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640B1 - 주름개선용 실 - Google Patents

주름개선용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640B1
KR101822640B1 KR1020170085653A KR20170085653A KR101822640B1 KR 101822640 B1 KR101822640 B1 KR 101822640B1 KR 1020170085653 A KR1020170085653 A KR 1020170085653A KR 20170085653 A KR20170085653 A KR 20170085653A KR 101822640 B1 KR101822640 B1 KR 101822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
barb
thread
improving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희
Original Assignee
박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희 filed Critical 박은희
Priority to KR102017008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1Sutur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은 일정구간의 양단에 고정부(A)가 형성되고, 양 고정부(A) 사이의 구간에 탄성부(B)가 형성된 탄성복원용 실(300), 외표면에 미늘(410)이 돌출된 직선형상의 실(4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직선형상의 실(400)은 고정부(A)에 내삽되고, 상기 미늘(410)은 권선된 코일모양의 외측으로 돌출된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경사진 미늘(410)의 하단부는 권선된 코일 중 하나가 받치는 기능을 하고, 미늘(410)의 상단부는 상기 받치는 기능을 하는 코일에 인접한 권선된 코일이 눌러주는 기능을 하여, 미늘(410)이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탄성복원용 실(300)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주름개선용 실 {Thread for Wrinkle Removing}
본 발명은 주름개선용 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 피하에 시술한 경우, 얼굴이 경직되지 않고 표정을 자유롭게 지을 수 있으면서도, 피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주름개선용 실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직선형상을 갖는 주름개선용 실은 표면에 미늘(13)이 다수 개 돌출되어 피하에서 피부를 용이하게 인장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주름개선용 실(10)은 시술용 바늘의 내부에 삽입한 후, 피하에 시술용 바늘을 찔러 넣는다. 그리고, 피부를 눌러서 주름개선용 실(10)이 압박되도록 한 후, 시술용 바늘을 당겨내면 주름개선용 실(10)만 피하에 잔류된
다.
그러면, 피부는 상기 주름개선용 실(10)의 미늘(13)에 걸려서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렇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주름개선용 실은 피하에서 피부를 당기는 역할만을 하게 되므로 피부는 경직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얼굴을 찡그리거나 웃는 표정을 자연스럽게 지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주름개선용 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
또 다른, 종래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주름개선용 실은, 인장된 상태에서 피하조직에 삽입, 고정된 후, 얼굴 표정을 지을 때는 압축되고, 표정이 없으면 다시 원래대로 복원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도 2a 및 2c내지 2e 및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개선용 실(100)은, 스프링 모양, 길이 방향으로 좌우로 번갈아가며 지그재그로 절곡을 반복한, V형 모양, ㄷ형 모양 또는 U형 모양 및 표면에 홈(M)이 형성되면서 두 개의 주름개선용 실(100)을 꼬은 모양이 공지되어 있으며, 도 2b 및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개선용 실(100)에 돌기(110)가 다수 개 더 형성되도록 하여 피부와의 결합력을 상승시켜, 피부를 용이하게 인장 및 복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도 공지되어 있다.
상기 주름개선용 실(100)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며, 폴리글리콜릭산(polyglycolic acid), 폴리글락틴(polyglacyin)폴리디옥사논(polydioxaone), 폴리글레카프론(polyglecaprone)25, 폴리글리코네이트(polyglyconate),글리코머(glycomer), 터폴리머(terpolymer)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복원의 기능을 가지는 주름개선용 실의 시술 예를 살펴보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용 바늘(200)은 선단이 뾰족하고 길
게 형성된 관체(210)와 상기 관체(210)에 끼워진 링(22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시술용 바늘(200)의 선단으로 주름개선용 실(100)을 집어넣어서 관체(210)의 홀(213) 내부로 주름개선용 실(100)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주름개선용 실(100)에서 관체(210)에 삽입되지 않은 부분은 인장되어 상기 링(220)과 관체(210) 사이로 삽입되어 인장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링(220)과 관체(210) 사이의 간극은 주름개선용 실(100)을 압박하여 잡을 수 있도록 조정된 것이다.
