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490B1 -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490B1
KR102111490B1 KR1020190118553A KR20190118553A KR102111490B1 KR 102111490 B1 KR102111490 B1 KR 102111490B1 KR 1020190118553 A KR1020190118553 A KR 1020190118553A KR 20190118553 A KR20190118553 A KR 20190118553A KR 102111490 B1 KR102111490 B1 KR 102111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knitted fabric
elastic body
knitt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경
박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비엠
Priority to KR1020190118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61F2002/0068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having a special mesh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중간의 일정영역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편직물사를 배치하고 편직물사 양측으로는 외면에 돌기가 형성된 고정사를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피부 자입시 고정사는 돌기에 의해 시술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고, 근육움직임에 의해 고정사에게 작용하는 외력은 중간의 탄성영역인 편직물사 부분으로 전달되어 편직물사의 신축에 의해 외력을 상쇄 및 제거시켜 고정사가 시술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편직물사는 복수의 편직물로 형성되어 단면적 대비 표면적을 증가시켜 인체조직 유착을 용이하게 해 지지력과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Elastic Biodegradable multi-woven-knit fabrics and K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중간의 일정영역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편직물사를 배치하고 편직물사 양측으로는 외면에 돌기가 형성된 고정사를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피부 자입시 고정사는 돌기에 의해 시술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고, 근육움직임에 의해 고정사에게 작용하는 외력은 중간의 탄성영역인 편직물사 부분으로 전달되어 편직물사의 신축에 의해 외력을 상쇄 및 제거시켜 고정사가 시술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편직물사는 복수의 편직물로 형성되어 단면적 대비 표면적을 증가시켜 인체조직 유착을 용이하게 하여 지지력과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수술용 봉합재료로 사용되는 봉합사는, 수술 외상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부를 봉합하는 데 사용하는 실로서, 생체 내 분해여부에 따라 생분해성 봉합사와 비생분해성 봉합사로 분류할 수 있다.
생분해성 봉합사는 조직의 손상부가 봉합된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연 분해되어 없어지는 실로, 주로 피부를 고정하거나 연한 조직의 봉합에 사용된다. 비생분해성 봉합사는 조직의 손상부가 봉합된 후에도 분해되지 않는 실로, 주로 혈관, 정형외과 수술시 사용된다.
이러한 봉합사는 인체조직과의 긴밀성이 좋기 때문에 인체조직 자입에 의해 조직을 지지하거나 볼륨을 회복시키는 등 보형물로서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예컨대 인체조직에는 피부 내부로 이물질이 침범하면 이물질로부터 피부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이물질을 감싸는 자정치유물질이 포함된다. 이러한 자정치유물질은 피하조직을 보호함은 물론 결과적으로 피하층 내부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봉합사를 인체에 자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당분간 인체조직간 긴장감을 제공해 피부의 처짐이나 함몰 등을 예방 또는 복원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용 용도로의 봉합사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기존 미용 시술에 사용되는 봉합사는 전체가 하나의 연속된 실로 형성되며,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시술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형태는 시술자의 얼굴 피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시술자가 웃거나 울었을 때 나타나는 얼굴피부의 위치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봉합사가 시술위치에서 이탈되어 시술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70758호(2017.08.17.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은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제4실시예에서 내부에 공극을 갖는 공극부재인 근위부 양 단부에 단일사 코어부재인 원위부를 형성한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근위부는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점만 언급하고 구조에 의해 고정장치(봉합사) 전체에 탄성력을 제공한다는 내용은 기술되지 않았다. 또한, 피부조직에 유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표면적이 넓어야 하지만 근위부는 단일 튜브형이므로 튜브직경을 증가시키면 근위부의 직경도 같이 커져 피부 자입시 불편함이 있으므로 표면적을 증가에 제한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22640호(2018.01.22.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은 주름개선용 실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탄성복원용 실의 양단부에 직선형 실을 내입하여 결합한 것으로, 탄성복원용 실의 신축에 의해 얼굴표정을 자유롭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2는 탄성복원용 실의 형태에서 중공의 그물망 모양인 튜브형이 기재되어 있지만, 선행문헌1과 마찬가지로 양 단부에 직선형 실을 내입하는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실의 단면적을 최소화하면서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구조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9444호(2017.03.15.