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69907A1 -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69907A1
WO2014069907A1 PCT/KR2013/009766 KR2013009766W WO2014069907A1 WO 2014069907 A1 WO2014069907 A1 WO 2014069907A1 KR 2013009766 W KR2013009766 W KR 2013009766W WO 2014069907 A1 WO2014069907 A1 WO 201406990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actor
pusher
contact
high load
loa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97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변동필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2432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9306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2013011544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9574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US14/438,463 priority Critical patent/US9659718B2/en
Priority to JP2015540603A priority patent/JP6027257B2/ja
Priority to EP13850206.7A priority patent/EP2916337B1/en
Priority to CN201380057795.3A priority patent/CN104995709A/zh
Publication of WO201406990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6990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with spring blade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4Stationary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cam or eccen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021/225Operating parts, e.g. handle with push-pull operation, e.g. which can be pivoted in both directions by pushing or pulling on the same extremity of the operating member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1접점부; 상기 케이스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점부의 직상방에 배치되는 제2접점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 사이에 배치되는 컨택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터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의 사이가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중간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푸셔부; 및 상기 컨택터의 표면에 형성되는 보강비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로서 컨택터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본 발명은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고,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작동 소음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강성을 보강하여 변형방지 및 내구성을 강화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원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요 구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스위치 장치가 배치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구성 중 컨택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특히, 스위치 장치 중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는 비교적 큰 부하가 걸리는 스위치 장치에 이용된다.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예를 들면 파워윈도우 스위치가 있다.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부하에 따른 스파크의 발생 방지를 위하여 컨택터(5)가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이 제공되면 순간적으로 제1접점부(10a)에 접점되면서 온(On) 접점시키고,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순간적으로 제1접점부(10a)로부터 이격된 후 반대편의 제2접점부(10b)에 순간적으로 접점되면서 오프(Off) 접점시키는 스위치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윈도우를 개방하기 위하여 컨택터(5)에 외력을 제공하면 컨택터(5)가 제1접점부(10a)와 접점되는 순간 윈도우의 개방을 위한 온(On) 접점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되고, 사용자가 창문을 개방하는 동작을 멈추기 위하여 컨택터(5)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컨택터(5)가 제1접점부(10a)로부터 이격된 후 순간적으로 제2접점부(10b)와 접점되는 순간 윈도우의 정지를 위한 오프(Off) 접점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접점 방식을 소위 “대향 접점 방식”이라고 말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력을 전달하여 푸셔(15)를 케이스(20)의 내외부로 상하 이동시키면,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고, 푸셔(15)의 끝단(15a)과 접촉된 컨택터(5)가 고정된 일단(5a)을 기준으로 타단(5b)이 원호운동하게 된다.
한편, 컨택터(5)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부(25)는 컨택터(5)의 타단(5b)이 일단(5a)을 기준으로 원호운동 시 컨택터(5)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제1접점부(10a) 및 제2접점부(10b)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컨택터(5) 또한 탄성부(25)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순간적인 형태 변형이 가능하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컨택터(5)의 타단(5b)이 일단(5a)을 기준으로 원호운동 시 일단 탄성부(25)의 저항력을 초과하여 사용자의 조작력이 제공되면 상기 제1접점부(10a)에 순간 접점하고,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25)의 저항력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인 제2접점부(10b)에 순간 접점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터(5)의 일단(5a)과 상기 탄성부(25)가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된 설치부(3)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터(5)가 변형되면서 순간적인 접점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설치부(3)의 치수를 고려하여 정확하게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컨택터(5)가 상기 설치부(3)의 치수와 맞지 않을 경우 탄성력에 차이가 생겨서 고부하 스위치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스파크 발생이 우려된다.
