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081A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081A
KR20120063081A KR1020100124112A KR20100124112A KR20120063081A KR 20120063081 A KR20120063081 A KR 20120063081A KR 1020100124112 A KR1020100124112 A KR 1020100124112A KR 20100124112 A KR20100124112 A KR 20100124112A KR 20120063081 A KR20120063081 A KR 20120063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data
communication
tag group
neighb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773B1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Priority to KR102010012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773B1/ko
Priority to PCT/KR2010/008937 priority patent/WO2012077847A1/ko
Publication of KR2012006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 제어 장치, 태그 그룹 및 상기 통신 제어 장치와 태그 그룹의 사이에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기는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중계기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되, 이웃하는 중계기가 통신 불능 상태이면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와 함께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중계기 중 어느 중계기가 통신 불능이더라도 자동으로 이웃하는 다른 중계기와 함께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정상적인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계기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태그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WSN:Wireless Sensor Network)는 크게 센서 노드(Sensor Node)와 이를 수집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싱크 노드(Sink Node)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그리고, 이러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기존의 네트워크와 다르게 의사소통의 수단이 아니라 자동화된 원격 정보 수집을 기본 목적으로 하며 과학적?의학적?군사적?상업적 용도 등 다양한 응용 개발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한편, 통신 제어 장치, 태그 그룹 및 상기 통신 제어 장치와 태그 그룹의 사이에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중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어느 중계기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가 없으므로 통신 제어 장치에서 태그 그룹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중계기 중에서 임의의 어느 중계기가 통신 불능 상태이더라도 정상적으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은, 통신 제어 장치, 태그 그룹 및 상기 통신 제어 장치와 태그 그룹의 사이에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기는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중계기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되, 이웃하는 중계기가 통신 불능 상태로 판단되면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와 함께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 방법은, 이웃하는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이웃하는 중계기로부터 수신 대기 시간내에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이웃하는 중계기를 통신 불능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와;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로부터 수신 대기 시간내에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를 통신 가능 상태로 판단하여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와 함께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중계기 각각은 1개의 점유 채널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중계기 각각이 관리하는 태그 그룹의 채널은 상기 통신 제어 장치로부터 지정된 채널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중계기 상호 간에는 지정된 시간에 상호 싱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나머지 시간에는 태그 그룹의 데이터 요청 명령을 일정 간격으로 폴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 그룹은 상기 중계기로부터 폴링 명령을 수신하면 데이터 또는 확인 응답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중계기는 태그 그룹으로부터 수신한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수의 중계기 상호 통신 시간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 그룹은 상기 중계기로부터 아이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웨이크 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명령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웨이크 업 시간 주기로 전원 절감 모드인 아이들 모드와 수신 대기 모드인 웨이크 업 모드를 반복함과 아울러 명령 데이터 수신에 따른 확인 응답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여 링크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중계기와 태그 그룹의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이 424MHz 또는 433MHz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중계기 중에서 임의의 어느 중계기가 통신 불능 상태이더라도 통신 불능 상태의 중계기를 건너뛰어 자동으로 이웃하는 다른 중계기와 함께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제어 장치에서 태그 그룹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중계기가 정상인 경우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통신 규약 도면.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중계기가 통신 불능인 경우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통신 규약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중계기 자동 중계 플로우 차트도.
도 7은 도 6의 데이터 업로드 플로우 차트도.
도 8은 도 6의 데이터 중계 및 태그 데이터 업로드 플로우 차트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중계기가 정상인 경우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통신 규약 도면,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중계기가 통신 불능인 경우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통신 규약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통신 제어 장치(110), 태그 그룹(130) 및 상기 통신 제어 장치(110)와 태그 그룹(130)의 사이에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 제어 장치(110)는 상기 태그 그룹(130)을 제어하기 위한 일종의 컴퓨터 또는 컨트롤 유닛으로서 태그 그룹(130)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120)로 전송한다.
상기 태그 그룹(130)은 상기 중계기(130)로부터 싱크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을 보정하여 중계기(130)와 동기화하고, 중계기(120)로부터 수신한 명령 데이터를 분석하여 동작한다.
