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26111A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26111A1
WO2015026111A1 PCT/KR2014/007618 KR2014007618W WO2015026111A1 WO 2015026111 A1 WO2015026111 A1 WO 2015026111A1 KR 2014007618 W KR2014007618 W KR 2014007618W WO 2015026111 A1 WO2015026111 A1 WO 20150261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lay
repeater
information
target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76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류진숙
김래영
김현숙
김재현
김태훈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912,572 priority Critical patent/US9853709B2/en
Priority to KR1020167003839A priority patent/KR101769387B1/ko
Priority to CN201480045773.XA priority patent/CN105474558B/zh
Publication of WO20150261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26111A1/ko
Priority to US15/819,091 priority patent/US1029831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Definitions

  • 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eater operating method and apparatus.
  • the repeater is an entity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between a donor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nd may be introduced to expand service coverage and improve cell boundary throughput.
  • repeaters have been designed and used in consideration of operating in a fixed position, but mobile relays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varying their positions and furthermore moving at high speed. 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a repeater is located in a high speed train. When the position of the repeater varies with time, the cell formed by the repeater may have mobility,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mobile cell. 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mobile repeater,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plays a role of a repeater is also discussed.
  • a proximity service refers to a method of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located in a physically close proximity. Specifically, ProSe aims to support the operation of discovering applications running on devices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and ultimately exchanging application-related data. For example, it may be considered that ProSe is applied to applications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s (SNS), commerce, and games.
  • SNS social network services
  • ProSe may be referred to as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That is, by establishing a direct link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eg, user equipments (UEs)), communication between user devices (eg, voice, multimedia data, etc.) is directly exchanged between devices without going through a network.
  • D2D device-to-device
  • ProSe communication may include a scheme such as UE-to-UE communication, Peer-to-Peer communication, and the like.
  • the ProS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pplied to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and the like. Therefore, ProSe is considered as one way to solve the burden of the base station due to the rapidly increasing data traffic.
  • the introduction of ProSe can reduce the procedure of the base station, decreas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s participating in the ProSe, increase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network, load balancing, cell coverage can be expected.
  • UE-Relay technology is included in ProSe technology, and UE-Relay technology means a technology for supporting a UE operable as a relay (hereinafter, UE-Relay (UE-R)).
  • UE-R UE-Relay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UE in determining the UE suitable for performing the function as a repeater, and the network to find the optimal UE-Relay.
  • a method for supporting a repeater by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lay communication for the target user equipment (UE); And transmitting a relay activation message to one or more relay candidates.
  • the activation message may include one or more parameters of an activation period, a position, or a threshold of signal strength for the one or more relay candidates.
  • a repeater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given by the one or more parameters among the one or more repeater candidates may be activated as a repeater for the target UE.
  • a base station apparatus supporting a repeat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nd a processor.
  •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relay communication is required for a target user equipment (UE);
  • One or more relay candidates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relay activation message us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 the activation message may include one or more parameters of an activation period, a position, or a threshold of signal strength for the one or more relay candidates.
  • a repeater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given by the one or more parameters among the one or more repeater candidates may be activated as a repeater for the target UE.
  • Whether the relay communication is requir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one or more of a request from the target UE, state information of the target UE, or context information of a neighbor cell.
  • the request from the target UE may include one or more of information indicating a degree of the relay communication ne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UE, and information indicating an amount of resources required by the target UE.
  •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target UE may include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a distance for the target UE, or information on a link quality for the target UE.
  • the contextual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cel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oad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cell or information on whether the neighboring cell is activated.
  • the contextual information of the neighbor cell may be provided from one or more of one or more other UEs other than the target UE, another base station, or a core network.
  • the activation message may be a dedicated message sent to each of the one or more repeater candidates, or a broadcast signal sent to the one or more repeater candidates.
  • the repeater may be a mobile repeater or a UE-relay.
  • a method of operating a repeat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relay activation message including one or more parameters of an activation period, a position, or a threshold of signal strength.
  • UE target user equipment
  • a repeater device oper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nd a processor.
  •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receive a repeater activation message from a base station using the transmit / receive module including one or more parameters of an activation period, a location, or a threshold of signal strength; If the condition given by the at least one parameter is satisfied, it may be set to perform activation as a repeater for a target user equipment (UE).
  • UE target user equipment
  • the performing of the activation may include initiating relay communication for the target UE according to an activation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 the performing of the activation may include transmitting a signal indicating the repeater capability of the repeater to the surroundings.
  • the performing of the activation may include monitoring a repeater request from a terminal around the repeater.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relay related signaling to the base station.
  • the signaling may include one or more of load information of the repeat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or statistical information about a repeater requesting UE around the repeater.
  • the repeater may be a mobile repeater or a UE-relay.
  • a method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of the UE and enabling the network to find an optimal UE-Relay may be provided.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 EPS (Evolved Packet System) including an Evolved Packet Core (EPC).
  • EPS Evolved Packet System
  • EPC Evolved Packet Core
  •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plane and a user plane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terminal and an E-UTRAN based o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standard.
  •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hysical channels used in a 3GPP system and a general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adio frame used in an LTE system.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 E-UTRAN supporting a repeater.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resource division for a repeater.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fault data path through which two UEs communicate in EPS.
  • FIG. 9 illustrates a direct mode data path between two UEs based on ProSe.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lly-routed data path between two UEs based on ProSe.
  • FIG. 11 illustrates two types of UE-Relay.
  • FIG. 1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ase of determining a UE operating as a UE-to-Network relay.
  • FIG. 1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ase of determining a UE operating as a UE-to-UE relay.
  •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UE-relay relat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erminal device and a network node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considered to be optional unless otherwise stated.
  •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embodied in a form that is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 some components and / or feature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rder of the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Some components or features of one embodiment may be included in another embodiment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components or features of another embodiment.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by standard documents disclosed in relation to at least one of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 series system, 3GPP system, 3GPP LTE and LTE-A system, and 3GPP2 system. That is, steps or parts which are not described to clearly revea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by the above documents. In addition, all terms disclosed in the present document can be described by the above standard document.
  •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EPS Evolved Packet System
  • EPC Evolved Packet Core
  • IP-based packet switched core network IP-based packet switched core network
  • UMTS is an evolutionary network.
  • NodeB base station of GERAN / UTRAN. It is installed outdoors and its coverage is macro cell size.
  • eNodeB base station of LTE. It is installed outdoors and its coverage is macro cell size.
  • the UE User Equipment: a user device.
  • the UE may be referred to in terms of terminal, mobile equipment (ME), mobile station (MS), and the like.
  • the UE may be a portable device such as a laptop,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multimedia device, or the like, or may be a non-portable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or a vehicle-mounted device.
  • the UE is a UE capable of communicating in the 3GPP spectrum such as LTE and / or non-3GPP spectrum such as WiFi, public safety spectrum.
  • RAN Radio Access Network: a unit including a NodeB, an eNodeB and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controlling them in a 3GPP network. It exists between the UE and the core network and provides a connection to the core network.
  •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 RANAP RAN Application Part: an interface between the RAN and a nod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 Serv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Supporting Node) / MSC (Mobiles Switching Center) that is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core network .
  •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 MSC Mobiles Switching Center
  •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 HNB Home NodeB
  • 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 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 HeNodeB Home eNodeB
  • 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 E-UTRAN Evolved-UTRAN
  • CSG Closed Subscriber Group
  •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 Packet Data Network (PDN) connection 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UE represented by one IP address (one IPv4 address and / or one IPv6 prefix) and the PDN represented by an Access Point Name (APN).
  • IP address one IPv4 address and / or one IPv6 prefix
  • API Access Point Name
  • Proximity Services or Proximity-based Services Services that enable discovery between physically close devices,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base stations / communication via base stations / communication through third party devices.
  • user plane data is exchanged through a direct data path or a direct mode data path without passing through a 3GPP core network (eg, EPC).
  • EPC 3GPP core network
  • D2D device-to-device
  • Proximity Whether a UE is in proximity to another UE depends on whether a given proximity criterion is satisfied. Proximity criteria may be given differently for ProSe discovery and ProS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proximity criterion may be set to be controlled by the operator.
  • ProSe-enabled UE UE that supports ProSe discovery and / or ProSe commun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UE.
  • ProSe-enabled Network A network that supports ProSe discovery and / or ProSe commun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etwork.
  • ProS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nearby service-enabled UEs using a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 path.
  •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 may refer to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types of communications: proximity service E-UTRA communication between only two proximity service-enabled UEs; Proximity service group communication or proximity service broadcast communication between public safety proximity service-enabled UEs; Or proximity service-secondary WLAN direct communication.
  • ProSe E-UTRA Communication ProSe communication using ProSe E-UTRA communication path.
  • ProSe Broadcast Communication One-to-all ProSe E-UTRA communication between authorized public safety proximity service-enabled UEs. A common ProSe E-UTRA communication path established between these UEs can be used.
  • ProSe Group Communication One-to-many ProSe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neighboring service-enabled UEs in proximity. A common communication path established between these UEs can be used.
  • ProSe-assisted WLAN direct communication ProSe communication using a proximity service-assisted WLAN direct communication path.
  • ProSe Communication path Communication path that supports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path of ProSe E-UTRA communication ie, ProSe E-UTRA communication path
  • the communication path of ProSe-Secondary WLAN direct communication may be established directly between ProSe-enabled UEs using a WLAN.
  • EPC Path or Infrastructure Data Path user plane communication via EPC.
  • ProSe Discovery A process of identifying which ProSe-enabled UE is in proximity to another ProSe-enabled UE using E-UTRA.
  • ProSe discovery may mean ProSe discovery and / or EPC-level ProSe discovery.
  • ProSe direct discovery A process performed by one ProSe-enabled UE to discover other ProSe-enabled UEs in its vicinity. This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only the capabilities of two UEs according to the Release-12 E-UTRA technology.
  • ProSe direct discovery may include open ProSe direct discovery and / or restricted ProSe direct discovery.
  • EPC-level ProSe discovery A process by which an EPC determines the proximity of two ProSe-enabled UEs and informs them about their proximity.
  • EPC-level ProSe discovery may include open EPC-level ProSe discovery and / or limited EPC-level ProSe discovery.
  • Open ProSe Discovery ProSe discovery performed without explicit permission from the ProSe-enabled UE to be discovered.
  • ProSe discovery performed only with explicit permission from the ProSe-enabled UE to be discovered.
  • ProSe UE-to-Network Relay Proximity service-enabled public safety UE (ProSe UE-to-Network Relay), the proximity service-enabled public safety UE (public safety UE) and E-UTRA Type of relay that acts as a communication relay between the proximity service-enabled networks that it uses.
  • ProSe UE-to-UE Relay Proximity service-enabled public safety UE,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 between proximity service-enabled public safety UEs Type of relay that acts as a relay.
  • EPC Evolved Packet Core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 EPS (Evolved Packet System) including an Evolved Packet Core (EPC).
  • EPS Evolved Packet System
  • EPC Evolved Packet Core
  • SAE 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 SAE is a research project to determine network structure supporting mobility between various kinds of networks.
  • SAE aims to provide an optimized packet-based system, for example, supporting various radio access technologies on an IP basis and providing improved data transfer capability.
  • the EPC is a core network of an I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a 3GPP LTE system and may support packet-based real-time and non-real-time services.
  •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e., a second generation or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the core network is divided into two distinct sub-domains of circuit-switched (CS) for voice and packet-switched (PS) for data.
  • CS circuit-switched
  • PS packet-switched
  • the function has been implemented.
  • the sub-domains of CS and PS have been unified into one IP domain.
  • EPC IP Multimedia Subsystem
  • the EPC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and in FIG. 1, some of them correspond to a serving gateway (SGW), a packet data network gateway (PDN GW),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and a serving general packet (SGRS)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 and Enhanced Packet Data Gateway (ePDG) are shown.
  • SGW serving gateway
  • PDN 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
  •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 SGRS serving general packet
  • Radio Service Upporting Node
  • ePDG Enhanced Packet Data Gateway
  • the SGW acts as a boundary point between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and the core network, and is an element that functions to maintain a data path between the eNodeB and the PDN GW.
  • the SGW serves as a local mobility anchor point. That is, packets may be routed through the SGW for mobility in the E-UTRA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defined in 3GPP Release-8 or later).
  • E-UTRA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defined in 3GPP Release-8 or later.
  • SGW also provides mobility with other 3GPP networks (RANs defined before 3GPP Release-8, such as UTRAN or GERA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 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EDGE) Radio Access Network). It can also function as an anchor point.
  • RANs defined before 3GPP Release-8 such as UTRAN or GERA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 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EDGE) Radio Access Network). It can also function as an anchor point.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EDGE 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 the PDN GW corresponds to the termination point of the data interface towards the packet data network.
  • the PDN GW may support policy enforcement features, packet filtering, charging support, and the like.
  • mobility management between 3GPP networks and non-3GPP networks for example, untrusted networks such as 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I-WLANs),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s, or trusted networks such as WiMax) Can serve as an anchor point for.
  • untrusted networks such as 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I-WLANs),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s, or trusted networks such as WiMax
  • I-WLANs 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CDMA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 WiMax trusted networks
  • FIG. 1 shows that the SGW and the PDN GW are configured as separate gateways, two gateways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 single gateway configuration option.
  • the MME is an element that performs signaling and control functions to support access to the network connection of the UE, allocation of network resources, tracking, paging, roaming and handover, and the like.
  • the MME controls control plane functions related to subscriber and session management.
  • the MME manages a number of eNodeBs and performs signaling for the selection of a conventional gateway for handover to other 2G / 3G networks.
  • the MME also performs functions such as security procedures, terminal-to-network session handling, and id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 SGSN handles all packet data, such as user's mobility management and authentication to other 3GPP networks (eg GPRS networks).
  • 3GPP networks eg GPRS networks.
  • the ePDG acts as a secure node for untrusted non-3GPP networks (eg, I-WLAN, WiFi hotspots, etc.).
  • untrusted non-3GPP networks eg, I-WLAN, WiFi hotspots, etc.
  • a terminal having IP capability includes an IP service network provided by an operator (ie, an operator) via various elements in the EPC, based on 3GPP access as well as non-3GPP access.
  • an operator ie, an operator
  • 3GPP access based on 3GPP access as well as non-3GPP access.
  • IMS IMS
  • FIG. 1 illustrates various reference points (eg, S1-U, S1-MME, etc.).
  • a conceptual link defining two functions existing in different functional entities of E-UTRAN and EPC is defined as a reference point.
  • Table 1 below summarizes the reference points shown in FIG. 1.
  • This reference point can be used in PLMN-to-PLMN-to-for example (for PLMN-to-PLMN handover))
  • S5 Reference point providing user plane tunneling and tunnel management between the SGW and PDN GW. Used for SGW relocation because of UE mobility and when a connection to the PDN GW where the SGW is not co-located is required for the required PDN connectivity.
  • the PDN may be an operator external public or private PDN or, for example, an in-operator PDN for the provision of IMS services. This reference point corresponds to Gi of 3GPP access
  • S2a and S2b correspond to non-3GPP interfaces.
  • S2a is a reference point that provides the user plane with relevant control and mobility support between trusted non-3GPP access and PDNGW.
  • S2b is a reference point that provides the user plane with relevant control and mobility support between the ePDG and PDNGW.
  • EPS Evolved Packet System
  •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LTE Long Term Evolution
  • the EPS includes an access gateway (AG) located at an end of a user equipment (UE) and a base station (eNode B), an eNB, and an network (E-UTRAN).
  • a base station can transmit multiple data streams simultaneously for broadcast service, multicast service and / or unicast service.
  • the cell is set to one of bandwidths such as 1.25, 2.5, 5, 10, 15, and 20Mhz to provide downlink or uplink transmission services to multiple terminals. Different cells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different bandwidths.
  • the base station control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 For downlink (DL) data the base station transmits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to inform the corresponding UE of time / frequency domain, encoding, data size, and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related information.
  • the base station transmits uplink schedul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for uplink (UL) data and informs the time / frequency domain, encoding, data size, HARQ related information, etc. that the terminal can use.
  • DL downlink
  •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 the core network may be composed of an AG and a network node for user registration of the terminal.
  • the AG manages mobility of the UE in units of a tracking area (TA) composed of a plurality of cells.
  •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LTE based on WCDMA, but the demands and expectations of users and operator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 new technological evolution is required to be competitive in the future. Reduced cost per bit, increased service availability, the use of flexible frequency bands, simple structure and open interface, and adequat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are required.
  • the LTE-A system aims to support a broadband of up to 100 MHz, and for this purpose, a carrier aggregation (CA) technique is used to achieve broadband using a plurality of frequency blocks.
  • CA uses a plurality of frequency blocks as one large logical frequency band to use a wider frequency band.
  • the bandwidth of each frequency block may be defined based on the bandwidth of the system block used in the LTE system.
  • Each frequency block may be referred to as a component carrier (CC) or a cell.
  • CC component carrier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plane and a user plane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terminal and an E-UTRAN based o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standard.
