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56937A1 - 내시경용 주사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56937A1
WO2015056937A1 PCT/KR2014/009562 KR2014009562W WO2015056937A1 WO 2015056937 A1 WO2015056937 A1 WO 2015056937A1 KR 2014009562 W KR2014009562 W KR 2014009562W WO 2015056937 A1 WO2015056937 A1 WO 20150569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edle
forceps
gripping
injection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95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대경
김광기
양나리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3654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56944B1/ko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CN201480057167.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636621B/zh
Priority to EP14854246.7A priority patent/EP3058969B1/en
Priority to US15/029,575 priority patent/US10765804B2/en
Publication of WO20150569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569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용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사대상 부위인 신체 조직을 파지한 상태에서 내시경용 주사침을 조직 내에 삽입되게 한 후 주사 용액을 주입하는 구성 및, 출혈 발생시 그 출혈 부위를 지혈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즉 조직을 파지하는 파지용 집게 사이에 주사침이 수용된 상태로부터 일련의 조작에 대응되어 파지용 집게가 조직을 파지한 후 주사침을 삽입하고, 주사침을 통해 주사용액을 조직에 주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시술시 출혈이 발생할 경우 별도의 지혈 겸자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파지용 집게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 출혈 부위를 지혈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주사 대상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주사침으로 인해 조직에 천공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출혈 발생시에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지혈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내시경용 주사장치
본 발명은 내시경용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 대상부위 조직을 내시경용 집게로 파지한 상태에서 주사침을 삽입하여 주사 용액을 안전하게 주입함은 물론 출혈 발생시에는 그 출혈 부위를 지혈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내시경용 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과 더불어 국민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이에 의료분야를 비롯하여 의료기기분야도 발전하고 있다.
의료분야 중 특히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내시경 분야는 소화기계 진료영역에서 중요한 분야로 인정받고 있다. 즉, 과거에는 위암 또는 대장암과 같은 경우 외과적 수술 방법에 의존하였지만, 내시경의 등장으로 인하여 임상적으로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여 치료율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시경 분야에서 사용되는 의료기기 중 하나인 내시경 주사장치는 내시경 수술 및 검사시에 환자 신체 내에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로 이용된다.
기존의 내시경 주사장치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12-0055874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에 '내시경 인젝터 처치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을 보면, 내시경 인젝터 처치기구는 크게 신체 내부의 조직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필요한 동작을 제어하는 처치부, 처치부에 삽입되어 신체 내부의 조직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니들(주사침)이 형성된 니들부, 니들부의 끝단과 결합되면 조직에 주입되는 약물을 구비하는 약액 주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의 동작은 주사침을 주사대상 부위에 삽입한 상태에서 처치부를 조작하여 약액 주입부에 보관된 약액을 신체 내부에 주입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내시경 인젝터 처치기구를 사용하여 약액을 주입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즉, 선행기술문헌의 내시경 인젝터 처치기구는 일단에 주사침만이 형성된 구성이다.
이 경우 주사침의 일단을 주사대상 부위인 조직에 접촉한 상태에서 그대로 밀어넣어 조직 내로 삽입해야 하지만, 조직의 미세한 움직임으로 인하여 주사침이 삽입되어야 할 정확한 부위에 삽입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내시경 인젝터 처치기구를 다시 잡은 후 주사침을 정확한 위치에 다시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조직에 원하지 않는 상처를 유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대장 등의 장기 조직에 주사용액을 주입할 경우 대장 조직에만 주사용액이 주입되어야 하지만 대장 두께가 비교적 얇기(즉 3 ~ 5mm 내외) 때문에 대장을 그대로 통과하게 되어 대장에 천공을 발생시키는 문제도 있다. 즉 도 1과 같이 대장에 주사침(3)을 찌를 경우 주사침(3)이 대장 두께(2)를 그대로 통과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등으로 인해 종래 기술에서는 주사 용액이 주사대상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로 유출될 수 있는 다른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고, 이는 시술 부작용에 따른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주사침에 의한 조직 투과시 출혈 등도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출혈을 지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기 장치가 연결 가능한 지혈 겸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지혈 겸자를 사용할 경우, 인젝터와 지혈 겸자를 번갈아 가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술이 번거롭고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사대상 부위 조직을 파지한 상태에서 내시경용 주사침이 조직 내로 안전하게 삽입되게 하여 주사 용액이 주입되게 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술시 출혈이 발행할 경우 별도의 지혈 겸자를 사용하지 않고 곧바로 지혈 가능한 내시경용 주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내시경용 주사장치가 정확한 주사대상 부위에 주사침을 찔러 주사용액을 주입함은 물론 출혈이 발생할 경우 그 출혈 부위에 대한 지혈을 별도의 겸자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지혈할 