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05299A1 -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 Google Patents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05299A1
WO2015105299A1 PCT/KR2015/000038 KR2015000038W WO2015105299A1 WO 2015105299 A1 WO2015105299 A1 WO 2015105299A1 KR 2015000038 W KR2015000038 W KR 2015000038W WO 2015105299 A1 WO2015105299 A1 WO 20151052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ir
stage
frame
bas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00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민덕주
Original Assignee
민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덕주 filed Critical 민덕주
Publication of WO20151052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052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only vertical transport means

Definitions

  • These parking faciliti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circulating and reciprocating, and there are vertical circulation, horizontal circulation and multi-layer circulation in the circulation, and two- and three-stage and plane reciprocating, elevator, Elevator slide type.
  • the above-mentioned parking facilities have a problem that most of them cannot be installed in a normal home or a parking lot with a narrow parking space by adopting a circulation method or an elevator method using a large parking lot value.
  • the two-stage parking lot is installed and operated.
  • This conventional two-stage parking lot is usually mad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llet for supporting the vehicle in the two or four support frame is installed, the support frame has an uncomfortable problem, such as to block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interfere with the driver and vehicle traffic.
  •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single-stage two-stage parking apparatus composed of a single holding frame, and the single-stage two-stage parking apparatus developed by the applicant has been registered with Korean Patent No. 10-0132640, Patent No. 10- 0182763,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5029.
  • the conventional single-stage two-stage parking apparatus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tilized very efficiently by consisting of a single strut frame,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und.
  • the base since the weight of the parked vehicle and the weight of the pallet are transferred to the base through the support frame, the base has to be formed thick so that the base can absorb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by the support frame.
  • the wheels of the vehicle passed through the thick base, there was a problem that a large impact is applied to the vehicle, and in the case of asphalt ground, it was difficult to fix the base with an anchor, so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install the parking lot.
  • the conventional single-stage two-stage parking devic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bar coupled with the lifting means is fixed only to the end of the pallet's support pipe, and the pallet is coupled with the lifting means, so that the weight of the vehicle parked and the weight of the pallet during continuous use are fixed.
  • the support pipe is bent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b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allet does not maintain a horizontal state and deformation such as sag occurs.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pair of pallets on both sides of a single support frame symmetrically so that the load is applied to the support frame in a balanced manner. It is to provide a single-stage two-stage parking device that improves the overall structural safety while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bas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the base into a lower plate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 upper plate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while forming a reinforcement protrusion on the site wher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upport frame acts to impact the vehicle to pass. It is to provide a single-stage two-stage parking device that can be used stably for a long time by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pallet by reinforc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pallet while reducing the safety and installation convenience.
  • a single strut frame which is erected vertically, a pair of lift means installed on the strut frame and lifted by a driving device, respectively, and coupled to the pair of lift means, respectively, are install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strut frame.
  • a single-stage two-stage parking apparatus including a pair of pallets supporting a vehicle to be parked and a bas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fixed to the ground are provided.
  • the base is buried in the ground
  • the lower plate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projections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protruding to the bottom surface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material
  • the lower It may include a top plate having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plate.
  • a pair of connecting bars coupled to the elevating means is fixed to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support pipes provided in the pallet, the pair of connecting bars is a length extending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support pipes It can have
  • the base is separated into a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to be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while the reinforc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plate to reduce the cost and time due to the reclamation work while fixing the position of the base firmly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ingle-stage two-stage p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pallet and the lif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fix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installed, fixed,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 FIG. 1 to 4 is a view showing a single-stage two-stage p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stage two-stage p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is a single vertically standing on the ground
  • the holding frame 10 will be included.
  • the strut frame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 Lifting means 20 is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10 to be liftable, and the lifting means 20 may be install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10.
  • the lifting means 20 installed as a pair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long both sides of the strut frame 10 by the drive device 3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trut frame 10, respectively.
  • the elevating means 20 and the driving device 30 itself are the prior art disclosed in the prior art, such as the elevating means 20, the elevating body 21 is the driving device 30 and the link chain (Fig.
