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288A - D2d 중계 노드의 확정, 사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D2d 중계 노드의 확정, 사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288A
KR20170132288A KR1020177031363A KR20177031363A KR20170132288A KR 20170132288 A KR20170132288 A KR 20170132288A KR 1020177031363 A KR1020177031363 A KR 1020177031363A KR 20177031363 A KR20177031363 A KR 20177031363A KR 20170132288 A KR20170132288 A KR 20170132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relay node
remote
message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잉 왕
후이잉 쟝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70132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4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nditions of the access network or the infrastructu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제1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D2D 중계 노드의 확정, 사용 방법 및 장치
[관련 출원의 교차 인용]
본 출원은 2015년 4월 8일 중국에서 제출된 중국특허출원번호 No. 201510163673.3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공개서류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D2D(Device-to-Device) 중계 노드의 확정, 사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미래 발전에서는 사용자의 수요를 더 만족시키기 위해 D2D 기술을 도입했다. 이 D2D 기술은 인접한 단말기가 근거리 범위에서 직접 연결 링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방식이며, 중심 노드(즉 기지국)을 통해 전달할 필요가 없고, 종래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간 의 정보 전송을 진행할 필요도 없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D2D 근접 서비스는 크게 두 가지 유형 즉 D2D 발견과 D2D 통신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시도는 도 1과 같다.
D2D 발견이란, UE가 진화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지상 무선 접속 네트워크(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을 통해 다른 하나의 UE가 그 근처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D2D UE는 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근처의 택시를 찾고, 근처의 친구를 찾는 등을 할 수 있다.
D2D 통신이란, 네트워크 통신 링크를 로컬의 직접 통신 링크로 전환하는 것을 가리키며, 대량의 대역폭과 네트워크 효율을 절약한다. 서로 근접한 UE는, 2개의 UE 사이에 링크를 직접적으로 구축함으로써(도 1과 같음), 원래 네트워크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하던 2개의 서로 근접한 UE가, 직접 링크를 통해 통신하여 안정적이고 고속이며 저렴한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근접 서비스 통신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의 제어 또는 보조하에 진행되며, eNB는 심지어 근접 서비스 통신을 진행하는 UE에 다이나믹하게 자원 할당을 할 수도 있다.
관련 기술에 따른 D2D 중계는 UE-to-네트워크 중계와 UE-to-UE 중계의 두 가지 방식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와 같이, UE-to-네트워크 중계 중의 원거리 UE(Remote UE)가 오프라인 상태이면, 원거리 UE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으므로, UE-to-네트워크(UE-to-Network) 중계 노드는 원거리 UE에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유니캐스트 통신을 진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UE-to-네트워크 중계 노드는 원거리 UE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공공 보안과 관련된 서비스 데이터(하향 링크(Downlink, DL)/상향 링크(Uplink, UL) 데이터를 포함)를 라우팅한다.
UE-to-UE 중계 중의 공공 보안 UE는 중계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중계 기능을 지원하는 공공 보안 UE는 2개의 공공 보안 UE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한다. 도 3은 중계 기능을 지원하는 공공 보안 UE가 2개의 공공 보안 UE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냈다.
공공 보안 UE1과 공공 보안 UE2는 서로 인접하지 않으며, 공공 보안 UE3과 공공 보안 UE1은 인접하고, 공공 보안 UE3과 공공 보안 UE2는 인접하며, 공공 보안 UE3은 중계 기능을 지원한다. 공공 보안 UE1이 공공 보안 UE2와의 통신을 원할 경우, 양자가 서로 인접하지 않으므로, 공공 보안 UE3이 이번 통신의 중계 노드로서 기능하여, 공공 보안 UE1과 공공 보안 UE2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 관련 기술에 따른 D2D 발견 또는 D2D 통신 매커니즘에서는, 통신 개시측이 근접성 발견 과정에서 현재로서는 그와 인접한 UE 정보만 획득할 수 있을 뿐, 어느 UE가 중계 능력을 지원하는지는 알 수 없어, 적절한 UE-to-네트워크 중계 또는 UE-to-UE(UE-to-UE) 중계 노드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통신을 진행할 수 없다. 또한 현재로서는 중계 노드의 중계 활성화와 중계 비활성 기능에 대한 매커니즘이 없다. 이는 D2D 발견과 D2D 통신의 데이터 전송 효율과 정확도를 심각하게 제한한다.