수 있도록 다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주사용액을 분출하는 주사침; 상기 주사침을 둘러싸는 한 쌍의 파지용 집게; 및 상기 파지용 집게를 이용하여 주사대상 부위를 파지하고 상기 주사침이 조직 내로 삽입되면 주사용액이 주입되게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조작부는, 일단에 주사침 조작버튼이 구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주사용액 주입구; 및 상기 몸체 외면을 감싸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파지용 집게를 동작시키는 집게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에는 전원단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파지용 집게에 전달하는 전원버튼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버튼은 상기 주사침 조작버튼이 미 작동된 상태에서만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타단에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용 집게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 내측에 결합하면서 일부가 샤프트의 외부로 돌출되며 중앙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집게 고정편에 힌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파지용 집게의 파지면에는 상기 주사침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파지면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지면의 끝단에는 상기 전원버튼 조작에 따라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전도체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용 집게의 벌림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를 나타내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사침 조작버튼은 상기 파지용 집게가 벌려진 경우에는 미 조작되게 구성된다.
상기 주사침 조작버튼이 조작되는 동안 상기 주사침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여 조직 내에 삽입된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집게 조작부의 전진 및 후퇴를 위한 탄성 부재가 더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내에 삽입 장착되도록 소정 길이 및 직경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주사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적어도 일 측면이 상기 주사침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내시경용 주사장치는, 주사 대상부위 조직을 파지용 집게로 먼저 안정되게 파지한 상태에서 조직 내에 주사침을 삽입하고 있다. 이후 조직으로 주사 용액을 주입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주사를 해야 할 주사 대상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한 다음에 주사용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에 주사 대상부위를 잘못 선정하여 주사침을 빼고 삽입하는 불필요한 행위를 제거할 수 있어 주사침으로 인한 상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주사 대상부위를 파지용 집게가 파지한 상태에서 주사침을 삽입하기 때문에 대장 조직 등에 천공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주사 대상부위에 천공 발생 등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더라도 내시경용 주사장치만으로 그 출혈 부위에 대한 지혈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동작의 제어는 하나의 조작부를 통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대장 조직 등에 주사침을 사용할 때의 예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주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부 구성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내시경용 주사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구성 일부를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내시경용 주사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주사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적용되는 고정부재의 구성도
도 8은 도 7의 고정부재가 샤프트에 장착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파지용 집게의 파지면 형상을 보인 실시 예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내시경용 주사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주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구성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내시경용 주사장치(100)의 골격과 외형은 몸체(110)가 형성한다. 몸체(1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상이다. 그 길이는 내시경용 주사장치(100)를 이용하여 주사 대상부위에 주사 용액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길이이면 된다.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집게 조작부(120)가 장착된다. 집게 조작부(120)는 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데, 그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후술하는 파지용 집게(160)가 벌려지거나 오므라드는 동작을 한다. 즉, 도 2a와 같이 집게 조작부(120)가 위치한 경우에는 파지용 집게(160)는 벌려진 상태이고, 도 2b와 같이 집게 조작부(120)가 이동한 경우에는 파지용 집게(160)는 오므라든 상태가 된다. 그리고 집게 조작부(120)에는 안내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그 안내부(122)는 집게 조작부(120)의 일부가 절개된 부분으로, 여기에는 몸체(110)에 구성된 주사용액 주입구(112)가 돌출 형성된다. 주사용액 주입구(112)는 주사용액을 주입하는 기능을 하는데, 따라서 주사용액 주입구(112)에는 실린지(sylinge)가 설치되게 된다. 또한 집게 조작부(120)에는 전원 버튼(124)이 설치된다. 전원 버튼(124)는 파지용 집게(160)를 이용하여 출혈 부위를 지혈할 수 있도록 와이어를 통해 파지용 집게(160)로 열을 전달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렇기 때문에 파지용 집게(160)는 전달받은 열에 의해 출혈 부위를 지혈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110)의 일 단면에는 주사침(170)을 이동시키기 위한 주사침 조작버튼(130)이 형성된다. 주사침 조작버튼(130)이 조작되면, 그 조작되는 동안에 주사침(170)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여 조직 내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주사침 조작버튼(130)의 둘레에는 테두리(132)가 형성된다. 테두리(132)는 시술자의 손가락이 들어간 상태에서 주사침 조작버튼(130)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테두리(132)가 없다면 손가락은 주사침 조작버튼(130)과 항상 떨어진 상태이고, 조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가락을 주사침 조작버튼(130) 측에 갖다대야 하는 불편한 점이 초래된다.