  • a variety of configurations for lifting and lowering known in the art, such as a rack and pinion, may be employed, including a configuration that is connected to and lifted by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driving device 30.
  • the width of the support frame 10 is the width of the conventional support frame so that a pair of lifting means 20 can be installed on both sides.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holding frame 10 is increased by two times, and thus the strength of the holding frame is increased by about four times,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holding frame 10 can be prevented by that much. .
  • a pair of pallets 4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air of lifting means 2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10 as described above.
  • the pair of pallets 40 are symmetr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trut frame 10, and the lift is made on both sides of the strut frame 10 by interlocking according to the elevating means of the elevating means 20.
  • a pair of pallets 4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lding frame 10, the bar is lifted, the holding frame 10 can be offset the load while the load is applied on both sides in a balanced mann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s the deformability of the same support frame 10 is reduce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upport frame 10 is improved.
  • the pallet 40 install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10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parked vehicle, as shown in FIG. 2.
  • 41 is coupled to the elevating body 21 of the elevating means 20, the pair of connecting bars 41 is fitted into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support pipes 42 provided in the pallet 40 and fixed As a result, the pallet 40 is coupled to the lifting means 20.
  • the pair of connecting bars 41 is a pair of support pipes 42. It is configured to have a length extending to each other end.
  • a pair of connecting bars 41 extend inwardly to correspond to the entire length of the support pipe 42 to reinforce the support strength for the pallet 40 and thus the weight of the parked vehicle or the weight of the pallet 40.
  • the support pipe 42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such as bending or sagging as in the related art.
  • a base 5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0, the base 50 is fixed to the ground while supporting the function so that the support frame 10 to stand vertically without flowing.
  • the base 50 may be divided into a lower plate 51 and an upper plate 52 as shown in FIG. 3.
  • the lower plate 51 is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frame 10
  • the upper plate 52 is the lower to prevent falling It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 area compared to the plate (51).
  • the lower plate 51 is a plate embedded in the grou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53 may be formed in the lower plate 51.
  • the upper plate 52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frame 10,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rojections 54 that can be fit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53 formed in the lower plate 51 on the bottom protruding Can be formed.
  •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protrusions 54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0 to reinforce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upport frame 10 and the upper plate 52 to which the rotational force is applied by the support frame 10. It may be formed on the upper plate 5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rface,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53 also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s 54 formed on the upper plate 52, the lower plate 51 Can be formed on.
  • the reinforcement protrusion 54 of the upper plate 52 is the insertion hole 53 of the lower plate 51 in a state where the lower plate 51 is buried in the ground
  • the upper plate 52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plate 52 is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51.
  • the thickness of the upper plate 52 without using an anchor can be formed relatively thin through the action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 54,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raffic of the vehicle park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as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impact on the passing vehicle without giving.
  • the upper plate 52 and the holding frame 10 coupled thereto by inserting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protrusions 54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53 formed in the lower plate 51. Will be installed on the ground together.
  • the lifting frame 20, the driving device 30, a pair of pallets 40, which are the remaining components, may be all installed in the holding frame 10 to be installed in advance, or the holding frame 10 After installation, the remaining components may be installed in combination with the holding frame 10 in sequence.
