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17737A1 -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17737A1
WO2018117737A1 PCT/KR2017/015347 KR2017015347W WO2018117737A1 WO 2018117737 A1 WO2018117737 A1 WO 2018117737A1 KR 2017015347 W KR2017015347 W KR 2017015347W WO 2018117737 A1 WO2018117737 A1 WO 20181177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lip
connector
stopper
contac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53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경민
Original Assignee
(주)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웅메디칼 filed Critical (주)태웅메디칼
Publication of WO20181177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177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단에 접속구를 갖는 일정길이의 와이어가 내부공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앙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상기 클립과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는 제2연결구를 타단에 구비하여 상기 클립과 접속구사이를 연결하는 클립연결체와, 상기 제1,2연결구가 양단에 각각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클립연결체가 삽입배치되는 안내공을 관통형성한 스토퍼 및 상기 클립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삽입배치되는 외부이동링을 포함하여 상기 클립을 벌리거나 오므림작동시키는 클립 작동부; 상기 클립이 벌림배치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클립작동부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단부가 마주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는 링분리부가 배치되는 제3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클립과 더불어 클립작동부를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본 발명은 내시경 시술에 사용되는 처치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 및 취급이 간편하며, 미세한 힘으로도 신체조직의 정확한 협지가 가능하며, 클립을 원터치로 장착할 수 있어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한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내시경 분야는 소화기계 진료영역에서 중요한 분야로 인정되어 있으며,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치료내시경, 즉 내시경 치료술은 초소형 고체촬상소자의 출현으로부터 전자 소자의 소형화, 영상기술의 발전, 워킹채널을 통한 다양한 진단, 치료기술의 발전 및 진료의사의 숙련에 힘입어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과거에는 위암 또는 대장암과 같은 경우 외과적 수술 방법에 의존하였으나, 최근에는 내시경의 등장과 더불어 내시경에 구비되는 워킹채널로 삽입되는 처치구를 통하여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을 수행함으로써 임상적으로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여 조기위암 또는 조기 대장암 등의 내시경적 치료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또는 내시경 점막절제술(EMR :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시술 시 내시경의 워킹채널을 통하여 삽입되는 처치구에 사용되는 처치용 툴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즉 처치구를 구성하는 처치바디와 연결되고 내시경에 구비되는 워킹채널에 삽입되는 튜브를 통하여 처치구를 신체 내부로 진입시켜 사용하게 되는 데, 통상적으로 조직의 점막절제에 사용하는 나이프(Knife)와, 점막절제 등의 과정에서 출혈시 지혈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코어귤레이터(Coagulator)와, 절제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조직을 부풀리기 위한 수단으로 식염수 등을 주입하는 데 필요한 약물 주입을 위한 니들(Needle) 및 출혈 등으로 인한 시야 확보의 용이성을 위한 워셔액의 주입 등 다양한 종류의 처치구를 사용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0661호(2013.12.11)에는 접속구를 갖는 와이어가 내부공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선단에 절곡된 집게편이 서로 마주하도록 만곡된 길이중앙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클립과, 접속구와 연결되는 결합구를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클립의 후단에 삽입되는 클립홀더 및 클립홀더의 외부면으로 부터 외측으로 자유단이 벌어진 탄성편과 대응하도록 클립홀더에 조립되는 안내관을 구비하는 클립부 및 상기 한쌍의 클립이 배치되는 클립수용부를 갖추고, 클립수용부와 연통되어 안내관과 수축된 한쌍의 클립이 안내이동되는 안내로를 갖추며, 안내로의 출구에 배치되는 클립스토퍼를 갖추어 클립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안내로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안내관을 클립스토퍼까지 이동시키는 삽입관의 내부면과 접하는 클립홀더의 탄성편을 통해 클립에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서 와이어의 접속구와 결합구간의 결합력이 부여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구비되는 클립부는 안내이동링이 접하여 일시정지되도록 제2교차판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굴곡편을 형성하거나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되는 원추형상의 접속구와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결합구를 형성하도록 수평판의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외측으로 개구된 요홈을 구비하는 절곡판을 형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클립부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 클립부는 한쌍의 클립으로 분할되어 조립되기 때문에 클램핑 작동성능을 완벽하게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접속구와 클립부에 형성된 결합구간의 접속연결이 불안정하여 제품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 및 취급이 간편하며, 미세한 힘으로도 신체조직의 정확한 협지가 가능하며, 클립을 원터치로 장착할 수 있어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한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단에 접속구를 갖는 일정길이의 와이어가 내부공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 ;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앙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 상기 클립과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는 제2연결구를 타단에 구비하여 상기 클립과 접속구사이를 연결하는 클립연결체와, 상기 제1,2연결구가 양단에 각각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클립연결체가 삽입배치되는 안내공을 관통형성한 스토퍼 및 상기 클립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삽입배치되는 외부이동링을 포함하여 상기 클립을 벌리거나 오므림작동시키는 클립 작동부 ; 상기 클립이 벌림배치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클립작동부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단부가 마주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는 링분리부가 배치되는 제3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클립과 더불어 클립작동부를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 ; 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관과 접하여 강제이동되는 외부이동링이 스토퍼를 통과하여 