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727B1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727B1
KR101389727B1 KR1020130122949A KR20130122949A KR101389727B1 KR 101389727 B1 KR101389727 B1 KR 101389727B1 KR 1020130122949 A KR1020130122949 A KR 1020130122949A KR 20130122949 A KR20130122949 A KR 20130122949A KR 101389727 B1 KR101389727 B1 KR 10138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ke
chamber
drying
guide chamber
micro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주)삼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익테크 filed Critical (주)삼익테크
Priority to KR102013012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727B1/ko
Priority to PCT/KR2014/008606 priority patent/WO20150568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는 건조 대상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형성되고, 다수개 형성된 마그네트론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챔버와,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부와 출구부로 건조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입구부 및 출구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쵸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쵸크부는,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부 또는 출구부에 결합되는 가이드챔버와, 상기 가이드챔버의 내부에서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쵸크, 및 상기 쵸크의 이동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Apparatus for dryness using micro wave}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챔버의 입구부과 출구부을 통해 마이크로파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의 형상과 물성 그리고 용도에 따라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의 여러 가지 방식을 채택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중 산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열풍건조로, 열풍건조 방식은 타 건조 방식에 비하여 에너지의 소모가 적으나 건조 시간이 길고,고르게 건조되지 않으며, 고품질의 건조품을 얻는데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열풍에 의한 대류방식보다는 열전달 속도가 빠른 복사 열전단 방식을 선호하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방식이 마이크로파를 가열수단으로 사용하는 건조장치이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단시간에 승온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서부터 가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고르고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어 복잡한 형상의 피건조물의 경우에도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아니라 각종 센서를 이용한 자동화에도 매우 유리하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가 선호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등록특허 '제10-0494446호'(이하 '종래기술'로 지칭함)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연속식 마이크로파 건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로, 크게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20)이 구비된 건조챔버(10)와, 상기 건조챔버(10)를 통과하는 컨베이어 벨트(50)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건조챔버(10)는 컨베이어 벨트(50)를 따라 건조 대상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건조챔버(10)의 입구부와 출구부 측에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건조챔버(1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부재인 '쵸크(40)'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쵸크(40)는 사각형의 케이스(41)와, 케이스(41)의 상판 하측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차폐판(42)으로 구성되며, 입구부 및 출구부를 통해 누설되는 마이크로파가 차폐판(42)들을 거치면서 상쇄되어 소멸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파의 누설이 방지되게 된다.
그러나, 공정의 요구조건에 따라 입구부 또는 출구부를 폐쇄함으로써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별도의 차폐부재를 설치하지 하지 못하고 쵸크만으로 마이크로파의 누설의 방지하여야 하는 필요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조장치에 형성되는 쵸크(40)는 건조장치의 제작 공정에 있어 건조챔버(10)에 고정 설치 시, 제작된 쵸크(40)의 규격이 정밀하게 일치 하지 못하고, 설치 과정이 인력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건조장치에 따라 설치되는 쵸크(40)의 위치 편차가 발생하였다.
