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748B1 -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748B1
KR101495748B1 KR20130115448A KR20130115448A KR101495748B1 KR 101495748 B1 KR101495748 B1 KR 101495748B1 KR 20130115448 A KR20130115448 A KR 20130115448A KR 20130115448 A KR20130115448 A KR 20130115448A KR 101495748 B1 KR101495748 B1 KR 101495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or
contact
pusher
case
vertica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2013011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748B1/ko
Priority to EP13850206.7A priority patent/EP2916337B1/en
Priority to US14/438,463 priority patent/US9659718B2/en
Priority to JP2015540603A priority patent/JP6027257B2/ja
Priority to PCT/KR2013/009766 priority patent/WO2014069907A1/ko
Priority to CN201380057795.3A priority patent/CN10499570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01H21/4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 H01H21/44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produced by flexing blade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1Increasing rigidity; Anti-cre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16Protection layer, e.g. for legend, anti-scr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8Anti-vandal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1접점부; 상기 케이스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점부의 직상방에 배치되는 제2접점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 사이에 배치되는 컨택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터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의 사이가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중간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푸셔부; 및 상기 컨택터의 표면에 형성되는 보강비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로서 컨택터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A high load switch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택터의 강성을 보강하여 변형방지 및 내구성을 강화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요 구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스위치 장치가 배치된다.
특히, 스위치 장치 중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는 비교적 큰 부하가 걸리는 스위치 장치에 이용된다.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예를 들면 파워윈도우 스위치가 있다.
이러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는 큰 부하가 가해지기에, 고부하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부품 변형이 발생하여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컨택터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는,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1접점부; 상기 케이스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점부의 직상방에 배치되는 제2접점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 사이에 배치되는 컨택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터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의 사이가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중간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푸셔부; 및 상기 컨택터의 표면에 형성되는 보강비드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사용자의 강한 또는 계속적인 외력에 의한 컨택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컨택터의 변형을 방지하여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내구성이 강화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컨택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컨택터의 측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컨택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컨택터에 보강비드와 브릿지가 없는 경우,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컨택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100)는 상측에 개구부(111)가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1접점부(120)와, 케이스(110)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제1접점부(120)의 직상방에 배치되는 제2접점부(130)와, 일단부(210)가 케이스(110)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220)가 제1접점부(120)와 제2접점부(130) 사이에 배치되는 컨택터(20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개구부(111)의 상측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시소타입으로 작동하는 노부의 하단부가 배치된다. 또한 개구부(111)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2개가 형성된다.
컨택터(200)는 일단부(210)와 타단부(220) 사이가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중간부분이 개구부(111)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푸셔부(230)와 컨택터(200)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보강비드(240)를 포함한다. 컨택터(200)는 일단부(210), 타단부(220)와 푸셔부(230) 및 보강비드(240)는 일체로 형성된다.
컨택터(200)의 일단부(210)는 고정부재(105)에 의해 외팔보 형상으로 케이스(110) 내부 일측에 고정된다. 또한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1접점부(120)와 제2접점부(130)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1접점부(120) 및 제2접점부(130)와의 접점이 용이하도록 상하로 돌출된 돌출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컨택터(200)가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접촉되지 않을 때, 즉 사용자의 외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는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2접점부(130)와 계속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푸셔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111)를 관통하여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접촉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푸셔부(230)는 컨택터(200)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사용자의 외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필요하지 않으므로 부품수를 절감하는 한편 조립공수 또한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푸셔부(230)는 대략 컨택터(200)의 일단부(210)와 타단부(220) 사이에 형성된다. 푸셔부(230)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부(231a, 231b)와, 한쌍의 수직부의 상단을 연장시키는 연장부(231)로 이루어지며, 하측이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컨택터(200)는 한 쌍의 수직부(231a, 231b)의 소정의 폭을 유지시키는 브릿지를 포함한다. 브릿지(250)는 푸셔부(230)를 이루는 수직부(231a, 231b)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한다. 