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219B1 -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 Google Patents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219B1
KR101917219B1 KR1020170127645A KR20170127645A KR101917219B1 KR 101917219 B1 KR101917219 B1 KR 101917219B1 KR 1020170127645 A KR1020170127645 A KR 1020170127645A KR 20170127645 A KR20170127645 A KR 20170127645A KR 101917219 B1 KR101917219 B1 KR 101917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needle
core yarn
sealing
mesh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경
이상억
박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비엠
Priority to KR102017012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219B1/ko
Priority to CN201780001593.5A priority patent/CN109843199A/zh
Priority to PCT/KR2017/011618 priority patent/WO201906612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4Non-resorbab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7/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glycolic acid or lactic acid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바늘의 전단에 비드를 안치하고, 비드에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을 융착시키되 봉합코어사는 바늘 내부 중공부를 따라 배치하고 봉합메쉬관은 바늘 외부를 감싸도록 배치시키는 구조로 제공되어, 인체 삽입시의 출혈발생을 최소화하고, 봉합코어사의 지지력으로 봉합메쉬관에 작용하는 인체조직의 압박력을 감소시켜 봉합메쉬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봉합메쉬관의 내부 공간으로 조직재생이 이루어지게 하는 등 관형태인 봉합메쉬관의 형태를 유지시키면서 인체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비드와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이 일체로 구비된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TUBE TYPE MULTI-SUTURE KIT}
본 발명은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바늘의 전단에 비드를 안치하고, 비드에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을 융착시키되 봉합코어사는 바늘 내부 중공부를 따라 배치하고 봉합메쉬관은 바늘 외부를 감싸도록 배치시키는 구조로 제공되어, 인체 삽입시의 출혈발생을 최소화하고, 봉합코어사의 지지력으로 봉합메쉬관에 작용하는 인체조직의 압박력을 감소시켜 봉합메쉬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봉합메쉬관의 내부 공간으로 조직재생이 이루어지게 하는 등 관형태인 봉합메쉬관의 형태를 유지시키면서 인체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비드와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이 일체로 구비된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수술용 봉합재료로 사용되는 봉합사는, 수술 외상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부를 봉합하는 데 사용하는 실로서, 생체내 분해여부에 따라 생분해성 봉합사와 비생분해성 봉합사로 분류할 수 있다.
생분해성 봉합사는 조직의 손상부가 봉합된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연 분해되어 없어지는 실로, 주로 피부를 고정하거나 연한 조직의 봉합에 사용된다. 비생분해성 봉합사는 조직의 손상부가 봉합된 후에도 분해되지 않는 실로, 주로 혈관, 정형외과 수술시 사용된다.
이러한 봉합사는 인체조직과의 긴밀성이 좋기 때문에 인체조직 삽입에 의해 조직을 지지하거나 볼륨을 회복시키는 등 보형물로서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예컨대 인체조직에는 피부 내부로 이물질이 침범하면 이물질로부터 피부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이물질을 감싸는 자정치유물질이 포함된다. 이러한 자정치유물질은 피하조직을 보호함은 물론 결과적으로 피하층 내부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봉합사를 인체에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당분간 인체조직간 긴장감을 제공해 피부의 처짐이나 함몰 등을 예방 또는 복원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방법은, 바늘을 이용해 실을 피하층 내부로 삽입하는 것으로서, 피부를 절개한 후 실을 삽입하고 봉합하는 매선요법에 비해 시술이 간단하고 환자의 부담이 적은 장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107292호(2015.09.23.