또한, 건조장치 제작 시, 쵸크(40)가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건조장치의 지속적인 구동 시, 건조장치 자체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주변 환경에 의해 쵸크(40)의 결합지점의 고정 상태가 느슨해지거나, 부식 발생 등에 의해 건조챔버(10)와의 간극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쵸크(40)의 교체 또는 수리에 따른 재설치 시, 최초 제작 때와 비교하여 쵸크(40)의 위치 편차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쵸크(40)의 위치 편차 발생은, 쵸크(40) 내부로 유입되는 마이크로파의 입사 각도를 변하게 하고, 입사 각도의 변화에 의해 쵸크(40) 내부에서의 반사각도가 변하게 되어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쵸크(40)의 마이크로파 누설방지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일부 건조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쵸크(40)의 위치 편차 발생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쵸크(40)의 길이를 필요 이상으로 확장하여 형성(EX:케이스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복수개의 쵸크를 다단으로 연결)하거나, 차폐판(42)을 절곡하여 복잡한 패턴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는 제작 공정수 및 제작 기간이 증대되고, 제작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건조챔버에 설치된 쵸크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조장치의 제작, 구동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쵸크의 위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대상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형성되고, 다수개 형성된 마그네트론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챔버와,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부와 출구부로 건조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입구부 및 출구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쵸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쵸크부는,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부 또는 출구부에 결합되는 가이드챔버와, 상기 가이드챔버의 내부에서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쵸크, 및 상기 쵸크의 이동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챔버는 상기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양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 또는 출구부의 개구된 부분이 가이드챔버의 내부측에 위치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챔버는 상기 입구부 또는 출구부에 결합되는 일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건조챔버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은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쵸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 2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챔버의 하측에는 상기 쵸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챔버와 상기 쵸크 사이에 생성되는 배압 및 건조챔버의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쵸크는 상기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양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된 쵸크 하우징, 및 상기 쵸크 하우징의 상부 패널 하측에 상기 쵸크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차폐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쵸크 하우징의 일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이드챔버 내부에서 이동되는 제 3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차폐판 기능을 하는 제 4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챔버의 제 2 플랜지 및 상기 쵸크 하우징의 제 3 플랜지에는 상기 가이드챔버와 상기 쵸크 하우징 사이로 마이크로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파의 흡수가 가능한 마이크로파 흡수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쵸크에 형성된 위치 조절 지그와, 상기 위치 조절 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 조절 지그와 함께 쵸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가이드챔버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볼트, 스크류잭 또는 서포트잭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조절부는 서포트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쵸크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독립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쵸크 위치의 세부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조챔버에 설치되는 쵸크의 위치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쵸크의 위치 편차를 보정함으로써 최적의 마이크로파 차폐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연속식 마이크로파 건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마이크로파 건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쵸크부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도 2에 도시된 쵸크부의 위치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조절부의 다양한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b에 도시된 위치조절부인 서포트잭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마이크로파 건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쵸크부(400)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도 2에 도시된 쵸크부(400)의 위치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2 내지 4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챔버(100)와, 상기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00), 및 상기 건조챔버(100)로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쵸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챔버(100)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을 가열 및 건조시키는 것으로, 입구부(110)와 출구부(120)가 형성된 박스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챔버(100)는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의 챔버로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횡방향으로 다단 연결되는 독립된 다수의 챔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건조챔버(100)에는 건조챔버(100)의 상부 또는 측면을 따라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마그네트론(200)이 구비되며, 상기 건조챔버(100) 내부에는 상기 마그네트론(200)으로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마이크로파 분산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500)는 건조 대상물을 상기 건조챔버(100)로 투입 및 배출 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건조챔버(100)의 입구부(110)와 출구부(120)를 지나는 공지된 컨베이어 벨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송부재(500)는 일정 속도로 이동하면서 상기 건조 대상물을 건조챔버(100)에 연속적으로 투입 및 배출 시킬 수 있다.