본 공개서류의 목적은 D2D 중계 노드의 확정, 사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에서 중계 노드의 중계 활성화 기능이 없어 초래되는 D2D 발견 효율의 저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공개서류의 목적은 아래 기술적 수단을 통해 구현된다.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기기(UE)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상기 제1 UE의 권한,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이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확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운동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을 획득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UE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가 중계 권한 사용이 허용된 것으로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이 셀의 가장자리에 위치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운동 속도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이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RRC 메시지에 상기 제1 UE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또는,
상기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UE 사이드링크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InformationBlock- SideLink,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MIB-SL 메시지에 상기 제1 UE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이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음을 확정한 경우,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가 아님을 상기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보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에 대해 계속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UE가,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상기 제1 UE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원거리 사용자 기기(UE)가 기설정 범위 내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는 상기 다른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고,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상기 다른 UE의 권한 또는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원거리 UE가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확정하고 중계 노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거리 UE가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원거리 UE가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휴대된 중계 지시가 중계 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상기 원거리 UE가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휴대된 중계 지시가 중계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비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원거리 UE가 네트워크측과의 기기-to-네트워크(Device-to-Network, D2N)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에 있어서,
제1 UE가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상기 제1 UE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노드의 중계 지시 및/또는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발견 및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또는,
상기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원거리 UE가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에 있어서,
측정 유닛, 확정 유닛과 통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 유닛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확정 유닛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자체 단말기의 권한 또는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발견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유닛이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것;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것;
자신의 운동 속도를 획득하는 것;과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을 획득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이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가 중계 권한 사용이 허용된다는 것임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이 셀의 가장자리에 위치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운동 속도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및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경우,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RRC 메시지에 자체 단말기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되거나; 또는,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MIB-SL 메시지에 자체 단말기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된다.
선택적으로,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한 후,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음을 확정한 경우,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가 아님을 상기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보하며;
상기 측정 유닛은 계속하여 자신의 작동 상태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에 있어서,
통신 유닛과 확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유닛은 기설정 범위 내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보 메시지는 상기 다른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고,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상기 다른 UE의 권한 또는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확정 및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경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휴대된 중계 지시가 중계 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되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휴대된 중계 지시가 중계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비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유닛과 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노드의 중계 지시 및/또는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1 통신 유닛과 제2 통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발견 및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거나; 또는
PC5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또한,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프로세스;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자체 단말기의 권한 또는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프로세스; 송수신기를 통해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발견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것;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것;
자신의 운동 속도를 획득하는 것;과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을 획득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가, 중계 권한 사용이 허용된다는 것임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이 셀의 가장자리 위치에 위치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운동 속도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과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를 통해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RRC 메시지에 자체 단말기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되거나; 또는,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MIB-SL 메시지에 자체 단말기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된다.
선택적으로,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한 후, 프로세서는 또한,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음을 확정한 경우,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가 아님을 상기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보하고;
자신의 작동 상태에 대해 계속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는 또한,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는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버스 프레임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프레임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다.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기설정 범위 내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는 상기 다른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고,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상기 다른 UE의 권한 또는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프로세스;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확정 및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 지시가 중계 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되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 지시가 중계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비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는 또한,
송수신기를 통해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는 또한,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는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버스 프레임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프레임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다.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프로세스;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노드의 중계 지시 및/또는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확정 및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송수신기는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버스 프레임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프레임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다.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를 통해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프로세스;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발견 및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를 통해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거나; 또는,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는 또한,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는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버스 프레임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프레임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다.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관련 기술에 따른 D2D 발견과 D2D 통신 개략도이며;
도 2는 관련 기술에 따른 UE-to-네트워크 중계에서 중계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예시를 보여준 도면이며;
도 3은 관련 기술에서 서로 인접하지 않은 공공 보안 UE가 중계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예시를 보여준 도면이며;
도 4a와 도 4b는 관련 기술에 따른 D2D 직접 발견 매커니즘 중의 두 가지 송신 모드의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며;
도 6a는 PC5 인터페이스 제어면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개략도이며;
도 6b는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의 비활성화(deactivation)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 사용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며;
도 8과 도 11은 본 공개서류 실시예에 따른 D2D 직접 발견 매커니즘 중의 두 가지 송신 모드의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 사용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의 구성 개략도이며;
도 13은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의 구성 개략도이며;
도 14는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의 구성 개략도이며;
도 15는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의 구성 개략도이며;
도 16은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의 구성 개략도이며;
도 17은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의 구성 개략도이며;
도 18은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의 구성 개략도이며;
도 19는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의 구성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수단을 명료하고도 완전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공개서류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님이 명확하다. 본 공개서류 중의 실시예를 토대로, 본 분야의 기술자가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고 얻는 기타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공개서류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D2D 통신 매커니즘에서 원거리 UE에게 있어서, 만약 당해 UE가 네트워크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게 위해서는 원거리 UE를 위해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의 인접한 UE를 선택하여 상기 원거리 UE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나리오를 UE-to-네트워크 중계라고 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원거리 UE는 먼저 사용 가능한 UE-to-네트워크 중계 노드를 찾아야 한다. 현재 관련 해결 수단이 없으므로,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에 기반한 매커니즘을 제공한다. 이 매커니즘은, UE-to-네트워크 중계 노드가 중계 기능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다이나믹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원거리 UE가 적절한 UE-to-네트워크 중계 노드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 수단은 UE-to-UE 중계 시나리오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원거리 UE가 적절한 UE-to-UE 중계 노드를 찾아 다른 원거리 UE와 통신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상, 두 가지 링크 유형을 정의할 수 있다.