한편, 주사침 조작버튼(130)은 집게 조작부(120)에 의해 파지용 집게(160)가 닫힌 상태에서만 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파지용 집게(160)가 벌려진 상태에서 주사침 조작버튼(130)이 조작될 경우 조직을 파지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주사침은 그대로 대장 조직 등을 통과하여 천공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파지용 집게(160)의 각도가 소정 각도 이내인 경우에만 주사침 조작버튼(130)이 조작 가능하도록 한다. 일 예로 파지용 집게(160)가 대략 45°이내인 경우에만 조작되게 한다. 이는 파지용 집게(160)가 주사 대상부위를 파지한 상태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지용 집게(160)의 벌림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센서는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파지용 집게(160)의 힌지 축(154) 부위에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른 파지용 집게(160)의 벌림 각도에 따라 주사침 조작버튼(130)의 재조작을 시술자가 알 수 있도록 램프 등과 같은 알림부도 더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알림부는 몸체(110)에 형성될 것이다. 즉, 램프가 점등되면 현재 파지용 집게(160)가 조직을 파지한 상태가 아니고, 따라서 주사침 조작버튼(130)을 조작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집게 조작부(120)를 다시 조작하여 조직을 다시 파지하도록 알리는 것이다.
몸체(110)의 타단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중공인 샤프트(134)가 연결된다. 그 샤프트(134) 내에는 미도시 하고 있지만 파지용 집게(160)의 동작을 위한 제1 와이어와 파지용 집게(160)를 이용하여 출혈부위를 지혈할 수 있도록 열을 전달하는 제2 와이어가 제공된다. 즉 제1 와이어는 집게 조작부(120)와 파지용 집게(160)를 서로 연결하고 있고, 제2 와이어는 전원버튼(124)과 파지용 집게(160)를 서로 연결한다. 또한 주사침 조작버튼(130)에 의해 이동하는 주사침(170)도 설치된다.
샤프트(134)의 일 측 끝에는 파지 유닛(140)이 구성된다. 파지 유닛(140)은 집게 고정편(150)과, 한 쌍의 파지용 집게(160) 및 주사침(17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들 구성을 살펴본다.
먼저 집게 고정편(150)은 샤프트(134)의 일단 내측에 결합하면서 일부가 샤프트(134)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절개부(152)가 형성된다. 그 절개부(152)에 한 쌍의 파지용 집게(160)가 장착이 되는데, 파지용 집게(160)는 힌지 축(154)을 중심으로 교차하면서 구동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집게 고정편(150)에 힌지 결합하는 파지용 집게(160)는 주사침(170)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어야 한다. 즉 파지용 집게(160)가 조직을 파지한 상태에서 주사침(170)의 이동이 가능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파지용 집게(160)에는 주사침(170)의 이동 경로인 가이드 홈(162)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62)은 파지면(164)의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을 말한다. 한편, 파지용 집게(160)의 파지면(164)은 조직 일부를 파지할 수 있는 어떠한 모양이어도 상관없다. 예컨대, 파지면(164)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거나, 톱니 모양으로 형성하여 주사 대상부위 조직을 잡는 파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파지면(164)은 출혈 부위를 지혈할 수 있는 역할도 하는데, 이를 위해 파지면(164)은 끝단 일부를 전도성 재질(164a)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혈 동작은 주사침(170)이 미 조작된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즉 주사침 조작버튼(130)이 조작되어 주사침(170)이 파지용 집게(160)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원 버튼(124)을 조작할 수 없다는 것이다.
