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21484A1 -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21484A1
WO2014021484A1 PCT/KR2012/006194 KR2012006194W WO2014021484A1 WO 2014021484 A1 WO2014021484 A1 WO 2014021484A1 KR 2012006194 W KR2012006194 W KR 2012006194W WO 2014021484 A1 WO2014021484 A1 WO 20140214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ft
tuning
vehicle
cylinder
mai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1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종근
Original Assignee
헤스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스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헤스본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061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21484A1/ko
Publication of WO20140214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214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66F7/2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by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maintaining the platforms horizontal during move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ift elevator device having a tuning function.
  • a fixed cost lift is a device that helps to easily maintain various kinds of breakdown elements by lifting itself from the ground after mounting the vehicle. .
  • the cross-link type (X-type or seed-type) lifts have X-shaped cross link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floor frames, respectively, and a vehicle mounting stand on which the vehicle can be seated. It is.
  • hydraulic cylinders are mounted to lift and lower the pair of cross links, respectively. Therefore, the hydraulic cylinder lifts and lowers the vehicle mounting stand on which the vehicle is seated while the cross link is raised and lowered.
  • a tuning bar method in which a support bar-type tuning bar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cross links is used for tuning a pair of cross link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or frame.
  • the method was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82499.
  • the tuning method of the lift using the tuning bar has a problem that a height difference occurs according to various loa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links, and more precise inter-link control is continuously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due to vehicle maintenance.
  • the load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ative of height differences due to structural differences that may occur in the link itself, such as height differences and friction coefficients that may occur due to load variations of the vehicle, such as weight differences by parts of the vehicle.
  •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tuning device for a vehicle lift of Patent No. 0573216 to solve the above problem.
  • the configuration of the tuning device requires a high degree of precis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ccompanied by a lot of difficulties in the production of uniform performance, and many problems caused by the installation and adjustment in us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draulic tuning device for a vehicle lift that can precisely operate the tuning by eliminating the accumulated pressure generated in the series hydraulic tuning device applied to the vehicle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rease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device.
  • a semi- scissor type vehicle lift having a tuning device in which not only right and left tuning but also front and rear tuning are precisely provided. That is, a vehicle lift elevating device is provided which is based on basic hydraulic tuning (area equality method), but has a synchronization function that allows a short communication in the lowermost part to zero the residual pressure and fills the underpressure and restarts each time. .
  • the vehicle lift elevating device having a tun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ain cylinder 1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ift to elevate the vehicle mounting stand P, and a vehicle mounting stand P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lift.
  •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connected to the outlet 10a of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first tuning line H1 in series and provided together with the second main cylinder 20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 a second auxiliary which is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outlet 20a of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second tuning line H2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ft together with the first main cylinder 10 on one side of the lift.
  • a second tuning unit 60 for communicating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second tuning line H2 at the end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completion of the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re solved, and accurate tuning operation is possible by resolving the accumulated pressure generated in the series hydraulic tuning device applied to the vehicle lift, and the hydraulic tuning of the vehicle lift increases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device.
  • a semi- scissor type vehicle lift having a tuning device in which not only right and left tuning but also front and rear tuning are precisely provided. That is, a vehicle lift elevating device is provided which is based on basic hydraulic tuning (area equality method), but has a synchronization function that allows a short communication in the lowermost part to zero the residual pressure and fills the underpressure and restarts each time. .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lift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ft devic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lock bar of the vehicle lift lifting device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 lift elevator apparatus having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 lift elevator apparatus having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resent invention
  • Figure is a view showing a lock bar of the lift devic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vehicle lift lifting device with a tuning func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ft is the first main cylinder 10 for elevating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And a second main cylinder 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to lift and lower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is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outlet 10a of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first tuning line H1,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ift. It is provided with the second main cylinder 20.
  • the second auxiliary cylinder 40 is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outlet 20a of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second tuning line H2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main cylinder 10 on one side of the lift. It is provided on one side.
  • the main supply line (H0)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main cylinders (10, 20) and the hydraulic pump.
  • the first tuning line H1 connects the outlet 10a of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inlet 30a of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 the second tuning line H2 connects the outlet 20a of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inlet 40a of the second auxiliary cylinder 40.
