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187B1 -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 Google Patents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187B1
KR101729187B1 KR1020160114236A KR20160114236A KR101729187B1 KR 101729187 B1 KR101729187 B1 KR 101729187B1 KR 1020160114236 A KR1020160114236 A KR 1020160114236A KR 20160114236 A KR20160114236 A KR 20160114236A KR 101729187 B1 KR101729187 B1 KR 101729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branching
netting
yarn
cha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김도아
이범수
Original Assignee
김동진
김도아
이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김도아, 이범수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160114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05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containing a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e.g. a medicament or a bioc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with other specific functional groups, e.g. aldehydes, ketones, phenols, quaternary phosphonium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Anti-inflammatory agents, e.g. NS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처짐이나 주름진 피부 조직에 삽입되어 실에 형성된 가시와 함께 분기실과 망의 요철 형상에 따른 피부 조직 내에서의 지지력 증대와 아울러, 피부 조직 내 염증을 치유하며 피부의 볼륨감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Mesh Assembly For Plastic Operation}
본 발명은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처짐 또는 주름진 피부 속으로 삽입되어 이물감 자극으로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속 염증을 치유하는 한편, 피부의 볼륨감을 조절할 수 있는 가시 형상의 실과 그물 형태의 망 및 구 형상의 과립알갱이로 구성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는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주된 현상으로서 탄력 저하로 나타나는 피부의 처짐이나 주름으로 대표될 수 있고, 이러한 피부 처짐 및 주름 현상은 세포의 변이, 독성물질의 축적 및 피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간극 변형 등의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피부 처짐 및 주름 현상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종래의 성형 수술이나 미용 목적의 리프팅 시술 분야에서는 가시 형상의 실(일명, 가시매선)을 바늘과 연결하여 처짐이나 주름진 피부 부위에 실을 삽입한 상태에서 실을 리프팅 시켜 피부 연조직의 주름 교정 및 개선이나 처짐 현상을 일부 해결하고 있는 추세이다.
인체 피부 조직 내에 자입(刺入)되는 가시 형상의 실(일명, 가시매선)은 체액에 의해 서서히 용해되어 흡수되는데 일반적으로 수개월에서 최대 1년 이내에 분해되어 소멸되는 관계로, 민감한 피부 조직에 대한 이물감 자극 강화로 해당 피부 조직 내 환부에서 유발되는 염증 부작용을 억제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러한 염증 부작용의 억제를 위해 리프팅 시술 이후에는 해당 피부 조직을 절개하여 염증 환부에 약물을 투입하는 방안 이외에는 피부 무절개 방식의 응급 처치 기술도 확보되지 않아 염증 상황만 악화시키는 추세이다.
물론, 이처럼 성형 수술이나 미용 목적의 리프팅 시술로 인한 부작용으로는 상술된 염증 유발 문제뿐만 아니라, 부종, 출혈, 통증, 멍자국 등의 부작용도 발생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부종, 출혈, 통증, 멍자국 등은 복용 약물이나 응급 처치로 줄일 수 있지만, 염증은 피부 조직 내에서 유발되는 관계로 해당 피부 조직에 직접 약물을 투여하는 방식이 효과이나, 이러한 약물의 직접 투여 방식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리프팅 시술 이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 염증 악화로 진행되어 심지어 시술받은 이용자들 중에서 염증 악화에 따른 피부 괴사에 이르는 이용자들도 상당수에 이른다.
