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56999A1 - 동기화된 유닛들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유닛들의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동기화된 유닛들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유닛들의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56999A1
WO2015056999A1 PCT/KR2014/009746 KR2014009746W WO2015056999A1 WO 2015056999 A1 WO2015056999 A1 WO 2015056999A1 KR 2014009746 W KR2014009746 W KR 2014009746W WO 2015056999 A1 WO2015056999 A1 WO 20150569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dsync
data transmission
minimum width
slave units
prepara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97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주현
에구치야스히토
타니나쇼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480046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474572B/zh
Priority to EP14854009.9A priority patent/EP3024166B1/en
Priority to JP2016523908A priority patent/JP6296577B2/ja
Priority to US14/906,734 priority patent/US9705663B2/en
Publication of WO20150569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569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4Initialisation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 H04L7/0012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by comparing receiver clock with transmitter c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70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 H04Q2209/75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by polling or interrogating the sub-stations
    • H04Q2209/753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by polling or interrogating the sub-stations where the polling of the sub-stations is synchron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4Measuring functions
    • H04Q2209/845Measuring functions where the measuring is synchronized between sens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iz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ization method capable of synchronizing when a uni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has a failure in a communication line.
  • the secondary battery having high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nd high electrical density, etc. according to the product range is commonly used in electric vehicles (EVs) or hybrid vehicles (HVs) driven by electric motors as well as portable devices. It is applied.
  • the secondary batter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energy source for improving eco-friendliness and energy efficiency in that not only the primary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use of fossil fuels is generated, but also no by-products of energy use are generated.
  • the battery pack a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or the like typic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battery modules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 the unit cell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separator, an active material, an electrolyte, a packaging material, and the like, and have a structure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components.
  • the battery pack may be used for power supply control for driving loads such as a motor, measurement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urrent and voltage, charge / discharge control, voltage equalization control, SOC (state of charge), and the like. It is common to includ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that executes algorithms to monitor and control the condition of secondary batteries.
  •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 BMSs are independently installed for each module, and a relationship between BMSs is established through one master and multiple slave relationships.
  • a method of integrally controlling the battery module by setting is used.
  • the master unit set as the master BMS communicates with the slave units set as the respective slave BMSs to monitor the state of the entire battery module while the battery pack is being charged and discharged. It collects status information (voltage, current, temperature, etc.) and delivers control commands or data required by the slave unit to smooth the voltage or protect the battery system.
  • the master unit and the slave unit are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lin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data,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line.
  • a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line.
  • the SPI communication protocol requires at least two communication lines as lin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clock lines. Accordingly, when a failure occurs such that one of the two communication lines is disconnected, no further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even if the remaining communication lines are normally connected.
  • each slave unit measures or self-diagnoses voltages in a non-synchronized state may be different, so that voltage measurement or the like may not be performed correctly, or data acquired by voltage measurement or the like may not be helpful. hav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ization method capable of synchronizing units included in a communication system when a failure occurs in a communication line.
  • Communication system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plurality of slave units connected to the adjacent slave unit via a signal line; And a master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a signal line, wherein the slave unit is configured to output from the master unit an ADSYNC in which a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 data transmission section form one cycle. All units are synchronized with the period of the ADSYNC outputted from the unit, and the slave unit outputs a free-run ADSYNC when the ADSYNC is not output from the master unit, and the slave unit outputs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When this free-run ADSYNC is outputted, it is synchronized with the free-run ADSYNC of any one of the outputted free-run ADSYNCs.
  • the ADSYNC changes a logic level of a signal at a start point of a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 data transmission section.
  • the slave unit is synchronized to a free-run ADSYNC having the smallest width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width of the ADSYNC period among the free-run ADSYNCs output by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do.
  •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store a minimum width of a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 minimum width of an ADSYNC period.
  •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are synchronized with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of the ADSYNC period based on the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of the ADSYNC period Synchronizing in association may mean that the width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of the synchronized ADSYNC is larger than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synchronized ADSYNC period is also larger than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ADSYNC period.
  • Communication system is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econdary battery connected to a slave uni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 the slave unit may include a battery management device for controlling th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secondary battery.
  •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ttery pack; And a load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pack.
  • a synchronization method of a unit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slave units connected to an adjacent slave unit through a signal line and a master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via a signal line.
  • a method of synchronizing a slave unit comprising: (a) when ADSYNC, in which a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 data transmission section form one period, is output from the master unit,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are connected to the period of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Synchronizing all units; (b) when the ADSYNC is not output from the master unit, outputting a free-run ADSYNC by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And (c) when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output free-run ADSYNC, one of the free-run ADSYNCs output by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is free. -run) synchronizing to ADSYNC; includes.
  • the step (c) is a pre-run having the smallest width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width of the ADSYNC period among the free-run ADSYNC output by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free-run) Synchronize to ADSYNC.
  •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determine a minimum width of a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 minimum width of an ADSYNC period.
  •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have a minimum width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 minimum width of an ADSYNC cycle based on the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Synchronized in conjunction.
  •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of the ADSYNC period Synchronized in association may mean that the width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of the synchronized ADSYNC is greater than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synchronized ADSYNC period is also larger than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ADSYNC period.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ynchronize various measurements, self-diagnosis, etc. by synchronizing ADSYNC in a free-run. And, the synchronized data can be delivered to the outside.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se where disconnection occurs in a signal line.