파지용 집게(160) 내에는 주사침(170)이 제공된다. 주사침(170)은 평상시에는 파지용 집게(160) 내에 위치하고, 주사침 조작버튼(130)이 조작되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파지용 집게(160)보다 더 돌출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주사침(1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파지용 집게(160)가 완전하게 닫힌 상태이더라도 가이드 홈(16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내시경용 주사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일부 구성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내시경용 주사장치(100)의 파지용 집게(160)가 벌려진 상태를 보인다. 이때에는 파지용 집게(160) 내에 수용된 주사침(170)이 파지용 집게(160) 내에 거의 완전하게 수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주사 용액을 주입할 수 없는 상태이다. 반면, 도 4b를 보면 내시경용 주사장치(100)의 파지용 집게(160)가 닫힌 상태이고 이때 주사침(170)은 그 파지용 집게(160)보다 더 돌출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파지용 집게(160)가 조직을 파지한 상태에서 주사침(170)이 신체 조직 내에 삽입된 상태로 볼 수 있다.
이어서는 상기 구성을 가지는 내시경용 주사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도 5a 내지 도 5c를 함께 참조한다.
환자의 주사 대상부위인 조직의 외면을 형성하는 장벽(2)에 주사용액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신체 조직에 내시경용 주사장치(100)를 근접시킨다. 이때 도면에서와 같이 파지용 집게(160)는 벌려진 상태이고, 아울러 주사침(170)은 파지용 집게(160) 내측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때에는 주사침 조작버튼(130)은 조작할 수 없는 상태이다. 또는 주사침 조작버튼(130)을 조작하더라도 주사침(170)은 슬라이딩 이동을 하지 않게 된다. 즉 파지용 집게(160)의 벌림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벌어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시술자는 내시경용 주사장치(100)를 조직의 외면을 형성하는 장벽(2)으로 더 근접시켜서 실질적으로 현재 벌어진 상태를 가지는 파지용 집게(160) 사이로 장벽(2) 일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시술자는 주사 대상부위인 장벽(2) 일부를 파지하기 위하여 집게 조작부(120)를 후방, 즉 주사침 조작버튼(1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집게 조작부(120)에 연결된 제1 와이어의 당김 동작에 의해 파지용 집게(160)는 오므라드는 동작을 수행하고, 도 5b와 같이 장벽(2) 일부를 잡게 된다. 이때 파지용 집게(160)는 완전하게 닫힌 상태이거나, 또는 약간 벌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는 파지용 집게(160)가 장벽(2)을 두껍게 잡을 경우 그 두께만큼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는 장벽(2) 두께에 대응되어 벌어진 상태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파지용 집게(160)가 약간 벌어진 상태라도 장벽(2) 일부를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로 주사침(170)을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센서는 파지용 집게(160)의 벌림 각도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알림부를 통해 통보한다. 따라서 알림부와 같은 램프가 표시되면 파지용 집게(160)의 벌림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벌어진 상태이고 이에 주사침 조작버튼(130)을 조작할 수 없는 상태임을 시술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파지용 집게(160)가 주사침 조작버튼(130)을 조작할 수 없을 정도로 벌어진 상태이면 시술자는 집게 조작부(120)를 다시 조작하는 동작을 반복해야 한다.