한편, 인체조직에 삽입되어 조직거상과 볼륨회복을 위한 보형물 또는 그 기술들도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바, 하기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특허문헌들은, 액상의 실리콘으로 인조삽입물을 성형함에 따라 인체조직과의 거부반응에 따른 염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인조삽입물의 함몰 정도에 따라 다른 인조삽입물을 제작해야 하는 비용 증대 및 인조삽입물의 성형의 시간 과다 소요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메쉬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성형 시술 부위나 피부 조직 내에 삽입되어도 볼륨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577292호 등록특허 제10-0961679호 등록특허 제10-1337465호 공개특허 제10-2011-0003532호, 등록특허 제10-1132841호, 공개특허 제10-2012-0117609호, 공개특허 제10-2013-0091662호, 등록특허 제10-1200396호. 등록특허 제10-1534821호. 등록특허 제10-1182337호. 등록특허 제10-1488194호.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형 수술이나 피부 미용을 위해 피부 조직으로 삽입되어 지지력을 증대하고, 피부 조직 상태에 따라 피부 볼륨감을 조절하는 한편, 리프팅 실에 형성된 가시의 강한 이물감 자극으로 유발될 수 있는 염증을 피부 조직 내에서 치료될 수 있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길이에 걸쳐 둘레를 따라 다수로 돌출되는 가시를 형성한 채, 처짐이나 주름진 피부 부위에 삽입된 실과, 상기 실에 결합되어 상기 실과 함께 삽입되는 그물 형태의 망, 및 상기 실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망의 길이에 걸쳐 꿰매는 형태로 연결된 여러 가닥의 분기실 중에서 상기 망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분기실 구간의 양단에 결합 고정되는 구 형상의 과립알갱이를 포함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실은 단사 상태에서 여러 가닥으로 분기되는 분기실들을 포함하되, 상기 분기실들이 상기 망의 길이에 걸쳐 꿰매는 형태로서 상기 망을 기준으로 상기 망에서 노출되는 구간과 삽입되는 구간이 반복되는 형태의 요철형 형태로 구성되면서 상기 실에 상기 망이 연결 결합되고, 상기 실이 합사일 때에는 합사의 중심에 위치되어 피부 조직 내의 염증을 치유하는 약리성 물질의 단사와, 상기 약리성 물질의 단사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PDO(polydioxanone) 물질의 단사, 및 상기 약리성 물질의 단사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PLLA(Poly-L-Latic Acid) 물질의 단사를 더 포함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망의 길이에 걸쳐 연결된 상기 분기실들 중에서 상기 망의 내부에 삽입되는 분기실 구간의 양단에 결합고정되는 과립알갱이들의 그물코 걸림에 따라, 상기 망의 말미로부터 나온 분기실들의 당김이나 풀림 조절시에, 상기 망의 길이에 걸쳐 연결된 분기실들이 요철형으로 변형되거나 변형 해제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망은 하나의 원통 형태 또는 다수로 분리된 호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망의 말미로부터 나온 분기실들의 당김이나 풀림 조절시에, 상기 망의 길이에 걸쳐 연결된 분기실들과 함께 요철형으로 변형되거나 변형 해제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과립알갱이들은, 내부에서 구 형태이면서 고체 상태로 정제되며, 그물 조립체의 삽입 부위인 해당 피부 조직 내에서 액화되어 그물 조립체의 이물감 자극으로 발생되는 염증 부위로 흘러들어가 염증을 치료하게 되는 소염부와, 상기 소염부의 둘레를 따라 에워싸는 형태이면서 그물 조립체의 삽입 부위인 해당 피부 조직 주변으로 과립알갱이들을 유착시키는 전분 물질로 이루어지는 점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소염부는 박하로부터 추출되는 멘톨(menthol) 물질을 이용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점성부는 전분 물질로서 점성 강도의 강화를 위해 찹쌀로부터 추출되는 물질을 이용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는 가시 형상의 실과 함께 그물 형상인 망의 연결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망에 꿰매어지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분기실들의 구성으로 인하여, 리프팅 조절 과정에서 분기실들과 망이 요철형으로 구성되어 실 테두리에 구성된 가시와 더불어 피부 조직 내에서의 그물 조립체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는 실과 망의 구성과 함께, 망에 꿰매어지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분기실들의 구성으로 인하여 이용자의 환부인 처진 피부나 주름진 피부 부위에 삽입되어 피부를 거상하고 볼륨감을 더욱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는, 실과 함께 구비된 망을 실로부터 분기되는 여러 가닥의 분기실로 연결하며, 망의 말미로부터 나오는 여러 분기실을 이용한 당김과 풀림의 리프팅 조절 과정을 통하여 개별 이용자들의 피부 조직 상태에 따라 볼륨감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는, 망에 연결된 분기실들 중 망 속에 삽입된 분기실의 구간에 고정 결합된 높은 점성도를 가진 과립알갱이들의 구비로 인하여, 그물 조립체의 피부 조직 삽입 시, 해당 피부 조직 내에서의 유착률을 높이는 반면, 유실률을 낮춰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는, 그물 조립체의 피부 조직 삽입 상태에서 피부 조직 내에서 유발될 수 있는 염증 부위로 과립알갱이들의 약리성 물질이 직접 투여될 수 있음에 따라 염증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는, 