  • FIG. 3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DSYN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DSYNC is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waveform diagram in which ADSYNC of a slave unit is synchronized when ADSYNC is output from a mas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waveform diagram in which ADSYNC of a slave unit is synchronized when a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n ADSYNC period are pre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ree-run ADSYNC is output between slave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waveform diagram of a free-run ADSYNC output by a sla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waveform diagram of a synchronized free-run ADSYNC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ynchronizing units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master unit 10 and a plurality of slave units 11, 12, 13. Although three slave units 11, 12, 13 are shown in FIG. 1, the number of slave units 11, 12,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 the master unit 10 and each slave unit 11, 12, 13 are connected via a signal line 14.
  • the slave units 11, 12, 13 a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ignal line 15.
  • the signal lines 14 and 15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s assumed to be a battery pack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not shown) are connected to the slave units 11, 12, and 13, and a battery management device (not shown) controls charge and discharge of the secondary batteries to each slave unit 11, 12, and 13. ) Is included.
  • the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measurement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voltage or current of each secondary battery cell 102, charge / discharge control, equalization control of voltage, estimation of state of charge (SOC), etc. Perform various control functions as applicable. Accordingly, the slave units 11, 12, and 13 transmit data regarding the state of the secondary battery in charge to the master unit 10 through the signal line 14, or from the master unit 10 The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received.
  • the master unit 10 and each slave unit 11, 12, 13 are connected by three signal lines 14. Normally, the master unit 10 and each slave unit 11, 12, 13 transmit and receive data via two or more signal lines 14. At this time, the master unit 10 and the slave unit 11, 12, 13 may use the SPI communication protocol.
  •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ase where disconnection occurs in the signal line 14.
  • the SPI communication protocol presented as an example above requires at least two signal lines as lines and clock lin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 each slave unit 11, 12, 13 instructs each slave unit 11, 12, 13 to measure the current voltage to control the voltage equalization, and transmit the voltage value. If there is no synchronization between each slave unit 11, 12, 13, each slave unit 11, 12, 13 measures the voltage at different time points, the master with the voltage value measured at different time points Unit 10 may command control of equalization of the voltage. As a result, effective voltage smoothing may not be achieved. Therefore, synchronization between unit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s necessary to prevent such a problem.
  •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achieves synchronization between units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called ADSYNC.
  •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can also superimpose communication in a manner (UART communication protocol, etc.) capable of communication in one line after synchronization with ADSYNC.
  • data can be transmitted / received in a superimposed communication method (UART communication protocol, etc.).
  • UART communication protocol UART communication protocol, etc.
  •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SPI or the like, but when the SPI cannot be communicated due to disconnection or the lik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DSYNC. That is, synchronization and communication are possible with the remaining one communication line. In the worst case, synchronization is possible even if communication is impossible due to a CPU failure or the like, and thus the various effects described above can be expected.
  • overlapping communication the minimum width of a preset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of an ADSYNC period are used. This method is a superimposition of very simple communication,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3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DSYN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 data transmission section form one period.
  • the ADSYNC changes the logic level of the signal at the start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section.
  •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may be output as a high logic level signal (H)
  • the data transmission section may be output as a low logic level signal (L).
  • the high logic level may be set to 5V and the low logic level to 0V,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 the data preparation section shown in the figure is a predetermined minimum width, and one cycle is easy to understand when interpreted as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ADSYNC period.
  • the unit synchronized by the ADSYNC may collect data to be transmitted, such as measuring voltage and diagnosing a fault, in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 the unit synchronized with the ADSYNC may preset the collected data in the data transmission interval. Can transmit and receive within the width. 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various settings such as a voltage value at the front, a diagnostic value at the middle, and a balancing control at the end are possible.
  • the slave units 11, 12, 13 are synchronized with all units in the period of the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DSYNC is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ster unit 10 outputs ADSYNC through the signal line 14 that is not disconnected.
  • the master unit 10 when there is a signal line that is not disconnected among the signal lines 14 connected between the master unit 10 and the slave units 11, 12, and 13, and the master unit 10 is operating normally,
  • the slave units 11, 12, 13 are synchronized by the ADSYNC outputted from the master unit 10.
  • FIG. 5 is a waveform diagram in which ADSYNC of the slave units 11, 12, and 13 are synchronized when ADSYNC is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DSYNC of the slave units 11, 12, and 13 are synchroniz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interval width and the ADSYNC period of the ADSYNC outputted from the master unit 10. You can check it.
  •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11, 12, and 13 store a minimum width of a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 minimum width of an ADSYNC period.
  •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11, 12, and 13 are synchronized with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of the ADSYNC period based on the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 the width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of the synchronized ADSYNC is greater than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synchronized ADSYNC
  • the period may also mean greater than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ADSYNC period.
  • FIG. 6 is a waveform diagram in which ADSYNC of the slave units 11, 12, 13 are synchronized when a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n ADSYNC period are pre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i) and the ADSYNC period (ii) are set in logic level.
  •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shown in the figure is a preset minimum width (i), and the ADSYNC 1 period is easy to understand when interpreted as the preset minimum width (ii).
  • the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is smaller than the minimum width i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Ii of the ADSYNC period in which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ADSYNC period are preset. You can see big ones.