상기 중계기(120)는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중계기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되, 이웃하는 중계기가 통신 불능 상태로 판단되면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와 함께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웃에는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웃하는 중계기로부터 확인 응답 신호(ACK)가 없으면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한 뒤 자동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첫번째 중계기(1)의 입장에서 이웃하는 두번째 중계기(2)가 통신 불능 상태일 경우에는 중계기(2)를 건너뛰어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세번째 중계기(3)로 자동 중계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은, 먼저 이웃하는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110). 그리고, 이웃하는 중계기로부터 수신 대기 시간내에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하지 못하면, 이웃하는 중계기를 통신 불능 상태로 판단한다(S120),(S130).
계속해서,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140). 그리고,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로부터 수신 대기 시간내에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하면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를 통신 가능 상태로 판단하여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와 함께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S150),(S160),(S170). 이때,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로부터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통신 에러 처리한다.
도 4의 경우에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중계기(120) 중의 두번째 중계기(2)가 통신 불능인 경우로서 중계기(120)에서 태그 그룹(130)으로 명령 데이터 전송시의 통신 불능 상태를 보여준다. 즉, 중계기(120)에서 태그 그룹(130)으로 명령 데이터 전송시, 두번째 중계기(2)가 통신 불능 상태이므로 첫번째 중계기(1)에서 세번째 중계기(3)로 자동 중계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5의 경우에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중계기(120) 중의 두번째 중계기(2)가 통신 불능인 경우로서 태그 그룹(130)에서 중계기(120)로 태그 데이터 전송시의 통신 불능 상태를 보여준다. 즉, 태그 그룹(130)에서 중계기(120)로 태그 데이터 전송시, 중계기(2)가 통신 불능 상태이므로 세번째 중계기(3)에서 첫번째 중계기(1)로 자동 중계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한편, 상기 중계기(120)는 태그 그룹(130)으로부터 수신한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정해진 중계기 상호 통신 시간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기(120)는 상기 태그 그룹(130)의 출력 제어를 위해 태그 그룹(130)과 무선 통신을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일정한 주기로 싱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필요시에 웨이크 업 시간(WUT:Wake Up Time) 설정 또는 출력 시간 설정 등을 위한 명령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중계기(120) 각각은 1개의 점유 채널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중계기(120) 각각이 관리하는 태그 그룹(130)의 채널은 상기 통신 제어 장치(110)로부터 지정된 채널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중계기(120) 상호 간에는 지정된 시간에 상호 싱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나머지 시간에는 태그 그룹(130)의 데이터 요청 명령을 일정한 간격(예컨대, 1초)으로 폴링(polling)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폴링은 태그 그룹(130)의 각 태그에 대하여 차례로 송신 요구의 유무를 문의하고,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그 태그에 송신을 시작하도록 명령하며, 없을 때에는 다음의 태그에 문의하는 전송 제어 방식이다.
그리고, 상기 태그 그룹(130)은 중계기(120)로부터 폴링 명령을 수신하면 데이터 또는 확인 응답 데이터(ACK)를 상기 중계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그 그룹(130)은 상기 중계기(120)로부터 아이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웨이크 업 시간(WUT:Wake Up Time)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명령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웨이크 업 시간 주기로 전원 절감 모드인 아이들 모드와 수신 대기 모드인 웨이크 업 모드를 반복함과 아울러 명령 데이터 수신에 따른 확인 응답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여 링크를 완료할 수 있다. 상기 태그 그룹(130)은 상기 중계기(120)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각 태그별로 미리 부여받은 고유 ID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중계기(120)와 태그 그룹(130)의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은 능동형이면서 긴 인식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고주파수 대역인 424MHz 또는 433MHz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중계기 자동 중계 플로우 차트도, 도 7은 도 6의 데이터 업로드 플로우 차트도, 도 8은 도 6의 데이터 중계 및 태그 데이터 업로드 플로우 차트도이다.
먼저, 중계기는 초기화 상태에서 데이터 수신 대기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면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전송한 후, 수신 데이터를 분석한다(S210),(S220),(S230),(S240),(S250).
그리고, 수신 데이터 분석 결과, 링크 데이터인 경우 상위, 하위, 호핑 ID를 저장하고 링크를 재설정한다(S260),(S261).