D2D 링크: 기기와 기기가 직접 통신하는 링크를 가리킨다.
D2N 링크: 기기와 네트워크 노드가 통신하는 링크를 가리킨다.
또한, D2D 발견/통신에 참여하는 UE는 두 가지 역할로 구분된다.
D2D 송신 UE: D2D 발견 또는 D2D 통신 메시지를 송신하는 UE를 가리킨다.
D2D 수신 UE: D2D 송신 UE가 송신한 발견 또는 D2D 통신 메시지를 수신한 UE를 가리킨다.
현재 3GPP가 두 가지 D2D 발견 매커니즘, 즉 직접 발견과 코어 네트워크층(EPC-Level) 발견을 제공한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 따른 D2D 발견 방법은 첫 번째 유형의 D2D 발견 매커니즘을 이용한다. 즉, 송신 UE가 에어 인터페이스에서 직접 D2D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인접한 수신 UE는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D2D 발견 신호에 의해 직접 D2D 발견을 진행한다. 이 프로세스는 UE와 UE 사이의 PC5 인터페이스에만 관련되며, 두 가지 송신 모드를 가진다. 즉, 도 4a와 같은 모드(Model) A ('I am here')와, 도 4b와 같은 모드 B ('Who is there'/'are you there')이다.
Model A 모드에 따르면, 도 5와 같이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D2D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을 제공하며, 그 구체적인 흐름은 아래와 같다.
단계 500: 제1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제1 UE가,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제1 UE가,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을 획득하는 단계;
제1 UE가,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제1 UE가,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을 획득하는 단계;
제1 UE가,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제1 UE가, 자신의 운동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제1 UE가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을 획득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501: 제1 UE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상기 제1 UE의 권한,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UE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제1 UE가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가 중계 권한 사용이 허용된 것으로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제1 UE가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제1 UE가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제1 UE가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제1 UE가 자신이 셀의 가장자리에 위치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제1 UE가 자신의 운동 속도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와
제1 UE가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502: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이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한다.
구체적으로,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이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아래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첫 번째 경우: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RRC 메시지에 상기 제1 UE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된다.
예를 들면, 제1 UE는 네트워크 접속시의 네트워크 인증 결과, 네트워크 부하 상황, 자신의 서비스 처리 능력,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UE의 지리적 위치 등 요소에 따라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고, 중계 기능 활성화 결정시 PC5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RRC 메시지에 중계 지시(Relay indication), 중계 식별자(Relay ID) 정보가 휴대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중계 지시가 '1'로 설정된 경우는 중계 활성화 상태를 나타낸다.
두 번째 경우: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MIB-SL 메시지에 상기 제1 UE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된다.
그중, PC5 인터페이스 상의 제어면 프로토콜 스택은 도 6a와 같으며, 구체적으로 RRC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미디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층과 물리층(Physical layer, PHY)을 포함한다.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서 UE 사이의 데이터 인터랙티브는 RRC층에 적용되며, 이로써 UE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더 신속하고 믿음직해진다.
예를 들면, 제1 UE는 네트워크 접속시의 네트워크 인증 결과, 네트워크 부하 상황, 자신의 서비스 처리 능력,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UE의 지리적 위치 등 요소에 따라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고, 중계 기능 활성화 결정시, 관련 기술에 따른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 중의 예비 비트(reserved bits)를 이용하여 구현하며, 중계 지시(Relay indication), 중계 식별자(Relay ID) 정보를 포함한다. 중계 지시는 불린(Boolen)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1'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됨을 나타낸다.
나아가,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이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한 후, 만약 제1 U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음을 확정한 경우, 상기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가 아님을 통보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UE가 중계 기능 비활성화를 완성한 후, 제1 UE는 계속하여 자신의 작동 상태를 주기적으로 측정해야 한다.
예를 들면, 중계 노드는 네트워크 접속시의 네트워크 부하 상황, 자신의 서비스 처리 능력,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UE의 지리적 위치 등 요소에 따라 중계 기능 비활성화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부하 상황이 새로운 서비스 수요를 받아들일 수 없거나, 또는 당해 중계하의 원거리 UE의 수량이 한계에 이르렀거나, 또는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이 낮거나, 또는 UE가 셀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UE 운동 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상기 요소에 따라 중계 여부를 판단하고, 자신의 중계 기능 비활성화를 결정하며, 중계 능력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이때, 중계는 PC5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RRC 메시지에 중계 지시와 중계 ID 정보가 휴대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관련 기술에 따른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 중의 예비 비트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중계 지시는 불린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0'으로 설정된 경우 비활성화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6b를 참고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아래와 같다.
