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80318A1 -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 Google Patents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80318A1
WO2013180318A1 PCT/KR2012/004277 KR2012004277W WO2013180318A1 WO 2013180318 A1 WO2013180318 A1 WO 2013180318A1 KR 2012004277 W KR2012004277 W KR 2012004277W WO 2013180318 A1 WO2013180318 A1 WO 20131803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irroring
file
mode
stream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42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수우
Original Assignee
(주)정직한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직한기술 filed Critical (주)정직한기술
Publication of WO20131803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803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Abstract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는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연결된 표시 장치에 미러링하는 장치로서, 스트리밍 모드에서 미러링 모드 또는 미러링 모드에서 스트리밍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감지되면, 수행 중에 있던 모드를 중지시키고 전환하고자 하는 모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본 발명은 미러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여 다른 표시 장치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PC나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사용자 장치는 스트리밍 및 미러링을 지원한다. 미러링은 사용자 장치의 화면 자체를 캡쳐하여 사용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예를 들면, TV)를 통해 표시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미러링과 스트리밍을 모두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에서, 미러링 기능과 스트리밍 기능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를 통해서 미러링 중에 파일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경우, 미러링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스트리밍을 시작해야 하며,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스트리밍을 종료하고 미러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미러링을 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미러링 기능과 스트리밍 기능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작함에 따라서 이를 구동하는 하드웨어도 별개로 존재하므로, 사용자 장치의 크기가 커지며 사용자 장치와 표시 장치간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와 표시 장치간 연결도 복잡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스트리밍과 미러링을 지원할 수 있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트리밍과 미러링을 전환할 수 있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연결된 표시 장치에 미러링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미러링 장치는 미러링 제어부, 파일 스트리밍부, 그리고 모드 전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러링 제어부는 미러링 모드에서 동작하며,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상기 표시 장치에 미러링하여 표시한다.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는 스트리밍 모드에서 동작하며, 해당 파일을 상기 표시 장치로 스트리밍한다. 그리고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스트리밍 모드에서 상기 미러링 모드 또는 상기 미러링 모드에서 상기 스트리밍 모드로의 모드 전환을 감지하고, 상기 미러링 제어부 및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를 제어하여 수행 중에 있던 모드를 중지시키고 전환하고자 하는 모드를 개시한다.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실행되는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킨 후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를 통해서 압축 형태의 원파일을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러링 제어부는 네트워크 상태가 포화 상태를 나타내는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화면을 챕쳐한 미러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나 프레임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실행되는 파일의 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킨 후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를 통해서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러링 제어부,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 및 상기 모드 전환부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을 모두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트리밍과 미러링을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와 표시 장치간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연결 또한 간단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러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에서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미러링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링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10)의 화면을 표시 장치(20)의 화면을 통해 그대로 보여주는 미러링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러링 장치(100)는 파일 스트리밍 기능을 수행한다.
미러링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10)에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10)와 표시 장치(20)는 케이블이나 와이파이(wi-fi)와 같은 유무선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로는 PC,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 폰 등이 있을 수 있다.
표시 장치(20)는 일종의 표시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모니터나 TV 등이 있을 수 있다.
미러링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화면 영상을 압축하여 표시 장치(20)로 전송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20)는 압축된 화면 영상을 풀어서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20)는 기본적으로 압축된 화면 영상을 푸는 디코딩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20)가 TV인 경우, 디코딩 모듈은 TV와 연결된 셋탑 박스에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러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미러링 장치(100)는 모드 전환부(110), 미러링 제어부(120) 및 파일 스트리밍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드 전환부(110), 미러링 제어부(120) 및 파일 스트리밍부(130)는 미러링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미러링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구매 및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모드 전환부(110)는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미러링 모드에서 스트리밍 모드로 전환하거나 이와 반대로 스트리밍 모드에서 미러링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현재 실행되고 있는 모드를 일시 정지하고, 전환하고자 하는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모드 전환부(110)는 미러링 모드에서 스트리밍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미러링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미러링 제어부(120)로 전달하여 미러링 제어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파일 스트리밍부(130)로 동작 개시를 지시한다. 이와 반대로, 모드 전환부(110)는 스트리밍 모드에서 미러링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스트리밍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파일 스트리밍부(130)로 전달하여 파일 스트리밍부(13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미러링 제어부(120)로 동작 개시를 지시한다.
