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21561A1 -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 - Google Patents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21561A1
WO2014021561A1 PCT/KR2013/006109 KR2013006109W WO2014021561A1 WO 2014021561 A1 WO2014021561 A1 WO 2014021561A1 KR 2013006109 W KR2013006109 W KR 2013006109W WO 2014021561 A1 WO2014021561 A1 WO 20140215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fabric
weight
parts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610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예성
유연주
Original Assignee
Lee Yea Sung
Yu Yeon Ju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Yea Sung, Yu Yeon Ju filed Critical Lee Yea Sung
Priority to JP201552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5534466A/ja
Priority to DE112013003855.2T priority patent/DE112013003855B4/de
Priority to CN201380047344.1A priority patent/CN104619225A/zh
Priority to US14/418,801 priority patent/US9907878B2/en
Priority to IN842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0842A/en
Publication of WO20140215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215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4Babies' p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14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Anti-inflammatory agents, e.g. NSAI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tissue containing a hot spring extract or a distillate thereof, which i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2000 to 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of 120 to 131 ° C and 1.2 to 2.8 atm.
  • Wet tissue is used for the purpose of cleanliness and disinfection by applying water to fabrics for wet tissues such as natural pulp, cotton, inosio, tencel, natural fiber fabrics, nonwoven fabrics, synthetic fiber fabrics, and blended fiber fabrics.
  • Oral wipes, baby wipes for cleaning, wet wipes for women, disposable wipes, multi-purpose wipes are produced in various forms, such as the use of easy and convenient wet wipes are increasing in demand. Since these products are used directly on the human skin, they must be excellent in the safety of the skin, have good removal ability against foreign substances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remaining on the skin, and have the functional effects and efficacy to improve the skin condition. Should be
  • wet wipes usually include surfactants, chemical preservatives, fragrances and alcohols, and especially, the surfactants are prepared on the principle of dissolving foreign substances by wiping off the dirt by acting as a main component.
  • these components may cause skin irritation when used on sensitive body parts.
  • even if there is no irritation it is merely a function of wiping the skin there is a limit to remove the bacteria adhered to the skin.
  • methyl paraben a chemical preservative that is harmful to health, has been detected in oral wipes that enter the mouth of babies a while ago. Eco-friendly wet tissues that do not contain chemical components are attracting attention, but the safety of these products has not been fully verified.
  • Colidis is a rhizome from which the roots of Coptis japonica Makino or other congenital plants ( Ranunculus ) are removed. It is used for various inflammations, and it is recorded to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ermatitis.In motion therapy, it can be used as a bitter dry placebo, sedative, and inflammatory medicine, hyperemia and inflammatory disease, heart palpitation and mental anxiety, abdominal pain, diarrhea, It is said to be used for dysentery and bleeding symptoms.
  • the herbaceous sinensis ( ⁇ ⁇ ) is said to have the effect of suppressing vomiting, stopping the sourness, removing gugal, extinguishing Huaan, and calming the mind.
  • Yellowish (Phellodendron Bark) is stripped of bark jupi of Phellodendron amurense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or other dongsok plants (Rutaceae, Rutaceae). It is an antimicrobial agent that removes moisture and heat.
  • the herbaceous wood is said to cure women's abortions and treats, and to treat vulva skin tissues with swelling. It can also be used for dermatitis, mucositis in the mouth, burns, and cuts.
  • Golden is the bark of the bark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It is used as antipyretic, diuretic, antidiabetic, dichroic and anti-inflammatory. It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It is said that it is mainly used for inflammatory medicine and fever lowering medicine, and it is used for congestion, inflammation and fever disease, embryo pain, diarrhea, respiratory infection and cough, moist jaundice and inflammatory conjunctivitis.
  • Seeds of the missing name is diuretic, constipation and eyes are effective in lightening habits, constipation, hypertension, acute conjunctivitis, corneal haze, etc. It is roasted and boiled tea like barley tea.
  • Licorice (Glycyrrhizae radix) is used in Korea and Japan with or without peeling the roots and stems of licorice (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European licorice ( Glycyrrhiza glabra L.), or other similar plants.
  • dried roots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Fi ⁇ ), Glycyrrhiza glabra L. ( ⁇ ⁇ ⁇ ), and Glycyrrhiza inflata Batal ( ⁇ ⁇ ⁇ ) are used. It grows in Russia (Siberia), Iran, Afghanistan, Pakistan, China (Gamseong, Xinjiang) and Mongolia, and is also grown in Korea.
  • European licorice is distributed in Southern Europe, Central Asia, and China. Russian licorice, Persian licorice, and Egyptian licorice are not medicinal.
  • the outer shell of licorice is reddish brown or dark brown with vertical wrinkles and sometimes with stamina, shoots and scaly leaves. Peeled licorice is light yellow on the outside and fibrous.
  • This medicine is also called Gukro ( ⁇ ⁇ ), Micho ( ⁇ ⁇ ), citrus ( ⁇ ,), wax ( ⁇ ⁇ ), Yeongtong, persimmon, rocho ( ⁇ ).
  • Licorice harmonizes the toxicity of all medicines to make the drug appear well, to control the heat and morale of the books, and to communicate all blood vessels, and to strengthen the muscles and bones.
  • Pharmacological action is effective in detoxification, hepatitis, urticaria, dermatitis, eczema. Jinhae, expectorant, muscle relaxation, diuretic, anti-inflammatory action and suppresses peptic ulcer.
  • Lamiaceae Pulella vulgaris var. Aleutica, Prunella vulgaris var. Asiatica,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for. Albiflora, etc. belonging to the family Lamiaceae, poisonous properties garage It also has antipyretic, detoxifying, antibacterial, boil and soothing effects, and is known to be particularly effective in treating eye diseases.
  • Houttuyniae herba refers to the upper part of the flowering phase of Houttuynia cordata Thunberg of more than three hundred in Korea. In Japan, the same plants are called tenants ( ⁇ ⁇ ). In China, the same plant is used, but it is defined as an outpost or above ground.
  • Eoseongcho is named after its fishy fishy smell. This drug is fishy smelly when the leaves are crushed and the taste is spicy and slightly cold. Echoseongcho is excellent for fever, drainage, cough due to lung abscess, pus, vomiting, pneumonia, acute bronchitis, enteritis, urinary tract infections, boils, fever and urine can not be used. As a pharmacological action, antibacterial action, immune enhancing action, anti-inflammatory action, diuretic action, antitussive action has been reported.
  • the present inventors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with the wet wipes currently on the market, by mixing 2000 to 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yellow soybean extract hot water extract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of 120 ⁇ 131 °C and 1.2 ⁇ 2.8 atmosphere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producing a wet tissue having excellent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 Korean Patent No. 553265 discloses a wet tissue containing electrolyzed water, oak extract, and yellow lotus extract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002715 discloses various herbal ingredients including This oral tissue wipes are disclosed
  •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63076 discloses wet tissue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vaginitis, which contains various herbal ingredients including sulfur, but the wet tissues of the prior arts are 100 weight of sulfur.
  •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wet tissu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tains hot water extract or a distillate thereof, which is mixed with 2000 to 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of 120 to 131 ° C and 1.2 to 2.8 atm. .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t tissue containing a hot water extract or a distillate thereof which is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of 120 to 131 ° C and 1.2 to 2.8 atm by mixing 2000 to 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with 100 parts of sulfur. .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tissue containing the sulfur water hot water extract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of 120 ⁇ 131 °C and 1.2 ⁇ 2.8 atm by mixing 2000 to 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sulfur.
  • the Hwangyeon hot water extract may be prepared by adding 1 to 5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herbal medicin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corice, clover leaf, eoseongcho, hyacinth, clover leaf, yellow and white and gol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yellow lotus. .
  • the wet wipes containing the hot lotus extract are sprayed with 200 to 400 parts by weight of the hot lotus extra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fabric for the wet tissue to absorb the hot spring extract to the fabric for the wet tissues, and then the wet pulp extract is absorbed.
  • the fabric may be prepared by hermetically packed and sterilized.
  • the fabric for the wet tissu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pulp, cotton, ingio, tencel, natural fiber fabric, blend fiber fabric, nonwoven fabric and synthetic fiber fabric can be used.
  • the fabric for wet wipes After sealing the fabric for wet wipes, it can be sterilized using a conventional sterilization method.
  • the sterilization may be perform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of 120 to 131 ° C. and 1.2 to 2.8 atmospheres, or by gamma irradiation for 15 to 30 hours.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cotton swab, gauze, mask, diaper, sanitary napkin, etc. containing the sulfur water extract.
  • Step 1 mixing 2000-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yellow lotus and extracting it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of 120 to 131 ° C. and 1.2 to 2.8 atm to prepare a hot water extract of yellow lotus;
  • Step 2 by spraying 200 ⁇ 400 parts by weight of the rhubarb hot water extract prepared in step 1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fabric for wet tissues to absorb the yellow lotus hot water extract on the wet tissue fabric;
  • Step A mixing 2000-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yellow lotus and extracting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of 120-131 ° C. and 1.2-2.8 atm to prepare a hot water extract of yellow lotus;
  • the present invention by mixing 2000 ⁇ 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yellow lotus distillate of the hot water extract of condensed sulfur obtained by distilling the steam obtained by distilling the hot water extract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of 120 ⁇ 131 °C and 1.2 ⁇ 2.8
  • products selected from wet wipes, swabs, gauze, masks, diapers and sanitary napkins are provided.