MasterInformationBlock-SL
-- ASN1START
MasterInformationBlock-SL ::= SEQUENCE {
sl-Bandwidth-r12 ENUMERATED {
n6, n15, n25, n50, n75, n100},
tdd-ConfigSL-r12 TDD-ConfigSL-r12,
directFrameNumber-r12 BIT STRING (SIZE (10)),
directSubframeNumber-r12 INTEGER (0..9),
inCoverage-r12 BOOLEAN,
reserved- r12 BIT STRING (SIZE (19))
}
-- ASN1STOP
원거리 노드는 상기 정보를 수신한 후, 다른 중계 노드를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UE는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는 목적 중계 노드의 중계 지시와/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제1 UE는 상기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노드의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당해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며, 그 구체적인 흐름은 아래와 같다.
단계 700: 원거리 UE가 기설정 범위 내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는 상기 다른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고,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상기 다른 UE의 권한 또는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701: 상기 원거리 UE가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원거리 UE가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 즉, 원거리 UE가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휴대된 중계 지시가 중계 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지시 및/또는 식별자가 휴대되거나; 또는 원거리 UE가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휴대된 중계 지시가 중계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비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된다.
나아가,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또는 D2N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더 나아가, 원거리 UE는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또는, 원거리 UE는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상기 기술적 방법에 따르면, UE-to-네트워크 중계 또는 UE-to-UE중계 노드의 중계 기능 활성화의 모드 A('I am here')는 도 8을 참고할 수 있다.
중계 노드는 네트워크 접속시의 네트워크 인증 결과, 네트워크 부하 상황, 자신의 서비스 처리 능력,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UE의 지리적 위치 등 요소에 따라 중계 기능을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어느 UE의 네트워크 감정 결과가 참(true)인 경우; 또는 네트워크 부하 상황이 양호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락할 수 있는 경우; 또는 중계 요청을 개시한 원거리 UE의 수량이 한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또는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이 양호한 경우; 또는 UE가 셀의 가장자리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UE는 상기 요소를 판단함으로써,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고, 자신의 중계 기능 활성화를 결정하며, 중계 능력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 PC5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RRC 메시지에 중계 지시, 중계 ID 정보가 휴대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관련 기술에 따른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 중의 예비 비트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중계 지시는 불린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1'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를 나타내며, 구체적인 포맷은 아래와 같다.
MasterInformationBlock-SL
-- ASN1START
MasterInformationBlock-SL ::= SEQUENCE {
sl-Bandwidth-r12 ENUMERATED {
n6, n15, n25, n50, n75, n100},
tdd-ConfigSL-r12 TDD-ConfigSL-r12,
directFrameNumber-r12 BIT STRING (SIZE (10)),
directSubframeNumber-r12 INTEGER (0..9),
inCoverage-r12 BOOLEAN,
reserved- r12 BIT STRING (SIZE (19))
}
-- ASN1STOP
원거리 UE는 인접한 중계 노드가 송신한 MIB-SL 메시지 또는 새로운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에 휴대된 내용에 따라 당해 D2D UE가 중계 능력을 구비하는지를 판단하고, 당해 D2D UE가 중계 능력을 구비하면, 원거리 UE는 후속되는 통신 구축 프로세스 예를 들어 일대일 통신(One to one communication) 구축 프로세스, IP 어드레스 할당 프로세스를 중계 노드에 개시한다.
Model B 모드에 따르면, 도 9와 같이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을 제공하며, 구체적인 흐름은 아래와 같다.
단계 900: 제1 UE가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다.
단계 901: 제1 UE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노드의 중계 지시 및/또는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며, 구체적인 흐름은 아래와 같다.
단계 100: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는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다.
단계 101: 원거리 UE는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 제어 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또는,
상기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원거리 UE는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또는, 상기 원거리 UE는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상기 기술적 방법에 따르면, UE-to-네트워크 중계 또는 UE-to-UE 중계 노드의 중계 기능 활성화의 모드 B('Who is there'/ 'are you there')는 도 11을 참고할 수 있다.
단계 1: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RRC 메시지 또는 MIB-SL 메시지에서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는 상기 원거리 UE의 관심을 끄는 중계 지시 정보 또는 중계 ID 정보가 휴대될 수 있다.
단계 2: 중계 노드는 인접한 원거리 UE가 송신한 D2D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에 휴대된 내용에 따라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어느 원거리 UE(UE1로 가정)가 브로드캐스팅한 중계 발견 메시지에 당해 원거리 UE의 관심을 끄는 중계 지시('1')와 다수의 중계 ID 정보가 휴대되면, 어느 중계 노드(UE2로 가정)는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의 ID와 중계 발견 메시지에 휴대된 다수의 중계 ID를 매칭시키고, 매칭에 성공하면 UE1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만약 하나의 원거리 UE(UE3으로 가정)가 브로드캐스팅한 중계 발견 메시지에 당해 원거리 UE의 관심을 끄는 중계 지시('1')만 휴대되면, 어느 하나의 중계 노드(UE2로 가정)는 당해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당해 UE2는 UE1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나아가, 원거리 UE가 중계 UE가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후속되는 통신 구축 프로세스 예를 들어 일대일 통신 구축 프로세스, IP 어드레스 할당 프로세스를 중계 노드에 개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12를 참고하면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측정 유닛(120), 확정 유닛(121)과 통신 유닛(122)을 포함한다. 그중,
측정 유닛(120)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확정 유닛(121)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자체 단말기의 권한 또는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통신 유닛(122)은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발견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유닛(120)이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것;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것;
자신의 운동 속도를 획득하는 것;과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을 획득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121)이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가, 중계 권한 사용이 허용된다는 것임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이 셀의 가장자리 위치에 위치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운동 속도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과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경우, 상기 통신 유닛(122)은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RRC 메시지에 자체 단말기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되거나; 또는,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MIB-SL 메시지에 자체 단말기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된다.