클립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1수용부내의 클립을 오므림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1수용부내에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의 선단이 상기 링분리부에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를 상기 클립연결체의 제2연결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하고, 상기 클립에 위치하는 외부이동링을 링분리부까지 이동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구는 상기 클립연결체의 후단에 형성되는 걸림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도록 선단에 걸림턱을 내측으로 절곡형성한 한쌍의 탄성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접속구의 탄성걸림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원추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걸림구를 통과하는 탄성걸림편의 선단이 걸림배치되는 환고리형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집게편에 구비된 연결판이 걸림연결되도록 요홈을 형성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요홈의 일측 벽면에는 상기 요홈으로 대응하여 걸림연결되도록 배치된 연결판과 접하는 돌출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접속구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도록 선단에 걸림턱을 내측으로 절곡형성한 한쌍의 탄성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는 상기 제2연결구의 탄성걸림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원추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걸림구를 통과하는 탄성걸림편의 선단이 걸림배치되는 환고리형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립연결체는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사이를 연결하는 일정길이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스토퍼의 안내공의 내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결구와 상기 연결바의 일단 사이에는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 외접하는 제1외경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연결바의 타단 사이에는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 외접하는 제2외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외경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접속구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결바에 배치되어 상기 제2외경부에 대응결합되고,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날개편을 갖는 제1스토퍼관체와, 상기 클립연결체의 제1외경부와 대응결합되어 상기 제1스토퍼관체의 선단과 접하는 제2스토퍼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클립과 마주하는 제2스토퍼관체는 상기 클립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변형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분리부는 상기 제1수용부측으로 선단이 일정길이 연장되는 분리바와, 상기 분리바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3수용부에 위치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바는 상기 클립을 따라 이동되어 분리되는 외부이동링과 접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삽입관의 전진이동을 제한하는 분리확인용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클립의 집게편과의 접촉시 안내이동되는 집게편을 오므림 전환시키는 제2접촉안내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3수용부에 배치되는 분리바의 선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3접촉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단에 접속구를 갖는 일정길이의 와이어가 내부공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 ;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앙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 상기 클립과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는 제2연결구를 타단에 구비하여 상기 클립과 접속구사이를 연결하는 클립연결체와, 상기 제1,2연결구가 양단에 각각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클립연결체가 삽입배치되는 안내공을 관통형성한 스토퍼 및 상기 클립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삽입배치되는 외부이동링을 포함하여 상기 클립을 벌리거나 오므림작동시키는 클립 작동부 ; 상기 클립이 벌림배치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클립작동부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단부가 마주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는 링분리부가 배치되는 제3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클립과 더불어 클립작동부를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 ; 를 포함하여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클립의 집게편과의 접촉시 안내이동되는 집게편을 오므림 전환시키는 제2접촉안내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3수용부에 배치되는 분리바의 선단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3접촉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접촉안내면은 오므림상태로 전환되는 집게편와 일면이 접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바형태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접촉안내면의 형성각도는 상기 분리바를 통과하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촉안내면의 형성각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거나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클립을 카트리지의 제1수용부에 배치하고, 클립 작동부를 카트리지의 제2수용부에 배치하고, 링분리부를 제3수용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카트리지 내부로 진입되는 삽입관과 접하는 외부이동링을 클립까지 이동시킴으로써 벌림상태의 클립을 오므림 상태로 전환시키고, 오므림 상태로 전환된 클립이 링분리부와 접해질때 전진이동되는 와이어의 접속구와 클립연결체의 제2연결구를 서로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와 와이어의 접속구를 서로 접속연결하는 결합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2) 클립연결체의 제2연결구와 와이어의 접속구간의 접속연결을 보다 확실히 보장하여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와이어의 전후진 이동에 의한 클립의 클램핑 작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3) 시술작업후 삽입관의 외부로 순차적으로 클립과 스토퍼와 더불어 클립연결체를 노출시킴으로써 클립연결체의 제1연결구와 클립간의 분리작업 및 클립연결체의 제2연결구와 접속구간의 분리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4) 시술시 내시경 채널내로 삽입부와 더불어 삽입되는 클립에 의해서 인체조직을 집게편으로 보다 섬세하게 협지할 수 있어 내시경 시술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a 와 도 2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서 카트리지가 분해된 상태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클립과 클립작동부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클립과 클립작동부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클립과 클립작동부간의 결합상태를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카트리지에 