공개;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은 성형용 수술사를 구비한 성형수술용 바늘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바늘 내부에 수술사가 배치되되 수술사의 단부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수술사는 바늘의 중공부에 배치하고 돌기는 바늘 전단에 위치시켜 피부 삽입 과정에서 돌기에 의해 혈관손상을 최소화하고, 수술사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가시에 의해 피부층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1은 인체조직과의 결합력이 높아 처짐방지 시술에는 도움이 되지만, 부피가 작기 때문에 주름을 제거하는 시술에는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수술사의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에는 바늘의 굵기가 증가되어 피시술자의 거부감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127333호(2014.11.03.공개;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은 개선된 봉합물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관형벽의 일단에 바늘이 일체로 구성되는 구조로 부피감을 제공하여 시술시 피부의 팽창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2의 관형벽은 인체 삽입시 인체조직으로부터 압력을 받게 되어 관형벽의 형태가 일그러지는 변형이 발생되며 부피감이 상당량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8755호(20107.06.13.등록; 이하 '선행문헌3'이라 함)은 의료용 실 삽입장치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3은 중공형상의 주사바늘과, 일부는 주사바늘에 삽입되고 나머지는 외부에 배치되는 흡수성 봉합사와 상기 흡수성 봉합사를 주사바늘에 고정시키는 금실로 구성된 의료용실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금실이 봉합사를 내포하도로 권취된 형태를 제공하고 있어 인체 삽입후 금실 내부공간으로 피부재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바늘 전단부에 위치하는 봉합사 부분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실안내홈을 더 형성하여 봉합사의 단락방지와 바늘로의 고정이 같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3은 바늘이 전단이 쐐기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인체내입시 혈관을 파손시킬 수 있으며, 실안내홈을 형성하기 위해서 바늘을 정밀하게 가공해야하므로 바늘의 제조비용이 증가되고, 바늘 전단의 실안내홈 형성에 의한 불규칙적인 면에 의해 인체 삽입과정에서 인체조직이 뜯겨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4814호(2015.07.01.등록; 이하 '선행문헌4'이라 함)의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4는 제1실과 제2실을 직렬구성하고, 제1실과 제2실을 감싸는 메쉬로 구성된 메쉬 어셈블리로 인체 삽입시 바늘의 중공부를 통해 삽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굵은 바늘을 사용해야되므로 피시술자의 거부감이 발생될 수 있으며, 바늘을 인체에 먼저 삽입한 다음 메쉬어셈블리를 바늘에 삽입하기 때문에 메쉬 어셈블리의 삽입과정이 까다로워서 시술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인체조직으로 자입시 봉합사의 피부 내입을 용이하게 유도하면서 혈관파손을 최소화하고, 체내압력에 의해 형태변형을 최소화시켜 피부재생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봉합사 결합 키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107292호(2015.09.23.공개) : 성형용 수술사를 구비한 성형수술용 바늘 한국공개특허 10-2014-0127333호(2014.11.03.공개) : 개선된 봉합물 한국등록특허 제10-1748755호(20107.06.13.등록) : 의료용 실 삽입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534814호(2015.07.01.등록) :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
이에 본 발명의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는,
혈관파손을 최소화하면서 인체조직으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피부재생공간을 확보할 수 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입기와 결합하여 조직재생에 필요한 물질을 주입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체적을 갖는 비드와; 상기 비드에 일단이 부착되는 봉합코어사와; 상기 봉합코어사를 내포하면서 상기 비드에 일단이 부착되며, 2가닥 이상의 봉합사를 교차시켜 메쉬망 형태의 관체로 형성된 봉합메쉬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부에 삽입해 인체조직을 지지하거나 피부재생공간을 확보하게 한다.