공개; 이하 '선행문헌3'이라 함)은 입체형 리프팅 메쉬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3은 상하로 길게 구비되고,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입체의 형태를 이루는 입체형 실과; 상기 입체형 실과 입체형 실의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입체형 실과 입체형 실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선행문헌3은 연결부재에 의해 입체공간을 제공하여 단면적을 확장하는 형태를 제공하나, 과도한 확장에 의해 피부 자입 구멍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의 신축성을 제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단면크기를 최소화하여 피부 자입시 통공크기를 작게 형성하고, 표면적을 증가시켜 피부조직 유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 길이방향으로는 신축성을 제공하여 얼굴근육 움직임을 따라 피부도 이동시켜 자연스러운 표정연출이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봉합사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70758호(2017.08.17.등록) :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822640호(2018.01.22.등록) : 주름개선용 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9444호(2017.03.15.공개) : 입체형 리프팅 메쉬
이에 본 발명의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는,
봉합사인 탄성체의 중간에 탄성영역을 형성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제공하되 탄성영역은 수직단면을 최소화하면서 표면적은 증대시켜 피부 자입시 직경확장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하면서 자입 후 조직과의 유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탄성영역을 형성하는 편직물사에는 내측 일부에 고정체를 결합하여 고정체로 구분된 양측 편직물사가 각각 독립적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고정체를 기준점으로 하여 절곡되어 시술을 시행할 수 있어 하나의 탄성체 시술로 2개의 봉합사를 시술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는,
신축성을 갖는 편직물사를 다수 길이방향으로 병렬배열한 편직물다발과, 상기 편직물다발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고 외면에 돌기가 다수 형성된 고정사로 구성되어 피부 리프팅용으로 사용되는 탄성체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사는 2~50 가닥의 필라멘트를 상호교차한 다층메쉬판 또는 메쉬관으로 형성하고, 상기 편직물다발은 2~10 가닥 이상의 편직물사를 병렬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편직물다발은 각 편직물사가 서로 분리된 형태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편직물다발에는 1~4개의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편직물다발의 길이에 따라 신축길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외면에 다수의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자입된 피부 내에서 배치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링형태로 형성하여 편직물다발을 내포해 결합되거나, 기둥형태로 형성하여 양단에 편직물다발을 부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멀티 편직물 탄성체는 다수의 편직물다발을 고정사에 의해 직선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사와 편직물사의 재질은, 폴리글리콜리드(Polyglycolic acid, PGA), 폴리글락틴(Polyglactin, PGLA),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글리콜라이드-코-카프로락톤(Poly(glycolide-co-caprolactone), PGCL), 폴리 L-락트산(Poly L-lactic acid, PLLA),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 HA), 금편복사(Gold weaving), 키토산(Chitosa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 고분자 또는 2종 이상 중합한 공중합체로 구성된 생분해성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편직물 탄성체 키트는,
피부 리프팅용 키트에 있어서, 본 발명에 기재된 멀티 편직물 탄성체와; 상기 멀티 편직물 탄성체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바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는,
봉합사인 탄성체 중간에 편직물사를 연결한 탄성영역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의 신축성을 제공해 시술 후 안면근육 움직임에 의해 피부조직도 같이 대응하여 움직이게 해 자연스러운 표정의 연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탄성영역을 형성하는 편직물사는 복수의 가닥으로 형성하여 하나의 대직경 실보다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피부 자입후 피부조직과 유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편직물사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고정부재가 자입된 피부에 고정되는 기준점 역할을 함으로 양측으로 비대칭의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고,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양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시술이 가능하여 하나의 탄성체로 2개의 봉합사를 시술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편직물 탄성체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편직물다발의 A-A 부분 단면도.
도 1c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사를 도시한 개략도.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상하 연결된 편직물다발로 형성된 멀티 편직물 탄성체를 도시한 개략도 및 B-B 부분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멀티 편직물 탄성체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c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가 결합된 멀티 편직물 탄성체를 도시한 개략도 및 작용상태도.