파지용 집게(160)가 장벽(2)을 잡은 상태가 되면, 시술자는 주사침 조작버튼(130)을 조작한다. 그러면 주사침 조작버튼(130)이 조작되는 동안 파지용 집게(160) 사이에 위치한 주사침(170)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장벽(2)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주사침(170)의 끝단이 장벽(2)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5c에 도시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사침(170)이 장벽(2) 내로 안전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장벽(21) 내로 주사침(170)을 삽입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주사침 조작버튼(130)을 1회 조작하면 기 설정된 거리만큼 주사침(170)을 전진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물론 이 경우 주사침(170)이 장벽(2) 내로 충분히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주사침 조작버튼(130)은 수 회 조작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c와 같이 주사침 조작버튼(130)의 조작에 따라 장벽(2) 내로 주사침(170)이 삽입 완료된 상태가 되면, 다른 시술자에 의해 주사용액 주입구(112)를 통해 주사용액이 주입되도록 한다. 이에 주사용액 주입구(112)를 통해 공급되는 주사용액은 주사침(170)을 통해 장벽(2) 내로 주입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주사를 해야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주사침(170)을 삽입하여 주사 용액을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주사 용액이 주입 완료되면 시술자는 집게 조작부(120)을 반대 방향 즉, 샤프트(134)가 있는 방향으로 밀어 파지용 집게(160)가 벌린 상태가 되게 하고, 내시경용 주사장치(100)를 이동시켜 주사침(170)이 장벽(2)에서 빠지도록 한다. 물론 주사침(170)을 장벽(2)에서 뺄 경우 주사침 조작버튼(130)을 조작하여 주사침(170)을 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본 실시 예는 도시한 바와 같이 조직의 외면을 형성하는 장벽(2) 일부를 파지용 집게(160)가 잡을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주사침(170)을 통해 주사용액을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장벽(2) 일부를 잡기 때문에 주사침(170)이 삽입될 영역을 어느 정도 더 확장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장벽(2)을 천공하지 않은 상태로 주사용액을 안전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시술 중에 출혈이 발생할 경우 별도의 지혈 겸자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그 출혈부위에 대한 지혈을 할 수 있다. 즉, 시술자가 출혈 발생을 확인하면 시술자는 그 출혈 부위를 감싸도록 파지용 집게(160)를 갖다 댄다. 그 상태에서 집게 조작부(120)을 잡아당겨 파지용 집게(160)의 파지면(164)을 출혈 부위에 접촉시킨다.
그런 다음 전원버튼(124)을 조작한다. 그러면 내시경용 주사장치(100)에 연결된 전원 라인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공급된 전원은 제2 와이어를 통해 파지용 집게(160)의 전도체 재질(164a)에 전달된다. 그 결과 파지용 집게(160)에 전달된 열에 의해 출혈 부위를 지혈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주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주사장치는 상술한 실시 예의 내시경용 주사장치의 구성과 유사하다. 다만 파지용 집게를 조작하는 집게 조작부가 전진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해 후퇴하는 구성, 그리고 주사침과 집게를 각각 조작하는 와이어간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는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는바, 이들 차이가 있는 구성들을 대상으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용 주사장치(200)의 골격을 이루는 몸체(210)가 구성된다.
몸체(210)에는 집게 조작부(220) 및 그 집게 조작부(220)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는 보조 조작부(222)가 구성된다. 여기서 집게 조작부(220)에는 전원 연결부(223)가 형성되어 있고, 보조 조작부(222)에는 주사용액 주입구(224)가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보조 조작부(224)는 몸체(21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230)와 가이드(240)를 통해 연결된다. 가이드(240)에는 탄성부재인 스프링(250)이 장착된다. 스프링(250)은 집게 조작부(220)의 전진/후퇴 조작에 따라 압축 및 이완되는데, 이를 통해 파지용 집게(310, 320, 도 9 참조)는 벌려지거나 오므라드는 동작을 하게 된다. 즉, 집게 조작부(220)를 앞으로 전진시키면 스프링(250)은 압축되면서 파지용 집게(310,320)가 소정 각도로 벌어지고, 이후 손가락을 집게 조작부(220)에서 이탈시키면 스프링(250)의 복원력에 의해 집게 조작부(220)는 후퇴하면서 파지용 집게(310,320)는 오므라드는 동작을 하는 것이다. 파지용 집게(310,320)의 동작은 집게 조작부(22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파지용 집게 조작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파지용 집게 조작 와이어는 샤프트(240) 내부를 통해 파지용 집게(310,320)와 연결된다. 이때, 샤프트(240)에는 지혈 동작을 위해 열을 전달하는 전원 와이어(미도시) 및 후술하는 주사침 조작 와이어(미도시)도 함께 구성된다. 전원 와이어는 전원 연결부(223)와 연결된다.