시술과정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L)을 손으로 눌러서 편 상태에서 주름(L) 양측방의 피부(S)와 피하조직(K) 사이로 시술용 바늘(200)을 밀어 넣는다.
그리고, 시술용 바늘(200) 상부의 피부(S)를 누른 후, 시술용 바늘(200)을 뽑아낸다. 그러면, 주름개선용 실(100)은 피부(S)에 눌려서 압박되므로, 시술용 바늘(200)만 인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된 주름개선용 실(100)이 주름(L)의 양 측방에 위치하게 되고, 인장된 상태에서 다시 수축하려는 복원력 때문에 피부(S)를 당기게 되어, 주름(L)이 당겨지는 것이므로, 주름(L)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돌기(110)로 인해서 피부(S)와 결합력이 상승되어 더욱 용이하게 인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술결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개선용 실(100)이 피부(S)와 피하조직(K) 사이에 위치한 경우, 콜라겐(C)이 주름개선용 실(100)로 모여들고, 상기 콜라겐(C)은 피부(S)와 피하조직(K)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주름개선용 실(100)이 콜라겐(C)을 당기게 되므로, 피부(S)를 당기는 현상이 유지된다. 또한, 돌기(110)로 인해서 주름개선용 실(100)이 피하조직(K)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더욱 용이하게 피부(S)를 당겨서 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개선용 실(100)의 표면에 형성된 홈(M)에 의해서 주름개선용 실(100)이 피하조직(K) 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더욱 용이하게 피부(S)를 당기게 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시술된 얼굴에 표정을 지을 경우, 주름(L)이 다시 형성되는데, 이 경우, 도 5에서처럼, 상기 주름개선용 실(100)은 주름(L)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컬(curl) 모양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일직선에 가깝게 펴진 상태가 된다.
표정을 짓기 위해 얼굴 근육에 가한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주름개선용 실(100)이 압축되는 복원력에 의해 주름(L)은 다시 당겨서 펴지게 된다.
이처럼, 주름(L)의 형성과 펴지는 현상이 자유로울 수 있으므로 다양한 표정을 지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직선형상을 갖는 주름개선용 실은 그 두께가 굵으면, 피부와의 결합력은 향상되나, 피부의 외면에서 비치게 되고, 두께가 가늘면, 피부의 외면에서는 비치지 않으나, 피부와의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 탄성복원력을 갖는 주름개선용 실은 돌기와 홈에 의하여 피부와의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것이므로, 실과 피부와의 결합력이 떨어져서, 탄성복원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397518호 (2014.05.20. 공고) '주름개선용 실'
본 발명은 종래의 주름개선용 실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탄성복원력을 유지하면서도 피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주름개선용 실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은 일정구간의 양단에 고정부가 형성되고, 양 고정부 사이의 구간에 탄성부가 형성된 탄성복원용 실, 외표면에 미늘이 돌출된 직선형상의 실로 이루어지되; 직선형상의 실은 고정부에 내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복원용 실은, 권선된 코일모양, 길이 방향으로 좌우로 번갈아가며 지그재그로 절곡을 반복한, V형 모양, ㄷ형 모양, U형 모양, 표면에 홈이 형성되면서 두 개의 주름개선용 실을 꼬은 모양, 중공의 그물망 모양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늘는 권선된 코일모양의 외측으로 돌출된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경사진 미늘의 하단부는 권선된 코일 중 하나가 받치는 기능을 하고, 상기 경사진 미늘의 상단부는 받치는 기능을 하는 코일에 인접한 권선된 코일이 눌러주는 기능을 하여, 미늘이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탄성복원용 실이 고정부가 형성된 구간에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늘의 경사진 방향은, 한쪽 방향으로 동일하게 경사지거나,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불규칙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복원용 실은,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글리콜릭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코-락틱산(polyglyco-lactic acid:PGLA),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생분해성 고분자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름개선용 실의 한쪽 끝 또는 양쪽 끝에 바늘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은 탄성복원력을 유지하면서도 피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복원용 실의 내부에 피하조직과 결합,고정기능 가지는 미늘이 구비된 직선형상의 실이 삽입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탄성복원용 실에 의한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직선형상의 실에 형성된 미늘에 의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탄성복원용 실의 인장강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탄성복원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하며, 주름개선용 실이 피부의 외부에서 비치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직선형상을 갖는 주름개선용 실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주름개선용 실로서, 2a는 주름개선용 실이 스프링 모양으로 형성된 것은 보여주는 사시도. 도 2c는 주름개선용 실이 V형 모양으로 형성된 것은 보여주는 정면도. 도 2d는 주름개선용 실이 ㄷ형 모양으로 형성된 것은 보여주는 정면도. 도 2e는 주름개선용 실이 U형 모양으로 형성된 것은 보여주는 정면도. 도 2g는 주름개선용 실이 표면에 홈이 형성되면서 두 개의 주름개선용 실을 꼬은 모양으로 형성된 것은 보여주는 정면도. 도 2b 및 2f는 주름개선용 실에 돌기(110)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종래 주름개선용 실을 시술용 바늘에 장착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시술 예시도