선택적으로,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한 후, 상기 통신 유닛(122)은 또한,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음을 확정한 경우,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가 아님을 상기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측정 유닛(120)은 자신의 작동 상태에 대해 계속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122)은 또한,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13을 참고하면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통신 유닛(130)과 확정 유닛(131)을 포함한다. 그중,
통신 유닛(130)은 기설정 범위 내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보 메시지는 상기 다른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고,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상기 다른 UE의 권한 또는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확정 유닛(131)은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확정 및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경우, 상기 확정 유닛(131)은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 지시가 중계 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되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 지시가 중계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보 메시지에는 UE의 중계 비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130)은 또한,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130)은 또한,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14를 참고하면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수신 유닛(140)과 처리 유닛(141)을 포함한다. 그중,
수신 유닛(140)은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처리 유닛(141)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노드의 중계 지시 및/또는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15를 참고하면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제1 통신 유닛(150)과 제2 통신 유닛(151)을 포함한다. 그중,
제1 통신 유닛(150)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제2 통신 유닛(151)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발견 및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유닛(150)은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거나; 또는,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통신 유닛(151)은 또한,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16을 참고하면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160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600)는 메모리(1620)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프로세스;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자체 단말기의 권한 또는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프로세스; 송수신기(1610)를 통해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발견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600)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것;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것;
자신의 운동 속도를 획득하는 것;과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을 획득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600)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가, 중계 권한 사용이 허용된다는 것임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이 셀의 가장자리 위치에 위치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운동 속도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과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1610)를 통해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경우, 프로세서(1600)는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RRC 메시지에 자체 단말기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포함되거나; 또는,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MIB-SL 메시지에 자체 단말기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한 후, 프로세서(1600)는 또한,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음을 확정한 경우,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가 아님을 상기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보하며;
자신의 작동 상태에 대해 계속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600)는 또한,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송수신기(1610)를 통해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송수신기(1610)를 통해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1610)는, 프로세서(16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도 16에서 버스 프레임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6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프레임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6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다.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630)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17을 참고하면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1700)와 메모리(172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700)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1720)는 프로세서(1700)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0)는 메모리(1720)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기설정 범위 내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송수신기(1710)를 통해 수신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는 상기 다른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고,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상기 다른 UE의 권한 또는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프로세스;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확정 및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700)는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휴대된 중계 지시가 중계 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되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휴대된 중계 지시가 중계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비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700)는 또한,
송수신기(1710)를 통해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포함되며;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송수신기(1710)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700)는 또한,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1710)는 프로세서(17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도 17에서 버스 프레임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7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프레임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7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다.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730)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700)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1720)는 프로세서(1700)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18을 참고하면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1800)와 메모리(182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800)는 메모리(1820)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송수신기(1810)를 통해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프로세스;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노드의 중계 지시 및/또는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확정 및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송수신기(1810)는 프로세서(18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도 18에서 버스 프레임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8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프레임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8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다.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830)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800)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1820)는 프로세서(1800)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19를 참고하면 본 공개서류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1900)와 메모리(192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900)는 메모리(1920)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1910)를 통해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프로세스;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발견 및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1910)를 통해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프로세서(1900)는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거나; 또는,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900)는 또한,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1910)는 프로세서(19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도 19에서 버스 프레임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9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프레임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9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다.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930)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900)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1920)는 프로세서(1900)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를 정리하면,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서 제1 UE는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고; PC5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한다. 이로써,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에서 중계 노드를 신속하게 발견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D2D 발견 또는 D2D 통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가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공개서류는 완전한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한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공개서류는 컴퓨터 이용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이용가능 저장매체(디스크 메모리, CD-ROM, 광학 메모리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에서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공개서류는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그리고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기기를 형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장치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명령이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장치로 하여금 특정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으로 하여금 명령 장치를 포함한 제조품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명령 장치는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및/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장치에 로딩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구현하는 처리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에서 수행되는 명령이,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및/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공개서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분야의 기술자는 기본적인 창조적 컨셉을 파악한 후 이들 실시예를 더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공개서류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분명한 바,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공개서류의 실시예에 대한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공개서류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 기술 범위에 속하면, 본 공개서류는 이러한 변경 및 변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한다.