이때 모드 전환부(110)는 미러링 모드에서 사용자가 파일을 재생하면, 모드 전환부(110)는 미러링 모드를 중지시키고 파일 스트리밍부(130)로 동작 개시를 지시함으로써, 파일 스트리밍부(130)는 해당 파일을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미러링 제어부(120)는 미러링 모드에서 동작하며, 사용자 장치(10)의 화면 영상을 표시 장치(20)의 화면을 통해 그대로 보여준다.
이를 위해, 미러링 제어부(120)는 파일을 사용자 장치(10)의 화면을 통해 실행시키는 동시에 사용자 장치(10)의 화면을 통해 실행되고 있는 화면 영상(이하, "미러링 데이터"라 함)을 캡쳐하고, 캡쳐한 미러링 데이터를 압축한 후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표시 장치(20)는 압축한 미러링 데이터를 풀어서 표시 장치(2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장치(10)의 화면 영상과 동일한 화면 영상이 표시 장치(20)를 통해서 표시된다. 이때 파일이 압축되어 있는 경우, 미러링 제어부(120)는 파일의 압축을 풀어서 비압축 형태의 파일로 만든 후에 미러링 기능을 수행한다.
파일 스트리밍부(130)는 스트리밍 모드에서 해당 파일을 표시 장치(20)로 스트리밍한다.
한편,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같이 대용량 파일의 경우, 미러링 시 네트워크 부하를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러링 장치(100)에서 미러링 시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에서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미러링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미러링 장치(100)의 미러링 제어부(120)에서 일반 텍스트가 아닌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모드 전환부(110)는 대용량 파일의 재생을 감지한다(S310).
모드 전환부(110)는 대용량 파일의 재생을 감지하면, 미러링 제어부(120)의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키고(S320), 파일 스트리밍부(130)의 스트리밍 모드를 개시시킨다(S330). 즉, 모드 전환부(110)는 미러링 시 재생되는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보다 작은지 큰지를 판단하고, 재생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보다 큰 경우에는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킨다. 이와 반대로 모드 전환부(110)는 일반 텍스트와 같이 재생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미러링 모드를 유지한다. 이때, 재생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보다 작은지 큰지를 판단하는 기능은 모드 전환부(110)와 다른 별개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스트리밍 모드가 개시되면, 파일 스트리밍부(130)는 모드 전환부(110)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을 개시하여 본래의 압축 형태의 대용량 파일을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S340). 이렇게 하면, 표시 장치(20)에서 압축 형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풀어서 화면을 통해 재생함으로써, 미러링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즉, 미러링 제어부(120)는 기존과 같이 멀티미디어와 같이 압축 형태의 대용량 파일의 경우, 이를 디코딩하여 재생 후 다시 압축해서 표시 장치(20)로 전송하지 않고, 이 대신에 파일 스트리밍부(130)에서 압축 형태의 대용량 파일을 표시 장치(20)로 전송하여 표시 장치(20)에서 해당 파일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미러링과 동일한 효과를 내면서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에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고 있었다면, 동영상 파일은 디코딩된 후에 영상 버퍼(도시하지 않음)에 랜더링되고 화면에 표시된다. 기존의 방식으로 미러링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장치(10)의 영상 버퍼에 있는 로우 데이터를 읽어서 이를 압축한 후 표시 장치(20)로 전송해야 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미러링 제어부(120)에서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면 모드 전환부(110)에서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키고 파일 스트리밍 모드로 전환한다. 파일 스트리밍부(130)는 동영상 파일을 그대로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그러면, 표시 장치(20)는 전체 화면으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다.
그런 후에,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끝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0)에서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정지했을 경우 모드 전환부(110)는 다시 미러링 모드로 전환시켜서 해당 미러링 데이터를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미러링 장치(100)는 네트워크 상태 확인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태 확인부(140)는 미러링 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한다. 네트워크 상태 확인부(140)는 표시 장치(20)의 미러링 데이터의 처리 성능이 포화 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상태 확인부(140)는 미러링 제어부(120)에 구현될 수 있다.