상기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에는, 내부 중공유로에는 상기 봉합코어사가 내입되고, 전단통공에는 비드가 접하여 배치되고, 외면에는 봉합메쉬관이 감싸도록 배치된 바늘과; 상기 바늘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바늘을 지지하면서, 개구된 후단의 내면에는 주입기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컵형태의 바늘지지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와 봉합코어사 및 봉합메쉬관의 부착은, 접착제, 열융착, 초음파융착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은 측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측면통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통공은 바늘지지체와 근접된 바늘의 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통공으로는 전단통공으로 내입된 봉합코어사의 후단이 배출되고, 측면통공으로 배출된 봉합코어사의 후단은 바늘지지체 전단측에 융착되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에는 전후방향 이동에 의해 측면통공을 밀폐시키면서, 측면통공으로 표출된 봉합코어사를 내부의 바늘사이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관형의 장력부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봉합코어사는, 한가닥으로 이루어진 모노필라멘트, 여러가닥으로 이루어진 멀티필라멘트, 외면에 돌기가 형성된 돌기형 모노필라멘트,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를 꼬거나 매듭이 지어진 형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의 재질은, 폴리글리콜리드(Polyglycolic acid, PGA), 폴리글락틴(Polyglactin, PGLA),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글리콜라이드-코-카프로락톤(Poly(glycolide-co-caprolactone), PGCL), 폴리 L-락트산(Poly L-lactic acid, PLLA),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 HA), 금편복사(Gold weaving), 키토산(Chitosa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 고분자 또는 2종 이상 중합한 공중합체로 구성된 생분해성재질군과;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에틸렌 또는 테프론, 실리콘으로 구성된 비생분해성재질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은, 각각 동종의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거나, 이종의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은, 각각 동종의 비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거나, 이종의 비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은, 어느 하나는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비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는,
인체 내부로 자입시 바늘은 비드를 밀고, 비드는 봉합사인 봉합메쉬관과 봉합코어사를 당기게 되므로 바늘에 작용하는 압입력에 의해 봉합메쉬관 또는 봉합코어사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합메쉬망은 바늘 내부가 아닌 외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므로 얇은 바늘을 사용할 수 있어 굵은 바늘에 대한 거부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비드를 원형 또는 둥근형태로 제공하므로써 인체 자입과정에서 혈관을 측면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혈관파손에 의한 출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합메쉬관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봉합코어사는 시술후 인체조직의 내압에 의해 봉합메쉬관의 형태가 일그러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피부재생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술과정에서 주사바늘로 피부재생에 필요한 약물 또는 기타 치료약물을 함께 주입할 수 있고, 주입된 약물은 봉합메쉬망에 의해 다른 곳으로 흐르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원하는 부위에 집중적인 치료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늘에 비드와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이 장착된 상태의 사진 및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를 부분확대한 확대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의 작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늘에 비드와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이 장착된 상태의 사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1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체적을 갖는 비드(20)와; 상기 비드에 일단이 부착되는 봉합코어사(30)와; 상기 봉합코어사를 내포하면서 상기 비드에 일단이 부착되며, 2가닥 이상의 봉합사를 교차시켜 메쉬망 형태의 관체로 형성된 봉합메쉬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드(20)는 인체 삽입과정에서 혈관을 측면으로 밀어내어 혈관절단에 의한 출혈을 방지하고, 후술되는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을 일체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비드(20)는 전체외형을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하거나, 인체로 먼저 삽입되는 전단만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후단측은 봉합코어사 또는 봉합메쉬관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다단의 단턱을 형성하거나 평면구조를 갖게 하는 복합적인 다각형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 전단으로 둥근 면을 갖는 다각형 뿔대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비드(20)에 의해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이 일체로 연결되면, 바늘에 장착하여 인체 삽입시 바늘(50)의 전방 단부가 비드(20)를 피부내측으로 가압하고, 비드에 부착된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은 선행하여 이동되는 비드에 의해 끌려서 인체내로 삽입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 바늘에 의한 인체 내입과정에서 바늘 단부에 압밀되어 봉합코어사 또는 봉합메쉬관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봉합코어사(30)는 한가닥으로 이루어진 모노필라멘트, 여러가닥으로 이루어진 멀티필라멘트, 외면에 돌기가 형성된 돌기형 모노필라멘트,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를 꼬거나 매듭이 지어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조합하여 사용하여 다양한 굵기로 제공해 봉합메쉬관에 대한 필요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봉합코어사의 굵기를 증가시키면 봉합코어사에 의해 형태가 지지되는 봉합메쉬관의 굵기도 증가시킬 수 있어 상대적은 큰 범위의 부피복원이 및 강한 당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봉합코어사(30)는 바늘(50)의 중공유로(51) 내부에 삽입되어 시술이 이루어지므로, 최대 굵기는 바늘의 크기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봉합코어사의 굵기를 가늘게 형성하여 이를 인체에 삽입하기 위한 도구인 바늘도 가는 굵기인 것을 사용하여 시술과정에서의 통증 및 인체피부 삽입 흔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봉합메쉬관(40)은 복수의 봉합사를 교차하는 방법으로 직조하여 메쉬형태의 관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는 관체로 직조하거나, 평면으로 직조하여 관형테로 감아서 제조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합메쉬관의 면에는 봉합사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어 있으므로 내부와 외부의 연통시키는 통공이 다수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재생되는 세포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봉합메쉬관(40)은 내부에 봉합코어사(30)를 내포하며, 봉합코어사 외면과의 간격은 최소 바늘의 외면과 중공유로 사이의 두께 이상으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봉합메쉬관(40)과 봉합코어사(30) 사이의 간격은 인체에 삽입한 다음 인근 피부가 재생되어 확장될 수 있는 피부재생공간으로 활용된다.