  • the first tuning unit 50 is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first tuning line (H1) at the end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completion of the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To communicate.
  • the second tuning unit 60 communicates the main supply line HO with the second tuning line H2 at the end of the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or when the descending cycle is completed.
  • the detection sensor 70 detects that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has reached a preset one point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completion point of the descending cycle.
  • the first tuning unit 50 and the second tuning unit 60 the sensor When it is detected by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that reaches the preset one point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descending cycle completion point by the 70, by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from the sensor 70 or the controller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lectronic check valve (V) for communicating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tuning line (H1, H2), respectively.
  • V electronic check valve
  • the detection sensor 70 when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has reached the bottom dead center It is preferred to be touched by one of the vehicle mounting stages or a lock bar.
  • the detection sensor 70 is selected from a button-type switch, a push-type switch, or a micro switch It is preferable to be one.
  • the electronic check in the initial state of the lift cycle in which the rise of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starts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ve V is closed.
  • the electronic check valve (V) is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of the descending cycle of descending It is preferable to open when the piston attached to the 1st main cylinder 10 exists in the range of 1/10 * piston reciprocation length from a bottom dead center-bottom dead center.
  • the detection sensor 70 to detect the position of one side of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It consists of a detection sensor 7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 and a detection sensor 7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other vehicle mounting stage (P), the detection sensor 7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
  • the second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second tuning unit 60
  • the sensing sensor 7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controls the first tuning unit 50
  •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second auxiliary cylinder 40 is to lift up and down the one vehicle mounting stage
  •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is preferably to lift the other vehicle mounting stage together.
  • the electronic check valve V is preferably a solenoid check valve operated by an electromagnetic coil.
  • the electronic check valve V has a timer function to communicate the tuning lines H1 and H2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preferable to close again after.
  • the vehicle lift elevating device having a tun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ain cylinder 1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ift to elevate the vehicle mounting stand P, and a vehicle mounting stand P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lift.
  •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connected to the outlet 10a of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first tuning line H1 in series and provided together with the second main cylinder 20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 a second auxiliary which is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outlet 20a of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second tuning line H2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ft together with the first main cylinder 10 on one side of the lift.
  • a second tuning unit 60 for communicating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second tuning line H2 at the end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completion of the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re solved, and accurate tuning operation is possible by resolving the accumulated pressure generated in the series hydraulic tuning device applied to the vehicle lift, and the hydraulic tuning of the vehicle lift increases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dev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1 메인실린더(10)와, 리프트의 타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2 메인실린더(20)와,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동조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타측에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함께 구비되는 제1 보조실린더(30)와,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동조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일측에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함께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보조실린더(40)와, 상기 제1, 제2 메인실린더(10, 20)와 유압펌프를 연결하는 메인 공급라인(H0)과,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보조실린더(30)의 유입구(30a)를 연결하는 제1 동조라인(H1)과,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보조실린더(40)의 유입구(40a)를 연결하는 제2 동조라인(H2)과,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1 동조라인(H1)을 연통시키는 제1 동조부(50)와;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2 동조라인(H2)을 연통시키는 제2 동조부(60)와; 상기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Description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본 발명은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정비용 리프트는 차량을 탑재 한 후, 자체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차제의 각종 고장요소를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로써, 구조방식에 따라 지주형과 크로스 링크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그 중에서도 크로스 링크형(X형 또는 씨저형) 리프트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 상부에는 X자형의 크로스 링크가 각각 좌, 우측에 설치되고, 크로스 링크의 상부에는 차량을 안착할 수 있는 차량탑재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크로스 