Claims (32)

  1. 제1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상기 제1 UE의 권한,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이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운동 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을 획득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가 중계 권한 사용이 허용된 것으로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이 셀의 가장자리에 위치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운동 속도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이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RRC 메시지에 상기 제1 UE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또는,
    상기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MIB-SL 메시지에 상기 제1 UE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이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U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음을 확정한 경우,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가 아님을 상기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에 대해 계속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가,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
  7. 원거리 UE가 기설정 범위 내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는 상기 다른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고,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상기 다른 UE의 권한,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단계; 및
    상기 원거리 UE가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UE가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원거리 UE가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휴대된 중계 지시가 중계 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및
    상기 원거리 UE가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휴대된 중계 지시가 중계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비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원거리 UE가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방법.
  11. 제1 UE가,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및
    상기 제1 UE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노드의 중계 지시 및/또는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방법.
  12.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단계; 및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또는,
    상기 원거리 UE가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원거리 UE가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방법.
  15. 측정 유닛, 확정 유닛,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 유닛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유닛은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자체 단말기의 권한,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기 위한 것인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이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것;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을 획득하는 것;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것;
    자신의 운동 속도를 획득하는 것; 및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을 획득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이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자신의 중계 권한에 대한 네트워크측의 인증 결과가, 중계 권한 사용이 허용된다는 것임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의 부하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UU 인터페이스의 신호 품질 측정값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현재 서비스 처리 능력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이 셀의 가장자리에 위치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자신의 운동 속도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음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및
    현재 원거리 UE의 중계 수요량이 기설정 문턱값보다 큼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경우,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의 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RRC 메시지에 자체 단말기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되거나; 또는,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되, 상기 MIB-SL 메시지에 자체 단말기의 중계 지시와 식별자가 휴대된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
  19.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한 후,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음을 확정한 경우,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가 아님을 상기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보하고;
    상기 측정 유닛은 자신의 작동 상태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
  21. 통신 유닛과 확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유닛은 기설정 범위 내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보 메시지는 상기 다른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고,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상기 다른 UE의 권한,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경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휴대된 중계 지시가 중계 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되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획득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에 휴대된 중계 지시가 중계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에 UE의 중계 비활성화 지시 또는/및 식별자가 휴대된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원거리 UE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
  25. 수신 유닛과 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노드의 중계 지시 및/또는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
  26. 제1 통신 유닛과 제2 통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되며;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인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
  27. 제26항에 있어서,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의 RRC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거나; 또는,
    PC5 인터페이스의 MIB-SL 메시지를 통해,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또한,
    다른 하나의 원거리 UE와의 D2D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과의 D2N 연결이 필요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 노드와의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
  29. 프로세서, 메모리와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자신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프로세스;
    측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함을 확정한 경우 자신을 중계 노드로 확정하되,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자체 단말기의 권한,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프로세스; 및
    송수신기를 통해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D2D 링크를 사용하는 다른 UE에 자신이 중계 노드임을 통보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인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
  30. 프로세서, 메모리와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기설정 범위 내의 다른 UE의 통보 메시지를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하되, 상기 통보 메시지는 상기 다른 UE가 자신의 작동 상태가 기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고, 상기 작동 상태는 적어도 상기 다른 UE의 권한, 작동 환경 또는 처리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프로세스; 및
    상기 통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른 UE를 중계 노드로 확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
  31. 프로세서, 메모리와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기설정 범위 내의 원거리 UE가 송신한 중계 발견 메시지를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프로세스; 및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자와 어느 하나의 목적 중계 노드의 중계 지시 및/또는 식별자의 매칭이 성공적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원거리 UE에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거리 UE에 D2D 통신 구축을 지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D2D 중계 노드의 확정 단말기.
  32. 프로세서, 메모리와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를 통해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중계 발견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상기 원거리 UE의 목적 중계 지시 및/또는 중계 노드의 식별자가 휴대된 프로세스; 및
    다른 중계 노드가 상기 중계 발견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중계 발견 응답 메시지를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중계 노드에 D2D 통신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는 버스 프레임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D2D 중계 노드의 사용 단말기.
