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69075A1 - 주름제거용 충전체 - Google Patents

주름제거용 충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69075A1
WO2013169075A1 PCT/KR2013/004168 KR2013004168W WO2013169075A1 WO 2013169075 A1 WO2013169075 A1 WO 2013169075A1 KR 2013004168 W KR2013004168 W KR 2013004168W WO 2013169075 A1 WO2013169075 A1 WO 20131690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ller
removing wrinkles
wrinkl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41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훈범
박원석
김혁
윤호상
이장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평양제약
(주)에이치비메디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SG11201407178SA priority Critical patent/SG11201407178SA/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평양제약, (주)에이치비메디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평양제약
Priority to BR112014028100A priority patent/BR112014028100A2/pt
Priority to US14/399,645 priority patent/US20150119985A1/en
Priority to IN10035DEN2014 priority patent/IN2014DN10035A/en
Priority to EP13788363.3A priority patent/EP2848231A4/en
Priority to KR1020147034744A priority patent/KR101696253B1/ko
Priority to JP2015511377A priority patent/JP2015522307A/ja
Priority to CA2873025A priority patent/CA2873025A1/en
Priority to RU2014148529A priority patent/RU2014148529A/ru
Priority to CN201380037230.9A priority patent/CN104717938B/zh
Publication of WO20131690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69075A1/ko
Priority to HK15108164.6A priority patent/HK1207555A1/xx
Priority to US15/371,660 priority patent/US2017007976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61F2/105Skin implants, e.g. artificial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09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having additional means for releasably clamping the suture to the needle, e.g. actuating rod slideable within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2Needle-suture combinations in which a suture is extending inside a hollow tubular needle, e.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85Sutures hollow or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61F2002/0086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for preferentially controlling or promoting the growth of specific types of cells or tiss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76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multilayered, e.g. laminat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1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hardness, e.g. Vickers, Shore, Brin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51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tissue ingrowth capacity, e.g. made from both ingrowth-promoting and ingrowth-preventing par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inserted into a subcutaneous layer of a wrinkle area by a molding procedure to induce formation of new fibrous tissue to form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thereby maintaining elasticity well.
  • a long gap or through hole is formed in one side of a long hollow tube (tube) to form fibroblasts, platelets, macrophages, white blood cells, erythrocytes, etc. to form fibrous tissue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which can be formed in a mold.
  • wrinkl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ir face or body, and the principle of wrinkles is the contraction of muscles, as well as the striking of the skin and fat layers by gravity. Wrinkles are made perpendicular to the contraction direction of the muscles and become deeper with age.
  • Another method is to use a filler to get out the inlet area.
  • the liquid filler is convenient to inject, but every time the muscle moves after injection into the skin, the movement takes place in the direction of the contraction of the muscle, so that the indentation is relatively higher. This brings about a phenomenon that is visible and disagrees with the original purpose, and is decomposed and absorb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up to 1-2 years).
  • Another method is to insert a very thin gold threa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which causes a foreign body reaction to create a new tissue around the gold thread, but is limited to use in coarse wrinkles. There is a risk of bending or protruding out of the skin and remains permanent, causing interference when X-rays, CT, MRI, etc. are taken, which may cause problems in diagnosis.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that do not move regardless of the contraction of the muscle eve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without a method such as skin incision surgery.
  •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brous tissue containing a new collagen fibers in the entire region of the long tube, which is a surgical site through the longitudinal or vertical hole formed in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made of a long tube shap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 a fibrous tissue containing a new collagen fibers in the entire region of the long tube, which is a surgical site through the longitudinal or vertical hole formed in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made of a long tube shap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various wrinkles such as coarse wrinkles, and further includes an elastic support having a recoiling force against external forces, so that deformation may be caused by pressure or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ki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It is to provide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that can minimize the occurrence.
  •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elongated integral tubular body that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subcutaneous layer; And a longitudinal column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cells lying in the peripheral tissues of the main body can move into the main body to form a moving passage of cells capable of forming a fibrous tissue. It is characterized by.
  •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he elongated unitary tubular body of the elongated unit that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subcutaneous layer; And two or more short gaps formed through the cel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cells placed in the surrounding tissues of the main body move into the main body to form a moving passage for the cells capable of forming the fibrous tissu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lumn.
  •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orming a thin elongated tubular shape by winding in a spiral to cross a plurality of rows of powder consisting of two or more strips;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ngitudinal column (longitudinal cleft)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 the filler for wrinkle remo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and thin tubular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Longitudinal cleft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connecting body installed inside the plurality of short bodies arranged in a line such that the hollow portion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nnecting the hollow portions to penet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iller for wrinkle remo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ongated unitary tubular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 longitudinal cleft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n elastic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by cutting a portion of the surface thereof.
  •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ongated integral tubular body; A longitudinal cleft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n elastic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by cutting a portion of the surface thereof, and having an acute angle tha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by forming a decal commani form around the middle of the main body.
  • the filler for wrinkle remo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ongated unitary tubular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Separation column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short gaps forming the movement passage of the cells that can mov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form the fibrous tissue to move into the main bod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And an elastic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by cutting a portion of the surface thereof.
  •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orming a thin elongated tubular shape by winding in a spiral to cross a plurality of rows of powder consisting of two or more strips; It compris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s are configured to be formed between the powder and the powder.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partitions formed in the hollow inside the main body.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iral elastic support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inside the body.
  •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s are further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concav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by shrinking the main body.
  • the main body may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or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when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main body may have a diameter of 0.6 to 3.0 mm, and the hollow part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0.5 to 2.8 mm. .
  • the vertical column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gap is 0.1 to 2.0mm, or has a size of 1/8 to 1/4 of the circular conversion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main body cross s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through-hole formed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diameter or the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is preferably 40 to 500 ⁇ m.
  •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ly or entirely apply the contrast agen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wth factor for promoting the formation of fibrous tissu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is coated or embedded.
  •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oiling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r movement due to pressure or external force of the skin after insertion into the subcutaneous layer, and vertical or through hole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 Fiber structure including a large amount of new collagen fibers can be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inside the body through the diameter and diameter of the hollow portion, the diameter of the hollow portion and the body forming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wrinkles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wrinkles, including coarse wrinkles by adjusting, and the newly formed fibrous tissue is maintained, so that the effect of removing wrinkles can be (semi) permanently maintain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in a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ion columns spaced apa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having a partition in the hollow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provided with a spiral elastic support in the hollow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by intertwining two or more strip-shaped powders of multiple ro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fiber structure (T) is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interconnected by a plurality of short main body formed in a colum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x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elastic projections deflected in one direction on the body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procedure during the insertion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subcutaneous layer.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protrusion is caught in the fibrous tissue T after the procedure of inserting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subcutaneous layer is completed.
  •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rojection of the decal commani form symmetrical around the middle of the main body.
  •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inth embodiment of the wrinkle removal filler formed with a separation column and an elastic protrus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procedure during the insertion of the ni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subcutaneous layer.
  •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protrusion is caught in the fibrous tissue T after the procedure of inserting the ni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subcutaneous layer is completed.
  •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nth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both vertical and through hol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the separation column and the aper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welfth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a column and a partition and a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teenth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a vertical column and a spiral elastic support and a ho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urteenth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in which a plurality of short bodies formed together with a column and a hole are interconnected by a connec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e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column and elastic projections and hol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e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the separation column and the elastic projection and the aper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eventeenth embodiment of a wrinkle eliminating filler formed by intertwining two or more strip-shaped powders of multiple ro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4 is a graph comparing the strength of the filler according to the seven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combined with a needle for removing wrinkles and a nee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herein, the elongated unitary tubular body of the elongated one that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subcutaneous layer; And a longitudinal column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cells lying in the peripheral tissues of the main body can move into the main body to form a moving passage of cells capable of forming a fibrous tissue. It is characterized b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rinkle eliminating filler having a column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rinkle removing filler 10 includes an elongated, one-piece tubular body 100 that can be operated through a subcutaneous layer, and Longitudinal clefts 200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to allow the cells lying in the surrounding tissue to move into the main body 100 to form a moving passage for the cells capable of forming the fibrous tissu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the hollow portion 110 which is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forms a space in which cells move to form a fibrous tissue, and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issu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column 200.