  • the control plane refers to a path through which control messages used by a user equipment (UE) and a network to manage a call are transmitted.
  • the user plane refers to a path through which data generated at an application layer, for example, voice data or Internet packet data, is transmitted.
  • the physical layer which is the first layer,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to an upper layer by using a physical channel.
  • the physical layer is connected to the upper layer of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through a transport channel. Data moves between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and the physical layer through the transport channel. Data moves between the physical layer at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physical layer at the receiving side.
  • the physical channel utilizes time and frequency as radio resources.
  • the physical channel is modulated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cheme in downlink, and modulated in 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cheme in uplink.
  •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the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of the second layer provides a service to a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which is a higher layer, through a logical channel.
  • RLC radio link control
  • the RLC layer of the second layer supports reliable data transmission.
  • the function of the RLC layer may be implemented as a functional block inside the MAC.
  • the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layer of the second layer performs a header compression function to reduce unnecessary control information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IP packets such as IPv4 or IPv6 in a narrow bandwidth wireless interface.
  • IPv4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 the Radio Resource Control (RRC) lay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hird layer is defined only in the control plane.
  • the RRC layer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logical channels, transport channels, and physical channels in connection with configuration, reconfiguration, and release of radio bearers.
  • the radio bearer refers to a service provided by the second layer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 the RRC layers of the UE and the network exchange RRC messages with each other. If there is an RRC connected (RRC Connected) between the UE and the RRC layer of the network, the UE is in an RRC connected mode, otherwise it is in an RRC idle mode.
  • the non-access stratum (NAS) layer above the RRC layer performs functions such as session management and mobility management.
  • One cell constituting the base station is set to one of the bandwidth, such as 1.25, 2.5, 5, 10, 15, 20Mhz to provide a downlink or uplink transmission service to multiple terminals.
  • Different cells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different bandwidths.
  • the downlink transport channel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network to the UE includes a broadcast channel (BCH)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a paging channel (PCH) for transmitting a paging message, and a downlink shared channel (SCH) for transmitting user traffic or a control message.
  • BCH broadcast channel
  • PCH paging channel
  • SCH downlink shared channel
  • Traffic or control messages of a downlink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downlink SCH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separate downlink multicast channel (MCH).
  • the uplink transmission channel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terminal to the network includes a random access channel (RAC) for transmitting an initial control message and an uplink shared channel (SCH) for transmitting user traffic or a control message.
  • RAC random access channel
  • SCH uplink shared channel
  • BCCH broadcast control channel
  • PCCH paging control channel
  • CCCH common control channel
  • MCCH multicast control channel
  • MTCH multicast. Traffic Channel
  •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hysical channels used in a 3GPP system and a general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 the UE When the UE is powered on or enters a new cell, the UE performs an initial cell search operation such as synchronizing with the base station (S301). To this end, the terminal may receive a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and a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 from the base station to synchronize with the base station and obtain information such as a cell ID. have. Thereafter, the terminal may receive a physical broadcast channel from the base station to obtain broadcast information in a cell. Meanwhile, the terminal may receive a 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 in an initial cell search step to check the downlink channel state.
  • P-SCH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 S-SCH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 DL RS downlink reference signal
  • the UE Upon completion of the initial cell search, the UE acquires more specific system information by receiving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nd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PDCCH. It may be (S302).
  •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
  • S302 the UE acquires more specific system information by receiving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nd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PDCCH. It may be (S302).
  •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PDS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the terminal may perform a random access procedure (RACH) for the base station (steps S303 to S306).
  • RACH random access procedure
  • the UE may transmit a specific sequence to the preamble through a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S303 and S305), and receive a response message for the preamble through the PDCCH and the corresponding PDSCH ( S304 and S306).
  •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 a 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 the UE Afte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the UE performs a PDCCH / PDSCH reception (S307) and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hysical Uplink) as a general uplink / downlink signal transmission procedure.
  • Control Channel (PUCCH) transmission (S308) may be performed.
  • the terminal receives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through the PDCCH.
  •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 the DCI includes control information such as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and the forma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uplink or received by the terminal from the base station includes a downlink / uplink ACK / NACK signal, a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a precoding matrix index (PMI), and a rank indicator (RI). ), And the like.
  •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above-described control information such as CQI / PMI / RI through the PUSCH and / or PUCCH.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adio frame used in an LTE system.
  • a radio frame has a length of 10 ms (327200 ⁇ Ts) and consists of 10 equally sized subframes.
  • Each subframe has a length of 1 ms and consists of two slots.
  • Each slot has a length of 0.5 ms (15360 x Ts).
  • the slot includes a plurality of OFDM symbols in the time domain and a plurality of resource blocks (RBs) in the frequency domain.
  • one resource block includes 12 subcarriers x 7 (or 6) OFDM symbols.
  • Transmission time interval which is a unit time for transmitting data, may be determined in units of one or more subframes.
  • the structure of the radio frame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subframes included in the radio frame, the number of slots included in the subframe, and the number of OFDM symbols included in the slot may be variously changed.
  • one subframe may consist of 14 OFDM symbols.
  • the first 1 to 3 OFDM symbols may be used as the control region and the remaining 13 to 11 OFDM symbols may be used as the data region.
  • Control channels allocated to the control region include 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the PDCCH is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is allocated to the first n OFDM symbols of a subframe.
  • n is indicated by the PCFICH as an integer of 1 or more.
  • the PDCCH informs each UE or UE group of information related to resource allocation of a paging channel (PCH) and a downlink-shared channel (DL-SCH), an uplink scheduling grant, and HARQ information.
  • Paging channel (PCH) and downlink-shared channel (DL-SCH) are transmitted through PDSCH.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generall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PDSCH except for specific control information or specific service data.
  • Data of the PDSCH is transmitted to which UE (one or a plurality of UEs), and information on how the UEs should receive and decode PDSCH data is included in the PDCCH and transmitted.
  • a specific PDCCH is CRC masked with a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RNTI) of "A”, a radio resource (eg, frequency location) of "B” and a DCI format of "C", that is, a transmission format. It is assumed that information about data transmitted using information (eg, transport block size, modulation scheme, coding information, etc.) is transmitted through a specific subframe.
  • R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 the terminal in the cell monitors, that is, blindly decodes, the PDCCH in the search region by using the RNTI information of the cell, and if there is at least one terminal having an "A" RNTI, the terminals receive the PDCCH and receive The PDSCH indicated by "B" and "C" is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of one PDCCH.
  • the uplink subframe may be divided into a region to which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carrying control information is allocated and a region to which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carrying user data is allocated.
  • the middle part of the subframe is allocated to the PUSCH, and both parts of the data area are allocated to the PUCCH in the frequency domain.
  •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on the PUCCH includes ACK / NACK used for HARQ,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indicating downlink channel status, RI (Rank Indicator) for MIMO, and scheduling request (SR), which is an uplink resource allocation request. There is this.
  • Repeaters can be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high data rate coverage, improving group mobility, ad hoc network deployment, improving cell edge throughput, providing network coverage in new areas, and the like.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 E-UTRAN supporting a repeater.
  • FIG. 6 (a) the descrip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may be equally applied to a reference point between the MME / S-GW and a base station (or donor base station).
  • the relay node (RN) is responsible for forward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e) NB and the UE, and has two kinds of links (backhaul link and access link having different attributes in each carrier frequency band. ) Is applied.
  • the backhaul link is the link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e.g., the donor base station D (e) NB) and includes X2 and / or Un reference points.
  • the access link is the link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UE and includes a Uu reference point.
  • the repeater may be connected with the network via the D (e) NB, and there may be an S1 reference point between the D (e) NB and the repeater.
  • the repeater RN operates as a terminal (ie, a repeater type UE) for the base station D (e) NB, and operates as a base station (e) NB for the terminal UE served by the repeater RN. do.
  • the D (e) NB needs several additional functions to service the repeater (RN).
  • the D (e) NB may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and system information for the repeater through dedicated signaling through reconfiguration.
  • the macro base station is a base station serving UE1 and may communicate with UE1 through downlink to UE1 and uplink from UE1.
  • the macro base station functions as a donor base station D (e) NB with respect to the relay.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donor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through the backhaul downlink and the backhaul uplink, and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UE2 through the access downlink and the access uplink.
  • the base station requires the function of uplink recept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 the terminal requires the function of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reception
  • the repeater requires backhaul uplink transmission to the base station, access uplink reception from the terminal, and from the base station. Both functions of backhaul downlink reception and access downlink transmission to a terminal are required.
  • the band (or spectrum) of the repeater the case in which the backhaul link operates in the same frequency band as the access link is called 'in-band', and the backhaul link and the access link operate in different frequency bands. This is called an 'out-band'.
  • a terminal (or legacy terminal) operating according to an existing LTE system eg, Release-8) should be able to access the donor cell.
  • resource partitioning In order for the repeater to operate in-band, some resources in time-frequency space must be reserved for the backhaul link and these resources can be configured to not be used for the access link. This is called resource partitioning.
  • the backhaul downlink and the access downlink may be multiplexed in a 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scheme on one carrier frequency (ie, only one of the backhaul downlink or the access downlink is activated at a specific time).
  •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 the backhaul uplink and access uplink may be multiplexed in a TDM manner on one carrier frequency (ie, only one of the backhaul uplink or access uplink is activated at a particular time).
  • an in-band repeater for example, when a backhaul downlink reception from a base station and an access downlink transmission to a terminal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end of the repeater is received at the receiving end of the repeater. This may result in signal interference or RF jamming at the RF front-end of the repeater. Similarly, if the reception of the access uplink from the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of the backhaul uplink to the base station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signal interference may occur at the RF front end of the repeater.
  •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one frequency band in a repeater is sufficient separation betwee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transmitted signal (e.g., with sufficient geographical separation of th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e.g., ground / underground)). If is not provided,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 a first subframe 1010 is a general subframe and a downlink (ie, access downlink) control signal and data are transmitted from a repeater to a terminal
  • the second subframe 1020 is a 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MBSFN).
  •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repeater to the terminal in the control region 1021 of the downlink subframe, but no transmission is performed from the repeater to the terminal in the remaining region 1022 of the downlink subframe.
  • the legacy UE since th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is expected to be transmitted in all downlink subframes (in other words, the repeater receives the PDCCH in every subframe and the legacy UEs in their area measure the measurement func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o perform the (), to transmit the PDCCH in all downlink subframes for the correct operation of the legacy terminal.
  •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the repeater needs to perform access downlink transmission rather than receiving the backhaul downlink.
  • the PDCCH is transmitted from the repeater to the terminal in the control region 1021 of the second subframe, backward compatibility with respect to the legacy terminal served by the repeater may be provided.
  • the repeater may receive the transmission from the base station while no transmission is performed from the repeater to the terminal. Accordingly, through this resource partitioning schem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ess downlink transmission and backhaul downlink reception from being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in-band repeater.
  • the second subframe 1022 using the MBSFN subfr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MBSFN subframe is, in principle, a subframe for a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MBMS), and the MBMS refers to a service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the same signal in multiple cells.
  • the control region 1021 of the second subframe may be referred to as a relay non-hearing section.
  • the repeater non-listening period means a period in which the repeater transmits the access downlink signal without receiving the backhaul downlink signal. This interval may be set to 1, 2 or 3 OFDM lengths as described above. In the relay non-listening period 1021, the repeater may perform access downlink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and receive the backhaul downlink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remaining area 1022.
  • the guard time GT needs to be set so that the repeater performs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switching in the first partial section of the backhaul downlink reception region 1022.
  • a guard time GT for the reception / transmission mode switching of the repeater may be set.
  • the length of this guard time may be given as a value in the time domain, for example, may be given as k (k ⁇ 1) time sample (Ts) values, or may be set to one or more OFDM symbol lengths. have.
  • the guard time of the last part of the subframe may not be defined or set.
  • Such guard time may be defined only in a frequency domain configured for backhaul downlink subframe transmission in order to maintain backward compatibility (when a guard time is set in an access downlink period, legacy terminals cannot be supported).
  • the repeater may receive the PDCCH and the PDSCH from the base station.
  • the PDCCH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relay in the data region (transmission gap of FIG. 7) of the backhaul downlink subframe may be referred to as an R-PDCCH (Relay-PDCCH).
  • the mobile relay like a general repeater means a relay that performs a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between the macro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he position is not fixed.
  • a mobile repeater is a repeater mounted on a mobile means (for example, a personal vehicle, a bus, a train, etc.), or when a mobile terminal (UE) performs a function of a repeater for another terminal. Can be.
  • the serviced terminal by the repeater and the repeater may move together.
  • the base station serving the repeater eg, D (e) NB
  • the base station serving the repeater eg, D (e) NB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trol mechanism for supporting ProSe or D2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3GPP EPS (Evolved Packet System).
  • 3GPP EPS Evolved Packet System
  • ProSe's possible uses include the coherence of the user experience, including commercial / social services, network offload, public safety, and integration of existing infrastructure services (which includes aspects of reachability and mobility). It is to ensure that the).
  • public safety in cases where E-UTRAN coverage is not provided (in this case subject to compliance with local regulatory and operator policies, limited to specific frequency bands and specific terminals designated for public safety) Use cases and possible requirements are under discussion.
  • proximity-based applications / services are provided via LTE or WLAN, and that discovery an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r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an operator / network.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fault data path through which two UEs communicate in EPS. That is, FIG. 8 exemplarily shows a data path between UE-1 and UE-2 in a case where ProSe between UE-1 and UE-2 is not applied. This basic path goes through the base station (ie eNodeB or Home eNodeB) and gateway nodes (ie EPC or operator network).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UE-1 and UE-2 exchange data, data from UE-1 passes through eNodeB-1, S-GW / P-GW, and eNodeB-2.
  • base station ie eNodeB or Home eNodeB
  • gateway nodes ie EPC or operator network
  • Delivered to UE-2, and likewise data from UE-2 may be delivered to UE-1 via eNodeB-2, S-GW / P-GW, eNodeB-1.
  • UE-1 and UE-2 are camped on different eNodeBs, but may be camped on the same eNodeB.
  • FIG. 8 shows that two UEs receive services from the same S-GW and P-GW, various combinations of services are possible. That is, it may receive services from the same S-GW and different P-GWs, may receive services from different S-GWs and the same P-GW, or may receive services from different GWs and different P-GWs. have.
  • such a basic data path may be referred to as an infrastructure data path (ie, an infrastructure path or an infrastructure data path or an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path).
  • an infrastructure data path ie, an infrastructure path or an infrastructure data path or an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path.
  • communication through such an infrastructure data path may be referred to as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 FIG. 9 illustrates a direct mode data path between two UEs based on ProSe. This direct mode communication path does not go through the base station (ie eNodeB or Home eNodeB) and gateway nodes (ie EPC).
  • base station ie eNodeB or Home eNodeB
  • gateway nodes ie EPC
  • FIG. 9 (a) shows a case where UE-1 and UE-2 camp on each other eNodeB (ie, eNodeB-1 and eNodeB-2) while exchanging data through a direct mode communication path.
  • FIG. 9B exemplarily illustrates a case where UE-1 and UE-2 camping on the same eNodeB (ie, eNodeB-1) exchange data through a direct mode communication path.
  • control plane path may be formed via the base station and the core network.
  • the control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control plane path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session management,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security, charging, and the like.
  • control information for UE-1 is passed through eNodeB-1 to a control node (eg, MME) of the core network.
  • control information for UE-2 may be exchanged with a control node (eg, MME) of the core network via eNodeB-2.
  • the control information for UE-1 and UE-2 is passed through the eNodeB-1 to a control node (eg, of the core network). , MME).
  • a control node eg, of the core network. , MME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lly-routed data path between two UEs based on ProSe.
  • the ProSe communication data path between UE-1 and UE-2 is formed via eNodeB-1, but does not go through a gateway node (ie, EPC) operated by an operator.
  • EPC gateway node
  • control information for UE-1 and UE-2 is transmitted through the eNodeB-1 of the core network. It may be exchanged with a control node (eg, MME).
  • MME control node
  • the communication pat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may be referred to as a direct data path, a data path for ProSe, a ProSe based data path, or a ProSe communication path.
  • communication through such a direct data path may be referred to as direct communication, ProSe communication, or ProSe based communication.
  • FIG. 11 illustrates two types of UE-Relay.
  • FIG. 11 (a) shows a case where UE-R (UE-Relay) belongs to E-UTRAN coverage
  • FIG. 11 (b) shows a case where UE-R is out of E-UTRAN coverage.
  • the UE-R of FIG. 11A may correspond to a UE-to-Network relay type (the communication path indicated by a dotted line) or a UE-to-UE relay type (the communication path indicated by a solid line).
  • UE-R of FIG. 11B corresponds only to a UE-to-UE relay type.
  • the UE-to-UE relay means that the UE-R relays in the middle when two UEs communicate directly, and the UE-to-Network relay means between the UE and the network node (for example, (e) NB). It means that the UE-R relays the communication.
  • the UE In order to operate as a relay, the UE requires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as compared to simply operating as a UE. Specifically,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may be required to perform a relay communication operation (ie, communicating communication between two other entities), monitoring a terminal requiring a repeater, relay capability announcement, and the like. need.