클립, 클립작동부 및 링분리부를 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접속구와 제2연결구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접속구와 제2연결구간의 다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서 클립작동부와 접속구를 결합하여 카트리지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0a 와 도 10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서 클립작동부에 의한 클립의 벌림 및 오므림 전환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1a 와 도 11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서 클립작동부를 분리하고, 클립연결체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10), 클립(120), 클립작동부(130) 및 카트리지(14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10)는 도 1, 도 2b 및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관인 일정길이의 삽입관(111)과, 상기 삽입관의 내부공을 통해 외력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조작용 와이어인 일정길이의 와이어(112)로 이루어져 시술시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관(111)은 내시경의 삽입부에 형성되는 만곡부위를 따라 자연스럽게 만곡되도록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립(120)과 대응하는 삽입관(111)의 단부까지 전진되어 노출되는 와이어(112)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클립연결체(131)의 후단과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는 접속구(113)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접속구(113)는 상기 클립연결체(131)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2연결구(131b)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도록 외측으로 절개된 절개부(113b)에 의해서 형성되고, 선단에 걸림턱을 내측으로 절곡형성한 한쌍의 탄성걸림편(113a)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추단면상의 걸림구(13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구(113)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와이어(112)에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스토퍼(135)의 내부로 압입되어 끼워지는 삽입체(11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관(111)은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을 삽입 통과 가능한 길이보다도 충분히 길게 구비되며, 상기 삽입체(114)는 상기 스토퍼의 안내공 후단을 통한 내부진입이 용이하도록 선단 일부에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110)는 시술사용자의 와이어 취급시 시술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삽입체(114)의 후단에 선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외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삽입관(111)의 내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갖는 코일형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져 삽입체에 용접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구(113)를 선단에 구비하는 와이어(112)의 후단은 상기 삽입관내에 배치된 와이어(112)의 전후진조작이 가능하도록 조작손잡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클립(12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앙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구비하여 상기 카트리지(140)에 내부수용되고, 상기 접속구(113)와 연결된 상태에서 클립작동부와 더불어 카트리지(140)로부터 분리된 다음, 시술부위를 파지하여 제거하는 내시경 시술이 가능하도록 내시경 채널 내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클립(120)은 선단이 절곡되어 서로 마주하고, 대략 길이중앙이 서로 엇갈려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은 절곡된 일단에 톱니부(122a,122b)를 갖는 일정길이의 집게판(123a,123b)과, 상기 집게판(123a,123b)의 타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서로 교차되는 교차판(124a,124b)과,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교차판(124a,124b)의 일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갖도록 휨변형된 연결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톱니부(122a,122b)는 외측으로 벌어져 있던 집게편(121a,121b)간의 근접에 따른 오므림 작동시 서로 맞물려 내시경을 통한 시술시 인체조직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파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집게판(123a,123b)의 각 단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집게판(123a,123b)은 대략 원형공 단면상으로 이루어진 내시경 채널 내부로의 진입시 마찰저항에 의한 채널 내부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략 호형 단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차판(124a,124b)은 상기 집게판(123a,123b)의 판폭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폭크기를 갖는 판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교차되며, 상기 연결판(125)은 상기 교차판(124a,124b)의 각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대략 'ㄷ' 단면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차판(124a,124b)의 폭은 상기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의 탄성적인 벌림 및 오므림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집게판(123a,123b)의 대략 1/2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게판(123a,123b)과 교차판(124a,124b)사이 경계영역에는 외측으로 벌어져 있던 클립(120)의 오므림 전환시 오므려진 집게판(123a,123b)측으로 이동되는 스토퍼(135)의 선단과 접촉하면서 상기 집게판(123a,123b)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135)의 선단이 간섭되어 걸리는 제1걸림턱(126a,126b)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교차판(124a,124b)과 연결판(125)사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집게판(123a,123b)측으로 밀림이동되는 스토퍼(135)의 선단과의 접촉시 상기 집게판(123a,123b)의 최대벌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135)가 간섭되어 걸리는 제2걸림턱(127a,127b)을 외측으로 돌출형성한다.
상기 클립작동부(130)는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12)의 전후진 왕복작동에 연동하여 한쌍의 집게편(121a,121b)으로 이루어지는 클립(120)을 외측으로 벌리거나 내측으로 오므림작동시킬 수 있도록 클립연결체(131), 스토퍼(135) 및 외부이동링(1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연결체(131)는 상기 클립(120)의 후단인 연결판(125)이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131a)를 일단인 선단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113)가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접속결합되고, 상기 접속구와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세기의 외력에 의해 분리이탈이 가능한 제2연결구(131b)를 타단인 후단에 갖추어 상기 클립(120)과 접속구(113)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이다.
