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892B1 - 탭 절환기 - Google Patents

탭 절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892B1
KR101452892B1 KR1020130130102A KR20130130102A KR101452892B1 KR 101452892 B1 KR101452892 B1 KR 101452892B1 KR 1020130130102 A KR1020130130102 A KR 1020130130102A KR 20130130102 A KR20130130102 A KR 20130130102A KR 101452892 B1 KR101452892 B1 KR 101452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or
stationary contactor
fixed contact
statio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범
김용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01F29/025Constructional details of transformers or reactors with tapping on coil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01F29/04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having provision for tap-changing without interrupting the load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27Operat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가동접촉자의 구동시 진동이 저감되는 탭 절환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탭 절환기는 제1 고정접촉자;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이격하여 배치된 제2 고정접촉자; 상기 제1 고정접촉자 및 제2 고정접촉자에서 슬라이딩 구동되며,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가동접촉자; 및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 사이의 간격에 구비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압축기 고정구조체에 의하면, 제품에 설치된 압축기의 진동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최소화되어, 압축기의 구동시 압축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탭 절환기 {TAP CHANGER}
본 발명은 탭 절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접촉자의 구동시 진동이 저감되는 탭 절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탭 절환기는 변압기의 1차 전압이 정격 전압 이상의 과전압이 될 경우에 철심이 과포화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주로 변압기 1차 권선에 설치된다.
이러한 탭 절환기는 1차측 권선의 중간 단자를 인출하여 설치되며, 이를 조정 및 권선비를 바꿈으로써 2차측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이다.
탭 절환기는 1차 전압의 변동에 의해 2차측 전압이 소정의 정격전압으로부터 변동된 경우, 2차측 전압을 정격전압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탭 절환기는 1차측 권선에 복수의 탭을 간격을 가지고 구비하며, 복수의 탭 간에 이동하며 복수의 탭에 택일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접촉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가동접촉자는 기계적 구성을 통해 탭과 탭 간에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동접촉자는 절환동작을 위한 구동시에 탭의 접촉자와 접촉자 사이의 절연간격을 지나면서 구동 속도 및 접촉자의 형상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채터링(chattering)으로 인하여 단락이 발생하고, 변압기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탭 절환 동작시 채터링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탭 절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고정접촉자;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이격하여 배치된 제2 고정접촉자; 상기 제1 고정접촉자 및 제2 고정접촉자에서 슬라이딩 구동되며,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가동접촉자; 및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 사이의 간격에 구비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탭 절환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슬라이딩 면이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 사이에 연속되도록, 상기 제1 고정접촉자 및 제2 고정접촉자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는 블럭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제1 고정접촉자 및 제2 고정접촉자 각각에 끼움결합되는 돌출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접촉자는 상기 제1 고정접촉자, 절연부재 및 제2 고정접촉자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접촉되는 상측 접촉자와 하측 접촉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탭 절환 동작을 위해 구동되는 가동접촉자의 구동시 진동이 저감되어, 탭 절환시 채터링(chatter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 절환기에 포함되는 제1 고정접촉자, 제2 고정접촉자, 가동접촉자 및 절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연부재가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 절환기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 절환기에 포함되는 제1 고정접촉자, 제2 고정접촉자, 가동접촉자 및 