사 및 제어방법
KR20180098626A (ko) 임프린트 장치 및 물품의 제조 방법
US10915032B2 (en) Cleaning apparatus, imprint apparatus, lithography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KR20150143320A (ko) 임프린트 장치, 임프린트 방법, 물품의 제조 방법, 및 공급 장치
KR101882574B1 (ko)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JP2014094472A (ja) 露光装置、画像形成装置
KR20190089213A (ko) 임프린트 시스템 및 물품 제조 방법
US10737442B2 (en) Electrophotography-based 3D printing with improved layer registration
CN115836251A (zh) 模块化平行电子光刻
WO2018186515A1 (ko) 디엘피 프로젝터 및 레이저 스캐너를 병용하는 3차원 프린팅 장치
JP5366735B2 (ja) 転写装置および転写方法
KR20180090357A (ko) 임프린트 장치 및 물품 제조 방법
KR20210021315A (ko) 3차원 물체의 생산을 위한 스테레오리소그래피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068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31831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068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