  • the top plate 52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as shown in FIG. 4 is supported by the bottom plate 51 embedded in the ground and supports the strut frame 10. Since it is convenient to install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supported firmly and stably so that there is no flow of the holding frame (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주식 이단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단일의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장치에 의해 각각 승강되는 한 쌍의 승강수단과, 상기 한 쌍의 승강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주프레임의 양쪽에 대칭으로 설치되며, 주차되는 차량을 받쳐 지지하는 한 쌍의 파렛트와, 상기 지주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며,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지주프레임 양쪽에 한 쌍의 파렛트가 설치되고 베이스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적 안전성과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본 발명은 단주식 이단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단일의 지주프레임 양쪽에 한 쌍의 파렛트가 설치되고 베이스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적 안전성과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단주식 이단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자동차의 보급이 널리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두 대 이상의 자동차를 소유하는 가구수도 대폭적으로 늘어가는 추세에 따라 주차난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도시의 경우에는 도심 내로 진입하는 차량수의 증가에 따라 주차장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되고 주차공간 또한 점점 더 협소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러한 주차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주차설비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주차설비는 방식에 따라 크게 순환식과 왕복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순환식에는 수직순환방식과 수평순환방식 및 다층순환방식이 있고, 왕복식에는 이단과 삼단방식 및 평면왕복방식, 엘리베이터방식, 엘리베이터 슬라이드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주차설비는 대부분 대형 주차장치를 이용한 순환방식 또는 엘리베이터 방식을 채택하게 됨으로써 일반 가정이나 주차공간이 협소한 주차장에는 설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에 따라 일반 가정이나 협소한 주차장 등에는 별도의 독립형 주차설비로서 이단 주차장치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이단 주차장치는 통상적으로 2개 또는 4개의 지주프레임에 차량을 지지하는 파렛트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주프레임이 주차장의 출입구를 막아 운전자와 차량의 통행에 방해가 되는 등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는 바,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단일의 지주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단주식 이단주차장치를 개발하여 왔는 바, 본 출원인이 개발한 단주식 이단주차장치가 등록특허 제10-0132640호, 등록특허 제10-018276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6502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개시된 선행문헌에 따른 종래의 단주식 이단주차장치는 단일의 지주프레임으로 구성됨으로써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먼저, 종래의 단주식 이단주차장치의 경우, 단일 지주프레임의 일측면에 하나의 파렛트가 설치되어 승강되는 구조로서, 지주프레임에는 상기 파렛트가 설치된 일 방향으로 편하중이 집중될 수 밖에 없으므로, 사용시에는 편하중에 의해 지주프레임의 변형이 발생하는 등 구조적 안전성이 취약하여 사용이 꺼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단주식 이단주차장치는 주차된 차량의 중량과 파렛트의 자중이 지주프레임을 통해 베이스로 전달되므로 베이스가 지주프레임이 전달하는 회전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베이스가 두껍게 형성되어야만 했으며, 그에 따라 입출고시 차량의 바퀴가 두꺼운 베이스를 통과하면서 차량에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스팔트 지면의 경우 베이스를 앵커로 고정하는 것이 어려워 주차장치를 설치하기 곤란한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단주식 이단주차장치는 파렛트의 지지파이프 끝단 부분에만 승강수단과 결합된 연결바가 끼워져 고정된 구조로 파렛트가 승강수단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계속적인 사용시 주차되는 차량의 중량과 파렛트의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바의 끝 부분에서 지지파이프가 꺽임으로써 파렛트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처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지주프레임 양쪽에 한 쌍의 파렛트를 대칭으로 설치하여 지주프레임에 하중이 균형을 이루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지주프레임과 베이스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전체적인 구조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단주식 이단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를 지면에 매립되는 하부판재와 하부판재 위에 지지되는 상부판재로 분리 구성하면서 지주프레임의 회전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보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통행하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면서 안전성과 설치상의 편리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파렛트의 지지구조를 보강함으로써 파렛트의 변형 또한 방지하여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단주식 이단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단일의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장치에 의해 각각 승강되는 한 쌍의 승강수단과, 