몸체(210)의 일단에는 주사침을 이동시키기 위한 주사침 조작버튼(250)이 구성된다. 이때 주사침 조작버튼(250)은 몸체(210)를 단면으로 처리하여 봤을 때, 몸체(210) 중앙에 구성되는 것이 아니고 몸체(210)의 일 측에 치우쳐져서 구성되고 있다. 도면에서는 아래쪽으로 치우친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주사침 조작버튼(250)과 수평방향으로 와이어 수납 가이드(260)가 연결된다. 와이어 수납 가이드(260) 내에는 주사침 조작 와이어(미도시)가 제공되며, 주사침 조작 와이어는 그 와이어 수납 가이드(260) 및 샤프트(240)를 통해 주사침과 연결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주사침 조작 와이어와 파지용 집게 조작 와이어가 서로 간섭하지 않으면서 동작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주사침은 샤프트(240)의 끝단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며, 그 연장되는 주사침의 일부는 파지 유닛(300)의 파지용 집게(310,3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샤프트(240) 내에 위치하는 주사침은 샤프트(24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샤프트(240)의 내경 보다 얇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비록 파지용 집게(310,320)에 가이드 홈이 있긴 하지만, 샤프트(240) 내에서 주사침은 움직이기 때문에 주사 용액을 공급해야 할 위치에 주사침을 정확하게 삽입할 수 없는 문제를 예상할 수 있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지 위해 샤프트(240)의 끝단 일부분에 주사침을 더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00)를 장착할 수 있다.
고정부재(400)의 구성은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보면, 고정부재(400)는 샤프트(240) 내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 및 직경으로 이루어진 몸체(410)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00)의 몸체(410) 양 측면부(412)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렇게 오목하게 하는 이유는 중앙에 위치하는 주사침(170)을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즉 고정부재(400)가 샤프트(240) 내에 장착된 도면인 도 8을 보면, 오목하게 들어간 고정부재(400)의 측면부(412)가 주사침(170)과 근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주사침(170)이 샤프트(240) 내에서 심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그만큼 안전하게 주사침(170)을 슬라이딩 이동 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고정부재(400)의 측면부(412)가 오목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부재(400)의 측면부(412)와 샤프트(240)의 내주면 사이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공간에 파지용 집게 조작 와이어(420)가 위치한다. 파지용 집게 조작 와이어(420)는 파지용 집게(310,320)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8에서는 좌우 측면부(412)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이지만, 다른 부분을 오목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좌우상하 부분을 모두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샤프트(240) 내에서 주사침(170)을 어느 정도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특정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파지용 집게의 파지면 형상을 보인 실시 예 도면이다.
도 9을 보면 파지용 집게(310,320)의 파지면(322)이 요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철 모양으로 형성되면 주사 대상부위 조직을 잡는 파지 능력이 더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파지 능력이 향상되면 그만큼 주사침이 정확하게 장벽에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파지면(3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출혈 부위를 지혈할 수 있는 역할도 하는데, 이를 위해 파지면(322)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전도성로 형성되는 파지면(322)의 범위는 파지면(322)의 일부 또는 전부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파지용 집게를 이용하여 주사할 신체 조직을 1차적으로 파지한 다음 주사침을 안전하게 신체 조직 내로 삽입하고 주사용액을 주입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출혈 부위에 대한 지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실시 예는 집게 조작부를 통해 파지용 집게를 이용하여 조직을 파지하고, 그 다음 주사침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주사침을 조직 내에 삽입하고, 이후 주사용액 주입구를 통해 주사용액이 주입되도록 구분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파지용 집게, 주사침의 슬라이딩 이동 및 주사용액 주입 과정이 원터치 조작만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내시경 수술 및 검사시에 환자 신체 내에 약물을 주입함은 물론 출혈 부위에 대한 지혈을 하도록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는 내시경 분야와 같은 각종 의료 분야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주사용액을 분출하는 주사침;
    상기 주사침을 둘러싸는 한 쌍의 파지용 집게; 및
    상기 파지용 집게를 이용하여 주사대상 부위를 파지하고 상기 주사침이 조직 내로 삽입되면 주사용액이 주입되게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일단에 주사침 조작버튼이 구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주사용액 주입구; 및
    상기 몸체 외면을 감싸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파지용 집게를 동작시키는 집게 조작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전원단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파지용 집게에 전달하는 전원버튼을 더 포함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버튼은 상기 주사침 조작버튼이 미 작동된 상태에서만 동작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단에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용 집게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 내측에 결합하면서 일부가 샤프트의 외부로 돌출되며 중앙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집게 고정편에 힌지 결합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집게의 파지면에는 상기 주사침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면의 끝단에는 상기 전원버튼 조작에 따라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전도체가 형성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집게의 벌림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를 나타내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사침 조작버튼은 상기 파지용 집게가 벌려진 경우에는 미 조작되게 구성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침 조작버튼이 조작되는 동안 상기 주사침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여 조직 내에 삽입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집게 조작부의 전진 및 후퇴를 위한 탄성 부재가 더 형성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내에 삽입 장착되도록 소정 길이 및 직경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주사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적어도 일 측면이 상기 주사침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내시경용 주사장치.
