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56887A1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56887A1
WO2015056887A1 PCT/KR2014/008606 KR2014008606W WO2015056887A1 WO 2015056887 A1 WO2015056887 A1 WO 2015056887A1 KR 2014008606 W KR2014008606 W KR 2014008606W WO 2015056887 A1 WO2015056887 A1 WO 201505688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oke
chamber
guide chamber
microwav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860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주)삼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익테크 filed Critical (주)삼익테크
Publication of WO201505688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568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inuous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that can minimize the leakage of microwaves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of the drying chamber.
  • the drying apparatus adopts various methods such as hot air drying and freeze drying depending on the shap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ject to be dried to dry the object.
  •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is hot air drying, which consumes less energy than other drying methods, but has a long drying time, does not dry evenly, and has a problem in obtaining high quality dry products.
  • the radiant heat shear method having a high heat transfer rate is preferred to the convection method due to the hot air, and a representative method is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as a heating means.
  • the microwave drying apparatus can heat up the dried product in a short time, and evenly and uniformly dry it as the heating is performed from the inside,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even in the case of a complex shaped dry object, and various sensors. It is also very advantageous in the automation using a dry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is preferred, which is known as the Korean Patent No. 10-049444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 FIG. 1 and 2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continuous microwave drying apparatus.
  • a conventional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is a continuous drying apparatus using a conveyor belt
  • the drying chamber 10 is provided with a magnetron 20 for generating microwaves
  • the drying chamber Consists of a conveyor belt 50 passing through 10, wherein the drying chamber 10 is form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object to be dried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long the conveyor belt 50.
  • the choke 40 which is a microwave leakage preventing member, is formed at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drying chamber 10 to prevent leakage of microwaves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10. .
  • the choke 40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case 41 and a plurality of shielding plates 42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elow the upper plate of the case 41, leaking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The microwaves are canceled out by passing through the shielding plates 42 to be extinguished,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the microwaves.
  • the choke 40 formed in the drying apparatus is fixed in the drying chamber 10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rying apparatus,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manufactured choke 40 do not exactly match, and the drying process is performed by manpower.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choke 40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apparatus occurred.
  • the choke 40 is coupled by the vibr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generated by the drying apparatus itself during continuous operation of the drying apparatus.
  • the fixed state of the point is loosened, or a gap with the drying chamber 10 occurs due to corrosion or the like.
  • the choke 40 is reinstalled due to the replacement or repair of the choke 40, Positional deviation occurred.
  • the occurrence of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choke 40 causes the incident angle of the microwave flowing into the choke 40 to be changed, and the reflection angle inside the choke 40 is changed by the change of the incident angle, so that the microwave is moved to the outside. As the leakage occurs, the microwave leakage preventing function of the choke 40 was not properly performed.
  • the length of the choke 40 is extended by more than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choke 40 as described above (EX: length of the case or a plurality of The choke is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or the shielding plate 42 is bent to form a complex pattern, but this ha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and manufacturing period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excessively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inuous dry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that can correct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choke caused by the manufacturing, driving or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drying apparatus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hoke installed in the drying chamber. .
  • an inlet and an outlet part through which a drying object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re formed, and a drying chamber for drying the object by generating microwaves by a plurality of magnetrons formed, and an inlet and an outlet of the heating chamber.
  •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object to be dried to the drying unit, and the choke portion is provided in the inlet and outlet to prevent the external leakage of the microwave, wherein the choke, the guide chamber coupled to the inlet or outlet of the drying chamber,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inuous dry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oke is formed to be coupled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in the guide chamber.
  • the guide chamb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x in which both sides f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is opened, the opening portion of the inlet or outle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size that is located inside the guide chamber. It can be characterized.
  • one end of the guide chamber coupled to the inlet or outlet is bent upwards to form a first flange for fixing to the drying chamber, and the other end facing the one end is bent downward to the chok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lange is formed to limit the movement of.