실을 단사 또는 합사로 구성되게 할 수 있으며, 합사일 때에는 합사로 구성된 개별 실들이 피부 조직 내에서 각각의 기능적 역할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수술용 그물 조립체의 제1 실시예로서 그물 조립체를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물 조립체의 종단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그물 조립체의 단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수술용 그물 조립체의 제2 실시예로서 그물 조립체의 실과 망을 분리 상태의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그물 조립체의 실과 망을 조립 상태의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펠렛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에서의 실이 합사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기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해석한 확장 범위까지 포함하는 권리범위로 인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하기 도시된 도면들에서 각 참조부호들이 지시하는 각 구성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관계로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에는 각 참조부호들이 지시하는 구성들은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성형수술용 그물 조립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는, 제1 실시 예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할 수 있고, 제2 실시 예로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할 수 있으며, 특히 도 6은 제1,2 실시 예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에 걸쳐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가시(111)를 형성한 채 피부 속으로 자입되는 실(100)과, 상기 실에 결합 연결되는 그물 형상의 망(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그물 조립체는 시술용 바늘을 통하여 처진 피부와 주름진 부위에 삽입되는데, 특히 피부의 연한 조직으로서 안면 부위에 삽입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망(200)은 연한 피부 내부에서 조직과의 유착력 증강에 따라 실(100)의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하는데에 일조하면서 피부의 볼륨감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그물 조립체를 설명하자면, 실(100)에 결합 연결되는 망(200)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처지거나 주름진 피부 부위를 지지하는 것으로 조직과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조직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망(200)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실(100)에 결합 연결됨에 있어 상기 실(100)의 단사(單絲)로부터 분기되는 여러 가닥의 분기실(110)들과 연결되면서 실(100)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망(200)은 여러 가닥의 분기실(110)들에 의해 꿰매어지는 형태로 상기 분기실(110)들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실(100)과의 결합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실(110)들의 꿰매어지는 형태는 분기실(110)들이 상기 망(200) 속에 삽입되는 일부 구간과 함께 상기 망(200) 속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일부 구간을 반복하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망(200)에 꿰어진 분기실(110)들의 전체 형상이 요철(凹凸)형태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망(200) 속에 삽입된 상기 분기실(110)들의 일부 구간은 요철(凹凸)형 중 요부(凹部) 형태와 유사한 구성이며, 상기 망(200) 속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분기실(110)들의 일부 구간은 철부(凸部) 형태와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나의 실(100)로부터 분기되는 여러 가닥의 분기실(110)들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망(200)의 길이에 걸쳐 꿰매어지는 방식으로 연결되되, 망(200)의 말미에서 분기실(110)들이 망(200) 속으로 삽입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망(200) 외부로 나오는 구조임에 따라, 분기실(110)들이 망(200) 길이에 걸쳐 일부분들만 노출되어 전체적으로는 분기실(110)들이 망(200) 속에 근본적으로 삽입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실(100)과 함께 망(200)이 피부 내부로 삽입될 경우, 망(200)의 길이에 걸쳐 외부로 노출된 분기실(110)들의 일부 구간들이 철부(凸部) 형태와 유사한 구성임에 따라, 실(100)에 형성된 가시(111) 형상과 더불어 피부 속 조직 내에서의 지지력 증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망(200)도 상기 분기실(110)과 동일하게 철부(凸部) 형태로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분기실(110)과 협업하여 피부 속 조직 내에서의 지지력 기능을 발휘하며 일조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망(200)의 지지력 기능 발휘는 후술될 것이다.