PCT/KR2014/009562 2013-10-16 2014-10-13 내시경용 주사장치 WO201505693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57167.XA CN105636621B (zh) 2013-10-16 2014-10-13 内窥镜注射装置
EP14854246.7A EP3058969B1 (en) 2013-10-16 2014-10-13 Injection device for endoscopy
US15/029,575 US10765804B2 (en) 2013-10-16 2014-10-13 Injection device for endoscop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509 2013-10-16
KR20130123509 2013-10-16
KR10-2014-0136540 2014-10-10
KR1020140136540A KR101656944B1 (ko) 2013-10-16 2014-10-10 내시경용 주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6937A1 true WO2015056937A1 (ko) 2015-04-23

Family

ID=5282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9562 WO2015056937A1 (ko) 2013-10-16 2014-10-13 내시경용 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505693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535A (ja) * 1991-07-24 1993-07-27 Olympus Optical Co Ltd 多機能処置具
JPH08117232A (ja) * 1994-10-24 1996-05-14 Olympus Optical Co Ltd 穿刺具
US6066102A (en) * 1998-03-09 2000-05-23 Spectrascience, Inc. Optical biopsy forceps system and method of diagnosing tissue
JP2003225242A (ja) * 2002-02-01 2003-08-12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止血具
JP2005058344A (ja) * 2003-08-08 2005-03-10 Olympus Corp 内視鏡用止血鉗子
KR20120055874A (ko) 2010-11-24 2012-06-01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 인젝터 처치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535A (ja) * 1991-07-24 1993-07-27 Olympus Optical Co Ltd 多機能処置具
JPH08117232A (ja) * 1994-10-24 1996-05-14 Olympus Optical Co Ltd 穿刺具
US6066102A (en) * 1998-03-09 2000-05-23 Spectrascience, Inc. Optical biopsy forceps system and method of diagnosing tissue
JP2003225242A (ja) * 2002-02-01 2003-08-12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止血具
JP2005058344A (ja) * 2003-08-08 2005-03-10 Olympus Corp 内視鏡用止血鉗子
KR20120055874A (ko) 2010-11-24 2012-06-01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 인젝터 처치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944B1 (ko) 내시경용 주사장치
US7785333B2 (en) Overtube and operative procedure via bodily orifice
US10188469B2 (en) Instrument, manipula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instrument
US8241279B2 (en) Overtube and natural opening medical procedures using the same
CA2908674C (en) Surgical system with sterile wrappings
WO2012067468A2 (ko) 최소 침습 수술 기구
WO2012096464A2 (ko) 최소 침습 수술 기구
WO2011078519A2 (ko) 수술용 표시자 클립 및 클립 장치
JP2011525125A (ja) 解剖学的構造へ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WO2015130075A1 (ko) 의료용 실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실 삽입기구
WO2018110784A1 (ko) 클립 어플라이어
WO2011052872A1 (ko) 수술용 봉합장치
WO2011115387A2 (ko) 싱글포트 수술용 로봇 암 커플러 및 이를 구비한 수술용 로봇
WO2018230825A1 (ko) 내시경용 하이브리드 나이프
WO2019208946A1 (ko) 복강경 수술용 안전침 어셈블리
KR10160191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WO2021221257A1 (ko) 용종 제거용 시술기구
WO2013054953A1 (ko) 수술기구 및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WO2018117737A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WO2019022340A1 (ko) 마그네틱 로봇
WO2015056937A1 (ko) 내시경용 주사장치
WO2023033200A1 (ko) 내시경용 지혈 겸자
WO2011083927A2 (ko) 내시경 수술용 장기 지지홀더
WO2023048331A1 (ko) 의료용 스네어장치
WO2012144875A2 (ko) 모터로 구현되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542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542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542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029575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