  • a discharge valve for discharging water generated by the back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guide chamber and the chok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rying chamber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guide chamb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oke.
  • the chokes are formed in a choke housing formed in a box shape in which both sides f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are opened,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oke housing below the upper panel of the choke housing. It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of a plurality of shielding plate.
  • one end of the choke housing is bent upwards to form a third flange moving inside the guide chamber, and the other end facing the one end is bent downward to form a fourth flange that functions as a shielding plate.
  • the second flange of the guide chamber and the third flange of the chok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wave absorbing member capable of absorbing microwaves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so as not to leak the microwaves between the guide chamber and the choke housing. Can be.
  • the choke portion may be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choke in the guide chamber.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a position adjusting jig formed in the choke, a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jig to move the choke together with the position adjusting jig, and formed in the guide chamber to support one end of the moving member. It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as a supporting member.
  • the movable memb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bolt, a screw jack or a support jack.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s a support jack.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may be provided in plural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choke uni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detailed adjustment of the choke position may be possible by an independent operation.
  • the optimum microwave shielding performance can be secured by correcting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choke caused by various causes.
  • FIG. 1 and 2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continuous microwave drying apparatus.
  •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tinuous microwav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choke part shown in FIG. 3.
  • 5 and 6 are ope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choke portion shown in FIG.
  • FIG. 7 and 8 are views showing various applications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shown in FIG.
  • FIG. 9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the support jack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illustrated in FIG. 8.
  •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tinuous microwav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choke unit 400 shown in FIG. 3.
  • 5 and 6 are ope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choke portion 400 shown in FIG.
  • a continuous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includes a drying chamber 100 for drying a drying object using microwaves, and a conveying means 500 for transferring the object. ), And a choke portion 400 to prevent leakage of microwaves generated from the drying chamber 100 to the outside.
  • the drying chamber 100 is to heat and dry the object to be dried using a microwave, it may be formed in a box-shaped structure in which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is formed.
  • the drying chamber 100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formed by one chamber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independent chamber structure that is connected in multiple transverse directions.
  • the drying chamber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gnetrons 200 capable of generating microwaves along the top or side of the drying chamber 100,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100 from the magnetron 200
  • a microwave dispersion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uniformly disperse the generated microwaves.
  • the transfer member 500 is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a drying object into the drying chamber 100, and is formed of a known conveyor belt passing through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of the drying chamber 100. Can be.
  • the transfer member 500 as described above may continuously input and discharge the drying object to the drying chamber 100 while moving at a constant speed.
  • the choke portion 400 is provided in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of the drying chamber 100, respectively, the microwave generated in the drying chamber 100 is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 As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leaka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12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chamber 410, choke 420 and the position adjuster.
  • the guide chamber 410 is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hoke 420, and may be fixed to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of the drying chamber 100.
  • the guide chamber 410 may be formed in a box-shaped structure in which both sides f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100 is opened, the guide chamber 410 is open one side of the drying chamber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100, the opening portion of the inlet 110 or the outlet 120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or volume) that can be located inside the guide chamber 410.
  • the cutouts 111 and 121 of the inlet 110 or the outlet 120 have the choke 420. It serves as a stopper to prevent excessive movement to the interior of the drying chamber (100).
  • the guide chamber 410 may be formed with a first flange 411 bent upwards and a second flange 412 bent downwards.
  • the first flange 411 is formed at the opening side of the guide chamber 410 coupled to the inlet 110 or outlet 120 side, the bolt or other various to the drying chamber 100
  • the guide chamber 410 may be fixed by a fixing means.
  • the second flange 412 is formed at the opening side of the guide chamber 410 corresponding to the side on which the first flange 411 is formed, and interferes with the third flange 423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choke 420.
  • the choke 420 may serve as a stopper to prevent excessive movement of the choke 420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100.
  • the guide chamber 410 has a back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guide chamber 410 and the choke 420 as the choke 420 moves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rying chamber 100 or environmental factors.