상기 망(200)은 분기실(110)들의 당김이나 풀림 조절에 따라 그 부피가 외부를 향해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는바, 이러한 상기 망(200)의 부피 크기 조절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분기실(110)들의 구간마다 결합된 과립알갱이(150)들에 기인하게 된다.
즉, 상기 과립알갱이(150)들은 망(200) 속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인 분기실(110)들의 양단에 결합되는 구조인바, 상기 분기실(110)들의 양단에 고정되어 분기실(110)들의 당김 시에도 망(200) 속에 있는 분기실(110)들의 이탈 즉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 과립알갱이(150)들은 망(200) 속에 삽입된 분기실(110)들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망(200)의 말미로부터 나온 분기실(110)들을 당김 시에도 망(200)의 그물코에 걸려 외부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아, 망(200) 속에 삽입된 분기실(110)들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과립알갱이(150)들의 망(200) 속에서의 걸림은 분기실(110)의 당김이나 풀림 과정에서 망(200)의 부피 조절에 관여하게 된다.
물론, 상기 망(200)의 그물코들에 대한 직경은 과립알갱이(150)들의 직경보다 작아야 함은 당연하고, 예를 들어 과립알갱이(150)가 구 형상일 때에는 망(200)의 그물코는 구 형상이 아닌 다각 형상이 바람직한데, 이는 구와 다각이 동일한 크기일 경우에도 구는 다각의 각진 구성에 의해 빠져나올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망(200)의 그물코 형상을 다각으로 구성하는 점이 바람직하다. 이와 반대로 과립알갱이(150)가 구 형상이 아닌 다각 형상일 때에는 망(200)의 그물코 형상은 구 형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망(200)의 말미에서 나와 있는 상태의 분기실(110)들을 당길 경우에 망(200) 속에 있는 분기실(110)들의 양단에 고정된 과립알갱이(150)들이 상기 분기실(110)들의 당김력에도 불구하고 망(200)의 그물코에 걸림 상태로 외부 유출이 발생되지 않고, 이러한 과립알갱이(150)들의 걸림 유지 지속에 따른 상기 분기실(110)들의 당김력에 의해 망(200)은 그 변형이 나타나게 되면서 요철형 형태로 변모될 수 있고 이러한 망(200)의 요철형 변형은 피부 조직 내에서의 지지력 확보에 일조함과 더불어 부피 확장에 따른 처짐 피부나 주름 피부 부위의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기 과립알갱이(150)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형 정제로 형성된 구 형상의 소염부(151)와 상기 소염부의 둘레를 에워사는 형태로 형성된 점성부(1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립알갱이(150)들은 망(200) 속에 있는 분기실(110)들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바, 분기실(110)들 편에서는 상기 과립알갱이(150)들을 관통한 상태로서 상기 점성부(152)를 거쳐 상기 소염부(151)를 지나 다시 점성부(152)를 통과하는 형태로 관통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소염부(151)에서 분기실(110)들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는바, 이는 상기 소염부(151)가 고체 상태로 정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점성부(152)는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그물 조립체의 피부 조직 부위 주변에 과립알갱이(150)들의 유착 향상에 일조하는 전분의 점성물질로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전분의 점성물질은 점성이 강한 찹쌀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찹쌀의 높은 점성은 하기 실험 예를 통해서 그 이유를 개시하고자 한다.
가. 실험예
쌀가루와 찹쌀가루를 각각 50g씩 계량한 다음, 쌀가루에 물을, 찹쌀가루에는 뜨거운 물을 2숟가락 넣어 반죽한다. 이후 반죽한 것들을 각각 둥근 모양으로 빚은 다음, 각각의 반죽을 기름 두른 프라이팬에 지진 후, 익힌 쌀가루와 찹쌀가루 반죽을 손으로 당겨 비교하여 본다.