또한, 상기 푸셔(15)에 사용자의 과도한 외력이 제공될 경우, 상기 컨택터(5)가 영구 변형될 우려가 있고, 상기 컨택터(5)의 제작시 치수가 정확하게 제작되더라도 조립시 발생되는 치수 변화 및 조립 산포에 따라 주요 기능의 품질에 악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아울러, 가장 큰 문제점은,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순간적으로 상기 제1접점부(10a)와 상기 제2접점부(10b)에 접점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점시 “탁딱”하는 접점 소음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접점 소음은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감성품질을 하락시키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는 큰 부하가 가해지기에, 고부하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부품 변형이 발생하여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동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제품의 제작이 용이하며,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면서도,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작품의 제조비용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택터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 하측에 배치된 제1접점부와, 상기 제1접점부의 직상방에 배치된 제2접점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일단부가 외팔보 타입으로 고정되고, 타단부가 사용자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접점부에 접점되었다가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2접점부와 접점되는 컨택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터는,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가 연속되도록 형성되되, 중간부분에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푸셔부가 절곡 형성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컨택터의 푸셔부를 제외하고 수평되게 컨택터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둘째, 종래와 비교하여 별도의 구조물인 푸셔부가 필요 없는 바,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조비용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작동 소음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사용자의 강한 또는 계속적인 외력에 의한 컨택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컨택터의 변형을 방지하여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내구성이 강화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구성 중 컨택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의 구성 중 컨택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컨택터의 측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컨택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컨택터에 보강비드와 브릿지가 없는 경우,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컨택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의 구성 중 컨택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컨택터의 측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컨택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컨택터에 보강비드와 브릿지가 없는 경우,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컨택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100)는 상측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케이스(110)와, 케이스(110)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1접점부(120)와,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되, 제1접점부(120)의 직상방에 배치되는 제2접점부(130)와, 일단부(210)가 케이스(110)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220)가 제1접점부(120)와 제2접점부(130) 사이에 위치되는 컨택터(200)를 포함한다.
개구부(111)는 케이스(110)의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케이스(110)의 상면부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다. 개구부(111)의 상측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시소타입으로 작동하는 노브(101, 도 6a 및 도 6b 참조)의 하단부(101a)가 배치된다. 또한 개구부(111)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0)의 상면부 가운데 부분에 2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택터(200)는 일단부(210)와 타단부(220) 사이가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중간부분 일부가 개구부(111)를 관통하여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푸셔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컨택터(200)의 부위 중 푸셔부(23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각각 푸셔부(230)를 기준으로 컨택터(200)가 고정되는 쪽의 부분을 “일단부(210)”라 칭하고, 그 대향되는 부분을 “타단부(220)”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단부(210)와 푸셔부(230) 및 타단부(220)로 이루어진 컨택터(200)는 편의상 구성을 구분하였을 뿐, 하나의 재질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일체형이다.
푸셔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111)를 관통하여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접촉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제공받는 부분이다.
푸셔부(230)는, 컨택터(200)에 다른 구성(일단부(210) 및 타단부(220))과 연속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컨택터(200)에 사용자의 외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외력 전달 부재(즉, 종래의 도면 도 1b의 도면부호 15로 지시되는 “푸셔” 참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부품수를 절감하는 한편 조립시 조립공수 또한 절감하는 이점을 창출한다.
컨택터(200)의 일단부(210)는 고정부재(105)에 의해 외팔보 형상으로 케이스(110) 내부 일측에 고정된다. 또한,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1접점부(120)와 제2접점부(130)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1접점부(120) 및 제2접점부(130)와의 접점이 용이하도록 상하로 돌출된 돌출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컨택터(200)가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접촉되지 않을 때, 즉 사용자의 외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는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2접점부(130)와 계속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푸셔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111)를 관통하여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접촉된다. 따라서, 노브(101)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푸셔부(230)는 컨택터(200)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사용자의 외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필요하지 않으므로 부품수를 절감하는 한편 조립공수 또한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푸셔부(230)는 대략 컨택터(200)의 일단부(210)와 타단부(220) 사이에 형성된다. 푸셔부(230)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부(231a, 231b)와, 한 쌍의 수직부의 상단을 연장시키는 연장부(231)로 이루어지며, 하측이 개구된 “U”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절곡 형상은, 컨택터(200)에 외력이 제공될 경우 형상 변형이 용이한 한편, 형상이 변형되면 컨택터(200)가 가지는 고유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기질을 갖게 한다.
