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100A -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5100A
KR20240065100A KR1020247010498A KR20247010498A KR20240065100A KR 20240065100 A KR20240065100 A KR 20240065100A KR 1020247010498 A KR1020247010498 A KR 1020247010498A KR 20247010498 A KR20247010498 A KR 20247010498A KR 20240065100 A KR20240065100 A KR 20240065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ode
state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양 리
난 장
웨이 차오
한칭 수
지안 리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40065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51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사용자 장비(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신호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 노드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개시는 대체로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사용자 장비(UE) 트리거된(triggered)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커버리지(coverage)는 셀룰러 네트워크 배치의 기본적인 측면이다. 모바일 오퍼레이터(mobile operator)들은 그 배치에서 전면적인(blanket)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타입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존한다. 결과적으로, 모바일 오퍼레이터들의 그 네트워크 배치에 대한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타입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고려되었다. 예를 들어, 특정 시스템 또는 아키텍처는 유선 백홀(backhaul)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새로운 타입의 네트워크 노드로서 특정의 다른 시스템에서 향상될 수 있는, 통합 액세스 및 백홀(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을 도입한다. 또 다른 타입의 네트워크 노드는 수신하는 임의의 신호를 단순히 증폭 및 포워딩(amplify-and-forward)하는 RF 중계기(repeater)이다. RF 중계기는 보통의 풀-스택 셀(full-stack cell)들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를 보완하기 위해 2G, 3G 및 4G에서 광범위하게 배치되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선행 기술에 제시된 문제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쉽게 명백해질 추가적인 특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시스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로서 제시되는 것이고 제한적이지 않으며, 본 개시를 읽는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시스템, 방법, 장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스마트 노드(smart node, SN))는 (예를 들어, 모니터링 스테이트(monitoring state)에서 동작하는 동안)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BS))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하나 이상 신호에 대한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예를 들어, 또는 구성(configuration))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신호와 관련하여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를 사용하거나 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 노드로 제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메시지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노드의 모니터링 스테이트의 시작 시간, 패턴(pattern),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tart and Length Indicator Value, SLIV), 듀티 사이클(duty cycle), 시간 오프셋(time offset), 지속기간(duration) 및 주기성(periodicity)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모니터링 스테이트에서 동작할 수 있다. 표시는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신호,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 신호,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신호,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신호, 및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수신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는 네트워크 노드의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시작 시간, 패턴, 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주기성, 주파수 도메인 표시자, 주파수 오프셋, 및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넘버(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표시는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AM) 신호, 시스템 정보(SI) 신호, 라디오 자원 제어(RRC) 신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신호, 및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수신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온/오프 스테이트(예를 들어, 또는 구성)는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 네트워크 노드들의 그룹의 온/오프 스테이트;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의 온/오프 스테이트;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빔 인덱스(beam index)의 온/오프 스테이트;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서빙 섹터(serving sector)의 온/오프 스테이트; 및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온/오프 스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온/오프 스테이트는 다음 링크들: 무선 통신 노드에서 네트워크 노드로의 제1 제어 링크; 네트워크 노드에서 무선 통신 노드로의 제2 제어 링크; 무선 통신 노드에서 네트워크 노드로의 제1 백홀 링크; 네트워크 노드에서 무선 통신 노드로의 제2 백홀 링크; 네트워크 노드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제1 액세스 링크;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노드로의 제2 액세스 링크 중 적어도 하나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빙 스테이트(probing state)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및 주기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기 위해 프로빙 스테이트에서 동작할 수 있다. 표시는 시스템 정보(SI) 신호, 라디오 자원 제어(RRC) 신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신호, 및/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수신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시작 시간, 패턴, 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주기성, 주파수 도메인 표시자, 주파수 오프셋, 자원 블록(RB)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표시는 시스템 정보(SI) 신호, 라디오 자원 제어(RRC) 신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신호, 및/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수신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의 측정, 랜덤 액세스 실패,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송신 실패, 및/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송신 실패가 정의된 횟수 만큼 발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를 트리거(trigger)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트리거하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성(functionality)(예를 들어, 능력(capability))을 인에이블(enable)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신호는 초기 액세스를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리앰블(preamble),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상태로의 변경을 인에이블하는 데 전용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리앰블, msg3 또는 MsgA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기준 신호(RS), 구성된 그랜트(configured grant) SDT(CG-SDT)의 구성된 업링크 송신, 전용 PUCCH 송신, PUSCH에서 정의된 MAC CE 신호, 및/또는 전용 신호 또는 데이터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S는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및 위상 추적 기준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S는 전용 포트 인덱스(dedicated port index)로 송신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매개로 한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신호에서, 또는 PUSCH를 매개로 한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AC CE) 신호에서, 온/오프 스테이트의 표시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무선 통신 노드는 온/오프 스테이트의 표시를 수신한 후에, 시스템 정보를 직접 적어도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또는 네트워크 노드를 매개로 적어도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링크가 턴 온(turned on)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시스템, 방법, 장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는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SN)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노드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해 신호와 관련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신규한 접근방식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트리거되는 온/오프 표시(들)의 다양한 구현에 의해, 네트워크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고 SN의 효율성을 개선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SN)를 사용하기 위한 신규한 솔루션을 논의한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상태/조건에서 동작하는) SN은 UE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SN의 포워딩 링크 및 기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activate)/인에이블(enable)/개시(initiate)할 수 있다. 따라서, SN은 무선 통신 노드(예를 들어, BS)와 UE 사이의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해 수신된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또는 구성)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SN은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에 있거나, SN의 통신 유닛이 UE로부터 업링크(UL) 신호를 지속적으로 또는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UE는 적어도 다음의 스테이트/조건: RRC_IDLE 스테이트, RRC_INACTIVE 스테이트, 또는 RRC_CONNECTED 스테이트에 있을 수 있다. UE가 상기 스테이트들 중 하나에 있을 때, SN은 UE에 대해 투명(transparent)할 수 있거나 UE에 대해 불투명할 수 있다. SN이 UE에 대해 투명할 때, UE의 특성/거동/기능성은 레거시(legacy)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SN의 존재를 모를 수도 있고,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UE는 BS(예를 들어, gNB 또는 무선 통신 노드)로 신호를 송신(예를 들어, 송신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SN 통신 유닛(communication unit, CU)이 UE로부터 UL 신호를 검출하면, SN은 예를 들어 BS로의 적절한 UL 송신을 보장하기 위해 SN의 포워딩 링크 및/또는 기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인에이블할 수 있다. SN이 UE에 대해 불투명할 때, UE는 SN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UE는 SN의 포워딩 링크 및/또는 기능성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를 트리거하기 위해 전용 신호를 SN에 송신/전송/통신할 수 있다.
UE가 RRC_IDLE 스테이트에 있고, SN이 UE에 대해 투명한 경우, UE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고 프리앰블(예를 들어, RRC 확립,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핸드오버(handover), 및/또는 SI 요청 등)을 송신/시그널링할 수 있다. SN이 프리앰블을 수신하면, SN은 UE의 커버리지를 보장하기 위해 포워딩 링크를 활성화/턴 온할 수 있다(예를 들어, UE의 신호를 증폭하거나 포워딩 링크를 매개로 신호를 BS에 포워딩할 수 있음). UE가 RRC_IDLE 스테이트에 있고, SN이 UE에 대해 불투명한 경우, UE는 프리앰블, 기준 신호(RS), 및/또는 전용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SN으로 송신할 수 있다.
UE가 RRC_INACTIVE 스테이트에 있고, SN이 UE에 대해 투명한 경우, UE는 비활성 스테이트에서 프리앰블,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또는 스몰 데이터 송신(Small Data Transmission, SDT)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SN의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는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어케이전(occasion) 및/또는 UE-특정 구성된 그랜트 SDT(CG-SDT) 어케이전을 다룰 수(cover)/지원할 수 있다. UE가 RRC_INACTIVE 스테이트에 있고, SN이 UE에 대해 불투명한 경우, UE는 예를 들어, 프리앰블, SRS, SDT, 및/또는 전용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 동안 SN에 송신함으로써, 커버리지 레벨에 따라 SN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로 결정/판단할 수 있다.
UE가 RRC_CONNECTED 상태에 있고, SN이 UE에 대해 불투명한 경우, UE는 시스템 정보(SI) 신호, 라디오 자원 제어(RRC) 신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신호, 및/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빙 스테이트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및 주기성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커버리지 문제/이슈를 직면/경험하는 경우, UE는 SN 포워딩 링크를 턴 온하기로 결정/판단할 수 있다. SN 포워딩 링크를 턴 온하기 위한 판단 기준/조건은 N회의, 핸드오버를 위한 랜덤 액세스 실패,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송신 실패, 및/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송신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UE는 프리앰블, RS, 전용 시퀀스, PUCCH, 및/또는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SN(예를 들어,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 동안)으로 송신함으로써, 커버리지 레벨에 따라 또는 커버리지 레벨에 기초하여 SN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SN 포워딩 링크 또는 기능성이 활성화된 후, SN은 SN-UE 서빙 관계를 BS에 보고/표시할 수 있다. SN-UE 서빙 관계를 표시하는 정보는 PUCCH 또는 PUSCH에 의해 운반되는 업링크 제어 정보(UCI) 신호에, 또는 PUSCH에 의해 운반되는 MAC CE에 포함/임베디드(embedded)될 수 있다.