  • the vertical column 200 refers to a long gap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column 20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fiber tissue can be regenerated at a uniform speed throughout the main body.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ion columns spaced apa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is an elongated, one-piece tubular body 100 which can be operated through a subcutaneous layer, and Separation column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short gaps that form the movement passage of the cells that can mov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o form a fibrous tissue to move into the main body 1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210.
  • the separation column 21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lumn 200 except that the short gap through which the cells can move into the main body is separated and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100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for example, square, hexagon, octagon, etc.) More preferably, it is circular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along a needle penetrating the subcutaneous layer by inserting a needle (eg, a plastic surgery needle) or inserting an intravenous needle into the tube.
  • a needle eg, a plastic surgery needle
  •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s easy to be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it is preferably 0.6 to 3.0 mm to be located between the subcutaneous fat layer and the dermis layer or the fat layer when the insertion procedure.
  •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00 may be a sufficient length according to the treatment range.
  • the hollow part 110 which is a spac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100, has fibroblasts, etc. of surrounding tissues introduced through the column 200, thereby newly forming fibrous tissues such as elastic fibers and collagen tissues. It will provide space for it. Therefore, when the diameter of the hollow part 110 is increased, the amount of newly formed fiber tissue increases, and when the diameter of the hollow part 110 is decreased, the amount of newly formed fiber tissue decreases, depending on the depth, position, etc. of the wrinkles.
  • the diameter of the hollow portion 110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it is usually preferably 0.5 to 2.8 mm.
  • the column 200 is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fibroblasts, etc. can enter the hollow portion 110, the shape may be any shape, such as circular, triangular, square, octagonal, trapezoidal, rhombus.
  • the column 20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gap is 0.1 to 2.0mm or 1/8 to 1/4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ross section, if the diameter is too large, This is undesirable because it loses support for the organization.
  • the body 10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yaluronic acid (HA), polylactic acid (PLA), polyglyco-lactic acid (PGLA) and polydi It may be made of biodegradable polymers such as polydioxanone (PDS) or non-biodegradable polymers such as nylon, silicone, polypropylene, polypropylethylene and teflon.
  • HA hyaluronic acid
  • PLA polylactic acid
  • PGLA polyglyco-lactic acid
  • PDS polydioxanone
  • non-biodegradable polymers such as nylon, silicone, polypropylene, polypropylethylene and teflon.
  • the filler for wrinkle removal is gradually decomposed and absorbed after the formation of the fibrous tissue, and in the case of using a non-biodegradable polymer, the filler for wrinkle removal remains permanently in the subcutaneous layer.
  •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in a double layer structure consisting of a material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of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 the inner skin is made of a hard material
  • the outer skin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 the endothelium is an absorbent material
  • the endothelium may be formed of a non-absorbent material
  • the endothelium and the envelope may be formed of an absorbent material having different absorption rates.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having a partition in a hollow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ird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passes through a longitudinal body of the elongated unitary tubular body 100 and the body 10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the partition wall 120 provides a recoiling force that can be maintained without collapsing by the pressure of the skin or external pressure after insertion into the subcutaneous layer, thereby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main body.
  • the partition wall 120 may be formed to completely divide the hollow part 110 of the main body or to fill only a partial cross section of the hollow part 110.
  • the partition wall 1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100.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provided with a spiral elastic support in the hollow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passes through a longitudinal body of the elongated unitary tubular body 100 and the main body 100. It includes a longitudinal cleft (200) formed and a spiral elastic support 130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110 inside the body.
  • the helical elastic support 130 can be restored itself by its own restoring force even if the skin or the external pressure received after insertion into the subcutaneous layer from the hollow portion 110, which is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s applied again. (recoiling force) can be reinforced.
  • the helical elastic support 13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100. As such, when the spiral elastic support 13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spiral elastic support 130 may support the main body by buffer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ain body.
  • the spiral elastic support 13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100.
  • the spiral elastic support 130 when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in a curved form, the spiral structure can be densified or elongat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To facilitate application to curved areas.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by intertwining two or more strip-shaped powders of multiple ro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rows of powders 102 and 104 formed of two or more bands are wound in a spiral shape to cross each other. It includes a tubular body 100 and a longitudinal cleft 200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 the fif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otherwise may have a hexagonal cross section) and wrinkles along the surface of the elongated core material 160 having a diameter of the desired hollow portion.
  • a method of forming two or more strip-shaped powders 102 and 104 having a set width made of a material forming the main body 100 of the filler 10 intertwined and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the method of forming bamboo shoots with bamboo trunks and After the spiral wound to form the elongated tubular body 100 in a similar manner), the core member 160 is removed to form the hollow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powders 102 and 104.
  • gaps including gaps formed at points where powder rows intersect
  • between the plurality of rows of powders 102 and 104 may form the through holes 310.
  • the filler 10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using two rows of powders 102 and 104, that is, a first powder 102 and a second powder 104.
  • the method of forming the embodiment is illustrated,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longated tubular body 100 may be formed by spirally winding the belt-shaped multiple rows of powder in an intertwined manner. something to do.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fiber structure (T) is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 One end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ply inserted into a needle for a plastic surgery, or connected to the tip of a needle in a conventional manner, or by inserting a needle for vascular injection into the tube.
  • the hollow portion 110 of the filler 10 for wrinkle removal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is filled with blood, erythrocytes, leukocytes, platelets, fibroblasts, myofibroblasts, fibroblasts 3 to 5 days after the procedure, Myofibroblasts peak in 5 to 15 days. Since collagen is formed in the fibroblasts and remains as a fibrous tissue (T), the fibrous tissue (T) exhibits the effect of coming out of the wrinkles or the dent site.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wrinkle removing filler interconnected by a plurality of short main body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cedure is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 the six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has a short and thin tubular body 100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reache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the cells can be smoothly moved in the entire wrinkle removing filler connected through a column formed in each body, so that the fiber tissue can be uniformly and quickly. It can be formed.
  • the plurality of short bodie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body 140.
  • the wrinkle removing filler 10 is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in a curved form, as shown in FIG. 8, respectively.
  • the segment of each segment forming the curve can be inserted more easily, and after the insertion, the main body can be naturally bent after insertion to reduce the influence of pressure on the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skin or the outside. do.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wrinkle removing filler formed in the elastic protrusions deflected in one direction on the body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procedure during the insertion into the subcutaneous layer
  • Figure 11 is an elastic protrusion caught in the fibrous tissue (T) after the procedure of inserting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subcutaneous layer is completed
  • T fibrous tissue
  •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passes through a longitudinal body of the elongated unitary tubular body 10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 the elastic protrusion 15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deflect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be more stably fixed to the peripheral tissue of the inserted subcutaneous layer. .
  •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wrinkle removing filler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elastic protrusions in the subcutaneous layer during insertion of the wrinkle removing filler 10 into the subcutaneous layer.
  • the 150 is folded (a state in which an elastic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 a processing groove in which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formed to process the elastic protrusion) is maintained, smooth insertion is possible, as shown in FIG. 11.
  • the elastic protrusion 150 is deflected from the main body 100 in one direction due to its elasticity, thereby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see FIG. 9).
  • the elastic protrusion 150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is caught by the surrounding tissue T, thereby preventing the wrinkle removing filler 10 from retreating backward in the subcutaneous layer, there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on the subcutaneous layer.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rotrusions of the decal commani form symmetrical around the middle of the body.
  • an eigh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is formed through a tubular body 100 having an elongated, one-piece structure, and penetr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 Longitudinal cleft (200) formed and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surfac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n elastic protrusion 150 formed to have acute angles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a decal commani form around the middle of the main body It is configured by.