수신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 요청 명령인 경우, 태그 채널 전환, 중계기 채널 전환 및 데이터 업로드 과정을 거친다(S270),(S271),(S272),(S273).
수신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 중계 명령인 경우, 수신 데이터 하위 중계기로 전송 및 태그 데이터를 수신한다(S290),(S291).
한편, 상기 데이터 업로그 과정(S273)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후에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먼저, 상위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하지 못하고 수신 대기 시간을 초과하면 호핑 ID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274),(S275),(S276),(S277). 즉, 이웃하는 중계기에서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하지 못하고 수신 대기 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하면 복귀한다(S278),(S281).
그렇지만,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하지 못하고 수신 대기 시간을 초과하면 통신 에러로 처리한다(S278),(S279),(S280). 즉, 이웃 중계기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에서도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하지 못하고 수신 대기 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통신 에러로 처리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수신 데이터 하위 중계기로 전송 및 태그 데이터 수신 과정(S291)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후에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먼저, 하위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하지 못하고 수신 대기 시간을 초과하면 호핑 ID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292),(S293),(S294),(S295).
그리고,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하면 하위 중계기로부터 수신 대기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귀한다(S298),(S299),(S302). 이때,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하여 하위 중계기로부터 수신 대기하였지만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고 수신 대기 시간을 초과하면 통신 에러로 처리한다(S298),(S299),(S300),(S301).
그리고, 상기 S296 단계에서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하지 못하고 수신 대기 시간을 초과하면 통신 에러로 처리한다(S296),(S297),(S301). 즉, 이웃 중계기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에서도 확인 응답 메시지(ACK)를 수신하지 못하고 수신 대기 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통신 에러로 처리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에서는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중계기 중에서 임의의 어느 중계기가 통신 불능 상태가 되더라도 통신 불능 상태의 중계기를 건너뛰어 자동으로 이웃하는 다른 중계기와 함께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통신 제어 장치에서 태그 그룹의 데이터를 편리하게 수집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통신 제어 장치 120 : 중계기
130 : 태그 그룹

Claims (9)

  1. 통신 제어 장치, 태그 그룹 및 상기 통신 제어 장치와 태그 그룹의 사이에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기는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중계기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되,
    이웃하는 중계기가 통신 불능 상태로 판단되면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와 함께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이웃하는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이웃하는 중계기로부터 수신 대기 시간내에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이웃하는 중계기를 통신 불능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와;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로부터 수신 대기 시간내에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를 통신 가능 상태로 판단하여 이웃하는 중계기 다음의 중계기와 함께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계기 각각은 1개의 점유 채널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계기 각각이 관리하는 태그 그룹의 채널은 상기 통신 제어 장치로부터 지정된 채널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계기 상호 간에는 지정된 시간에 상호 싱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나머지 시간에는 태그 그룹의 데이터 요청 명령을 일정 간격으로 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그룹은 상기 중계기로부터 폴링 명령을 수신하면 데이터 또는 확인 응답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계기는 태그 그룹으로부터 수신한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수의 중계기 상호 통신 시간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그룹은 상기 중계기로부터 아이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웨이크 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명령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웨이크 업 시간 주기로 전원 절감 모드인 아이들 모드와 수신 대기 모드인 웨이크 업 모드를 반복함과 아울러 명령 데이터 수신에 따른 확인 응답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여 링크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9.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계기와 태그 그룹의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이 424MHz 또는 433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KR1020100124112A 2010-12-07 2010-12-07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KR10121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112A KR101217773B1 (ko) 2010-12-07 2010-12-07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PCT/KR2010/008937 WO2012077847A1 (ko) 2010-12-07 2010-12-14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112A KR101217773B1 (ko) 2010-12-07 2010-12-07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081A true KR20120063081A (ko) 2012-06-15
KR101217773B1 KR101217773B1 (ko) 2013-01-02

Family