링크를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하여 유압실린더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크로스 링크가 상승 및 하강하면서 차량이 안착되는 차량탑재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크로스 링크형 리프트의 경우는 바닥프레임의 좌, 우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크로스 링크의 동조를 위하여 좌, 우측 크로스 링크에 지지봉형태의 동조바를 연결시킨 동조바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동조방식은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 제282499호로 등록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 동조바를 이용한 리프트의 동조방식은 링크 간에 걸리는 여러 가지 부하특성에 따라 높이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차량정비에 따른 안정성을 고려하여 더욱 정밀한 링크간 제어가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부하특성이라 함은 차량의 부위별 무게차이 발생 등 차량의 부하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높이차이 및 마찰계수 등 링크 자체에서 발생 될 수 있는 구조상의 차이에 따른 높이차이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 제0573216호인 차량용 리프트의 동조장치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상기 동조장치의 구성은 제조과정에서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바 성능이 균일한 제품 생산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며 사용상 설치 및 조정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직렬식 유입 동조 장치의 경우 반복되는 동작에 의해 동조라인에 누적압이 발생하여과 메인 유압공급라인의 압력과 동조라인과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여 정밀한 동조 작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리프트에 적용되는 직렬식 유압동조 장치에 발생하는 누적압을 해소하여 정밀한 동조 작동이 가능하며 장치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킨 차량용 리프트의 유압동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우 좌우 동조뿐 아니라 전후 동조가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가 제공된다. 즉, 기초 유압동조(면적동일방식)를 기본으로 하되 최하강부에서 잠깐 커뮤니케이션을 일으켜 잔압을 제로화하고 또한 부족압을 채워주면서 다시 새로운 시동을 매회마다 할수 있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는,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1 메인실린더(10)와, 리프트의 타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2 메인실린더(20)와;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동조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타측에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함께 구비되는 제1 보조실린더(30)와;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동조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일측에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함께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보조실린더(40)와;
상기 제1, 제2 메인실린더(10, 20)와 유압펌프를 연결하는 메인 공급라인(H0)과;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보조실린더(30)의 유입구(30a)를 연결하는 제1 동조라인(H1)과;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보조실린더(40)의 유입구(40a)를 연결하는 제2 동조라인(H2)과;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1 동조라인(H1)을 연통시키는 제1 동조부(50)와;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2 동조라인(H2)을 연통시키는 제2 동조부(60)와;
상기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차량용 리프트에 적용되는 직렬식 유압동조 장치에 발생하는 누적압을 해소하여 정밀한 동조 작동이 가능하며 장치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킨 차량용 리프트의 유압동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우 좌우 동조뿐 아니라 전후 동조가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가 제공된다. 즉, 기초 유압동조(면적동일방식)를 기본으로 하되 최하강부에서 잠깐 커뮤니케이션을 일으켜 잔압을 제로화하고 또한 부족압을 채워주면서 다시 새로운 시동을 매회마다 할수 있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의 로크바를 보이는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의 로크바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는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1 메인실린더(10)와, 리프트의 타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2 메인실린더(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실린더(30)는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동조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타측에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함께 구비된다. 제2 보조실린더(40)는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동조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일측에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함께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급라인(H0)은 제1, 제2 메인실린더(10, 20)와 유압펌프를 연결한다. 제1 동조라인(H1)은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보조실린더(30)의 유입구(30a)를 연결한다. 제2 동조라인(H2)은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보조실린더(40)의 유입구(40a)를 연결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조부(50)는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1 동조라인(H1)을 연통시킨다. 제2 동조부(60)는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2 동조라인(H2)을 연통시킨다. 감지센서(70)는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음을 감지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있어서, 제1 동조부(50) 및 제2 동조부(60)는, 감지센서(70)에 의해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센서(70) 또는 제어부(미도시)로터 인가된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동조라인(H1, H2)을 연통시키는 전자식 체크밸브(V)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있어서, 감지센서(70)는 차량탑재대(P)가 하사점을 도달하였을 때 상기 차량탑재대 중 하나 또는 로크바(Lock Bar)에 의해 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있어서, 감지센서(70)는 버튼식 스위치, 푸쉬형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있어서, 차량탑재대(P)의 상승이 시작되는 상승사이클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전자식 체크밸브(V)는 폐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있어서, 전자식 체크밸브(V)는 차량탑재대(P) 하강하는 하강사이클 중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에 부속된 피스톤이 하사점(下死點) ~ 하사점으로부터 1/10×피스톤 왕복길이에 범위 내에 있을 때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있어서, 감지센서(70)는, 일측 차량탑재대(P)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리프트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1)와, 타측 차량탑재대(P)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리프트의 타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2)로 구성되고, 리프트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1)는 상기 제2 동조부(60)를 제어하고, 리프트의 타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2)는 상기 제1 동조부(50)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상기 제2 보조실린더(40)는 일측 차량탑재대를 함께 승강시키며,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상기 제1 보조실린더(30)는 타측 차량탑재대를 함께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에 대하여 부연한다. 안 눌러졌을때 분리되어있던 유압라인이 동조 밸브가 눌러지면서 작은 실린더와 큰 실린더가 서로 통한다. 매회 리셋된다. 상승시, 작은 실린더를 입력채움(역방향은 금지=체크 밸브 적용)이 일어나자마자 통함이 분리되면서 큰/작은 실린더가 서로 독립 구조로 들어가면서 유압 동조가 수행된다. 즉, 기초 유압동조(면적동일방식)를 기본으로 하되 최하강부에서 잠깐 커뮤니케이션을 일으켜 잔압을 제로화하고 또한 부족압을 채워주면서 다시 새로운 시동을 매회마다 수행한다.