  • the slave units 11, 12, 13 are synchronized with the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 the width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of the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is smaller than the minimum width i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ADSYNC period is smaller than the minimum width of the ADSYNC period.
  • the slave units 11, 12, 13 have a minimum width i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re synchronized to the same ADSYNC as the period width of the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 both the width of the ADSYNC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ADSYNC period width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are the minimum width i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of the ADSYNC period.
  • it is smaller than (ii).
  • the slave units 11, 12, 13 are synchronized with the minimum width i of the preset data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ii of the ADSYNC period.
  • the next ADSYNC may be synchronized to the start point (point X)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of the master unit 10 shown after the minimum width (ii) of the preset ADSYNC period.
  • the slave units 11, 12, and 13 have a width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of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than the minimum width i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ii) of the ADSYNC period. And the width of the ADSYNC period is larger, it is synchronized to the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 the slave units 11, 12, 13 are preset When the width of the ADSYNC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outputted from the master unit 10 and the width of the ADSYNC period are smaller than the minimum width i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ii) of the ADSYNC period, the preset data The minimum width i of the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ii of the ADSYNC cycle are synchronized.
  •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adding (overlapping) data.
  • communication waveforms can be superimposed because various waveforms do not affect ADSYNC. Accordingly,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adding (overlapping) signals according to the UART or other communication protocols in the section (iii).
  • the minimum width i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is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such as the amount of data to be collected by the slave units 11, 12, and 13, the performance of the slave units 11, 12, and 13, Various settings may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of the signal lines 14 and 15.
  • the slave unit 11, 12, 13 outputs a free-run ADSYNC when the ADSYNC is not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ree-run ADSYNC is output between slave units 11, 12, and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DSYNC is not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 the failure of the master unit 10 to output ADSYNC may be a case where the CPU in the master unit 10 temporarily or permanently loses its function.
  • the slave units 11, 12, and 13 confirm that ADSYNC is not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and pre-run through the signal lines 15 connected to the slave units 11, 12, and 13, respectively.
  • (free-run) Print ADSYNC is a preliminary signal for synchronizing between the slave units 11, 12, 13.
  • FIG. 8 is a waveform diagram of a free-run ADSYNC output by slave units 11, 12, and 1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ach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of the free-run ADSYNC output from the # 1 slave unit 11 to the # 3 slave unit 13 is different from the width of the ADSYNC period. You can check it.
  • the free-run ADSYNC of each slave unit 11, 12, 13 as described above can be identified by all slave units 11, 12, 13 through the signal line 15.
  • the slave units 11, 12, and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ynchronized to one of the free-run ADSYNCs output from the free-run ADSYNC.
  • the slave units 11, 12, and 13 have a width of a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 width of an ADSYNC period among free-run ADSYNCs output by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Synchronize to the smallest free-run ADSYNC.
  • FIG. 9 is a waveform diagram of a synchronized free-run ADSYNC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t can be seen from FIG. 8 that the width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of the # 1 slave unit 11 is the smallest and the first cycle of the free-run ADSYNC is the fastest. . Accordingly, the pre-runs of the # 2 slave unit 12 and the # 3 slave unit 13 in the free-run ADSYNC of the # 1 slave unit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in FIG. 9 that the (free-run) ADSYNC is synchronized.
  •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be a component of a battery pack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and slave units 11, 12, 13 of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 the slave unit may include a battery management device for controlling th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secondary battery.
  •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onent of a battery driving system including the battery pack and a load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pack.
  • Examples of the battery driving system include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vehicle (HEV), an electric bicycle (E-Bike), a power tool, a power storage device, an energy storage system,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 UPS, A portable computer, a portable telephone, a portable audio device, a portable video device, and the like may be used.
  • An example of the load may include various circuit components supplying power supplied by a battery or a motor that provides rotational power by the power supplied by the battery pack. It may be a power conversion circuit for converting the power required.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ynchronizing units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20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11, 12, and 13 determine whether an ADSYNC is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in which a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a data transmission section form one cycle. If ADSYNC is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YES in step 10), the processor of the method proceeds to step 21. On the other hand, when ADSYNC is not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NO in step 10), the processor of the method proceeds to step 22.
  • step 22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11, 12, 13 output a free-run ADSYNC.
  • the processor of the method then proceeds to step 23.
  • step 23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are synchronized to the free-run ADSYNC of any one of the output free-run ADSYNC.
  •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11, 12, 13) of the pre-run ADSYNC outputs the width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width of the ADSYNC cycle is the smallest pre- It is synchronized to the free-run ADSYNC. And this invention completes.
  • step 10 the case where the ADSYNC is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in step 10 (YES in step 10) and the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to step 21.
  • step 21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11, 12, and 13 determine whether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of the ADSYNC period are stored.
  • the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to step 24.
  • the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to step 25. To fulfill.
  • step 22 all of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11, 12, 13 are synchronized with the period of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And the present invention ends.
  • step 21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of the ADSYNC cycle are stored in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11, 12, and 13 (YES in step 21). Let's look at the case.
  • step 24 the plurality of slave units 11, 12, 13 are synchronized with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of the ADSYNC period based on the ADSYNC output from the master unit 10. do.