나. 실험 결과
익힌 쌀가루 반죽은 잘 늘어나지 않는 반면, 찹쌀가루 반죽은 손에 달라붙으면서 잘 늘어남을 알 수 있다. 이는 전분의 경우 아밀로오스(amylose)와 아밀로펙틴(amylopectin)의 혼합물로 구성되는바, 아밀로오스(amylose) 구조는 글루코스가 사슬 모양으로 α-1, 4- 결합을 한 수백 개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반면, 아밀로펙틴(amylopectin)의 구조는 25 ~ 30개의 글루코스가 α-1, 4- 결합으로 연결된 사슬이 기본이며, 한 개의 사슬에 다른 사슬이 나무가지처럼 결합되고, 분지한 사슬에는 다시 다른 사슬이 결합되어 분지가 매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밀로오스(amylose) 보다 아밀로펙틴(amylopectin) 성분에 의해 녹말의 점성이 강화됨을 알 수 있고, 위 실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찹쌀에는 아밀로오스(amylose) 보다 아밀로펙틴(amylopectin) 성분량이 더욱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녹말의 점성물질은 찹쌀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점성부(152)는 전분으로 이루어지는 점성물질로서 찹쌀로부터 추출된 물질들을 이용함에 따라, 과립알갱이(150)들의 점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과립알갱이(150)들은 그물 조립체의 삽입 지점인 해당 피부 조직 부위에서의 유착률을 높일 수 있다. 즉, 과립알갱이(150)들의 점성 강화로 인하여, 해당 피부 조직 부위에서의 과립알갱이(150) 유실 확률보다 유착될 확률이 현저히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성부(152)의 내부에는 소염부(151)가 구성되는바, 이러한 소염부(151)는 해당 피부 조직 내에 삽입된 그물 조직체의 이물감 자극에 의해 해당 피부 조직의 염증 유발을 제거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리프팅 시술 분야에서 대부분은 염증 유발 문제에 있으며, 바늘과 실의 자입 시에 피부 표면으로 발생하는 출혈은 일시적인 현상이라 별 문제될 게 없고, 부종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해결될 수 있지만, 염증은 피부 조직 내에서 유발되는 관계로 응급처치가 불가하여 방치될 경우 피부 괴사로까지 이어지는 심각한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이처럼, 리프팅 시술 분야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서 피부 조직 내에서의 염증 유발 문제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과립알갱이(150)의 점성부(152) 내부에 소염부(151)가 구성된 것이며, 이러한 소염부(151)는 염증을 치유하는 점에 탁월한 물질로서 멘톨(menthol)을 이용한다.
멘톨(mentho)은 소염제로서 뿐만 아니라, 소독제나 진통제 등의 약리 물질로도 많이 활용될 수 있으며, 박하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과립알갱이(150)들이 그물 조립체의 삽입 지점인 해당 피부 조직 내에서 점성부(152)의 점성 강화로 유착될 수 있고, 유착 이후 시간 경과에 따라 소염부(151)의 멘톨이 용해되면서 해당 피부 조직의 민감한 자극 부위로 흘러들어가 염증 유발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실(100)의 가시(111) 형상과 더불어 분기실(110) 및 망(200)의 요철 구현에 따라, 피부 조직 내에서의 지지력을 더욱 높이는 효과뿐만 아니라, 과립알갱이(150)의 구성에 따라 피부 조직 자극 부위로 약리 물질을 흘려보낼 수 있어 통증 경감이나 염증 유발을 방지하는 효과도 동시에 발휘되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성형수술용 그물 조립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200)이 다수로 분할된 형태로 분기실(110)들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는바, 이처럼 상기 망(200)이 호 형태로 상호 간에 간극(210)을 유지하며 개별 분기실(110)들에 의해 연결되며, 이러한 분기실(110)들의 연결 역시 상기 망(200)에 꿰매어지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다수로 분할된 상기 망(200)들 속으로 삽입된 개별 분기실(110)들의 양단 구간에도 과립알갱이(150)들이 결합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과립알갱이(150)들에 상세 설명은 상술된 내용을 통하여 참조될 수 있다.