본 솔루션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이 다음의 도해 또는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단지 예시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솔루션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위해 본 솔루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단지 묘사할 뿐이다. 따라서, 도면은 본 솔루션의 폭, 범위 또는 적용 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성과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이들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는 않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BS에서 SN으로 그리고 SN에서 UE로 간의 전송 링크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SN의 포워딩 링크 또는 기능성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옵션들에 대한 트리도(tree diagram)를 보여준다.
도 6은 UE의 프로빙 스테이트와 SN의 모니터링 스테이트의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UE의 프로빙 스테이트와 SN의 모니터링 스테이트의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8은 SN이 UE 및/또는 BS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한 예시적인 절차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1. 모바일 기술 및 환경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시스템(100)을 보여준다. 다음 논의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네트워크와 같은 임의의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러한 예시적인 네트워크(100)는 통신 링크(110)(예를 들어, 무선 통신 채널)를 매개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102)(이하 "BS(102)"; 무선 통신 노드라고도 지칭됨) 및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104)(이하 "UE(104)"; 무선 통신 디바이스라고도 지칭됨)와, 지리적 영역(101)을 오버레이하는 셀들(126, 130, 132, 134, 136, 138, 140)의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도 1에서, BS(102) 및 UE(104)는 셀(126)의 개개의 지리적 경계 내에 포함된다. 다른 셀들(130, 132, 134, 136, 138, 140) 각각은 의도된 사용자에게 적절한 라디오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그 할당된 대역폭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S(102)는 UE(104)에 적절한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할당된 채널 전송 대역폭에서 동작할 수 있다. BS(102) 및 UE(104)는 각각 다운링크 라디오 프레임(118), 및 업링크 라디오 프레임(124)을 매개로 통신할 수 있다.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118/124)은 데이터 심볼들(122/128)을 포함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120/127)로 더 분할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BS(102) 및 UE(104)는 대체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통신 노드"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그러한 통신 노드는 본 솔루션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솔루션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신호(예를 들어, OFDM/OFDMA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시스템(200)은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는 알려진 또는 종래의 동작 특징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 및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200)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도 1의 무선 통신 환경(100)과 같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데이터 심볼을 통신(예를 들어, 송신 및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200)은 대체로 기지국(202)(이하 "BS(202)") 및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204)(이하 "UE(204)")를 포함한다. BS(202)는 BS(기지국) 트랜시버 모듈(210), BS 안테나(212), BS 프로세서 모듈(214), BS 메모리 모듈(216), 및 네트워크 통신 모듈(218)을 포함하고, 각각의 모듈은 필요에 따라 데이터 통신 버스(220)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고 상호 연결된다. UE(204)는 UE(사용자 장비) 트랜시버 모듈(230), UE 안테나(232), UE 메모리 모듈(234), 및 UE 프로세서 모듈(236)을 포함하며, 각각의 모듈은 필요에 따라 데이터 통신 버스(240)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고 상호 연결된다. BS(202)는 임의의 무선 채널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데이터 송신에 적합한 다른 매체일 수 있는 통신 채널(250)을 매개로 UE(204)와 통신한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된 모듈 이외의 임의의 수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분야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 모듈, 회로, 및 프로세싱 로직이 하드웨어, 컴퓨터 판독 가능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실용적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교환 가능성과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가 대체로 기능성 측면에서 설명된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에 익숙한 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방식으로 그러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이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UE 트랜시버(230)는 본 명세서에서 안테나(232)에 결합되는 회로를 각각 포함하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를 포함하는 "업링크" 트랜시버(230)로 지칭될 수 있다. 듀플렉스 스위치(duplex switch)(도시되지 않음)가 업링크 송신기 또는 수신기를 시간 듀플렉스 방식(time duplex fashion)으로 업링크 안테나에 선택적으로(alternatively) 결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구성에 따르면, BS 트랜시버(210)는 본 명세서에서 안테나(212)에 결합되는 회로를 각각 포함하는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트랜시버(210)로 지칭될 수 있다. 다운링크 듀플렉스 스위치가 선택적으로 다운링크 송신기 또는 수신기를 시간 듀플렉스 방식으로 다운링크 안테나(212)에 결합할 수 있다. 다운링크 송신기가 다운링크 안테나(212)에 결합됨과 동시에 업링크 수신기 회로가 무선 송신 링크(250)를 통한 송신을 수신하기 위해 업링크 안테나(232)에 결합되도록, 2 개의 트랜시버 모듈(210, 230)의 동작은 시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반대로, 업링크 송신기가 업링크 안테나(232)에 결합됨과 동시에 다운링크 수신기가 무선 송신 링크(250)를 통한 송신을 수신하기 위해 다운링크 안테나(212)에 결합되도록, 2 개의 트랜시버(210, 230)의 동작이 시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듀플렉스 방향 변화 사이에 최소 가드 타임(guard time)을 갖는 긴밀한 시간 동기화가 있다.
UE 트랜시버(230) 및 기지국 트랜시버(210)는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250)를 매개로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특정 무선 통신 프로토콜 및 변조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적합하게 구성된 RF 안테나 장치(212/232)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 트랜시버(230) 및 기지국 트랜시버(210)는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및 신흥 5G 표준 등과 같은 산업 표준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특정 표준 및 연관된 프로토콜에의 애플리케이션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UE 트랜시버(230) 및 기지국 트랜시버(210)는 미래의 표준 또는 그 변형을 포함하는, 대체의 또는 추가적인 무선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BS(202)는 예를 들어 진화된(evolved) 노드 B(eNB), 서빙(serving) eNB, 타깃(target) eNB, 펨토 스테이션(femto station), 또는 피코 스테이션(pico station)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204)는 휴대폰, 스마트폰, 개인 정보 단말기(PDA), 태블릿, 랩탑 컴퓨터, 웨어러블(wearable) 컴퓨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사용자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들(214, 23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내용 주소화 메모리(content addressable memory),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임의의 적합한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 개별(discrete)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상태 머신(state machine)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프로세서 모듈들(214, 236)에 의해 각각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임의의 실용적인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모듈들(216, 234)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이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로서 실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메모리 모듈들(216, 234)은 프로세서 모듈들(210, 230)이 각각 메모리 모듈들(216, 234)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 모듈들(210, 23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 모듈들(216, 234)은 또한 그것들의 개개의 프로세서 모듈들(210, 230)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메모리 모듈들(216, 234)은 프로세서 모듈들(210, 230)에 의해 각각 실행되는 명령의 실행 동안 임시 변수 또는 다른 중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들(216, 234)은 또한 프로세서 모듈들(210, 230)에 의해 각각 실행되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모듈(218)은 대체로 기지국 트랜시버(210) 및 기지국(202)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네트워크 구성요소들과 통신 노드들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프로세싱 로직, 및/또는 기지국(202)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 모듈(218)은 인터넷 또는 WiMAX 트래픽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형적인 배치에서, 제한되지 않고, 네트워크 통신 모듈(218)은 기지국 트랜시버(210)가 종래의 이더넷 기반 컴퓨터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802.3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통신 모듈(218)은 컴퓨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에 연결하기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동작 또는 기능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을 위해 구성된", "~하도록 구성된" 및 이들의 활용형은 특정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축된, 프로그램된, 형식화된(formatted) 및/또는 배열된 디바이스, 구성요소, 회로, 구조, 머신, 신호 등을 지칭한다.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모델(본 명세서에서는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모델"로 지칭됨)은 다른 시스템과의 상호 연결 및 통신에 개방된 시스템(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통신을 정의하는 개념적이고 논리적인 레이아웃이다. 상기 모델은 7 개의 하위 구성요소 또는 계층으로 구분되며, 이들 각각은 그것의 위에 및 아래에 있는 계층들에 제공되는 개념적인 서비스들의 집합(collection)을 나타낸다. OSI 모델은 또한 논리적 네트워크를 정의하고 다양한 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컴퓨터 패킷 전송을 효과적으로 설명한다. OSI 모델은 7 계층 OSI 모델 또는 7 계층 모델이라고도 지칭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계층은 물리 계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계층은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계층은 라디오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4 계층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5 계층은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6 계층은 비 액세스 스트라텀(Non Access Stratum, NAS) 계층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계층일 수 있고, 제7 계층은 기타 계층일 수 있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솔루션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솔루션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개시를 읽은 후, 본 솔루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솔루션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보여진 예시적인 실시예 및 애플리케이션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체계는 단지 예시적인 접근방식에 불과하다. 설계 선호도에 기초하여, 개시된 방법 또는 프로세스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체계는 본 솔루션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 재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기술은 다양한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샘플 순서로 제시하는 것이고,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 솔루션은 제시되는 특정 순서 또는 체계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것이다.