특히, 연장부(231)는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접촉되는 부분이며,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부드럽게 하강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푸셔부(23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직부(232a, 232b) 사이의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폭의 길이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푸셔부(23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직부(232a, 232b)의 폭의 길이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수직부(232a,232b)와 연장부(231)의 연결 부분 및 각 수직부(232a,232b)와 일단부(210) 및 타단부(220) 사이의 연결 부분을 제외한 일측 수직부(232a)와 타측 수직부(232b) 사이의 폭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푸셔부(230)의 중간부분의 폭은 개구부(11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컨택터(200)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푸셔부(230)가 개구부(111)와 상시 접촉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푸셔부(230)가 개구부(111)에 상시 접촉되도록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컨택터(200)는, 종래와 비교하면, 종래의 컨택터의 경우 고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제1접점부 및 제2접점부와의 순간적인 접점을 요구하므로 그 형상을 제작함에 있어서 정밀성이 요구됨에 반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컨택터(200) 제작시 정밀성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경우, 컨택터(200)의 조립시 요구되는 치수산포 및 조립산포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전체적으로 품질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종래의 컨택터(2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외력이 제공되거나 제거되면 순간적으로 형상을 변형시키면서 제1접점부(110)에 접점되거나 제2접점부(130)에 접점되게 되는데, 이때 접점 소음이 크게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컨택터(200)의 순간적인 형상 변형 과정이 없고 점진적인 외력 제공에 따른 접점 과정만이 있을 뿐이므로 접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경우, 컨택터(200)와 종래의 푸셔(15)가 일체화됨으로써 실제 조작자가 노브(101)를 작동하는 느린 속도로 접점 온(ON) 및 오프(OFF)가 가능하고, 특히, 푸셔부(230)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이 좋은 결과 접점시 충격 완화 효과가 더해져 결과적으로 작동 소음의 감소라는 이점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도면(특히, 도 7a 및 도 7b)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노브(101)를 작동시켜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푸셔부(230)의 일측에서 접근하여 푸셔부(230)를 타측으로 밀면,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2접점부(130)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접점부(110)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2접점부(130)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는, 예를 들면,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로 작동되는 차량의 윈도우에 있어서, 윈도우가 정지된 상태를 말한다. 윈도우가 정지된 상태이기는 하지만 정지되기 전의 상태는 윈도우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동작 상태에 있었던 경우이므로, 위와 같은 동작 상태를 정지시키는 의미에서 오프(Off) 접점이라고 칭할 수 있다. 반대로,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1접점부(110)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는, 윈도우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동작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윈도우를 동작시키는 의미에서는 온(On) 접점이라고 칭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경우,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상기 제1접점부(110) 및 상기 제2접점부(130)를 접점시키는 대향 접점 방식이 적용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노브(101)의 하단부(101a)를 매개로 컨택터(200)에 전달되면, 컨택터(200)는 도 7a의 오프(Off) 접점 상태였다가 도 7b의 온(On) 접점 상태로 변경된다. 이때,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시소 타입으로 완전히 회전되기 전에 제1접점부(110)와 접촉되고, 사용자가 그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노브(101)를 회전시켜 외력을 제공하면,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1접점부(110)와 접촉된 상태에서 형상이 변형되게 된다. 즉,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1접점부(1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노브(101)를 회전시켜 외력을 제공하면, “U”자 형상의 푸셔부(230)에 의하여 벌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적정 접점압을 유지하면서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제공하는 외력은 푸셔부(230)에 전달되고, 푸셔부(230)에 전달된 외력은 컨택터(200)의 타단부(220)에 전달되는데, 이때 제1접점부(110)와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접촉되면 제1접점부(110)는 계속적으로 제공되는 외력에 대하여 저항력으로 작용되고, 사용자가 제공하는 외력과 제1접점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저항력이 상호 충돌함으로써 컨택터(200)가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상 변형은 종래의 컨택터와는 달리,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1접점부(110)와 순간적으로 접점되기 위한 형상 변경은 아니고, 엄밀히 말하면, 사용자로부터 지속적으로 외력을 제공받도록 구비한 