  • the 3GPP standardization conference is discussing the UE-Relay activation type, and until now it has been defined that UE-Relay is used only for public safety. However, after the standardization process, it is expected to discuss the introduction of UE-Relay for services other than public safety.
  • the UE-Relay activation type discussed so far is described below.
  • a public safety ProSe UE with repeater capabilities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 UE-relay and operate as either a UE-to-UE relay or a UE-to-Network relay. Can be.
  • a relay discovery function and a relay public safety ProSe communication function may be used.
  • the UE-relay consumes additional power for the relay discovery process and relay communication. Due to the limited battery life, the repeater function of the UE-relay should be activated only when necessary. Three activation types are defined for this purpose.
  • Activation type 1 (do not perform relay discovery): The relay function may be activated at any time if the public safety UE has activated public safety ProSe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UE. This activation type repeater may consume unnecessary power in the absence of a public safety UE requiring a repeater for communication. Thus, this type of activation is more suitable for communications requiring emergency or high priority.
  • the relay function may be activated when receiving an announcement message from the UE requesting the discovery of the public safety relay. Whenever there is an activated public safety ProSe communication, the UE-relay should periodically monitor the relay discovery so that it can immediately activate / deactivate its relay function.
  • Relay discovery for a UE requesting a relay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 Activation type (acts as a UE to which the UE-relay sends a notification in relay discovery):
  • the relay function of the UE-relay is activated when an acknowledgment message from the UE requesting the discovery of the public safety relay is received. Can be.
  • the UE-relay must periodically announce its presence by sending a relay discovery notification message.
  • the UE-relay having this type of activation may consume unnecessary power for the relay discovery notification when there is no public safety UE in the vicinity.
  • a public safety UE set to UE-relay should periodically perform a relay discovery process. Thereby, the UE-relay may determine whether to disable the relay function for public safety ProSe communication when there is no public safety UE in its relay communication range.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setting relay functionality for a UE-rela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enabling / disabling a relay function quickly according to network conditions while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of UE-relay, and setting or adjusting a condition under which such an operation is performed.
  • Activation of the relay function of the UE includes an operation prior to performing communication as a UE-relay or announcing so that another UE can discover the UE-relay.
  • the UE-Relay may be classified into a UE-to-Network Relay type and a UE-to-UE Relay type. For such relay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or select an optimal relay.
  • the network may make a relay decision / selection, or the UE may autonomously select / select a relay.
  • FIG. 1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ase of determining a UE operating as a UE-to-Network relay.
  • the network may determine / select a suitable UE to operate as a relay for the target UE.
  • the network may have link quality (or signal strength) of the link (or access link) between the target UE and the UE-relay and / or link quality (or signal strength) of the link (or backhaul link) between the UE-relay and the network.
  • a UE to be operated as a UE-relay may be selected from candidate UE (s) (cadidate UE (s)).
  • the link quality (or signal strength) that is a criterion for UE-relay determination / selection may be most affected by the location of the UE-relay.
  • the network needs to know the location of the candidate UE (s) and the signal strength for each of the candidate UE (s), and for this purpose, the network is in a connected mode with the network.
  • the UE may be a candidate UE. That is, for a UE in idle mode, the network cannot determine the location or signal strength of the UE, and thus cannot be a candidate UE of the UE-relay.
  • the UE in the connected mode needs to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it is likely that delay or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relay communication occurs when the relay role is performed for another UE, or the relay communication is performed preferentially. In this case, delay or quality degradation of communication for the UE-relay itself may occur. Therefore, for efficiency of the entire network, it may be said that a UE in idle mode that is not performing other communication is more suitable as a UE-relay.
  • the target UE when the target UE is out of network coverage, the target UE determines or selects a suitable UE as a UE-relay among neighboring UE (s) present in a rang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UE, and then selects a UE-to-Network relay. Can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 the target UE may send a Relay Request Signal to the surrounding UE (s) to determine / select the UE responding to it as a UE-relay, or relay to a UE sending an announcement that it has relay capability.
  • the UE may be determined / selected as a UE-relay by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 FIG. 1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ase of determining a UE operating as a UE-to-UE relay.
  • a nearby suitable UE can support UE-to-UE relay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rce UE and the destination UE by acting as a UE-relay.
  • the network determines / selects a UE-relay for the UE-to-UE relay of FIG. 13, if the source UE and the destination UE are served by different eNBs, the source UE and the destination UE are determined for each eNB.
  • Complex signaling may be required, such as being in the connected mode and notifying each eNB about the location of the source UE and the destination UE, as well as sharing the UE location between the eNBs.
  • the relayable UE when the UE autonomously determines / selects a relay, the relayable UE (s) may be selected by the source UE or the destination UE. It should either monitor the sending relay request or inform its surrounding UEs of its relay capabilities.
  • a UE in connected mode may monitor relay requests from other UEs or advertise its relay capabilities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network, while UEs in idle mode may wake up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monitor repeater requests or repeaters. Capability notifications must be performed.
  • a relay capable UE monitors the relay request of another UE or has its own relay capability. If performing the operation of notifying, this cause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UE. Particularly, in the idle mode, the UE needs to wake up and repe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even in the idle state, and thus the power consumption problem is greater.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UE that requires a repeater, the relay capable UE does not know thi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must be maintained.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UE.
  • a relay capable UE may operate to minimize monitoring of a relay request and / or transmission of repeater capability notifications. For example, if the network determines if a UE-relay is needed and determines that UE-relay is not necessary, then the relay function of the relay capable UE is disabled, or the relay capable UE monitors and / or responds to the relay request. The method of lengthening the period for performing the repeater capability notification transmission may be applied.
  • a scheme may be applied to allow the network to find an optimal UE-relay. For example, by defining an operation that allows the network to determine / select an optimal UE-relay for a UE requiring a UE-relay, efficiency of the entire network can be improved.
  • the network may determine that the link quality (or signal strength) of the UE it is serving decreases. It may be determined that relay communication is necessary, and thus an operation of discovering or searching for a suitable UE-relay may be performed.
  • the network may use dedicated messages (eg, paging) to wake up UE (s) in idle mode (i.e. candidate UE (s) to be selected for UE-relay)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target UE.
  • Message or the like, or a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UE-relay is required.
  • SIB system information block
  • the network may be a link quality (or signal strength) of the link (or access link) between the target UE and the UE-relay to be selected, and / or the link (or backhaul) between the network and the UE-relay to be selected Dedicated to wake up UE (s) in idle mode (i.e.
  • candidate UE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link quality (or signal strength) of the link may be maintained above a predetermined threshold.
  • Information indicating that UE-relay is required in a message eg, a paging message
  • a broadcast signal ie, a UE-relay candidate
  • a UE receiving this dedicated message (eg, paging message) or broadcast signal may act as a UE-relay or report its status to the network.
  • the network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indicative of the desired location of the UE-relay in a dedicated message (eg, paging message) or broadcast signal.
  • the desired location may correspond to the location of the UE-relay where the optimal link quality (signal strength) is expected to be maintained for the relay communication.
  • a UE receiving this dedicated message (e.g., paging message) or broadcast signal (i.e., a UE-relay candidate) wakes up and operates as a UE-relay only if its location is in proximity to or matches the desired location. Or you can report your status to the network.
  • the target UE may transmit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network. Accordingly, the network determines the optimal location of the UE-relay based on the location around the target UE or the location of the target UE, and transmits a dedicated message (eg, paging message) or broadcast signal for the UE-relay. Can be.
  • a dedicated message eg, paging message
  • the link quality (or signal strength) of the link (or access link) between the target UE and the UE-relay and / or the link quality (or signal strength) of the link (or backhaul link) between the UE-relay and the network is predetermined.
  • Information indicating a threshold for link quality (or signal strength) may be sent to the dedicated message (eg, paging) such that only UEs above the threshold of may operate as UE-relay or report their status to the network. Message) or broadcast signal.
  • the UE-relay candidate (s) includes a UE located around a target UE and in connected mode, a UE receiving the dedicated message (eg, paging message) or broadcast signal in idle mode. can do.
  • the UE-relay candidate (s) may report its status and / or its capability information to the network (or after connecting to the network). Accordingly, the network collecting the information from the UE-relay candidate (s) can determine / select the best UE among them to operate as a UE-relay.
  • the optimal UE may be a UE in which the highest link quality (or signal strength) is expected, or a UE in which the best throughput performance is exp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of the UE.
  • the UE-relay scheme triggered by the network may be applied when the network coverage is extended by using the UE-relay.
  • the eNB can determine the situation of the neighbor eNB (or cell) through O & M (O & M), X2 signaling and / or S1 message.
  • the eNB may obtain load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cell, information on an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and / or 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X2 interface. Accordingly, the eNB can determine whether it is necessary to extend its cell coverage. If it is determined that coverage needs to be extended, the eNB may trigger UE-Relay activation.
  • the eNB may activate a UE-Relay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ie, close to a cell boundary) instead of the center of cell coverage. If coverage extension in a specific direction is necessary, the eNB may select and activate only the UE-Relay located in that direction. In addition, when a neighboring eNB (or a cell) is operating normally or a new eNB (or a cell) is activated and the coverage hole disappears, it may be instructed to deactivate the activated UE-Relay.
  • the UE-relay scheme triggered by the network may be applied for IOPS (Isolated E-UTRAN Operation for Public Safety).
  • IOPS is a technology under discussion at the 3GPP standardization conference, and the isolated E-UTRAN operation includes two examples. The first example is a case where the backhaul link between the eNB and the core network is disconnected, and the second example is a case where a specific eNB is configured as a nomadic eNB for public safety.
  • An eNB group including one or more eNBs may configure a nomadic eNB, and an eNB (or cell)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eNB group may activate a UE-Relay to service a UE located outside its coverage. have.
  • the network knows the coverage-related information and thus can inform the UE of the appropriate information.
  • some eNBs determine that if a neighboring eNB (or cell) is deactivated or malfunctions, that eNB needs to extend cell coverage and send a dedicated message (eg, paging message) or broadcast signa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ssue an activation command to monitor the relay request or inform the relay capability of the relay capable UE.
  • the network In order to enable or activate the relay function, information about the threshold for the link quality (or signal strength) and / or the threshold for the distance may be provided to the UE along with the enabling / activating information.
  • the network may provide the UE with information about the period of time for performing repeater request monitoring and / or repeater capability notification.
  • the period indicated by the network is short, an operation in which a relay capable UE monitors a relay request or announces relay capability is frequently performed, so that a UE requiring a repeater can find an optimal relay in a short tim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repeater capable UE is increased.
  • the period indicated by the network is short, an operation in which the relay capable UE monitors the relay request or informs the relay capability is rarely performed, so that power consumption of the relay capable UE is reduced, but the UE requiring the relay is Finding the best repeater can take a long time, resulting in lower overall network throughput.
  • the network may be adapted to the current situation (i.e., if a UE requiring a repeater is to select the relay in a short time, or if the repeater capable UE operates with the lowest power consumption.
  • the period value may be set and provided, depending on whether priority is given.
  • the UE may report information indicating this to the network and include information about its location together. have. Accordingly, the UE-relay may be induced to be activated for the corresponding UE by the network.
  • the relay capable UE 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lay request received (or monitored) in the vicinity (for example, the number of UEs requesting relay communic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E, etc.) and collected the collected information. Can be reported to the network. Accordingly, UE-relay activation control by the network can be properly performed. .
  • the network eg, eNB
  • the network defines and sets parameters that may be included in signaling (eg, dedicated message or broadcast signal) related to UE-relay activation.
  • the eNB may provide only information indicative of UE-relay activation to the UE, or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parameters.
  • TABLE 2 Parameter name Explanation Announcing period A period in which the UE-relay performs an operation of informing the relay capability. (If this parameter value is omitted, the default notification period is used, or the UE may arbitrarily set the notification period.) Threshold Threshold for signal strength. (If this parameter value is omitted, the default threshold may be used, or may be interpreted to indicate that UE-relay activation is indicated without considering the threshold.)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of the UE. The UE present in the area determined based on this parameter value may be activated with the UE-relay.
  • the notification period In relation to the "notification period" parameter of Table 2, if the notification period is lo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UE is reduced, but the time for which another UE discovers the UE-relay may be delayed, resulting in service interruption of the other UE. On the other hand, if the notification period is shor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UE is increased, but the time for discovering the UE-relay by other UEs is also faster,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service or provide services to the other UEs faster.
  • the notification period may include a repeater request monitoring period.
  • the repeater request monitoring period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otification period.
  • the notification period since the notification operation or monitoring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ctivation type of the repeater, the notification period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activation period of the repeater.
  • the “threshold value” parameter of Table 2 may be defined as, for example,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and the like.
  • the threshold parameter may have a meaning of setting so that only UEs whose link quality between the UE-relay and the network is kept above a predetermined threshold may operate as the UE-relay.
  • the threshold parameter is a value for determining that a relay service is required for a neighboring UE of the UE-relay when the link quality between the UE-relay and the network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thus performing the activation operation. It may mean.
  • UEs present at a specific location may be activated as UE-relay using a threshold parameter.
  • the eNB determines a location where a repeater is need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verage hole in the cell, its location, the size of the cell coverage, and the state of the neighboring cell, and UEs located close to the location are UE-relay.
  • the threshold parameter value may be set to perform an activation or notification operation.
  • the “location information” parameter of Table 2 only UEs located in a specific area of an eNB (or cell) may be activated as a UE-relay. If the eNB serving the UE detects that the neighbor cell at the specific location is inactive or malfunctions, perform the operation as a UE-relay (or an operation of notifying the capability of the UE-relay) to the UE near the location of the neighbor cell. To command, the valu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arameter can be set.
  • the eNB may set a valu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arameter to activate a UE existing at an optimal location between the UE and the eNB as a UE-relay. Can be set.
  • the dedicated message transmitted by the eNB to the UE is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other types of dedicated messages such as an attach response message and a tracking area update (TAU) / routing area update (RAU) response message transmitted to the UE-relay may also be applied to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AU tracking area update
  • RAU routing area update
  • a method of defining and setting parameters that may be included in signaling transmitted by a UE requesting relay communication (or a relay service) to a network eg, an eNB
  • a network eg, an eNB
  • a UE requiring relay communication may simply send signaling that includes only information indicating the need, or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parameters.
  • Explanation Urgency A value indicating the degree to which the UE needs relay communication.
  •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E.
  • Required resource / throughput The amount of resources needed by the UE and / or the throughput required.
  • the "urgency” (or “urgentness”) parameter reflects which application service requires a relay communication, or a subscription class of a UE that requires a relay communication. It can be set to a value. The value of this parameter can be used as a basis for setting a periodic parameter, a threshold parameter, etc. that the eNB includes in the UE-relay activation signaling.
  • the "location information” parameter means location information of a UE requiring relay communication, and may express a location of the UE using GPS information.
  • the value of this parameter can be used as a basis for setting location parameters, threshold parameters, etc. that the eNB includes in UE-relay activation signaling.
  • the "required resource / throughput” parameter is a value indicating the amount and / or throughput of resources required by the UE requiring relay communication.
  • a method of defining and setting parameters that can be included in signaling transmitted by a candidate UE capable of supporting UE-relay to a network will be described below.
  • a UE-relay or a relay capable UE performing relay communication may transmit signaling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parameters to the eNB.
  • Table 4 Parameter name Explanation Load Information A value representing the load of the UE-relay.
  •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E-relay. Relays of relay requesting UE The number of UEs requesting relay communication, or an indication that a predetermined threshold has been exceeded.
  • the "load information" parameter is processed for another communication (e.g., communication between the UE-relay itself and the network and / or relay communication provided by the UE-relay) by the UE-relay acting as a relay.
  • the degree of load being performed is indicated.
  • the value of this parameter may be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 selecting a suitable UE-relay among them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lay capable UEs located around the UE requesting relay communication (or relay service).
  • the "location information” parameter mean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E-relay, and can express the location of the UE using GPS information.
  • the value of this parameter may be used by the eNB to determine the situation of the UE-relay (or UE-relay candidate), and, accordingly,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E requesting the relay communication, the optimal UE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 selecting a relay.
  • the "relay request UE statistic" parameter is set to a value indicating the number of UEs requesting relay communication (or relay service) in the vicinity of the UE-relay, or is the number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It can be set to a value indicating whether or not.
  • the value of this parameter may be used by the eNB to adjust the threshold value for UE-relay activation (e.g., lower) or to adjust the number of UEs to be activated with UE-relay (e.g., more UE-relays). Can be used as a basis for activation.
  •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UE-relay relat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NB may determine whether relay communication is required for the target UE.
  • This determination may include a request from the target UE requiring relay communication (or a relay service) (eg, a request message comprising the parameters of Table 3 above), the state of the target UE (eg, an eNB Whether it is out of coverage or link quality is degraded, and / or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of the neighboring cell (which is provided from other UE (s), from another eNB / cell via X2 interface, or from a network node of the core network). May be performed).