  • the elastic protrusions 150 are formed in a decal commani form so as to be symmetric about the middle of the main body, which is a long tube, and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t an acute angle about the middle.
  • the direction of the elastic protrusion 150 when passing in the advancing direction, has a forward direction of the front part of the entrance part in the subcutaneous subcutaneous fat layer of the main body 100, but after the progression, the main body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allow the forward elasticity of this forward direction. This will cause the protrusion to turn in the reverse direction.
  • the elastic protrusion 150 which was made in the opposite direction about the middle part, initially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raveling direction. Will stop.
  • the main body 100 can be fixed by repeating 1-2 times back and forth around the advancing direction after insertion into the dermal fat layer that is easy to enter. That is, the elastic protrusions 150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about the middle por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fixing the main body 100.
  • This form can be used where the purpose of lifting and lifting the striking tissue and the more secure fixation of the inserted body.
  • the tissue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and the tissue outside the main body are bundled into a single linking body, the lifting effect can be more reliably obtained.
  •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inth embodiment of the wrinkle removing filler formed with the separation column and the elastic proj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4 is a ninth embodiment of the wrinkle removing fi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ubcutaneous layer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cedure is being inserted
  • Fig. 15 shows a state in which an elastic protrusion is caught in the fibrous tissue T after the procedure of inserting the ni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subcutaneous layer is completed. It is a cross section.
  • the ni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is placed in an elongated, one-piece tubular body 100 and surrounding tissues of the body 100.
  • Separation column 210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n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short gaps forming the movement passage of the cells capable of moving to the inside of the body 100 to form a fibrous tissu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protrusion 150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surfac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elastic protrusion 150 is formed to protrude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deflect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s described above in the seventh embodiment.
  • the elastic protrusions in the subcutaneous layer during insertion of the wrinkle removing filler 10 into the subcutaneous layer are soft insertion.
  • Soft insertion is possible by maintaining the folded state of 150, and as shown in FIG. 15, the elastic protrusion 150 is elastic when the procedure for inserting the filler 10 for removing wrinkles into the subcutaneous layer is completed. Due to this, the main body 100 is deflected in one direction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 the elastic protrusion 150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is caught by the surrounding tissue T so that the filler 10 for removing wrinkles can be prevented from retreating back in the subcutaneous layer, there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on the subcutaneous layer.
  • the filler 10 for removing wrinkles can be prevented from retreating back in the subcutaneous layer, there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on the subcutaneous layer.
  •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h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both vertical and through hol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is an elongated, one-piece tubular body 100 and cells lying in the surrounding tissues of the body. Longitudinal cleft (200) penetr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form a moving passage of the cells capable of moving to form a fibrous tissue, and at least one formed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main body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through hole 300.
  • the column 200 is also introduced into the hollow portion 110 of the inner space of the fibroblasts of the surrounding tissue, such as a passage for newly forming a fibrous tissue, such as elastic fibers and collagen tissue Will form.
  • a fibrous tissue such as elastic fibers and collagen tissue Will form.
  •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300 may be any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square, an octagon, a trapezoid, a rhombus,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00 may be regularly or irregularly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Can be.
  • the through hole 30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diameter in the case of a circular shape, and in the case of other shapes having a circular equivalent diameter of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of 40 to 500 ⁇ m, the diameter is too large This is not desirable because it loses support for surrounding tissues.
  •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colum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the separation column and the aper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is an elongated, one-piece tubular body 100 which can be operated through a subcutaneous layer, and Separation column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short gaps that form the movement passage of the cells that can mov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o form a fibrous tissue to move into the main body 1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210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300 formed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separation column 21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paration column 210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rough hole 300 is also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tenth embodimen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is Omit.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welfth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a column, a partition, and a through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passes through the elongated, one-piece tubular body 10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It includes a longitudinal cleft (200) forme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20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110 inside the body, and at least one through-hole 300 formed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body do.
  • the partition wall 120 is to provide a recoiling force that can support the body after insertion into the subcutaneous layer to maintain the hollow portion, as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through hole 300 It is formed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body it is possible to form a more uniform and smooth fiber structure.
  •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irteenth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a vertical column, a spiral elastic support, and a through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penetr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of the tubular body 100 having an elongated body shape. It comprises a longitudinal cleft (200) formed, a spiral elastic support 130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110 inside the body, and at least one through-hole 300 formed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body do.
  • the helical elastic support 130 is a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through hole 300 is formed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form a more uniform and smooth fiber structure, of course,
  • the description of the through hole 300 is as described in the tenth embodimen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urteenth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in which a plurality of short bodies having a plurality of columns and holes formed toge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rconnected by a connecting body.
  • the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is a short and thin tubular body 100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each of the plurality of short bodies forms a node of each segment which forms a curve, and thus the insertion is more easily performed.
  • the through hole 300 is as described in the tenth embodimen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eenth embodiment of a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a column and an elastic protrusion and a through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fifte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passes through a longitudinal body of the elongated unitary tubular body 100 and the main body 100.
  • the seventh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the elastic protrusion 150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deflect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more stably fixed to the peripheral tissue of the inserted subcutaneous layer.
  •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having the elastic protrusion 150 formed in the subcutaneous layer is also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seventh embodiment, and thus duplic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through hole 300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tenth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 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e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formed with the separation column, the elastic projection and the through-ho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xteenth embodiment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is placed in an elongated, one-piece tubular body 100 and surrounding tissues of the body 100.
  • Separation column 210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n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short gaps forming the movement passage of the cells capable of moving to the inside of the body 100 to form a fibrous tissu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comprises an elastic protrusion 150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surfac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300 formed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elastic protrusion 15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deflect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s described above in the seventh embodiment, It is caught by the tissue and maintains a stable bonding state.
  • the through hole 300 is as described in the tenth embodimen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 the main body 100 is formed by applying or containing a contrast agent partially or entirely on the outside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track the location or degree of decomposition.
  • a growth factor for promoting the formation of the fibrous tissue is co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or embedded in the main body 100. Can be configured.
  • the growth factors include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angiogenesis factor (AGF),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transforming growth factor- ⁇ (TGF- ⁇ ),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 (TGF- ⁇ ).
  • PDG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 AGF angiogenesis factor
  • FGF fibroblast growth factor
  • 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 ⁇
  • 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 ⁇
  • 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 ⁇
  • the wrinkle removing filler 10 is Since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an elongated tubular shape by winding a plurality of rows of powders 102 and 104 formed of two or more strips in a spiral shape, the main body 100 is formed between the powders 102 and 104 in the main body 100.
  • the through hole 300 penetrating through the 104 is formed. Therefore, the through hole 300 is formed i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powders 102 and 104 are disposed, so that the fiber tissue can be regenerated at a more uniform speed throughout the main body.
  • the main body 100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may be formed with recesses 17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 This recessed portion 170 reinforces the bearing force of the main body 100.
  • FIG. 24 which is a strength comparison test graph,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having a diameter of 1.0 mm and a diameter of 0.6 mm, the recessed portion ( In the case where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170), a diameter of 1.0 mm maintains its shape even when a pressure of about 40 gf / cm 2 is applied, but in the case where the recess 170 is not formed, a pressure of about 10 gf / cm 2 If greater pressure is appli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not maintaining its shape.
  • the concave portion 170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0.
  • the concave portion 17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but when the main body 100 is made of a polymer, it is easier to process the shrinkage through heat treatment, and the powders 102 and 104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ed in FIG. 23.
  • a suture may be used as described above, or a separate member may be used. In the case of using a suture, a suture made of a biodegradable polymer and a suture made of a non-biodegradable polymer may be mixed and used.
  • Wrinkle removing filler 10 is a needle of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s. 25 (a), 25 (b) and (c) which is a state of being combined with the wrinkle removing filler and the needle After passing through one end of the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10)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1) and using a separate fixture (3), such as a sponge for wrinkle removal filling penetrating the needle (1) One end of the whole 10 is bent and used to couple to and fix the needle 1.