2.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특정 시스템(예를 들어, 5G 뉴 라디오(new radio, NR), 차세대(Next Generation, NG) 시스템, 3GPP 시스템, 및/또는 기타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제어 중계기(network-controlled repeater)는 네트워크로부터 사이드 제어 정보(side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 및/또는 프로세싱하는 능력으로 종래의 RF 중계기에 대한 개선으로 소개될 수 있다. 사이드 제어 정보는 네트워크 제어 중계기가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증폭 및 포워딩 동작을 수행/실행/작동하도록 허용한다. 특정 이점에는 적어도 불필요한 노이즈(noise) 증폭의 완화, 더 나은 공간 지향성(spatial directivity)을 갖는 송신 및 수신, 및/또는 단순화된 네트워크 통합이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 중계기(network-controlled repeater, NCR)는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의 디딤돌로 간주될 수 있다. RIS 노드는 수신된 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조정하여 커버리지(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 커버리지)를 개선/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제어 중계기, 스마트 중계기, 재구성 지능형 표면(RIS), 통합 액세스 및 백홀(IAB)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네트워크 노드는 단순화를 위해 스마트 노드(SN)(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로 표기, 지칭 또는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N은 BS(102)가 커버리지를 개선(예를 들어, 장애물/차단을 회피/방지함, 송신 범위를 증가시킴 등)하는 것을 도모하기 위한 일종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거나, 이에 해당하거나, 이를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SN은 다른 SN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UE(104)는 셀 에지(cell-edge) UE들과 같이, 다른 SN으로부터의 간섭을 겪을 수 있다.
다른 SN으로부터의 (예를 들어, 예상치 못한) 간섭을 완화/최소화/감소시키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기술적 솔루션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은 온/오프 상태 제어를 도입/제공/활용할 수 있다. 온/오프 상태 제어를 통해, 네트워크(예를 들어, BS(102))는 하나 이상의 SN에 대한 온/오프 상태/표시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SN(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을 통한 BS(102)와 UE(104) 간의 통신 중에 간섭의 잠재적인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온/오프 제어는 하나 이상의 SN이 UE(104)에 대해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상태에서 UE(104)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네트워크(300)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BS(들)(102)과 UE(들)(104)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BS(102A-102B)(예를 들어, BS들(102))는 그 셀들에서 개개의 하나 이상의 SN(306A-306B)(예를 들어, 때때로 SN(들)(306)로 표지됨)을 매개로 각각 하나 이상의 UE(104A-104B)를 서빙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 SN(306)으로부터의 신호가 인접한 셀에서의 통신을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306A)으로부터의 신호는 UE(104B)와 연관된 셀에서의 통신을 방해할 수 있고/있거나 SN(306B)로부터의 신호는 UE(104A)와 연관된 셀에서의 통신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상이한 셀들 사이에서 적어도 SN들(306)의 신호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SN에 대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BS(102)에서 SN(306)으로 그리고 SN(306)에서 UE(104)로의 전송 링크의 개략도(400)를 보여준다. SN(306)은 통신 유닛(CU)(예를 들어, SN CU) 및 포워딩 유닛(FU)(예를 들어, SN FU)과 같이, 적어도 2 개의 기능적 부분/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N CU는 네트워크 제어 중계기(NCR) MT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SN FU는 NCR 포워더/포워딩(Fwd)일 수 있다. SN CU는 예를 들어 BS(102)로부터 사이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디코딩하기 위해, UE(104)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하거나 동작/거동할 수 있다. SN CU는 제어 유닛, 컨트롤러, 모바일 단말(MT), UE(104)의 부분, 제3자 IoT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SN FU는 SN CU에 의해 수신된 사이드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지능적인 증폭 및 포워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N FU는 라디오 유닛(Radio Unit, RU), RIS 등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S(102)에서 SN(306)으로 그리고 SN(306)에서 UE(104)로 간의 전송 링크는 다음과 같이 정의/설명/제공될 수 있다:
C1: SN CU에서 BS로의 제어 링크;
C2: BS에서 SN CU로의 제어 링크;
F1: SN FU에서 BS로의 백홀 링크;
F2: BS에서 SN FU로의 백홀 링크;
F3: UE에서 SN FU로의 액세스 링크; 및
F4: SN FU에서 UE로의 액세스 링크.
제어 링크(예를 들어, 통신 링크라고도 지칭됨)는 한 쪽으로부터의 신호가 다른 쪽에 의해 검출 및 디코딩되어, 제어 링크에서 송신되는 정보가 포워딩 링크(예를 들어, 백홀 링크 및/또는 액세스 링크)의 상태를 제어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음을 지칭하거나 의미할 수 있다. 포워딩 링크는 BS(102) 또는 UE(104)로부터의 신호가 SN FU에 알려지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SN FU는 신호를 디코딩하지 않고 신호를 증폭 및 포워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1 및 F3 링크는 UE(104)에서 BS(102)로의 완전한(complete) 업링크(UL) 포워딩 링크(예를 들어, 각각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에 해당하거나 연관될 수 있으며, 여기서 F1은 SN FU UL 포워딩 링크이다. 추가적으로, F2 및 F4 링크는 BS(102)에서 UE(104)로의 완전한 DL 포워딩 링크(예를 들어, 각각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에 해당하거나 연관될 수 있으며, 여기서 F4는 SN FU DL 포워딩 링크이다. F1 및 F2 링크는 백홀 링크에 해당하거나 이로 지칭될 수 있고, F3 및 F4 링크는 액세스 링크에 해당하거나 이로 지칭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 SN의 포워딩 링크 또는 기능성을 활성화하기 위해 UE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예를 들어, On/Off 모니터링 스테이트의) SN
도 5를 참조하면, SN(306)의 포워딩 링크 또는 기능성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옵션의 트리도(500)가 도시되어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SN(306)의 포워딩 링크는 오프(off)/비활성화(deactivated)/디스에이블(disabled)될 수 있다. SN(306)은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예를 들어, SN CU가 UE(104)로부터의 UL 신호/송신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유지/계속할 수 있는 스테이트)에 있거나 모니터링을 위한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예를 들어, 이러한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SN CU는 UE(104)로부터의 UL 신호/송신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유지/계속할 수 있음)이 제공될 수 있다.
SN(306)은 SN(306)의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를 구성하기 위해,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및 주기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표시가 BS(102)로부터 표시되거나 수신/획득될 수 있다. SN(306)은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AM) 신호, 시스템 정보(SI) 신호, 라디오 자원 제어(RRC) 신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신호, 및/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통해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1) OAM 신호를 통해, SN(306)에 표시되는 파라미터(예를 들어, 지속기간 및/또는 주기성)는 OAM을 매개로 네트워크(예를 들어, BS(102))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2) SI 신호를 통해, 파라미터는 SI를 매개로 BS(102)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a. 이 경우, SN(306)의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의 구성은 셀 내의 모든 SN들(306)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3) RRC 신호를 통해, 이러한 새로운 RRC 파라미터들이 정의될 것이며, 값 또는 값들의 세트가 RRC 메시지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4) DCI 신호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새로운 DCI 필드가 정의/구성될 수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기존 DCI 필드가 재해석/재구성/재정의될 수 있다.
5) MAC CE 신호를 통해, SN 모니터링 MAC CE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MAC CE가 정의될 수 있다.
6) RRC 및 DCI 신호를 통해,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한 값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가 RRC 메시지/신호에서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값들의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DCI 신호에 의해 활성화/인에이블될 수 있다.
7) RRC 및 MAC CE 신호를 통해,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한 값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가 RRC 메시지에서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값들의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MAC CE 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8) RRC, MAC CE 및 DCI 신호를 통해,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한 값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가 RRC 메시지에서 구성될 수 있고, 값들의 서브세트/일부가 MAC CE 신호에 의해 또는 MAC CE 신호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및/또는 값들의 서브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DCI 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9) OAM 및 DCI 신호를 통해, 파라미터는 OAM 신호를 매개로 BS(102)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파라미터들의 하나 이상의 값은 DCI 신호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10) OAM 및 MAC CE 신호를 통해, 파라미터는 OAM 신호를 매개로 BS(102)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파라미터들의 하나 이상의 값은 MAC CE 신호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SN(306)은 UE(104)에 대해 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306)이 UE(104)에 대해 투명한 경우, UE(104)의 거동/특성/동작은 레거시와 유사할 수 있다. 이 경우, UE(104)는 SN(306)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UE(104)는 신호를 (예를 들어, 직접) BS(102)로 송신/전송/통신/제공할 수 있다. 송신 중에, SN CU는 UE(104)로부터의 UL 신호를 검출/인터셉트(intercept)할 수 있다. 따라서, SN(306)은 UL 신호에 기초하여 적절한 UL 송신을 보장하기 위해 SN(306)의 적어도 하나의 포워딩 링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SN(306)이 UE(104)에 대해 불투명한 경우, UE(104)는 SN(306)의 포워딩 링크 또는 기능성의 활성화를 트리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전용 신호를 SN(306)에 송신/통신할 수 있다.