  • a request from the target UE requiring relay communication eg, a request message comprising the parameters of Table 3 above
  • the state of the target UE eg, an eNB Whether it is out of coverage or link quality is degraded
  • the neighboring cell which is provided from other UE (s), from another eNB / cell via X2 interface, or from a network node of the core network. May be performed).
  • the UE-relay is activated for the target UE, or if the UE-relay already activated is appropriate, the activation state is maintained.
  • an operation such as setting a period of an activation operation of the UE-relay (for example, a relay capability notification period, a neighboring relay request monitoring period, etc.) to a relatively small value may be performed.
  • the UE-relay that is already activated is deactivated, or a period of the activation operation of the UE-relay (for example, relay capability notification period). , A repeater request monitoring cycle, etc.) may be set to a relatively large value, or if the UE-relay is not activated for the target UE, no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 the UE-relay.
  • the eNB may transmit a UE-relay activation message to one or more UE-relay candidates capable of providing relay communication (or a relay service) for the target UE.
  • the activation message may be sent via a dedicated message (eg, paging message, attach response message, TAU / RAU response message, etc.) or a broadcast signal.
  • the activation message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parameters of Table 2.
  • step S1430 the UE-relay candidat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given by the activation message may be activated as the UE-relay.
  • a UE is activated as a UE-relay means acting as a UE-relay for the target UE immediately according to an activation message from the eNB (i.e. initiating relay communication), where the UE-relay has its relay capper Performing an operation of notifying the capability (ie, enabling the neighboring UEs (which may include the target UE) to discover the UE-relay), or the UE-relay of the neighboring UE).
  • an operation for notifying the capability ie, enabling the neighboring UEs (which may include the target UE) to discover the UE-relay
  • the UE-relay of the neighboring UE One or more of performing an operation for monitoring a relay request (ie, discovering UEs in need of a UE-relay (which may include the target UE)). For example, one of these operations may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activation type of the UE-relay.
  • the target UE may perform relay communication with the eNB through the UE-relay.
  • an eNB may determine, from a target UE, UE-relay (or UE-relay candidate (s)), another eNB / cell, core network, whether the relay communication (or repeater service) is needed. The operation of receiving the underlying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 FIG. 14 Although the example method described in FIG. 14 is represented as a series of operations for simplicity of descrip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performed,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as necessary. have. In addition, not all the steps illustrated in FIG. 14 are necessary to implement the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erminal device and a network node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inal device 100 may include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10, a processor 120, and a memory 130.
  •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various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and receive various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by wire and / or wirelessly.
  •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process and proces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processor 12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terminal opera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mory 130 may store the processed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may be replaced with a component such as a buffer (not shown).
  •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may include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10, a processor 220, and a memory 230.
  •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1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various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and receive various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by wire and / or wirelessly.
  • the processor 22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and the base station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of calcula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processor 22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base station opera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mory 230 may store the processed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may be replaced with a component such as a buffer (not shown).
  • the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above-described matter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dependently or two or more embodiments are applied at the same time, overlapping The description is omitted for clarity.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 a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and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It may be implemented by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a memory unit and driven by a processor.
  •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by various known mea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서 중계기를 지원하는 방법은, 타겟 사용자기기(UE)에 대한 중계 통신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에게 중계기 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에 대한 활성화 주기, 위치, 또는 신호 세기의 임계치 중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중계기가, 상기 타겟 UE를 위한 중계기로서 활성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중계기는 도너(donor)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신호 송수신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개체로서, 서비스 커버리지의 확대, 셀 경계 처리율(throughput)의 향상 등을 위하여 도입될 수 있다.
종래의 중계기는 고정된 위치에서 동작하는 것을 고려하여 설계 및 이용되었지만, 이동 중계기(mobile relay)는 그 위치가 가변하는 것, 나아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속으로 이동하는 기차에 중계기가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중계기의 위치가 시간에 따라 가변하는 경우, 중계기에 의해서 형성되는 셀은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이동 셀(mobile cell)이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중계기를 구현하기 위해서, 단말이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또한,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 ProSe)는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장치(device)들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방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ProSe는 서로 근접한 장치들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발견(discover)하고, 궁극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관련 데이터를 교환하는 동작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상업, 게임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ProSe가 적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ProSe는 장치-대-장치(Device-to-Device; D2D) 통신이라고 칭하여질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장치(예를 들어,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간에 직접적인 링크를 설정하여,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를 장치 간에 직접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ProSe 통신은 단말-대-단말(UE-to-UE) 통신, 피어-대-피어(Peer-to-Peer) 통신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roSe 통신 방식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ProSe는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른 기지국의 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고려되고 있다. 또한, ProSe를 도입함으로써, 기지국의 절차 감소, ProSe에 참여하는 장치들의 소비 전력 감소, 데이터 전송 속도 증가, 네트워크의 수용 능력 증가, 부하 분산, 셀 커버리지 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ProSe 기술에 UE-Relay 기술이 포함되며, UE-Relay 기술은 Relay로서 동작가능한 UE(이하, UE-Relay (UE-R))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중계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UE를 결정함에 있어서, UE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네트워크가 최적의 UE-Relay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서 중계기를 지원하는 방법은, 타겟 사용자기기(UE)에 대한 중계 통신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에게 중계기 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에 대한 활성화 주기, 위치, 또는 신호 세기의 임계치 중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중계기가, 상기 타겟 UE를 위한 중계기로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를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는,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타겟 사용자기기(UE)에 대한 중계 통신 필요 여부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에게 중계기 활성화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에 대한 활성화 주기, 위치, 또는 신호 세기의 임계치 중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중계기가, 상기 타겟 UE를 위한 중계기로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하의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중계 통신 필요 여부는, 상기 타겟 UE로부터의 요청, 상기 타겟 UE의 상태 정보, 또는 주변 셀의 상황 정보에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타겟 UE로부터의 요청은, 상기 중계 통신 필요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타겟 UE의 위치 정보, 상기 타겟 UE에 의해 요구되는 자원의 양을 나타내는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UE의 상태 정보는, 상기 타겟 UE에 대한 거리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타겟 UE에 대한 링크 품질에 대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셀의 상황 정보는, 상기 주변 셀의 부하 정보, 또는 상기 주변 셀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셀의 상황 정보는, 상기 타겟 UE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UE, 다른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의 각각에게 전송되는 전용 메시지,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에게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이동 중계기, 또는 UE-relay일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가 동작하는 방법은, 활성화 주기, 위치, 또는 신호 세기의 임계치 중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중계기 활성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타겟 사용자기기(UE)를 위한 중계기로서의 활성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중계기 장치는,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활성화 주기, 위치, 또는 신호 세기의 임계치 중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중계기 활성화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타겟 사용자기기(UE)를 위한 중계기로서의 활성화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하의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활성화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타겟 UE를 위하여 중계 통신을 시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의 중계기 캐퍼빌리티를 알리는 신호를 주변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 주변의 단말로부터의 중계기 요청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중계기 관련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중계기의 부하 정보, 상기 중계기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중계기 주변의 중계기 요청 UE에 대한 통계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이동 중계기, 또는 UE-relay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항 기재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UE를 결정함에 있어서, UE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네트워크가 최적의 UE-Relay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PC에 연결된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중계기를 지원하는 E-UTRAN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중계기에 대한 자원 분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EPS에서 두 UE가 통신하는 기본적인 데이터 경로(default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ProSe에 기반한 두 UE 간의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 (direct mode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ProSe에 기반한 두 UE 간의 로컬 라우팅 방식 데이터 경로(locally-routed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UE-Relay에 대한 두 가지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UE-to-Network relay로 동작하는 UE를 결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UE-to-UE relay로 동작하는 UE를 결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UE-relay 관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노드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 계열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하여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에 의해서 개발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기반의 3 세대(Generation) 이동 통신 기술.
- EPS(Evolved Packet System): IP 기반의 packet switched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와 LTE, UTRAN 등의 액세스 네트워크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 UMTS가 진화된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 NodeB: GERAN/UTRAN의 기지국. 옥외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매크로 셀(macro cell) 규모이다.
- eNodeB: LTE의 기지국. 옥외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매크로 셀(macro cell) 규모이다.
- UE(User Equipment): 사용자 기기. UE는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다. 또한,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고, 또는 PC(Personal Computer),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도 있다. UE는 LTE와 같은 3GPP 스펙트럼(spectrum) 및/또는 WiFi, 공공 안전(Public Safety)용 스펙트럼과 같은 비-3GPP 스펙트럼으로 통신이 가능한 UE이다.
- RAN(Radio Access Network): 3GPP 네트워크에서 NodeB, eNodeB 및 이들을 제어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하는 단위. UE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 존재하며 코어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제공한다.
- RANAP(RAN Application Part): RAN과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를 담당하는 노드(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MSC(Mobiles Switching Center)) 사이의 인터페이스.
-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개인들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별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 HNB(Home NodeB):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표준문서 TS 25.467을 참조할 수 있다.
- HeNodeB(Home eNodeB): E-UTRAN(Evolved-UTRAN)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표준문서 TS 36.300을 참조할 수 있다.
- CSG(Closed Subscriber Group): H(e)NB의 CSG의 구성원으로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의 하나 이상의 CSG 셀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되는 가입자 그룹.
-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 하나의 IP 주소(하나의 IPv4 주소 및/또는 하나의 IPv6 프리픽스)로 표현되는 UE와 APN(Access Point Name)으로 표현되는 PDN 간의 논리적인 연결.
-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s 또는 Proximity-based Services; ProSe): 물리적으로 근접한 장치 사이의 발견(discovery), 및 상호 직접적인 통신/기지국을 통한 통신/제 3의 장치를 통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이때 사용자 평면 데이터(user plane data)는 3GPP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EPC)를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 경로(direct data path 또는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 (direct mode data path))를 통해 교환된다. D2D(Device-to-Device) 서비스라고도 지칭된다.
- 근접성(Proximity): 어떤 UE가 다른 UE와 근접한 것인지 여부는 소정의 근접성 기준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근접성 기준은 ProSe 발견(discovery) 및 ProSe 통신(communication)에 대해서 상이하게 주어질 수도 있다. 또한, 근접성 기준은 사업자의 제어 대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 근접 서비스-가능 UE(ProSe-enabled UE): ProSe 발견 및/또는 ProSe 통신을 지원하는 UE. 이하에서 UE로 지칭된다.
- 근접 서비스-가능 네트워크(ProSe-enabled Network): ProSe 발견 및/또는 ProSe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이하에서 네트워크로 지칭된다.
- 근접 서비스 통신(ProSe Communication): 근접 서비스 통신 경로를 이용하는 근접한 2 개 이상의 근접 서비스-가능 UE들 간의 통신. 명시적으로 다르게 설명하지 않는 한, "근접 서비스 통신"이란 다음의 형태의 통신들 중 하나 이상을 지칭할 수 있다: 오직 2 개의 근접 서비스-가능 UE들 간의 근접 서비스 E-UTRA 통신; 공공 안전 근접 서비스-가능 UE들 간의 근접 서비스 그룹 통신 또는 근접 서비스 방송 통신; 또는 근접 서비스-보조 WLAN 직접 통신.
- 근접 서비스 E-UTRA 통신(ProSe E-UTRA Communication): ProSe E-UTRA 통신 경로를 이용하는 ProSe 통신.
- 근접 서비스 방송 통신(ProSe Broadcast Communication): 인증된 공공 안전 근접 서비스-가능 UE들 간의 일-대-전부 ProSe E-UTRA 통신. 이들 UE들 간에 수립된(established) 공통 ProSe E-UTRA 통신 경로를 이용할 수 있음.
- 근접 서비스 그룹 통신(ProSe Group Communication): 근접한 둘 이상의 근접 서비스-가능 UE들간의 일-대-다 ProSe 통신. 이들 UE들 간에 수립된 공통 통신 경로를 이용할 수 있음.
- 근접 서비스-보조 WLAN 직접 통신 (ProSe-assisted WLAN direct communication): 근접 서비스-보조 WLAN 직접 통신 경로를 이용하는 ProSe 통신.
- 근접 서비스 통신 경로(ProSe Communication path): 근접 서비스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경로. ProSe E-UTRA 통신의 통신 경로(즉, ProSe E-UTRA 통신 경로)는, 예를 들어, E-UTRA를 이용하여 ProSe-가능 UE들 간에 직접 수립될 수도 있고, 또는 로컬 eNB(들)를 통해서 라우팅될 수도 있다. ProSe-보조 WLAN 직접 통신의 통신 경로(즉, ProSe-보조 WLAN 직접 통신 경로)는 WLAN을 이용하여 ProSe-가능 UE들 간에 직접 수립될 수도 있다.
- EPC 경로(EPC Path) 또는 인프라스트럭쳐 데이터 경로(infrastructure data path): EPC를 통한 사용자 평면(user plane) 통신.
- 근접 서비스 발견(ProSe Discovery): E-UTRA를 사용하여 어떤 ProSe-가능 UE가 다른 ProSe-가능 UE에 근접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과정. ProSe 발견은 ProSe 직접 발견 및/또는 EPC-레벨 ProSe 발견을 의미할 수 있다.
- 근접 서비스 직접 발견(ProSe direct discovery): 한 ProSe-가능 UE가 주변의 다른 ProSe-가능 UE를 발견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과정. 이 과정은 릴리즈-12 E-UTRA 기술에 따른 두 UE들의 캐퍼빌리티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ProSe 직접 발견은 개방형(open) ProSe 직접 발견 및/또는 제한된(restricted) ProSe 직접 발견을 포함할 수 있다.
- EPC-레벨 근접 서비스 발견(EPC-level ProSe discovery): EPC가 두 ProSe-가능 UE들의 근접성을 결정하고 이들에게 이들의 근접성에 대해서 알려주는 과정. EPC-레벨 ProSe 발견은 개방형 EPC-레벨 ProSe 발견 및/또는 제한된 EPC-레벨 ProSe 발견을 포함할 수 있다.
- 개방형 근접 서비스 발견(Open ProSe Discovery): 발견되는 ProSe-가능 UE로부터의 명시적인 허락(explicit permission) 없이 수행되는 ProSe 발견.
- 제한된 근접 서비스 발견(Restricted ProSe Discovery): 발견되는 ProSe-가능 UE로부터의 명시적인 허락에 의해서만 수행되는 ProSe 발견.
- 근접 서비스 UE-to-Network 중계(ProSe UE-to-Network Relay): 근접 서비스-가능 공공 안전 단말(public safety UE)이며, 근접 서비스-가능 공공 안전 단말(public safety UE)과 E-UTRA를 이용하는 근접 서비스-가능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 릴레이로서 동작하는 릴레이의 형태.
- 근접 서비스 UE-to-UE 중계(ProSe UE-to-UE Relay): 근접 서비스-가능 공공 안전 단말(public safety UE)이며, 근접 서비스-가능 공공 안전 단말(public safety UE)들 간의 근접 서비스 통신 릴레이로서 동작하는 릴레이의 형태.
EPC(Evolved Packet Core)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EPC는 3GPP 기술들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SAE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결정하는 연구 과제에 해당한다. SAE는, 예를 들어, IP 기반으로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고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능력을 제공하는 등의 최적화된 패킷-기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EPC는 3GPP LTE 시스템을 위한 IP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이며, 패킷-기반 실시간 및 비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즉, 2 세대 또는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을 위한 CS(Circuit-Switched) 및 데이터를 위한 PS(Packet-Switched)의 2 개의 구별되는 서브-도메인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이 구현되었다. 그러나,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진화인 3GPP LTE 시스템에서는, CS 및 PS의 서브-도메인들이 하나의 IP 도메인으로 단일화되었다. 즉, 3GPP LTE 시스템에서는, IP 능력(capability)을 가지는 단말과 단말 간의 연결이, IP 기반의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evolved Node B)), EPC, 애플리케이션 도메인(예를 들어, IMS(IP Multimedia Subsystem))을 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EPC는 단-대-단(end-to-end) IP 서비스 구현에 필수적인 구조이다.
EPC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그 중에서 일부에 해당하는, SGW(Serving Gateway),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를 도시한다.