상기 제1연결구(131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게편(121a,121b)의 후단에 구비된 연결판(125)이 걸림연결되도록 요홈(132b)을 형성하는 걸림턱(132a)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의 일측벽면에는 상기 요홈으로 대응하여 걸림연결되도록 배치된 연결판과 접하여 클립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도록 돌출턱(132c)을 돌출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립(120)과 클립연결체(131)는 상기 스토퍼(135)의 일단인 선단으로부터 제1연결구(131a)가 외부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의 연결판(124)을 요홈(132b)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하부로 대응삽입하여 상기 걸림턱(132a)에 걸림배치되면서 이들은 서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걸림연결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클립(120)과 클립연결체(131)간의 분리작업은 상기 클립의 연결판(125)을 요홈으로부터 들어올려 상기 걸림턱(132a)과의 걸림을 해제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연결구(131b)는 상기 접속구(113)의 강제진입시 절개부(113b)에 의해서 형성된 한쌍의 탄성걸림편(113a)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원추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걸림구(133a)와, 상기 걸림구(133a)를 통과하는 한쌍의 탄성걸림편(113a)의 선단이 걸림배치되는 환고리형 걸림홈(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140)내에서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131)의 제2연결구(131b)에 형성된 걸림구(133a)로 상기 접속구(113)가 대응 진입되면, 한쌍의 탄성걸림편(113a)은 원추단면상의 걸림구(133a)에 의해서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되고, 벌어진 한쌍의 탄성걸림편(113a)이 상기 걸림구의 외부면에 접하여 이동되다가 상기 환고리형 걸림홈(133b)에 위치되면, 상기 접속구의 탄성걸림편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2연결구(131b)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속구(113)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연결체의 후단에 형성되는 원추 단면상의 제2연결구(131b)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도록 선단에 걸림턱을 내측으로 절곡형성한 한쌍의 탄성걸림편(113a)을 포함하고, 이러한 접속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는 제2걸림구(131b)는 상기 접속구에 형성된 탄성걸림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원추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걸림구(133a)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구를 통과하는 탄성걸림편의 선단이 걸림배치되는 환고리형 걸림홈(133b)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구(113)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추단면상의 걸림구(133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구(131b)는 접속구의 선단에 형성되는 원추단면상의 걸림구(133a)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도록 걸림턱을 내측으로 절곡형성한 한쌍의 탄성걸림편(113a)을 포함하고, 이러한 접속구(113)는 상기 제2연결구의 탄성걸림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원추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걸림구(133a)를 통과하는 탄성걸림편(113a)의 선단이 걸림배치되는 환고리형 걸림홈(133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립(120)과 접속구(113)는 클립연결체(131)를 매개로 하여 서로 결합되어 연결되고, 이들은 와이어의 전후진 조작에 의하여 삽입관에 걸림배치된 스토퍼와 삽입관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립연결체(131)는 상기 제1,2연결구(131a,131b)사이를 연결하는 일정길이의 연결바(131c)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131c)는 상기 스토퍼의 안내공의 내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크기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결바의 외부면과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저항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의 안내공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클립연결체의 전후진 왕복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바(131c)의 외부면과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의해 빈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이동링(137)의 이동시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날개편(135c)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수축변형이 가능한 여유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날개편(135c)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살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131a)와 상기 연결바(131c)의 일단 사이 그리고 상기 제2연결구(131b)와 상기 연결바(131c)의 타단사이에는 상기 클립연결체(131)를 스토퍼(135)의 안내공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토퍼(135)에 형성된 안내공의 내경크기와 동일한 외경크기를 갖추어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 외접하는 제1,2외경부(131d,131e)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구(131b)와 대응하는 제2외경부(131e)에는 상기 스토퍼(135)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접속구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턱(131f)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135)는 상기 제1,2연결구(131a,131b)를 양단에 각각 외부노출시키도록 상기 클립연결체(131)가 삽입배치되는 일정크기의 안내공을 관통형성한 일정길이의 중공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35)는 길이중간 외부면에 절개형성되는 한쌍의 절개부(135d)로부터 자유단부가 외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날개편(13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날개편(135c)의 자유단은 상기 스토퍼(135)의 외부면에 삽입배치된 외부이동링(137)과 접해짐으로써, 상기 외부이동링의 단부와 접하는 삽입관의 1차 전진작동시 상기 카트리지의 제1수용부내에서 클립의 오므림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2수용부내에 배치된 클립과 클립작동부의 이동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135)는 상기 한쌍의 날개편(135c)을 외부면에 갖추어 상기 클립연결체(131)의 제2외경부(131e)와 대응결합되어 상기 연결바에 배치되는 제1스토퍼관체(135a)와, 상기 클립연결체(131)의 제1외경부(131d)와 대응결합되어 상기 제1스토퍼관체의 선단과 접하는 제2스토퍼관체(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편을 형성하는 제1스토퍼관체(135a)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스토퍼관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그 선단에 후단이 접하고, 상기 클립과 마주하는 제2스토퍼관체(135b)는 외부인출된 클립의 클램핑 조작시 상기 클립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변형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스토퍼관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 및 강도를 갖는 수지소재 또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의 형성길이는 상기 제1스토퍼관체(135a)의 선단에 배치되는 제2스토퍼관체(135b)의 형성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토퍼 내부로 제1연결구의 삽입시 삽입배치된 제1연결구의 제1외경부(131d)에 의해서 상기 제1,2스토퍼관체(135a,135b)는 일련의 관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135)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제1스토퍼관체(135a)와, 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제2스토퍼관체(135b)로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2스토퍼관체가 이중사출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된 중공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립연결체(131)는 상기 클립과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131a)가 스토퍼의 일단인 선단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접속구(113)가 접속연결되는 제2연결구(131b)가 스토퍼의 타단인 후단을 통해 노출되도록 상기 스토퍼(135)의 안내공으로 삽입되고, 상기 클립과 제1연결구가 1차 결합된 클립연결체를 상기 카트리지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되는 접속구(133)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이동링(137)은 상기 스토퍼(135)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날개편(135c)을 스토퍼의 외부면과 일치되도록 수축시키면서 클립(120)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토퍼(135)의 외부면에 삽입배치되는 다른 안내공을 관통형성한 중공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부이동링(137)은 상기 날개편(135c)과 대응하는 선단 내주면에 상기 날개편의 자유단과의 접촉시 상기 안내공으로 걸림발생없이 원활하게 상기 날개편의 자유단을 진입시켜 내측으로 수축변형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137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관의 선단과 대응하는 외부이동링(137)의 후단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관(111)의 선단이 걸림배치되는 단턱(137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단턱(137b)에 삽입관의 선단이 접하는 외부이동링(137)은 시술조작자가 파지하게 되는 삽입관의 전진이동시 상기 스토퍼(135)의 날개편(135c)을 수축시키면서 클립측으로 이동되어 클립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의 제1수용부에 벌림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클립(120)을 오므림 상태로 변환시킨다.