  • a discharge valve 413 may be further formed to discharge moisture that may be generated.
  • the discharge valve 413 may be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guide chamber 410 in order to easily discharge the generated back pressure and moisture in the downward direction (outside) of the guide chamber 410.
  • the choke 420 is to prevent leakage to the outside by canceling the microwave toward the inlet 110 or outlet 120 of the drying chamber 100 through the diffuse reflection, the choke housing 421 and the shield plate 422.
  • the choke housing 421 is formed in a box shape in which both sides f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hamber 100 are opened, and the guide chamber 410 has a smaller size (or volume) than the guide chamber 410. A partial insert therein may slide along the guide chamber 410.
  • a third flange 423 bent upwards is formed at an opening side of the choke housing 421 inserted into the guide chamber 410, and a downwardly bent side is opened at an opening side exposed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chamber 410.
  • Four flanges 424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third flange is moved along the guide chamber 410 inside the guide chamber 410, the fourth flange may function as the outermost shielding plate.
  • a plurality of shielding plates 422 may be provided below the upper panel of the choke housing 42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oke housing 421.
  • microwaves leak from the second flange 412 of the guide chamber 410 and the third flange 423 of the choke 420 through a gap between the choke 420 and the guide chamber 410.
  • Microwave absorbing members (413, 425)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at.
  • the absorbing members 413 and 425 may be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microwaves at the same time having flexibility, and a sheet or foam (composite) member may be applied.
  • the absorbing members 413 and 425 maintain airtightness so that the microwaves do not leak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hoke 420 and the guide chamber 410 and simultaneously absorb the microwaves to prevent leakage of the microwaves. Can be.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30a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to adjust and fix the position of the choke 420 moving along the guide chamber 410, the control jig 431 formed in the choke 420, A moving member 432 for moving the choke 420 together with the adjustment jig 431 and one side of the second flange 412 of the guide chamber 410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ing member 43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member 433 for supporting.
  • the movable member 432 is a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jig 431 and the support member 433 to allow the choke 420 to be moved by an operation,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bolt or a screw jack. Can be.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30 may also be formed as a support jack 432b.
  • the position adjusting section 430 is composed of a support jack 430b (see FIG. 9)
  • the adjusting jig 431 or the supporting member 433 is not required, and both frames of the support jack 430b are removed.
  • the choke 420 may be moved and fixed by fixing it to one side of the second flange and the upper side of the choke housing 421.
  • FIG. 7 and 8 are views showing various applications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shown in FIG.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preferably a pair of position adjusting unit 430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d apart arrangement. (Refer to FIGS. 7 and 8)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ir of position adjusting units 430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fixed position of the guide chamber 410 and the choke 420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30. It can be firmly supported and fixed than the state provided with only one, and can be controlled in detail (ex: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oke) of the choke 420 as each can be independently operated.
  • the continuous drying apparatus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the position of the choke 420 installed in the drying chamber 100 can be adjusted, generated by various causes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choke 420 can be corrected, thereby ensuring optimum microwave shielding performance.