후,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외력으로 인하여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1접점부(110)과의 일정한 접점압을 유지하면서 제1접점부(11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임의이탈 방지는 결국 고부하 스위치(100)에서 문제될 수 있는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컨택터(200)의 형상 변형은 컨택터(200)의 타단부(220)와 제1접점부(110)가 접점된 이후에 생기는 현상이므로, 접점시 접점 소음이 아주 작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한 접점 소음에 따른 감성 품질의 저하 초래를 방지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외력이 제공되면, 푸셔부(230)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는 컨택터(200)가 형상 변형될 때 점점 커지도록, “U”자 형상의 푸셔부(230)가 점점 벌어지도록 형상을 변경시키면서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계속적으로 제1접점부(110)와 접점되도록 하는 것은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100)에 있어서, 컨택터(200)는 처음부터 형상 변형이 용이하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이며, 푸셔부(230)의 일측으로부터 편심되게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제공하는 외력에 대하여 푸셔부(230)가 변형되는 모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 이격거리가 점점 커지도록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사용자로부터 외력이 제거되면,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2접점부(130)에서 제1접점부(110)로 이동하는 것과는 반대의 역순으로 제1접점부(110)에 접점되었다가 제2접점부(130)로 이동하여 제2접점부(130)와 접점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공하는 외력이 제거되는 모습은, 도 7a 및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푸셔부(230)로부터 이격될 때까지의 모습이므로,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푸셔부(230)로부터 이격되는 순간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2접점부(130)에 접점되도록 한다면 제2접점부(130)에 대한 접점 소음 또한 충분히 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컨택터(200)는, 사용자의 외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푸셔부(230)를 제외하고 상기 일단부(210)와 타단부(220)가 일직선 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고부하 스위치로서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면서도, 접점 소음을 충분히 저감함으로써 소비자의 감성 품질의 저하를 예방하는 한편, 정확한 치수의 제작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별도의 푸셔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립 공수 등의 절감이 예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컨택터(200)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보강비드(240)와, 한 쌍의 수직부(232a, 232b)의 소정의 폭을 유지시키는 브릿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250)는 푸셔부(230)를 이루는 수직부(232a, 232b)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한다.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2접점부(130)와 접점될 때에도 소정의 접점압을 유지하면서 접점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그런데, 컨택터(200)의 타단부(220)와 제2접점부(130)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접점압은 푸셔부(230)의 하부측에 해당하는 한 쌍의 수직부(232a,232b) 사이의 이격거리를 좁히게 되며, 이와 같은 현상이 지속될 경우 푸셔부(230)의 한 쌍의 수직부(232a,232b) 사이의 이격거리가 좁아진 채로 영구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한 쌍의 수직부(232a,232b)가 영구 변형되면, 상기 컨택터(200)의 타단부(220)와 제2접점부(130) 사이에 형성된 최초 접점압은 점점 작아질 것이고, 이와 같은 접점압의 저하는 제2접점부(130)와의 접점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컨택터(200)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브릿지(250)는 컨택터(200)의 타단부(220)와 제2접점부(130) 사이에 지속적인 접점압이 유지되도록 한 쌍의 수직부(232a, 232b) 사이의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폭의 길이가 소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의 표면에 결합되어 텐션에 대하여 더 큰 저항성으로 컨택터(200)의 변형을 방지한다.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의 일단부(210)와 푸셔부(230) 사이와 컨택터(200)의 타단부(220)와 푸셔부(230) 사이에 형성된다.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의 표면에 복수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강비드(240)는 푸셔부(230)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비드(240)는 푸셔부(230)의 수직부(232a, 232b)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보강비드(24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텐션이 넒은 범위로 분산되는 것이 가능한바, 컨택터(200)의 변형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컨택터(200)에 가해지는 힘의 영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보강비드(240)는 사출성형 등으로 컨택터(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강비드(240)의 돌출높이가 높게 형성될수록 변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강비드(240)의 돌출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조립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강비드(240)는 적정한 돌출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의 푸셔부(230)에 사용자의 외력이 제공될 경우, 외력에 의해 타단부(22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컨택터(200)는 제1접점부(120)에 접촉된다. 