연속하여,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120)의 선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제3수용부에 배치된 링분리부와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삽입관(111)의 전진이동이 계속하여 이루어지면, 상기 외부이동링(137)은 상기 링분리부(144)까지 이동되어 분리되고, 상기 클립과 클립연결체는 삽입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140)는 도 1, 도 2a, 도 2b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120)의 집게편이 벌림배치되는 제1수용부(141)와 상기 클립작동부(130)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142) 및 상기 제1수용부와 단부가 마주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어 외부이동링(137)을 분리하는 링분리부(144)가 배치되는 제3수용부(143)를 갖추어 상기 클립연결체(131)와 결합된 클립(120)과 더불어 클립작동부(130)를 내부수용하는 수용체이다
상기 제1수용부(141)는 상기 한쌍의 집게편(121a,121b)으로 이루어진 클립(120)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대기하는 대략 마름모형상의 수용공간이다.
여기서, 상기 제1수용부(141)에는 상기 클립의 집게편(121a,121b)이 외측으로 벌어진 벌림상태로 접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져 경사지게 형성된 제1접촉안내면(141a)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안내면으로부터 상기 제3수용부(143)측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의 집게편과의 접촉시 접촉이동되는 집게편을 오므림 전환되는 제2접촉안내면(14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촉안내면(141a)은 상기 제3수용부(143)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서서히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접촉안내면(141b)은 상기 제3수용부(143)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서서히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수용부(142)는 상기 클립(120)과 연결된 클립연결체(131)가 안내공에 대응삽입된 스토퍼(135)와 더불어 외부이동링(137)이 배치되어 상기 클립작동부가 대기하게 되고, 상기 제1수용부(141)와 연통되는 직선형 수용공간이다.
이러한 제2수용부(142)에는 집게편이 벌려진 초기상태의 클립(120)과 결합된 클립연결체(131)가 안내공으로 삽입된 스토퍼(135)가 배치되어 대기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형성된 날개편(135c)의 자유단과 접하는 외부이동링(137)이 배치되어 스토퍼와 더불어 대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관(111)의 단부와 대응하는 제2수용부(142)의 입구단에는 상기 삽입관의 진입에 의한 상기 외부이동링(137)의 후단에 형성된 단턱(137b)과 상기 삽입관의 선단과의 상호 접촉을 위한 삽입관의 진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입구면(142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수용부의 테이퍼진 입구단을 통하여 진입되는 삽입관(111)의 선단은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삽입배치된 외부이동링의 단턱과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관의 전진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외부이동링은 스토퍼의 날개편을 수축변형시키면서 스토퍼를 따라 클립측으로 이동되어 클립을 벌림상태에서 오므림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수용부(143)는 상기 제1수용부(141)와 연통되어 상기 외부이동링(137)을 분리하도록 선단이 상기 제1수용부까지 연장되는 링분리부(144)가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링분리부(144)는 상기 클립을 따라 이동되는 외부이동링이 대응삽입되도록 선단이 일정길이 연장되는 분리바(144a)를 갖추고, 상기 분리바(144a)를 제3수용부의 중심에 정위치시키도록 상기 분리바(144a)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3수용부에 위치고정되는 고정체(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바(144a)의 외경은 상기 외부이동링의 삽입공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체(144b)는 상기 제3수용부의 밀폐단에 형성되는 고정보스에 끼움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바(144a)에는 상기 클립을 따라 이동되어 분리되는 외부이동링(137)과 접하여 수축변형되어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삽입관(111)의 전진이동을 제한하는 분리확인용 탄성체(144c)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삽입관을 전진이동시키는 조작자는 상기 분리바(144a)까지 이동되어 상기 분리확인용 탄성체(144c)와 외부이동링(137)이 접해지면서 압축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을 간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3수용부(143)내에서 외부이동링(137)의 분리여부를 감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이상의 삽입관 진입이동을 중단함과 동시에 상기 클립과 클립작동부가 내부수용된 삽입관을 카트리지로부터 분리이탈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부(14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의 집게편과의 접촉시 안내이동되는 집게편을 오므림 전환시키는 제2접촉안내면(141b)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3수용부(143)에 배치되는 분리바(144a)의 선단과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3접촉안내면(141c)을 갖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접촉안내면(141c)을 갖는 탄성체는 오므림상태로 전환되는 집게편와 일면이 접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바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접촉안내면(141c)에는 집게편의 안내이동이 궤도이탈 발생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턱을 돌출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접촉안내면(141c)의 형성각도는 상기 분리바를 통과하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촉안내면의 형성각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거나 서로 동일하게 설정됨으로써 오므림상태로 전환되는 한쌍의 집게편이 분리바의 선단에 모아지면서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수용부(143)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서서히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접촉안내면(141b)을 따라 안내이동되면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되어 모아지는 집게편은 상기 제2접촉안내면의 출구단으로부터 분리바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제3접촉안내면(141c)에 의해서 분리바의 선단에 정확히 안내되어 접촉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140)는 상기 제1수용부(141), 제2수용부(142) 및 제3수용부(143)를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함몰형성하여 합형되는 제1,2분할덮개(140a,140b)를 포함하고, 서로 마주하는 제1,2분할덮개의 내부면 중 어느 하나에는 합형시 대응조립되어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조립핀(149)을 돌출형성하거나 조립홈(138)을 함몰형성하고, 나머지 분할덮개에 형성되는 조립핀이나 조립홈간의 결합에 의해서 합형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100)를 이용하여 내시경 수술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 수용된 클립작동부(130)의 클립연결체(131)와 상기 삽입부(110)의 와이어(112) 선단에 구비된 접속구(113)를 서로 접속하여 연결한 다음, 상기 접속구와 접속연결된 클립작동부를 클립과 더불어 카트리지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인출하여야 한다.