  • the choke unit 400 including the guide chamber 410, the choke 420, a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3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one assembly form, regardless of design specifications of various drying apparatuses. It can apply and can also apply easily to a conventional dry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는 건조 대상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형성되고, 다수개 형성된 마그네트론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챔버와, 상기 가열챔버의 입구부와 출구부로 건조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입구부 및 출구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쵸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쵸크부는,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부 또는 출구부에 결합되는 가이드챔버, 및 상기 가이드챔버의 내부에서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쵸크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챔버의 입구부과 출구부을 통해 마이크로파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의 형상과 물성 그리고 용도에 따라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의 여러 가지 방식을 채택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중 산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열풍건조로, 열풍건조 방식은 타 건조 방식에 비하여 에너지의 소모가 적으나 건조 시간이 길고,고르게 건조되지 않으며, 고품질의 건조품을 얻는데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열풍에 의한 대류방식보다는 열전달 속도가 빠른 복사 열전단 방식을 선호하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방식이 마이크로파를 가열수단으로 사용하는 건조장치이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단시간에 승온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서부터 가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고르고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어 복잡한 형상의 피건조물의 경우에도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아니라 각종 센서를 이용한 자동화에도 매우 유리하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가 선호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등록특허 '제10-0494446호'(이하 '종래기술'로 지칭함)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연속식 마이크로파 건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로, 크게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20)이 구비된 건조챔버(10)와, 상기 건조챔버(10)를 통과하는 컨베이어 벨트(50)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건조챔버(10)는 컨베이어 벨트(50)를 따라 건조 대상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건조챔버(10)의 입구부와 출구부 측에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건조챔버(1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부재인 '쵸크(40)'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쵸크(40)는 사각형의 케이스(41)와, 케이스(41)의 상판 하측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차폐판(42)으로 구성되며, 입구부 및 출구부를 통해 누설되는 마이크로파가 차폐판(42)들을 거치면서 상쇄되어 소멸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파의 누설이 방지되게 된다.
그러나, 공정의 요구조건에 따라 입구부 또는 출구부를 폐쇄함으로써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별도의 차폐부재를 설치하지 하지 못하고 쵸크만으로 마이크로파의 누설의 방지하여야 하는 필요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조장치에 형성되는 쵸크(40)는 건조장치의 제작 공정에 있어 건조챔버(10)에 고정 설치 시, 제작된 쵸크(40)의 규격이 정밀하게 일치 하지 못하고, 설치 과정이 인력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건조장치에 따라 설치되는 쵸크(40)의 위치 편차가 발생하였다.
또한, 건조장치 제작 시, 쵸크(40)가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건조장치의 지속적인 구동 시, 건조장치 자체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주변 환경에 의해 쵸크(40)의 결합지점의 고정 상태가 느슨해지거나, 부식 발생 등에 의해 건조챔버(10)와의 간극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쵸크(40)의 교체 또는 수리에 따른 재설치 시, 최초 제작 때와 비교하여 쵸크(40)의 위치 편차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쵸크(40)의 위치 편차 발생은, 쵸크(40) 내부로 유입되는 마이크로파의 입사 각도를 변하게 하고, 입사 각도의 변화에 의해 쵸크(40) 내부에서의 반사각도가 변하게 되어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쵸크(40)의 마이크로파 누설방지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일부 건조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쵸크(40)의 위치 편차 발생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쵸크(40)의 길이를 필요 이상으로 확장하여 형성(EX:케이스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복수개의 쵸크를 다단으로 연결)하거나, 차폐판(42)을 절곡하여 복잡한 패턴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는 제작 공정수 및 제작 기간이 증대되고, 제작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건조챔버에 설치된 쵸크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조장치의 제작, 구동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쵸크의 위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대상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형성되고, 다수개 형성된 마그네트론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챔버와, 상기 가열챔버의 입구부와 출구부로 건조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입구부 및 출구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쵸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쵸크부는,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부 또는 출구부에 결합되는 가이드챔버, 및 상기 가이드챔버의 내부에서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쵸크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챔버는 상기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양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 