상기 한 쌍의 승강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주프레임의 양쪽에 대칭으로 설치되며, 주차되는 차량을 받쳐 지지하는 한 쌍의 파렛트와, 상기 지주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며,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단주식 이단주차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지면에 매립 설치되며,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하부판재와, 상기 복수의 삽입구에 끼워지는 복수의 보강돌기가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재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하부판재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상부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과 결합된 한 쌍의 연결바가 상기 파렛트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파이프 각각의 일단으로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한 쌍의 연결바는 한 쌍의 지지파이프 각각의 타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주식 이단주차장치에 의하면,
단일의 지주프레임 양쪽에 한 쌍의 파렛트가 대칭으로 설치됨으로써 지주프레임에 편하중이 아닌 균형하중이 가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지주프레임과 베이스의 변형이 방지되면서 전체적인 구조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종래에 비하여 베이스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가 지면에 매립되는 하부판재와 하부판재 위에 지지되는 상부판재로 분리되면서 상부판재에 보강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매립공사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면서도 베이스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앵커를 사용할 수 없는 아스팔트에도 용이한 설치가 가능함과 함께, 지면 위로 돌출되는 상부판재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통행하는 차량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도 있으며, 파렛트의 지지구조가 보강됨으로써 파렛트 자체의 꺽임현상 등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조적 안전성 및 설치의 편의성 향상에 따라 제조 및 설치에 따른 비용부담이 경감되면서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일반가정이나 주차공간이 협소한 곳에 널리 보급함으로써 심각해지는 주차난을 해소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주식 이단주차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와 승강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베이스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주식 이단주차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설치되어”,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설치, 고정,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주식 이단주차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주식 이단주차장치는 지면 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단일의 지주프레임(1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지주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대략 사각단면 형태를 가지며, 단주식 이단주차장치의 특성상 단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주프레임(10)에는 승강 가능하게 승강수단(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승강수단(20)은 지주프레임(10)의 양쪽 면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한 쌍으로 설치되는 승강수단(20)은 승강몸체(21)가 지주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장치(30)에 의해 각각 지주프레임(10)의 양쪽 면을 따라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승강수단(20)과 구동장치(30) 자체는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종래기술로서, 이러한 승강수단(20)으로는 승강몸체(21)가 구동장치(30)와 링크체인(도면 미도시)으로 연결되어 구동장치(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랙과 피니언 등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승강을 위한 구성들이 채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양쪽 면에 한 쌍의 승강수단(20)이 설치되므로 상기 지주프레임(10)의 폭은 승강수단(20) 한 쌍을 양쪽 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종래 지주프레임의 폭보다 2배 정도 증가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지주프레임(10)의 폭이 2배 증가되면 지주프레임의 강도가 4배 정도 증가되므로 지주프레임(10)의 변형이 그만큼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주프레임(10)의 양쪽 면에 설치된 한 쌍의 승강수단(20)에는 한 쌍의 파렛트(40)가 각각 결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파렛트(40)는 지주프레임(10)의 양쪽에 대칭으로 설치가 되며, 승강수단(20)의 승강에 따라 연동하여 지주프레임(10)의 양쪽에서 각각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한 쌍의 파렛트(40)가 지주프레임(10)의 양쪽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바, 지주프레임(10)에는 양쪽에서 하중이 균형있게 가해지게 되면서 편하중이 상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종래와 같은 지주프레임(10)의 변형가능성이 감소되면서 지주프레임(10)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렇게 지주프레임(10)의 양쪽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파렛트(40)는 주차되는 차량을 받쳐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통상의 파렛트처럼 한 쌍의 연결바(41)가 상기 승강수단(20)의 승강몸체(21)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바(41)가 파렛트(40)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파이프(42) 각각의 일단으로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파렛트(40)가 승강수단(20)에 결합된다.