  •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and the minimum width of the ADSYNC period means that the width of the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of the synchronized ADSYNC is the minimum of the preset data transmission preparation section. Larger than the width, the synchronized ADSYNC period may also mean larger than the minimum width of the preset ADSYNC period.
  •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roblem such as disconnection of part of a signal line occurs,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the remaining signal lines.
  • ADSYNC in a free-run it can be performed by synchronizing various measurements, self-diagnosis and the like. And, the synchronized data can be delivered to the outside. Furthermore, temporary communication problems can be dealt with, thus preventing the whole system from stopping.
  •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2, 4, and 7 should be understood as logically divided components rather than physically divided components.
  • each configuration corresponds to a logical component in order to realiz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even if each component is integrated or separated, if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that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re to be interpret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y correspond in terms of their n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유닛들이 통신라인에 고장 발생 시 동기화를 이룰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은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과 데이터 전송 구간이 하나의 주기를 이루는 ADSYNC가 출력된 경우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ADSYNC의 주기에 전 유닛이 동기화 되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하며,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한 경우 출력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어느 하나의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된다.

Description

동기화된 유닛들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유닛들의 동기화 방법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유닛들이 통신라인에 고장 발생 시 동기화를 이룰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3년 10월 16일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출원 번호 제10-2013-0123497호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동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V, Hybrid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상기 전기 차량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 팩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단위 셀(cell)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단위 셀은 양극 및 음극 집전체, 세퍼레이터, 활물질, 전해액, 포장재 등을 포함하며,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충방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은 모터 등의 구동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 제어, 전류, 전압 등의 전기적 특성값 측정, 충방전 제어, 전압의 평활화(equalization) 제어, SOC(State Of Charge) 등의 추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이차전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근래 들어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멀티 모듈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팩이 보편적으로 이용됨에 따라 각 모듈 별로 BMS를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하나의 마스터와 다수의 슬레이브 관계로 BMS의 상호 관계를 설정하여 배터리 모듈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마스터 BMS로 설정된 마스터 유닛은 배터리 팩의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전체 배터리 모듈의 상태를 모니터하기 위해 각각의 슬레이브 BMS로 설정된 슬레이브 유닛과 통신을 수행하여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이 관리하는 배터리 모듈에 대한 전기적 상태 정보(전압, 전류, 온도 등)를 취합하고 전압의 평활화나 배터리 시스템의 보호 등을 위해 필요한 제어 명령이나 슬레이브 유닛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은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통신라인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49225의 [0027]문단을 참조하면, SPI 포트에 의해서 유닛들이 데이트를 송수신하는 예로 기재하고 있다.
한편, 상기 SPI 통신 프로토콜은 DATA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라인과 클럭(clock) 라인으로 적어도 2이상의 통신라인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2 통신라인 중 어느 하나가 단선이 되는 등 고장이 발생한 경우, 나머지 통신라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도 더 이상의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다.
한편, UART 통신 프로토콜 등을 사용하면 하나의 통신 라인으로 통신하도록 한 구성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CPU 등의 고장으로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유닛이 동기화되어 있으면, 전압 측정이나 자기 진단 등이 올바르게 행해지고 또한 외부로부터 그 데이터의 내용을 알기 쉬워진다.
또한,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도 동기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슬레이브 유닛이 전압을 측정하거나 자기 진단하는 타이밍이 상이하므로, 전압 측정 등이 올바르게 행해지지 않거나 또는 전압 측정 등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가 도움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통신시스템에 포함된 모든 유닛이 동기화된 동작 및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유닛들이 통신라인에 고장 발생 시 동기화를 이룰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은 신호선을 통해 인접 슬레이브 유닛과 연결된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 및 신호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통신장치와 연결된 마스터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으로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과 데이터 전송 구간이 하나의 주기를 이루는 ADSYNC가 출력된 경우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ADSYNC의 주기에 전 유닛이 동기화 되며,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하며,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한 경우 출력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어느 하나의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DSYNC는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 및 데이터 전송 구간의 시작점에서 신호의 로직 레벨이 변한다.