상기 쵸크부(400)는 상기 건조챔버(100)의 입구부(110)와 출구부(12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건조챔버(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입구부(110)와 출구부(120)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이드챔버(410), 쵸크(420) 및 위치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챔버(410)는 상기 쵸크(42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건조챔버(100)의 입구부(110)와 출구부(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챔버(410)는 상기 건조챔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양측이 개구된 박스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챔버(410)는 개구된 일측이 상기 건조챔버(100)의 설치 시, 상기 입구부(110) 또는 출구부(120)의 개구된 부분이 가이드챔버(4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또는 부피)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크기를 갖는 상기 가이드챔버(410)는 상기 건조챔버(100)에 설치 시, 상기 입구부(110) 또는 출구부(120)의 절개단(111, 121)이 상기 쵸크(420)가 상기 건조챔버(100)의 내부로 과도한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챔버(410)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된 제 1 플랜지(411) 및 하방향으로 절곡된 제 2 플랜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랜지(411)는 상기 입구부(110) 또는 출구부(120) 측에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챔버(410)의 개구부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건조챔버(100)에 볼트 또는 그 외의 다양한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가이드챔버(4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플랜지(412)는 상기 제 1 플랜지(411)가 형성된 측과 대응되는 가이드챔버(410)의 개구부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쵸크(420)의 후술할 제 3 플랜지(423)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쵸크(420)가 상기 건조챔버(100)의 외부측 방향으로 과도한 이동이 방지되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챔버(410)에는 쵸크(4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챔버(410)와 상기 쵸크(420) 사이에 생성되는 배압 및 건조챔버(100)의 내외부의 온도차 또는 주변 환경 요인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4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밸브(413)는 생성된 배압 및 수분을 가이드챔버(410)의 하방향(외부)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챔버(4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쵸크(420)는 상기 건조챔버(100)의 입구부(110) 또는 출구부(120)로 향하는 마이크로파를 난반사를 통해 상쇄시켜 외부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으로, 쵸크 하우징(421) 및 차폐판(4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쵸크 하우징(421)은 상기 건조챔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양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챔버(410)보다 작은 크기(또는 부피)로 상기 가이드챔버(410) 내부에 부분 삽입어 상기 가이드챔버(4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챔버(410)에 삽입된 상기 쵸크 하우징(421)의 개구부 측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된 제 3 플렌지(42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챔버에 삽입되지 않고 노출된 개구부 측에는 하향 절곡된 제 4 플랜지(4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플랜지는 상기 가이드챔버(410) 내부에서 가이드챔버(410)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 4 플랜지는 최외각측 차폐판 기능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폐판(422)은 상기 쵸크 하우징(421)의 상부측 패널 하측에 상기 쵸크 하우징(4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챔버(410)의 제 2 플랜지(412)와 상기 쵸크(420)의 제 3 플랜지(423)에는 상기 쵸크(420)와 상기 가이드챔버(410) 사이의 간극을 통해 마이크로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흡수부재(413, 4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수부재(413, 425)는 유연성을 갖음과 동시에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시트(Sheet) 또는 폼(Foam)형태의 (복합)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흡수부재(413, 425)는 상기 쵸크(420)와 상기 가이드챔버(410) 사이의 간극을 통해 마이크로 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파를 자체 흡수함으로써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430a)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챔버(410)를 따라 이동하는 쵸크(420)의 위치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쵸크(420)에 형성된 조절지그(431)와, 상기 조절지그(431)와 함께 상기 쵸크(42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32) 및 상기 가이드챔버(410)의 제 2 플랜지(412)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432)를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432)는 상기 조절지그(431) 및 지지부재(433)에 연결되어 조작에 의해 상기 쵸크(4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로, 볼트 또는 스크류잭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조절부(430)는 서포트잭(432b)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절부(430)이 서포트잭(430b)로 구성되는 경우(도 6참고), 상기 조절지그(431) 또는 지지부재(433)가 요구되지 않으며, 상기 서포트잭(430b)의 양측 프레임을 상기 제 2 플랜지의 일측과 상기 쵸크 하우징(421)의 상부측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쵸크(420)이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조절부의 다양한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위치조절부(4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위치조절부(430)가 소정간격 이격된 배치로 구비될 수 있다.(도 5a 및 5b 참고) 이와 같이 한쌍의 위치조절부(430)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면, 상기 가이드챔버(410)와 쵸크(420)의 고정상태가 위치조절부(430)가 하나만 구비된 상태보다 견고히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인 조작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쵸크(420)의 세부 조절(ex: 쵸크의 좌우측)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는 건조챔버(100)에 설치되는 쵸크(420)의 위치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쵸크(420)의 위치 편차를 보정할수 있으며, 이에 최적의 마이크로파 차폐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430)를 통해 상기 쵸크(420)의 보다 정밀한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그 조정 방법 또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이드챔버(410), 쵸크(420) 및 위치조절부(430)를 포함하는 쵸크부(400)를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제작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건조장치의 설계 규격에 구애 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건조 장치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건조챔버 110: 입구부
120: 출구부
200: 마그네트론
300: 도파관
400: 쵸크부
410: 가이드챔버 420: 쵸크
413, 425: 마이크로파 흡수부재 414: 배출밸브
430: 위치조절부 432a: 볼트 또는 스크류잭
432b: 서포트잭
500: 이송부재

Claims (12)