  • Step 1 Mix 2000 to 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sulfuric acid, extract it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at 120 to 131 ° C and 1.2 to 2.8 atmospheres to produce a hydrothermal extract, and obtain the steam obtained by distilling the sulfuric acid hydrothermal extract. Condensing to produce a distillate of the sulfur water extract;
  • Step 2 by spraying 200 ⁇ 400 parts by weight of the distillate of the sulfur water hot water extract prepared in step 1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fabric for water tissue to absorb the distillate of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sulfur water to the fabric for wet tissues;
  • the product selected from cotton swabs, gauze, masks, diapers and sanitary napkins containing the distillate of the rhubarb hydrothermal extract selected from cotton swabs, gauze, masks, diapers and sanitary napkins containing the distillate of the rhubarb hydrothermal extract,
  • Step A 2000 to 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i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yellow lotus and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of 120 to 131 ° C. and 1.2 to 2.8 atm to produce a hot water extract, and the steam obtained by distilling the hot water extract is extracted. Condensing to produce a distillate of the sulfur water extract;
  • Process B 100 parts by weight selected from cotton wool, gauze fabric, cotton fabric, natural fiber fabric, synthetic fiber fabric, blended fiber fabric and nonwoven fabric, distillate 200 of the rhubarb hydrothermal extract prepared in step A Absorbing the distillate of the sulfur water extract by spraying ⁇ 400 parts by weigh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tissue containing a hot water extract or a distillate thereof, which is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of 120 to 131 ° C. and 1.2 to 2.8 atm by mixing 2000 to 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with 100 parts of yellow lotus, wherein the wet tissue is antibacterial. It has the effect of anti-inflammatory, washing, and washing.
  • water is added to less than 2000 parts by weigh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yellow lotus or more than 8000 parts by weigh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extraction efficiency is not high.
  •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yellow lotus may be used as it is, the extract of the filtrate in which the solid content is removed, but may be used by concentrating it, but since the cost of the concentration process occurs,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the extract of the filtrate as it is. .
  • the sulfur water hot water extract when extracted at a temperature and air pressure conditions lower than 120 ⁇ 131 °C and 1.2 ⁇ 2.8 atmospheric pressure, the active ingredient is not extracted well, the effect of washing, washing,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etc. It is lowered and is not preferable. In addition, even if the extraction at temperatures and pressures higher than 120 ⁇ 131 °C and 1.2 ⁇ 2.8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active ingredient is destroyed, the effects of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wound treatment, cleaning, washing, etc. are not preferable. In addition, it is not preferable to prepare the sulfur water extract of hot water at a temperature or air pressure higher than 120 to 131 ° C. and 1.2 to 2.8 atm, because manufacturing costs are added.
  • the extract when the extract is prepared in an ultra-high pressure state (within 1100 atm) exceeding 2.8 atm, by maintaining the extraction temperature at a low temperature of 100 ° C or l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struc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so as to extract the hot water extract for manufacturing wet wip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 the extraction time of the sulfur hot water extract is not limited, but preferably 10 minutes to 24 hours, preferably 10 minutes to 9 hours, more preferably 10 to 60 minutes, and most preferably 20-40 minutes is good. At this time, the extraction in less than 10 minutes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active ingredient is not extracted well, the effect of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cleaning, washing, etc. is low. If it exceeds 24 hours, the active ingredient is no longer extracted, but manufacturing costs may be added.
  • the distillate of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yellow lotus is a distillate obtained by condensing the steam obtained by distilling the hot yellow water extract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at 120 to 131 ° C. and 1.2 to 2.8 atm by mixing 2000 to 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of sulfur.
  • the distillation temperature may be all prepared at the boiling temperature of water, preferably 100 to 131 ° C, most preferably 120 to 131 ° C, and most suitable As the distillation at, the distillation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thereby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One or more herbal medicines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 to 50 parts by weight.
  • the distillate contains volatile substances included in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yellow lotus, the effect of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cleaning, washing, etc. than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yellow lotus.
  • the distillate may be used by concentration, but preferably used as it is condensed steam. This may occur due to the cost of the concentration process, because the effects such as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cleaning, washing, etc. are maintained enough even without concentration.
  • the wet tissue product can be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process of spraying or impregnating the hot water extract or the distillate thereof
  • the wet tissue fabric is preferably a spray method.
  • the wet tissue fabric may be used in one layer, but in order to enhance the use effect, a plurality of corrugated waves may be formed by thermocompression or the like in a state of overlapping in two to three layers. For example, after laminating two pieces of cloth for wet tissues, a thermal compression process may be performed to perform lattice pattern, irregularities treatment or embossing treatment.
  • the wet tissu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that are commonly added in addition to the hot water extract or the distillate thereof.
  • additives include surfactants, moisturizers, preservatives, fragrances, bactericides, deodorants, and the like.
  • surfactants dodecylbenzenesulfonate salts, lauryltrimethylammonium salts, moisturizers as chamomile oils, and phenoxy as preservatives
  • Ethanol, methyl paraben, ethyl paraben, phenoxyethanol, herbs, green tea extract, chemomile flower extract, limonene, fungicides include ethyl alcohol, deodorant chitosa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nents added to the product can be used. However,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wet tissu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 only a rhubarb extract or a distillate thereof. On the other hand, these additives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ulfur water extract or its distillate.
  • the extraction of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xtractor commonly used for extraction of herbal medicines.
  • the spraying the sulfur extract in the wet tissue may be used a steam injector, a sprayer or the like commonly used for food processing or steam inj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a wet wipes oral tissue containing the Hwangsan hot water extract or distillate thereof, and preferably, the wet tissue can use an extract prepared by adding licorice or the distillate thereof when preparing the Hwangsan hot water extract. have.
  • sweeteners such as xylitol, saccharin, stevioside may be further added for sweetening.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roduct such as cotton buds, gauze, masks, diapers, sanitary napkins, etc. containing the sulfur water extract or distillate thereof.
  • a product such as cotton buds, gauze, masks, diapers, sanitary napkins, etc. containing the sulfur water extract or distillate thereof.
  • one selected from cotton cotton, gauze fabric, cotton fabric and non-woven fabric each manufactured as a cotton swab, gauze, mask, diaper, sanitary napkin, etc. It can be prepared by packaging and sterilization.
  • a diaper or sanitary napki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outer cov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using one selected from the cotton wool, gauze fabric, cotton fabric and non-woven fabric.
  • a gamma ray sterilization method as a method of sterilizing the products it is recommended to use a gamma ray sterilization method.
  • the cotton swab containing the hot spring extract or distillate thereof the cotton wool for cotton swab may be treated separately after the hot spring extract, and then a cotton swab may be prepared. It can also be prepared by treating its distillat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tissue containing a hot water extract or a distillate thereof, which is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more specifically, by mixing 2000 to 80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sulfur, to 120-131 ° C. and a high temperature of 1.2 to 2.8 atm. It relates to a wet tissue containing hot water extract or sulfur distillate extracted under high pressure conditions.
  • the wet tissue containing the sulfur water extract or distillate thereof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properties and excellent inflammation inhibitory effect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on the skin, and can be easily used for skin cleanness and improvement of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 FIG.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wet tissue containing the sulfur wat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wet tissue containing a distillate of the sulfur water hot wat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ixture of sulfuric acid and water under the conditions of Table 1 was prepared under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of 120-131 ° C. and 1.2-2.8 atm, to obtain a hot water extract of sulfuric acid. Extract prepared in the same way to remove the herbal dry).
  • extracts were prepared by mixing golden, yellowish white, licorice, cinnabar leaf, eochocho, and hachicho. At this time, the yellow lotus hot water extract was extracted using a high pressure and high pressure extractor (Darin machine). At this time, the volume of each extract was adjusted to the same volume as in Example 1-1 (concentrated or water added).
  • Example 1-1 100 - - - - - - 5000 120 2.0 30
  • Example 1-2 100 - - - - - 2000 120 2.0 30
  • Example 1-3 100 - - - - - - - 8000 120 2.0 30
  • Example 1-4 100 - - - - - - 5000 121 1.2 30
  • Example 1-5 100 - - - - - - 5000 120 2.0 20
  • Example 1-6 100 - - - - - - 5000 120 2.0 120
  • Example 1-7 90 10 - - - - - - 5000 120 2.0
  • Example 1-8 90 - 10 - - - - - 5000 120 2.0 30
  • Example 1-9 90 - - 10 - - - - 5000 120 2.0 30
  • Example 1-10 80 20 - - - - - 5000 120 2.0 30
  • Example 1-11 100 - - 10 - - - 5000 120 2.0
  • Example 2 340 g of the extract or distillate of Example 1 was spray-adsorbed onto a tissue cotton fabric 16 cm 18 cm 63 sheets (weight 100 g) (see Table 2). Next, the tissue treated with the extract or distillate was sealed-packed, and sterilized using a high-pressure retort sterilizer (Hi-RETORT STERILIZER, Daerin Machinery) to prepare a final wet tissue (15 at 121 ° C. under 1.2 atm). Sterilize for a minute).