  • the body (100) or the powder (102, 104) constituting the body 100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applied, coated or adsorbed to a tissue generating material such as retenol (retinoic acid), retinol derivatives, vitamin A, etc.
  • a tissue generating material such as retenol (retinoic acid), retinol derivatives, vitamin A, etc.
  • a substance for promoting an inflammatory reaction such as a catgut seal material, a tissue-producing agent or substance such as platelet rich plasma (PRP), or a tissue-generating inhibitor or substance or anti-inflammatory agent for reducing excessive tissue formation ( Tissue inhibitors such as anti-inflammatory agents can be applied, coated or adsorb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하층을 관통하여 시술될 수 있는 가늘고 긴 관 형상의 본체와; 그리고 상기 본체의 주변 조직의 세포가 본체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열공을 포함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는 피하층에 삽입 후 피부의 압력이나 외부 힘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거나 움직이지 않고, 굵은 주름 등 다양한 주름 부위에 시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과가 (반)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름제거용 충전체
본 발명은 주름제거용 충전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 시술에 의해 주름 부위의 피하층에 삽입되어 새로운 섬유조직의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주름을 제거하는 충전체를 형성함에 있어, 탄성이 잘 유지되는 속이 비어있는 긴 관(튜브)의 일 측면에 장축방향으로 긴 틈 또는 통공이 형성되어 섬유조직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아세포, 혈소판 ,거식세포, 백혈구, 적혈구 등이 들어올 수 있는 통로를 충전체 전체에 형성할 수 있게 한 주름제거용 충전체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나이가 들수록 얼굴이나 신체의 피부 표면에 주름이 생기게 되는데, 주름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근육이 수축하는 것과, 이외에 피부와 지방층이 중력에 의해 쳐지는 것이 주요원인이 된다. 주름은 근육의 수축방향에 직각으로 만들어지며 나이가 들수록 깊어지게 된다.
주름을 제거하는 방법의 하나로, 주름의 원인을 제공하는 근육을 보톡스로 마비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부자연스러운 표정이 만들어지며 눈밑이나 아랫입술, 팔자주름 등에 사용하기가 어렵고 굵거나 깊은 주름에는 한계가 있으며 효과가 3-6개월밖에 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 들어간 부위를 나오게 하는 필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액체 필러는 주입하기는 편리하나, 피부에 주입 후 근육이 움직일 때마다 근육이 수축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일어나서 들어간 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들어가 보이는 현상, 즉 원래의 목적과 배치되는 현상을 가져오게 되며 일정기간(최대 1-2년 정도)이 지나면 분해 흡수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매우 가는 금실을 피하층에 삽입하는 방법이 있는데 금실은 이물반응을 일으켜 새로운 조직이 금실 주위에 만들어지는 효과를 가져오나, 굵은 주름에 사용하는데 제한적이며 삽입된 금실이 외부 힘에 의해 휘어지거나 피부 밖으로 돌출될 위험이 있고 영구적으로 남아 X선, CT, MRI 등의 촬영시 간섭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진단에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 절개 수술과 같은 방법에 의하지 않고 피하층에 삽입된 이후에도 근육의 수축과 상관없이 이동하지 않는 주름제거용 충전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하층에 삽입된 후 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틈인 종렬 또는 통공을 통하여 시술부위인 긴 관의 전체 영역에서 새로운 콜라겐섬유를 포함한 섬유조직이 형성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신속하고 치밀한 섬유조직의 형성이 가능하게 하며, 시간 경과에 따라서 충전체 자체가 분해 흡수되더라도 새로 형성된 섬유조직이 유지됨으로써 시술의 효과가 (반)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게 한 주름제거용 충전체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굵은 주름 등 다양한 주름 부위에 사용될 수 있고, 외부 힘에 대해 반동력(recoiling force)을 갖는 탄성 지지체를 더 구비하여 피하층에 삽입된 후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외부 힘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주름제거용 충전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름제거용 충전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하층을 관통하여 시술될 수 있는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하층을 관통하여 시술될 수 있는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짧은 틈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분리종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는, 2 이상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열의 분체를 상호 교차시켜 나선형으로 감아서 가늘고 긴 관 형상을 이루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짧고 가는 관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에 이르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 및 상기 중공부 상호간이 인접하도록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짧은 본체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들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 및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그 표면 일부를 절개 가공하여 형성된 탄성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는,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 및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그 표면 일부를 절개 가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데칼코마니 형태를 이루어 상호 대칭되는 예각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짧은 틈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분리종렬; 및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그 표면 일부를 절개 가공하여 형성된 탄성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는, 2 이상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열의 분체를 상호 교차시켜 나선형으로 감아서 가늘고 긴 관 형상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공은 상기 분체와 분체 사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 내부의 중공부내에 형성된 다수의 격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 내부의 중공부내에 형성된 나선형 탄성 지지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에는 상호 이격된 오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목부는 상기 본체를 수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횡단면이 다각형 형상 또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0.6 내지 3.0 mm의 직경을 갖으며, 상기 중공부는 0.5 내지 2.8 m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렬은 틈새간 거리가 0.1 내지 2.0mm로 형성되거나, 본체 단면의 원형환산 둘레길이의 1/8 ~ 1/4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전체면에 걸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공은 그 형상이 원형의 경우에는 직경 또는 동일 단면적의 원형 환산 직경이 40 내지 5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 외부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조영제를 도포하거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섬유조직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성장인자가 코팅되거나 내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는 반동력(recoiling force)을 가지므로 피하층에 삽입 후 피부의 압력이나 외부 힘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종열 또는 통공을 통하여 본체 내부의 중공부에 다량의 새로운 콜라겐섬유를 포함한 섬유조직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주름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주름제거용 충전체를 형성하는 본체의 직경과 중공부의 직경, 통공의 직경 등을 조절하여 굵은 주름을 포함하여 다양한 주름 부위에 시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 형성된 섬유조직이 유지되어 주름 제거의 효과가 (반)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렬이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분리종렬이 이격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중공부 내에 격벽이 구비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중공부 내에 나선형 탄성 지지체가 구비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2 이상의 띠 형상의 다수열의 분체를 상호 얽혀서 교차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피하층에 삽입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중공부에 섬유조직(T)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종렬이 형성된 다수의 짧은 본체가 연결체에 의해 상호 연결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6실시예를 피하층에 삽입하여 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본체 표면에 일 방향으로 편향된 탄성 돌기가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7실시예를 피하층에 삽입하는 도중의 시술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7실시예를 피하층에 삽입하는 시술이 완료된 후 탄성돌기가 섬유조직(T)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다라 본체 표면에 본체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대칭된 데칼코마니 형태의 탄성 돌기가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분리종렬과 탄성 돌기가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9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9실시예를 피하층에 삽입하는 도중의 시술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9실시예를 피하층에 삽입하는 시술이 완료된 후 탄성돌기가 섬유조직(T)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종렬과 통공이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분리종렬과 통공이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종렬과 격벽 및 통공이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종렬과 나선형 탄성 지지체 및 통공이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종렬과 통공이 함께 형성된 다수의 짧은 본체가 연결체에 의해 상호 연결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종렬과 탄성돌기 및 통공이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 분리종렬과 탄성돌기 및 통공이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 2 이상의 띠 형상의 다수열의 분체를 상호 얽혀서 교차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7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7실시예에 따른 강도 비교실험 그래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와 바늘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하층을 관통하여 시술될 수 있는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렬이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1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하층을 관통하여 시술될 수 있는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100)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인 중공부(110)는 세포가 이동하여 와서 섬유조직을 형성하게 되는 공간을 이루며, 상기 종렬(200)을 통해 본체 외부 조직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종렬(200)은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틈을 지칭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렬(200)이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본체 전체에서 균일한 속도로 섬유조직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분리종렬이 이격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2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하층을 관통하여 시술될 수 있는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100)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짧은 틈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분리종렬(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리종렬(210)은 세포가 본체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짧은 틈이 일정 거리씩 이격된 상태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종렬(20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예를 들면,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일 수 있으며, 바늘(예: 성형수술용 바늘)에 꿰거나 정맥주사용 주사침을 관내에 삽입하여 피하층을 관통하는 바늘을 따라서 피하층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원형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직경은 피하층에 삽입 시술되기 용이하고, 삽입 시술될 때에 피하지방층과 진피층 사이 또는 지방층에 위치되도록 0.6 내지 3.