상기 비드(20)와 봉합코어사(30) 및 봉합메쉬관(40)의 부착은, 접착제, 열융착, 초음파융착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원형 비드를 사용할 경우 봉합코어사(30)는 비드(20)의 중심을 향하도록 비드 면에 일단을 부착 또는 융착시키고, 봉합메쉬관(40)은 상기 봉합코어사는 내포하면서 비드외면에 부착 또는 융착시키되 봉합메쉬관(40)의 부착면 또는 융착면과 봉합코어사(30)의 부착면 또는 융착면을 일정간격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하여 비드와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을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의 이격된 공간으로 바늘(50)이 내입되고, 내입된 바늘의 단면이 비드면에 직접 접촉되어 비드를 가압해 인체 내로 삽입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로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 접착제인 Loctide 4014 또는 Elvamid 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의 재질은, 생분해성재질을 사용하여 일시적인 피부재생공간을 형성한 다음 분해제거되도록 하거나, 비생분해성 재질을 사용하여 재생피부와 함께 피부에 내입되어 부피형성 및 당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재질로는, 폴리글리콜리드(Polyglycolic acid, PGA), 폴리글락틴(Polyglactin, PGLA),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글리콜라이드-코-카프로락톤(Poly(glycolide-co-caprolactone), PGCL), 폴리 L-락트산(Poly L-lactic acid, PLLA),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 HA), 금편복사(Gold weaving), 키토산(Chitosa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 고분자 또는 2종 이상 중합한 공중합체를 1종 또는 2종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생분해성재질로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에틸렌 또는 테프론, 실리콘으로부터 1종 또는 2종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 이외에 비드(20)도 생분해성 재질 또는 비생분해성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은, 각각 동종의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거나, 이종의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을 모두 동일한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여 분해되는 시간차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봉합메쉬관(40)은 분해속도가 빠른 재질로 사용하여 봉합메쉬관 내부의 피부재생공간에 대한 피부재생이 완료되면 분해제거되도록 하고, 봉합코어사(30)는 상대적으로 분해시간을 늦춰서 피부 재생후에도 인체조직간 당김력의 제공시간을 증대시켜 장시간 효과가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은, 각각 동종의 비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거나, 이종의 비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에는 각 재질간의 속성 예컨대 탄성력이나 마찰정도에 따라 다른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봉합메쉬관(40)의 경우 탄성력이 높은 것 또는 강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여 인체 내압에 대한 대응력을 큰 것을 사용항 내부 피부재생공간의 확보가 유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봉합코어사(30)의 경우에는 마찰력이 높은 것을 사용하여 재생된 피부와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은, 어느 하나는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비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지속적으로 부피를 제공하거나 인체조직을 일측으로 당기는 작용을 하는 부재는 비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고, 일정시간 유지후 기능이 상실되는 부재의 경우에는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의 재질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조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드(20)와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이 일체로 형성된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10)는, 바늘(50)과 바늘지지체(60)를 더 구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키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늘에 봉합코어사 및 봉합메쉬관을 끼우거나 감싸는 작업이 수행해야되나, 현장에서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바늘에 미리 장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한 바와같이 바늘(50)의 전단통공(52)에 비드(20)가 접하도록 배치하되, 비드(20)에 부착된 봉합코어사(30)는 바늘(50)의 내부 중공유로(51)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늘(50)의 외부는 봉합메쉬관(40)이 감싸도록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50)의 후단은 바늘지지체(6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바늘지지체(60)의 후단 내면에는 주사기와 같은 