  • Hi-RETORT STERILIZER Daerin Machinery
  • wet tissues of Examples 2-7 and 2-10 to which licorice was added when preparing hot water extract of rhubarb were prepared specifically for oral cleaning.
  • Example 2-1 Using the extract of Example 1-1
  • Example 2-2 Using the extract of Example 1-2
  • Example 2-3 Using the extract of Example 1-3
  • Example 2-4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4
  • Example 2-5 Using the extract of Example 1-5
  • Example 2-6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6
  • Example 2-7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7
  • Example 2-8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8
  • Example 2-9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9
  • Example 2-10 Using the extract of Example 1-10
  • Example 2-11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11
  • Example 2-12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12
  • Example 2-13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13
  • Example 2-14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14
  • Example 2-15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15
  • Example 2-16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16
  • Example 2-17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17
  • Example 2-18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18
  • Example 2-19 Using the extract of Examples 1-19
  • Example 2-20 Using the extract of
  • a cotton swab was prepared as a cotton swab, and the cotton gauze fabric was cut into an appropriate size to prepare a gauze for wound dressing. Thereafter, the swab and gauze were gamma-ray sterilized for 20 hours after the sealing packaging to prepare a final product.
  • the extracts of Comparative Examples 2-8 and 2-9 were placed in the extractor with sulfur and 1,3-butylene glycol or 70% ethanol solvent in the extractor and completely sealed so that there is no pressure leakage, the temperature is 85 °C or 95 °C
  • the extraction was performed while gradually raising the temperature over 1 hour to be maintained for 3 hours.
  • the pressure was maintained at 1.2 atm or 1.5 atm,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extraction efficiency, the stirrer used a type in which an anchor and a paddle were mixed, and the stirring speed during extraction was maintained at 40 to 50 rpm.
  • the reactor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over 1 hour, and then the extract solution and the sulfur solids were separated by using a vacuum filter capable of reducing the pressure.
  • the filtrate was filtered using a filter paper capable of filtering 1 ⁇ m or more, the extract was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the organic solvent component, and water was added to make the volume the same as that of the hot water extracts of the yellow lotus of Example 1. .
  • Comparative Example 1-1 to prepare a cotton swab and gauze by spraying.
  •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were left at room temperature (25 ° C.) in a sealed package, but when one month was reached, the lids of the wet tissue packaging were opened and two sheets were taken out and used for the experiment. Thereafter, the lid of the wet tissue package was covered and left in the same sealed state as before, and when three months were taken out, two pieces were used again for the experiment. Then, when six months old, the last two were taken out and used for the experiment. At this time, care was taken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so that the wet tissue did not dry to the outside conditions, and stored in a closed space with a humidity of 80% or more.
  • each wet tissue was placed in a homogenous bag (stomacher bag) containing sterile peptone water, stirred for 120 seconds, and diluted in steps. Dilutions were plated with 0.1 ml each of plate count agar (PCA) plate media. Measurement of general bacteria was carried out using 3M Petri film after incubation for 24 hours at 35 °C in PCA medium.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 Example 2-1 wet tissues of 0.3 log CFU / g or more bacteria was detected at 15 months (not detected until 12 months), but the wet tissues of Examples 2-25 to 2-28 all 0.3 log CFU / g or more bacteria at 18 months was detected (not detected until 15 months).
  • Antibacterial test for E. coli was performed on the wet tiss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50 ml flask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kind of wet tissue, and 70 ml of phosphate buffer solution and 5 ml of E. coli ( Esherichia coli , Accession No .: ATCC 25922) inoculation solution were added, and 0.75 g of wet tissues of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were chopped. Cutting (1 ⁇ 1 cm or less) was added and each flask was shaken (320 rpm) for 1 hour at 25 ⁇ 5 ° C. Each shaken culture solution was diluted 10-fold with phosphate buffer solution, streaked by 0.1 ml in agarose medium, and each medium was incubated at 37 ° C. for 24 hour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only in water. The bacterial reduction rate was shown based on the wet tissue of Comparative Example 3-37 added.
  • the medium added with the wet tissu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significant bacterial reduction rate compared to the wet tissue of Comparative Example 3-37, which was confirmed to be superior to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commercial wet tissue products.
  • wet tissues Comparative Example 3-21 to Comparative Example 3-26 prepared with a herbal extract that does not contain any of them, there is almost no antibacterial activity,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wet wip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quired component It appeared to be included only.
  • wounds of 10 people having a wound of 2 to 5 cm in length and within a depth of 3 mm were treated as a group, and the wound area was sterilized and the gauze of Examples 3 and 4 were compared.
  • the wound site was dressed using 4 gauze. Normal sterile gauze was used for the comparison. After 24 hours, the gauze was replaced, and after 24 hours,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wound was confirmed by a 5-point RBI method in Table 10.
  • a closed patch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kin irritation of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yellow rye used for the wet tissue of the present invention (human closed patch test).
  • This test method is widely used as a method to search for primary irritants.
  • 40 ⁇ l of the extract of Table 11 was added to the dorsal region of each healthy adult male and female, using a kit (Finn chamber), and then fixed to the skin with a tape (scanpore tape). After 24 hours it was removed from the skin and after 4 hours the results were determined. The degree of erythema and edema is indicated by the numbers shown below.
  • the criteria for acceptance were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 (Wooding et al, 1967; Rietschell, 1982; Fischer & Maibach, 1984; Aberer et al, 1993).
  • I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Onc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는 피부에 상재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서 항균성 및 항진균성이 뛰어나고 염증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청결 및 각종 염증 질환의 개선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
본 발명은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wet tissue)는 천연펄프, 면, 인지오, 텐셀, 천연섬유 원단, 부직포,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등의 물티슈용 원단에 물을 가하고 살균소독한 것으로서, 피부 청결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구강용 물티슈, 세정용 아기 물티슈, 여성용 물티슈, 일회용 물수건, 다목적 물티슈 등의 다양한 형태로 생산되고 있으며, 이용이 간편하고 편리하기 때문에 물티슈의 수요는 점점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제품은 인체의 피부에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잔재하는 이물질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제거력이 우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피부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적인 효과 및 효능을 가진 제품이어야 한다.
한편, 현재 시판되는 물티슈에는 대개 계면활성제, 화학방부제, 향료 및 알코올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계면활성제가 주성분의 역할을 함으로써 이물질을 녹여 지저분한 것을 닦아내는 원리로 제조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들은 민감한 신체 부위에 사용할 경우, 피부자극이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자극이 없다 해도 단순히 피부를 닦아내는 작용만 할 뿐, 피부에 고착되어 있는 세균을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게다가, 얼마 전, 아기들의 입에 들어가는 구강용 물티슈에서 건강에 유해한 화학방부제인 메틸파라벤 등이 검출된 적이 있어, 소비자들의 불신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화학적 성분이 들어가지 않은 친환경 물티슈들이 주목을 받고 있기도 하지만 이 제품들의 안전성이 완전히 검증되지는 않고 있다.
황련(Coptidis Rhizoma)은 황련(Coptis japonica Makino) 또는 기타 동속 식물(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뿌리를 제거한 뿌리줄기를 말한다. 한국본초도감에는 각종 염증에 쓰이며, 피부염 치료에 유용하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동의치료에서는 쓴맛건위약, 진정약, 염증약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충혈 및 염증성 질병, 가슴 두근거림과 정신불안, 복통, 설사, 이질, 출혈 증상에 쓴다고 기재되어 있다. 본초신편(本草新編)에서는 구토를 억제하며, 신물이 나는 것을 멎게 하고, 구갈(口渴)을 제거하고, 화안(火眼)을 치료하고 마음을 진정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구내염, 설염, 구각염, 종기, 각종 염증, 특히, 안질환이나 중이염 등의 치료에 널리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농본초경>에 의하면, 열기(熱氣)에 의한 목통(目痛)이나 안검의 상해에 의해 눈물이 나는 것을 다스리고, 눈을 밝게 하며 이질이나 복통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황백(Phellodendron Bark)은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또는 기타 동속식물(운향과, Rutaceae)의 주피를 벗긴 수피이다. 항균작용이 있으며, 습기와 열기를 없애주는 약으로, 본초강목에는 여성의 붕루와 대하를 치료하고, 음부의 피부조직이 부스럼으로 침식되는 증상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있으며, 민간에서는 습진, 선병, 만성 피부사사균증, 입안 점막염, 화상, 베인 상처에도 쓴다.