KR1020177031363A 2015-04-08 2016-03-10 D2d 중계 노드의 확정, 사용 방법 및 장치 KR20170132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163673.3 2015-04-08
CN201510163673.3A CN106162511B (zh) 2015-04-08 2015-04-08 一种d2d中继节点的确定、使用方法及装置
PCT/CN2016/076079 WO2016161867A1 (zh) 2015-04-08 2016-03-10 终端直通中继节点的确定、使用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288A true KR20170132288A (ko) 2017-12-01

Family

ID=5707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363A KR20170132288A (ko) 2015-04-08 2016-03-10 D2d 중계 노드의 확정, 사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20009B2 (ko)
EP (1) EP3282719A4 (ko)
JP (1) JP2018514139A (ko)
KR (1) KR20170132288A (ko)
CN (1) CN106162511B (ko)
TW (1) TWI602468B (ko)
WO (1) WO20161618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903A1 (ko) * 2019-04-25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pc5 rrc 연결 기반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7308A (zh) * 2015-04-08 2021-10-1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实现用于设备到设备(d2d)通信的移动中继
EP3148284B1 (en) * 2015-09-25 2020-10-21 ASUSTek Compute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olving mismatch between sidelink buffer status report (bsr) and available side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888546B (zh) * 2016-09-29 2021-10-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网络攻击防御方法、装置以及系统
CN110100488B (zh) * 2016-12-27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系统信息的方法和终端设备
WO2018128519A1 (ko) * 2017-01-09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모트 ue와 연결을 가진 릴레이 ue가 네트워크와 연결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616852B (zh) * 2017-01-13 2019-11-0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通过pc5接口收发车联网信息的方法及装置
CN108347737B (zh) * 2017-01-25 2021-08-06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通信方法和设备
TW201838471A (zh) * 2017-03-31 2018-10-16 日商索尼股份有限公司 通訊裝置、基礎建設設備與方法
CN108809897A (zh) * 2017-04-28 2018-11-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中继发现及中继转发方法、设备和存储介质
US20190289445A1 (en) * 2018-03-16 2019-09-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Wireless radio user equipment as local manager for integrating access backhaul and sidelink
US10764918B2 (en) 2018-06-11 2020-09-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Wireless communication framework for multiple user equipment
CN109120677B (zh) * 2018-07-25 2021-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文件下载方法及相关产品
US10951362B2 (en) 2018-08-10 2021-03-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nd scheduling for wireless cellular systems with local traffic managers
WO2020032869A1 (en) * 2018-08-10 2020-0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discovery
US11234251B2 (en) 2018-08-17 2022-01-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eneric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for new radio sidelink
US11039422B2 (en) 2019-01-11 2021-06-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Load manager performance management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CN111491287A (zh) * 2019-01-25 2020-08-04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调度终端确定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WO2020167031A1 (ko) * 2019-02-15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의 사이드링크 자원 정보의 전송
JP7217647B2 (ja) * 2019-02-27 2023-02-03 エヌ・ティ・ティ・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220325A1 (zh) * 2019-04-30 2020-11-05 富士通株式会社 边链路传输中用户设备上下文的标识方法及装置
CN110519724A (zh) * 2019-08-27 2019-11-29 深圳成谷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pc5接口通信质量的方法和装置
EP4133831A4 (en) * 2020-04-08 2023-12-27 Qualcomm Incorporated DISCOVERY POOL FOR SIDELINK
CN113923795A (zh) * 2020-07-09 2022-01-11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通信方法、设备和存储介质
WO2022021198A1 (zh) * 2020-07-30 2022-02-0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其装置
CN114071796A (zh) * 2020-07-31 2022-02-1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中继链路连接控制方法及装置
CN114501570A (zh) * 2020-11-13 2022-05-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侧链路中继的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206965B (zh) * 2021-03-12 2022-12-06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区域监控视频的协商存储方法、系统及相关装置
CN117413546A (zh) * 2021-05-07 2024-01-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发现消息的生成方法、解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DE102021204774A1 (de) 2021-05-11 2022-11-17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Relaisauswahl basierend auf einer Verbundlastmetrik mehrerer Schnittstellen
CN117643169A (zh) 2021-07-26 2024-03-01 大陆汽车科技有限公司 用于ue到ue中继资源管理的方法
US20230037156A1 (en) * 2021-08-02 2023-02-02 Qualcomm Incorporated On demand assistance for sidelink mode 1 communication
CN116506811A (zh) * 2022-01-21 2023-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16390194B (zh) * 2023-06-01 2023-10-27 上海星思半导体有限责任公司 接入策略的选择方法、状态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111A1 (ko) * 2013-08-18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9328B2 (ja) 2004-03-18 2010-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KR20070004370A (ko) * 2005-07-04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을 위한 협동중계전송방법
US8023552B2 (en) 2006-09-22 2011-09-20 Alcatel Lucent Methods of discovering neighbors in opportunistic open access ad hoc wireless networks
JP4888431B2 (ja) * 2007-03-26 2012-02-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方法
WO2010118578A1 (zh) 2009-04-16 2010-10-21 华为技术有限公司 路由方法、装置及系统
US20120300662A1 (en) * 2010-01-22 2012-11-29 Nokia Corporation Cellular Control Sensing for Multicell Device-to-Device Interference Control
CN101883048B (zh) 2010-06-25 2012-10-10 陶洋 多维网络的路由方法
