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045B1 - 유압 리프트 - Google Patents

유압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045B1
KR100214045B1 KR1019970030544A KR19970030544A KR100214045B1 KR 100214045 B1 KR100214045 B1 KR 100214045B1 KR 1019970030544 A KR1019970030544 A KR 1019970030544A KR 19970030544 A KR19970030544 A KR 19970030544A KR 100214045 B1 KR100214045 B1 KR 10021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ub
lift
oil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102A (ko
Inventor
유지 사카키바라
Original Assignee
스기우라 야스나리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우라 야스나리,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스기우라 야스나리
Publication of KR980009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1/22Synchronisation of the movement of two or more servo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기계적 수단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 및 서브 실린더의 압력 이상을 회피하여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마스터 실린더(1)와 그것보다도 지름이 작은 서브 실린더(2)를 유압 동조회로(3)에 의하여 직렬로 접속한다. 서브 실린더(2)에 동조 보정회로(4)를 접속하여 서브 실린더(2)의 하실(2b)에 압유를 공급하고, 피스톤 로드(2a)의 상승끝단 위치를 보정한다. 피스톤 로드(2a)의 하단에 오일 뽑기 기구(14)를 조립하고, 서브 실린더(2)의 상승끝단 에 있어서, 하실(2b)의 압유를 상실(2c)로 유입시키고 출구(28)로부터 드레인 배관(29)을 재재하여 탱크(30)로 되돌아 가게 한다.

Description

유압 리프트
본 발명은 직렬로 설치된 마스터 실린더 및 서브 실린더를 동조시켜 정비차량 등의 짐을 승강하는 유압 리프트, 특히 양 실린더의 리프트량을 같게 하기 위하여 서브 실린더의 상승끝단 위치를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유압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종류의 유압 리프트로서,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가 알려져 있다. 이 리프트에 있어서는 마스터 실린더(31)와 그것보다도 지름이 작은 서브 실린더(32)가 유압 동조회로(33)에 의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유압 동조회로(33)는 리프트의 상승시에 상승 밸브(35)를 개방하고, 펌프(36)의 토출유를 마스터 실린더(31)에 공급하고, 마스터 실린더(31)의 토출유를 서브 실린더(32)에 보내고, 양 실린더(31, 32)의 피스톤 로드(31a, 32a)를 동조시켜 상승하고, 하강시에는 하강 밸브(37)를 개방하고, 차량중량에 의하여 압유를 역류시켜, 피스톤 로드(31a, 32a)를 동조시켜 하강한다. 서브 실린더(32)에는 동조 보정회로(34)가 접속되고, 서브 실린더(32)가 오일누출 등의 원인에 의하여 상승끝단 직전위치에서 정지한 경우에 보정 밸브(38)를 개방하고, 압유를 서브 실린더(32)의 하실(32b)에 공급하고, 피스톤 로드(32a)의 상승끝단 위치를 보정하여 양 실린더(31, 32)의 리프트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통상의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는 도 6에 나타낸 바와같이 마스터 실린더(31) 및 서브 실린더(32)에 하강 방지기구(39, 40)를 장비하여 각각 랙(41) 및 포올(42)의 서로 맞물림에 의하여 리프트의 이상 하강을 기계적으로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만일 서브 실린더(32)측의 하강 방지기구(40)가 작용하지 않은 경우, 마스터 실린더(31)측의 하강 방지기구(39)에는 자기부담 하중에 의한 밀어내리는 힘과 서브 실린더(32)측의 유압에 의한 밀어내리는 힘의 총합력이 작용한다. 또한 이상태에서 위치보정을 위하여 서브 실린더(32)의 하실(32b)에 압유가 공급되면, 피스톤 로드(32a)가 상승끝단 에 이른 시점에서 마스터 실린더(31)가 동조 보정회로(34)측의 유압에 의하여 다시 아래쪽으로 밀어 누른다. 따라서 이렇게 이상조건이 겹친 경우, 마스터 실린더(31)의 하강 방지기구(39)에 과대한 힘이 작용하여 기기의 파손을 초래하기 쉽다.