황금(Scutellaria Root)은 속썩은 풀(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주피를 벗긴 뿌리이다. 해열제, 이뇨제, 지사제, 이담제 및 소염제로 사용이 되며, 항균력이 매우 뛰어나다. 동의치료에서는 염증약, 열내림약으로 주로 사용한다고 하였으며, 충혈, 염증과 열이 있는 질병, 배아픔, 설사, 호흡기 감염과 기침, 습열성 황달, 염증성 결막염에 사용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결명(決明, Cassia obtusifolia L.)은 결명차, 긴강남차(Cassia tora L.)라고도 하며, 결명(決明)이라는 명칭은 눈을 밝게 해준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이며 약용으로 재배한다.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짝수 1회 깃꼴 겹잎으로 2∼4쌍의 작은잎이 달린다. 작은잎은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이고 길이 3∼4cm이다. 노란색 꽃이 6∼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콩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으로서, 비타민 C, 에모딘(Emodin), 카로틴(Carotin), 비타민 A의 전구물질인 캠페롤(Kaempherol),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구강염 치료 효과가 좋으며, 피부 사상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항진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명의 종자인 결명자(決明子)는 이뇨, 변비 및 눈을 밝게 하는데 효력이 있어 습관성 변비, 고혈압, 급성결막염, 각막혼탁증세 등에 쓰이며, 볶아서 보리차처럼 차로 끓여 마시기도 한다.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는 한국과 일본에서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유럽감초(Glycyrrhiza glabra L.)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와 줄기 일부를 껍질이 붙은 채로 또는 껍질을 벗겨서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甘草), 광과감초(Glycyrrhiza glabra L.:光果甘草), 창과감초(Glycyrrhiza inflata Batal: 脹果甘草)의 말린 뿌리를 사용한다. 러시아(시베리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중국(감숙성, 신강성), 몽골 등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유럽감초는 남유럽, 중앙아시아, 중국에 분포되어 있다. 유럽감초의 변종인 러시아감초, 페르시아감초, 이란감초 등은 약용하지 않는다. 감초의 겉껍질은 적갈색이나 암갈색을 띠며 세로로 주름이 있고 때때로 피목, 싹눈 및 비늘잎이 붙어 있다. 껍질을 벗긴 감초는 바깥 면이 엷은 황색이고 섬유성이다. 이 약은 국로(國老), 미초(美草), 밀감(蜜甘), 밀초(蜜草), 영통, 첨초, 로초(草)라고 부르기도 한다.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는 역할을 한다.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 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하고초(夏枯草, Hagocho)는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꿀풀(Prunella vulgaris var. aleutica, Prunella vulgaris var. asiatica,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for. albiflora 등)의 전초로서, 성질은 차고 독이 없으며 해열작용, 해독작용, 항균작용, 종기나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 등이 있으며, 특히 안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성초(Houttuyniae herba)는 우리나라에서는 삼백초과의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erg)의 개화기의 지상부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같은 식물을 쓰며 십약(十藥)이라 부른다. 중국에서는 같은 식물을 사용하지만 전초 또는 지상부라고 규정하고 있다. 어성초란 잎에서 고기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약은 잎을 비벼서 부수면 생선비린내가 나며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차다. 어성초는 해열, 배농작용이 뛰어나 폐농양으로 인한 기침, 피고름을 토할 때, 폐렴, 급만성기관지염, 장염, 요로감염증, 종기에 쓰며, 열이 많고 소변을 못 볼 때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증작용, 이뇨작용, 진해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현재 시판되는 물티슈가 갖는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염 효과가 뛰어난 물티슈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황련 추출물이 포함된 물티슈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553265호에는 전해수, 참나무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5-0002715호에는 황련을 비롯한 각종 생약 성분이 함유된 구강용 물티슈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2-0063076호에는 황련을 비롯한 각종 생약 성분이 함유된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티슈가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 선행기술들의 물티슈들은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물티슈와는 기술구성이 확연하게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은 황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감초, 결명잎, 어성초, 하고초, 결명잎, 황백 및 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이 1~50 중량부로 추가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는, 물티슈용 원단 100 중량부에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 200~400 중량부를 분사시켜 상기 물티슈용 원단에 황련 열수 추출물을 흡수시킨 후,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이 흡수된 물티슈용 원단을 밀봉 포장 및 멸균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물티슈용 원단으로는, 천연펄프, 면, 인지오, 텐셀, 천연섬유 원단, 혼방 섬유 원단, 부직포 및 합성섬유 원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티슈용 원단을 밀봉 포장한 후, 통상적인 멸균 방법을 이용하여 멸균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멸균하거나, 감마선을 15~30시간 동안 쬐어 멸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생리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1공정)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물티슈용 원단 100 중량부에, 상기 1공정에서 제조한 황련 열수 추출물 200~400 중량부를 분사하여 상기 물티슈용 원단에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을 흡수시키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이 흡수된 물티슈용 원단을 밀봉 포장하고 멸균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이 함유된 물티슈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3공정에서 물티슈용 원단을 밀봉 포장한 후 멸균할 때,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멸균하거나, 감마선을 15~30시간 동안 쬐어 멸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티슈 제조방법 이외에,
(A공정)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공정)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천연섬유 원단,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100 중량부에, 상기 A공정에서 제조한 황련 열수 추출물 200~400 중량부를 분사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을 흡수시키는 단계;
(C공정)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이 흡수된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천연섬유 원단,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을 건조하는 단계; 및,
(D공정) 상기 C공정의 건조된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천연섬유 원단,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을 이용하여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및 생리대 중에서 선택되는 제품을 제조하고, 포장 및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및 생리대 중에서 선택되는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증류하여 얻은 증기를 응축한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및 생리대에서 선택되는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는,
(1공정)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을 증류하여 얻은 증기를 응축시켜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물티슈용 원단 100 중량부에, 상기 1공정에서 제조한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00~400 중량부를 분사하여 상기 물티슈용 원단에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이 흡수된 물티슈용 원단을 밀봉 포장하고 멸균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이 함유된 물티슈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및 생리대에서 선택되는 제품은,
(A공정)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을 증류하여 얻은 증기를 응축시켜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
(B공정)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천연섬유 원단,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100 중량부에, 상기 A공정에서 제조한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00~400 중량부를 분사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C공정)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이 흡수된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천연섬유 원단,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을 건조하고 멸균하는 단계; 및,
(D공정) 상기 C공정의 건조된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천연섬유 원단,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을 이용하여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및 생리대 중에서 선택되는 제품을 제조하고 포장 및 멸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물티슈는 항균, 항염, 세정, 세척 등의 효과가 있다.
이 때, 황련 100 중량부에 물을 200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게 되거나 80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추출 효율이 높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은 고형분을 제거한 여액 상태의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를 농축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농축 과정에 따르는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여액 상태의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때, 120~131℃ 및 1.2~2.8기압보다 낮은 온도 및 기압 조건에서 추출을 하면, 활성성분이 잘 추출되지 않아, 세정, 세척, 항균, 항염 등의 효과가 낮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120~131℃ 및 1.2~2.8기압보다 높은 온도 및 기압 조건에서 추출을 해도 활성성분이 파괴되어 항균, 항염, 창상 치료, 세정, 세척 등의 효과가 낮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120~131℃ 및 1.2~2.8기압보다 높은 온도나 기압 하에서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제조비용이 추가되기 때문에도 바람직하지 않다. 단, 2.8기압을 초과하는 초고압 상태(1100기압 이내)로 추출물을 제조할 경우에는 추출 온도를 100℃ 이하인 저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활성성분의 파괴를 줄일 수 있기에 본 발명의 물티슈 제조용 황련 열수 추출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의 추출시간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0분~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9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6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40분이 좋다. 이 때, 10분 미만으로 추출하는 것은 활성성분이 잘 추출되지 않아 항균, 항염, 세정, 세척 등의 효과가 낮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24시간을 초과하게 되어도 활성성분이 더 이상 추출되지는 않지만, 제조비용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황련에 감초, 결명잎, 어성초, 하고초, 결명잎, 황백 및 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이 추가되어 황련 추출물을 제조할 경우, 항균, 항염, 세정, 세척 등의 효과가 증강될 수 있다.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은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증류하여 얻은 증기를 응축시켜 얻은 증류액일 수 있는데,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의 제조시, 증류온도는 물이 끓는 온도에서는 모두 제조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100~131℃,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131℃가 제일 적절하며, 높은 온도에서 증류할수록 단시간에 증류가 가능하기에 제조공정이 단축된다.
또한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제조하기 위해,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때, 황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감초, 결명잎, 어성초, 하고초, 결명잎, 황백 및 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이 1~50 중량부로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증류액은 황련 열수 추출물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황련 열수 추출물보다 항균, 항염, 세정, 세척 등의 효과가 더 높다.
상기 증류액은 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증기를 응축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농축공정에 따른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고, 농축하지 않아도 상기와 같은 항균, 항염, 세정, 세척 등의 효과가 충분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물티슈는 물티슈용 원단에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분사 또는 함침시키는 통상적인 공정에 의해 물티슈 제품을 제조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분사 방법이 더 좋다.