SGW(또는 S-GW)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계점으로서 동작하고, eNodeB와 PDN GW 사이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요소이다. 또한, 단말이 eNodeB에 의해서 서빙(serving)되는 영역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 SGW는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anchor point)의 역할을 한다. 즉, E-UTRAN (3GPP 릴리즈-8 이후에서 정의되는 Evolved-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내에서의 이동성을 위해서 SGW를 통해서 패킷들이 라우팅될 수 있다. 또한, SGW는 다른 3GPP 네트워크(3GPP 릴리즈-8 전에 정의되는 RAN, 예를 들어, UTRAN 또는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와의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PDN GW(또는 P-GW)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종료점(termination point)에 해당한다. PDN GW는 정책 집행 특징(policy enforcement features),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과금 지원(charging support)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3GPP 네트워크와 비-3GPP 네트워크 (예를 들어, I-WLAN(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신뢰되지 않는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나 WiMax와 같은 신뢰되는 네트워크)와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앵커 포인트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예시에서는 SGW와 PDN GW가 별도의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지만, 두 개의 게이트웨이가 단일 게이트웨이 구성 옵션(Single Gateway Configuration Option)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MME는, UE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액세스,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 트래킹(tracking), 페이징(paging), 로밍(roaming) 및 핸드오버 등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MME는 가입자 및 세션 관리에 관련된 제어 평면(control plane) 기능들을 제어한다. MME는 수많은 eNodeB들을 관리하고, 다른 2G/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위한 종래의 게이트웨이의 선택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또한, MME는 보안 과정(Security Procedures), 단말-대-네트워크 세션 핸들링(Terminal-to-network Session Handling), 유휴 단말 위치결정 관리(Id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SGSN은 다른 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GPRS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성 관리 및 인증(authentication)과 같은 모든 패킷 데이터를 핸들링한다.
ePDG는 신뢰되지 않는 비-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I-WLAN, WiFi 핫스팟(hotspot) 등)에 대한 보안 노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IP 능력을 가지는 단말은, 3GPP 액세스는 물론 비-3GPP 액세스 기반으로도 EPC 내의 다양한 요소들을 경유하여 사업자(즉, 오퍼레이터(operator))가 제공하는 IP 서비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IMS)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S1-U, S1-MME 등)을 도시한다. 3GPP 시스템에서는 E-UTRAN 및 EPC의 상이한 기능 개체(functional entity)들에 존재하는 2 개의 기능을 연결하는 개념적인 링크를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라고 정의한다. 다음의 표 1은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를 정리한 것이다. 표 1의 예시들 외에도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표 1
레퍼런스 포인트 설명
S1-MME E-UTRAN와 MME 간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에 대한 레퍼런스 포인트
S1-U 핸드오버 동안 eNodeB 간 경로 스위칭 및 베어러 당 사용자 평면 터널링에 대한 E-UTRAN와 SGW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S3 유휴(idle) 및/또는 활성화 상태에서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간 이동성에 대한 사용자 및 베어러 정보 교환을 제공하는 MME와 SGS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이 레퍼런스 포인트는 PLMN-내 또는 PLMN-간(예를 들어, PLMN-간 핸드오버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음)
S4 GPRS 코어와 SGW의 3GPP 앵커 기능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제공하는 SGW와 SGS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또한, 직접 터널이 형성되지 않으면, 사용자 평면 터널링을 제공함
S5 SGW와 PDN GW 간의 사용자 평면 터널링 및 터널 관리를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 UE 이동성으로 인해, 그리고 요구되는 PDN 연결성을 위해서 SGW가 함께 위치하지 않은 PDN GW로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SGW 재배치를 위해서 사용됨
S11 MME와 SGW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SGi PDN GW와 PD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PDN은, 오퍼레이터 외부 공용 또는 사설 PDN이거나 예를 들어, IMS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오퍼레이터-내 PDN일 수 있음. 이 레퍼런스 포인트는 3GPP 액세스의 Gi에 해당함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 중에서 S2a 및 S2b는 비-3GPP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S2a는 신뢰되는 비-3GPP 액세스 및 PDN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이다. S2b는 ePDG 및 PDN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PC에 연결된 E-UTRAN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PS(Evolved Packet System)는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P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P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EPS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eNode B; 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최근 3GPP는 LTE에 대한 후속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기술을 'LTE-A'라고 지칭한다. LTE-A 시스템은 최대 100MHz의 광대역을 지원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복수의 주파수 블록을 사용하여 광대역을 달성하는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CA는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주파수 블록을 하나의 커다란 논리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각 주파수 블록의 대역폭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블록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주파수 블록은 콤포넌트 캐리어(CC) 또는 셀(Cell)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ed)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eNB)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4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서치(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30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서치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서치를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2).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03 내지 단계 S306).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전송하고(S303 및 S305),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04 및 S306).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307)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308)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PDCCH를 통하여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한다. 여기서 DCI는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포맷이 서로 다르다.
한편,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상향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32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 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2048)=3.2552×1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7(또는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정규 CP(normal cyclic prefix)의 경우에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에 따라 처음 1 내지 3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영역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13 내지 11개의 OFDM 심볼은 데이터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 할당되는 제어 채널로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이 있다.
PDCCH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서 서브프레임의 처음 n개의 OFDM 심볼에 할당된다. 여기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서 PCFICH에 의해 지시된다. PDCCH는 전송 채널인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할당과 관련된 정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HARQ 정보 등을 각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게 알려준다.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는 PDSCH를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제어 정보 또는 특정한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PDSCH를 통해서 데이터를 각각 전송 및 수신한다.
PDSCH의 데이터가 어떤 단말(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에게 전송되는 것이며, 상기 단말들이 어떻게 PDSCH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decoding)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 등은 PDCCH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예를 들어, 특정 PDCCH가 "A"라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로 CRC 마스킹(masking)되어 있고, "B"라는 무선자원(예, 주파수 위치) 및 "C"라는 DCI 포맷 즉, 전송 형식 정보(예, 전송 블록 사이즈, 변조 방식, 코딩 정보 등)를 이용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특정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셀 내의 단말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RNTI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영역에서 PDCCH를 모니터링, 즉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A" RNTI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단말이 있다면, 상기 단말들은 PDCCH를 수신하고, 수신한 PDCCH의 정보를 통해 "B"와 "C"에 의해 지시되는 PDSCH를 수신한다.
또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제어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는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중간 부분이 PUSCH에 할당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데이터 영역의 양측 부분이 PUCCH에 할당된다. PUCCH 상에 전송되는 제어정보는 HARQ에 사용되는 ACK/NACK,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MIMO를 위한 RI(Rank Indicator),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인 SR(Scheduling Request) 등이 있다.
중계기
중계기는 고속 데이터 레이트 커버리지의 확대, 그룹 이동성의 향상, 임시 네트워크 배치, 셀 경계 처리율의 향상, 새로운 영역에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등의 목적을 위하여 도입될 수 있다.
도 6은 중계기를 지원하는 E-UTRAN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서 MME/S-GW와 기지국(또는 도너 기지국)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에 대해서는 상기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중계기 노드(RN)는 기지국((e)NB)과 단말(UE) 사이의 송수신을 전달(forwarding)하는 역할을 하며, 각각의 반송파 주파수 대역에 속성이 상이한 두 종류의 링크(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가 적용된다. 백홀 링크는 중계기와 기지국(예를 들어, 도너 기지국(D(e)NB)) 사이의 링크이며, X2 및/또는 Un 레퍼런스 포인트를 포함한다. 액세스 링크는 중계기와 단말(UE) 사이의 링크이며 Uu 레퍼런스 포인트를 포함한다. 중계기는 D(e)NB를 통하여 네트워크와 접속될 수 있고, D(e)NB와 중계기 간에 S1 레퍼런스 포인트가 존재할 수 있다.
중계기(RN)는 기지국(D(e)NB)에 대해서는 단말(즉, 중계기 타입의 UE)로서 동작하고, 중계기(RN)가 서빙하는 단말(UE)에 대해서는 기지국((e)NB)으로서 동작한다. D(e)NB는 중계기(RN)를 서비스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추가 기능을 필요로 한다. D(e)NB는 중계기가 액세스 하는 경우에 재설정(reconfiguration) 작업을 통해서 중계기에게 필요한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전용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6(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은 UE1을 서빙하는 기지국이며 UE1으로의 하향링크 및 UE1으로부터의 상향링크를 통해서 UE1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매크로 기지국은 중계기(Relay)에 대해서는 도너 기지국(D(e)NB)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너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에는 백홀 하향링크 및 백홀 상향링크를 통해서 통신이 수행되며, 중계기와 UE2 사이에는 액세스 하향링크 및 액세스 상향링크를 통해서 통신이 수행된다.
기지국에는 상향링크 수신 및 하향링크 전송의 기능이 요구되고, 단말에게는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수신의 기능이 요구되지만, 중계기에는 기지국으로의 백홀 상향링크 전송,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하향링크 수신 및 단말로의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의 기능이 모두 요구된다.
중계기의 대역(또는 스펙트럼) 사용과 관련하여, 백홀 링크가 액세스 링크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인-밴드(in-band)'라고 하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아웃-밴드(out-band)'라고 한다. 인-밴드 및 아웃-밴드 경우 모두에서 기존의 LTE 시스템(예를 들어, 릴리즈-8)에 따라 동작하는 단말(또는 레거시(legacy) 단말)이 도너 셀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
중계기가 인-밴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시간-주파수 공간에서의 일부 자원이 백홀 링크를 위해 예비되어야 하고 이 자원은 액세스 링크를 위해서 사용되지 않도록 설정(configure)할 수 있다. 이를 자원 분할(resource partitioning)이라 한다.
중계기에서의 자원 분할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백홀 하향링크 및 액세스 하향링크가 하나의 반송파 주파수 상에서 시간분할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즉, 특정 시간에서 백홀 하향링크 또는 액세스 하향링크 중 하나만이 활성화된다). 유사하게, 백홀 상향링크 및 액세스 상향링크는 하나의 반송파 주파수 상에서 TDM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즉, 특정 시간에서 백홀 상향링크 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중 하나만이 활성화된다).
인-밴드 중계기의 경우에, 예를 들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하향링크 수신과 단말로의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중계기의 송신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중계기의 수신단에서 수신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계기의 RF 전단(front-end)에서 신호 간섭 또는 RF 재밍(jamming)이 발생할 수 있다. 유사하게,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상향링크의 수신과 기지국으로의 백홀 상향링크의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중계기의 RF 전단에서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기에서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시 송수신은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간에 충분한 분리(예를 들어,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를 지리적으로 충분히 이격시켜(예를 들어, 지상/지하에) 설치함)가 제공되지 않으면 구현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신호 간섭의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 방안은, 중계기가 도너 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동작하게 하는 것이다. 즉, 중계기로부터 단말로의 전송에 갭(gap)을 생성하고, 이 갭 동안에는 단말(레거시 단말 포함)이 중계기로부터의 어떠한 전송도 기대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 1 서브프레임(1010)은 일반 서브프레임으로서 중계기로부터 단말로 하향링크 (즉, 액세스 하향링크) 제어신호 및 데이터가 전송되고, 제 2 서브프레임(1020)은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1021)에서는 중계기로부터 단말로 제어 신호가 전송되지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영역(1022)에서는 중계기로부터 단말로 아무런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다. 여기서, 레거시 단말의 경우에는 모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의 전송을 기대하게 되므로 (다시 말하자면, 중계기는 자신의 영역 내의 레거시 단말들이 매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수신하여 측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으므로), 레거시 단말의 올바른 동작을 위해서는 모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기로의 하향링크 (즉, 백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 (제 2 서브프레임(1020))상에서도, 서브프레임의 처음 N (N=1, 2 또는 3) 개의 OFDM 심볼구간에서 중계기는 백홀 하향링크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을 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 2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1021)에서 PDCCH가 중계기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므로 중계기에서 서빙하는 레거시 단말에 대한 역방향 호환성이 제공될 수 있다. 제 2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영역(1022)에서는 중계기로부터 단말로 아무런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원 분할 방식을 통해서, 인-밴드 중계기에서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과 백홀 하향링크 수신이 동시에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MBSFN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제 2 서브프레임(102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MBSFN 서브프레임은 원칙적으로 MBMS(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를 위한 서브프레임이며, MBMS는 여러 셀에서 동시에 동일한 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제 2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1021)은 중계기 비-청취(non-hearing)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중계기 비-청취 구간은 중계기가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액세스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이 구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1, 2 또는 3 OFDM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중계기 비-청취 구간(1021)에서 중계기는 단말로의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고 나머지 영역(1022)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중계기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송수신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중계기가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데에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백홀 하향링크 수신 영역(1022)의 처음 일부 구간에서 중계기가 송신/수신 모드 스위칭을 하도록 가드 시간(GT)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유사하게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하향링크를 수신하고 단말로의 액세스 하향링크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경우에도, 중계기의 수신/송신 모드 스위칭을 위한 가드 시간(GT)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드 시간의 길이는 시간 영역의 값으로 주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k (k≥1) 개의 시간 샘플(time sample, Ts) 값으로 주어질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 길이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중계기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연속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또는 소정의 서브프레임 타이밍 정렬(timing alignment) 관계에 따라서,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부분의 가드시간은 정의되거나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가드 시간은 역방향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전송을 위해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만 정의될 수 있다 (액세스 하향링크 구간에서 가드 시간이 설정되는 경우에는 레거시 단말을 지원할 수 없다). 가드 시간을 제외한 백홀 하향링크 수신 구간 (1022) 에서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PDCCH 및 PDSCH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영역(도 7의 전송 갭)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기로 전송되는 PDCCH를 기존의 PDCCH와 구별하기 위하여 R-PDCCH(Relay-PDCCH)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중계기(mobile relay)는, 일반적인 중계기와 마찬가지로 매크로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중계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동 수단(예를 들어, 개인차량, 버스, 기차 등)에 장착되는 중계기, 또는 이동성을 가지는 어떤 단말(UE)이 다른 단말에 대해서 중계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가 이동 중계기의 예시일 수 있다. 이동 중계기가 도입되는 경우, 중계기와 중계기에 의해서 서비스를 받는 단말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중계기가 이동함에 따라서 중계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예를 들어, D(e)NB)이 변경될 수 있고, 중계기의 이동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근접 서비스(ProSe)
본 발명에서는 3GPP EPS(Evolved Packet System)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ProSe) 또는 D2D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최근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의 증가로 인해, 물리적으로 가까운 거리의 사용자들/장치들 사이의 검출(detect)/발견(discovery)및 특별한 애플리케이션/서비스(즉, 근접성-기반 애플리케이션/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3GPP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이러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ProSe에 대한 가능한 용례(use case) 및 시나리오와, 가능한 서비스 요건(service requirement)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이다.
ProSe의 가능한 용례는 상업적/소셜 서비스, 네트워크 오프로드, 공공 안전(Public Safety), 기존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서비스의 통합(이는 도달성(reachability) 및 이동성(mobility) 측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E-UTRAN 커버리지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서의 공공 안전(이 경우, 특정 지역의 규제 및 사업자 정책에 부합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공공-안전을 위해 지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 및 특정 단말들로 제한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에 대한 용례들 및 가능한 요건이 논의 중이다.
특히 3GPP에서 진행중인 ProSe에 대한 논의의 범위는, 근접성-기반 애플리케이션/서비스는 LTE 또는 WLAN을 경유하여 제공되고, 사업자/네트워크의 제어를 받아서 장치들 간의 발견 및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한다.
도 8은 EPS에서 두 UE가 통신하는 기본적인 데이터 경로(default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8은 UE-1과 UE-2 사이의 ProSe가 적용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의 UE-1과 UE-2 간의 데이터 경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기본적인 경로는 기지국(즉, eNodeB 또는 Home eNodeB) 및 게이트웨이 노드들(즉, EPC 또는 사업자 망)를 거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1과 UE-2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에, UE-1으로부터의 데이터는 eNodeB-1, S-GW/P-GW, eNodeB-2를 거쳐서 UE-2에게 전달되고, 마찬가지로 UE-2로부터의 데이터는 eNodeB-2, S-GW/P-GW, eNodeB-1을 거쳐 UE-1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UE-1과 UE-2가 서로 다른 eNodeB에 캠프-온(camp-on) 한 것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동일한 eNodeB에 캠프-온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두 UE가 동일한 S-GW 및 P-GW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다양한 조합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즉, 동일한 S-GW 그리고 서로 다른 P-GW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른 S-GW 그리고 동일한 P-GW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른 GW 그리고 서로 다른 P-GW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데이터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쳐 데이터 경로(즉, infrastructure path 또는 infrastructure data path 또는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path)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프라스트럭쳐 데이터 경로를 통한 통신을 인프라스트럭쳐 통신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9는 ProSe에 기반한 두 UE 간의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 (direct mode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직접 모드 통신 경로는 기지국(즉, eNodeB 또는 Home eNodeB) 및 게이트웨이 노드들(즉, EPC)를 거치지 않는다.
도 9(a)는 UE-1과 UE-2가 각각 다른 eNodeB(즉, eNodeB-1 및 eNodeB-2)에 캠프-온(camp-on) 하고 있으면서 직접 모드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9(b)는 동일한 eNodeB(즉, eNodeB-1)에 캠프-온 하고 있는 UE-1과 UE-2가 직접 모드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한편,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경로는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이나 게이트웨이 노드를 거치지 않고 UE 간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지만, 제어 평면 경로는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를 거쳐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어 평면 경로를 통하여 교환되는 제어 정보는, 세션 관리, 인증 (authentication), 권한검증(authorization), 보안, 과금 등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도 9(a)의 예시에서와 같이 상이한 eNodeB들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의 ProSe 통신의 경우에, UE-1에 대한 제어 정보는 eNodeB-1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예를 들어, MME)와 교환될 수 있고, UE-2에 대한 제어 정보는 eNodeB-2를 거쳐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예를 들어, MME)와 교환될 수 있다. 도 9(b)의 예시에서와 같이 동일한 eNodeB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의 ProSe 통신의 경우에, UE-1 및 UE-2에 대한 제어 정보는 eNodeB-1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예를 들어, MME)와 교환될 수 있다.