이 경우,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출력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 및 ADSYNC 주기의 폭이 가장 작은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을 저장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ADSYNC를 기준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과 연계되어 동기화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과 연계되어 동기화되는 것은 동기화된 ADSYNC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이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보다 크고, 동기화된 ADSYNC 주기 역시 미리 설정된 ADSYNC 주기의 최소폭보다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은 상기 통신시스템; 및 상기 통신시스템의 슬레이브 유닛에 연결된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일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는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 내 유닛의 동기화 방법은 신호선을 통해 인접 슬레이브 유닛과 연결된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과 신호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 연결된 마스터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의 동기화 방법으로서, (a)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과 데이터 전송 구간이 하나의 주기를 이루는 ADSYNC가 출력된 경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ADSYNC의 주기에 전 유닛이 동기화 되는 단계; (b)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한 경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출력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어느 하나의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단계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출력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 및 ADSYNC 주기의 폭이 가장 작은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ADSYNC를 기준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과 연계되어 동기화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과 연계되어 동기화되는 것은, 동기화된 ADSYNC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이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보다 크고, 동기화된 ADSYNC 주기 역시 미리 설정된 ADSYNC 주기의 최소폭보다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호선의 일부가 단선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도 나머지 신호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DSYNC를 프리-런으로 동기화함으로써 각종 측정, 자기 진단 등을 동기화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화된 데이터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시적인 통신 문제에 대해서 대처가 가능하므로 시스템 전부가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신호선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DSYNC의 구성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된 경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된 경우 슬레이브 유닛의 ADSYNC가 동기화된 파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과 ADSYNC 주기가 미리 설정된 경우 슬레이브 유닛의 ADSYNC가 동기화된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레이브 유닛 사이에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하는 모습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레이브 유닛이 출력한 프리-런(free-run) ADSYNC의 파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된 프리-런(free-run) ADSYNC의 파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 내 유닛의 동기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은 마스터 유닛(10) 및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을 포함한다. 도 1에는 3개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시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마스터 유닛(10)과 각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신호선(14, signal line)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유닛(11, 12, 13) 역시 상호간에 신호선(15, signal line)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신호선(14, 15)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은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 가정하겠다. 상기 슬레이브 유닛(11, 12, 13)에는 복수의 이차전지(미 도시)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 슬레이브 유닛(11, 12, 13)에는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미 도시)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각 이차전지 셀(102)의 전압 또는 전류를 포함한 전기적 특성값 측정, 충방전 제어, 전압의 평활화(equalization) 제어, SOC(State Of Charge)의 추정 등을 포함하여 당업자 수준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자신이 담당하는 이차전지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신호선(14)을 통해서 상기 마스터 유닛(10)에게 송신하거나, 상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마스터 유닛(10)과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3개의 신호선(14)으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상기 마스터 유닛(10)과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2이상의 신호선(14)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상기 마스터 유닛(10)과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SPI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신호선(14)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터 유닛(10)과 슬레이브 유닛(11, 12, 13) 사이에 각각 연결된 3개의 신호선 중 각각 2개의 신호선이 단선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일 예로 제시된 상기 SPI 통신 프로토콜은 DATA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선과 클럭(clock) 선으로 적어도 2이상의 신호선을 필요로 한다.
한편, UART 통신 프로토콜 등을 사용하면 하나의 통신 라인으로 통신하도록 한 구성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CPU 등의 고장으로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유닛이 동기화되어 있으면, 전압 측정이나 자기 진단 등이 올바르게 행해지고 또한 외부에서 그 데이터의 내용을 알기 쉬워진다.
한편,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도 동기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슬레이브 유닛이 전압을 측정하거나 자기 진단하는 타이밍이 상이하므로, 전압 측정 등이 올바르게 행해지지 않거나 또는 전압 측정 등 취득된 데이터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하 동기화되지 않은 경우의 문제의 하나를 예로 들어본다.
예를 들어, 마스터 유닛(10)이 각 슬레이브 유닛(11, 12, 13)에게 전압의 평활화(equalization) 제어를 위해 현재의 전압을 측정하고, 그 전압값을 전송하라고 명령한 경우를 가정해보겠다. 각 슬레이브 유닛(11, 12, 13) 사이에 동기화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면, 각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서로 다른 시점에 전압을 측정하게 되고, 서로 다른 시점에 측정된 전압값을 가지고 마스터 유닛(10)은 전압의 평활화(equalization) 제어를 명령할 수 있다. 그 결과, 효과적인 전압의 평활화가 달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서 통신시스템(100)에 포함된 유닛 사이의 동기화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은 ADSYNC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유닛 사이의 동기화를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은 ADSYNC로 동기화를 이루 후에 1 개의 라인으로 통신 가능한 방식(UART 통신 프로토콜 등)의 통신을 중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중첩된 통신 방식(UART 통신 프로토콜 등)으로 데이터의 송수신할 수 있다. 정상일 때는 데이터 통신은 상기 SPI 등으로 행하지만, 단선 등으로 SPI가 통신 불가능한 경우는 ADSYNC를 사용해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남은 하나의 통신선으로 동기화와 통신이 가능해진다. 최악의 경우, CPU 고장 등으로 통신이 불가능해져도 동기화만은 가능하므로, 상술한 여러 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통신을 중첩하는 예로서, 미리 설정된 송신준비구간의 최소폭과 ADSYNC주기의 최소폭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매우 간단한 통신의 중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DSYNC의 구성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상기 ADSYNC는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과 데이터 전송 구간이 하나의 주기를 이룬다. 상기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과 데이터 전송 구간을 구분하기 위해 ADSYNC는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 및 데이터 전송 구간의 시작점에서 신호의 로직 레벨이 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은 높은 로직 레벨 신호(H)로, 상기 데이터 전송 구간은 낮은 로직 레벨의 신호(L)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높은 로직 레벨은 5V, 낮은 로직 레벨은 0V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데이터 준비 구간은 미리 설정된 최소폭이고, 1주기는 미리 설정된 ADSYNC 주기의 최소폭으로 해석하면 이해하기 쉽다.