컨택터(200)가 제1접점부(120)에 접촉한 이후에도 외력이 계속 가해지는 경우에 컨택터(200)에 텐션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컨택터(20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제1접점부(120)에 가해지는 점접압이 상승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텐션에 의해 컨택터(200)가 휘어지거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에 가해지는 텐션을 견디어 컨택터(200)가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컨택터(20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한 컨택터(200)의 변형을 방지하여 컨택터(200)의 접점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컨택터(200)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브릿지(250)는 푸셔부(230)의 수직부(231a, 231b)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단부(210)측의 수직부(232a)의 내측면에 브릿지(250)가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릿지(250)는, 컨택터(200)의 타단부(220)와 제2접점부(130) 사이에 소정의 접점압이 사용기간에 관계없이 유지되도록 푸셔부(230)의 수직부(232a, 232b)의 폭이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브릿지(250)는 컨택터(200)의 푸셔부(230)에 사용자의 외력이 제공될 경우, 외력에 의해 타단부(22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컨택터(200)의 수직부(232a, 232b)의 폭이 벌어질 경우, 타단부(220) 측의 수직부(231b)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외력이 푸셔부(230)에 제공되면 컨택터(200)의 타단부(220)에 형성된 돌출부(140)가 제1접점부(120)에 접점된다. 이때, 컨택터(200)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푸셔부(230)의 수직부(232a,232b)가 점점 벌어지도록 형상 변형된다.
푸셔부(230)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게 된다. 첫째, 푸셔부(230)의 “U”자 형상의 단면은, 개구부(111)를 관통하여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푸셔(종래 도면 참조)와 같은 외력 전달 부재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를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도 반드시 푸셔와 같은 외력 전달 부재를 제외시킬 필요는 없다. 둘째, 푸셔부(230)의 “U”자 형상의 단면은, 푸셔부(230)가 형성됨이 없이 단순히 “ㅡ”자 형상으로 컨택터(200)가 형성된 경우보다 작은 누름력으로 스위칭이 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즉, 컨택터(200)의 형상이 “ㅡ”자 형상인 경우 보다 많은 누름력을 필요로 하지만,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푸셔부(230)에 의하여 작은 누름력에 의하더라도 푸셔부(230)의 형상 변형이 시작되는 부분까지만 누름력을 제공하면 되므로 보다 작은 누름력에 의하여도 스위칭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컨택터(200)의 형상 변형이 컨택터(200)가 처음부터 가진 고유의 탄성력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즉, 영구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컨택터(200)의 형상 변형은 컨택터(200)에 외력을 제공하는 노브(101)의 하단부(101a)의 적정 설계로 조정할 수 있다.
브릿지(250)는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2접점부(130)와 접점되는 오프(Off) 접점시 소정의 접점압을 유지하도록 수직부(232a, 232b)의 폭이 소정거리 이하로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컨택터(200)의 타단부(220)와 제2접점부(130) 사이의 접점 불량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컨택터(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컨택터(200)와 종래의 푸셔가 일체화됨으로써 실제 조작자가 노브(101)를 작동하는 느린 속도로 접점 온(On) 및 접점 오프(Off)가 가능하고, 특히 푸셔부(230)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다 작은 누름력에 의하여서도 스위칭이 가능함은 물론 탄성력이 좋은 결과 접점시 충격 완화 효과가 더해져 결과적으로 작동 소음의 감소라는 이점으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특히, 도 6a 내지 도 7b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프(Off) 접점시의 브릿지(25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력이 전혀 제공되지 않는 경우로서,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오프 접점인 제2접점부(130)와 소정의 접점압에 의하여 접점되는 경우, 지속적인 접점압에 의하여 푸셔부(230)의 하단부가 좁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푸셔부(230)의 형상 변형은 영구 변형이 아닌 한도에서는 바람직한 현상이나, 상기 접점압에 의하여 영구 변형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대적인 접점압의 저하를 일으키고,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작동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브릿지(250)는,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푸셔부(230)를 구성하는 수직부(232a,232b)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한 쌍의 수직부(232a,232b)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브릿지(250)에 의하여 컨택터(200)의 타단부(220)와 제2접점부(130) 사이의 접점압에 관계없이 푸셔부(230)의 영구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온(On) 접점시의 푸셔부(23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노브(101)를 조작하면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푸셔부(230)를 누름시켜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1접점부(120)로 이동하여 온(On) 접점시킨다. 이때, 푸셔부(23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바, 푸셔부(230)가 쉽게 벌어지도록 형상 변형된다.