전자식 체크밸브(V)는 전자코일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체크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센서(70)에 의해 차량탑재대(P)가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다는 것이 감지되면, 전자식 체크밸브(V)는 타이머 기능을 구비하여 일정시간 동안 동조라인(H1, H2)을 연통시킨 후 다시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의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는,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1 메인실린더(10)와, 리프트의 타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2 메인실린더(20)와;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동조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타측에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함께 구비되는 제1 보조실린더(30)와;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동조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일측에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함께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보조실린더(40)와;
상기 제1, 제2 메인실린더(10, 20)와 유압펌프를 연결하는 메인 공급라인(H0)과;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보조실린더(30)의 유입구(30a)를 연결하는 제1 동조라인(H1)과;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보조실린더(40)의 유입구(40a)를 연결하는 제2 동조라인(H2)과;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1 동조라인(H1)을 연통시키는 제1 동조부(50)와;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2 동조라인(H2)을 연통시키는 제2 동조부(60)와;
상기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차량용 리프트에 적용되는 직렬식 유압동조 장치에 발생하는 누적압을 해소하여 정밀한 동조 작동이 가능하며 장치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킨 차량용 리프트의 유압동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Claims (9)

  1.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1 메인실린더(10)와, 리프트의 타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2 메인실린더(20)와;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동조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타측에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함께 구비되는 제1 보조실린더(30)와;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동조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일측에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함께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보조실린더(40)와;
    상기 제1, 제2 메인실린더(10, 20)와 유압펌프를 연결하는 메인 공급라인(H0)과;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보조실린더(30)의 유입구(30a)를 연결하는 제1 동조라인(H1)과;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보조실린더(40)의 유입구(40a)를 연결하는 제2 동조라인(H2)과;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1 동조라인(H1)을 연통시키는 제1 동조부(50)와;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2 동조라인(H2)을 연통시키는 제2 동조부(60)와;
    상기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조부(50) 및 제2 동조부(60)는,
    상기 감지센서(70)에 의해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센서(70) 또는 제어부(미도시)로터 인가된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동조라인(H1, H2)을 연통시키는 전자식 체크밸브(V)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70)는 차량탑재대(P)가 하사점을 도달하였을 때 상기 차량탑재대 중 하나 또는 로크바(Lock Bar)에 의해 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70)는 버튼식 스위치, 푸쉬형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대(P)의 상승이 시작되는 상승사이클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전자식 체크밸브(V)는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체크밸브(V)는 차량탑재대(P) 하강하는 하강사이클 중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에 부속된 피스톤이 하사점(下死點) ~ 하사점으로부터 1/10×피스톤 왕복길이에 범위 내에 있을 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70)는, 일측 차량탑재대(P)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리프트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1)와, 타측 차량탑재대(P)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리프트의 타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2)로 구성되고,
    리프트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1)는 상기 제2 동조부(60)를 제어하고,