도 5는 종래 주름개선용 실이 피하에 삽입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이 압축된 상태의 사시도
도 8a 는 미늘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도. 도 8b는 미늘이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도
도 9 내지 도11은 미늘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한 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의 작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의 제2실시 예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의 시술 상태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이 압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은 탄성복원용 실(300)과 직선형상의 실(400)로 대별된다.
상기 탄성복원용 실(300)은 코일형상을 하고 있으며, 나선형으로 권선된 코일의 내측은 중공부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직선형상의 실(400)을 내삽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은 탄성복원용 실(300)은 힘을 가해서 인장한 후, 힘을 제거하면 다시 수축되어 복원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종래의 기술과 같이(도면 제2도 참조) 스프링 모양, 길이 방향으로 좌우로 번갈아가며 지그재그로 절곡을 반복한, V형 모양, ㄷ형 모양 또는 U형 모양 및 표면에 홈(M)이 형성되면서 두 개의 주름개선용 실(100)을 꼬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탄성복원용 실에 돌기가 다수 개 형성되도록 하여 피부(S)와의 결합력을 상승시켜, 피부를 용이하게 인장 및 복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탄성복원용 실(300)에 돌기가 다수 개 형성되도록 하여 피부(S)와의 결합력을 상승시켜, 피부를 용이하게 인장 및 복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탄성복원용 실(300)의 양 단부의 일정구간에는 고정부(A)가 형성되고, 양 고정부(A) 사이의 구간에는 탄성부(B)가 형성되는데, 고정부(A)에만 후술하는 직선형상의 실(400)이 내삽된다.
상기 직선형상의 실(400)은 탄성복원용 실(300)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인 중공부로 삽입되어, 고정부(A)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직선형상의 실(400)의 외표면에는 미늘(410)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탄성복원용 실(300)의 고정부(A)에 내삽된다. 상기 미늘(410)은 사출 또는 압출 등으로 직선형상의 실(400)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하거나, 별도로 제조하여 직선형상의 실(400)에 접착하여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는 직선형상의 실은 원형 단면을 갖는 실시 예로 설명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들 직선형상의 실은 표면적을 증가키시고 미늘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원형 단면은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평행6면체, 사다리꼴, 장사방형, 5각형, 6각형, 십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 직선형상의 실의 제조는 원형 단면을 갖는 다이를 사용하는 압출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필라멘트를 절단하여 제조되며, 압출 다이는 특정의 원하는 단면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미늘(410)은 경사진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직선형상의 실(400)이 탄성복원용 실(300)의 고정부(A)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미늘(410)은 권선된 탄성복원용 실(300)의 외부로 돌출되는데, 경사진 미늘(410)의 하단부는 권선된 코일 중 하나가 받치는 기능을 하고, 경사진 미늘(410)의 상단부는 상기 받치는 기능을 하는 코일에 인접하는 권선된 코일이 눌러주는 기능을 하여, 미늘(410)이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탄성복원용 실(300)이 고정부(A)가 형성된 구간 내에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권선된 코일의 외측에 형성된 틈새로 미늘(410)이 돌출되며, 미늘(410)은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직선형상의 실(400)의 외표면에 형성된 미늘(410)의 경사진 방향이 한쪽 방향으로 동일하게 경사진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늘(410)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거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수도 있으며, 이렇게 미늘의 경사방향이 상이하도록 하는 것은 피부에 매입된 직선형상의 실(400)이 얼굴 등의 근육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서, 최초의 시술위치에서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고자 함이다.