상기 물티슈용 원단은 1겹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사용 효과를 증강시키기 위해, 2~3겹으로 겹친 상태에서 열 압착법 등으로 물결파형의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게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티슈용 원단 2장을 겹친 후, 열 압착 처리하여 격자무늬, 요철처리 또는 엠보싱 처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티슈에는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 성분으로는 계면활성제, 보습제, 방부제, 향, 제균제, 소취제 등을 들 수 있고, 계면활성제로는 도데실벤젠술폰산염,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염, 보습제로는 카모마일 오일, 방부제로는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향으로는 페녹시에탄올, 허브, 녹차추출물, 케모마일 꽃추출물, 리모넨, 제균제로는 에틸알콜, 소취제로는 키토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적으로 물티슈 제품에 첨가되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물티슈에는 황련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만이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 첨가 성분은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5 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고온 고압 조건의 추출은 생약재의 추출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온고압추출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물티슈에 상기 황련 추출물을 분사하는 것은 식재료 가공 또는 스팀 분사를 위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스팀 분사기, 분무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구강용 물티슈를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티슈에는 황련 열수 추출물 제조시 감초를 첨가하여 제조한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티슈를 구강용으로 제조할 경우, 감미를 위해 자일리톨, 사카린, 스테비오사이드 등의 감미제를 더 첨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생리대 등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품들은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에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분사하고 건조하여 각각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생리대 등의 제품으로 제조한 후 포장 및 멸균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기저귀나 생리대의 경우, 상기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을 이용하여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겉커버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들을 멸균하는 방법으로는 감마선 멸균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면봉은, 면봉용 순면솜만 별도로 황련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후, 면봉을 제조할 수도 있으며, 면봉을 제조한 후 면봉의 솜 위에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처리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는 피부에 상재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서 항균성 및 항진균성이 뛰어나고 염증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청결 및 각종 염증 질환의 개선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황련 열수 추출물 및 이의 증류액의 제조>
실시예 1-1 내지 1-24. 황련 열수 추출물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황련과 물을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하에서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추출 후 생약 건더기를 제거한 액상만 사용하였으며, 이후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추출물은 동일한 방법으로 생약 건더기를 제거함). 또한, 황련 열수 추출물의 항균 및 항균 효과를 증강시키기 위해 황련 이외에도 황금, 황백, 감초, 결명잎, 어성초, 하고초를 혼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황련 열수 추출물은 고압 고압 추출기(대린기계)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 때 각 추출물의 부피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부피로 조절하였다(농축 또는 물 추가함).
표 1
조건 중량(g) 온도(℃) 압력(기압) 시간(분)
황련 감초 결명잎 어성초 하고초 황금 황백
실시예 1-1 100 - - - - - - 5000 120 2.0 30
실시예 1-2 100 - - - - - - 2000 120 2.0 30
실시예 1-3 100 - - - - - - 8000 120 2.0 30
실시예 1-4 100 - - - - - - 5000 121 1.2 30
실시예 1-5 100 - - - - - - 5000 120 2.0 20
실시예 1-6 100 - - - - - - 5000 120 2.0 120
실시예 1-7 90 10 - - - - - 5000 120 2.0 30
실시예 1-8 90 - 10 - - - - 5000 120 2.0 30
실시예 1-9 90 - - 10 - - - 5000 120 2.0 30
실시예 1-10 80 20 - - - - - 5000 120 2.0 30
실시예 1-11 80 - 20 - - - - 5000 120 2.0 30
실시예 1-12 80 - - 20 - - - 5000 120 2.0 30
실시예 1-13 80 - - - 20 - - 5000 120 2.0 30
실시예 1-14 80 - 10 10 - - - 5000 120 2.0 30
실시예 1-15 80 - - 10 10 - - 5000 120 2.0 30
실시예 1-16 80 - 10 - 10 - - 5000 120 2.0 30
실시예 1-17 70 - 10 10 10 - - 5000 120 2.0 30
실시예 1-18 70 - 30 - - - - 5000 120 2.0 30
실시예 1-19 70 - - 30 - - - 5000 120 2.0 30
실시예 1-20 70 - - - 30 - - 5000 120 2.0 30
실시예 1-21 80 - - - - 20 - 5000 120 2.0 30
실시예 1-22 80 - - - - - 20 5000 120 2.0 30
실시예 1-23 80 - - - - 10 10 5000 120 2.0 30
실시예 1-24 100 - - - - - - 5000 130 2.5 30
실시예 1-25 내지 1-28.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실시예 1-25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120~131℃에서 증류하여 얻은 증기를 응축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얻었다.
실시예 1-26
실시예 1-8의 추출물을 120~131℃에서 증류하여 얻은 증기를 응축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얻었다.
실시예 1-27
실시예 1-9의 추출물을 120~131℃에서 증류하여 얻은 증기를 응축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얻었다.
실시예 1-28
실시예 1-13의 추출물을 120~131℃에서 증류하여 얻은 증기를 응축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얻었다.
<실시예 2. 고온 고압 조건에서 제조한 황련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의 제조>
티슈 순면원단 16cm18cm63매(중량 100g)에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 또는 증류액 340g을 분사 흡착시켰다(표 2 참조). 다음으로는 상기 추출물 또는 증류액이 처리된 티슈를 밀봉 포장하고, 이를 고압레토르트 멸균기(Hi-RETORT STERILIZER, 대린기계)를 이용하여 멸균함으로써 최종적인 물티슈로 제조하였다(1.2기압 하 121℃ 조건에서 15분간 멸균).
한편, 황련 열수 추출물 제조시 감초를 첨가한 하기 실시예 2-7 및 2-10의 물티슈는 특별히 구강 세척용도로 제조하였다.
표 2
물티슈 추출물 조건
실시예 2-1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2 실시예 1-2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3 실시예 1-3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4 실시예 1-4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5 실시예 1-5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6 실시예 1-6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7 실시예 1-7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8 실시예 1-8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9 실시예 1-9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10 실시예 1-10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11 실시예 1-11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12 실시예 1-12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13 실시예 1-13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14 실시예 1-14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15 실시예 1-15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16 실시예 1-16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17 실시예 1-17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18 실시예 1-18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19 실시예 1-19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20 실시예 1-20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21 실시예 1-21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22 실시예 1-22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23 실시예 1-23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24 실시예 1-24의 추출물을 이용함
실시예 2-25 실시예 1-25의 증류액을 이용함
실시예 2-26 실시예 1-26의 증류액을 이용함
실시예 2-27 실시예 1-27의 증류액을 이용함
실시예 2-28 실시예 1-28의 증류액을 이용함
<실시예 3.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한 면봉 및 거즈의 제조>
순면솜과 순면 거즈원단을 구입하여, 상기 순면솜과 순면 거즈원단의 중량 100g당 각각 실시예 1-1의 황련 열수 추출물을 240g 분사하고 건조하였으며, 순면솜으로는 면봉을 제조하였고, 순면 거즈원단은 적절한 크기로 잘라 상처 드레싱용 거즈를 제조하였다. 이 후, 상기 면봉 및 거즈를 밀봉 포장 후 20시간 동안 감마선 멸균하여 최종적인 제품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함유한 면봉 및 거즈의 제조>
순면솜과 순면 거즈원단을 구입하여, 상기 순면솜과 순면 거즈원단의 중량 100g당 각각 실시예 1-25의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240g 분사하고 건조하였으며, 순면솜으로는 면봉을 제조하였고, 순면 거즈원단은 적절한 크기로 잘라 상처 드레싱용 거즈를 제조하였다. 이 후, 상기 면봉 및 거즈를 밀봉 포장 후 20시간 동안 감마선 멸균하여 최종적인 제품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대상 황련 열수 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3의 조건으로 황련과 물을 혼합하여 비교대상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각 추출물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물을 추가하거나 농축하여 각각의 추출물의 총 중량을 실시예 1의 추출물들과 동일하게 조절하였다.
표 3
조건 중량(g) 온도(℃) 압력(기압) 시간(분)
황련 감초 결명잎 어성초 하고초 황금 황백
비교예 1-1 100 - - - - - - 5000 100 1.0 30
비교예 1-2 100 - - - - - - 5000 90 1.0 30
비교예 1-3 100 - - - - - - 5000 80 1.0 30
비교예 1-4 90 10 - - - - - 5000 100 1.0 30
비교예 1-5 90 - 10 - - - - 5000 100 1.0 30
비교예 1-6 90 - - 10 - - - 5000 100 1.0 30
비교예 1-7 80 20 - - - - - 5000 100 1.0 30
비교예 1-8 80 - 20 - - - - 5000 100 1.0 30
비교예 1-9 80 - - 20 - - - 5000 100 1.0 30
비교예 1-10 80 - - - 20 - - 5000 100 1.0 30
비교예 1-11 80 - 10 10 - - - 5000 100 1.0 30
비교예 1-12 80 - - 10 10 - - 5000 100 1.0 30
비교예 1-13 80 - 10 - 10 - - 5000 100 1.0 30
비교예 1-14 70 - 10 10 10 - - 5000 100 1.0 30
비교예 1-15 70 - 30 - - - - 5000 100 1.0 30
비교예 1-16 70 - - 30 - - - 5000 100 1.0 30
비교예 1-17 70 - - - 30 - - 5000 100 1.0 30
비교예 1-18 80 - - - - 20 - 5000 100 1.0 30
비교예 1-19 80 - - - - - 20 5000 100 1.0 30
비교예 1-20 80 - - - - 10 10 5000 100 1.0 30
비교예 1-21 - 100 - - - - - 5000 120 2.0 30
비교예 1-22 - - 100 - - - - 5000 120 2.0 30
비교예 1-23 - - - 100 - - - 5000 120 2.0 30
비교예 1-24 - - - - 100 - - 5000 120 2.0 30
비교예 1-25 - - - - - 100 - 5000 120 2.0 30
비교예 1-26 - - - - - - 100 5000 120 2.0 30
비교예 1-27 100 - - - - - - 5000 95 1.5 30
<비교예 2. 황련 유기용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의 제조>
하기 표 4의 조건으로 물 대신 70%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황련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추출 후, 고형분(생약 건더기)을 제거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모두 제거한 뒤, 물을 추가하여 각각의 추출물의 총 중량을 실시예 1의 추출물들과 동일하게 조절하였다.