WO2013042979A2 (ko) * 2011-09-21 201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대-장치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260237B (zh) * 2012-02-20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定位方法和相关设备
ES2526459T3 (es) * 2012-05-15 2015-01-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Gestión de baliza para la comunicación de dispositivo a dispositivo asistida por red
US9485794B2 (en) * 2012-05-23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to support IMS based services
JP5918382B2 (ja) 2012-09-27 2016-05-18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プロセッサ及び基地局
US20140171062A1 (en) * 2012-12-19 2014-06-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s,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Handling Relay Assist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EP2941038B1 (en) * 2012-12-30 2018-05-09 LG Electronics Inc. Methods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201431422A (zh) * 2013-01-07 2014-08-01 Innovative Sonic Corp 在無線通訊系統中執行鄰近服務的方法及裝置
EP2785092B1 (en) * 2013-03-28 2015-09-23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00931B2 (en) * 2013-05-02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relay selection
CN104158581B (zh) * 2013-05-13 2018-03-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中继节点的发现方法及装置
CN104244412B (zh) * 2013-06-09 2020-05-22 索尼公司 无线通信设备、无线通信方法以及基站
US9936533B2 (en) * 2013-07-09 2018-04-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relay on basis of proximity service and device therefor
US9713072B2 (en) * 2013-07-29 2017-07-18 Htc Corporation Method of relay discovery an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3028531B1 (en) 2013-07-30 2019-07-17 Sony Corporation Method of requesting activation of a repeater function and user equipment
CN105432137B (zh) * 2013-08-07 2019-06-28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设备对设备发现的方法和设备
US9596709B2 (en) * 2013-09-18 2017-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acilita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05594293B (zh) 2013-09-27 2019-07-2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设备到设备(d2d)控制信息中继的方法、节点及设备
CN104717714A (zh) * 2013-12-17 2015-06-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由信息发送、接收的方法、装置及路由信息处理系统
US10051677B2 (en) * 2014-01-24 2018-08-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viding, obtaining, and using D2D-related capability of a network node
WO2015114052A1 (en) * 2014-01-31 2015-08-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ference mitigation of d2d communications in different coverage scenarios
WO2015163593A1 (en) * 2014-04-22 2015-10-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pdcp pdus for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051610B2 (en) * 2014-05-09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mes related to resource allocation, discovery and signaling in D2D systems
US9414338B2 (en) * 2014-08-07 2016-08-09 Alcatel Lucent Notification of relay capabilities for UE-to-network relay functions
US10412692B2 (en) * 2014-08-08 2019-09-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2D power control
US9992657B2 (en) * 2014-09-24 2018-06-05 Alcatel Lucent Relay of charging information for proximity services
CN108770074B (zh) * 2014-12-22 2022-09-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现设备直通中继选择的方法、网络控制节点和用户设备
US9572186B2 (en) * 2014-12-31 2017-02-14 Intel Corporation Intracell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ontrol
US9992806B2 (en) * 2015-01-15 2018-06-05 Intel IP Corporation Public safety discovery and communication using a UE-to-UE relay
US10021620B2 (en) * 2015-02-10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Relay signaling between UE and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111A1 (ko) * 2013-08-18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903A1 (ko) * 2019-04-25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pc5 rrc 연결 기반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985719B2 (en) 2019-04-25 2024-05-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C5 RRC connection-based HARQ feedback in NR V2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2719A1 (en) 2018-02-14
US20180084481A1 (en) 2018-03-22
TW201637505A (zh) 2016-10-16
EP3282719A4 (en) 2018-03-21
CN106162511B (zh) 2020-01-24
JP2018514139A (ja) 2018-05-31
CN106162511A (zh) 2016-11-23
WO2016161867A1 (zh) 2016-10-13
TWI602468B (zh) 2017-10-11
US10420009B2 (en)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2288A (ko) D2d 중계 노드의 확정, 사용 방법 및 장치
TWI681687B (zh) 處理尋呼的方法和裝置
CN109245845B (zh) 一种信令传输方法及设备
WO2017049737A1 (zh) D2d中继资源配置方法、装置及系统
JP6714578B2 (ja)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サービス処理方法及び装置
WO2017049729A1 (zh) 一种通信资源配置方法和装置
CN107710862B (zh) 利用基于设备到设备的用户设备到网络的中继来支持服务中断的最小化
US20190021134A1 (en) User plane optimization for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KR20170047295A (ko) 중계단말의 재선별 방법 및 장치
WO2018105263A1 (ja) 端末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WO2017028743A1 (zh) 中继用户设备控制方法、装置及用户设备
WO2016161853A1 (zh) 中继节点切换方法及系统
JP578457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WO2017209005A1 (ja) ユーザ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WO2010105410A1 (zh) 一种建立无线承载的方法、装置及系统
CN116965101A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05766052B9 (zh) 接口建立方法及装置
WO2022095759A1 (zh) 电子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4127699A1 (zh) 一种建立直接通信路径的方法、设备及系统
CN114631341A (zh) 多sim装置的关系指示
CN112368976B (zh) 用于执行组通信的终端和方法
RU2564635C2 (ru) Ретрансляционная станция,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KR101922041B1 (ko) D2d 통신에서의 ip 주소 할당 방법 및 사용자 기기
CN115769608A (zh) 多rat网络中的无线电连接的配置
CN107113785B (zh) 资源分配方法、基站和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3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24

Effective date: 2020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