다수의 망(200)에 각각 개별 분기실(110)들이 연결되는 구성은, 그물 조립체의 해당 피부 조직 삽입 상태에서, 개별 분기실(110)들의 리프팅 조절 과정에서 망(200)들이 독립적으로 개별 반응됨에 따라, 볼륨감의 조절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리프팅 조절 과정으로서 개별 분기실(100)들의 선택적인 당김 여부 및 당김 강도에 따라 개별 분기실(110)들에 각각 연결된 망(200)들이 개별적으로 당겨지는 반응을 하여 망(200)들 간의 독립적인 부피 팽창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볼륨감의 조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때 개별 분기실(110)들의 당김력에 따라 개별 망(200)들의 당김 반응은 망(200) 속에 있는 분기실(110)들의 양단에 결합 고정된 과립알갱이(150)들의 그물코 걸림에 기인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그물 조립체는 실(100)과 망(200)이 인체에 이물감을 줄여주거나 무해한 재질로 이용되기 위해서 PDO(polydioxanone)나 PLLA(Poly-L-Latic Acid)의 물질을 사용함에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그물 조립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이 단사가 아닌 합사(合絲)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합사일 때에는 개별 실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단사(100a)는 PDO(polydioxanone)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어느 하나 이상의 단사(100b)는 PLLA(Poly-L-Latic Acid)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 다른 어느 하나 이상의 단사(100c)는 합사의 중심에 위치된 심(core) 기능으로서 피부 조직 내에서의 이상 반응을 줄여줄 수 있는 약리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단사(100c)는 약리성 물질로 구성되는바, 상술된 과립알갱이와 동일하게 고체형 정제로 형성된 구 형상의 소염물질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소염물질의 둘레를 에워싼 형태의 점성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사(100c)의 점성물질 둘레를 따라 결합된 PDO 물질의 단사(100a)와 PLLA 물질의 단사(100b)들은 피부 조직 내에서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단사(100c)의 소염물질은 용해 상태로 피부 조직 내의 염증 유발 부위로 흘러들어가 염증을 치유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합사는 상기의 물질들뿐만 아니라, 피부 조직 상태에 따라 다른 물질들로 구성된 맞춤형 합사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는, 피부 조직 내에서의 지지력 증대와 함께 이용자의 피부 처짐이나 주름 상태에 따라 볼륨감을 선택적으로 조절해줄 수 있으며, 볼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아울러 가시 자극에 의한 염증 유발 문제를 해소하며, 설령 염증 유발시에도 염증 부위로 약리 물질을 직접 투여되는 방식으로 염증을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다.
100 : 실 110 : 분기실
111 : 가시
150 : 과립알갱이 151 : 소염부
152 : 점성부
200 : 망(網) 210 : 간극

Claims (7)

  1. 길이에 걸쳐 둘레를 따라 다수로 돌출되는 가시를 형성한 채, 처짐이나 주름진 피부 부위에 삽입되는 실;
    상기 실에 결합되어 상기 실과 함께 삽입되는 망; 및
    상기 실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망의 길이에 걸쳐 꿰매는 형태로 연결된 여러 가닥의 분기실 중에서 상기 망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분기실 구간의 양단에 결합 고정되는 과립알갱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단사 상태에서 여러 가닥으로 분기되는 분기실들을 포함하되,
    상기 분기실들이 상기 망의 길이에 걸쳐 꿰매는 형태로서 상기 망을 기준으로 상기 망에서 노출되는 구간과 삽입되는 구간이 반복되는 형태의 요철형 형태로 구성되면서 상기 실에 상기 망이 연결 결합되고;
    상기 실이 합사일 때에는 합사의 중심에 위치되어 피부 조직 내의 염증을 치유하는 약리성 물질의 단사;
    상기 약리성 물질의 단사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PDO(polydioxanone) 물질의 단사;
    상기 약리성 물질의 단사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PLLA(Poly-L-Latic Acid) 물질의 단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의 길이에 걸쳐 연결된 상기 분기실들 중에서 상기 망의 내부에 삽입되는 분기실 구간의 양단에 결합고정되는 과립알갱이들의 그물코 걸림에 따라, 상기 망의 말미로부터 나온 분기실들의 당김이나 풀림 조절시에, 상기 망의 길이에 걸쳐 연결된 분기실들이 요철형으로 변형되거나 변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은 하나의 원통 형태 또는 다수로 분리된 호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망의 말미로부터 나온 분기실들의 당김이나 풀림 조절시에, 상기 망의 길이에 걸쳐 연결된 분기실들과 함께 요철형으로 변형되거나 변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알갱이들은, 내부에서 구 형태이면서 고체 상태로 정제되며, 그물 조립체의 삽입 부위인 해당 피부 조직 내에서 액화되어 그물 조립체의 이물감 자극으로 발생되는 염증 부위로 흘러들어가 염증을 치료하게 되는 소염부;