주입기와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시술시 비드(20)에 일체로 부착된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만 인체 내부로 삽입되게 하거나, 봉합메쉬관(40) 내부 공간에 인체피부 재생에 필요한 약물 또는 필요한 기타 약물의 주입이 함께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추가적으로 약물이 주입되면 봉합메쉬관(40)은 주입된 약물을 일정시간 저장하는 저장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약물을 서서히 외부로 전달하여 특정부위의 조직재생을 촉진시키거나 집중적인 약물치료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바늘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끝이 무딘 R-Blunt, L-Blunt, W-Blunt, A-Blunt, Sharp cannula를 가진 니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바늘(50)은 측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측면통공(53)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통공(53)은 바늘지지체에 주입기를 장착한 다음 주입기에 저장된 약물을 인체내로 주입시키는 과정에서 필요부분에 집중적인 주입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즉, 피부조직중 주름이 깊은 부분에는 측면통공(53)을 통해 추가적인 약물주입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써 집중적인 치료나 보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통공은 다수개 형성시 모두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거나, 특정 측면통공만 크게 형성하고 나머지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큰 크기를 갖는 측면통공에 더 많은 약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통공(53)은 바늘의 전단통공과도 크기를 달리 형성하여 주입기에 의한 주입압력이 작용하면 먼저 측면통공으로 약물주입이 이루어지고 전단통공으로의 주입은 최소화하여 약물이 필요한 부분에 집중공급되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약물의 전단통공으로의 배출량을 방지 또는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측면통공의 통공 면적은 전단통공의 통공 면적 대비 1.2~10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3배의 크기로 형성하여 주입된 약물이 측면통공으로 주로 배출되어 약물효과를 제공하게 하는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측면통공의 다른 실시예로는 바늘지지체(60)에 결합되는 바늘(50)의 후방측에 외부로 통공되는 측면통공(53)이 더 형성된다.
상기 측면통공(53)으로는 전단통공(52)으로 내입된 봉합코어사(30)의 후단이 배출된다.
상기 측면통공(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봉합코어사(30)의 후단은 바늘지지체(60)의 전단측에 부착 또는 융착되어 단단히 고정시키며, 사용시 측면통공(53)과 바늘지지체(60)에 부착된 부분 사이를 절단하여 인체삽입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같이 봉합코어사(30)를 바늘지지체(60)에 고정시킨 형태는, 바늘지지체(60)의 결합부에 주입기를 결합하여 인체내부로 약물주입이 이루어질 경우 주입되는 약물이 바늘(50)의 중공유로(51)를 따라 배출되는 과정에서 봉합코어사(30)를 먼저 밀어낼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시킨 것이다. 즉, 초기 주입기에 저장된 약물을 바늘의 전단통공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이동되는 약물에 의해 봉합코어사(30)가 먼저 밀려나서 바늘로부터 배출되면 봉합메쉬관(40)의 후방구간에서는 내부에 봉합코어사(3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고, 봉합코어사가 배치되지 않은 봉합메쉬관 부분에는 인체내압에 의한 형태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충분한 피부재생공간을 제공하지 못하여 부피형성기능이 발휘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약물을 이동시키는 준비과정에서 봉합코어사(30)의 밀림에 의해 비드(20)도 바늘의 전단통공(52)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인체 삽입시 바늘이 비드를 가압하여 비드를 먼저 인체피부내로 삽입하는 과정의 수행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봉합코어사(30)를 바늘지지체에 고정시키면, 봉합코어사(30)는 비드(20)와 바늘지지체(60)에 양단이 견고하게 부착되어 고정되므로, 주입기에 저장된 약물을 바늘의 전단통공(52)까지 이동시켜 충전하는 과정에서 약물주입압력에 의해 봉합코어사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이 완료되면 바늘 외부로 표출된 봉합코어사의 후단부분을 절단하여 봉합코어사가 바늘지지체로부터 분리되어 비드를 따라 이동가능하여 인체피부로 삽입 후 바늘을 인체피부로부터 빼낼 때 봉합코어사는 비드와 함께 인체 내에 위치시켜 피부당김 또는 부피형성의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통공(53)은 별도의 밀폐패드를 부착시켜 약물을 바늘 중공유로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약물이 측면통공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부분확대한 확대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봉합코어사(30)는 바늘지지체에 부착되지 않고 별도의 바늘(50)에 장착되는 장력부재(70)에 부착시키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력부재(70)는 바늘 축방향과 동축으로 형성된 관형으로 형성되며, 바늘과의 마찰력을 증대 또는 탄성소재로 제조하여 외부힘에 의해서만 바늘에 