이에 브릿지(250)는 컨택터(20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수직부(231a, 231b)의 폭이 소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연장부(231)는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접촉되는 부분이며,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부드럽게 하강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푸셔부(23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직부(231a, 231b)의 폭이 거리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푸셔부(230)의 중간부분의 폭은 개구부(11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컨택터(200)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푸셔부(230)가 개구부(111)와 상시 접촉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푸셔부(230)가 개구부(111)에 상시 접촉되도록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의 표면에 결합되어 텐션에 대하여 더 큰 저항성으로 컨택터(200)의 변형을 방지한다.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의 일단부(210)와 푸셔부(230) 사이와 컨택터(200)의 타단부(220)와 푸셔부(230)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보강비드(240)는 푸셔부(230)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비드(240)는 푸셔부(230)의 수직부(232a, 232b)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보강비드(24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텐션이 넒은 범위로 분산되는 것이 가능한바, 컨택터(200)의 변형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컨택터(200)에 가해지는 힘의 영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보강비드(240)는 사출성형 등으로 컨택터(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만, 보강비드(240)의 돌출높이가 높게 형성될수록 변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강비드(240)의 돌출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조립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강비드(240)는 적정한 돌출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의 푸셔부(230)에 사용자의 외력이 제공될 경우, 외력에 의해 타단부(22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컨택터(200)는 제1접점부(120)에 접촉된다. 컨택터(200)가 제1접점부(120)에 접촉한 이후에도 외력이 계속 가해지는 경우에 컨택터(200)에 텐션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컨택터(20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제1접점부(120)에 가해지는 점접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텐션에 의해 컨택터(200)가 휘어지거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에 가해지는 텐션을 견디어 컨택터(200)가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컨택터(20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한 컨택터(200)의 변형을 방지하여 컨택터(200)의 접점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컨택터(200)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브릿지(250)는 푸셔부(230)의 수직부(231a, 231b)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단부(210)측의 수직부(232a)의 내측면에 브릿지(250)가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릿지(250)는 푸셔부(230)의 수직부(232a, 232b)의 폭이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브릿지(250)는 컨택터(200)의 푸셔부(230)에 사용자의 외력이 제공될 경우, 외력에 의해 타단부(22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컨택터(200)의 수직부(232a, 232b)의 폭이 작아지게 된다. 이에 브릿지(250)는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직부(232a, 232b)의 폭이 소정거리 이하로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컨택터(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브릿지(250)는 수직부(232a, 232b)의 하측에 배치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브릿지(250)는 수직부(232a, 232b)의 중앙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브릿지(250)는 컨택터(200)와 사출성형 등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브릿지(250)는 복수개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컨택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컨택터에 보강비드와 브릿지가 없는 경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와 도8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2접점부(130)에 접촉되어 있다. 이 경우, 컨택터(200)의 일단부(210)와 타단부(220)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며, 수직부(232a)와 일단부(210) 및 수직부(232b)와 타단부(220)간의 각도가 약 90도로 이루어 진다.
이후 사용자가 노브(101)를 작동시켜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푸셔부(230)의 연장부(231)에 접촉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2접점부(130)에서 제1접점부(120)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1접점부(120)에 접촉된다.
그러나 푸셔부(230)의 타단부(220)가 제1접점부(120)에 접촉한 이후에도 사용자의 외력이 계속 가해지는 경우, 푸셔부(230)가 하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푸셔부(230)의 수직부(232b)와 타단부(220)간의 각도가 90도보다 작아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푸셔부(230)의 수직부(232a)와 일단부(210)간의 각도도 90도보다 작아지게 된다. 즉, 컨택터(200)의 형상이 변형되게 된다. 따라서, 컨택터(200)의 일단부(210)와 타단부(220)에는 텐션이 발생하게 되고, 텐션의 크기가 소정이상이 되면 컨택터(200)가 변형된다.
또한, 푸셔부(230)에 사용자의 외력이 계속 가해지는 경우, 수직부(232a, 232b)의 하측 폭(??)이 좁아지는 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컨택터(20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2접점부(130)에 접점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컨택터(200)에 보강비드(240)와 브릿지(250)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하 보강비드(240)와 브릿지(250)의 역할을 설명한다.
도 5와 도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2접점부(130)에 접촉되어 있는 있다. 또한, 컨택터(200)의 일단부(210)와 타단부(220)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며, 수직부(232a)와 일단부(210) 및 수직부(232b)와 타단부(220)간의 각도가 약90도로 이루어진다.
이후 사용자가 노브(101)를 작동시켜 노브(101)의 하단부(101a)가 푸셔부(230)의 연장부(231)에 접촉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2접점부(130)에서 제1접점부(120)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제1접점부(120)에 접촉된다.
여기서,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2접점부(130)와 제1접점부(120)에 접촉되는 상황을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의 작동을 예를들어 설명한다.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2접점부(130)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는 차량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로 작동되는 차량의 윈도우에 있어서 윈도우가 정지된 상태를 의미한다. 윈도우가 정지된 상태이기는 하지만 정지되기 전의 상태는 윈도우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동작 상태에 있었던 경우이므로, 위와 같은 동작 상태를 정지시키는 의미에서 오프(OFF) 접점이라고 칭할 수 있다.
반대로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1접점부(120)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는 윈도우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동작상태에 있는 경우이므로, 이와 같이 윈도우를 동작시키는 의미에서는 온(ON)접점이라고 칭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경우, 컨택터(200)의 타단부(220)가 제1접점부(120) 및 제2접점부(130)를 접점시키는 대향 접점방식이 적용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노브(101)의 하단부(101a)를 매개로 컨택터(200)에 전달되면 컨택터(200)는 도5의 오프 접점 상태였다가 도 6의 온 접점 상태로 변경된다.