이처럼, 푸셔부(230)는 케이스(110)의 개구부(111)를 통하여 케이스(110)의 내측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외력 전달 부재가 불필요함은 물론, 쉽게 형상이 변형되었다가 고유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원활한 대향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 하측에 배치된 제1접점부와, 상기 제1접점부의 직상방에 배치된 제2접점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일단부가 외팔보 타입으로 고정되고, 타단부가 사용자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접점부에 접점되었다가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2접점부와 접점되는 컨택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터는,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가 연속되도록 형성되되, 중간부분에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푸셔부가 절곡 형성된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 하측으로 개구된 “U”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를 형성하도록 절곡된 상기 중간부분의 수평방향 길이는, 상기 개구부보다 크게 형성된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는 상부로 갈수록 수평방향 이격거리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이 제공되어 상기 컨택터의 타단부가 상기 제1접점부와 접점되면, 상기 수평방향 이격거리가 점점 커지도록 형상을 변형시키면서 상기 컨택터의 타단부와 상기 제1접점부를 계속적으로 접점시키는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는, 사용자의 외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푸셔부를 제외하고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가 일직선 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는, 상기 컨택터의 표면에 형성된 보강비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복수열로 구비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푸셔부 사이 및 상기 타단부와 상기 푸셔부 사이에 형성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상기 푸셔부까지 연장 형성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상기 컨택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상단을 연장시키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하측이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컨택터는 상기 한 쌍의 수직부 사이의 폭을 유지시키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푸셔부를 이루는 상기 한 쌍의 수직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한 쌍의 수직부 중 나머지 하나의 내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의 사이가 연속되도록 형성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PCT/KR2013/009766 2012-11-05 2013-10-31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WO201406990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38,463 US9659718B2 (en) 2012-11-05 2013-10-31 High load switch for vehicle
JP2015540603A JP6027257B2 (ja) 2012-11-05 2013-10-31 車両用高負荷スイッチ
EP13850206.7A EP2916337B1 (en) 2012-11-05 2013-10-31 High load switch for vehicle
CN201380057795.3A CN104995709A (zh) 2012-11-05 2013-10-31 车辆用高压负荷开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325A KR101393066B1 (ko) 2012-11-05 2012-11-05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KR10-2012-0124325 2012-11-05
KR20130115448A KR101495748B1 (ko) 2013-09-27 2013-09-27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KR10-2013-0115448 2013-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9907A1 true WO2014069907A1 (ko) 2014-05-08

Family

ID=5062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9766 WO2014069907A1 (ko) 2012-11-05 2013-10-31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59718B2 (ko)
EP (1) EP2916337B1 (ko)
JP (1) JP6027257B2 (ko)
CN (1) CN104995709A (ko)
WO (1) WO20140699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6157A (zh) * 2014-07-02 2015-04-29 苏州旲烔机电科技有限公司 汽车高负荷开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54779A (ja) * 2021-03-30 2022-10-13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端子および接点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3848A (ja) * 1997-06-30 1999-03-16 Saginomiya Seisakusho Inc マイクロスイッチ