또한 이런 종류의 유압 리프트의 경우, 실린더 지름이 서로 다름에 따라 서브 실린더(32)측에 압력 이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2개의 실린더를 동조시키기 위해서는 서브 실린더(32)의 안지름을 마스터 실린더(31)의 그것보다도 작게 하여 서브 실린더(32)의 수압(受壓)면적을 마스터 실린더(31)의 수압면적으로부터 피스톤 로드(31a)의 단면적을 뺀 값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서브 실린더(32)가 마스터 실린더(31)보다도 높은 위치인 상태에서 리프트가 상승하면, 서브 실린더(32)는 상승끝단 에 이른 후에도 마스터 실린더(31)의 토출유에 의해 다시 밀려 눌러지고, 이때 서브 실린더(32)의 하실(32b)에 양 실린더(31, 32)의 수압면적차에 의거하는 과대한 압력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한 마스터 실린더(31)측 및 서브 실린더(32)측의 압력 이상으로부터 리프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유압회로에 압력스위치를 설치하고, 이것이 이상압력을 검출하였을 때, 유압펌프(36)를 정지하여 리프트를 비상 정지시키는 안전 대책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는 유압 회로 및 전기 회로의 구성이 복잡화할 뿐만 아니라 압력 이상일 때마다 리프트가 정지한다는 단점도 있고, 또 복구에 수고를 필요로 하는 단점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한 기계적 수단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 및 서브 실린더의 압력 이상을 확실하게 회피하여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유압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동 리프트에 있어서, 서브 실린더의 오일뽑기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상기 오일뽑기 기구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구성도,
도 6은 상기 리프트의 하강 방지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스터 실린더 2 : 서브 실린더
2a : 피스톤 로드 2b : 하실
2c : 상실 3 : 유압 동조회로
4 : 동조 보정회로 5 : 상승 밸브
10 : 하강 밸브 11 : 보정 밸브
14 : 오일뽑기 기구 16 : 밸브 시이트
21 : 통로 22 : 볼 밸브
23 : 스프링 24 : 가로 구멍
25 : 실린더 커버 26 : 로드
27 : 핀 29 : 드레인 배관
30 : 탱크 39, 40 : 하강 방지기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압 리프트는 마스터 실린더와, 이 마스터 실린더보다도 지름이 작은 서브 실린더와, 이들 양 실린더를 직렬로 접속하여 동조시키는 유압 동조회로와, 서브 실린더의 하실에 압유를 공급하여 서브 실린더의 상승끝단 위치를 보정하는 동조 보정회로와, 서브 실린더의 상승끝단에 있어서, 서브 실린더하실의 압유를 외부로 뽑아내는 오일뽑기 기구로 구성된다.
여기서 오일뽑기 기구를 서브 실린더의 피스톤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나, 피스톤 지름은 수압면적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조립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한정된 스페이스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점에서 오일뽑기 기구를 서브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하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구체화한 일실시예를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리프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마스터 실린더(1)와, 마스터 실린더(1)보다도 지름이 작은 서브 실린더(2)와, 이들 양실린더(1, 2)를 직렬로 접속하는 유압 동조회로(3)와, 서브 실린더(2)의 상승끝단 위치를 보정하는 동조 보정회로(4)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 동조회로(3) 및 동조 보정회로(4)는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유압 동조회로(3)는 리프트의 상승시 상승 밸브(5)를 개방하고, 펌프(6)의 토출유를 필터(7) 및 오일흐름 폐쇄밸브(8)를 개재하여 마스터 실린더(1)로 공급하고, 마스터 실린더(1)의 토출유를 오일흐름 폐쇄밸브(9)를 개재하여 서브 실린더(2)의 하실(2b)로 보내고, 양 실린더(1, 2)의 피스톤 로드(1a, 2a)를 동조시켜 상승시킨다. 또 리프트의 하강시에는 하강 밸브(10)를 개방하고, 차량중량에 의하여 압유를 역류시켜 피스톤 로드(1a, 2a)를 동조시켜 하강시킨다. 동조 보정회로(4)는 서브 실린더(2)가 오일 누출 등의 원인에 의하여 상승끝단 직전위치에서 정지한 경우, 보정 밸브(11)를 개방하고, 압유를 필터(12), 오일흐름 폐쇄밸브(9)를 개재하여 서브 실린더(2)의 하실(2b)로 공급하고, 피스톤 로드(2a)의 상승끝단 위치를 보정하여 양 실린더(1, 2)의 리프트량이 동일해 지도록 작용한다.