먼저, 도 9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가 카트리지(140)의 제1,2 및 3수용부(141,142,143)에는 상기 클립(120)과 연결된 클립작동부(130) 및 링분리부(144)를 배치하는 한편, 상기 삽입부(110)의 삽입관(111)은 제2수용부(142)의 입구단에 대응배치한다.
이때, 상기 제2수용부내에 배치된 클립작동부(130)는 스토퍼(135)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날개편(135c)과 상기 외부이동링(137)의 선단과 접하여 구속되어 대기하고, 상기 제1수용부내에 배치된 클립(120)은 벌림상태로 대기하는 한편 상기 접속구(113)는 삽입관내에 배치되어 대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b 와 도 9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사용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삽입관(111)이 상기 제2수용부의 테이퍼 입구단(142a)을 통하여 진입되어 상기 삽입관의 선단인 단부가 외부이동링(137)의 후단에 형성된 단턱(137b)에 접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삽입관(111)의 전진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삽입배치된 외부이동링(137)이 제2수용부내에서 클립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스토퍼(135)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날개편(135c)의 자유단이 상기 외부이동링의 안내공으로 진입되어 내측으로 탄성변형되어 걸림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클립측으로의 진입이동을 허락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관내에 배치된 접속구(113)는 전진이동되는 삽입관내에서 상기 클립연결체(131)의 후단인 제2연결구(131b)에 접하여 전진이동되는 삽입관과 더불어 이동되거나 상기 제2연결구로부터 이격배치된 상태에서 전진이동되는 삽입관과 더불어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이동링(137)은 상기 삽입관의 전진이동에 의해서 제1수용부(141)에 벌림배치된 클립에 접하게 되고, 상기 클립의 집게편과 접하는 외부이동링의 계속적인 전진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수용부에 형성되는 제2접촉안내면에 의해서 클립의 집게편이 모아지게 되고, 모아지는 집게편이 외부이동링의 안내공으로 진입되기 때문에 상기 클립의 집게편은 상기 제1수용부내에서 오므림상태로 서서히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9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이동링(137)의 안내공으로 진입되어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120)의 집게편이 상기 제3수용부(143)에 구비되는 링분리부의 분리바(144a) 선단에 접하게 되면, 상기 클립(120)과 이에 연결된 클립연결체(131)의 전진이동은 구속되어 정지되는 반면에 상기 외부이동링(137)은 외력에 의해서 계속 전진이동되는 삽입관과 더불어 이동되면서 클립을 따라 상기 링분리부(144)까지 이동되어 클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립의 오므림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서 분리바(144a)까지 이동되어 분리된 외부이동링(137)의 분리여부는 상기 분리바에 구비되어 외부이동링과 접하게 되는 분리확인용 탄성체(144c)의 수축시 발생하는 탄성력이 사용시술자가 파지하게 되는 삽입관을 통하여 전달되어 사용자의 손에 의해서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분리부(144)의 분리바 선단에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의 집게편이 접해지면서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131)가 정지구속되면, 상기 삽입관내의 접속구(113)는 와이어의 전진조작에 의해서 구속정지된 클립연결체의 제2연결구(131b)측으로 전진이동되면서 탄성걸림편(113a)으로 이루어지는 접속구(113)가 원추형 걸림구(133a)로 이루어지는 제2연결구(131a)에 탄력적으로 걸림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외부이동링의 분리를 위해서 상기 분리바까지 이동된 삽입관(111)의 내부에는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과 더불어 이에 연결된 클립작동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바에 의한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131)의 정지구속시 상기 접속구(113)가 상기 클립연결체(131)의 제2연결구(131b)에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고, 상기 외부이동링(137)은 분리바까지 이동되어 클립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도 9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수용부까지 전진이동된 삽입관(112)을 반대로 후진이동시켜 카트리지 외부로 인출하게 되면, 상기 클립과 이에 연결된 클립작동부를 내부에 수용한 삽입관(112)을 카트리지로부터 인출하여 분리하는 반면에 상기 외부이동링(137)은 카트리지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클립(120)의 집게편(121a,121b)이 제1수용부의 제2접촉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오므림 전환되고, 오므림 전환되는 집게편이 분리바의 선단에 접하는 작동은 상기 스토퍼의 날개편(135c)과 외부이동링(137)이 서로 접하여 걸린 상태에서 상기 삽입관의 전진이동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삽입관내에 배치된 접속구가 클립연결체의 제2연결구에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삽입관내의 접속구를 전진이동시키는 와이어의 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의 집게편이 상기 제1수용부의 제2접촉안내면에 접하여 이를 따라 이동되면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되고,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의 선단이 링분리부의 분리바 선단에 접해질 때 상기 외부이동링은 전진이동되는 삽입관에 의해서 스토퍼의 날개편을 내측으로 수축변형시키면서 스토퍼와 클립을 통과하여 링분리부까지 이동되어 분리바에서 분리수거되는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된 클립(120)과 이에 연결된 클립작동부(120)를 내시경 채널을 통해 삽입한 다음, 시술부위를 제거하기 위한 클램핑 작동은 도 10a 와 도 10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사용자가 상기 삽입관내에서 와이어를 클립측으로 외력에 의해서 전진이동시켜 밀어내면, 상기 클립(120)과 더불어 클립작동부의 스토퍼(135))가 삽입관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삽입관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클립의 집게편은 벌림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클립작동부(130)의 스토퍼(135)는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삽입관내에서 구속되어 있던 날개편(135a)의 자유단이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관의 선단에 접하여 걸림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를 조작손잡이의 조작에 의해서 후진이동, 도면상 우측으로 당기게 되면, 날개편과 삽입관간의 걸림에 의해 스토퍼가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와 연결된 클립연결체(131)는 상기 스토퍼(135)의 안내공을 통해 후진 이동되어 상기 클립의 후단은 스토퍼의 안내공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35)가 상기 클립의 연결판과 교차판사이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127a,127b)에 접하여 정지되면, 상기 클립(120)은 한쌍의 집게편이 최대로 벌어지는 개각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인체조직의 시술부위를 클립핑하여 제거하는 작업은 한쌍의 집게편이 최대로 벌어지는 개각상태의 클립을 시술부위에 근접한 다음, 시술조작자가 상기 삽입관(111)의 후단에 구비되는 조작손잡이를 이용하여 와이어(112)를 삽입관내에서 섬세하게 전후진시키는 조작에 의해서 수행된다.