    상기 소염부의 둘레를 따라 에워싸는 형태이면서 그물 조립체의 삽입 부위인 해당 피부 조직 주변으로 과립알갱이들을 유착시키는 전분 물질로 이루어지는 점성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염부는 박하로부터 추출되는 멘톨(menthol) 물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부는 전분 물질로서 점성 강도의 강화를 위해 찹쌀로부터 추출되는 물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KR1020160114236A 2016-09-06 2016-09-06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KR101729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236A KR101729187B1 (ko) 2016-09-06 2016-09-06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236A KR101729187B1 (ko) 2016-09-06 2016-09-06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187B1 true KR101729187B1 (ko) 2017-04-21

Family

ID=5870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236A KR101729187B1 (ko) 2016-09-06 2016-09-06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1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162B1 (ko) 2017-06-05 2018-10-08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WO2019066122A1 (ko) *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파인수처스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17B1 (ko) 2011-10-31 2012-06-12 김종우 조직거상용 이식물
KR101182337B1 (ko) 2012-02-14 2012-09-20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의료용 메쉬 구조
KR101192308B1 (ko) 2012-02-23 2012-10-17 구태훈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17B1 (ko) 2011-10-31 2012-06-12 김종우 조직거상용 이식물
KR101182337B1 (ko) 2012-02-14 2012-09-20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의료용 메쉬 구조
KR101192308B1 (ko) 2012-02-23 2012-10-17 구태훈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162B1 (ko) 2017-06-05 2018-10-08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WO2019066122A1 (ko) *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파인수처스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6618B2 (en) Patterned sling implant and method
CN111432750B (zh) 包括加强锚定的植发以及医疗安全特征
US20180206978A1 (en) Internal Long Term Absorbable Matrix Brassiere and Tissue Engineering Scaffold
AU2010328077B2 (en) Patterned sling implant
EP1411997B1 (de) Textiles implantat mit monofilen polyvinylfluorid-fäden
US9987115B2 (en) Film encapsulated pelvic implant system and method
KR101729187B1 (ko) 성형 수술용 그물 조립체
US20140163586A1 (en) Tissue repair devices and methods
KR101401840B1 (ko) 거상 수술용 메쉬
CA3007220A1 (en) Wound treatment device
US20140114266A1 (en) Ostomy Implant System and Method
US10206768B2 (en) Method for treating male urinary incontinence and a controllable urethral clamp
CN211094516U (zh) 一种新型肛瘘紧线装置
KR100982613B1 (ko) 생분해부를 가진 요실금 치료용 메쉬 및 그 직조방법
KR20210146941A (ko) 향상된 고정 및 의료 안전 구조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체
CN209695528U (zh) 止痛消肿护皮贴
RU2694474C1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аногенитальной области у женщин
CN208388688U (zh) 一种钛镍形状记忆合金痔瘘内口闭合夹
RU2776439C2 (ru) Волосяные имплантаты с усиленной фиксацией 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медицинск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CN204618480U (zh) 一种疝修补手术用网塞
RU29844U1 (ru) Бандаж для паховой и пахово-мошоночной грыж
RU2776439C9 (ru) Волосяные имплантаты с усиленной фиксацией 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медицинск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CN205041455U (zh) 疝气定位补片
RU2234294C2 (ru) Бандаж для паховой и пахово-мошоночной грыж
AU2013221965B2 (en) Patterned sling implant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