미러링 제어부(120)는 네트워크 상태가 포화 상태를 나타내는 임계치 이상인 경우, 캡쳐한 미러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나 프레임 레이트를 일시적으로 줄여서 압축시킴으로써, 압축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무선 채널의 경우, 채널 대역폭에 한계가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 유실 또는 데이터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데이터 유실 또는 데이터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 비트 레이트나 프레임 레이트를 일정량 감소시켜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미러링 장치(100)는 파일 확인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일 확인부(150)는 모드 전환부(110)에 구현될 수 있다.
파일 확인부(150)는 미러링 제어부(120)에 의해 화면에 실행되는 파일(또는 프로그램)이 오픈지엘(OpenGL) 등의 그래픽(graphics)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그래픽 파일인지 확인한다. 이때 파일 확인부(150)은 미러링 제어부(120)에 의해 화면에 실행되는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보다 작은지 큰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미러링 제어부(120)는 하나의 파일의 모든 영상을 캡쳐해서 표시 장치(20)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그래픽 파일(예를 들면, 게임)이 실행되는 경우, 미러링 제어부(120)의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키고(S320), 파일 스트리밍부(130)의 스트리밍 모드를 개시시킨다. 그러면, 파일 스트리밍부(130)는 해당 명령어와 리소스(resource)만을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표시 장치(20)는 해당 명령어와 리소스를 수신하면, 해당 명령어를 실행한다. 그러면, 미러링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면서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표시 장치(20)는 openGL 등의 그래픽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리소스는 사진, 그림 등의 파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0)에서 특정 사진이 30도 각도로 10번 빙글빙글 돌도록 명령어를 내린 경우 사용자 장치(10)에서는 해당 동작이 수행되는데, 미러링 제어부(120)에서 해당 동작을 정해진 프레임마다 캡쳐해서 표시 장치(2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파일 스트리밍부(130)에서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와 사진 파일만을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그러면, 표시 장치(20)에서는 해당 사진에 대하여 해당 명령어를 수행함으로써, 미러링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소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어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러링 제어부(120)에서 그래픽 파일이 실행되는 경우, 모드 전환부(110)는 사용자 장치(10) 자체에서 해당 명령어가 실행되는지 여부를 감지해서 파일 스트리밍부(130)를 통해서 해당 명령어만 표시 장치(20)에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에서 x=10, y=20, 두께=10, 색상=노랑색(yellow), 반지름=10인 원을 그리는 경우 기존의 미러링에서는 전체 화면을 캡쳐한 후에 전송해야 했지만, 미러링 제어부(120)는 해당 명령어만 표시 장치(20)로 전송하면, 표시 장치에서 해당 명령어 따라서 x=10, y=20, 두께=10, 색상=노랑색(yellow), 반지름=10을 그리게 된다. 이렇게 하면, 기존 미러링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존 미러링에 비해 데이터량을 줄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결합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미러링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에 결합된 실시 예에 대해서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모드 전환부(110), 미러링 제어부(120) 및 파일 스트리밍부(130)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상태 확인부(140)는 미러링 제어부(120)에 구현되고, 도 5에 도시된 파일 확인부(150)는 모드 전환부(110)에 구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미러링 장치(600)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적어도 저장 장치(630),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64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5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1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62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램버스 DRAM(rambus DRAM, RDRAM), 동기식 DRAM(synchronous DRAM, S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630)는 하드 디스크 (hard disk),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W(CD rewritable), DVD-ROM(digital video disk ROM), DVD-RAM, DVD-RW 디스크, 블루레이(blu-ray) 디스크 등의 광학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다양한 형태의 RAM과 같은 영구 또는 휘발성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I/O 인터페이스(640)는 프로세서(610) 및/또는 메모리(620)가 저장 장치(63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50)는 프로세서(610) 및/또는 메모리(620)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610)는 모드 전환부(110), 미러링 제어부(120) 및 파일 스트리밍부(130)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메모리(620)에 로드시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명령은 저장 장치(6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저장 장치(630), I/O 인터페이스(64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50)는 하나의 컴퓨터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컴퓨터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을 모두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트리밍과 미러링을 자동 전환하는 전자제품 산업에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5)

  1.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연결된 표시 장치에 미러링하는 장치에 있어서,
    미러링 모드에서 동작하며,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상기 표시 장치에 미러링하여 표시하는 미러링 제어부,
    스트리밍 모드에서 동작하며, 해당 파일을 상기 표시 장치로 스트리밍하는 파일 스트리밍부,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모드에서 상기 미러링 모드 또는 상기 미러링 모드에서 상기 스트리밍 모드로의 모드 전환을 감지하고, 상기 미러링 제어부 및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를 제어하여 수행 중에 있던 모드를 중지시키고 전환하고자 하는 모드를 개시하는 모드 전환부