또는 출구부의 개구된 부분이 가이드챔버의 내부측에 위치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챔버는 상기 입구부 또는 출구부에 결합되는 일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건조챔버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은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쵸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 2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챔버의 하측에는 상기 쵸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챔버와 상기 쵸크 사이에 생성되는 배압 및 건조챔버의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쵸크는 상기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양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된 쵸크 하우징, 및 상기 쵸크 하우징의 상부 패널 하측에 상기 쵸크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차폐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쵸크 하우징의 일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이드챔버 내부에서 이동되는 제 3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차폐판 기능을 하는 제 4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챔버의 제 2 플랜지 및 상기 쵸크 하우징의 제 3 플랜지에는 상기 가이드챔버와 상기 쵸크 하우징 사이로 마이크로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파의 흡수가 가능한 마이크로파 흡수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쵸크부는 상기 가이드챔버 내에서 쵸크의 위치를 조절 및 고정하기 위한 위치조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쵸크에 형성된 위치 조절 지그와, 상기 위치 조절 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 조절 지그와 함께 쵸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가이드챔버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볼트, 스크류잭 또는 서포트잭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조절부는 서포트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쵸크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독립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쵸크 위치의 세부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조챔버에 설치되는 쵸크의 위치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쵸크의 위치 편차를 보정함으로써 최적의 마이크로파 차폐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연속식 마이크로파 건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마이크로파 건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쵸크부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쵸크부의 위치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위치조절부의 다양한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위치조절부인 서포트잭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마이크로파 건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쵸크부(400)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쵸크부(400)의 위치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챔버(100)와, 상기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00), 및 상기 건조챔버(100)로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쵸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챔버(100)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을 가열 및 건조시키는 것으로, 입구부(110)와 출구부(120)가 형성된 박스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챔버(100)는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의 챔버로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횡방향으로 다단 연결되는 독립된 다수의 챔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건조챔버(100)에는 건조챔버(100)의 상부 또는 측면을 따라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마그네트론(200)이 구비되며, 상기 건조챔버(100) 내부에는 상기 마그네트론(200)으로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마이크로파 분산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500)는 건조 대상물을 상기 건조챔버(100)로 투입 및 배출 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건조챔버(100)의 입구부(110)와 출구부(120)를 지나는 공지된 컨베이어 벨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송부재(500)는 일정 속도로 이동하면서 상기 건조 대상물을 건조챔버(100)에 연속적으로 투입 및 배출 시킬 수 있다.
상기 쵸크부(400)는 상기 건조챔버(100)의 입구부(110)와 출구부(12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건조챔버(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입구부(110)와 출구부(120)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이드챔버(410), 쵸크(420) 및 위치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챔버(410)는 상기 쵸크(42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건조챔버(100)의 입구부(110)와 출구부(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챔버(410)는 상기 건조챔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양측이 개구된 박스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챔버(410)는 개구된 일측이 상기 건조챔버(100)의 설치 시, 상기 입구부(110) 또는 출구부(120)의 개구된 부분이 가이드챔버(4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또는 부피)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크기를 갖는 상기 가이드챔버(410)는 상기 건조챔버(100)에 설치 시, 상기 입구부(110) 또는 출구부(120)의 절개단(111, 121)이 상기 쵸크(420)가 상기 건조챔버(100)의 내부로 과도한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챔버(410)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된 제 1 플랜지(411) 및 하방향으로 절곡된 제 2 플랜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랜지(411)는 상기 입구부(110) 또는 출구부(120) 측에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챔버(410)의 개구부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건조챔버(100)에 볼트 또는 그 외의 