한편, 비교예 2-8 및 2-9의 추출물은 황련과 1,3-부틸렌글리콜 또는 70% 에탄올 용매를 추출기에 넣고 반응기를 압력 누출이 없도록 완전히 밀봉한 후, 온도를 85℃ 또는 95℃가 되도록 1시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승온한 후 3시간 동안 유지하며 추출을 수행하였다. 압력을 1.2기압 또는 1.5기압으로 유지하였으며, 또한,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 교반기는 앵커(anchor)와 패들(paddle)이 혼합된 타입을 사용하였고 추출중의 교반속도는 40~50rpm을 유지하였다. 추출이 종료되면 1시간에 걸쳐 반응기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감압이 가능한 누체 여과기를 이용하여 추출액과 황련 고형분을 분리하였다. 이때 여과액은 1㎛ 이상을 여과할 수 있는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추출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 성분을 제거하고, 물을 추가하여 실시예 1의 황련 열수 추출물들과 부피를 동일하게 하였다.
표 4
조건 중량(g) 온도(℃) 압력(기압) 시간(분)
황련 감초 결명자잎 어성초 하고초 황금 황백 70%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비교예 2-1 100 - - - - - - 500 - 80 1.0 30
비교예 2-2 80 20 - - - - - 500 - 80 1.0 30
비교예 2-3 80 - 20 - - - - 500 - 80 1.0 30
비교예 2-4 80 - - 20 - - - 500 - 80 1.0 30
비교예 2-5 80 - - - 20 - - 500 - 80 1.0 30
비교예 2-6 80 - - - - 20 - 500 - 80 1.0 30
비교예 2-7 80 - - - - - 20 500 - 80 1.0 30
비교예 2-8 100 - - - - - - - 500 85 1.2 240
비교예 2-9 100 - - - - - - 500 - 95 1.5 240
<비교예 3. 비교대상 물티슈의 제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물티슈를 제조하되, 물티슈 원단에 분사되는 추출물은 하기 표 5의 조건으로 이용하였다.
표 5
물티슈 추출물 조건
비교예 3-1 비교예 1-1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2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3 비교예 1-3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4 비교예 1-4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5 비교예 1-5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6 비교예 1-6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7 비교예 1-7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8 비교예 1-8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9 비교예 1-9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10 비교예 1-10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11 비교예 1-11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12 비교예 1-12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13 비교예 1-13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14 비교예 1-14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15 비교예 1-15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16 비교예 1-16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17 비교예 1-17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18 비교예 1-18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19 비교예 1-19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20 비교예 1-20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21 비교예 1-21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22 비교예 1-22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23 비교예 1-23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24 비교예 1-24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25 비교예 1-25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26 비교예 1-26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27 비교예 1-27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28 비교예 2-1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29 비교예 2-2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30 비교예 2-3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31 비교예 2-4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32 비교예 2-5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33 비교예 2-6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34 비교예 2-7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35 비교예 2-8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36 비교예 2-9의 추출물을 이용함
비교예 3-37 물만 첨가함
<비교예 4. 비교대상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한 면봉 및 거즈의 제조>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봉 및 거즈를 제조하되, 비교예 1-1의 황련 열수 추출물을 분사하여 면봉 및 거즈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장기보존성 확인>
실시예 2 및 비교예 3의 물티슈를 밀봉 포장된 상태로 상온(25℃)에 방치하되, 1개월이 되었을 때, 물티슈 포장의 뚜껑을 열고 2장씩을 꺼내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 후, 물티슈 포장의 뚜껑을 덮고, 이전과 동일하게 밀봉 상태로 두었으며, 3개월이 되었을 때 다시 2장씩을 꺼내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 후, 6개월이 되었을 때, 마지막으로 2장을 꺼내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 때, 물티슈가 외부 조건으로 마르지 않도록 뚜껑을 여닫을 때 조심하였으며, 습도 80% 이상의 밀폐된 공간에 보관하였다.
그리고, 각 시점에서 얻은 물티슈를 이용하여, 각 저장기간별로, 물티슈 내 일반 세균의 생육정도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물티슈는 살균한 펩톤수가 있는 균질기백(stomacher bag)에 넣고 120초간 교반한 후 이를 단계별 희석하였다. 희석액은 PCA(plate count agar) 평판배지에 각각 0.1㎖씩 도말하였다. 일반 세균의 측정은 PCA 배지에서 35℃, 24시간 배양한 후 3M 페트리필름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물티슈 대장균군 수, log CFU/g
1개월 3개월 6개월
실시예 2-1 ND ND ND
실시예 2-2 ND ND ND
실시예 2-3 ND ND ND
실시예 2-4 ND ND ND
실시예 2-5 ND ND ND
실시예 2-6 ND ND ND
실시예 2-7 ND ND ND
실시예 2-8 ND ND ND
실시예 2-9 ND ND ND
실시예 2-10 ND ND ND
실시예 2-11 ND ND ND
실시예 2-12 ND ND ND
실시예 2-13 ND ND ND
실시예 2-14 ND ND ND
실시예 2-15 ND ND ND
실시예 2-16 ND ND ND
실시예 2-17 ND ND ND
실시예 2-18 ND ND ND
실시예 2-19 ND ND ND
실시예 2-20 ND ND ND
실시예 2-21 ND ND ND
실시예 2-22 ND ND ND
실시예 2-23 ND ND ND
실시예 2-24 ND ND ND
실시예 2-25 ND ND ND
실시예 2-26 ND ND ND
실시예 2-27 ND ND ND
실시예 2-28 ND ND ND
비교예 3-1 ND 0.34 1.32
비교예 3-2 ND 0.13 1.21
비교예 3-3 ND 0.12 1.42
비교예 3-4 ND 0.27 1.47
비교예 3-5 ND 0.20 1.64
비교예 3-6 ND 0.19 1.48
비교예 3-7 ND 0.18 1.57
비교예 3-8 ND 0.17 1.97
비교예 3-9 ND 0.10 1.69
비교예 3-10 ND 0.29 1.76
비교예 3-11 ND 0.28 1.87
비교예 3-12 ND 0.17 1.08
비교예 3-13 ND 0.10 1.75
비교예 3-14 ND 0.29 1.86
비교예 3-15 ND 0.28 1.67
비교예 3-16 ND 0.27 1.64
비교예 3-17 ND 0.16 1.45
비교예 3-18 ND 0.29 1.53
비교예 3-19 ND 0.28 1.64
비교예 3-20 ND 0.15 1.72
비교예 3-21 ND 0.12 1.32
비교예 3-22 ND 0.23 1.53
비교예 3-23 ND 0.24 1.64
비교예 3-24 ND 0.15 1.31
비교예 3-25 ND 0.23 1.46
비교예 3-26 ND 0.24 1.43
비교예 3-27 ND 0.17 1.84
비교예 3-28 ND 0.24 1.83
비교예 3-29 ND 0.26 1.94
비교예 3-30 ND 0.25 1.02
비교예 3-31 ND 0.14 1.73
비교예 3-32 ND 0.25 1.84
비교예 3-33 ND 1.53 1.15
비교예 3-34 ND 0.99 1.22
비교예 3-35 ND 0.19 1.41
비교예 3-36 ND 0.18 1.52
비교예 3-37 ND 1.53 3.15
시판 물티슈 (크리넥스, 유한킴벌리) ND ND ND
* ND : Not Detected