KR19990020662U (ko) * 1997-11-27 1999-06-15 전주범 변형 방지 구조를 갖는 노브 스위치 장치
JP2008147127A (ja) * 2006-12-13 2008-06-26 Omron Corp リーフスイッチ
KR20080004953U (ko) * 2007-04-23 2008-10-28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3294A (en) * 1965-09-14 1968-09-24 Wagner Electric Corp Load compensated series type flasher
US3319021A (en) 1966-04-04 1967-05-09 Robertshaw Controls Co Electric switch
JPS5980945U (ja) * 1982-11-24 1984-05-31 生方 進 熱応動リレ−
FR2597658B1 (fr) 1986-04-16 1992-09-11 Vialy Roger Commutateur miniature a rupture brusque
JPS62180832U (ko) 1986-05-07 1987-11-17
DE4012547A1 (de) 1989-04-19 1990-10-25 Tokai Rika Co Ltd Schaltervorrichtung
JPH0715073Y2 (ja) 1989-04-26 1995-04-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負荷駆動装置
JPH0492341U (ko) 1990-12-26 1992-08-11
DE9320696U1 (de) * 1993-07-15 1994-11-24 Gruner Kg Relais Fabrik Relais zum Schalten hoher Stromstärken
DE19858755C1 (de) 1998-12-18 2000-06-08 Euro Matsushita Electric Works Kontakteinheit für elektromagnetische Relais
JP3851526B2 (ja) 2001-08-24 2006-11-29 Smk株式会社 アースターミナル
JP2004158241A (ja) 2002-11-05 2004-06-03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US7030325B2 (en) * 2002-12-16 2006-04-18 Trw Automotive U.S. Llc Electrical switch assembly
DE20303116U1 (de) 2003-02-20 2003-07-17 Takata Petri Ag Schalter mit selbstreinigenden Kontakten
DE102004052413B4 (de) * 2004-10-28 2007-09-13 Cherry Gmbh Subminiaturschalter
JP5394870B2 (ja) * 2009-09-25 2014-01-2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マイクロスイッチ
US8440927B2 (en) 2011-01-28 2013-05-14 Zippy Technology Corp. Enhanced returning elasticity micro swi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3848A (ja) * 1997-06-30 1999-03-16 Saginomiya Seisakusho Inc マイクロスイッチ
KR19990020662U (ko) * 1997-11-27 1999-06-15 전주범 변형 방지 구조를 갖는 노브 스위치 장치
JP2008147127A (ja) * 2006-12-13 2008-06-26 Omron Corp リーフスイッチ
KR20080004953U (ko) * 2007-04-23 2008-10-28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916337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6157A (zh) * 2014-07-02 2015-04-29 苏州旲烔机电科技有限公司 汽车高负荷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59718B2 (en) 2017-05-23
JP6027257B2 (ja) 2016-11-16
CN104995709A (zh) 2015-10-21
EP2916337A1 (en) 2015-09-09
US20150303004A1 (en) 2015-10-22
EP2916337A4 (en) 2016-08-10
JP2015533452A (ja) 2015-11-24
EP2916337B1 (en)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9525B1 (en) Circuit breaker
WO2014069907A1 (ko)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WO2018056523A1 (ko) 릴레이
CN214043524U (zh) 一种永磁真空断路器
CN101322294A (zh) 具有一个或多个过电压保护元件的可插塞的过电压放电器
CN103198937B (zh) 开关的联动复合刹车结构、开关和电动工具
CN110137000A (zh) 双断点转换开关
KR101452892B1 (ko) 탭 절환기
CN110610832B (zh) 一种滑移式高压隔离开关
KR101393066B1 (ko)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CN217847832U (zh) 一种用于继电器的触点接触结构
CN102693853B (zh) 按钮开关
CN218918664U (zh) 一种复式结构电梯门触点开关装置
CN212461575U (zh) 一种断路器旋转式双断点动触头系统及断路器
CN217847831U (zh) 继电器触点接触结构
CN219832450U (zh) 一种辅助开关及断路器
CN217544423U (zh) 一种防误触按钮装置
CN202695279U (zh) 一种手动分闸按钮
CN113643932B (zh) 一种用于高压开关中的驱动机构
CN219653830U (zh) 快捷按键组件及智能坐便器
CN204095710U (zh) 一种汽车电器盒小型保险卡子
CN113707471B (zh) 制动灯开关
CN210575742U (zh) 信号继电连接器
ITMI992114A1 (it) Polo elettrico per interruttore di potenza di bassa tensione
CN215770982U (zh) 辅助开关装置及具有其的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02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38463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4060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50206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