상기 ADSYNC에 의해 동기화가 이루어진 유닛은 상기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에서는 전압의 측정, 고장 진단 등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DSYNC에 의해 동기화가 이루어진 유닛은 상기 데이터 전송 구간에서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폭 내에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처럼 맨 앞은 전압값, 중간은 진단값, 마지막은 밸런싱 제어 등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이후의 설명에 나타나는 ADSYNC 주기란, 상기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과 데이터 전송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1주기의 신호를 의미한다(ADSYNC 주기=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데이터 전송 구간).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상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된 경우, 상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출력된 ADSYNC의 주기에 전 유닛이 동기화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된 경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선이 되지 않은 신호선(14)을 통해 상기 마스터 유닛(10)이 ADSYNC을 출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처럼, 마스터 유닛(10)과 슬레이브 유닛(11, 12, 13) 사이에 연결된 신호선(14) 중 단선되지 않은 신호선이 있고, 상기 마스터 유닛(1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 상기 마스터 유닛(10)이 출력한 ADSYNC에 의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11, 12, 13)들이 동기화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된 경우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의 ADSYNC가 동기화된 파형도이다.
도 5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출력된 ADSYNC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 폭 및 ADSYNC 주기와 동일하게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의 ADSYNC가 동기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을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상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출력된 ADSYNC를 기준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과 연계되어 동기화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과 연계되어 동기화되는 것은, 동기화된 ADSYNC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이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보다 크고, 동기화된 ADSYNC 주기 역시 미리 설정된 ADSYNC 주기의 최소폭보다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과 ADSYNC 주기가 미리 설정된 경우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의 ADSYNC가 동기화된 파형도이다.
먼저 도 6의 가장 윗 부분에는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i)과 ADSYNC 주기(ii)가 미리 설정된 것을 로직 레벨로 표현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은 미리 설정된 최소폭(i)이고, 상기 ADSYNC 1 주기는 미리 설정된 최소폭(ii)이라고 해석하면 이해하기 쉽다.
다음 도 6의 (a)를 살펴보면, 마스터 유닛(10)에서 출력된 ADSYNC는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과 ADSYNC 주기가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i)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ii)보다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마스터 유닛(10)에서 출력된 ADSYNC와 동일하게 동기화된다.
다음 도 6의 (b)를 살펴보면, 마스터 유닛(10)에서 출력된 ADSYNC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i)보다 작고 ADSYNC 주기는 ADSYNC 주기의 최소폭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i)을 가지고, 상기 마스터 유닛(10)에서 출력된 ADSYNC의 주기폭과 동일한 ADSYNC로 동기화 된다.
다음 도 6의 (c)를 살펴보면, 마스터 유닛(10)에서 출력된 ADSYNC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 및 ADSYNC의 주기폭 모두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i)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ii)보다 작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i)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ii)에 동기화 된다. 다만, 다음 ADSYNC는 미리 설정된 ADSYNC 주기의 최소폭(ii) 이후에 나타난 마스터 유닛(10)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시작 지점(X지점)에 동기화될 수 있다.
즉,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i)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ii)보다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출력된 ADSYNC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과 ADSYNC 주기의 폭이 더 큰 경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출력된 ADSYNC에 동기화된다. 반면,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i)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ii)보다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출력된 ADSYNC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과 ADSYNC 주기의 폭이 더 작은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i)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ii)을 확보하도록 동기화된다.
한편, 도 6의 (a)(b)(c)에 나타낸 (iii)구간은 데이터를 추가(중첩)하여 데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iii)구간에는 여러 가지 파형이 들어가도 ADSYNC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통신파형을 중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iii)구간에 UART나 그 외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를 추가(중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i)은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이 수집해야 할 데이터의 양,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의 성능 등, 전송될 데이터의 양, 신호선(14, 15)의 통신 능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상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레이브 유닛(11, 12, 13) 사이에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하는 모습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되지 않는 상황이다. 상기 마스터 유닛(10)이 ADSYNC를 출력하지 않는 것은 상기 마스터 유닛(10)내 CPU가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기능을 상실한 경우 일 수 있다. 이 경우,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11, 12, 13) 상호간에 연결된 신호선(15)를 통해서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한다. 본 명세서에서 프리-런(free-run) ADSYNC란, 슬레이브 유닛(11, 12, 13) 사이에 동기화를 이루기 위한 예비 신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이 출력한 프리-런(free-run) ADSYNC의 파형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1 슬레이브 유닛(11) 내지 #3 슬레이브 유닛(13)이 출력한 프리-런(free-run) ADSYNC의 각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 및 ADSYNC 주기의 폭이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의 프리-런(free-run) ADSYNC는 상기 신호선(15)를 통해 모든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이 서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출력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어느 하나의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출력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 및 ADSYNC 주기의 폭이 가장 작은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된 프리-런(free-run) ADSYNC의 파형도이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도 8에서 #1 슬레이브 유닛(11)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이 가장 작고, 프리-런(free-run) ADSYNC의 1주기가 가장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1 슬레이브 유닛(11)의 프리-런(free-run) ADSYNC에 상기 #2 슬레이브 유닛(12) 및 상기 #3 슬레이브 유닛(13)의 프리-런(free-run) ADSYNC가 동기화된 것을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은 상기 통신시스템(100) 및 상기 통신시스템(100)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에 연결된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일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는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팩과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구동 시스템의 일예로는 전기차(EV),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전기 자전거(E-Bike), 전동 공구(Power tool),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무정전 전원 장치(UPS),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 휴대용 비디오 장치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부하의 일예로는 배터리 팩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또는 배터리 팩이 공급하는 전력을 각종 회로 부품이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회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통신시스템(100) 내 유닛의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통신시스템(100)에 대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 내 유닛의 동기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단계 20에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상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과 데이터 전송 구간이 하나의 주기를 이루는 ADSYNC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되는 경우(단계 10의 YES), 본 방법의 프로세서는 단계 21로 이행한다. 반면, 상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단계 10의 NO), 본 방법의 프로세서는 단계 22로 이행한다.