절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절연부재가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 절환기는 제1 고정접촉자(110), 제2 고정접촉자(120), 가동접촉자(130) 및 절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 절환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탭에 구비되며 위치가 고정된 도체로서, 후술할 가동접촉자(130)와 접촉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탭과 가동접촉자(130) 간의 통전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정접촉자(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 절환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탭 중에서 다른 어느 하나의 탭에 구비되며 위치가 고정된 도체로서, 후술할 가동접촉자(130)와 접촉되어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탭과 가동접촉자(130) 간의 통전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접촉자(120)는 제1 고정접촉자(110)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접촉자(120)는 제1 고정접촉자(110)와의 사이에 소정의 절연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고정접촉자(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가동접촉자(130)는 제1 고정접촉자(110)와 제2 고정접촉자(120)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구동되어 접점이 변경되는 도체이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접촉자(130)는 제1 고정접촉자(110) 또는 제2 고정접촉자(120)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1 고정접촉자(110) 및 제2 고정접촉자(120)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접촉자(130)는 수평방향을 연장된 바 형태의 제1 고정접촉자(110)와 제2 고정접촉자(120)의 구조에 대응하여 제1 고정접촉자(110)와 제2 고정접촉자(120) 간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동접촉자(130)는 별도의 기계적 구성요소(미도시)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가동접촉자(130)는 상측 접촉자(130a)와 하측 접촉자(130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접촉자(130a)는 제1 고정접촉자(110), 제2 고정접촉자(120) 및 후술할 절연부재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접촉자(130b)는 제1 고정접촉자(110), 제2 고정접촉자(120) 및 후술할 절연부재의 하단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가동접촉자(130)는 상측 접촉자(130a)와 하측 접촉자(130b)가 제1 고정접촉자(110), 제2 고정접촉자(120) 및 후술할 절연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접촉된 채로 서로 상대방향으로 가압되어, 제1 고정접촉자(110), 제2 고정접촉자(120) 및 절연부재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다만, 가동접촉자(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고정접촉자(110), 제2 고정접촉자(120) 및 절연부재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고정접촉자(110), 제2 고정접촉자(120) 및 절연부재의 내부 홈에 삽입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절연부재는 제1 고정접촉자(110)와 제2 고정접촉자(120) 사이의 간격에 구비되는 고체의 절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부재는 절연성능 및 강도가 높은 압축 나무, 플라스틱, 세라믹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절연부재는 제1 고정접촉자(110)와 제2 고정접촉자(120) 사이의 절연간격을 메우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연부재는 제1 고정접촉자(110)와 제2 고정접촉자(120)를 서로 절연시키는 동시에, 가동접촉자(130)가 제1 고정접촉자(110)와 제2 고정접촉자(120) 간에 이동할 때 가동접촉자(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절연부재는 가동접촉자(130)의 슬라이딩 면이 제1 고정접촉자(110)와 제2 고정접촉자(120) 사이에 연속되도록, 제1 고정접촉자(110) 및 제2 고정접촉자(120)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는 블록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절연부재는 제1 고정접촉자(110)와 제2 고정접촉자(120) 사이에 이동하는 가동접촉자(130)의 슬라이딩 면을 제1 고정접촉자(110)와 제2 고정접촉자(120) 사이에서 연속되고 평평하며 매끄럽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고정접촉자(110)와 제2 고정접촉자(120) 간에 이동하는 가동접촉자(130)가 절연부재를 지날 때, 가동접촉자(130)의 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절연부재는 일 단에 제1 고정접촉자(110)의 끝단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되는 돌출결합부(142)를 구비할 수 있고, 타단에 제2 고정접촉자(120)의 끝단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되는 돌출결합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부재의 양단에 구비된 돌출결합부(142, 144)는 제1 고정접촉자(110) 및 제2 고정접촉자(120)와 절연부재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절연부재가 가동접촉자(130)의 구동시 가동접촉자(130)로부터 받는 횡하중에 대해서 높은 수준의 강도로 저항할 수 있도록 절연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10 : 제1 고정접촉자
120 : 제2 고정접촉자
130 : 가동접촉자.....130a : 상측 접촉자 / 130b : 하측 접촉자
140 : 절연부재
142, 144 : 돌출결합부