끼워진 상태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력부재(70)를 사용할 경우에는 바늘(50)상에서 장력부재(70)의 위치를 변형시켜 봉합코어사(30)의 긴장상태를 높이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비드(20)를 바늘 전단통공(52)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효과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부재(70)는 봉합코어사(30)의 후단 접착되지 않고 끼움에 의해 봉합코어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한 바와같이 측면통공(53)으로 봉합코어사(30)가 표출되면 측면통공보다 전방측에 장착된 장력부재(70)를 측면통공(53)으로 이동시켜 측면통공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장력부재(70)와 바늘(50)외면 사이에 봉합코어사(30)를 끼워지게 하여 봉합코어사의 고정이 이루어지며, 주입기를 통해 약물을 바늘로의 충전이 완료되면 장력부재(70)를 바늘 후단으로 더 이동시켜 장력부재(70)와 바늘(50) 사이로부터 봉합코어사(30)를 이탈시켜 봉합코어사의 인체삽입이 가능하게 하는 등 장력부재를 이용하여 약물주입시 봉합코어사의 고정과 측면통공의 밀폐를 동시에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장력부재는 봉합코어사의 후단이 바늘 중공유로로 완전하게 삽입되면 바늘의 측면통공을 다시 폐구하여 인체 내로의 약물주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장력부재를 바늘 후단으로 이동후 측면통공과 장력부재 사이의 봉합코어사를 절단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 바늘 전단통공으로 내입된 봉합코어사를 바늘 후단부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표출시켜 고정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10 :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키트
20 : 비드
30 : 봉합코어사
40 : 봉합메쉬관
50 : 바늘
51 : 중공유로 52 : 전단통공
53 : 측면통공
60 : 바늘지지체
70 : 장력부재

Claims (11)

  1. 원형 또는 다각형의 체적을 갖는 비드(20)와;
    상기 비드에 일단이 부착되는 봉합코어사(30)와;
    상기 봉합코어사를 내포하면서 상기 비드에 일단이 부착되며, 2가닥 이상의 봉합사를 교차시켜 메쉬망 형태의 관체로 형성된 봉합메쉬관(40)과;
    내부 중공유로(51)에는 상기 봉합코어사(30)가 내입되고, 전단통공(52)에는 비드(20)가 접하여 배치되고, 외면에는 봉합메쉬관(40)이 감싸도록 배치된 바늘(50)과;
    상기 바늘(50)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바늘을 지지하면서, 개구된 후단의 내면에는 주입기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컵형태의 바늘지지체(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바늘에 안내된 비드와 봉합코어사와 봉합메쉬관이 피부에 삽입되어 인체조직을 지지하거나 피부재생공간을 확보하는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20)와 봉합코어사(30) 및 봉합메쉬관(40)의 부착은, 접착제, 열융착, 초음파융착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측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측면통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통공(53)은 바늘지지체와 근접된 바늘의 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통공(53)으로는 전단통공으로 내입된 봉합코어사(30)의 후단이 배출되고, 측면통공으로 배출된 봉합코어사의 후단은 바늘지지체(60) 전단측에 융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에는 전후방향 이동에 의해 측면통공을 밀폐시키면서, 측면통공으로 표출된 봉합코어사를 내부의 바늘사이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관형의 장력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코어사(30)는,
    한가닥으로 이루어진 모노필라멘트, 여러가닥으로 이루어진 멀티필라멘트, 외면에 돌기가 형성된 돌기형 모노필라멘트,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를 꼬거나 매듭이 지어진 형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의 재질은,
    폴리글리콜리드(Polyglycolic acid, PGA), 폴리글락틴(Polyglactin, PGLA),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글리콜라이드-코-카프로락톤(Poly(glycolide-co-caprolactone), PGCL), 폴리 L-락트산(Poly L-lactic acid, PLLA),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 HA), 금편복사(Gold weaving), 키토산(Chitosa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 고분자 또는 2종 이상 중합한 공중합체로 구성된 생분해성재질군과;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에틸렌 또는 테프론, 실리콘으로 구성된 비생분해성재질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은, 각각 동종의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거나, 이종의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은, 각각 동종의 비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거나, 이종의 비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코어사(30)와 봉합메쉬관(40)은,