표 6의 결과를 참고하면, 멸균처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물만 첨가된 비교예 3-37의 물티슈는 제조 6개월 이내의 기간에서 외부 오염으로 인한 일반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3의 나머지 물티슈도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 오염으로 인한 일반 세균이 일부 증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물티슈는 6개월 동안 일반 세균의 증식이 전혀 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황련 열수 추출물만으로도 방부제나 항균제를 추가하지 않아도 외부 오염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물티슈의 보존 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2-1, 실시예 2-25 내지 2-28의 물티슈에 한해서는 3개월 간격으로 18개월까지 동일한 방법으로, 물티슈 내 일반 세균의 생육정도 실험을 수행한 바, 실시예 2-1의 물티슈는 15개월째에 0.3 log CFU/g 이상의 세균이 검출되었으나(12개월째까지는 미검출), 실시예 2-25 내지 2-28의 물티슈는 모두 18개월째에 0.3 log CFU/g 이상의 세균이 검출되었다(15개월째까지는 미검출).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황련 열수 추출물이 함유된 물티슈보다 상기 추출물을 증류하여 얻은 증류액이 함유된 물티슈보다 보존성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항균 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를 대상으로 대장균에 대한 항균 시험을 수행하였다. 250㎖의 플라스크를 물티슈의 종류대로 준비하고, 각각 인산 완충액 70㎖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기탁번호: ATCC 25922) 접종액 5㎖를 넣은 후, 실시예 2 및 비교예 3의 물티슈 0.75g을 잘게 절단(1×1㎝ 이하)하여 첨가하였으며, 각각의 플라스크를 25±5℃에서 1시간 동안 진탕(320rpm)시켰다. 진탕된 각 배양액을 인산완충용액으로 10배 희석시킨 후 아가로즈 배지에 0.1㎖씩 스트리킹(striking)한 다음, 각각의 배지를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시켰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표 7에 물만 첨가된 비교예 3-37의 물티슈를 기준으로 세균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표 7
물티슈 세균감소율(%)
실시예 2-1 80.5
실시예 2-2 85.8
실시예 2-3 76.5
실시예 2-4 77.6
실시예 2-5 74.4
실시예 2-6 85.5
실시예 2-7 85.6
실시예 2-8 94.7
실시예 2-9 85.9
실시예 2-10 93.0
실시예 2-11 94.7
실시예 2-12 95.8
실시예 2-13 96.3
실시예 2-14 93.4
실시예 2-15 94.5
실시예 2-16 95.2
실시예 2-17 96.3
실시예 2-18 97.4
실시예 2-19 94.5
실시예 2-20 95.3
실시예 2-21 96.4
실시예 2-22 94.5
실시예 2-23 95.6
실시예 2-24 95.6
실시예 2-25 97.6
실시예 2-26 97.7
실시예 2-27 97.9
실시예 2-28 97.6
비교예 3-1 39.3
비교예 3-2 36.4
비교예 3-3 37.5
비교예 3-4 24.4
비교예 3-5 35.5
비교예 3-6 46.7
비교예 3-7 37.4
비교예 3-8 44.5
비교예 3-9 35.7
비교예 3-10 46.8
비교예 3-11 47.5
비교예 3-12 44.6
비교예 3-13 45.8
비교예 3-14 33.9
비교예 3-15 34.5
비교예 3-16 35.6
비교예 3-17 32.7
비교예 3-18 33.4
비교예 3-19 44.5
비교예 3-20 45.6
비교예 3-21 25.4
비교예 3-22 23.5
비교예 3-23 24.6
비교예 3-24 26.7
비교예 3-25 23.5
비교예 3-26 22.8
비교예 3-27 41.9
비교예 3-28 46.3
비교예 3-29 37.4
비교예 3-30 34.5
비교예 3-31 35.2
비교예 3-32 37.3
비교예 3-33 32.3
비교예 3-34 33.7
비교예 3-35 42.3
비교예 3-36 41.4
비교예 3-37 0.0
시판 물티슈 (크리넥스, 유한킴벌리) 57.2
그 결과, 본 발명의 따른 물티슈 제품을 첨가한 배지는 상기 비교예 3-37의 물티슈에 비해 현저한 세균 감소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시판 물티슈 제품의 항균성보다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황련이 전혀 포함되지 않는 생약 추출물로 제조한 물티슈(비교예 3-21 내지 비교예 3-26)의 경우에는 항균력이 거의 없어, 본 발명의 물티슈가 갖는 항균효과는 황련이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되어야 나타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항염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물티슈의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세균성 결막염 환자들을 10명을 한 그룹으로 하여, 실시예 2 및 비교예 3의 물티슈 1장을 이용하여 6시간마다 한번씩 양쪽 눈꺼풀 위를 닦아내게 하였다. 또한, 정확한 비교실험을 위해 세균성 결막염 치료제인 플루메토론 0.1 점안액(주성분:플루오로메톨론)을 6시간마다 1번씩 점안하였으며 2일간 사용 후의 치료효과를 5점 표기법으로 기재하여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표 8
조건 사용 2일 후 치료효과
실시예 2-1의 물티슈 3.9
실시예 2-2의 물티슈 3.8
실시예 2-4의 물티슈 3.5
실시예 2-11의 물티슈 4.9
실시예 2-12의 물티슈 4.9
실시예 2-13의 물티슈 4.7
실시예 2-25의 물티슈 4.8
실시예 2-26의 물티슈 4.8
비교예 3-1의 물티슈 2.0
비교예 3-3의 물티슈 1.8
비교예 3-8의 물티슈 2.2
비교예 3-10의 물티슈 2.1
비교예 3-27의 물티슈 2.3
비교예 3-35의 물티슈 2.2
비교예 3-36의 물티슈 2.0
비교예 3-37의 물티슈 1.1
플루메토론 0.1 점안액 4.8
5:아주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아주나쁨
상기 표 8의 결과를 확인하면, 실시예 2의 물티슈를 사용한 경우, 플루메토론 0.1 점안액을 사용한 것과 치료효과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 증상 완화 효과로는 충혈 제거, 염증 감소, 안구건조증 억제, 통증 억제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4. 구취 억제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물티슈의 구취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취 제거 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을 10명을 한 그룹으로 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 제조시 감초가 첨가된 추출물이 함유된 물티슈인 실시예 2-7, 실시예 2-10, 비교예 3-4, 비교예 3-7의 물티슈와 물만 처리된 비교예 3-37의 물티슈를 3시간마다 한번씩 각각의 물티슈 1장을 이용하여 혀를 비롯한 입안을 닦아내게 하였으며, 2일간 사용 후의 구취 제거 효과를 5점 표기법으로 기재하여 하기 표 9에 기재하였다.
표 9
조건 사용 2일 후 치료효과
실시예 2-7의 물티슈 4.1
실시예 2-10의 물티슈 4.6
비교예 3-4의 물티슈 2.3
비교예 3-7의 물티슈 2.1
비교예 3-37의 물티슈 1.1
5:아주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아주나쁨
상기 표 9의 결과를 확인하면,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된 황련 열수 추출물(황련 열수 추출물 제조시 감초가 첨가됨)이 함유된 본원발명의 실시예 2-7 및 실시예 2-10의 물티슈를 사용한 경우, 뛰어난 구취제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물만 함유된 물티슈(비교예 3-37)는 구취제거 효과가 없었으며, 100℃, 1기압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함유된 비교예(비교예 3-4 및 3-7)의 물티슈 또한 구취 제거 효과가 높지는 않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5. 창상 개선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물티슈의 창상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5cm의 길이, 3mm 깊이 이내의 창상이 있는 사람들 10명을 한 그룹으로 하여, 상처부위를 소독하고 실시예 3 및 4의 거즈, 비교예 4의 거즈를 이용하여 상처 부위를 드레싱하였다. 비교대상에는 일반 멸균 거즈를 사용하였다. 24시간 후, 거즈를 교체해주고, 다시 24시간 후에 상처의 개선 정도를 표 10에 5점 타점법으로 확인하였다.
표 10
조건 사용 2일 후 상처 치료 및 개선 효과
실시예 3의 거즈 3.5
실시예 4의 거즈 4.1
비교예 4의 거즈 2.5
일반 시판 거즈 1.2
5:아주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아주나쁨
상기 표 10의 결과를 확인하면, 실시예 3 및 4의 거즈가 상처를 개선하는 효과가 비교예 4의 거즈나 일반 거즈를 사용한 경우보다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이 포함된 실시예 4 거즈의 상처 치료 개선 효과가, 황련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실시예 3 거즈의 상처치료 개선 효과보다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또한, 상처 부위를 확인했을 때, 실시예 3 및 4의 거즈를 사용한 경우 상처가 잘 아물었으면서도 딱지가 거의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치료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 거즈는 딱지가 심하게 생성되었을 뿐, 상처부위를 개선시키는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6. 폐쇄첩포검사를 이용한 황련 추출물의 피부 자극 정도 확인>
본 발명의 물티슈에 사용되는 황련 열수 추출물의 피부 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해 폐쇄첩포검사를 수행하였다(human closed patch test). 이 실험 방법은 일차자극물질(primary irritants)을 검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험이다. 이를 위해, 건강한 성인 남 여 각 30명의 등 부위에, 키트(Finn chamber)를 이용하여 하기 표 11의 추출물 40㎕를 넣은 뒤, 이를 테이프(scanpore tape)로 피부에 고정하였다. 24시간 후에 이를 피부에서 떼어내고, 다시 4시간 후 그 결과를 판정하였다. 홍반과 부종의 정도는 하기에 나타낸 숫자로 나타내었다. 판정기준은 국제접촉피부염 연구위원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기준에 따랐으며(Wooding et al, 1967; Rietschell, 1982; Fischer & Maibach, 1984; Aberer et al, 1993), 다음과 같다.