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예를 들어, 다른 링크들 중에서도 포워딩 링크의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는 다음 링크들:
F1: SN FU에서 BS(102)로의 포워딩 링크;
F2: BS(102)에서 SN FU로의 포워딩 링크;
F3: UE(104)에서 SN FU로의 포워딩 링크; 및/또는
F4: SN FU에서 UE(104)로의 포워딩 링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적용, 구성 또는 이용될 수 있다.
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는 다음 포워딩 기능성:
Fc1: SN FU에서 BS(102)로의 포워딩 기능성;
Fc2: BS(102)에서 SN FU로의 포워딩 기능성;
Fc3: UE(104)에서 SN FU로의 포워딩 기능성; 및/또는
Fc4: SN FU에서 UE(104)로의 포워딩 기능성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예: RRC_IDLE 스테이트의 UE
일부 구현에서, UE는 RRC_IDLE 스테이트(예를 들어, 때때로 유휴 스테이트(idle state)라고도 함)에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구현에서, UE(104)의 스테이트는 SN(306)에 표시/제공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UE(104)의 스테이트는 SN(306)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SN(306)은 UE(104)에 대해 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306)이 UE(104)에 대해 투명하면(예를 들어, 레거시 거동), UE(104)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에 응답하여 또는 이와 동시에, UE(104)는 신호를 SN(306)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한 다른 타입의 신호들 중에서도, 프리앰블(예를 들어, 때때로 msg1이라고 함), msg3 또는 msgA PUSCH(예를 들어, RRC 확립, 스케줄링 요청(SR), 버퍼 상태 보고(BSR), 빔 실패 복구, 핸드오버, 및/또는 SI 요청을 위함)를 포함할 수 있다. SN(306)이 프리앰블, msg3 또는 msgA PUSCH를 수신/인터셉트/획득한 이후에, SN(306)은 온/오프 스테이트(예를 들어, 때때로 온/오프 구성이라고 지칭될 수 있음)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UE(104)에 대해 커버리지 또는 신호 포워딩을 위한 지원을 보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포워딩 링크를 턴 온/활성화/인에이블/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포워딩 링크는 SN(306)에서 BS(102)로의 제1 백홀 링크(예를 들어, F1 링크), BS(102)에서 SN(306)으로의 제2 백홀 링크(예를 들어, F2 링크), UE(104)에서 SN(306)으로의 제1 액세스 링크(예를 들어, F3 링크), 및/또는 SN(306)에서 UE(104)로의 제2 액세스 링크(예를 들어, F4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앰블은 SN(306)의 포워딩 링크(들)의 온/오프 구성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SN(306)이 UE(104)에 대해 불투명하면, UE(104)는 UE 프로빙 스테이트(예를 들어, 때때로 트리거링 스테이트라고도 지칭됨)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및 주기성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가 표시되거나 이를 수신/획득할 수 있다. UE(104)는 또한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시작 시간, 패턴, 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주기성, 주파수 도메인 표시자, 주파수 오프셋, 자원 블록(RB) 넘버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가 표시되거나 이를 수신/획득할 수 있다. UE(104)는 예를 들어 SN(306) 및/또는 BS(10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시스템 정보 또는 구성을 매개로/통해 표시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기에 앞서 또는 개시하기 전에, UE(104)는 신호 포워딩(예를 들어, SN(306)의 하나 이상의 포워딩 링크)을 지원하기 위해 SN(306)을 트리거(예를 들어, 턴 온/활성화/인에이블)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은 UE(104)에 의해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SSB)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의 측정에 기초하거나 이에 따를 수 있다.
SN 포워딩 링크를 활성화하기로 결정하면, UE(104)는 SN(306)으로 신호를 송신/전송/제공/통신할 수 있다. 신호는 프리앰블(예를 들어, SN(306)에 대해 전용), RS(예를 들어, SRS 및/또는 DMRS 등 중 적어도 하나) 신호, 및/또는 (예를 들어, 새로운) 전용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4)는 적어도 하나의 전용 프리앰블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전용 프리앰블은 SN(306) 및 UE(104)에 의해 알려진 전용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용 자원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어케이전의 시간 도메인 자원, PRACH 어케이전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및/또는 프리앰블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 인덱스는 코드(code) 도메인 자원의 일 타입으로 간주되거나 표시될 수 있는 논리적 인덱스를 포함하거나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이한 인덱스들을 갖는 프리앰블들은 Zadoff-Chu(ZC) 시퀀스의 상이한 순환 시프트(cyclic shift)들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전용 시퀀스는 전용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전용 시퀀스는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OOK) 시퀀스, 컴퓨터 생성 시퀀스(computer-generated sequence, CGS), 및/또는 낮은 피크전력 대 평균전력 비(low peak-to-average-power ratio, PAPR)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전용 시퀀스는 신호 검출을 단순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추가적인 시간-주파수 전이 연산(transition operation) 없이 시간 도메인에서 신호 검출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 RRC_INACTIVE 스테이트의 UE
일부 구현에서, UE(104)는 RRC_INACTIVE 스테이트(예를 들어, 때때로 비활성 스테이트(inactive state)라고도 함)에 있을 수 있다. SN(306)은 UE(104)에 대해 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306)이 UE(104)에 대해 투명하면(예를 들어, 레거시 거동), UE(104)는 연결된 스테이트를 재개/계속/유지하는 것과 같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후에, UE(104)는 SN(306)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신호는 프리앰블, 랜덤 액세스 절차에 의해 확립된 msg3 또는 MsgA PUSCH, SRS, 및/또는 비활성 스테이트에서의 스몰 데이터 송신(SD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104)는 구성된 그랜트 SDT(CG-SDT) 및/또는 랜덤 액세스 SDT(RA-SDT)를 송신(예를 들어, CG-SDT 및/또는 RA-SDT의 구성된 업링크 송신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하기 위해 SDT 절차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이 경우, SN(306)의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예를 들어, 트리거링 스테이트)는 RACH 어케이전 및/또는 UE 특정 CG-SDT 어케이전 중 적어도 하나를 다루거나 지원할 수 있다.
SN(306)은 프리앰블, SRS, 및/또는 SDT 관련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예를 들어, UL 신호)를 UE(10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신호를 수신한 후, SN(306)의 포워딩 링크는 UE(104)에 대해 커버리지 또는 신호 포워딩에 대한 지원을 보장하기 위해 턴 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는 노멀(normal) 랜덤 액세스 절차(들)(예를 들어, RRC 재개 요청, SR, BST, 빔 실패 복구, 핸드오버, 및/또는 SI 요청)에 대한 프리앰블, msg3 또는 MsgA PUSCH를 포함하거나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신호는 UE(104)가 비활성 스테이트에 있을 때 포지셔닝을 위한 SRS와 같은 S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신호는 RA-SDT를 위한 프리앰블, RA-SDT를 위한 msg3 또는 MsgA PUSCH(예를 들어, UE ID 등을 포함), 및/또는 CG-SDT를 위한 구성된 UL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에 응답하여, SN(306)은 신호 포워딩(예를 들어, 포워딩 링크 중 적어도 하나)을 지원하기 위해 SN(306)을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온/오프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SN(306)은 UE(104)에 대해 불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306)이 UE(104)에 대해 불투명하면, UE(104)는 UE(104)의 UE 프로빙 스테이트(예를 들어, 때때로 트리거링 스테이트라고 함)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또는 주기성, 및/또는 SN(306)의 위치 또는 빔/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가 수신 또는 제공될 수 있다. UE(104)는 무엇보다도, SI 신호, RRC 신호(예를 들어, UE(104)가 비활성 스테이트에 들어갈 때 RRC 해제 메시지에서), DCI 신호, 및/또는 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상기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측면에서, UE(104)는 (예를 들어, SSB 측정을 매개로) 커버리지 문제를 경험/직면/식별할 수 있다. UE(104)는 랜덤 액세스 절차 개시, SDT 절차를 트리거, 및/또는 포지셔닝 등을 목적으로 SN 포워딩 링크를 활성화(예를 들어, SN(306)에 의한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로 결정/판단할 수 있다. UE(104)는 커버리지 레벨에 기초하여 또는 그에 따라 SN(306)의 온/오프 상태/조건/스테이트를 제어하거나 트리거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4)는 (예를 들어, SR, BSR, 빔 실패 복구, 핸드오버, 및/또는 SI 요청에 대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UE(104)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개시한 이후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신호는 프리앰블, 랜덤 액세스 절차에 의해 확립된 msg3 또는 msgA PUSCH, RS, SDT 및/또는 SN(306)(예를 들어,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 동안)에 대한 전용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 msg3 또는 msgA PUSCH는 SN(306)을 활성화(예를 들어,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해 전용/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UE(104) 및 SN(306)에 의해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신호의 RS는 SRS(예를 들어, 비활성 스테이트에서의 포지셔닝을 위함), 복조 기준 신호(DMRS), 및/또는 위상 추적 기준 신호(P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104)는 (예를 들어, 신호에 포함되는) CG-SDT 및/또는 RA-SDT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기 위해 SDT 절차를 트리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4)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는 SDT 절차에 의해 또는 이를 매개로 트리거될 수 있다. 전용 시퀀스는 전용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시퀀스를 포함하거나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전용 시퀀스는 OOK 시퀀스, CGS, 및/또는 낮은 PAPR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전용 시퀀스는 신호 검출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검출은 추가적인 시간-주파수 전이 연산 없이 시간 도메인에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된 신호는 시간 도메인에서 (예를 들어, 직접) 프로세싱될 수 있어서 고속 푸리에 역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연산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있거나 신호 프로세싱 절차가 단순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SN(306)은 UE(104)로부터 U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는 프리앰블, SRS, SDT 관련 신호, 및/또는 전용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에 응답하여, SN(306)은 UE(104)에 대한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포워딩 링크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리앰블은 노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것일 수 있다. SRS는 포지셔닝을 위한 SRS일 수 있다. 프리앰블은 RA-SDT, RA-SDT를 위한 msg3 또는 MsgA PUSCH, 및/또는 CG-SDT를 위한 구성된 UL 송신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전용 시퀀스는 OOK 시퀀스, CGS, 및/또는 낮은 PAPR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 RRC_CONNECTED 스테이트의 UE
다양한 구현에서, UE(104)는 연결된 스테이트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SN(306)이 UE(104)에 대해 투명하면, UE(104)로부터의 신호는 SN(306)에 의해 무효로 되거나, 무시될 수 있거나, 인터셉트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SN(306)은 UE(104)로부터의 신호(예를 들어, 비활성 스테이트에서 송신된 SDT)에 기초하거나 그에 따라 UE(104)의 스테이트를 결정, 식별,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UE(104)의 스테이트가 SN(306)에 제공되지 않으면, SN(306)은 신호에 포함된 정보의 타입(예를 들어, 유휴 스테이트 또는 비활성 스테이트의 UE와 비교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셉트되거나 수신된 신호를 무효로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SN(306)이 불투명하면, UE(104)로부터의 신호는 무효로 되지 않을 수 있다.