도 4d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편직물 탄성체의 양단에 바늘이 결합된 키트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편직물 탄성체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편직물다발의 A-A 부분 단면도이고, 도 1c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참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편직물 탄성체(10)는 피부에 자입하여 리프팅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편직물다발(20)과, 고정사(3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편직물사(21)는 2~50가닥의 필라멘트를 상호교차한 편직물로서 도 1c와 같은 메쉬관(21a) 또는 도 1d와 같은 다층메쉬판(21b) 형태의 실이다. 상기 다층메쉬판 형태의 편직물사(21b)는 상하층간 연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편직물이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의 신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로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거나, 여러 가닥이 꼬인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여 편직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a는 2가닥의 편직물사(21)로 편직물다발(20)을 형성한 형태이다. 상기 편직물다발(20)은 2~50가닥의 편직물사(21)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병렬 배치해 수취할 수 있으며, 편직물에 의해 제조되어 길이방향으로의 신축성을 제공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물사(21)를 분리배치하여 각각의 편직물사에서 독립적인 탄성력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편직물다발의 평면도와 B-B단면도를 참조한 바와 같이 편직물다발(20)을 구성하는 편직물사(21)는 서로 결합하여 하나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편직물사(21)가 일체로 결합된 편직물다발(20)은 외면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표면적이 증가되어 피부 자입시 피부유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편직물사(21) 간의 결합은 열 또는 본드에 의한 부착, 또는 별도의 결합실을 사용한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편직물다발을 형성하는 편직물사(21)는 도 1a와 같이 각각이 분리배치되는 것이 도 2a와 같이 하나로 결합된 것보다 표면적을 더 증가시킬 수 있고, 직조 및/또는 편조에 의해 제조되어 미세틈이 다수 형성됨으로 이를 통해 조직의 유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유착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a와 도 3a를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편직물다발(20) 양측 또는 일측으로는 고정사(30)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편직물다발(20)의 단부와 고정사(30)의 단부는 열융착 방식 또는 본드 또는 결합실에 의해 서로 부착 또는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고정사(30)는 외면에 다수의 돌기(31)가 형성되어 피부조직에 자입시 돌기(31)가 피부조직으로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고정사(30)의 돌기(31)는 돌출방향을 고정사 표면에서 수직방향 이외에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피부로의 자입이 용이하도록 자입방향과 역방향으로 돌기(31)가 돌출되게 하며, 도면에서는 편직물다발(20)이 연결된 방향으로 돌기(31)가 형성된다. 멀티 편직물 탄성체가 자입된 안면근육의 움직임으로 방향성을 갖는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피부에 발생되면 고정사(3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이루어지지 않고 돌기(31)에 의해 피부에 고정됨으로 작용된 힘은 편직물다발(20) 영역으로 전달된다.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전달받은 편직물다발(20)은 편직물조직의 구조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얼굴피부에 탄성체(10)를 자입시에는 신축변화가 크게 발생되는 피부 부분에 편직물다발(20)이 배치되게 함으로써 어느정도 피부를 당기면서 큰 외압이 작용시 신축이 이루어져 얼굴에 자연스러운 표정이 연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사(30)와 편직물사(21)의 재질은, 생분해성재질을 사용해 일시적으로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피부유착이 완료되면 분해되어 제거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폴리글리콜리드(Polyglycolic acid, PGA), 폴리글락틴(Polyglactin, PGLA),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글리콜라이드-코-카프로락톤(Poly(glycolide-co-caprolactone), PGCL), 폴리 L-락트산(Poly L-lactic acid, PLLA),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 HA), 금편복사(Gold weaving), 키토산(Chitosa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 고분자 또는 2종 이상 중합한 공중합체로 구성된 생분해성고분자로 제조하는 것이다.