    리프트의 타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2)는 상기 제1 동조부(50)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상기 제2 보조실린더(40)는 일측 차량탑재대를 함께 승강시키며,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상기 제1 보조실린더(30)는 타측 차량탑재대를 함께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체크밸브(V)는 전자코일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70)에 의해 차량탑재대(P)가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식 체크밸브(V)는 타이머 기능을 구비하여 일정시간 동안 동조라인(H1, H2)을 연통시킨 후 다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PCT/KR2012/006194 2012-08-03 2012-08-03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WO201402148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6194 WO2014021484A1 (ko) 2012-08-03 2012-08-03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6194 WO2014021484A1 (ko) 2012-08-03 2012-08-03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1484A1 true WO2014021484A1 (ko) 2014-02-06

Family

ID=5002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194 WO2014021484A1 (ko) 2012-08-03 2012-08-03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0214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3301A1 (de) * 2014-09-16 2016-03-17 Otto Nussbaum Gmbh & Co. Kg Hebebühne mit Rücklaufsperre
CN110578727A (zh) * 2019-09-25 2019-12-17 张家口凯航液压科技有限公司 一种负载敏感多缸同步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7111A (ja) * 1993-12-16 1995-07-0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油圧システム
KR100214045B1 (ko) * 1996-07-03 1999-08-02 스기우라 야스나리 유압 리프트
JP2002284490A (ja) * 2001-03-28 2002-10-03 Matoba Denki Seisakusho:Kk 昇降装置の昇降回路
JP2008254825A (ja) * 2007-03-30 2008-10-23 Anzen Motor Car Co Ltd 車両用リフト装置
KR20110120391A (ko) * 2010-04-29 2011-11-04 헤스본주식회사 차량용 리프트의 유압동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7111A (ja) * 1993-12-16 1995-07-0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油圧システム
KR100214045B1 (ko) * 1996-07-03 1999-08-02 스기우라 야스나리 유압 리프트
JP2002284490A (ja) * 2001-03-28 2002-10-03 Matoba Denki Seisakusho:Kk 昇降装置の昇降回路
JP2008254825A (ja) * 2007-03-30 2008-10-23 Anzen Motor Car Co Ltd 車両用リフト装置
KR20110120391A (ko) * 2010-04-29 2011-11-04 헤스본주식회사 차량용 리프트의 유압동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3301A1 (de) * 2014-09-16 2016-03-17 Otto Nussbaum Gmbh & Co. Kg Hebebühne mit Rücklaufsperre
CN110578727A (zh) * 2019-09-25 2019-12-17 张家口凯航液压科技有限公司 一种负载敏感多缸同步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81915A1 (ko) 내구성과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킨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WO2014021484A1 (ko)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CN107752465A (zh) 一种具有顶层自动放书机构的书架
WO2010104239A1 (ko)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WO2012150770A2 (ko) 차량 리프팅용 유압실린더 동조 장치
KR101336262B1 (ko)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CN112504424A (zh) 一种电子秤自动检定装置
CN209086387U (zh) 测试指纹锁电路板功能的装置
CN208292453U (zh) 一种无基站的电梯运行状态检测装置
CN109946058A (zh) 集装箱吊具专用实验台
CN210973448U (zh) 应用于浅底坑电梯检修的安全保护系统
CN208217735U (zh) 一种上盖解锁装置及自动化生产线
CN107304016A (zh) 电梯照明系统以及电梯装置
WO2010104240A1 (ko)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CN218708371U (zh) 节能液压驱动电梯
CN218202013U (zh) 一种万向滚珠举模器
CN218910629U (zh) 一种tmt机型加装二楼走道板的装置
CN220596742U (zh) 补偿链伸长检测装置
CN211769626U (zh) 轮椅升降平台踏板故障打开监测装置以及轮椅升降平台
CN218181016U (zh) 一种霍尔部件耐压测试设备
CN215492886U (zh) 一种用于打壳气缸压力测试的试验台
CN107187971A (zh) 提高电梯效率的智能电梯厅外预约显示系统及方法
CN213779256U (zh) 一种电子秤自动检定装置
CN218371110U (zh) 钢丝绳电梯称重装置
CN218906409U (zh) 一种自动安装的芯板脱模用接料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821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821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