SN(306)이 UE(104)에 대해 불투명한 경우, UE(104)에는 UE 프로빙 스테이트(예를 들어, 때때로 트리거링 스테이트라고도 함)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또는 주기성, 및/또는 SN(306)의 위치 또는 빔/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표시는 시스템 정보, RRC, DCI, 및/또는 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제공될 수 있다. UE(104)에 대한 파라미터(예를 들어, UE(104)의 프로빙 스테이트를 구성하기 위함)는 SN(306)에 대해 구성되는 파라미터(예를 들어, SN(306)의 모니터링 스테이트를 구성하기 위함)와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UE(104)의 프로빙 스테이트는 SN(306)의 모니터링 스테이트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UE의 예시적인 프로빙 스테이트와 SN(306)의 모니터링 스테이트의 그래프(600)가 도시되어 있다. 프로빙 스테이트와 모니터링 스테이트의 시간 지속기간은 서로 유사할 수 있다. 이 경우, UE(104)가 프로빙 스테이트에 있을 때, UE(104)는 하나 이상의 포워딩 기능성 또는 링크의 활성화를 위해, (예를 들어, 프로빙 스테이트와 동일한 시간 지속기간 및 인스턴스 동안 모니터링 스테이트에 있는) SN(306)에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UE(104)의 프로빙 스테이트는 SN(306)의 모니터링 스테이트의 서브세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UE(104)의 프로빙 스테이트와 SN(306)의 모니터링 스테이트에 대한 또 다른 예의 그래프(700)가 도시되어 있다. 프로빙 스테이트의 시간 지속기간은 모니터링 스테이트의 시간 지속기간과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빙 스테이트의 시간 지속기간은 모니터링 스테이트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프로빙 스테이트에 있는 UE(104)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포워딩 기능성 또는 링크의 활성화를 위해, (예를 들어, 프로빙 스테이트보다 더 넓거나 더 큰 시간 지속기간 및/또는 인스턴스를 갖는 모니터링 스테이트에 있는) SN(306)에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상이한 경우, SN(306)은 다수의 UE들(104)을 서빙/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UE(104)에 대한 프로빙 스테이트의 지속기간은 SN(306)에 대한 모니터링 스테이트의 지속기간의 서브세트일 수 있다. 표시 또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다음을 매개로/통해 UE(104)에 제공될 수 있다:
1) 시스템 정보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시스템 정보를 매개로 구성될 수 있음;
2) RRC 신호를 통해, RRC 메시지를 매개로 하나 이상의 새로운 RRC 파라미터가 정의/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값 또는 값들의 세트가 구성될 수 있음;
3) DCI 신호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새로운 DCI 필드가 정의될 수 있고/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기존 DCI 필드가 재해석/구성/수정될 수 있음;
4) MAC CE 신호를 통해, SN 모니터링 MAC CE 신호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MAC CE가 정의될 수 있음;
5) RRC 및 DCI 신호를 통해,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한 값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가 RRC 메시지에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값들의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DCI 신호를 매개로 활성화될 수 있음;
6) RRC 및 MAC CE 신호를 통해,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한 값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가 RRC 메시지에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값들의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MAC CE 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음; 및/또는
7) RRC, MAC CE, 및 DCI 신호를 통해,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한 값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가 RRC 메시지에 구성될 수 있으며, 값들의 적어도 서브세트/일부가 MAC CE 신호에 의해 또는 MAC CE 신호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있거나 값들의 서브세트 중 적어도 하나가 DCI 신호를 매개로 활성화될 수 있음.
또한, 불투명한 SN(306)의 경우, (예를 들어, SSB 측정을 매개로) UE(104)가 커버리지 문제에 직면하는 경우, UE(104)는 SN 포워딩 링크를 활성화하거나 SN(306)에 의한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도록 결정/판단할 수 있다. UE(104)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를 위한) 랜덤 액세스 실패, PUCCH 송신 실패, 및/또는 PUSCH 송신 실패가 정의된 횟수(예를 들어, N 회)(예를 들어, 무엇보다도, 명세 또는 시스템 정보에 구성됨) 만큼 발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버리지 문제들 또는 기준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포워딩 링크를 활성화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UE(104)는 커버리지 레벨에 따라 SN(306)의 온/오프 상태/스테이트를 제어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UE(104)는 프리앰블, RS, 전용 시퀀스, PUCCH, 및/또는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SN(306)에 송신함으로써(예를 들어,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 동안) SN(306)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4)는 핸드오버 등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UE(104)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의해 확립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프리앰블은 SN(306)에 의한 신호 포워딩 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해 UE(104) 및 SN(306)에 의해 알려진 전용 자원(예를 들어, PRACH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용 자원은 PRACH 어케이전의 시간 도메인, PRACH 어케이전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및/또는 프리앰블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UE(104)는 DMRS, SRS, 및/또는 P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RS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RS 신호는 예를 들어, SN(306)(예를 들어, SN(306)의 포워딩 링크 및/또는 기능성)을 활성화하기 위해, UE(104) 및 SN(306)에 의해 알려진 전용 포트 인덱스로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측면에서, UE(104)는 전용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시퀀스(예를 들어, 때때로 전용 시퀀스로 지칭됨)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용 시퀀스는 OOK 시퀀스, CGS, 및/또는 낮은 PAPR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전용 시퀀스는 신호 검출을 단순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추가적인 시간-주파수 전이 연산 없이 시간 도메인에서 신호 검출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신호는 SN(306)을 활성화하기 위해 UE(104) 및 SN(306)에 의해 알려진 정의된 PUCCH 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신호는 SN(306)을 활성화하기 위해 PUSCH에 새로운 또는 정의된 MAC CE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SN(306)이 무엇보다도 프리앰블, RS, 전용 시퀀스, PUCCH, 및/또는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예를 들어, UL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UE(104)의 신호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신호 포워딩 능력/기능성을 지원하기 위해 SN(306)의 포워딩 링크가 인에이블/턴 온/활성화될 수 있다.