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길이는 시술 범위에 따라 충분한 길이가 되면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인 중공부(110)는 주변 조직의 섬유아세포 등이 상기 종열(200)을 통해 유입되어서 탄성섬유조직 및 콜라겐조직과 같은 섬유조직이 새로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공부(110)의 직경이 커지면 새로이 형성되는 섬유조직의 양이 많아지고 상기 중공부(110)의 직경이 작아지면 새로이 형성되는 섬유조직의 양이 적어지므로, 주름의 깊이, 위치 등에 따라 상기 중공부(110)의 직경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0.5 내지 2.8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렬(200)은 상기 중공부(110)로 섬유아세포 등이 들어올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팔각형, 사다리꼴, 마름모형 등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종렬(200)은 틈새간 거리가 0.1 내지 2.0mm 또는 단면의 원형환산 둘레길이의 1/8~1/4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직경이 너무 큰 경우에는 주변 조직에 대한 지지력을 상실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본체(100)는 탄성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코-락틱산(polyglyco-lactic acid: PGLA) 및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S)과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나일론, 실리콘,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에틸렌 및 테프론(teflon)과 같은 비생분해성 고분자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섬유조직의 형성 후 주름제거용 충전체가 서서히 분해 흡수되고, 비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주름제거용 충전체가 피하층에 영구적으로 남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내피와 외피가 물성이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된 이중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피는 경성 재질로, 외피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내피는 흡수성 재질로, 상기 외피는 비흡수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내피와 외피가 서로 다른 흡수속도를 가지는 흡수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중공부 내에 격벽이 구비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3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200)과, 상기 본체 내부의 중공부(110)내에 형성된 다수의 격벽(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격벽(120)은 피하층에 삽입 후 피부의 압력 또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붕괴(collapse)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반동력(recoiling force)을 제공하여, 상기 본체의 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
상기 격벽(120)은 상기 본체의 중공부(110)를 완전 분할하거나 중공부(110)의 일부 단면만 채워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120)은 상기 본체(1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중공부 내에 나선형 탄성 지지체가 구비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4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200)과, 상기 본체 내부의 중공부(110)내에 형성된 나선형 탄성 지지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나선형 탄성 지지체(130)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인 중공부(110)에서 피하층에 삽입 후 받게 되는 피부나 외부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자체적인 복원력에 의해 다시 스스로 복원될 수 있어 본체의 반동력(recoiling force)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나선형 탄성 지지체(130)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나선형 탄성 지지체(130)가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경우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게 되어 본체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나선형 탄성 지지체(130)는 상기 본체(1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나선형 탄성 지지체(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동력을 보강하는 역할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가 피하층에 곡선 형태로 삽입되는 경우 나선형 구조가 곡률에 따라 촘촘해지거나 늘어날 수 있게 되어 곡선 부위에의 적용을 용이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2 이상의 띠 형상의 다수열의 분체를 상호 얽혀서 교차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5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열의 분체(102, 104)를 상호 교차시켜 나선형으로 감아서 가늘고 긴 관 형상을 이루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5실시예는 예컨대 원형 단면(이와 달리 6각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음)을 가지고 원하는 중공부의 직경을 가진 길이가 긴 심재(160)의 표면을 따라서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본체(100)를 형성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설정 폭을 가진 2 이상의 띠 형상의 다수열의 분체(102, 104)를 상호 얽혀서 교차하는 방식(대나무 줄기로 죽부인을 성형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나선형으로 감아서 가늘고 긴 관 형상의 본체(100)를 형성한 후에, 상기 심재(160)를 제거하여 상기 분체(102, 104)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열의 분체(102, 104)들 사이의 틈새(분체 열이 교차하는 지점 등에 형성되는 틈새를 포함)들이 통공(310)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는 달리, 별도의 심재를 사용하지 않고서 다수열의 분체(102, 104)를 상호 얽혀서 교차하는 방식으로 나선형으로 감아서 가늘고 긴 관 형상의 본체(100)를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2열의 분체(102, 104), 즉 제1 분체(102)와 제2 분체(104)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이 제5실시예를 성형하는 방법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띠 형상의 다수열의 분체를 상호 얽혀서 교차하는 방식으로 나선형으로 감아서 가늘고 긴 관 형상의 본체(10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당연할 것이다.
도 6은 피하층에 삽입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중공부에 섬유조직(T)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로 주름을 제거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한쪽 말단을 성형수술용 바늘에 꿰거나 바늘 끝에 통상의 방법으로 연결하거나 혈관 주사용 주사침을 관내부에 삽입하여 간단하게 시술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시술하고자 하는 주름 부위를 마크하고 마취 연고를 바른 다음, 바늘을 마킹한 부위의 한쪽 끝에서 피하층, 특히 피하지방층과 진피층 사이 또는 지방층에 삽입하고 다른 끝으로 빼내어 주름제거용 충전체가 마킹한 부위에 걸치게 한 후, 피부(S) 밖으로 나온 부위를 자른다.
그러면, 피하층에 삽입된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중공부(110)에 혈액,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섬유아세포, 근섬유아세포 등이 채워지는데, 섬유아세포는 시술 후 3 내지 5일에, 근섬유아세포는 5 내지 15일에 최대량이 된다. 이후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이 형성되고 섬유조직(T)으로 남게 되며, 이러한 섬유조직(T)이 주름으로 들어간 부위나 패인 부위를 나오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종렬이 형성된 다수의 짧은 본체가 연결체에 의해 상호 연결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6실시예를 피하층에 삽입하여 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6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짧고 가는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에 이르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200)과, 상기 중공부 상호간이 인접하도록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짧은 본체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들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처럼 다수의 짧은 본체들을 연결체에 의해 연결하여 구성할 경우에도 각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종렬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전체에서 세포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균일하고 신속하게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체(140)에 의해 다수의 짧은 본체(100)들이 상호 연결된 주름제거용 충전체(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하층에 곡선 형태로 삽입될 경우 다수의 짧은 본체들 각각이 곡선을 형성하는 각 분절의 마디를 형성하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 후에도 각 본체들이 꺾인 상태를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피부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압력의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본체 표면에 일 방향으로 편향된 탄성 돌기가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7실시예를 피하층에 삽입하는 도중의 시술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7실시예를 피하층에 삽입하는 시술이 완료된 후 탄성돌기가 섬유조직(T)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7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200)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그 표면 일부를 절개 가공하여 형성된 탄성 돌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돌기(150)는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본체의 외주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된 피하층의 주변조직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7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제거용 충전체(10)를 피하층에 삽입하는 도중에는 피하층 내에서 상기 탄성 돌기(150)가 접힌 상태(탄성 돌기를 가공하도록 외주부 표면 일부가 파여져 형성되는 가공홈에 탄성 돌기가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여 부드러운 삽입이 가능하게 되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제거용 충전체(10)를 피하층에 삽입하는 시술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돌기(150)가 그 탄성으로 인하여 본체(100)로부터 일 방향으로 편향되어서 돌출된 원래 상태(도 9 참조)로 복귀하게 된다.