이 때, 종래에는 상기 한 쌍의 연결바가 지지파이프의 일단 부분에만 끼워지는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한 쌍의 연결바(41)가 한 쌍의 지지파이프(42) 각각의 타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한 쌍의 연결바(41)가 지지파이프(42)의 전체길이에 대응하도록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파렛트(40)에 대한 지지 강도를 보강해줌으로써 주차된 차량의 하중이나 파렛트(40)의 중량에 의해 종래와 같이 지지파이프(42)가 꺽이거나 처지는 등 변형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프레임(10)의 하단에는 베이스(50)가 구비되는데, 상기 베이스(5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지주프레임(10)이 유동되지 않고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지탱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베이스(50)는 종래의 구성과 달리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판재(51)와 상부판재(52)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재(51)와 상부판재(52)의 상대적인 면적을 비교해 보면, 하부판재(51)는 지주프레임(10)의 단면적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상부판재(52)는 전도방지를 위하여 상기 하부판재(5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재(51)는 지면에 매립 설치되는 판재로서, 이러한 하부판재(51)에는 복수의 삽입구(5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재(52)는 상기 지주프레임(10)의 하단에 고정되면서 저면에는 상기 하부판재(51)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구(53)에 각각 끼워질 수 있는 복수의 보강돌기(5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돌기(54)는 지주프레임(10)에 의한 회전력이 가해지는 지주프레임(10)과 상부판재(52)의 연결부위를 보강하도록 지주프레임(10)의 하단 양쪽면의 위치에 대응하여 일정간격으로 상부판재(5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판재(52)에 형성된 보강돌기(54)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의 삽입구(53)도 하부판재(5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베이스(2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판재(51)가 지면에 매립 설치가 된 상태에서 상부판재(52)의 보강돌기(54)가 하부판재(51)의 삽입구(53)에 끼워져 상부판재(52)가 하부판재(51)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하부판재(51)만이 지면에 매립되고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상부판재(52)는 삽입구(53)에 끼워진 보강돌기(54)에 의해 지지되므로 매립공사를 시행해야 하는 지면의 면적이 감소되어 베이스(50)의 설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상부판재(52)가 지주프레임(10)을 지지하게 되면서 지주프레임(10)을 안정적으로 지탱해줄 수 있게 되며, 또한 앵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상부판재(52)의 두께는 보강돌기(54)의 작용을 통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베이스 구성에 비하여 주차되는 차량의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통과하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단주식 이단주차장의 설치를 살펴보면,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베이스(50)의 하부판재(51)를 매립 설치한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매립되는 하부판재(51)는 상부판재(5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기 때문에 매립공사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부판재(51)가 지면에 매립되면, 하부판재(51)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구(53)에 복수의 보강돌기(54)를 끼워줌으로써 상부판재(52)와 이와 결합된 지주프레임(10)을 함께 지면 위에 설치하게 된다.
이 때, 설치되는 상기 지주프레임(10)에는 나머지 구성인 승강수단(20), 구동장치(30), 한 쌍의 파렛트(40)가 모두 미리 설치된 상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지주프레임(10)의 설치 후에 나머지 구성들을 순차적으로 지주프레임(10)에 결합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지주프레임(10)이 지면 위에 설치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상부판재(52)가 지면에 매립된 하부판재(51)에 의해 지지되면서 지주프레임(10)을 지탱하게 되므로 설치가 편리하면서도 지주프레임(10)의 유동이 없도록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설치 후 사용과정에서는, 한 쌍의 파렛트(40)가 지주프레임(10)의 양쪽에서 승강 작동되면서 지주프레임(10)에 균형하중을 가하게 되므로 지주프레임(10)의 변형방지 및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지주프레임에 편하중이 가해지는 종래의 주차장치에 비하여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지지파이프(42)의 끝단까지 연결바(41)가 연장되어 파렛트(40)의 지지구조가 보강됨으로써 파렛트(40) 자체의 변형 또한 효율적으로 방지되므로 종래의 파렛트 지지구조에 비하여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Claims (3)

  1. 수직으로 세워지는 단일의 지주프레임(10);
    상기 지주프레임(10)에 설치되어 구동장치(30)에 의해 각각 승강되는 한 쌍의 승강수단(20);