[판정기준]
0 = 발적없음
1 = 경도의 홍반(mild erythema)
2 = 심한 홍반(intense erythema)
3 =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intense erythema with edema)
4 = 부종과 수포를 동반한 심한 홍반(intense erythema with edema and vesicle )

Claims (11)

  1.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은, 황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감초, 결명잎, 어성초, 하고초, 황백 및 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이 1~50 중량부로 추가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는, 물티슈용 원단 100 중량부에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 200~400 중량부를 분사시켜 상기 물티슈용 원단에 황련 열수 추출물을 흡수시킨 후,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이 흡수된 물티슈용 원단을 밀봉 포장하고 멸균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티슈용 원단은, 천연펄프, 면, 인지오, 텐셀, 천연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부직포 및 합성섬유 원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5.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및 생리대 중에서 선택되는 제품.
  6. (1공정)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물티슈용 원단 100 중량부에, 상기 1공정에서 제조한 황련 열수 추출물 200~400 중량부를 분사하여 상기 물티슈용 원단에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을 흡수시키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이 흡수된 물티슈용 원단을 밀봉 포장하고 멸균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이 함유된 물티슈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방법.
  7. (A공정)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공정)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천연섬유 원단,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100 중량부에, 상기 A공정에서 제조한 황련 열수 추출물 200~400 중량부를 분사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을 흡수시키는 단계;
    (C공정)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이 흡수된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천연섬유 원단,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을 건조하고 멸균하는 단계; 및,
    (D공정) 상기 C공정의 건조된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천연섬유 원단,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을 이용하여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및 생리대 중에서 선택되는 제품을 제조하고 포장 및 멸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및 생리대 중에서 선택되는 제품의 제조방법.
  8.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증류하여 얻은 증기를 응축한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9.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증류하여 얻은 증기를 응축한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및 생리대 중에서 선택되는 제품.
  10. (1공정)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을 증류하여 얻은 증기를 응축시켜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물티슈용 원단 100 중량부에, 상기 1공정에서 제조한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00~400 중량부를 분사하여 상기 물티슈용 원단에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이 흡수된 물티슈용 원단을 밀봉 포장하고 멸균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이 함유된 물티슈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방법.
  11. (A공정) 황련 100 중량부에 물 2000~8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120~131℃ 및 1.2~2.8기압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을 증류하여 얻은 증기를 응축시켜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
    (B공정)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천연섬유 원단,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100 중량부에, 상기 A공정에서 제조한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 200~400 중량부를 분사하여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C공정) 상기 황련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이 흡수된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천연섬유 원단,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을 건조하고 멸균하는 단계; 및,
    (D공정) 상기 C공정의 건조된 순면솜, 거즈용 원단, 순면직물, 천연섬유 원단, 합성섬유 원단, 혼방섬유 원단 및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을 이용하여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및 생리대 중에서 선택되는 제품을 제조하고 포장 및 멸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면봉, 거즈, 마스크, 기저귀 및 생리대 중에서 선택되는 제품의 제조방법.
PCT/KR2013/006109 2012-08-03 2013-07-10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 WO2014021561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25345A JP2015534466A (ja) 2012-08-03 2013-07-10 高温及び高圧の条件下で抽出した黄連熱水抽出物を含有するウェットティッシュ
DE112013003855.2T DE112013003855B4 (de) 2012-08-03 2013-07-10 Feuchtgewebe, das einen Heißwasserextrakt von Coptidis rhizoma enthält, der unter Hochtemperatur- und Hochdruckbedingungen extrahiert wird
CN201380047344.1A CN104619225A (zh) 2012-08-03 2013-07-10 含有在高温和高压条件下提取的黄连的热水提取物的湿纸巾
US14/418,801 US9907878B2 (en) 2012-08-03 2013-07-10 Wet tissue containing hot water extract of Coptidis rhizoma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IN842DEN2015 IN2015DN00842A (ko) 2012-08-03 2013-07-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420 2012-08-03
KR20120085420A KR101251401B1 (ko) 2012-08-03 2012-08-03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1561A1 true WO2014021561A1 (ko) 2014-02-06

Family

ID=4844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6109 WO2014021561A1 (ko) 2012-08-03 2013-07-10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07878B2 (ko)
JP (1) JP2015534466A (ko)
KR (1) KR101251401B1 (ko)
CN (1) CN104619225A (ko)
DE (1) DE112013003855B4 (ko)
IN (1) IN2015DN00842A (ko)
WO (1) WO2014021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402B1 (ko) * 2014-05-30 2016-02-19 (주) 씨엘블루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며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고 항균 탈취 기능이 우수한 물티슈
KR101852377B1 (ko) * 2017-01-11 2018-06-11 배대열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기능성 마스크
CN112022917A (zh) * 2019-06-04 2020-12-04 苏州黛泽堂健康科技有限公司 植物选择性抑菌组合物及其用途
CN112931537A (zh) * 2021-02-02 2021-06-11 北京维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消毒纸巾
KR20240050771A (ko) * 2022-10-12 2024-04-19 주식회사 커스토젠 신규한 항균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265B1 (ko) * 2003-08-25 2006-02-2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해수 및 산림자원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 티슈용 조성물및 이를 함유하는 물 티슈
KR20090029022A (ko) * 2007-09-17 2009-03-20 주식회사 스킨바이오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으로 인한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136464B1 (ko) * 2011-10-26 2012-04-19 이긍구 한약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20063076A (ko) * 2010-12-07 2012-06-15 (주)선바이오텍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256A (ja) * 1993-03-30 1994-10-04 Club Kosumechitsukusu:Kk 皮膚外用剤
CN1062772C (zh) * 1994-01-19 2001-03-07 秦九忱 预防性行为传播疾病的湿巾、阴道棉栓、消毒液及其制备方法
CN1136447A (zh) * 1995-05-21 1996-11-27 任玉祥 痔保健卫生纸
CN1124158A (zh) * 1995-10-10 1996-06-12 李永忠 先、后天妇女缩阴保健品
JPH11200296A (ja) * 1998-01-09 1999-07-27 Fukuyoo:Kk 水解性清拭紙及びその包装体
KR20040078859A (ko) * 2003-03-05 2004-09-13 정학년 체질에 의한 소양인 처방의 한방보조 란제리,
JP2005287710A (ja) 2004-03-31 2005-10-20 Daio Paper Corp ウェットティッシュ
JP2005306779A (ja) 2004-04-21 2005-11-04 Mitsui Chemicals Inc 植物由来抗菌剤
KR20050002715A (ko) * 2004-11-26 2005-01-10 주식회사 수목기획 구강용 티슈
CN1670165A (zh) * 2005-04-16 2005-09-21 王浩贵 黄连洗涤制品
JP5192678B2 (ja) * 2006-10-10 2013-05-08 小川香料株式会社 抗酸化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2010202604A (ja) * 2009-03-04 2010-09-16 Kose Corp 皮膚常在菌正常化剤、皮膚常在菌正常化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CN101579273B (zh) * 2009-06-22 2013-01-23 重庆百亚卫生用品有限公司 抑菌去味卫生巾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265B1 (ko) * 2003-08-25 2006-02-2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해수 및 산림자원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 티슈용 조성물및 이를 함유하는 물 티슈
KR20090029022A (ko) * 2007-09-17 2009-03-20 주식회사 스킨바이오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으로 인한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20063076A (ko) * 2010-12-07 2012-06-15 (주)선바이오텍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136464B1 (ko) * 2011-10-26 2012-04-19 이긍구 한약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09467A1 (en) 2015-07-30
CN104619225A (zh) 2015-05-13
US9907878B2 (en) 2018-03-06
DE112013003855T5 (de) 2015-04-16
KR101251401B1 (ko) 2013-04-05
DE112013003855B4 (de) 2015-11-19
IN2015DN00842A (ko) 2015-06-12
JP2015534466A (ja)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21561A1 (ko)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황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물티슈
KR20110054579A (ko) 눈의 피로 완화 및 시력개선용 한약조성물 및 한약 환제
KR101523554B1 (ko)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CN104922248A (zh) 一种抗菌、消炎中药复方凝胶剂及制备方法
KR101936835B1 (ko)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WO2017051950A1 (ko)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CN110302292A (zh) 一种清新口气口腔护理液及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101108712B1 (ko)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 및 그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
KR101381212B1 (ko)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백굴채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
WO2019231244A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CN107913234A (zh) 一种鹿茸草牙膏及其制备方法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847015B (zh) 一种中药洗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136464B1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 방법
WO2010021495A2 (ko) 위생 용품
KR101230975B1 (ko) 꿀벌 부저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4784534B (zh) 一种预防手足口病用洗手液
CN103920124A (zh) 一种杀菌护肤冻疮膏
KR102299413B1 (ko) 냄새 제거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두피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59011B1 (ko) 피부 세정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일회용 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251093B (zh) 含芳香中药精油及瓜拉纳提取物的消毒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90041776A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차 조성물 및 건강차
CN108079036A (zh) 苍耳子滴鼻液的制备方法
CN107669784A (zh) 一种防治与治疗鼻敏感及鼻窦炎的中药使用方法及生产工艺
CN109731085B (zh) 一种外用洗液制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257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18801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2534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30038552

Country of ref document: DE

Ref document number: 112013003855

Country of ref document: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257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