이처럼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 탄성 돌기(150)가 주변의 조직(T)에 걸려서 주름제거용 충전체(10)가 피하층 내에서 뒤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하층에 대한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본체 표면에 본체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대칭된 데칼코마니 형태의 탄성 돌기가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8실시예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200)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그 표면 일부를 절개 가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데칼코마니 형태를 이루어 상호 대칭되는 예각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 돌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 돌기(150)가 긴 튜브인 본체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데칼코마니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중간부를 중심으로 각도가 예각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진행방향으로 통과할 때는 탄성 돌기(150)의 방향이 상기 본체(100)가 진피하 피하지방층에서 진입부의 앞부분이 순방향을 가지게 되지만, 진행 후에는 본체를 반대방향으로 당겨서 이 순방향의 탄성돌기가 역방향으로 돌아서게 만들게 된다.
반면에 중간부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만들어져 있던 탄성 돌기(150)는 처음에는 진행방향에 역방향으로 작용하지만, 나중에 본체를 처음과 반대방향으로 당길 때에 오히려 순방향이 되지만 전반부의 탄성돌기들은 역방향으로 펼쳐져 진행을 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를 진입이 쉬운 진피지방층에 삽입후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전후로 1-2회 반복함으로써 본체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중간부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탄성 돌기(150)들은 본체(100)를 고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쳐진 조직을 끌어올려 고정(lifting)하는 목적과 삽입된 본체의 보다 확실한 고정을 요하는 곳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중공부에 형성된 조직과 본체외부의 조직이 하나의 연결체로 묶어짐으로써 고정(lifting)이 더욱 확실해 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분리종렬과 탄성 돌기가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9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9실시예를 피하층에 삽입하는 도중의 시술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9실시예를 피하층에 삽입하는 시술이 완료된 후 탄성돌기가 섬유조직(T)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9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100)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짧은 틈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분리종렬(210)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그 표면 일부를 절개 가공하여 형성된 탄성 돌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돌기(150)는 상기 제7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본체의 외주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9실시예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제거용 충전체(10)를 피하층에 삽입하는 도중에는 피하층 내에서 상기 탄성 돌기(15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여 부드러운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제거용 충전체(10)를 피하층에 삽입하는 시술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돌기(150)가 그 탄성으로 인하여 본체(100)로부터 일 방향으로 편향되어서 돌출된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처럼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 탄성 돌기(150)가 주변의 조직(T)에 걸려서 주름제거용 충전체(10)가 피하층 내에서 뒤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하층에 대한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됨은 상술한 제7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종렬과 통공이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10실시예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200)과, 상기 본체의 전체면에 걸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종렬(200)뿐만 아니라 상기 통공(300)도 주변 조직의 섬유아세포 등이 본체 내부 공간인 중공부(110)로 유입되어서 탄성섬유조직 및 콜라겐조직과 같은 섬유조직을 새로이 형성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통공(300)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팔각형, 사다리꼴, 마름모형 등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며, 다수의 통공(300)이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통공(300)은 그 형상이 원형의 경우에는 직경이, 그리고 다른 형상의 경우에는 동일 단면적의 원형 환산 직경이 40 내지 500 ㎛의 범위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직경이 너무 큰 경우에는 주변 조직에 대한 지지력을 상실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상기 본체와 종렬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이하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분리종렬과 통공이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11실시예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하층을 관통하여 시술될 수 있는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100)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짧은 틈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분리종렬(210)과, 상기 본체의 전체면에 걸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리종렬(210)은 상기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분리종렬(210)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통공(300) 역시 상기 제10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는바, 그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종렬과 격벽 및 통공이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12실시예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200)과, 상기 본체 내부의 중공부(110)내에 형성된 다수의 격벽(120)과, 상기 본체의 전체면에 걸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격벽(120)은 피하층에 삽입 후 본체를 지지하여 내부의 중공부를 유지할 수 있는 반동력(recoiling force)을 제공하는 것으로서,상기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상기 통공(300)이 본체의 전체면에 걸쳐 관통 형성되어 보다 균일하고 원활한 섬유조직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종렬과 나선형 탄성 지지체 및 통공이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13실시예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200)과, 상기 본체 내부의 중공부(110)내에 형성된 나선형 탄성 지지체(130)와, 상기 본체의 전체면에 걸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나선형 탄성 지지체(130)는 상기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상기 통공(300)이 본체의 전체면에 걸쳐 관통 형성되어 보다 균일하고 원활한 섬유조직의 형성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며, 상기 통공(300)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0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바 이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종렬과 통공이 함께 형성된 다수의 짧은 본체가 연결체에 의해 상호 연결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14실시예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짧고 가는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에 이르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200)과, 상기 중공부 상호간이 인접하도록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짧은 본체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들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체(140)와, 상기 본체의 전체면에 걸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다수의 짧은 본체들을 연결체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피하층에 곡선 형태로 삽입될 경우 다수의 짧은 본체들 각각이 곡선을 형성하는 각 분절의 마디를 형성하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삽입 후에도 각 본체들이 꺾인 상태를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피부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압력의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됨은 상기 제6실시예와 같다. 또한, 상기 통공(300)은 상기 제10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바 이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종렬과 탄성돌기 및 통공이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15실시예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200)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그 표면 일부를 절개 가공하여 형성된 탄성 돌기(150)와, 상기 본체의 전체면에 걸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돌기(150)는 삽입된 피하층의 주변조직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본체의 외주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은 상기 제7실시예와 동일하다. 그에 따라, 상기 탄성 돌기(150)가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를 피하층에 삽입한는 과정 역시 상기 제7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바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통공(300)은 상기 제10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바 이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 분리종렬과 탄성돌기 및 통공이 함께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제16실시예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100)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짧은 틈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분리종렬(210)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그 표면 일부를 절개 가공하여 형성된 탄성 돌기(150)와, 상기 본체의 전체면에 걸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돌기(150)는 상기 제7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본체의 외주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피하층 삽입시 주변 조직에 걸려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공(300)은 상기 제10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바 이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 내지 제16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는 그 외부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조영제를 도포하거나 포함된 형태로 구성되어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위치 추적이나 분해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 내지 제16실시예에서는 섬유조직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성장인자가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코팅되거나 상기 본체(100)에 내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장인자로는 PDG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AGF(angiogenesis factor), FGF(fibroblast growth factor), TGF-α(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EGF(epidermal growth factor), CTGF(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2 이상의 띠 형상의 다수열의 분체를 상호 얽혀서 교차 형성된 주름제거용 충전체의 제17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인 도 23을 참조하면, 주름제거용 충전체(10)는 2 이상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열의 분체(102, 104)를 상호 교차시켜 나선형으로 감아서 가늘고 긴 관 형상으로 본체(100)를 형성하므로 본체(100)에는 분체(102, 104) 사이에 본체(102, 104)를 관통하는 통공(300)이 형성된다. 따라서 통공(300)은 본체(100)에서 분체(102, 104)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므로, 본체 전체에서 보다 균일한 속도로 섬유조직이 재생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본체(100)에는 도 23과 같이 상호 이격된 오목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170)는 본체(10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으로 강도 비교실험 그래프인 도 24를 참조하면, 직경이 1.0 ㎜와 직경이 0.6 ㎜인 본체의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는 경우, 오목부(170)가 형성된 본체의 경우 직경이 1.0 ㎜인 경우 약 40 gf/㎠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그 형상을 유지하나, 오목부(170)가 형성되지 않은 본체의 경우 약 10 gf/㎠ 의 압력보다 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그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직경이 0.6 ㎜인 경우 오목부(170)가 형성된 경우 약 25 gf/㎠의 압력에서 형상을 유지하나, 오목부(17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약 15 gf/㎠ 까지만 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에는 오목부(170)가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목부(170)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체(100)가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처리를 통하여 수축시켜 형성하는 것이 공정상 보다 용이하며, 앞에서 설명한 분체(102, 104)는 도 23과 같이 봉합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봉합사를 이용하는 경우,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봉합사와, 비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봉합사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17실시예에 따른 주름제거용 충전체(10)는 주름제거용 충전체와 바늘과 결합된 상태의 개녕도인 도 25의 (a), (b) 및 (c)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바늘(1)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일단을 관통시킨 뒤 스펀지와 같은 별도의 고정구(3)를 이용하여 바늘(1)을 관통한 주름제거용 충전체(10)의 일단을 절곡시켜 바늘(1)에 결합시켜 고정하여 사용한다.