    상기 한 쌍의 승강수단(2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양쪽에 대칭으로 설치되며, 주차되는 차량을 받쳐 지지하는 한 쌍의 파렛트(40); 및
    상기 지주프레임(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50);를 포함하는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50),
    지면에 매립 설치되며, 복수의 삽입구(53)가 형성된 하부판재(51); 및
    상기 복수의 삽입구(53)에 끼워지는 복수의 보강돌기(54)가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재(51)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하부판재(51)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상부판재(52);를 포함하는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20)과 결합된 한 쌍의 연결바(41)가 상기 파렛트(40)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파이프(42) 각각의 일단으로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한 쌍의 연결바(41)는 한 쌍의 지지파이프(42) 각각의 타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PCT/KR2015/000038 2014-01-07 2015-01-05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WO201510529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927 2014-01-07
KR20140001927A KR101492138B1 (ko) 2014-01-07 2014-01-07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5299A1 true WO2015105299A1 (ko) 2015-07-16

Family

ID=5259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0038 WO2015105299A1 (ko) 2014-01-07 2015-01-05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2138B1 (ko)
WO (1) WO20151052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1298A (zh) * 2016-06-23 2016-11-16 安庆市亿网科技有限公司 一种公共停车棚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684B1 (ko) 2022-10-27 2024-04-25 민덕주 단주식 이단주차장치의 파렛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520U (ja) * 1992-12-10 1994-06-28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二段駐車装置
JP2681126B2 (ja) * 1993-06-16 1997-11-26 ▲徳▼柱 閔 単柱式2段駐車装置および整備リフト装置
KR19980037492A (ko) * 1996-11-19 1998-08-05 민덕주 단주식 2단 주차장치
KR20000001950A (ko) * 1998-06-10 2000-01-15 장순식 노변 주차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097B2 (ja) * 1995-02-23 2001-01-22 愛三工業株式会社 二段駐車装置の基礎構造
KR0137855Y1 (ko) * 1996-09-19 1999-04-01 최호진 원주 공중주차장
AT406069B (de) * 1997-02-18 2000-02-25 Sange Gerhard Maschf Gmbh Parkeinrich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520U (ja) * 1992-12-10 1994-06-28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二段駐車装置
JP2681126B2 (ja) * 1993-06-16 1997-11-26 ▲徳▼柱 閔 単柱式2段駐車装置および整備リフト装置
KR19980037492A (ko) * 1996-11-19 1998-08-05 민덕주 단주식 2단 주차장치
KR20000001950A (ko) * 1998-06-10 2000-01-15 장순식 노변 주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1298A (zh) * 2016-06-23 2016-11-16 安庆市亿网科技有限公司 一种公共停车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138B1 (ko)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05299A1 (ko)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CN205591231U (zh) 一种钢支撑防脱落装置
KR20110123404A (ko)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N104609281A (zh) 家用电梯
CN106638335A (zh) 一种用于斜拉索或吊索更换的梁端工作挂篮及其用于斜拉索或吊索更换梁端作业的方法
CN113550552A (zh) 一种结构梁上吊篮支架机构及安装方法
CN110388066B (zh) 一种单元式幕墙板块施工机械
CN211499699U (zh) 挂笼爬梯式操作架
KR101423481B1 (ko) 수직 순환형 주차 장치
KR102660684B1 (ko) 단주식 이단주차장치의 파렛트
CN105781092A (zh) 间距可调的单导架多级升降工作平台及其施工方法
CN208037793U (zh) 一种电梯玻璃轿厢
CN216615518U (zh) 一种桥梁装饰施工平台
KR200465029Y1 (ko) 차로를 활용한 단주식 주차설비의 파렛트 보강구조
JPH061988Y2 (ja) パネルリフト
KR200427293Y1 (ko) 승강기식 주차시스템의 주차플레이트
CN203976171U (zh) 一种牵引力与重力同轴底曳引家用梯
CN213774692U (zh) 车道结构及车库
CN219081588U (zh) 用于隧道内安装顶部连接件的安装设备
CN216446746U (zh) 一种具有强化结构的预制凸窗
CN209958713U (zh) 安装观光电梯的辅助装置
CN102747682A (zh) 附着式行走吊篮
KR20240083126A (ko) 단주식 이단주차장치의 파렛트
CN211035146U (zh) 一种钢护栏安装用斗车式自动夹具吊机
CN112663786B (zh) 一种钢结构连廊施工装置及其施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353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353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