  1. 건조 대상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형성되고, 다수개 형성된 마그네트론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챔버와,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부와 출구부로 건조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입구부 및 출구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쵸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쵸크부는,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부 또는 출구부에 결합되는 가이드챔버와,
    상기 가이드챔버의 내부에서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쵸크, 및
    상기 쵸크의 이동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챔버는
    상기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양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 또는 출구부의 개구된 부분이 가이드챔버의 내부측에 위치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챔버는
    상기 입구부 또는 출구부에 결합되는 일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건조챔버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은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쵸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 2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챔버의 하측에는
    상기 쵸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챔버와 상기 쵸크 사이에 생성되는 배압 및 건조챔버의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쵸크는,
    상기 건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양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된 쵸크 하우징, 및
    상기 쵸크 하우징의 상부 패널 하측에 상기 쵸크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차폐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쵸크 하우징의 일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이드챔버 내부에서 이동되는 제 3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차폐판 기능을 하는 제 4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챔버의 제 2 플랜지 및 상기 쵸크 하우징의 제 3 플랜지에는 상기 가이드챔버와 상기 쵸크 하우징 사이로 마이크로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파의 흡수가 가능한 마이크로파 흡수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쵸크에 형성된 위치 조절 지그와,
    상기 위치 조절 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 조절 지그와 함께 쵸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가이드챔버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볼트 또는 스크류잭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서포트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쵸크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독립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쵸크 위치의 세부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KR1020130122949A 2013-10-15 2013-10-1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KR101389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949A KR101389727B1 (ko) 2013-10-15 2013-10-1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PCT/KR2014/008606 WO2015056887A1 (ko) 2013-10-15 2014-09-16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949A KR101389727B1 (ko) 2013-10-15 2013-10-1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727B1 true KR101389727B1 (ko) 2014-04-28

Family

ID=5065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949A KR101389727B1 (ko) 2013-10-15 2013-10-1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9727B1 (ko)
WO (1) WO20150568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0592A (zh) * 2017-09-07 2019-03-15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在线水分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WO2019194348A1 (ko) * 2018-04-02 2019-10-10 주식회사 세지테크 복합유전체 발열판을 이용한 마이크로파 가열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8257A (ja) * 1993-12-29 1995-08-01 Shinichiro Matsuura 加熱乾燥装置
KR100494446B1 (ko) * 2002-12-31 2005-06-13 (주)웨이브트로닉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 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8027A (en) * 1983-06-06 1984-12-11 Raytheon Company Leakage suppression tunnel for conveyorized microwave oven
JP2004071520A (ja) * 2002-08-03 2004-03-04 Ii Yon Hii マイクロ波誘導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8257A (ja) * 1993-12-29 1995-08-01 Shinichiro Matsuura 加熱乾燥装置
KR100494446B1 (ko) * 2002-12-31 2005-06-13 (주)웨이브트로닉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 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0592A (zh) * 2017-09-07 2019-03-15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在线水分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09470592B (zh) * 2017-09-07 2024-03-12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在线水分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WO2019194348A1 (ko) * 2018-04-02 2019-10-10 주식회사 세지테크 복합유전체 발열판을 이용한 마이크로파 가열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6887A1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674B1 (ko) 기류 제어 장치 및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US9504098B2 (en) Furnace system having hybrid microwave and radiant heating
US5440137A (en) Screw mechanism for radiation-curing lamp having an adjustable irradiation area
JP2008520951A (ja) プレート形状の製品用、特にファイバーボード用の多段型連続マイクロ波乾燥機
US6932932B2 (en) Method of fabricating honeycomb body
KR101389727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KR950703426A (ko) 개선된 대류/적외선 땜납 재유동 장치(Improved Convection/Infrared Solder Reflow Apparatus)
KR101194012B1 (ko) 건조장치
KR20180025176A (ko) 기판 가열 장치 및 기판 가열 방법
CN210892585U (zh) 一种陶瓷杯具生产线烘干装置
JP2008230962A (ja) セラミック体をマイクロ波照射によって乾燥させる装置
KR20110107749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CN108141931A (zh) 用于利用微波处理材料的组件
CN103650637B (zh) 微波加热装置
WO2021117525A1 (ja) 乾燥装置
KR20170061940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단열재 건조장치
JP2006012605A (ja) マイクロ波照射処理装置
JP2010133647A (ja) 熱処理装置
JP6036091B2 (ja) 紫外線照射器
KR102450642B1 (ko) 차폐게이트 모듈이 설치되는 연속식 마이크로파 가열시스템
KR20180114885A (ko) 전자파 공급장치
CN115560573A (zh) 一种受热均匀的隧道炉
JP6571063B2 (ja) ウエブの熱処理装置
JP2016145680A (ja) マイクロ波・ヒータ併用乾燥機及び被乾燥物の乾燥方法
JP2008224060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