이때, 컨택터(200)의 타단부(220)는 노부의 하단부가 시소 타입으로 완전히 회전되기 전에 제1접점부(120)와 접촉되고 사용자가 그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노브(101)를 회전시켜 외력을 제공하면 푸셔부(230)는 타단부(220)가 제1접점부(120)와 접촉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더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컨택터(200)의 일단부(210)와 타단부(220)에는 텐션이 발생한다. 그러나 컨택터(200)에 형성된 보강비드(250)에는 텐션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바, 보강비드(240)는 컨택터(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컨택터(200)가 짧은 시간 및 작은 횟수로 형상이 변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의 지속적이고도 반복적인 사용이 계속될 경우 컨택터(200)의 형상이 변형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인 바, 브릿지(250)가 이와 같은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보강비드(240)는 푸셔부(230)의 수직부(232a, 232b)까지 연장 형성되는 바, 텐션에 대한 저항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어 컨택터(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계속 가해지는 경우, 푸셔부(230)는 하측으로 더 이동하려는 힘을 받기에 한쌍의 수직부(232a, 232b)의 폭이 좁아지게 하는 힘이 발생한다. 그러나, 한쌍의 수직부(232a, 232b)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구비된 브릿지(250)가 한쌍의 수직부(232a, 232b)의 소정의 폭(??)을 유지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의 외력이 계속 가해지더라도 한쌍의 수직부(232a, 232b)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된 브릿지(250)는 수직부(232a, 232b) 중 나머지 하나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수직부(232a, 232b)가 소정의 폭을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보강비드(240)와 브릿지(25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컨택터(2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컨택터(200)의 변형이 방지되기에 타단부(220)가 제1접점부(120)에 가하는 접점압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타단부(220)가 제2접점부(13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10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101: 노브
101a: 하단부 110: 케이스
111: 개구부 120: 제1접점부
130: 제2접점부 200: 컨택터
210: 일단부 220: 타단부
230: 푸셔부 231a, 231b: 수직부 240: 보강비드 250: 브릿지

Claims (9)

  1. 상측 중간 부분에 개구부가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1접점부;
    상기 케이스 내부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접점부의 직상방에 배치되는 제2접점부; 및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 사이에 배치된 컨택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터는,
    중간 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푸셔부; 및
    표면에 형성된 보강비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푸셔부 사이 및 상기 타단부와 상기 푸셔부 사이에 형성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상기 푸셔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상기 컨택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상단을 연장시키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하측이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컨택터는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소정의 폭을 유지시키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푸셔부를 이루는 상기 한쌍의 수직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공되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접점부에 접점되고,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접점부에 접점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푸셔부를 이루는 상기 수직부 중 나머지 하나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의 사이가 연속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KR20130115448A 2012-11-05 2013-09-27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KR101495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448A KR101495748B1 (ko) 2013-09-27 2013-09-27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EP13850206.7A EP2916337B1 (en) 2012-11-05 2013-10-31 High load switch for vehicle
US14/438,463 US9659718B2 (en) 2012-11-05 2013-10-31 High load switch for vehicle
JP2015540603A JP6027257B2 (ja) 2012-11-05 2013-10-31 車両用高負荷スイッチ
PCT/KR2013/009766 WO2014069907A1 (ko) 2012-11-05 2013-10-31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CN201380057795.3A CN104995709A (zh) 2012-11-05 2013-10-31 车辆用高压负荷开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448A KR101495748B1 (ko) 2013-09-27 2013-09-27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748B1 true KR101495748B1 (ko) 2015-02-25

Family

ID=5259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5448A KR101495748B1 (ko) 2012-11-05 2013-09-27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7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953U (ko) * 2007-04-23 2008-10-28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KR20130054019A (ko) * 2011-11-16 2013-05-24 신철승 단자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953U (ko) * 2007-04-23 2008-10-28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KR20130054019A (ko) * 2011-11-16 2013-05-24 신철승 단자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98937A1 (en) Low noise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JP493547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20070181414A1 (en) Switch assembly for an automotive power window
KR101495748B1 (ko)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JP2015153756A (ja) 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電気スイッチ
JP6027257B2 (ja) 車両用高負荷スイッチ
ITTO20010877A1 (it) Dispositivo di azionamento di un interruttore elettrico a lamina a doppio scatto.
US6768069B1 (en) Micro switch
JP6359698B1 (ja) 揺動スイッチ装置
JP3630138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US9837225B2 (en) Electrical pushbutton snap switch
US10796861B2 (en) Key module
US4091247A (en) Double pole-double throw switch
CN108695102B (zh) 开关装置及其制造方法
CN113838686A (zh) 动触头压力保持机构和双电源转换开关
KR101393066B1 (ko)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CN109994333B (zh) 用于按钮开关的按钮组件、按钮开关以及电子设备
JP4407441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AU2018204213B2 (en) Driving member for push-button switch and push-button switch
CN209029282U (zh) 一种按键结构
US11776783B2 (en) Kit and method for the assembly of at least two variants of a relay and contact spring for a relay
JP7134859B2 (ja) スイッチ装置
TWI641970B (zh) 按鍵結構
AU2018274879B2 (en) Button assembly for push-button switch, push-button switch, and electronic device
EP2747112B1 (e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