도 3b를 참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편직물 탄성체(10)는 다수의 편직물다발(20)을 고정사(30)에 의해 직선 연결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신축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다수 형성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얼굴표정을 연출할 수 있다. 즉, 얼굴부위 중 신축이 발생되는 다수의 부위에 편직물다발(20)이 배치되도록 하면서 한 번에 시술이 가능하게 하고, 신축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위는 고정사(30)를 배치하여 위치를 고정시켜 신축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발생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편직물다발(20)의 수직단면은 편직물사(21)의 수직단면에 대해 2~4배 직경으로 형성하여 피부자입시 편직물다발의 걸림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사와 편직물다발의 연결부위에는 원뿔모양의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피부로의 자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편직물다발에 고정부재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편직물사(21)가 배열된 편직물다발(20)의 중간부분에 고정부재(40)를 장착한 것으로, 고정부재(40)를 통해 편직물 다발의 위치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정부재(40)로 구획된 편직물다발의 양측이 서로 비대칭 또는 분리되어 신축작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40)는 자체적으로 마찰저항이 발생되어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이러한 저항은 양측 중 어느 일측에서 발생되는 신축성이 타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켜 하나의 탄성체(10)에서 서로 다른 신축작용이 발생되게 할 수 있다.
도 4b는 고정부재(40)의 외면에 다수의 고정돌기(41)를 형성하여 고정부재의 저항성을 더 증가시켜 고정부재의 시술위치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40)의 고정력이 증가되면 도 4c를 참조한 바와 같이 탄성체(10)는 직선 또는 곡선 시술이외에 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양측을 접어서 양 단부측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시술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탄성체(10)로 2개의 탄성체가 시술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탄성체(10)에 다수의 고정부재(4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각각이 고정기준점이 되어 다중고정에 의해 신축범위를 제한하면서 탄성체의 시술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얼굴표정에 따라 부위별로 구분하여 신축이 이루어지게 조절할 수 있어 신축되는 얼굴조직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0)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에서 수직절단시 링형태로 제공하여 편직물다발을 내포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40)는 편직물다발(20)을 압박하도록 강하게 결합되어 고정부재 내부에서 편직물다발이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0)는 편직물다발(20)의 영역 중 정중앙이 아닌 일측으로 편향되어 장착함으로써 고정부재 양측의 편직물다발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서로 다른 당김력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40)가 일측으로 편향되어 설치된 탄성체(10)는, 얼굴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시술시 시술자의 비대칭얼굴에 대응되도록 고정부재의 위치를 변화시켜 시술할 수 있어 비대칭얼굴을 대칭얼굴로 변화시킬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0)는 내부로 편직물다발(20)이 관통되지 않은 기둥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40)와 편직물다발(20)은 열융착 또는 결합제에 의한 부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0)는 돌출두께를 낮추기 위해 일정두께의 판형으로 형성하여 피부자입시 돌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도 생분해성 고분자로 형성하여 자연적으로 분해 제거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편직물 탄성체를 포함하는 키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키트(1)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10)의 양단부에 각각 바늘(90)을 연결하여 시술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바늘(90)은 피부 리프팅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바늘이 적용될 수 있다.
1 : 키트
10 : 탄성체
20 : 편직물다발
21,21a,21b : 편직물사
30 : 고정사
31 : 돌기
40 : 고정부재
41 : 고정돌기
90 : 바늘

Claims (8)

  1. 피부 리프팅용으로 사용되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10)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 편직물사(21)를 길이방향으로 다수 병렬배열한 편직물다발(20)과; 상기 편직물다발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연속 결합되도록 융착결합되고 외면에 돌기(31)가 다수 형성된 비신축성인 고정사(30);로 구성되되,
    상기 편직물사(21)는 2~50 가닥의 필라멘트를 상호교차한 다층메쉬판 또는 메쉬관으로 형성하고,
    상기 편직물다발(20)은 2~10 가닥의 편직물사(21)를 병렬배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다발(20)은 각 편직물사(21)가 서로 분리된 형태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다발(20)에는 1~4개의 고정부재(40)를 설치하여 편직물다발의 길이에 따라 신축길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외면에 다수의 고정돌기(41)를 형성하여 자입된 피부 내에서 배치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링형태로 형성하여 편직물다발(20)을 내포해 결합되거나, 기둥형태로 형성하여 양단에 편직물다발(20)을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
  6.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편직물다발(20)을 고정사(30)에 의해 직선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사(30)와 편직물사(21)의 재질은,
    폴리글리콜리드(Polyglycolic acid, PGA), 폴리글락틴(Polyglactin, PGLA),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글리콜라이드-코-카프로락톤(Poly(glycolide-co-caprolactone), PGCL), 폴리 L-락트산(Poly L-lactic acid, PLLA),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 HA), 금편복사(Gold weaving), 키토산(Chitosa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 고분자 또는 2종 이상 중합한 공중합체로 구성된 생분해성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
  8. 피부 리프팅용 멀티 편직물 탄성체 키트에 있어서,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멀티 편직물 탄성체(10)와;
    상기 멀티 편직물 탄성체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바늘(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편직물 탄성체 키트.