    를 포함하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실행되는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킨 후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를 통해서 압축 형태의 원파일을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미러링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포화 상태를 나타내는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화면을 챕쳐한 미러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나 프레임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실행되는 파일의 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킨 후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를 통해서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미러링 제어부,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 및 상기 모드 전환부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구현되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PCT/KR2012/004277 2012-05-31 2012-05-31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WO201318031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59A KR101389807B1 (ko) 2012-05-31 2012-05-31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KR10-2012-0057859 2012-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0318A1 true WO2013180318A1 (ko) 2013-12-05

Family

ID=4967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4277 WO2013180318A1 (ko) 2012-05-31 2012-05-31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9807B1 (ko)
WO (1) WO20131803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97802A1 (en) * 2014-03-21 2017-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WO2017142373A1 (en) * 2016-02-17 2017-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the sharing of video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US11985374B2 (en) 2016-02-17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the sharing of video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397B1 (ko) * 2013-12-12 2020-09-1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콘텐츠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2134816B1 (ko) 2014-03-14 202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러링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5142135A1 (ko) * 2014-03-21 2015-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407295B1 (ko) * 2015-10-30 2022-06-10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데이터 미러링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0695A (ja) * 2003-03-18 2004-10-07 Sony Corp データ共有システム,送信側端末装置,受信側端末装置,プログラム,送信側端末装置の処理方法
KR20080017607A (ko) * 2006-08-21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JP2009205278A (ja) * 2008-02-26 2009-09-10 Pioneer Electronic Corp 画面共有処理装置、画面共有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015931A (ko)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0695A (ja) * 2003-03-18 2004-10-07 Sony Corp データ共有システム,送信側端末装置,受信側端末装置,プログラム,送信側端末装置の処理方法
KR20080017607A (ko) * 2006-08-21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JP2009205278A (ja) * 2008-02-26 2009-09-10 Pioneer Electronic Corp 画面共有処理装置、画面共有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015931A (ko)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97802A1 (en) * 2014-03-21 2017-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WO2017142373A1 (en) * 2016-02-17 2017-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the sharing of video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US11985374B2 (en) 2016-02-17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the sharing of video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392A (ko) 2013-12-10
KR101389807B1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80318A1 (ko)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US859357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102133531B1 (ko) 컨텐츠 재생 방법 및 그에 따른 단말, 그에 따른 시스템
JP4500026B2 (ja) 通信装置
US200903001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27693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between devices
US9826572B2 (en) Wireless enhanced projector
KR20180086114A (ko) 재생 지연 방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4297801A (ja) デジタル撮像装置およびそのデータ伝送モードの選択方法
JP4987946B2 (ja) 通信装置
JPH10154125A (ja) Dmaデータ転送装置および同装置を使用した動画像復号化装置並びにdmaデータ転送制御方法
WO2015130148A1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US6240469B1 (en) System for transferring motion picture data between peripheral device interfaces by second peripheral interface issuing data transaction based on information set by processor to designate first peripheral interface
WO2009107954A2 (ko) 그래픽 가속기 및 그래픽 가속 방법
JP2009075679A (ja) 情報再生システム、データ生成装置、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生成方法、プログラム
KR20140117889A (ko) 클라이언트 장치, 서버 장치, 멀티미디어 리디렉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86448A (ja) 再生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016043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5920372A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终端
KR101716861B1 (ko) 영상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JP4363300B2 (ja) 映像装置および映像出力制御方法
JP6036373B2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WO2013145699A1 (ja) 画像転送システム、画像転送方法、端末装置、画像送信方法、及び、画像送信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O202309607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07208606A (ja) 画像音声伝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音声伝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781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781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