도 10은 ProSe에 기반한 두 UE 간의 로컬 라우팅 방식 데이터 경로(locally-routed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예시에서와 같이 UE-1과 UE-2 간의 ProSe 통신 데이터 경로는 eNodeB-1을 거쳐서 형성되지만, 사업자가 운영하는 게이트웨이 노드(즉, EPC)를 거치지는 않는다. 한편, 제어 평면 경로는, 도 10과 같이 동일한 eNodeB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의 로컬 라우팅 방식 데이터 경로가 구성되는 경우에, UE-1 및 UE-2에 대한 제어 정보는 eNodeB-1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예를 들어, MME)와 교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통신 경로를 직접 데이터 경로, ProSe를 위한 데이터 경로, ProSe 기반 데이터 경로, 또는 ProSe 통신 경로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접 데이터 경로를 통한 통신을, 직접 통신, ProSe 통신, 또는 ProSe 기반 통신이라고 칭할 수 있다.
UE-Relay 기술
도 11은 UE-Relay에 대한 두 가지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UE-R(UE-Relay)이 E-UTRAN 커버리지에 속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1(b)는 UE-R이 E-UTRAN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a)의 UE-R은 UE-to-Network relay 타입(점선으로 표시된 통신 경로) 또는 UE-to-UE relay 타입(실선으로 표시된 통신 경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1(b)의 UE-R은 UE-to-UE relay 타입에만 해당한다. UE-to-UE relay는 두 개의 단말이 직접 통신을 하는 경우 중간에서 UE-R이 중계해주는 것을 의미하고, UE-to-Network relay는 UE와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e)NB) 간의 통신을 UE-R이 중계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UE가 중계기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UE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추가적인 전력 소모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중계 통신 동작 (즉, 다른 두 개체 간의 통신을 전달하는 동작), 중계기를 필요로 하는 단말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중계기 캐퍼빌리티 알림(relay capability announcement)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전력 소모가 필요하다.
3GPP 표준화 회의를 통해서 UE-Relay 활성화 타입(UE-Relay activation type)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는 공공 안전(Public Safety)을 위해서만 UE-Relay가 사용되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다만, 향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서 공공 안전 이외의 서비스를 위해서도 UE-Relay가 도입되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논의된 UE-Relay 활성화 타입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공공 안전을 위한 통신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서, 중계기 캐퍼빌리티를 가지는 공공 안전 ProSe UE는 UE-relay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UE-to-UE relay 또는 UE-to-Network relay 중의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계기 발견(Relay discovery) 기능 및 중계기 공공 안전 ProSe 통신(Relay Public safety ProSe communication) 기능이 사용될 수 있다.
UE가 UE-relay로서 동작하게 되면, UE-relay는 중계기 발견 과정 및 중계기 통신을 위해서 추가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배터리 수명의 제한으로 인하여, UE-relay의 중계기 기능은 필요한 경우에만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3 가지의 활성화 타입이 정의된다.
- 활성화 타입 1(중계기 발견을 수행하지 않음): 공공 안전 UE가 소스(source) UE와 활성화된 공공 안전 ProSe 통신을 가지는 경우라면 언제라도 중계기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활성화 타입의 중계기는, 통신을 위해서 중계기를 요구하는 공공 안전 UE가 없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활성화 타입은 긴급(emergency) 또는 높은 우선순위(high priority)가 필요한 통신에 보다 적합하다.
- 활성화 타입 2(중계기 발견에서 UE-relay가 모니터링 UE로서 동작함): 공공 안전 중계기의 발견을 요청하는 UE로부터의 알림(announcemen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중계기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된 공공 안전 ProSe 통신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언제라도, UE-relay는 자신의 중계기 기능을 즉시 활성화/비활성화(activate/deactivate)시킬 수 있도록, 중계기 발견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중계기를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보내는) UE를 위한 중계기 발견은 주기적으로 트리거(trigger)될 수도 있고, 또는 소스 UE와의 통신 범위에서 벗어나서 활성화된 공공 안전 ProSe 통신을 상실한 경우에 트리거(trigger)될 수도 있다.
- 활성화 타입 (중계기 발견에서 UE-relay가 알림을 보내는 UE로서 동작함): 공공 안전 중계기의 발견을 요청하는 UE로부터의 확인응답(acknowledgment)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UE-relay의 중계기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된 공공 안전 ProSe 통신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언제라도, UE-relay는 중계기 발견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주기적으로 알려야 한다. 이러한 활성화 타입을 가지는 UE-relay는 주변에 공공 안전 UE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계기 발견 알림을 위해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UE-relay로 설정된 공공 안전 UE는, 활성화 타입 2의 모니터링 UE이든지 또는 활성화 타입 3의 알림 UE이든지, 중계기 발견 과정을 주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을 주목해야 한다. 이에 의해서, UE-relay는 자신의 중계 통신 범위 내에 공공 안전 UE가 없는 경우에 공공 안전 ProSe 통신을 위한 중계기 기능을 비활성활지에 대해서 결정할 수 있다.
중계기 기능성 설정 방안
본 발명에서는 UE-relay에 대한 중계기 기능성(relay functionality)을 설정하는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UE-relay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서 신속하게 중계기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할 수 있고, 이러한 동작이 수행되는 조건(condition)을 설정 또는 조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UE의 중계기 기능의 활성화란, UE-relay로서 통신을 수행하기 전의 발견(discover) 또는 다른 UE가 UE-relay를 발견할 수 있도록 알리는(announce) 동작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UE-Relay는 UE-to-Network Relay 타입과 UE-to-UE Relay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계 통신을 위해서는 최적의 relay를 결정 또는 선택하는 것이 필요한데, 네트워크가 중계기 결정/선택을 할 수도 있고, 또는 UE가 자율적(autonomous)으로 중계기 결정/선택을 할 수도 있다.
도 12는 UE-to-Network relay로 동작하는 UE를 결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2의 예시에 대해서 네트워크가 UE-relay를 결정 또는 선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의 예시에서 타겟 UE가 eNB의 커버리지를 벗어나거나, 또는 타겟 UE와 eNB 사이의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이 소정의 기준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예를 들어, Radio Link Failure(RLF))에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eNB)는 적합한 UE를 결정/선택하여 타겟 UE를 위한 중계기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타겟 UE와 UE-relay 사이의 링크(또는 액세스 링크)의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 및/또는 UE-relay와 네트워크 사이의 링크(또는 백홀 링크)의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후보 UE(들)(cadidate UE(s)) 중에서 UE-relay로 동작할 UE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UE-relay 결정/선택의 기준이 되는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은 UE-relay의 위치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가 UE-relay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가 후보 UE(들)의 위치 및 후보 UE(들) 각각에 대한 신호 세기 등을 파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네트워크와 연결 모드(connected mode)에 있는 UE가 후보 UE가 될 수 있다. 즉, 유휴 모드(idle mode)에 있는 UE에 대해서는 네트워크가 해당 UE의 위치 또는 신호 세기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UE-relay의 후보 UE가 될 수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연결 모드에 있는 UE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필요한 UE이므로, 다른 UE를 위해서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중계 통신의 지연 또는 품질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또는 중계 통신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UE-relay 자신을 위한 통신의 지연 또는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전체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다른 통신을 수행하지 않고 있는 유휴 모드의 UE가 UE-relay로서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의 예시에 대해서 UE가 UE-relay를 결정 또는 선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의 예시에서 타겟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타겟 UE는 자신과 통신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주변 UE(들) 중에서 적합한 UE를 UE-relay로 결정 또는 선택하여 UE-to-Network relay 방식으로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타겟 UE는 중계 요청 신호(Relay Request Signal)를 주변 UE(들)에게 전송하여 이에 응답하는 UE를 UE-relay로서 결정/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중계기 캐퍼빌리티를 가진다고 알림(announcement)을 보내는 UE에게 중계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UE를 UE-relay로 결정/선택할 수도 있다.
도 13은 UE-to-UE relay로 동작하는 UE를 결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와 같이 소스(source) UE와 목적지(destination) UE가 직접 통신을 수행하다가, 도 13(b)와 같이 서로 거리가 멀어지는 등의 이유로 두 UE 사이의 통신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주변의 적합한 UE가 UE-relay로 동작함으로써 소스 UE와 목적지 UE 간의 UE-to-UE relay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3의 UE-to-UE relay를 위해서 네트워크가 UE-relay를 결정/선택함에 있어서, 소스 UE와 목적지 UE가 서로 다른 eNB에 의해서 서빙받는 경우라면, 소스 UE와 목적지 UE는 각각의 eNB에 대해서 연결 모드에 있어야 하고, 소스 UE와 목적지 UE의 위치 등에 대해서 각각의 eNB가 파악하고 있음은 물론 eNB 간에 UE 위치가 공유되어야 하는 등의 복잡한 시그널링이 요구될 수 있다.
도 12의 UE-to-Network Relay 방식이나 도 13의 UE-to-UE Relay 방식에 있어서, UE가 자율적으로 중계기를 결정/선택하는 경우에는, relay 가능한 UE(들)은 소스 UE 또는 목적지 UE가 보내는 중계기 요청을 모니터링해야 하거나, 또는 자신의 중계기 캐퍼빌리티를 주변 UE들에게 알려야 한다.
또한, 연결 모드에 있는 UE는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다른 UE로부터의 중계기 요청을 모니터링하거나 자신의 중계기 캐퍼빌리티를 알릴 수 있지만, 유휴 모드에 있는 UE는 소정의 시간 구간마다 깨어나서 중계기 요청 모니터링 또는 중계기 캐퍼빌리티 알림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중계기로서 기능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다른 UE에 의한 자율적인 중계기 결정/선택을 지원하기 위해서, 중계기 가능 UE(relay capable UE)가 다른 UE의 중계기 요청을 모니터링하거나 자신의 중계기 캐퍼빌리티를 알리는 동작을 수행한다면, 이는 해당 UE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유휴 모드에 있는 UE의 경우에는, 유휴 상태에서도 깨어나서 송수신 동작을 반복해야 하므로, 전력 소모의 문제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를 필요로 하는 UE가 없더라도, 중계기 가능 UE는 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유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UE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첫 번째로, UE-relay가 불필요한 상황에서는 중계기 가능 UE가 중계기 요청에 대한 모니터링 및/또는 중계기 캐퍼빌리티 알림 전송을 최소화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UE-relay가 필요한 상황인지를 파악하고, 만약 UE-relay가 불필요한 경우라고 결정하면, 중계기 가능 UE의 relay 기능을 비활성화하거나, 중계기 가능 UE가 중계기 요청에 대한 모니터링 및/또는 중계기 캐퍼빌리티 알림 전송을 수행하는 주기를 길게 하는 등의 방안이 적용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네트워크가 최적의 UE-relay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relay를 필요로 하는 UE를 위해서 네트워크가 최적의 UE-relay를 결정/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정의함으로써, 네트워크 전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안들에 대해서 네트워크가 트리거(또는 개시(initiate))하는 방안과 UE가 트리거(또는 개시)하는 방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네트워크가 트리거하는 방안
네트워크(예를 들어, eNB)가 주도하는(또는 보조(assist)하는) UE-relay 결정/선택의 경우에, 네트워크는 자신이 서빙하고 있는 UE의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이 감소하는 경우에 중계 통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합한 UE-relay를 발견 또는 탐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네트워크는 타겟 UE의 주변 지역에 위치하는 유휴 모드의 UE(들)(즉, UE-relay로 선택될 후보 UE(들))를 깨우기 위해서 전용 메시지(dedicated message)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등)에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신호(예를 들어, 시스템정보블록(SIB)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UE-relay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또는 이 대신에, 네트워크는 타겟 UE와 선택될 UE-relay 사이의 링크(또는 액세스 링크)의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 및/또는 선택될 UE-relay와 네트워크 사이의 링크(또는 백홀 링크)의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하는 유휴 모드의 UE(들)(즉, UE-relay로 선택될 후보 UE(들))를 깨우기 위해서 전용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에 또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UE-relay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용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또는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UE(즉, UE-relay 후보)는, UE-relay로서 동작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에게 자신의 상태(status)를 보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전용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또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UE-relay의 원하는 위치(desired location)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원하는 위치는 중계 통신에 대해 최적의 링크 품질(신호 세기)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UE-relay의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전용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또는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UE(즉, UE-relay 후보)는, 자신의 위치가 상기 원하는 위치와 근접 또는 일치하는 경우에만 깨어나서 UE-relay로서 동작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에게 자신의 상태(status)를 보고할 수 있다.