다양한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가이드챔버(4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플랜지(412)는 상기 제 1 플랜지(411)가 형성된 측과 대응되는 가이드챔버(410)의 개구부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쵸크(420)의 후술할 제 3 플랜지(423)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쵸크(420)가 상기 건조챔버(100)의 외부측 방향으로 과도한 이동이 방지되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챔버(410)에는 쵸크(4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챔버(410)와 상기 쵸크(420) 사이에 생성되는 배압 및 건조챔버(100)의 내외부의 온도차 또는 주변 환경 요인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4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밸브(413)는 생성된 배압 및 수분을 가이드챔버(410)의 하방향(외부)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챔버(4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쵸크(420)는 상기 건조챔버(100)의 입구부(110) 또는 출구부(120)로 향하는 마이크로파를 난반사를 통해 상쇄시켜 외부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으로, 쵸크 하우징(421) 및 차폐판(4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쵸크 하우징(421)은 상기 건조챔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양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챔버(410)보다 작은 크기(또는 부피)로 상기 가이드챔버(410) 내부에 부분 삽입어 상기 가이드챔버(4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챔버(410)에 삽입된 상기 쵸크 하우징(421)의 개구부 측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된 제 3 플렌지(42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챔버에 삽입되지 않고 노출된 개구부 측에는 하향 절곡된 제 4 플랜지(4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플랜지는 상기 가이드챔버(410) 내부에서 가이드챔버(410)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 4 플랜지는 최외각측 차폐판 기능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폐판(422)은 상기 쵸크 하우징(421)의 상부측 패널 하측에 상기 쵸크 하우징(4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챔버(410)의 제 2 플랜지(412)와 상기 쵸크(420)의 제 3 플랜지(423)에는 상기 쵸크(420)와 상기 가이드챔버(410) 사이의 간극을 통해 마이크로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흡수부재(413, 4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수부재(413, 425)는 유연성을 갖음과 동시에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시트(Sheet) 또는 폼(Foam)형태의 (복합)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흡수부재(413, 425)는 상기 쵸크(420)와 상기 가이드챔버(410) 사이의 간극을 통해 마이크로 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파를 자체 흡수함으로써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430a)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챔버(410)를 따라 이동하는 쵸크(420)의 위치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쵸크(420)에 형성된 조절지그(431)와, 상기 조절지그(431)와 함께 상기 쵸크(42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32) 및 상기 가이드챔버(410)의 제 2 플랜지(412)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432)를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432)는 상기 조절지그(431) 및 지지부재(433)에 연결되어 조작에 의해 상기 쵸크(4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로, 볼트 또는 스크류잭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조절부(430)는 서포트잭(432b)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절부(430)이 서포트잭(430b)로 구성되는 경우(도 9참고), 상기 조절지그(431) 또는 지지부재(433)가 요구되지 않으며, 상기 서포트잭(430b)의 양측 프레임을 상기 제 2 플랜지의 일측과 상기 쵸크 하우징(421)의 상부측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쵸크(420)이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위치조절부의 다양한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위치조절부(4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위치조절부(430)가 소정간격 이격된 배치로 구비될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고) 이와 같이 한쌍의 위치조절부(430)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면, 상기 가이드챔버(410)와 쵸크(420)의 고정상태가 위치조절부(430)가 하나만 구비된 상태보다 견고히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인 조작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쵸크(420)의 세부 조절(ex: 쵸크의 좌우측)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는 건조챔버(100)에 설치되는 쵸크(420)의 위치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쵸크(420)의 위치 편차를 보정할수 있으며, 이에 최적의 마이크로파 차폐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430)를 통해 상기 쵸크(420)의 보다 정밀한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그 조정 방법 또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이드챔버(410), 쵸크(420) 및 위치조절부(430)를 포함하는 쵸크부(400)를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제작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건조장치의 설계 규격에 구애 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건조 장치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건조 대상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형성되고, 다수개 형성된 마그네트론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챔버와,
    상기 가열챔버의 입구부와 출구부로 건조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입구부 및 출구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쵸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쵸크부는,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부 또는 출구부에 결합되는 가이드챔버, 및
    상기 가이드챔버의 내부에서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쵸크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챔버는