SN 포워딩 링크 및/또는 기능성을 활성화한 이후에, SN(306)은 BS(102)에 SN-UE 서빙 관계를 보고/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306)은 PUCCH 또는 PUSCH를 매개로 한 업링크 제어 정보(UCI) 신호에서, 및/또는 PUSCH를 매개로 또는 이에 의해 운반되는 MAC CE 신호에서, (예를 들어, SN-UE 서빙 관계를 포함하는) 온/오프 구성의 표시를 전송/송신/시그널링할 수 있다. BS(102)가 SN(306)으로부터 온/오프 구성 보고를 수신한 후, BS(102)는 시스템 정보(SI)를 하나 이상의 UE들(104)에 송신/브로드캐스트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UE들(104)에게 SN(306)(예를 들어, SN(306)의 하나 이상 링크)이 활성화되어 있거나 턴 온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SI는 BS(102)로부터 직접 적어도 하나의 UE(104)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SN(306)을 매개로(예를 들어, BS(102)에서 SN(306), UE(104)로) 송신/포워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BS(102)는 에너지 절약 모드(예를 들어, 딥 슬립(deep sleep)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에 있을 수 있다. BS(102)는 BS(102)가 UE(104)(예를 들어, UE(10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깨어나거나 활성화될 수 있는 모니터링 스테이트에 있을 수 있어서, BS(102)가 턴 온되거나 노멀 또는 활성 스테이트/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UE(104)에서 BS(102)로의 신호는 UE(104)가 유휴, 비활성, 및/또는 연결된 스테이트에 있을 때 UE(104)에서 SN(306)으로 송신되는 신호와 유사할 수 있다(예를 들어, BS(102)는 불투명한 SN과 유사하게 UE(104)에 대해 불투명할 수 있음). 따라서, 하나 이상의 UE(104)로부터의 관련 신호는, 예를 들어 SN(306)을 활성화하는 것에 부가하여 BS(102)를 활성화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유휴 스테이트에 있는 UE(104)의 경우, UE(104)에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BS(102) 및/또는 SN(306)에 의해 제공됨)를 매개로 UE 프로빙 스테이트(예를 들어, 때때로 트리거링 스테이트라고도 함)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및 주기성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UE(104)는 프리앰블, msg3, msgA PUSCH, RS(예를 들어, SRS, DMRS 등) 신호, 및/또는 (예를 들어, 새로운) 전용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BS(102)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4)는 BS(102)를 활성화하기 위해 전용 프리앰블 자원(예를 들어, PRACH 어케이전의 시간 도메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및/또는 프리앰블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UE(104)는 SRS 신호 및/또는 DMRS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RS 신호를 BS(102)에 송신할 수 있다. UE(104)는 OOK 시퀀스, CGS, 및/또는 낮은 PAPR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용 시퀀스를 송신할 수 있다. 전용 시퀀스는 추가적인 시간-주파수 전이 연산 없이 신호 검출이 시간 도메인에서 프로세싱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 검출을 단순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비활성 스테이트에 있는 UE(104)의 경우, 예를 들어, UE(104)가 비활성 스테이트에 들어갈 때, RRC 해제 메시지를 매개로 UE 프로빙 스테이트(예를 들어, 때때로 트리거링 스테이트라고도 함)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및 주기성 중 적어도 하나가 UE(104)에 제공될 수 있다. UE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BS(102)를 활성화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신호는 프리앰블, msg3, msgA PUSCH, RS, SDT, 및/또는 BS(102)(예를 들어,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 동안)에 대한 전용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4)는 전용 프리앰블 자원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전용 프리앰블 자원은 BS(102)를 활성화하기 위해 PRACH 어케이전의 시간 도메인 자원, PRACH 어케이전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및/또는 프리앰블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104)는 RS 신호를 BS(102)로 송신할 수 있다. RS 신호는 SRS 신호 및/또는 DMRS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104)는 (예를 들어, BS(102)에 대한 신호의 일부로서) CG-SDT 및/또는 RA-SDT를 송신하기 위해 SDT 절차를 트리거할 수 있다. UE(104)는 OOK 시퀀스, CGS, 및/또는 낮은 PAPR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용 시퀀스를 송신할 수 있다. 전용 시퀀스는 추가적인 시간-주파수 전이 연산 없이 신호 검출이 시간 도메인에서 프로세싱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 검출을 단순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연결된 스테이트에 있는 UE(104)의 경우, UE(104)에 시스템 정보, RRC, DCI, 및/또는 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UE 프로빙 스테이트(예를 들어, 때때로 트리거링 스테이트라고 함)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및 주기성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UE(104)에 대한 파라미터는 BS(102) 및/또는 SN(306)에 대해 구성된 파라미터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경우, UE(104)에 대한 지속기간은 BS(102) 및/또는 SN(306)에 대한 지속기간의 서브세트 또는 일부일 수 있고, 이는 BS(102) 및/또는 SN(306)이 다수의 UE들(104)을 서빙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 UE(104)는 (예를 들어, 온/오프 모니터링 스테이트 동안) BS(102)에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BS(102)를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신호는 프리앰블, msg3, msgA PUSCH, RS, 전용 시퀀스, PUCCH, 및/또는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104)는 BS(102)를 활성화하기 위해 전용 프리앰블 자원(예를 들어, PRACH 어케이전의 시간 도메인 자원, PRACH 어케이전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및 프리앰블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UE(104)는 BS(102)를 활성화하기 위해 UE(104) 및 BS(102)에 의해 알려진 전용 포트 인덱스로 DMRS, SRS, 및/또는 P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RS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UE(104)는 OOK 시퀀스, CGS, 및/또는 낮은 PAPR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용 시퀀스를 신호의 일부로서 송신할 수 있다. 전용 시퀀스는 신호 검출을 단순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서, 추가적인 시간-주파수 전이 연산 없이 시간 도메인에서 신호 검출이 프로세싱될 수 있다. UE(104)는 예를 들어 BS(102)를 활성화하는 데 전용되는 UE(104) 및 BS(102)에 의해 알려진 PUCCH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UE(104)는 BS(102)를 활성화하는 데 전용되는 PUSCH에서 새로운 MAC CE를 송신할 수 있다.
요약하면, 다양한 구현에서, UE(104), SN(306), 및/또는 BS(102)는 SN(306)(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BS(102))의 온/오프 스테이트(또는 구성)를 결정, 구성, 및/또는 변경하기 위해 서로 간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신호는 무엇보다도, 초기 액세스를 위해 UE(104)를 구성하기 위한 프리앰블, SN(306)의 온/오프 스테이트로의 변경을 인에이블하는 데 전용되는, UE(104)를 구성하기 위한 프리앰블, msg3 또는 MsgA PUSCH, RS(예를 들어, 전용 포트 인덱스로 송신될 수 있는, SRS, DMRS, 및/또는 PTRS), 구성된 그랜트 SDT(CG-SDT)의 구성된 업링크 송신, 전용 PUCCH 송신, PUSCH에서 정의된 MAC CE 신호, 및/또는 전용 신호 또는 데이터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UE(104)는 BS(102)로부터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는 UE(104)의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시작 시간, 패턴, 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주기성, 주파수 도메인 표시자, 주파수 오프셋, 자원 블록(RB)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UE(104)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SN(306)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프로빙 스테이트(또는 트리거링 스테이트)에 있을 수 있다. UE(104)는 예를 들어 SN(306)을 활성화하거나 트리거하기 위해,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신호를 SN(306)으로 송신할 수 있다. UE(104)는 SI 신호, RRC 신호, DCI 신호, 및/또는 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측면에서, UE(104)는 SSB의 RSRP 측정, 랜덤 액세스 실패,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송신 실패, 및/또는 PUSCH 송신 실패가 정의된 횟수 만큼 발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예를 들어, SN(306)을 활성화 또는 인에이블하는)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한 SN(306)을 트리거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 구현에서, UE(104)는 예를 들어 SN(306)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트리거하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성(또는 능력)(예를 들어, 신호 전송 기능성)을 인에이블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BS(102)로부터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UE(104)는 유휴 스테이트에 있을 수 있고, SN(306)은 UE(104)에 대해 불투명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SN(306)이 UE(104) 및/또는 BS(10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절차(800)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UE(104)는 SN(306)에 신호를 송신/전송/제공할 수 있다. SN(306)은 UE(104)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UE(10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SN(306)은 SN(306)(예를 들어, SN(306)의 기능성 또는 능력)의 온/오프 스테이트(예를 들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SN(306)은 UE(104)로부터의 신호와 관련하여 또는 그에 따라 SN(306)의 (예를 들어, 포워딩 링크 및/또는 포워딩 기능성에 대응하는) 온/오프 스테이트를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SN(306)은 (예를 들어, 제어 링크를 매개로) UE(104)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SN(306)은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온/오프 스테이트를 직접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SN(306)은 제2 신호(예를 들어, 제1 신호에 따른 제1 메시지)를 생성하여 BS(102)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신호는 제1 신호와 유사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신호는 제1 신호에 따른 검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정보는 제1 신호의 검출 여부, 검출된 UE 넘버들(예를 들어, UE들(104)의 넘버), SINR 레벨(예를 들어, SINR 값 또는 SINR 값의 대표 레벨에 해당), 및/또는 RSRP 레벨(예를 들어, RSRP 값 또는 SINR 값의 대표 레벨에 해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신호는 MAC CE 또는 UCI에서 송신될 수 있다. BS(102)는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BS(102)는 제2 신호에 포함된 정보 또는 표시를 프로세싱하여 SN(306)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한다. 결정에 응답하여 또는 그 후에, BS(102)는 제3 신호(예를 들어, 제2 메시지)를 생성하여 SN(306)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3 신호는 예를 들어 SN(306)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어떻게 결정할지 SN(306)에 알리기 위한 온/오프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온/오프 표시는 온에서 오프로(예를 들어, 활성화에서 비활성화로), 오프에서 온으로(예를 들어, 비활성화에서 활성화로), 및 변경되지 않음(예를 들어, 표시를 무시하거나 SN(306)의 현재 스테이트를 유지함)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신호는 DCI, MAC CE, 및/또는 시스템 정보(SI)에서 송신될 수 있다. SN(306)은 제3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메시지를 수신함). 예를 들어, 제3 신호는 SN(306)의 기능성(또는 능력 또는 링크)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신호(예를 들어, 제2 메시지)에 기초하여 또는 그에 따라, SN(306)은 SN(306)의 (예를 들어, 포워딩 링크 및/또는 포워딩 기능성에 대응하는)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측면에서, 도 8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구현은 예를 들어 도 9에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포함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SN(306)은 SN(306)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온(예를 들어, 온 스테이트)에서 오프(예를 들어, 오프 스테이트)로 및/또는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변경/구성 중 적어도 하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306)은 신호 강도(예를 들어, RSRP 및/또는 SINR)가 문턱값보다 큰 경우(또는 일부 경우에는 동일한 경우) 및/또는 UE(104)로부터의 SN(306) 디코딩 신호에 기초하여,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SN(306)은 신호 강도가 일정 시간 지속기간 동안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또는 어떤 경우에는 동일한 경우) 온에서 오프로 전환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에 신호나 트래픽이 없으면(예를 들어, 특정 지속기간 또는 시간 윈도우 동안), SN(306)은 예를 들어 에너지를 보존/절약하기 위해 비활성으로 되거나, 비활성화되거나, 꺼질 수 있다. 다양한 측면에서, 문턱값은 예를 들어 RRC, SI, OAM, MAC CE, 및/또는 DCI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BS(102)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측면에서, 문턱값은 명세에서 사전 정의/사전 구성/표시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방법(900)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방법(900)은 도 1 내지 도 8과 함께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성요소 및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개략적으로, 방법(900)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902)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900)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904)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900)은 온/오프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9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동작(902)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SN)에 신호를 전송/송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가 모니터링 스테이트에서 동작하는 동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가 무선 통신 노드(예를 들어, gNB 또는 BS)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하나 이상 신호에 대한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구성(예를 들어, 포워딩 링크 및/또는 포워딩 기능성에 대응함)을 결정하게 하거나 트리거할 수 있다.