    어느 하나는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비생분해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KR1020170127645A 2017-09-29 2017-09-29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KR101917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645A KR101917219B1 (ko) 2017-09-29 2017-09-29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CN201780001593.5A CN109843199A (zh) 2017-09-29 2017-10-19 管状复合缝合线结合套件
PCT/KR2017/011618 WO2019066122A1 (ko) 2017-09-29 2017-10-19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645A KR101917219B1 (ko) 2017-09-29 2017-09-29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219B1 true KR101917219B1 (ko) 2018-11-09

Family

ID=6442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645A KR101917219B1 (ko) 2017-09-29 2017-09-29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17219B1 (ko)
CN (1) CN109843199A (ko)
WO (1) WO2019066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9479B (zh) * 2023-04-18 2023-11-07 南京思脉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血管缝合器的压线接头及固定缝合线的装置及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17B1 (ko) * 2011-10-31 2012-06-12 김종우 조직거상용 이식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0304B2 (en) * 2010-04-19 2017-07-11 Gold Thread Llc Filament implant system and method
KR101282789B1 (ko) * 2012-03-06 2013-07-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버스 타입 혈관 봉합 장치
CN203074827U (zh) * 2013-03-14 2013-07-24 朱文元 心血管介入治疗器
KR101556843B1 (ko) * 2014-02-07 2015-10-01 홍종수 성형용 수술사
CN204192692U (zh) * 2014-10-30 2015-03-11 李述剑 一种小儿腹股沟疝套针组合
KR101635580B1 (ko) * 2014-12-03 2016-07-20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CN206390953U (zh) * 2016-08-30 2017-08-11 威海威高富森医用材料有限公司 医用缝合线圈
KR101729187B1 (ko) * 2016-09-06 2017-04-21 김동진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17B1 (ko) * 2011-10-31 2012-06-12 김종우 조직거상용 이식물
JP2015501186A (ja) 2011-10-31 2015-01-15 キム, ジョンウKIM, Jong Woo 組織挙上用移植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43199A (zh) 2019-06-04
WO2019066122A1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08049A1 (en) Tissue plug
US10820906B2 (en) Biodegradable blood vessel occlusion and narrowing
US950445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complex fistulae
US8257393B2 (en) Active suture for the delivery of therapeutic fluids
KR101241955B1 (ko) 상처봉합, 조직밀착, 조직지지, 부유 및/또는 고정을 위한 봉합사
EP2386323A2 (en) Plastic surgical injection needle having surgical thread for wrinkle removal
US20080275569A1 (en) Tissue Augmentation Device
EP2384704A1 (en) Vascular hole closure device
BR112013024303B1 (pt) Sistema de sutura de autorretenção e método para fabricar um sistema de sutura de autorretenção
MX2010011160A (es) Suturas autorretenedoras con retenedores bidireccionales o retenedores unidireccionales.
TWI601548B (zh) 以外科手術線預充之用於整形外科的注射針
US20060058890A1 (en) Methods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US20180014824A1 (en) Anchored suture line, device and method for surgical suturing
KR101917219B1 (ko)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KR20160054803A (ko) 피부 주름 제거용 봉합사 삽입장치
KR102270487B1 (ko) 신체 부분을 거상 또는 구속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52356B1 (ko) 피부 리프팅 봉합사 삽입 캐뉼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7894B1 (ko) 콘타입 관형봉합사 및 이를 결합한 니들 조립체
KR20160095926A (ko) 필러 시술용 도구
KR102301627B1 (ko) 필러 주입형 성형 보형물
KR102069250B1 (ko) 안면 리프팅용 니들 조립체
CN219354042U (zh) 封堵器
KR102111490B1 (ko)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20180123964A (ko) 잠금척이 구비된 봉합사 삽입키트
CN111568601A (zh) 填料注入型整形植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