Claims (5)

  1. 제1 고정접촉자;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이격하여 배치된 제2 고정접촉자;
    상기 제1 고정접촉자 및 제2 고정접촉자에서 슬라이딩 구동되며,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가동접촉자; 및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 사이의 간격에 구비되는 절연부재;
    를 포함하는 탭 절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형태로 구성된 탭 절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슬라이딩 면이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 사이에 연속되도록, 상기 제1 고정접촉자 및 제2 고정접촉자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는 블럭형태로 구성된 탭 절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제1 고정접촉자 및 제2 고정접촉자 각각에 끼움결합되는 돌출결합부가 구비된 탭 절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접촉자는 상기 제1 고정접촉자, 절연부재 및 제2 고정접촉자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접촉되는 상측 접촉자와 하측 접촉자로 구성된 탭 절환기.
KR1020130130102A 2013-10-30 2013-10-30 탭 절환기 KR101452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102A KR101452892B1 (ko) 2013-10-30 2013-10-30 탭 절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102A KR101452892B1 (ko) 2013-10-30 2013-10-30 탭 절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892B1 true KR101452892B1 (ko) 2014-10-22

Family

ID=5199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102A KR101452892B1 (ko) 2013-10-30 2013-10-30 탭 절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266B1 (ko) 2015-11-27 2016-12-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탭 절환기
KR20180121559A (ko) * 2016-03-11 2018-11-07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셀렉터, 및 디버터 스위치와 셀렉터를 갖는 부하시 탭 절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7130A (ja) * 2000-01-31 2001-08-10 Toshiba Corp 負荷時タップ切換器
JP2003188031A (ja) * 2001-12-18 2003-07-04 Toshiba Corp 負荷時タップ切換器
JP2008091393A (ja) * 2006-09-29 2008-04-17 Toshiba Corp 負荷時タップ切換器
JP4237536B2 (ja) * 2003-04-25 2009-03-11 愛知電機株式会社 負荷時タップ切換装置の間欠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7130A (ja) * 2000-01-31 2001-08-10 Toshiba Corp 負荷時タップ切換器
JP2003188031A (ja) * 2001-12-18 2003-07-04 Toshiba Corp 負荷時タップ切換器
JP4237536B2 (ja) * 2003-04-25 2009-03-11 愛知電機株式会社 負荷時タップ切換装置の間欠駆動装置
JP2008091393A (ja) * 2006-09-29 2008-04-17 Toshiba Corp 負荷時タップ切換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266B1 (ko) 2015-11-27 2016-12-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탭 절환기
KR20180121559A (ko) * 2016-03-11 2018-11-07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셀렉터, 및 디버터 스위치와 셀렉터를 갖는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355954B1 (ko) 2016-03-11 2022-01-25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셀렉터, 및 디버터 스위치와 셀렉터를 갖는 부하시 탭 절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87365B (zh) 直流继电器
KR101280288B1 (ko) 회로차단기
JP5837644B2 (ja) 配線用遮断器のアーク消弧装置
CN104246952A (zh) 触点装置和使用它的电磁开闭器
US20230030575A1 (en) Breaker and contactor
CN102737914A (zh) 消弧式无极性接触器
KR101452892B1 (ko) 탭 절환기
KR20210066896A (ko) 단락전류 방지용 직류 릴레이
CN103280372A (zh) 快速涡流驱动机构
CN102820173B (zh) 电接触器
KR101678000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의 이중동작 구조
CN103854926A (zh) 电磁接触器
EP3226358A1 (en) Time relay socket
EP2876659B1 (en) Switch having two sets of contact elements
US8907237B2 (en) Floating contact assembly for switchgear
EP2843678A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eccentricity of movable contact in vacuum circuit breaker
US9761400B2 (en) 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circuit breaker
KR101706091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CN102360972B (zh) 单一中断的低压开关设备,尤其为线路保护开关
WO2019171707A1 (ja) 開閉器
CN204242915U (zh) 超高速机械开关及其开关断口
JP2020077472A (ja) マイクロ継電器
CN110610832A (zh) 一种滑移式高压隔离开关
KR101922154B1 (ko) 전자접촉기
KR20160091156A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