ID=4620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112A KR101217773B1 (ko) 2010-12-07 2010-12-07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7773B1 (ko)
WO (1) WO201207784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111A1 (ko) * 2013-08-18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1496641B1 (ko) * 2013-04-25 2015-03-02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중계기 노드 연결 방법
CN104469695A (zh) * 2013-09-12 2015-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接入方法、近距离通信服务器、中继终端及终端
CN104483936A (zh) * 2014-12-02 2015-04-01 黄河科技学院 一种无线数据接入系统的无线网络信息收集平台
WO2015156436A1 (ko) * 2014-04-09 2015-10-15 유넷시스템주식회사 정보 대행 처리 장치
WO2016137112A1 (ko) * 2015-02-27 2016-09-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간지연 개선 저복잡도 인-네트워크 컴퓨팅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2996A1 (zh) * 2012-08-08 2014-02-1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确定中继设备的方法、站点、接入点、中继设备及系统
KR101398501B1 (ko) * 2013-03-25 2014-05-27 (주)다보링크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및 그 지원방법
CN109257717A (zh) * 2018-11-02 2019-01-22 济南新吉纳远程测控股份有限公司 低功耗连续数据传输方法、无线传感节点及无线传感网络
CN113242078B (zh) * 2021-04-13 2022-02-22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一种无人机数据平台与地面监测站之间的无线连接系统
CN115835060B (zh) * 2023-02-17 2023-05-05 云南瀚哲科技有限公司 工农业物联网的数据采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878B1 (ko) * 2005-02-04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826993B1 (ko) * 2006-04-03 2008-05-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에프아이디/유에스엔을 적용한 개체 기반 파라미터모니터 시스템
JP5104144B2 (ja) * 2007-09-13 2012-12-19 株式会社明電舎 無線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12825B1 (ko) * 2007-12-18 2009-08-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채널 기반의 센서노드의 송신장치, 송신방법,수신장치, 수신방법 및 채널상태정보갱신방법
JP2009201035A (ja) * 2008-02-25 2009-09-03 Campus Create Co Ltd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936130B1 (ko) * 2008-05-20 2010-01-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641B1 (ko) * 2013-04-25 2015-03-02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중계기 노드 연결 방법
WO2015026111A1 (ko) * 2013-08-18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US9853709B2 (en) 2013-08-18 2017-12-26 Lg Electronics Inc. Repeater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98314B2 (en) 2013-08-18 2019-05-21 Lg Electronics Inc. Repeater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469695A (zh) * 2013-09-12 2015-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接入方法、近距离通信服务器、中继终端及终端
CN104469695B (zh) * 2013-09-12 2019-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接入方法、近距离通信服务器、中继终端及终端
US10250606B2 (en) 2013-09-12 2019-04-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 access method, proximity communications server, relay terminal and terminal
WO2015156436A1 (ko) * 2014-04-09 2015-10-15 유넷시스템주식회사 정보 대행 처리 장치
CN104483936A (zh) * 2014-12-02 2015-04-01 黄河科技学院 一种无线数据接入系统的无线网络信息收集平台
WO2016137112A1 (ko) * 2015-02-27 2016-09-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간지연 개선 저복잡도 인-네트워크 컴퓨팅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7847A1 (ko) 2012-06-14
KR101217773B1 (ko)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773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US8103316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field device on a wireless network
US20100195551A1 (en)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method, dependent wireless apparatus, and control wireless apparatus
JP2005217548A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
CN102457869A (zh) 传输功率控制
JP2012239137A (ja) 無線管理システム、無線端末装置および伝送管理方法
US9577739B2 (en) Communication devices, mobile terminal, in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JP5295052B2 (ja)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JP5452145B2 (ja)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JP5283596B2 (ja)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JP6918286B2 (ja) 中継ノード、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
JP5452144B2 (ja)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JP5290100B2 (ja)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TWI689183B (zh) 適用於網狀網路之中繼器
JP5670955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中継装置、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708052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構築方法、および、無線端末
JP4760039B2 (ja) マルチホップ無線ネットワーク、基地局、無線端末、モニタ端末、およびネットワーク監視・制御方法
JP6382046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同報通信システム、同報通信方法、および、間欠動作無線端末
WO2023073992A1 (ja) 無線中継システム、無線中継方法
JP2012235260A (ja) 無線装置、無線ネットワーク、ネットワーク存在確認方法
KR101189961B1 (ko) 무선 각방제어 시스템에서의 통신 경로 설정 방법
US2024000795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6750444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6021031B2 (ja) 無線装置、無線ネットワーク
JP2017130752A (ja) 子機及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