이 실시예의 리프트는 서브 실린더(2)의 구성에 있어서, 종래와 상이하다. 서브 실린더(2)의 피스톤 로드(2a)의 하단에는 서브 실린더(2)의 상승끝단 에서 하실(2a)의 압유를 외부로 뽑아내는 오일뽑기 기구(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구(14)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피스톤 로드(2a)하단의 중심구멍(15)에는 밸브 시이트(16)와 슬리브(17)가 와셔(18) 및 필터(19)를 개재하여 플러그(20)에 의하여 조립되어 있다. 밸브 시이트(16)에는 통로(21)가 형성되고, 슬리브(17)에는 통로(21)를 개폐하는 볼 밸브(22)와, 이것을 폐쇄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23)이 수용되어 있다.
또 피스톤 로드(2a)에는 가로 구멍(24)이 중심 구멍(15)과 직교하는 상태에서 양단이 상실(2c)로 개구하도록 관통설치되고, 이 가로 구멍(24)에는 실린더 커버(25)에 걸어맞춤 가능한 로드(26)가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밸브 시이트(16)에는 핀(27)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통하고, 그 상단은 로드(26)의 중간에 걸어멈춰짐과 동시에 하단을 볼 밸브(22)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피스톤 로드(2a)가 상단까지 상승하였을 때, 실린더 커버(25)에 의하여 로드(26)가 밀려내려지고, 핀(27)을 개재하여 볼 밸브(22)가 개방되고, 도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하실(2b)의 압유가 통로(21) 및 가로 구멍(24)을 지나 상실(2c)로 유입되고, 출구(28)(도 1참조)로부터 드레인 배관(29)을 지나 탱크(30)에 빠지게 되어 있다. 또 하실(2b)로의 압유의 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프링(23)에 의하여 볼 밸브(22)가 폐쇄되어 상실(2c)과 하실(2b)이 차단되어 피스톤 로드(2a)의 하강이 저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압 리프트에 의하면, 서브 실린더(2)의 위치 보정시 피스톤 로드(2a)가 상승끝단 위치에 도달하면, 오일뽑기 기구(14)가 하실(2a)의 압유를 실린더외부로 뽑아내기 때문에 마스터 실린더(1)측의 압력 이상이 확실하게 회피된다. 따라서 위치보정시에 마스터 실린더(1)측의 하강 방지기구(39)(도 6참조)에 과대한 힘이 작용할 염려가 없어, 그 기기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서브 실린더(2)가 마스터 실린더(1)보다도 높은 위치인 상태에서 리프트가 상승한 경우에는 서브 실린더(2)가 상승끝단 에 도달한 이후, 마스터 실린더(1)의 토출유는 서브 실린더(2)를 통과하여 탱크(30)로 되돌아가고, 양 피스톤 로드(1a, 2a)의 상승끝단 위치가 자동적으로 정합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서브 실린더(2)측에 있어서, 면적차에 의한 압력 이상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유압 리프트에 의하면, 서브 실린더(2)의 하실(2b)로부터 빠져나온 압유를 탱크(30)로 되돌려 순환시키기 때문에 압유에 혼입된 공기를 효율좋게 배제하여 회로이상의 한 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오일뽑기 기구(14)에 의하여 압력 이상이 미연에 회피되기 때문에 압력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유압 회로 및 전기 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리프트를 빈번하게 정지시키거나 복구에 수고를 필요로 하는 단점도 없어진다. 특히 오일뽑기 기구(14)는 피스톤 로드(2a)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에 설치된 경우에 비하여 넓은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이 기구(14)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고, 예를 들어 오일뽑기 기구(14)의 볼 밸브(22)를 대신하여 스풀 밸브를 사용하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부의 구성을 적절히 변경하여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브 실린더의 상승끝단에 있어, 서브 실린더 하실의 압유를 외부로 뽑아내는 오일뽑기 기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기계적 수단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 및 서브 실린더의 압력 이상을 확실하게 회피하여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보다도 지름이 작은 서브 실린더와, 이들 양실린더를 직렬로 접속하여 동조시키는 유압 동조회로와, 상기 서브 실린더의 하실에 압유를 공급하여 서브 실린더의 상승끝단 위치를 보정하는 동조 보정회로와, 상기 서브 실린더의 상승끝단에서 서브 실린더 하실의 압유를 외부로 뽑아내는 오일뽑기 기구로 이루어지는 유압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뽑기 기구를 상기 서브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하단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리프트.