즉, 상기 클립(120)의 집게편(121a,121b)이 벌어져 개각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당김력에 의해 클립연결체와 연결된 접속구가 도면상 우측으로 당겨져 후진되면, 상기 스토퍼의 안내공내로 클립의 교차판이 진입되어 상기 집게판과 교차판사이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126a,126b)에 스토퍼의 선단이 접하여 정지되기 때문에, 상기 한쌍의 집게편이 오므려지고, 오므려져 서로 맞물리게 되는 한쌍의 클립 선단의 집게편에 의해서 생체조직을 클램핑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내시경 시술작업후 내시경 채널로부터 인출된 클립(120)과 이에 연결된 클립 작동부(130)를 와이어의 접속구(113)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은 도 11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 내의 와이어를 전진(도면상 좌측)시켜 삽입관의 단부에서 클립연결체의 제1연결구를 외부노출시키면, 상기 제1연결구의 요홈에 걸림연결된 클립의 교차판을 들어올려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립과 더불어 스토퍼를 클립연결체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제거할 수 있다.
연속하여, 도 1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 내의 와이어를 다시 한번 전진(도면상 좌측)시켜 삽입구의 단부에 접속구를 외부노출시키면, 상기 접속구의 탄성걸림편에 접속연결된 제2연결구의 걸림구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클립연결체(131)를 접속구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6)

  1. 선단에 접속구를 갖는 일정길이의 와이어가 내부공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 ;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앙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
    상기 클립과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는 제2연결구를 타단에 구비하여 상기 클립과 접속구사이를 연결하는 클립연결체와, 상기 제1,2연결구가 양단에 각각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클립연결체가 삽입배치되는 안내공을 관통형성한 스토퍼 및 상기 클립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삽입배치되는 외부이동링을 포함하여 상기 클립을 벌리거나 오므림작동시키는 클립 작동부 ;
    상기 클립이 벌림배치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클립작동부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단부가 마주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는 링분리부가 배치되는 제3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클립과 더불어 클립작동부를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 ; 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관과 접하여 강제이동되는 외부이동링이 스토퍼를 통과하여 클립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1수용부내의 클립을 오므림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1수용부내에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의 선단이 상기 링분리부에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를 상기 클립연결체의 제2연결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하고, 상기 클립에 위치하는 외부이동링을 링분리부까지 이동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상기 클립연결체의 후단에 형성되는 걸림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도록 선단에 걸림턱을 내측으로 절곡형성한 한쌍의 탄성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접속구의 탄성걸림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원추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걸림구를 통과하는 탄성걸림편의 선단이 걸림배치되는 환고리형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집게편에 구비된 연결판이 걸림연결되도록 요홈을 형성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일측벽면에는 상기 요홈으로 대응하여 걸림연결되도록 배치된 연결판과 접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접속구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도록 선단에 걸림턱을 내측으로 절곡형성한 한쌍의 탄성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는 상기 제2연결구의 탄성걸림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원추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걸림구를 통과하는 탄성걸림편의 선단이 걸림배치되는 환고리형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연결체는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사이를 연결하는 일정길이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스토퍼의 안내공의 내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와 상기 연결바의 일단 사이에는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 외접하는 제1외경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연결구와 상기 연결바의 타단 사이에는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 외접하는 제2외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경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접속구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결바에 배치되어 상기 제2외경부에 대응결합되고, 상기 날개편을 갖는 제1스토퍼관체와, 상기 클립연결체의 제1외경부와 대응결합되어 상기 제1스토퍼관체의 선단과 접하는 제2스토퍼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과 마주하는 제2스토퍼관체는 상기 클립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변형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분리부는 상기 제1수용부측으로 선단이 일정길이 연장되는 분리바와, 상기 분리바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3수용부에 위치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바는 상기 클립을 따라 이동되어 분리되는 외부이동링과 접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삽입관의 전진이동을 제한하는 분리확인용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클립의 집게편과의 접촉시 안내이동되는 집게편을 오므림 전환시키는 제2접촉안내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3수용부에 배치되는 분리바의 선단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3접촉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14. 선단에 접속구를 갖는 일정길이의 와이어가 내부공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 ;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앙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