아울러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체(100) 또는 본체(100)를 구성하는 분체(102, 104)에는 레테놀(retinoic acid), 레티놀 유도체, 비타민A 등과 같은 조직생성 물질을 도포,코팅 또는 흡착시킬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catgut 실 재료 등과 같은 염증반응 유발을 촉진하는 물질, PRP(platelet rich plasma) 등과 같은 조직생성촉진 약제나 물질, 과도한 조직생성을 줄이기 위한 조직생성억제 약제 또는 물질 또는 소염제(anti-inflammatory agent)와 같은 조직생성저해제을 도포, 코팅 또는 흡착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목적으로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1)

  1.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하층을 관통하여 시술될 수 있는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2.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하층을 관통하여 시술될 수 있는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짧은 틈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분리종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3. 2 이상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열의 분체를 상호 교차시켜 나선형으로 감아서 가늘고 긴 관 형상을 이루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4.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짧고 가는 관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에 이르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 및
    상기 중공부 상호간이 인접하도록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짧은 본체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들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5.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 및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그 표면 일부를 절개 가공하여 형성된 탄성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6.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종렬(longitudinal cleft); 및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그 표면 일부를 절개 가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데칼코마니 형태를 이루어 상호 대칭되는 예각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7.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가늘고 긴 일체형의 관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주변 조직에 놓여 있는 세포가 본체 내부로 이동하여 섬유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짧은 틈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분리종렬; 및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그 표면 일부를 절개 가공하여 형성된 탄성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8. 2 이상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열의 분체를 상호 교차시켜 나선형으로 감아서 가늘고 긴 관 형상을 이루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공은 상기 분체와 분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중공부내에 형성된 다수의 격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중공부내에 형성된 나선형 탄성 지지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부를 감싸는 나선형 탄성 지지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호 이격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본체를 수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횡단면이 원형이고 0.6 내지 3.0 mm의 직경을 갖으며, 상기 중공부는 0.5 내지 2.8 m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횡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16.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렬은 틈새간 거리가 0.1 내지 2.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17.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렬은 틈새간 거리가 본체 단면의 원형환산 둘레길이의 1/8 ~ 1/4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18.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코-락틱산(polyglyco-lactic acid: PGLA) 또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분해성 고분자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나일론, 실리콘,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에틸렌 또는 테프론(teflo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생분해성 고분자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피와 외피가 물성이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된 이중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경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외피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외피는 비흡수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와 외피는 서로 다른 흡수속도를 가지는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25. 통공이 기 형성된 신규실시예(제8항) 불포함하도록 인용항 정리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체면에 걸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그 형상이 원형의 경우에는 직경 또는 동일 단면적의 원형 환산 직경이 40 내지 5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27.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부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조영제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28.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섬유조직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성장인자가 코팅되거나 내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부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조영제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섬유조직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성장인자가 코팅되거나 내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체.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조직생성 물질, 염증반응 유발 촉진 물질, 조식생성억제 물질 또는 조식생성저해제 중 어느 하나를 코팅, 도포 또는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제거용 충전제.
PCT/KR2013/004168 2012-05-10 2013-05-10 주름제거용 충전체 WO201316907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7034744A KR101696253B1 (ko) 2013-05-10 2013-05-10 주름제거용 충전제
BR112014028100A BR112014028100A2 (pt) 2012-05-10 2013-05-10 preenchimento para remover rugas
US14/399,645 US20150119985A1 (en) 2012-05-10 2013-05-10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IN10035DEN2014 IN2014DN10035A (ko) 2012-05-10 2013-05-10
EP13788363.3A EP2848231A4 (en) 2012-05-10 2013-05-10 LOAD FOR REMOVING WRINKLES
SG11201407178SA SG11201407178SA (en) 2012-05-10 2013-05-10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JP2015511377A JP2015522307A (ja) 2012-05-10 2013-05-10 シワ除去用充填体
CN201380037230.9A CN104717938B (zh) 2012-05-10 2013-05-10 用于去除皱纹的填充物
RU2014148529A RU2014148529A (ru) 2012-05-10 2013-05-10 Наполнитель для устранения морщин
CA2873025A CA2873025A1 (en) 2012-05-10 2013-05-10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HK15108164.6A HK1207555A1 (en) 2012-05-10 2015-08-24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US15/371,660 US20170079764A1 (en) 2012-05-10 2016-12-07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9953A KR101362446B1 (ko) 2012-05-10 2012-05-10 주름제거용 충전체
KR10-2012-0049953 2012-05-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399,645 A-371-Of-International US20150119985A1 (en) 2012-05-10 2013-05-10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US15/371,660 Division US20170079764A1 (en) 2012-05-10 2016-12-07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9075A1 true WO2013169075A1 (ko) 2013-11-14

Family

ID=4955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4168 WO2013169075A1 (ko) 2012-05-10 2013-05-10 주름제거용 충전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20150119985A1 (ko)
EP (1) EP2848231A4 (ko)
JP (1) JP2015522307A (ko)
KR (1) KR101362446B1 (ko)
CN (1) CN104717938B (ko)
BR (1) BR112014028100A2 (ko)
CA (1) CA2873025A1 (ko)
HK (1) HK1207555A1 (ko)
IN (1) IN2014DN10035A (ko)
RU (1) RU2014148529A (ko)
SG (1) SG11201407178SA (ko)
WO (1) WO201316907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8983A (zh) * 2013-12-06 2016-10-12 外雅各医疗有限公司 医疗用管插入装置及含有其的医疗用管插入手术套组
US9808234B2 (en) 2011-03-07 2017-11-07 Y. Jacobs Medical Inc. Suture thread
US9924937B2 (en) 2011-12-27 2018-03-27 Y.Jacobs Medical Inc. Knotless suture, and kit containing same
US10010317B2 (en) 2012-12-05 2018-07-03 Young Jae Kim Method of improving elasticity of tissue of living body
US10178990B2 (en) 2012-12-05 2019-01-15 Y. Jacobs Medical Inc. Apparatus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954B1 (ko) * 2015-04-09 2016-12-06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성형시술용 고체필러
CN106108963B (zh) * 2016-08-08 2018-12-04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天坛医院 环形手术缝线
KR102092954B1 (ko) * 2017-12-13 2020-03-25 진오메카디칼 주식회사 성형용 임플란트 구조물
CN108888385B (zh) * 2018-05-10 2020-08-07 北京工业大学 基于皮肤软组织形变的修复体再修复方法
KR102053392B1 (ko) * 2018-10-16 2019-12-09 주식회사 엠베이스 성 기능 개선을 위한 의료용 실의 제조방법