단계 22에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한다. 그리고, 본 방법의 프로세서는 단계 23으로 이행한다. 단계 23에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은 출력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어느 하나의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출력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 및 ADSYNC 주기의 폭이 가장 작은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료한다.
한편, 단계 10에서 상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되어(단계 10의 YES) 본 발명의 프로세서가 단계 21로 이행한 경우를 살펴보겠다.
단계 21에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을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이 저장된 경우(단계 21의 YES), 본 발명의 프로세서는 단계 24로 이행한다. 반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이 저장되지 않은 경우(단계 21의 NO), 본 발명의 프로세서는 단계 25로 이행한다.
단계 22에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상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출력된 ADSYNC의 주기에 전 유닛이 동기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료한다.
한편, 단계 21에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이 저장되어(단계 21의 YES) 본 발명의 프로세서가 단계 24로 이행한 경우를 살펴보겠다.
단계 24에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11, 12, 13)은 상기 마스터 유닛(10)으로부터 출력된 ADSYNC를 기준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과 연계되어 동기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과 연계되어 동기화된다는 것은 동기화된 ADSYNC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이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보다 크고, 동기화된 ADSYNC 주기 역시 미리 설정된 ADSYNC 주기의 최소폭보다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선의 일부가 단선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도 나머지 신호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DSYNC를 프리-런으로 동기화함으로써 각종 측정, 자기 진단 등을 동기화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화된 데이터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일시적인 통신 문제에 대해서 대처가 가능하므로 시스템 전부가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도2,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대한 각 구성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하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4)

  1. 신호선을 통해 인접 슬레이브 유닛과 연결된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 및
    신호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과 연결된 마스터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과 데이터 전송 구간이 하나의 주기를 이루는 ADSYNC가 출력된 경우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ADSYNC의 주기에 전 유닛이 동기화 되며,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하며,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한 경우, 출력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어느 하나의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DSYNC는,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 및 데이터 전송 구간의 시작점에서 신호의 로직 레벨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출력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 및 ADSYNC 주기의 폭이 가장 작은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ADSYNC를 기준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과 연계되어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과 연계되어 동기화되는 것은,
    동기화된 ADSYNC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이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보다 크고,
    동기화된 ADSYNC 주기 역시 미리 설정된 ADSYNC 주기의 최소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간에 ADSYNC 외에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중첩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시스템; 및
    상기 통신시스템의 슬레이브 유닛에 연결된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는, 상기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7항에 따른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
  9. 신호선을 통해 인접 슬레이브 유닛과 연결된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과 신호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과 연결된 마스터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의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과 데이터 전송 구간이 하나의 주기를 이루는 ADSYNC가 출력된 경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ADSYNC의 주기에 전 유닛이 동기화 되는 단계;
    (b)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ADSYNC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프리-런(free-run) ADSYNC를 출력한 경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출력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어느 하나의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내 유닛의 동기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DSYNC는,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 및 데이터 전송 구간의 시작점에서 신호의 로직 레벨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내 유닛의 동기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출력한 프리-런(free-run) ADSYNC 중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 및 ADSYNC 주기의 폭이 가장 작은 프리-런(free-run) ADSYNC에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내 유닛의 동기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이 상기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ADSYNC를 기준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과 연계되어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내 유닛의 동기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과 ADSYNC 주기의 최소폭과 연계되어 동기화되는 것은,
    동기화된 ADSYNC의 데이터 전송 준비 구간의 폭이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전송 준비 구간의 최소폭보다 크고,
    동기화된 ADSYNC 주기 역시 미리 설정된 ADSYNC 주기의 최소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내 유닛의 동기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d) 상기 데이터 전송 구간에 ADSYNC 외에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중첩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내 유닛의 동기화 방법.