    상기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양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 또는 출구부의 개구된 부분이 가이드챔버의 내부측에 위치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챔버는
    상기 입구부 또는 출구부에 결합되는 일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건조챔버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은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쵸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 2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챔버의 하측에는
    상기 쵸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챔버와 상기 쵸크 사이에 생성되는 배압 및 건조챔버의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쵸크는,
    상기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양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된 쵸크 하우징, 및
    상기 쵸크 하우징의 상부 패널 하측에 상기 쵸크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차폐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쵸크 하우징의 일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이드챔버 내부에서 이동되는 제 3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차폐판 기능을 하는 제 4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챔버의 제 2 플랜지 및 상기 쵸크 하우징의 제 3 플랜지에는 상기 가이드챔버와 상기 쵸크 하우징 사이로 마이크로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파의 흡수가 가능한 마이크로파 흡수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쵸크부는,
    상기 가이드챔버 내에서 쵸크의 위치를 조절 및 고정하기 위한 위치조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쵸크에 형성된 위치 조절 지그와,
    상기 위치 조절 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 조절 지그와 함께 쵸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가이드챔버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볼트 또는 스크류잭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서포트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쵸크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독립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쵸크 위치의 세부 조절이 가능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PCT/KR2014/008606 2013-10-15 2014-09-16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WO201505688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949A KR101389727B1 (ko) 2013-10-15 2013-10-1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KR10-2013-0122949 2013-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6887A1 true WO2015056887A1 (ko) 2015-04-23

Family

ID=5065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8606 WO2015056887A1 (ko) 2013-10-15 2014-09-16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9727B1 (ko)
WO (1) WO2015056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0592B (zh) * 2017-09-07 2024-03-12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在线水分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WO2019194348A1 (ko) * 2018-04-02 2019-10-10 주식회사 세지테크 복합유전체 발열판을 이용한 마이크로파 가열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8027A (en) * 1983-06-06 1984-12-11 Raytheon Company Leakage suppression tunnel for conveyorized microwave oven
JPH07198257A (ja) * 1993-12-29 1995-08-01 Shinichiro Matsuura 加熱乾燥装置
JP2004071520A (ja) * 2002-08-03 2004-03-04 Ii Yon Hii マイクロ波誘導加熱装置
KR100494446B1 (ko) * 2002-12-31 2005-06-13 (주)웨이브트로닉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8027A (en) * 1983-06-06 1984-12-11 Raytheon Company Leakage suppression tunnel for conveyorized microwave oven
JPH07198257A (ja) * 1993-12-29 1995-08-01 Shinichiro Matsuura 加熱乾燥装置
JP2004071520A (ja) * 2002-08-03 2004-03-04 Ii Yon Hii マイクロ波誘導加熱装置
KR100494446B1 (ko) * 2002-12-31 2005-06-13 (주)웨이브트로닉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727B1 (ko) 201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56887A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WO2016204501A1 (en) Cooking appliance
WO2019143092A1 (ko) 히트 스프레더와 웨이브 가이드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도장 건조로
WO2009099284A2 (en) Substrate supporting unit,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supporting unit
WO2021162447A2 (ko) 기판 처리 장치
WO2013047917A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캔 건조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0774751A (zh) 一种可高效烘干的隧道炉
CN112414116A (zh) 一种隧道炉
US8672469B1 (en) Dryers that use rollers to define fire enclosure openings
WO2019172537A1 (ko) 열풍을 이용한 프로브 카드 예열이 가능한 웨이퍼 프로버
TWI680523B (zh) 基板烘烤設備
CN108731396B (zh) 一种热风循环式用于玻璃基板的烘干装置
WO2015186907A1 (ko) 코팅 경화장치, 코팅 경화방법, 이를 위한 근적외선 히팅 장치
CN212791708U (zh) 一种远红外烘道装置
CN115560573A (zh) 一种受热均匀的隧道炉
CN214120738U (zh) 一种隧道炉
KR102359376B1 (ko) 기판의 열처리 오븐
WO2010047497A2 (ko) Fcc 공정의 반응기, 촉매재생기 및 연도 가스 배관 내벽에 코팅되는 내화물을 건조시키는 방법
WO2024029703A1 (ko) 원자층 증착 장치
KR102339176B1 (ko) 열처리 오븐의 히터 전원 공급장치
CN100387921C (zh) 用于等离子体显示板的烘焙系统及该系统的布局方法
KR20150054582A (ko) 기판 건조 장치
CN101868427B (zh) 向纤薄玻璃元件的表面上吹送流体的设备及方法
KR200429665Y1 (ko) 전기,전자 제품용 조립형 건조장치
WO2022265304A1 (ko) 광경화 발생 가스 포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5373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5373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