이제 동작(904)을 참조하면, 그리고 일부 구현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적절한 UL 송신을 보장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직접 신호를 수신할 수 있거나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인터셉트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예를 들어 에너지 검출로 해석되거나 지칭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 노드는 전용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서 신호를 검출/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의 RSRP는 문턱값 위에 있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를 디코딩하거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예를 들어,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를 알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다양한 측면에서, 문턱값은 예를 들어 RRC, SI, OAM, MAC CE, 및/또는 DCI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측면에서, 문턱값은 명세에서 사전 정의/사전 구성/표시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검출 및/또는 디코딩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노드로 또는 직접 네트워크 노드로 디코딩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의 복조, 디코딩 능력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노드와 연관된 정보(예를 들어, RNTI)를 알 수 있다.
이제 동작(906)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 노드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구성(예를 들어, 포워딩 링크 및/또는 포워딩 기능성을 활성화할지 여부)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온(예를 들어, 온 스테이트)에서 오프(예를 들어, 오프 스테이트)로 및/또는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변경/구성 중 적어도 하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 강도(예를 들어, RSRP 및/또는 SINR)가 문턱값보다 큰 경우, 및/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네트워크 노드 디코딩 신호에 기초하여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 강도가 일정 시간 지속기간 동안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또는 어떤 경우에는 동일한 경우) 온에서 오프로 전환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에 신호나 트래픽이 없으면(예를 들어, 특정 지속기간 또는 시간 윈도우 동안), 네트워크 노드는 예를 들어 에너지를 보존/절약하기 위해 비활성으로 되거나, 비활성화되거나, 꺼질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신호와 관련하여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를 사용하거나 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하기 위해 신호를 직접 프로세싱할 수 있다(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검출, 디코딩, 및/또는 복조를 위한 능력을 포함할 수 있음). 이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예를 들어, RNTI)를 알 수 있다. 다양한 측면에서, 이 구현의 부가적인/추가 세부사항은 적어도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또는 구성)를 결정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간접적으로 프로세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전용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서 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신호의 RSRP는 문턱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정보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및/또는 신호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신호(예를 들어, 프리앰블)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에 따라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노드에 제1 메시지(예를 들어, 상태 모니터링 보고)를 전송/송신/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하기 위해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제1 메시지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 수신되고 프로세싱된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메시지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예를 들어, 간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측면에서, 이 구현의 부가적인/추가 세부사항은 적어도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는 네트워크 노드의 모니터링 스테이트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및/또는 주기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주기적 스테이트(aperiodic state)에 대한 표시는 시작 시간, 지속기간(예를 들어, 또는 길이), 패턴, 및/또는 SLIV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주기적 스테이트에 대한 표시는 시작 시간, 지속기간, 주기성, 듀티 사이클, 및/또는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모니터링 스테이트에서 동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OAM 신호, SI 신호, RRC 신호, DCI 신호, 및/또는 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노드의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예를 들어, 주파수 자원 표시)의 시작 시간, 패턴, 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주기성, 주파수 도메인 표시자, 주파수 오프셋, 및/또는 자원 블록(RB) 넘버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예를 들어,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따른 특정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표시는 OAM 신호, SI 신호, RRC 신호, DCI 신호, 및/또는 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수신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신호에 따른 온/오프 스테이트는 예를 들어 UE(104)에 대한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 네트워크 노드들의 그룹(예를 들어, 다수의 SN들)의 온/오프 스테이트;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의 온/오프 스테이트;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빔 인덱스의 온/오프 스테이트;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서빙 섹터의 온/오프 스테이트;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온/오프 스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온/오프 스테이트는 다음 링크: 무선 통신 노드에서 네트워크 노드로의 제1 제어 링크(예를 들어, C1 또는 C2); 네트워크 노드에서 무선 통신 노드로의 제2 제어 링크(예를 들어, 나머지 다른 C2 또는 C1); 무선 통신 노드에서 네트워크 노드로의 제1 백홀 링크(예를 들어, F1 또는 F2); 네트워크 노드에서 무선 통신 노드로의 제2 백홀 링크(예를 들어, 나머지 다른 F2 또는 F1); 네트워크 노드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제1 액세스 링크(예를 들어, F3 또는 F4); 및/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노드로의 제2 액세스 링크(예를 들어, 나머지 다른 F4 또는 F3) 중 적어도 하나의 온/오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프로빙 스테이트(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의 모니터링 스테이트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기준/조건의 리스트를 가짐)가 구성될 수 있다. 프로빙 스테이트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제어하기 위해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할 수 있는 스테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빙 스테이트(예를 들어, 트리거링 스테이트)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및/또는 주기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기 위해 프로빙 스테이트에서 동작할 수 있다. 표시는 SI 신호, RRC 신호, DCI 신호, 및/또는 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수신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표시(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자원 또는 전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시작 시간, 패턴, 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주기성, 주파수 도메인 표시자, 주파수 오프셋, 및/또는 자원 블록(RB) 넘버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는 SI 신호, RRC 신호, DCI 신호, 및/또는 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수신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임의의 스테이트(예를 들어, 유휴, 비활성, 및/또는 활성 스테이트)에서 전용 정보 또는 자원(예를 들어, 표시)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기준/파라미터(예를 들어, 프로빙 스테이트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결정)가 충족/만족되는 경우와 같이, 언제든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SSB의 RSRP의 측정, 랜덤 액세스 실패, PUCCH 송신 실패, 및/또는 PUSCH 송신 실패가 정의된/미리 결정된/구성된 횟수 만큼 발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를 트리거할지(또는 구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기준/조건(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이 만족/충족되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신호 포워딩 기능성/능력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를 트리거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조건/기준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파라미터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트리거하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또는 능력)을 인이에블할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를 만족시키거나 충족시키는 것에 의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트리거하기 위해 신호의 전송을 인에이블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파라미터가 만족되지 않으면 네트워크 노드는 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을 인에이블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비활성 스테이트(예를 들어, RRC_INACTIVE 스테이트)에 있을 수 있고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투명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된) 신호는 초기 액세스(예를 들어, 연결된 스테이트로 진입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 스케줄링 요청(SR), 버퍼 상태 보고(BSR), 빔 실패 복구, 및/또는 핸드오버)를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리앰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에 대한 변경/구성을 인에이블하는 데 전용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리앰블, msg3 또는 MsgA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RS, 구성된 그랜트 SDT(CG-SDT)의 구성된 업링크 송신, 전용/정의된 PUCCH 송신(예를 들어, 전용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또는 신호의 전용 콘텐트), PUSCH에서 정의된 MAC CE 신호, 및/또는 전용 신호 또는 데이터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RS는 SRS, DMRS, 및/또는 P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S는 적어도 하나의 전용 포트 인덱스로 송신될 수 있다. 전용 PUCCH 송신 및/또는 PUSCH에서 정의된 MAC CE 신호는 포워딩 기능성/능력에 대한 지원을 턴 온하거나 인에이블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알려져 있을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비활성 스테이트에 있을 수 있고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불투명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빙 스테이트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및/또는 주기성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빙 스테이트(또는 트리거링 스테이트)는 예를 들어 표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거나 이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기 위해 프로빙 스테이트에서 동작할 수 있다. 표시는 시스템 정보(SI) 신호, 라디오 자원 제어(RRC) 신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신호,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수신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예를 들어, PUCCH 또는 PUSCH를 매개로 한 업링크 제어 정보(UCI) 신호에서, 및/또는 PUSCH를 매개로 한 MAC CE 신호에서, 온/오프 스테이트(예를 들어, SN-UE 서빙 관계)의 표시를 무선 통신 노드에 전송/송신/제공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무선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예를 들어,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직접)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온/오프 스테이트(또는 구성)의 표시를 수신한 후, 무선 통신 노드는 시스템 정보를 직접 적어도 무선 통신 디바이스(또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를 매개로 적어도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 노드에) 송신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링크가 턴 온되거나, 활성화되거나, 인에이블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솔루션의 다양한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단지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도면들은 예시적인 아키텍처 또는 구성을 묘사할 수 있으며, 이는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본 솔루션의 예시적인 특징 및 기능을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그러한 자들은 본 솔루션이 도시된 예시적인 아키텍처 또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대안적인 아키텍처 및 구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폭과 범위는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과 같은 명칭을 사용하는 요소에 대한 임의의 언급은 대체로 그러한 요소들의 양 또는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오히려, 이들 명칭은 본 명세서에서 둘 이상의 요소들 또는 요소의 인스턴스들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에 대한 언급은 두 개의 요소만이 사용될 수 있거나, 어떤 방식으로든 제1 요소가 제2 요소보다 선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정보 및 신호가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및 심볼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장 또는 입자, 광학 필드 또는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측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프로세서, 수단, 회로, 방법 및 기능 중 임의의 것은 전자 하드웨어(예를 들어, 디지털 구현, 아날로그 구현, 또는 이 둘의 조합), 펌웨어, 명령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의 다양한 형태(여기서는 편의상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라고 지칭될 수 있음), 또는 이러한 기법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교환가능성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는 