KR1019970030544A 1996-07-03 1997-07-02 유압 리프트 KR100214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389996A JP3795582B2 (ja) 1996-07-03 1996-07-03 油圧リフト
JP08-173899 1996-07-03
JP8-173899 1996-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102A KR980009102A (ko) 1998-04-30
KR100214045B1 true KR100214045B1 (ko) 1999-08-02

Family

ID=1596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544A KR100214045B1 (ko) 1996-07-03 1997-07-02 유압 리프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95582B2 (ko)
KR (1) KR100214045B1 (ko)
TW (1) TW358474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98B1 (ko) 2007-11-23 2010-10-26 (주)제이.케이.에스 수문제어용 유압실린더 동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2150770A2 (ko) * 2011-05-04 2012-11-08 헤스본 주식회사 차량 리프팅용 유압실린더 동조 장치
KR101266508B1 (ko) 2011-11-10 2013-05-24 김종근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KR101315016B1 (ko) * 2011-06-24 2013-10-04 김종근 차량용 리프트의 유압실린더 동조장치
WO2014021484A1 (ko) * 2012-08-03 2014-02-06 헤스본 주식회사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5287A1 (de) * 2010-09-14 2012-03-15 Otto Nussbaum Gmbh & Co. Kg Hebebühne für Kraftfahrzeuge
CN113636494B (zh) * 2021-09-06 2024-03-12 中意泰达(营口)汽车保修设备有限公司 锁齿及检测结构
CN117553048A (zh) * 2023-11-16 2024-02-13 苏州艾沃意特汽车设备有限公司 举升机用液压油缸及剪式举升机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98B1 (ko) 2007-11-23 2010-10-26 (주)제이.케이.에스 수문제어용 유압실린더 동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2150770A2 (ko) * 2011-05-04 2012-11-08 헤스본 주식회사 차량 리프팅용 유압실린더 동조 장치
WO2012150770A3 (ko) * 2011-05-04 2013-03-14 헤스본 주식회사 차량 리프팅용 유압실린더 동조 장치
KR101315015B1 (ko) * 2011-05-04 2013-10-08 김종근 차량 리프팅용 유압실린더 동조 장치
CN104203798A (zh) * 2011-05-04 2014-12-10 希实本株式会社 车辆升降用液压汽缸同步装置
KR101315016B1 (ko) * 2011-06-24 2013-10-04 김종근 차량용 리프트의 유압실린더 동조장치
KR101266508B1 (ko) 2011-11-10 2013-05-24 김종근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WO2014021484A1 (ko) * 2012-08-03 2014-02-06 헤스본 주식회사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58474U (en) 1999-05-11
JPH1017285A (ja) 1998-01-20
JP3795582B2 (ja) 2006-07-12
KR980009102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4045B1 (ko) 유압 리프트
EP0138182B1 (de) Flüssigkeitsringpumpe
EP2765579A2 (en) Reactor pressure vessel depressurization system and main steam safety relief valve drive apparatus
KR20180050061A (ko) 시동 공기 밸브
CN104358902A (zh) 一种压力保险阀
JP3795581B2 (ja) リフトの油圧同調装置
CN108397591B (zh) 一种限压和进排气一体阀
CN210715345U (zh) 一种螺纹插装式单向卸荷溢流阀
KR100231069B1 (ko) 유압실린더의 동조장치
KR950010362B1 (ko) 2주식 리프트의 안전장치
CN208169616U (zh) 一种净水器泄压阀
US7137402B2 (en) Oil deaeration device
CN101776109A (zh) 一种用于变电站气动控制系统的油气分离排气装置
KR100664570B1 (ko) 차량 조립라인용 다차종 인상장치
CN205135962U (zh) 抽油泵的防气防砂外管总成及抽油泵
CN221003939U (zh) 一种自动化止回截止阀
KR960002574Y1 (ko) 차량용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브레이크액 진공주입장치
CN220989986U (zh) 一种自动放水过滤器
CN210766448U (zh) 一种桥梁维护用顶升装置
CN210193283U (zh) 千斤顶卸荷缓降装置
EP1616335B1 (de) Kerntechnische 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erntechnischen anlage
JPH0471834B2 (ko)
KR950010363B1 (ko) 리프트의 안전장치
US1899460A (en) Pump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1714614B1 (ko) 탈착 가능한 구조의 플랩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