또한, 타겟 UE는 자신의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의 저하(degradation)를 인지하면, 자신의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는 타겟 UE 주변 위치, 또는 타겟 UE의 위치를 기반으로 UE-relay의 최적의 위치를 결정하여, UE-relay를 위한 전용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또는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타겟 UE와 UE-relay 사이의 링크(또는 액세스 링크)의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 및/또는 UE-relay와 네트워크 사이의 링크(또는 백홀 링크)의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이 소정의 임계치를 넘는 UE 만이 UE-relay로 동작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에게 자신의 상태(status)를 보고할 수 있도록,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에 대한 임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전용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또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들에서 UE-relay 후보(들)은, 타겟 UE 주변에 위치하며 연결 모드에 있는 UE, 유휴 모드에서 상기 전용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또는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UE를 포함할 수 있다. UE-relay 후보(들)은 네트워크에게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에) 자신의 상태(status) 및/또는 자신의 캐퍼빌리티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E-relay 후보(들)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한 네트워크는 그 중에서 최적의 UE를 UE-relay로 동작할 UE로 결정/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의 UE는 가장 높은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이 예상되는 UE일 수도 있고, 또는 UE의 부하(load)를 고려하여 최상의 처리율 성능이 예상되는 UE일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네트워크가 트리거하는 UE-relay 방안은, UE-relay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NB는 O&M(Operation and Maintenance), X2 시그널링 및/또는 S1 메시지를 통해 주변 eNB(또는 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B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변 셀의 부하(load) 정보, 또는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 및/또는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NB는 자신의 셀 커버리지를 확장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커버리지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eNB는 UE-Relay 활성화를 트리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NB는 셀 커버리지의 중심부가 아닌 일정 거리 이상에 위치한(즉, 셀 경계에 가까운) UE-Relay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만약 특정 방향으로의 커버리지 확장이 필요한 경우라면, eNB는 해당 방향에 위치한 UE-Relay 만을 선택해서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주변 eNB(또는 셀)이 정상 동작을 하거나, 새로운 eNB(또는 셀)이 활성화하여 커버리지 홀(hole)이 사라진 경우에는, 활성화되어 있는 UE-Relay를 비활성화시키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가 트리거하는 UE-relay 방안은, IOPS (Isolated E-UTRAN Operation for Public Safety)를 위해서 적용될 수도 있다. IOPS는 3GPP 표준화 회의를 통해 논의 중인 기술이며, 고립된(isolated) E-UTRAN 동작은 2 가지 예시를 포함한다. 첫 번째 예시는 eNB와 코어 네트워크와의 백홀 링크가 끊어진(disconnet) 경우이고, 두 번째 예시는 공공 안전을 위해서 특정 eNB가 노매딕(nomadic) eNB로 설정된 경우이다. 하나 이상의 eNB를 포함하는 eNB 그룹이 노매딕 eNB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eNB 그룹의 경계에 위치하는 eNB(또는 셀)은 그 커버리지 외곽에 위치하는 UE를 서비스하기 위해서 UE-Relay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UE가 트리거하는 방안
UE가 자율적으로(autonomously) 트리거하는(또는 개시하는) UE-relay 결정/선택의 경우에, UE-to-Network Relay의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커버리지 관련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그에 적합한 정보를 UE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eNB는 이웃 eNB(또는 셀)이 비활성화되거나 오동작하는 경우에, 해당 eNB는 셀 커버리지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전용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또는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통하여, 중계기 가능 UE에게 중계기 요청을 모니터링하거나 중계기 캐퍼빌리티를 알리도록 하는 활성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셀 중앙에 위치한 UE는 중계기로 동작할 필요성이 적기 때문에, UE와 eNB 사이의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이거나, UE와 eNB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네트워크는 중계기 기능을 인에이블링 또는 활성화하도록 하기 위해서,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에 대한 임계치 및/또는 거리에 대한 임계치에 대한 정보를 인에이블링/활성화 정보와 함께 UE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중계기 요청 모니터링 및/또는 중계기 캐퍼빌리티 알림을 수행하는 주기(period)에 대한 정보를 UE에게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지시하는 상기 주기가 짧은 경우에, 중계기 가능 UE가 중계기 요청을 모니터링하거나 중계기 캐퍼빌리티를 알리는 동작이 자주 수행되므로, 중계기를 필요로 하는 UE가 빠른 시간 내에 최적의 중계기를 찾을 수 있지만, 반면 중계기 가능 UE의 전력 소모가 늘어난다. 반대로, 네트워크가 지시하는 상기 주기가 짧은 경우에, 중계기 가능 UE가 중계기 요청을 모니터링하거나 중계기 캐퍼빌리티를 알리는 동작이 드물게 수행되므로, 중계기 가능 UE의 전력 소모는 줄어들지만, 중계기를 필요로 하는 UE가 최적의 중계기를 찾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어서 네트워크 전체의 처리율 성능은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고려하여, 네트워크는 현재 상황에 맞게 (즉, 중계기를 필요로하는 UE가 빠른 시간 내에 중계기를 선택하는 것이 우선시되는지, 또는 중계기 가능 UE가 최대한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동작하는 것이 우선시되는지에 따라) 상기 주기 값을 설정 및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UE는 자신이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내에서 링크 품질(또는 신호 세기) 저하로 인해 중계 통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로 보고하면서, 자신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에 의해서 해당 UE에게 적합한 UE-relay가 활성화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 가능 UE는 자신이 주변에서 수신한(또는 모니터링한) 중계기 요청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중계 통신을 요청하는 UE의 개수, 해당 UE의 위치 정보 등)을 수집하여, 수집된 정보를 네트워크로 보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에 의한 UE-relay 활성화 제어가 적절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
중계기 활성화를 위한 파라미터 및 설정 방안
표 2를 참조하여, 네트워크(예를 들어, eNB)가 UE-relay 활성화와 관련한 시그널링(예를 들어, 전용 메시지 또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는 파라미터를 정의 및 설정하는 방안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eNB는 UE-relay 활성화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UE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이하의 파라미터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표 2
파라미터 명칭 설명
알림 주기(Announcing period) UE-relay가 중계기 캐퍼빌리티를 알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주기.(만약 이 파라미터 값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디폴트 알림 주기가 사용되거나, 또는 UE가 알림 주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임계치(Threshold) 신호 세기에 대한 임계치.(만약 이 파라미터 값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디폴트 임계치가 사용되거나, 또는 임계치를 고려하지 않고 UE-relay 활성화가 지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 UE의 위치. 이 파라미터 값에 기초하여 결정된 영역에 존재하는 UE가 UE-relay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표 2의 "알림 주기" 파라미터와 관련하여, 알림 주기가 길면 UE의 전력 소모는 줄어들지만 다른 UE가 UE-relay를 발견하는 시간이 늦어져 상기 다른 UE의 서비스 끊김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알림 주기가 짧으면 UE의 전력 소모는 증가하지만 다른 UE가 UE-relay를 발견하는 시간도 빨라져 상기 다른 UE에 대한 서비스 유지 또는 보다 신속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상기 알림 주기는 중계기 요청 모니터링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중계기 요청 모니터링 주기는 상기 알림 주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중계기의 활성화 타입에 따라서 알림 동작을 수행하거나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므로, 이를 통칭하기 위해서 상기 알림 주기는 중계기의 활성화 주기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표 2의 "임계치"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참조신호수신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참조신호수신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임계치 파라미터는 UE-relay와 네트워크 사이의 링크 품질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으로 유지되는 UE들만이 UE-relay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임계치 파라미터는 UE-relay와 네트워크 사이의 링크 품질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으로 낮아지는 경우에, UE-relay의 주변 UE에게 중계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UE-relay가 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값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임계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UE들을 UE-relay로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임계치 값을 높게 설정하면 셀 중심에 가까운 UE들이 UE-relay로서 동작(또는 UE-relay의 캐퍼빌리티를 알리는 동작)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임계치 값을 낮게 설정하면 셀 경계에 가까운 UE들이 UE-relay로서 동작(또는 UE-relay의 캐퍼빌리티를 알리는 동작)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eNB는 셀 내의 커버리지 홀의 존재 유무, 그 위치, 셀 커버리지의 크기, 이웃 셀의 상태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중계기가 필요한 위치를 결정하고, 해당 위치에 가깝게 존재하는 UE들이 UE-relay로서 활성화 또는 알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임계치 파라미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 2의 "위치 정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eNB(또는 셀)의 특정 영역에 위치한 UE들만을 UE-relay로서 활성화시킬 수 있다. UE를 서빙하는 eNB가 특정 위치의 주변 셀이 비활성화 또는 오동작하고 있음을 파악한 경우, 해당 주변 셀의 위치에 근접한 UE에게 UE-relay로서 동작(또는 UE-relay의 캐퍼빌리티를 알리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해서, 상기 위치 정보 파라미터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특정 UE가 중계 통신(또는 중계기 서비스)이 필요하다고 eNB에게 알리는 경우, eNB는 해당 UE와 eNB 사이의 최적의 위치에 존재하는 UE를 UE-relay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위치 정보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 eNB가 UE(또는 UE-relay)에게 전송하는 전용 메시지가 페이징 메시지인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eNB가 UE(또는 UE-relay)에게 전송하는 어태치 응답 메시지, 트래킹영역업데이트(TAU)/라우팅영역업데이트(RAU) 응답 메시지 등의 다른 형태의 전용 메시지도 본 발명의 예시들에 적용될 수 있다.
표 3을 참조하여, 중계 통신(또는 중계기 서비스)을 요청하는 UE가 네트워크(예를 들어, eNB)에게 전송하는 시그널링에 포함시킬 수 있는 파라미터를 정의 및 설정하는 방안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중계 통신(또는 중계기 서비스)를 필요로하는 UE는 단순히 그 필요성을 나타내는 정보만을 포함하는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이하의 파라미터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표 3
파라미터 명칭 설명
지급성(Urgency) UE가 중계 통신을 필요로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 UE의 위치 정보.
요구 자원/처리율(required resource/throughput) UE가 필요로 하는 자원의 양 및/또는 필요로 하는 처리율.
상기 표 3에서 "지급성" (또는 "시급성")파라미터는, 어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관련하여 중계 통신을 필요로 하는 것인지, 또는 중계 통신을 필요로 하는 UE의 가입 클래스(subscription class) 등을 반영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파라미터의 값은, eNB가 UE-relay 활성화 시그널링에 포함시키는 주기 파라미터, 임계치 파라미터 등을 설정하는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 3에서 "위치 정보" 파라미터는, 중계 통신을 필요로 하는 UE의 위치 정보를 의미하며, GPS 정보 등을 이용하여 UE의 위치를 표현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의 값은, eNB가 UE-relay 활성화 시그널링에 포함시키는 위치 파라미터, 임계치 파라미터 등을 설정하는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 3에서 "요구 자원/처리율" 파라미터는, 중계 통신을 필요로 하는 UE가 요구하는 자원의 양 및/또는 처리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표 4를 참조하여, UE-relay를 지원할 수 있는 후보 UE가 네트워크(예를 들어, eNB)에게 전송하는 시그널링에 포함시킬 수 있는 파라미터를 정의 및 설정하는 방안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중계 통신(또는 중계기 서비스)을 수행하고 있는 UE-relay 또는 중계기 가능 UE가 eNB에게 이하의 파라미터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표 4
파라미터 명칭 설명
부하 정보(Load Information) UE-relay의 부하를 나타내는 값.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 UE-relay의 위치 정보.
중계기 요청 UE 통계(statistics of relay requesting UE) 중계 통신을 요청하는 UE의 개수, 또는 소정의 임계치를 넘었다는 지시.
상기 표 4에서 "부하 정보" 파라미터는, 중계기로 동작하는 UE-relay가 다른 통신(예를 들어, UE-relay 자신과 네트워크 간의 통신 및/또는 UE-relay가 제공하는 위한 중계 통신)을 위해서 처리하고 있는 부하의 정도를 나타낸다. 이 파라미터의 값은, 중계 통신(또는 중계기 서비스)을 요청하는 UE 주변에 위치하는 중계기 가능 UE가 다수개인 경우, 그 중에서 적합한 UE-relay를 결정/선택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 4에서 "위치 정보" 파라미터는 UE-relay의 위치 정보를 의미하며, GPS 정보 등을 이용하여 UE의 위치를 표현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의 값은, eNB가 UE-relay (또는 UE-relay 후보)의 상황을 파악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계 통신을 요청하는 UE의 위치 정보와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 UE-relay를 결정/선택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 4에서 "중계기 요청 UE 통계" 파라미터는, UE-relay의 주변에서 중계 통신(또는 중계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UE의 개수 자체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그 개수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파라미터의 값은, eNB가 UE-relay 활성화를 위한 임계치 값을 조정하거나(예를 들어, 낮추거나), UE-relay로 활성화시킬 UE의 개수를 조정(예를 들어, 더 많은 UE-relay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UE-relay 관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1410에서 eNB는 타겟 UE에 대해서 중계 통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중계 통신(또는 중계기 서비스)을 필요로 하는 상기 타겟 UE로부터의 요청(예를 들어, 상기 표 3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 상기 타겟 UE의 상태(예를 들어, eNB의 커버리지를 벗어나거나, 링크 품질이 저하되는지 여부), 및/또는 주변 셀의 상황에 대한 정보(이는 다른 UE(들)로부터,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른 eNB/셀로부터, 또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공될 수 있음)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타겟 UE에 대해서 중계 통신(또는 중계기 서비스)이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타겟 UE를 위해서 UE-relay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UE-relay가 적합한 경우에는 그 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UE-relay의 활성화 동작의 주기(예를 들어, 중계기 캐퍼빌리티 알림 주기, 주변의 중계기 요청 모니터링 주기 등)를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등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타겟 UE에 대해서 중계 통신(또는 중계기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하는 경우,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UE-relay를 비활성화시키거나, UE-relay의 활성화 동작의 주기(예를 들어, 중계기 캐퍼빌리티 알림 주기, 주변의 중계기 요청 모니터링 주기 등)를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타겟 UE를 위하여 UE-relay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UE-relay에 대한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계 S1420에서 eNB는 상기 타겟 UE에 대해서 중계 통신(또는 중계기 서비스)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E-relay 후보에게 UE-relay 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는 전용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 어태치 응답 메시지, TAU/RAU 응답 메시지 등) 또는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에는 상기 표 2의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430에서 상기 활성화 메시지에 의해서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UE-relay 후보가 UE-relay로서 활성화될 수 있다.
어떤 UE가 UE-relay로서 활성화된다는 것은, eNB로부터의 활성화 메시지에 따라서 바로 상기 타겟 UE를 위하여 UE-relay로서 동작하는 것(즉, 중계 통신을 시작하는 것), UE-relay가 자신의 중계기 캐퍼빌리티를 알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즉, 주변의 UE들(상기 타겟 UE를 포함할 수 있음)이 UE-relay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일 수도 있고, 또는 UE-relay가 주변의 UE의 중계기 요청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즉, 주변에서 UE-relay를 필요로 하는 UE들(상기 타겟 UE를 포함할 수 있음)을 발견하는 동작)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relay의 활성화 타입에 따라서 이러한 동작 중의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440에서 타겟 UE는 eNB와 UE-relay를 통해서 중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eNB가 타겟 UE, UE-relay (또는 UE-relay 후보(들)), 다른 eNB/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중계기 통신(또는 중계기 서비스) 필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에서 설명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도 14에서 예시하는 모든 단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14에서 예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노드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송수신모듈(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모듈(110)은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단말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단말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200)는, 송수신모듈(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모듈(210)은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 장치(20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지국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기지국 장치(200)가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지국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단말 장치(100) 및 기지국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서 중계기를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타겟 사용자기기(UE)에 대한 중계 통신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에게 중계기 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에 대한 활성화 주기, 위치, 또는 신호 세기의 임계치 중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중계기가, 상기 타겟 UE를 위한 중계기로서 활성화되는, 중계기 지원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통신 필요 여부는,
    상기 타겟 UE로부터의 요청, 상기 타겟 UE의 상태 정보, 또는 주변 셀의 상황 정보에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중계기 지원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UE로부터의 요청은,
    상기 중계 통신 필요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타겟 UE의 위치 정보, 상기 타겟 UE에 의해 요구되는 자원의 양을 나타내는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중계기 지원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UE의 상태 정보는,
    상기 타겟 UE에 대한 거리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타겟 UE에 대한 링크 품질에 대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중계기 지원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셀의 상황 정보는,
    상기 주변 셀의 부하 정보, 또는 상기 주변 셀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셀의 상황 정보는, 상기 타겟 UE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UE, 다른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공되는, 중계기 지원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의 각각에게 전송되는 전용 메시지,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에게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인, 중계기 지원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이동 중계기, 또는 UE-relay인, 중계기 지원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가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주기, 위치, 또는 신호 세기의 임계치 중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중계기 활성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타겟 사용자기기(UE)를 위한 중계기로서의 활성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활성화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타겟 UE를 위하여 중계 통신을 시작하는 것을 포함하는, 중계기 동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의 중계기 캐퍼빌리티를 알리는 신호를 주변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중계기 동작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 주변의 단말로부터의 중계기 요청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중계기 동작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중계기 관련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중계기의 부하 정보, 상기 중계기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중계기 주변의 중계기 요청 UE에 대한 통계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중계기 동작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이동 중계기, 또는 UE-relay인, 중계기 동작 방법.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를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타겟 사용자기기(UE)에 대한 중계 통신 필요 여부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에게 중계기 활성화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활성화 메시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에 대한 활성화 주기, 위치, 또는 신호 세기의 임계치 중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후보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중계기가, 상기 타겟 UE를 위한 중계기로서 활성화되는, 중계기 지원 기지국 장치.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중계기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활성화 주기, 위치, 또는 신호 세기의 임계치 중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중계기 활성화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타겟 사용자기기(UE)를 위한 중계기로서의 활성화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중계기 장치.