위에서 대체로 그것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러한 기법들의 조합으로 구현될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조건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이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디바이스, 구성요소 및 회로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집적 회로(IC) 내에서 구현되거나 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는 네트워크 내의 또는 디바이스 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통신하기 위해 안테나 및/또는 트랜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될 수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이 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코드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가 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문서에서, 여기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연관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이들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추가적으로, 논의 목적에서, 다양한 모듈들이 개별 모듈들로 설명되지만,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모듈들은 결합되어 본 솔루션의 실시예에 따른 연관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단일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메모리 또는 기타 스토리지와, 통신 구성요소들이 본 솔루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위의 설명은 상이한 기능 유닛들 및 프로세서들과 관련하여 본 솔루션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기능 유닛들, 프로세싱 논리 요소들 또는 도메인들 사이의 임의의 적합한 기능성 분배가 본 솔루션을 손상시키지 않고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별도의 프로세싱 논리 요소들 또는 컨트롤러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기능성이 동일한 프로세싱 논리 요소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기능 유닛들에 대한 언급은 엄격한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조나 조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설명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에 대한 언급일 뿐이다.
본 개시에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쉽게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전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구현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보여진 실시예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신규한 특징들 및 원리들과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라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신호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 노드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신호의 신호 포워딩(forwarding)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on/off state)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신호와 관련하여, 상기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신호를 사용하여 또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 상기 신호에 따른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제2 메시지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상기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모니터링 스테이트(monitoring state)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tart and Length Indicator Value, SLIV), 듀티 사이클(duty cycle), 시간 오프셋(time offset), 지속기간 및 주기성(periodicity)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스테이트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는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신호,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 신호,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신호,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신호, 및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되는 것인,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시작 시간, 패턴, 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주기성, 주파수 도메인 표시자, 주파수 오프셋, 및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넘버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는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AM) 신호, 시스템 정보(SI) 신호, 라디오 자원 제어(RRC) 신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신호, 및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되는 것인,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스테이트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
    네트워크 노드들의 그룹의 온/오프 스테이트;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의 온/오프 스테이트;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빔 인덱스(beam index)의 온/오프 스테이트;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서빙 섹터(serving sector)의 온/오프 스테이트;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온/오프 스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1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온/오프 구성(configuration)은,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의 제1 제어 링크;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의 제2 제어 링크;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의 제1 백홀(backhaul) 링크;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의 제2 백홀 링크;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제1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의 제2 액세스 링크
    중 적어도 하나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다바이스의 프로빙 스테이트(probing state)의 시작 시간, 패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및 주기성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기 위해 상기 프로빙 스테이트에서 동작하며,
    상기 표시는 시스템 정보(SI) 신호, 라디오 자원 제어(RRC) 신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신호, 및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되는 것인,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시작 시간, 패턴, SLIV, 듀티 사이클, 시간 오프셋, 지속기간, 주기성, 주파수 도메인 표시자, 주파수 오프셋, 자원 블록(RB) 넘버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시간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고,
    상기 표시는 시스템 정보(SI) 신호, 라디오 자원 제어(RRC) 신호,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신호, 및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AC C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되는 것인,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의 측정,
    랜덤 액세스 실패,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CCH) 송신 실패, 및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송신 실패가 정의된 횟수 만큼 발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트리거(trigger)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인,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트리거하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functionality)을 인에이블(enable)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인,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초기 액세스를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리앰블(preamble),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 변경을 인에이블하는 데 전용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리앰블,
    msg3 또는 MsgA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 상기 RS는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및 위상 추적 기준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RS는 전용 포트 인덱스(dedicated port index)로 송신됨 -,
    구성된 그랜트(configured grant) SDT(CG-SDT)의 구성된 업링크 송신,
    전용 PUCCH 송신,
    PUSCH에서의 정의된 MAC CE 신호, 및
    전용 신호 또는 데이터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한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신호에서, 또는 PUSCH를 통한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AC CE) 신호에서, 상기 온/오프 스테이트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노드는 상기 온/오프 스테이트의 표시를 수신한 후,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링크가 턴 온(turned on)되어 있음을 표시하기 위해, 시스템 정보를 직접 적어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적어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인, 방법.
  14.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신호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 노드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신호의 신호 포워딩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온/오프 스테이트를 결정하는 것인, 방법.
  15.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6. 장치로서,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247010498A 2022-06-23 2022-06-23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651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2/100837 WO2023245562A1 (en) 2022-06-23 2022-06-23 Systems and methods for ue triggered on/off status control for network no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5100A true KR20240065100A (ko) 2024-05-14

Family

ID=8937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0498A KR20240065100A (ko) 2022-06-23 2022-06-23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5100A (ko)
WO (1) WO2023245562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168A2 (en) * 2009-08-13 2011-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in communication systems
CN104936267B (zh) * 2014-03-20 2018-12-2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用于选择中继终端的方法、基站和系统
CN106211026B (zh) * 2014-12-22 2019-05-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设备直通中继选择的方法、网络控制节点及用户设备
JP2018513632A (ja) * 2015-04-03 2018-05-24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データ伝送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US10506491B2 (en) * 2015-04-06 2019-12-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request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773650B2 (ja) * 2015-05-15 2020-10-21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無線端末
EP3627723A1 (en) * 2015-07-24 2020-03-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prose relay ue activation
US10667314B2 (en) * 2017-03-30 2020-05-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relay UE
CN113271134B (zh) * 2020-02-17 2023-07-25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Ue的中继通信方法及相关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5562A1 (en)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7359B2 (en) System acquisition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CN111373800B (zh) 双频带不连续接收
CN110199538B (zh) 基站波束扫掠期间的数据传输
CN111566974B (zh) 一种在用户设备ue处进行无线通信的方法及装置
JP7245247B2 (ja) ワイヤレス通信のためのウェイクアップ信号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
CN112187428B (zh) 无线电信网络中的网络节点和方法
CN104782191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基站的操作状态的方法和装置
US20160205659A1 (en) Paging in Coverage Extension Mode
CN113261352B (zh) 具有分层移动性的移动性过程
US20220225258A1 (en) Enhancing timing advance validity in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for wireless networks
CN114009103A (zh) 新无线电同步信号块相关空闲测量配置
CN115552980A (zh) 用于管理针对多个无线电接入技术的无线电收发机链的技术
WO2021248457A1 (en) Cross-link interference measurements for cell dormancy
EP38232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on information
CN116938305A (zh) 直放站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30122149A (ko) 페이징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40065100A (ko)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 트리거된 온/오프 상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6762410A (zh) 使用侧链路的ue空闲和非活跃模式增强
WO20240313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off state control for network nodes
WO20231972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off status control for network nodes
JP7496344B2 (ja) 二つのレベルのモビリティリファレンス信号設定
WO2024048293A1 (en) Method for network controlled repeater, method for access network node, network controlled repeater, and access network node
WO2023250243A1 (en) Base station coverage adaptation and impact on idle user equipment (ue)
KR20230129408A (ko)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rat 네트워크와 sim을포함하는 ue에 의한 페이징 충돌 회피
KR20230152697A (ko) 등록 요청을 사용한 페이징 기회 업데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