PCT/KR2014/009746 2013-10-16 2014-10-16 동기화된 유닛들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유닛들의 동기화 방법 WO201505699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46071.3A CN105474572B (zh) 2013-10-16 2014-10-16 具有同步的单元的通信系统及单元的同步方法
EP14854009.9A EP3024166B1 (en) 2013-10-16 2014-10-16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ynchronized units and synchronization method for units
JP2016523908A JP6296577B2 (ja) 2013-10-16 2014-10-16 同期化されたユニットを有する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ユニットの同期化方法
US14/906,734 US9705663B2 (en) 2013-10-16 2014-10-16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ynchronized units and synchronization method for un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497 2013-10-16
KR1020130123497A KR101640888B1 (ko) 2013-10-16 2013-10-16 동기화된 유닛들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유닛들의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6999A1 true WO2015056999A1 (ko) 2015-04-23

Family

ID=5282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9746 WO2015056999A1 (ko) 2013-10-16 2014-10-16 동기화된 유닛들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유닛들의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05663B2 (ko)
EP (1) EP3024166B1 (ko)
JP (1) JP6296577B2 (ko)
KR (1) KR101640888B1 (ko)
CN (1) CN105474572B (ko)
WO (1) WO2015056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7536B2 (ja) * 2015-04-30 2017-07-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電動車両、及び鞍乗型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
CN106569424B (zh) * 2016-11-03 2019-06-28 上海理工大学 电池管理系统数据存储的在线同步方法
JP6812788B2 (ja) * 2016-12-27 2021-01-1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操舵制御装置
JP6838395B2 (ja) 2016-12-27 2021-03-0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操舵制御装置
KR20200144375A (ko)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220001976A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들의 통신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2606A (ja) * 2001-02-26 2002-09-06 Oki Electric Ind Co Ltd 同期補正回路
KR20060073525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밸런싱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00124499A (ko) * 2009-05-19 2010-11-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10051093A (ko) * 2009-11-09 201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 분할 듀플렉스 네트워크에서 노드 간의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49225A (ko) 2009-06-10 2012-05-16 에이일이삼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 팩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3138344A (ja) * 2011-12-28 2013-07-11 Panasonic Corp マスタ・スレーブ同期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8290B2 (ja) * 1989-12-28 1997-03-05 株式会社東芝 データ入出力システム
US5577075A (en) * 1991-09-26 1996-11-19 Ipc Information Systems, Inc. Distributed clocking system
JP2001244918A (ja) * 2000-02-28 2001-09-07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装置
JP2002055181A (ja) * 2000-08-09 2002-02-20 Nissin Electric Co Ltd 時計同期回路
JP2002077423A (ja) * 2000-08-30 2002-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マスタ/スレーブ動作切換装置
US7506179B2 (en) * 2003-04-11 2009-03-17 Zilker Lab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DC power delivery management and configuration
US7793005B1 (en) * 2003-04-11 2010-09-07 Zilker Labs, Inc.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multi-master multi-slave bus and multi-function point-of-load regulators
US7518894B2 (en) * 2005-03-31 2009-04-14 Silicon Laboratories Inc. Distributed power supply system having reassignable master
JP2007281800A (ja) * 2006-04-05 2007-10-25 Kenwood Corp 同期信号自動切換え装置とその方法
CN101478846A (zh) * 2008-12-31 2009-07-08 上海广茂达灯光景观工程有限公司 Led灯光控制总线及其控制方法
KR101332038B1 (ko) * 2009-08-03 2013-12-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국내 장치, pon 시스템 및 데이터 수신 처리 방법
KR101861723B1 (ko) * 2011-12-20 201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티어링과 플리커를 방지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조절하는 장치들과 그 방법
WO2014070831A1 (en) * 2012-10-30 2014-05-08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Distributed battery power electronics architecture and control
KR102201102B1 (ko) * 2013-03-15 2021-01-12 디자인 플럭스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동적으로 재구성가능한 에너지 스토리지 장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2606A (ja) * 2001-02-26 2002-09-06 Oki Electric Ind Co Ltd 同期補正回路
KR20060073525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밸런싱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00124499A (ko) * 2009-05-19 2010-11-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49225A (ko) 2009-06-10 2012-05-16 에이일이삼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 팩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1093A (ko) * 2009-11-09 201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 분할 듀플렉스 네트워크에서 노드 간의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3138344A (ja) * 2011-12-28 2013-07-11 Panasonic Corp マスタ・スレーブ同期通信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024166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283A (ko) 2015-04-24
JP2016540412A (ja) 2016-12-22
US9705663B2 (en) 2017-07-11
CN105474572B (zh) 2018-10-12
EP3024166A4 (en) 2017-03-15
JP6296577B2 (ja) 2018-03-20
US20160164662A1 (en) 2016-06-09
EP3024166A1 (en) 2016-05-25
EP3024166B1 (en) 2018-04-04
KR101640888B1 (ko) 2016-07-19
CN105474572A (zh)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56999A1 (ko) 동기화된 유닛들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유닛들의 동기화 방법
WO2011083993A2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5060576A1 (ko) 적은 수의 절연소자를 사용하여 2차 보호 신호 및 진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WO2017010750A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방법
WO2013125850A1 (ko) 멀티 bms에 대한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WO2016056845A1 (ko) 배터리 관리 모듈의 통신 id 할당 방법 및 시스템
WO2012165879A2 (en) Secondary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battery cell information
WO2020076127A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2165858A2 (ko) 전력 저장 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의 구성 방법
WO2018139740A1 (ko)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의 관리 방법,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차량
WO2013119070A1 (ko) 양방향 디씨-디씨 컨버터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셀 밸런싱 회로 장치
WO2015126035A1 (ko) 전압 측정을 통한 배터리 랙 파손 방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15034262A1 (ko)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WO2018038348A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WO2019221368A1 (ko) 메인 배터리와 서브 배터리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배터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4084628A1 (ko) 배터리 전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WO2020149537A1 (ko)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방법
WO2021033956A1 (ko)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
WO2019124806A1 (ko) 통신 이상을 진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090978A1 (ko) 배터리 팩 상태 병렬 모니터링 장치
WO2018105875A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WO2021149949A1 (ko) 종단 저항 설정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WO2013133555A1 (ko) 무선 제어 방식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WO2021085869A1 (ko) 배터리 충전상태 추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WO2015057030A1 (ko)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46071.3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540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906734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540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2390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