PCT/KR2014/007618 2013-08-18 2014-08-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5026111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12,572 US9853709B2 (en) 2013-08-18 2014-08-18 Repeater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167003839A KR101769387B1 (ko) 2013-08-18 2014-08-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CN201480045773.XA CN105474558B (zh) 2013-08-18 2014-08-18 无线通信系统中的中继器操作方法和设备
US15/819,091 US10298314B2 (en) 2013-08-18 2017-11-21 Repeater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67134P 2013-08-18 2013-08-18
US61/867,134 2013-08-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912,572 A-371-Of-International US9853709B2 (en) 2013-08-18 2014-08-18 Repeater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5/819,091 Continuation US10298314B2 (en) 2013-08-18 2017-11-21 Repeater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6111A1 true WO2015026111A1 (ko) 2015-02-26

Family

ID=5248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7618 WO2015026111A1 (ko) 2013-08-18 2014-08-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853709B2 (ko)
KR (1) KR101769387B1 (ko)
CN (1) CN105474558B (ko)
WO (1) WO2015026111A1 (ko)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6171A1 (en) * 2015-02-26 2016-09-01 N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WO2016163809A1 (ko) * 2015-04-10 2016-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6163767A1 (ko) * 2015-04-07 2016-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6178554A1 (ko) * 2015-05-05 201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ops 모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160173A3 (en) * 2015-03-27 2016-11-10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service signaling protocol
CN106162511A (zh) * 2015-04-08 2016-11-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d2d中继节点的确定、使用方法及装置
CN106303902A (zh) * 2015-05-15 2017-01-0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执行设备到设备发现过程及检测用户设备的方法及装置
WO2017003161A1 (en) * 2015-06-29 2017-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of user equipment
WO2017004720A1 (en) 2015-07-08 2017-01-12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ue-to-network relay
WO2017007104A1 (ko) * 2015-07-07 201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V2x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단말
WO2017010767A1 (ko) * 2015-07-12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26872A1 (ko) * 2015-08-13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모트 ue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43854A1 (ko) * 2015-09-07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52342A1 (ko) * 2015-09-24 2017-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모트 프로세(remote prose)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망에서의 합법적 감청 지원 방안
WO2017091011A1 (ko) * 2015-11-24 2017-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셀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US9930591B2 (en) 2015-03-02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31087B2 (en) 2015-08-07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EP3376820A4 (en) * 2015-11-06 2019-05-22 Kyocera Corporation USER DEVICE, PROCESSOR AND NETWORK DEVICE
JP2019519163A (ja) * 2016-06-21 2019-07-04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CN110603884A (zh) * 2017-03-24 2019-12-20 摩托罗拉移动有限责任公司 使用系统参数确定时频资源
EP3432655A4 (en) * 2016-04-05 2020-01-01 LG Electronics Inc. -1-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RELAY TERMINAL
EP3627723A1 (en) * 2015-07-24 2020-03-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prose relay ue activation
TWI721968B (zh) * 2015-03-27 2021-03-21 美商高通公司 對鄰近性服務中繼的選擇
WO2021120144A1 (en) * 2019-12-20 2021-06-24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between user equipment
US11212708B2 (en) 2017-02-03 2021-12-28 Sony Corporation Relay communication device, base st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382005B2 (en) 2017-03-20 2022-07-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session and SMF n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2438B2 (en) * 2013-11-01 2018-11-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odifying relay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JP5750523B1 (ja) * 2014-02-17 2015-07-22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制御装置、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GB2532492A (en) * 2014-11-21 2016-05-25 Ibm A broker servic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CN105682019B (zh) * 2014-11-21 2020-10-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预警方法及系统
US10021620B2 (en) * 2015-02-10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Relay signaling between UE and network
US10674425B2 (en) * 2015-03-31 2020-06-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relay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517033B2 (en) * 2015-04-07 2019-12-24 Blackberry Limited Switching between network based and relay based operation for mission critical voice call
US10433339B2 (en) 2015-04-14 2019-10-01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for low latency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6182597A1 (en) * 2015-05-14 2016-11-17 Intel IP Corporation Ue-to-network relay initiation and configuration
WO2017003405A1 (en) * 2015-06-30 2017-01-05 Intel Corporation Proxy coordinated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ion for vehicular environments
EP3326423B1 (en) 2015-07-23 2024-04-17 Apple Inc. Layer 2 relay protocols and mobility relay method
EP3328153B1 (en) * 2015-08-14 2023-05-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to-device (d2d)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17095294A1 (en) 2015-12-01 2017-06-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nouncement for application aware scheduling
CN108605263B (zh) 2016-03-18 2022-03-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设备到设备的通信方法和终端
WO2018006253A1 (zh) * 2016-07-04 2018-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链路失败处理方法、相关设备及通信系统
CN108055708A (zh) * 2016-09-05 2018-05-18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资源释放方法和装置
US9867007B1 (en) 2016-11-29 2018-01-0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Fine distance determination for user equipment (UE) that are served by wireless repeater chains
CN110235514A (zh) * 2017-01-31 2019-09-13 华为技术有限公司 支持本地化无线通信业务的基站和通信设备
CN108540196A (zh) * 2017-03-03 2018-09-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及装置
WO2018166579A1 (en) * 2017-03-13 2018-09-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nomadic relay node deployment
CN108632919A (zh) * 2017-03-23 2018-10-09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8170858A1 (zh) * 2017-03-23 2018-09-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寻呼方法和寻呼装置
US10979985B2 (en) * 2017-03-31 2021-04-13 Convida Wireless, Llc Terminal and relay devices, base station and methods
TW201838471A (zh) * 2017-03-31 2018-10-16 日商索尼股份有限公司 通訊裝置、基礎建設設備與方法
US20210266864A1 (en) * 2017-05-04 2021-08-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aging method and apparatus
US11770769B2 (en) * 2017-05-12 2023-09-26 Sony Group Corporation Wake-up signal transmission on relaying links
CN110087340B (zh) * 2018-01-25 2024-04-0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中继传输的方法及设备
US11350364B2 (en) 2017-07-31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on information, and methods and devices for relaying transmission
PT3525517T (pt) * 2018-02-12 2021-01-27 Curvalux Uk Ltd Rede multissalto de taxa elevada com formação de feixe
US10778322B2 (en) * 2018-05-14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configuring mode of operation for a prose enabled user equipment
US11490321B2 (en) * 2018-05-23 2022-11-01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haul link selection
CN112567784B (zh) * 2018-08-07 2024-04-02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节点以及无线通信方法
WO2020153880A1 (en) * 2019-01-21 2020-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vision of radio cover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serv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0756767B1 (en) 2019-02-05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WO2020163133A1 (en) * 2019-02-05 2020-08-13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US11848898B2 (en) 2019-03-12 2023-12-19 Qualcomm Incorporated UE with an integrated repeater function
CN109890014A (zh) * 2019-04-03 2019-06-14 成都中科微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终端直接通信的电力无线专网的中继传输方法
US11356943B2 (en) * 2019-08-27 2022-06-07 Qualcomm Incorporated Smart directional repeater initialization
CN110662195B (zh) * 2019-08-28 2020-11-03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指挥车的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1438820B2 (en) * 2019-09-16 2022-09-06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determination between relays
CN114616865B (zh) * 2019-11-08 2025-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1120038A1 (zh) * 2019-12-18 2021-06-2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无人机的控制方法、装置、无人机及存储介质
EP4079061A1 (en) * 2019-12-19 2022-10-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aging remote ue using a relay
CN113038566B (zh) * 2019-12-25 2023-04-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路径选择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3133080B (zh) * 2020-01-15 2023-04-2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中继设备的选择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EP4111746A4 (en) * 2020-02-29 2024-02-28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RELAY SELECTION AND RESELECTION TECHNIQUES
KR102517319B1 (ko) 2020-06-29 2023-04-03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무선 링크 실패를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2025665A1 (ko) * 2020-07-29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릴레이 ue 선택에 관련된 동작 방법
US11641587B2 (en) 2021-03-10 2023-05-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ation optimiz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1723097B2 (en) 2021-09-21 2023-08-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aptiv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witching
EP4424091A4 (en) * 2021-11-26 2025-02-05 Zte Corp SERVICE CONTINUITY OF A SIDELINK RELAY COMMUNICATION
KR20240065100A (ko) 2022-06-23 2024-05-14 지티이 코포레이션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GB2630718A (en) * 2022-08-03 2024-12-04 Lenovo Beijing Ltd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path in multi-path scenario
WO2024031398A1 (en) * 2022-08-09 2024-02-15 Nec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of communication
WO2024067808A1 (en) * 2022-09-29 2024-04-04 Mediatek Inc. On/off indication for rrc-idle/rrc-inactive ncr-m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859A (ko) * 2007-11-08 2009-05-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협력 네트워크의 릴레이 노드 선택 방법 및 장치
KR20090124174A (ko) * 2008-05-29 200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모드 선택을 위한장치 및 방법
WO2011103719A1 (en) * 2010-02-26 2011-09-01 Nokia Corporation Base station aided mobile-relay candidate pre-selection and pre-deployment
KR20120063081A (ko) * 2010-12-07 2012-06-15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KR20120071113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단말의 통신을 위한 단말의 중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1513A1 (en) 2008-06-30 2011-07-1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Sodium secondary battery
KR101527978B1 (ko) * 2008-08-06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20697B1 (ko) * 2008-08-29 2015-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정보 전송방법
WO2010057521A1 (en) * 2008-11-18 2010-05-27 Nokia Corporation Relay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886113B2 (en) * 2008-12-30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control of relay operation
WO2011002176A2 (en) * 2009-06-30 2011-0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ioritizing operation of relay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8478776B2 (en) * 2009-10-30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eer-to-peer network discovery using multi-user diversity
JP5440117B2 (ja) * 2009-11-20 2014-03-1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中継局、移動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10141963A1 (en) * 2009-12-16 2011-06-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supporting broadcast services in multicast broadcast service frequency network
US20110199905A1 (en) * 2010-02-12 2011-08-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ccess control and congestion control in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US9236979B2 (en) * 2010-03-19 2016-01-1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carrier aggregation
EP2554013B1 (en) * 2010-03-30 2019-07-3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discovery through beaconing
WO2011129098A1 (ja) * 2010-04-14 2011-10-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ノード及びネットワークノード
FR2960118B1 (fr) * 2010-05-12 2013-01-04 Eads Defence & Security Sys Gestion des connexions de noeuds relais pour former un reseau ad hoc.
KR101719002B1 (ko) * 2010-06-07 201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2622909A1 (en) * 2010-09-30 2013-08-07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B2484347A (en) * 2010-10-08 2012-04-11 Nec Corp Initiating energy saving mode based on the activity of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over an LTE-A interface
US8527648B2 (en) * 2010-10-18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timizing content distribution in data networks
KR101879593B1 (ko) 2010-12-27 2018-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간 직접 통신 및 단말 릴레잉 방법
US9131405B2 (en) * 2011-01-31 2015-09-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nnel status information on multi-cell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9173192B2 (en) * 2011-03-1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cell selection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continuity
US20120314600A1 (en) * 2011-06-13 2012-12-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a mobile station
KR20120139574A (ko) * 2011-06-17 2012-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기반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장치 및 방법
WO2013048567A1 (en) * 2011-09-30 2013-04-04 Intel Corporation Methods to transport internet traffic over multiple wireless networks simultaneously
US20130229931A1 (en) * 2012-03-02 2013-09-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s of managing terminal performed in base station and terminal
WO2013137806A1 (en) * 2012-03-15 2013-09-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Verif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78130B2 (en) * 2012-04-10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Secure reception reporting
WO2013182738A1 (en) * 2012-06-08 2013-12-12 Nokia Corporation Enhanced power saving optimized configuration handling
KR20150022788A (ko) * 2012-06-26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위한 동기 방법 및 장치
CN103533533B (zh) * 2012-07-04 2017-07-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
EP2942881A4 (en) * 2012-07-13 2016-10-19 Korea Electronics Telecomm DETECTION PROCEDURE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N110062371B (zh) * 2012-08-23 2022-08-0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执行装置到装置发现的方法和设备
GB2507514A (en) * 2012-10-31 2014-05-07 Nec Corp Providing measurement reports for relay cells
WO2014098446A1 (ko) * 2012-12-20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한 그룹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955408B2 (en) * 2013-02-22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assisted multi-cell device discovery protoco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9706481B2 (en) * 2013-03-15 2017-07-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ime-power frequency hopping for D2D discovery
GB2512399A (en) * 2013-03-28 2014-10-01 Nec Corp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s
CN104105185B (zh) * 2013-04-03 2018-11-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设备到设备通信中的发射功率控制方法、装置及系统
WO2014163696A1 (en) * 2013-04-04 2014-10-09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r-equipment (ue) centric traffic routing
US20140301270A1 (en) * 2013-04-05 2014-10-09 Kerstin Johnsson Identifiers for proximity services
US20140302786A1 (en) * 2013-04-05 2014-10-09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voiding reply stor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04244B2 (en) * 2013-04-08 2015-12-0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ynchronization packet transmitter selection in a wireless network
US9479298B2 (en) 2013-07-08 2016-10-25 Intel IP Corporation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DMRS)for side information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US20160234670A1 (en) * 2013-07-11 2016-08-11 Nokia Technologies Oy Device-to-device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coverage
EP2833694A3 (en) * 2013-07-29 2015-04-01 HTC Corporation Method of relay discovery an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584985B2 (en) * 2013-07-30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a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using an MBMS relay device
EP3028531B1 (en) * 2013-07-30 2019-07-17 Sony Corporation Method of requesting activation of a repeater function and user equipment
US9445352B2 (en) * 2013-07-30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discovery of LTE-direct relay for out-of-coverage devices
KR101845463B1 (ko) * 2013-08-07 2018-04-0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분산형 스케줄링
KR101715579B1 (ko) * 2013-08-08 2017-03-1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국
ES2716903T3 (es) * 2013-08-08 2019-06-17 Intel Ip Corp Método, aparato y sistema para ajuste de inclinación hacia abajo eléctrica en un sistema de múltiple entrada múltiple salida
WO2015167304A1 (ko) * 2014-05-01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device-to-device)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9668232B2 (en) * 2015-04-03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Enabling device-to-device discover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859A (ko) * 2007-11-08 2009-05-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협력 네트워크의 릴레이 노드 선택 방법 및 장치
KR20090124174A (ko) * 2008-05-29 200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모드 선택을 위한장치 및 방법
WO2011103719A1 (en) * 2010-02-26 2011-09-01 Nokia Corporation Base station aided mobile-relay candidate pre-selection and pre-deployment
KR20120063081A (ko) * 2010-12-07 2012-06-15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KR20120071113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단말의 통신을 위한 단말의 중계 방법

Cited B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6171A1 (en) * 2015-02-26 2016-09-01 N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US11026280B2 (en) 2015-02-26 2021-06-01 N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US10314094B2 (en) 2015-02-26 2019-06-04 N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US10667311B2 (en) 2015-02-26 2020-05-26 N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US10681602B2 (en) 2015-03-02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gestion control for appl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29071B2 (en) 2015-03-02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gestion control for appl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30591B2 (en) 2015-03-02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09612B1 (en) 2015-03-02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gestion control for appl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721968B (zh) * 2015-03-27 2021-03-21 美商高通公司 對鄰近性服務中繼的選擇
US10986679B2 (en) 2015-03-27 2021-04-20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service signaling protocol
US12063588B2 (en) 2015-03-27 2024-08-13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on of proximity services relay
WO2016160173A3 (en) * 2015-03-27 2016-11-10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service signaling protocol
US11284337B2 (en) 2015-03-27 2022-03-22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on of proximity services relay
US10237904B2 (en) 2015-03-27 2019-03-19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service signaling protocol
WO2016163767A1 (ko) * 2015-04-07 2016-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652939B2 (en) 2015-04-07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20170132288A (ko) * 2015-04-08 2017-12-01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D2d 중계 노드의 확정, 사용 방법 및 장치
CN106162511A (zh) * 2015-04-08 2016-11-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d2d中继节点的确定、使用方法及装置
JP2018514139A (ja) * 2015-04-08 2018-05-31 チャイナ アカデミー オブ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テクノロジー D2d中継ノードの確定方法、使用方法及び装置
EP3282719A4 (en) * 2015-04-08 2018-03-21 China Academy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d using d2d relay node
US10420009B2 (en) 2015-04-08 2019-09-17 China Academy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and using Device-to-Device relay node
WO2016163809A1 (ko) * 2015-04-10 2016-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6178554A1 (ko) * 2015-05-05 201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ops 모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6303902A (zh) * 2015-05-15 2017-01-0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执行设备到设备发现过程及检测用户设备的方法及装置
EP3314978B1 (en) * 2015-06-29 2021-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of user equipment
US10455406B2 (en) 2015-06-29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of user equipment
WO2017003161A1 (en) * 2015-06-29 2017-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of user equipment
US10506394B2 (en) 2015-07-07 2019-12-10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in V2X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WO2017007104A1 (ko) * 2015-07-07 201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V2x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단말
JP2018518913A (ja) * 2015-07-07 2018-07-1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V2x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通信方法及び端末
EP3320730A4 (en) * 2015-07-08 2019-02-27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USER-TO-NET NETWORK RELAY
WO2017004720A1 (en) 2015-07-08 2017-01-12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ue-to-network relay
US10567068B2 (en) 2015-07-12 2020-02-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2D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1558103B2 (en) 2015-07-12 2023-01-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2D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7010767A1 (ko) * 2015-07-12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627723A1 (en) * 2015-07-24 2020-03-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prose relay ue activation
US10231087B2 (en) 2015-08-07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US10631125B2 (en) 2015-08-07 2020-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US10470108B2 (en) 2015-08-13 2019-11-05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by remote 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WO2017026872A1 (ko) * 2015-08-13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모트 ue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362559B2 (en) 2015-09-07 2019-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device-to-device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7043854A1 (ko) * 2015-09-07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52342A1 (ko) * 2015-09-24 2017-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모트 프로세(remote prose)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망에서의 합법적 감청 지원 방안
US10924975B2 (en) 2015-09-24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of remote prose UE in network
US11627515B2 (en) 2015-09-24 202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of remote ProSe UE in network
EP3376820A4 (en) * 2015-11-06 2019-05-22 Kyocera Corporation USER DEVICE, PROCESSOR AND NETWORK DEVICE
WO2017091011A1 (ko) * 2015-11-24 2017-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셀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US10743192B2 (en) 2015-11-24 2020-08-11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mobile cell
EP3432655A4 (en) * 2016-04-05 2020-01-01 LG Electronics Inc. -1-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RELAY TERMINAL
JP2019519163A (ja) * 2016-06-21 2019-07-04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US11212708B2 (en) 2017-02-03 2021-12-28 Sony Corporation Relay communication device, base st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382005B2 (en) 2017-03-20 2022-07-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session and SMF node
CN110603884A (zh) * 2017-03-24 2019-12-20 摩托罗拉移动有限责任公司 使用系统参数确定时频资源
WO2021120144A1 (en) * 2019-12-20 2021-06-24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between user equipment
US12323899B2 (en) 2019-12-20 2025-06-03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between user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74558A (zh) 2016-04-06
KR101769387B1 (ko) 2017-08-30
KR20160041931A (ko) 2016-04-18
US9853709B2 (en) 2017-12-26
US20160204847A1 (en) 2016-07-14
US20180076878A1 (en) 2018-03-15
US10298314B2 (en) 2019-05-21
CN105474558B (zh)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2611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5002456A1 (ko) 근접 서비스를 위해 중계기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방법
WO2017196056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ib을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066919A1 (ko) 네트워크로의 연결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7146523A1 (ko) 네트워크로의 연결 요청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719605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169343A1 (ko)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 및 기지국, 페이징을 지원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엔티티
WO201706943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직접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5233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171427A1 (ko)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및 기지국과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6117940A1 (en) Method for selecting of sidelink grant for a d2d ue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7126928A1 (ko) 연결 모드 변경 방법 및 이동성 관리 개체
WO201719197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모트 ue의 위치 등록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8661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200184A1 (ko) V2x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단말
WO201707401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144147A1 (ko) V2x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에 설치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단말
WO2016159559A1 (ko) Mcptt에서 단말이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1638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l2 entity in channel change for rela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4385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148399A1 (ko) V2x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단말
WO2016072591A1 (en) Method for canceling a sidelink buffer status report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4137098A1 (ko) 근접 서비스 범위 조정 방법 및 필터링 방법
WO201310904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7126942A1 (ko)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45773.X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378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7003839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91257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378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