CN111568601B (zh) * 2019-02-15 2023-03-31 金诺机械医疗有限公司 填料注入型整形植入物
KR102067744B1 (ko) * 2019-11-29 2020-01-17 주식회사 엠베이스 성 기능 개선을 위한 의료용 실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494A (ko) * 2004-05-12 2005-11-17 김영복 돌기를 가지는 성형외과용 수술실
JP2007502161A (ja) * 2003-08-11 2007-02-08 ウィルソン−クック・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外科処置用移植片
KR100745571B1 (ko) * 2006-06-15 2007-08-03 이정일 성형수술용 선형인장재
US8128690B2 (en) * 2000-11-17 2012-03-06 Advanced Bio Prosthetic Surfaces, Ltd. Endoluminal device for in vivo delivery of bioactive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5253A (en) * 1989-06-15 1991-05-14 Cordis Corporation Non-woven endoprosthesis
US5078736A (en) * 1990-05-04 1992-01-07 Interventional Thermodynam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patency in the body passages
US5383926A (en) * 1992-11-23 1995-01-24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Re-expandable endoprosthesis
US8795332B2 (en) * 2002-09-30 2014-08-05 Ethicon, Inc. Barbed sutures
CA2178541C (en) * 1995-06-07 2009-11-24 Neal E. Fearnot Implantable medical device
JP4754714B2 (ja) * 2000-06-01 2011-08-24 テルモ株式会社 管腔内留置物
ATE380001T1 (de) * 2001-10-22 2007-12-15 Terumo Corp St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1554328B1 (en) * 2002-10-11 2011-02-23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Shape memory polymers based on semicrystalline thermoplastic polyurethanes bearing nanostructured hard segments
US9333102B2 (en) * 2003-02-24 2016-05-10 Allium Medical Solutions Ltd. Stent
US20050070996A1 (en) * 2003-04-08 2005-03-31 Dinh Thomas Q. Drug-eluting stent for controlled drug delivery
AU2004238270B2 (en) * 2003-05-07 2011-02-03 Advanced Bio Prosthetic Surfaces, Ltd. Metallic implantable graft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7526020A (ja) * 2003-05-29 2007-09-13 セコー メディカル, エルエルシー フィラメントベースのプロテーゼ
US20070067045A1 (en) * 2005-09-19 2007-03-22 Ar2 Partner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kin wrinkle removal
US7951194B2 (en) * 2006-05-26 2011-05-31 Abbott Cardiovascular Sysetms Inc. Bioabsorbable stent with radiopaque coating
JP4255960B2 (ja) * 2006-06-16 2009-04-22 克弥 高須 形成外科用手術糸
WO2008013869A2 (en) * 2006-07-25 2008-01-31 Yeung Feffrey E Spooled filament to repair tissue
US20080125871A1 (en) * 2006-11-16 2008-05-29 Mike Fard Packaged Wrinkle-Filling Grafts and Method for Cosmetically Reducing the Appearance of Wrinkles
US20100286791A1 (en) * 2006-11-21 2010-11-11 Goldsmith David S Integrated system for the ballistic and nonballistic infixion and retrieval of implants
US9393013B2 (en) * 2007-05-08 2016-07-19 Heeyoung Lee Lee Tools for fiber reinforced anti-compressive adherent suture method
US20090018655A1 (en) * 2007-07-13 2009-01-15 John Brunelle Composite Implant for Surgical Repair
US20090099597A1 (en) * 2007-10-12 2009-04-16 Isse Nicanor G Suture assembly with tissue engaging elements
DE102008057213A1 (de) * 2008-11-06 2010-05-12 Aesculap Ag Medizintechnisches Produkt, ein chirurgisches Kit sowie ein Herstellungsverfahren für das medizintechnische Produkt
US8226684B2 (en) * 2008-12-22 2012-07-24 Ethicon, Inc. Surgical sutures having collapsible tissue anchoring protrusions and methods therefor
KR101060722B1 (ko) * 2009-01-12 2011-08-31 이희영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CN201436996U (zh) * 2009-04-30 2010-04-14 浙江普洛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吸收的医用除皱垫膜
KR101256908B1 (ko) * 2011-04-28 2013-04-23 (주)에이치비메디컬스 주름제거용 충전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8690B2 (en) * 2000-11-17 2012-03-06 Advanced Bio Prosthetic Surfaces, Ltd. Endoluminal device for in vivo delivery of bioactive agents
JP2007502161A (ja) * 2003-08-11 2007-02-08 ウィルソン−クック・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外科処置用移植片
KR20050108494A (ko) * 2004-05-12 2005-11-17 김영복 돌기를 가지는 성형외과용 수술실
KR100745571B1 (ko) * 2006-06-15 2007-08-03 이정일 성형수술용 선형인장재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8234B2 (en) 2011-03-07 2017-11-07 Y. Jacobs Medical Inc. Suture thread
US9848865B2 (en) 2011-03-07 2017-12-26 Y.Jacobs Medical Inc. Suture thread
US11103230B2 (en) 2011-03-07 2021-08-31 Y.Jacobs Medical Inc. Suture thread
US9924937B2 (en) 2011-12-27 2018-03-27 Y.Jacobs Medical Inc. Knotless suture, and kit containing same
US11103232B2 (en) 2011-12-27 2021-08-31 Y.Jacobs Medical Inc. Knotless suture, and kit containing same
US10010317B2 (en) 2012-12-05 2018-07-03 Young Jae Kim Method of improving elasticity of tissue of living body
US10178990B2 (en) 2012-12-05 2019-01-15 Y. Jacobs Medical Inc. Apparatus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comprising same
CN106028983A (zh) * 2013-12-06 2016-10-12 外雅各医疗有限公司 医疗用管插入装置及含有其的医疗用管插入手术套组
EP3078338A4 (en) * 2013-12-06 2017-06-21 Y. Jacobs Medical Inc. Apparatus for inserting medical tube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medical tube, having same
US10226320B2 (en) 2013-12-06 2019-03-12 Y.Jacobs Medical Inc. Apparatus for inserting medical tube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medical tube, having same
US11241303B2 (en) 2013-12-06 2022-02-08 Y.Jacobs Medical Inc. Apparatus for inserting medical tube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medical tub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79764A1 (en) 2017-03-23
CN104717938A (zh) 2015-06-17
KR101362446B1 (ko) 2014-02-11
IN2014DN10035A (ko) 2015-08-14
CN104717938B (zh) 2017-07-18
US20150119985A1 (en) 2015-04-30
SG11201407178SA (en) 2015-01-29
RU2014148529A (ru) 2016-07-10
HK1207555A1 (en) 2016-02-05
JP2015522307A (ja) 2015-08-06
EP2848231A1 (en) 2015-03-18
CA2873025A1 (en) 2013-11-14
EP2848231A4 (en) 2016-02-24
KR20130126122A (ko) 2013-11-20
BR112014028100A2 (pt)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69075A1 (ko) 주름제거용 충전체
US5628784A (en) Endoprosthesis that can be percutaneously implanted in the body of a patient
KR101060722B1 (ko)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KR100761921B1 (ko)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삽입하기 위한 도구
WO2017131492A1 (ko) 실 삽입기
WO2015130113A1 (ko) 의료용 실 및 의료용 실 삽입 장치
WO2013168995A1 (ko) 주름 제거 임플란트
KR101178871B1 (ko)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WO2013058532A2 (ko) 수술사 주입용 주사바늘
WO2016167571A1 (ko)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
JP5178821B2 (ja) 抗圧迫・繊維強化癒着縫合法の道具
KR20150138646A (ko) 마이크로 니들 패치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7065429A1 (ko) 중공형 다공성 미립구를 포함하는 피부 조직 재생 또는 피부 조직 볼륨 증진 주사용 조성물
WO2012148216A2 (ko) 주름제거용 충전체
WO2012144677A1 (ko)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KR101273792B1 (ko) 생체 삽입용 부재 및 이를 생체 내에 주입하는 주입 기구
WO2013109108A1 (ko) 고체 필러
WO2020059967A1 (ko) 탄성 실 삽입기
KR101696253B1 (ko) 주름제거용 충전제
WO2018225899A1 (ko) 안면 리프팅용 니들 조립체
KR101917219B1 (ko)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CN113144376B (zh) 一种纳米双抗深静脉导管
KR102394315B1 (ko) 복수의 필러 주입구를 구비하여 자연스러운 피부 볼륨형성이 가능한 필러 캐뉼라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방법
Schmidt et al. Structural effects of the topical lidocaine-prilocaine anesthetic Emla on the tympanic membrane
KR20210061880A (ko)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883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1137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873025

Country of ref document: C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99645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IDP00201407539

Country of ref document: ID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883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883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148529

Country of ref document: RU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f document number: 20147034744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14028100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4028100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1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