    상기 클립과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는 제2연결구를 타단에 구비하여 상기 클립과 접속구사이를 연결하는 클립연결체와, 상기 제1,2연결구가 양단에 각각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클립연결체가 삽입배치되는 안내공을 관통형성한 스토퍼 및 상기 클립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삽입배치되는 외부이동링을 포함하여 상기 클립을 벌리거나 오므림작동시키는 클립 작동부 ;
    상기 클립이 벌림배치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클립작동부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단부가 마주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는 링분리부가 배치되는 제3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클립과 더불어 클립작동부를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 ; 를 포함하여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클립의 집게편과의 접촉시 안내이동되는 집게편을 오므림 전환시키는 제2접촉안내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3수용부에 배치되는 분리바의 선단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3접촉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접촉안내면은 오므림상태로 전환되는 집게편와 일면이 접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바형태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접촉안내면의 형성각도는 상기 분리바를 통과하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촉안내면의 형성각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거나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PCT/KR2017/015347 2016-12-23 2017-12-22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WO201811773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295A KR101793631B1 (ko) 2016-12-23 2016-12-23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2016-0178295 2016-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7737A1 true WO2018117737A1 (ko) 2018-06-28

Family

ID=6038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5347 WO2018117737A1 (ko) 2016-12-23 2017-12-22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3631B1 (ko)
WO (1) WO20181177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5565A (zh) * 2019-01-30 2021-09-07 奥林巴斯株式会社 夹具盒、医疗设备和医疗设备的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943B1 (ko) * 2019-07-05 2021-02-23 (주) 태웅메디칼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2235122B1 (ko) * 2019-05-17 2021-04-02 (주)위드메디컬 내시경 시술용 처치구 삽입 가이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903A (ko) * 2004-12-07 2007-03-20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KR20110071976A (ko) * 2009-12-22 2011-06-29 국립암센터 수술용 표시자 클립 및 클립 장치
JP5045485B2 (ja) * 2008-02-18 2012-10-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
KR101340661B1 (ko) * 2013-06-27 2013-12-11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601911B1 (ko) * 2014-11-13 2016-03-09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903A (ko) * 2004-12-07 2007-03-20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JP5045485B2 (ja) * 2008-02-18 2012-10-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
KR20110071976A (ko) * 2009-12-22 2011-06-29 국립암센터 수술용 표시자 클립 및 클립 장치
KR101340661B1 (ko) * 2013-06-27 2013-12-11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601911B1 (ko) * 2014-11-13 2016-03-09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5565A (zh) * 2019-01-30 2021-09-07 奥林巴斯株式会社 夹具盒、医疗设备和医疗设备的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631B1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7737A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CN109805977B (zh) 一种医用止血夹
KR10134066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CA2094529C (en) Flexible biopsy forceps
WO2011052872A1 (ko) 수술용 봉합장치
WO2011078519A2 (ko) 수술용 표시자 클립 및 클립 장치
JP6023065B2 (ja) 縫合糸をガイ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U2020257902B2 (en) Medical device for tissue hemostasis or closure
WO2020186839A1 (zh) 一种医用多爪钳
WO2020204372A1 (ko) 안전 카테터 조립체
WO2019208946A1 (ko) 복강경 수술용 안전침 어셈블리
JP4480978B2 (ja) 医療用処置具
WO2013108940A1 (ko) 치료용 클립, 클립 유닛 및 클립 장치
KR10160191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WO2019032404A1 (en) MEDICAL SYSTEMS,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WO2015171410A1 (en) Large capacity biopsy forceps
WO2018230825A1 (ko) 내시경용 하이브리드 나이프
KR101703453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WO2017122874A1 (ko) 종양 제거를 위한 스네어
WO2015072614A1 (ko) 인체 내강 시술용 장치
CN213821584U (zh) 一种可防止提前释放的夹子
WO2020159273A1 (ko)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CN217853153U (zh) 插入式组织夹闭装置
WO2012067310A1 (ko) 의료용 문합장치
CN115363696B (zh) 一种esd手术辅助机械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853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853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