KR1020190118553A 2019-09-26 2019-09-26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2111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553A KR102111490B1 (ko) 2019-09-26 2019-09-26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553A KR102111490B1 (ko) 2019-09-26 2019-09-26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490B1 true KR102111490B1 (ko) 2020-05-18

Family

ID=7091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553A KR102111490B1 (ko) 2019-09-26 2019-09-26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96886C1 (ru) * 2022-08-02 2023-05-29 Денис Анатольевич Груздев Медицинская нить для подтяжки мягких тканей лица и тела с амортизи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571B1 (ko) * 2006-06-15 2007-08-03 이정일 성형수술용 선형인장재
US20100234947A1 (en) * 2007-07-26 2010-09-16 Yaniv Ben Rubi Implanted medical device especially used in cosmetic surgery
KR101401840B1 (ko) * 2013-01-14 2014-05-29 김태원 거상 수술용 메쉬
KR101635581B1 (ko) * 2015-01-07 2016-07-04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KR20170029444A (ko) 2017-02-23 2017-03-15 주식회사 지엠디 입체형 리프팅 메쉬
KR101770758B1 (ko) 2016-06-16 2017-08-24 김종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KR101822640B1 (ko) 2017-07-05 2018-01-26 박은희 주름개선용 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571B1 (ko) * 2006-06-15 2007-08-03 이정일 성형수술용 선형인장재
US20100234947A1 (en) * 2007-07-26 2010-09-16 Yaniv Ben Rubi Implanted medical device especially used in cosmetic surgery
KR101401840B1 (ko) * 2013-01-14 2014-05-29 김태원 거상 수술용 메쉬
KR101635581B1 (ko) * 2015-01-07 2016-07-04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KR101770758B1 (ko) 2016-06-16 2017-08-24 김종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KR20170029444A (ko) 2017-02-23 2017-03-15 주식회사 지엠디 입체형 리프팅 메쉬
KR101822640B1 (ko) 2017-07-05 2018-01-26 박은희 주름개선용 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96886C1 (ru) * 2022-08-02 2023-05-29 Денис Анатольевич Груздев Медицинская нить для подтяжки мягких тканей лица и тела с амортизи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1933B1 (en) Polymeric mesh products and method of production
EP3202336B1 (en) Elastic tissue reinforcing fastener
RU2535616C2 (ru) Шовные нити с зазубринами и стопорами для тампонов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RU2484779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шовный материал, состоящий из сплетенных нитей
JP5116190B2 (ja) 薄い柔軟な組織外科手術支持メッシュ
AU2009309443B2 (en) Tubular implantable cord
CN111821064B (zh) 时间依赖性生理组织支架
US11696819B2 (en) Method for forming a mesh having a barbed suture attached thereto and the mesh thus obtained
ES2898463T3 (es) Un método para hacer tejido de punto de agarre de dos lados
KR102111490B1 (ko)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CN112494174A (zh) 一种界面锚钉编织钉鞘装置及其制作方法
US20230320832A1 (en) Implants suitable for soft tissue repair
EP3410951A2 (en) Implantable textile anchor
RU267531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легченной четырехосной хирургической сетки
CN110099610A (zh) 针与网状缝线的间接附接
JP2008537027A (ja) ほどくことのできる編物
WO2019093555A1 (ko) 콘타입 관형봉합사 및 이를 결합한 니들 조립체
CN116549036B (zh) 经骨缝合全缝线锚钉及方法
CN214259573U (zh) 一种界面锚钉编织钉鞘装置
KR20230160835A (ko) 메시 및 그 사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