여기에서는 미늘(410)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편의상 직선형상의 실(400)의 외표면에 하나씩 일렬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미늘(410)이 다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렬로 형성되지 않고, 엇갈려서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주름개선용 실의 한쪽 끝 또는 양쪽 끝에 바늘이 더 구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미늘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한 여러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9a에 도시된 미늘은 직선형상의 실(400)에 나선상 패턴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미늘(410)이 구비되어 있고, 미늘(410) 각각은 직선형상의 실(400) 외표면에 형성된다. 직선형상의 실(400)의 양 끝단에는 미늘이 없다.
도 9b에 도시된 미늘은 직선형상의 실(400)의 외표면에는 불규칙 배열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미늘(4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늘(410)을 불규칙 배열함으로써, 미늘의 경사각이 피하조직에 우수한 정착, 즉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도 10a에 도시된 본 실시 예에서 각각의 미늘(410)은 미늘(410) 하측이 톱니모양(410a)이 형성되어 있어, 피하조직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도 10b에 도시된 직선형상의 실(400)의 외표면 형성된 미늘(410)은 아치형 베이스(410b) 모양을 하고 있다.
도 11a에 도시된 직선형상의 실(400)의 외표면에 형성된 미늘(410)은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모양이다.
도 11b에 도시된 직선형상의 실(400)의 외표면에 형성된 미늘(410)은 두개의 길이방향 인접한 복수개의 제1 미늘(411) 및 제2 미늘(412)이 직선형상의 실(400)의 외표면에 나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의 작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의 작용을 살펴보면, 권선된 코일형상의 탄성복원용 실(300)의 중공부에 내삽된 직선형상의 실(400)의 구조를 갖는 '주름개선용 실'을 피부의 피하조직에 삽입하는데, 탄성복원용 실(300)의 탄성부(B)를 인장한 상태에서 주름(C)이 형성되어 있는 피부(D)의 양쪽에 삽입하면,
탄성복원용 실(300)의 권선된 코일의 외측에 형성된 틈새로 돌출된 미늘(410)이 피부의 피하조직과 결합력을 증대시켜, 주름개선용 실의 위치가 최초 시술위치에서 변동되지 않게, 주름(C)의 양쪽에 고정시키면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복원용 실(300)의 탄성부(B)가 주름(C)을 양쪽으로 당기게 되어 피부가 펴진 상태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술자가 웃거나 찡그리거나 하여, 피부에 주름이 잡히는 경우에는 탄성복원용 실(300)의 탄성부(B)가 압축되면서, 주름이 생겨나서, 자연스러운 표정을 짓는 것이 가능하며, 표정이 없는 모습으로 돌아가면, 탄성복원용 실(300)이 인장되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주름이 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미늘(410)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일정한 경사구조가 유지되는 것이어서, 주름개선용 실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방향성을 가지는 것이므로, 주름개선용 실이 미늘(410)의 경사구조와 역방향으로 움직이려는 것을 최소화하여 주름개선용 실의 위치를 시술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탄성복원용 실(300)이 피부(D)와 피하조직(E) 사이에 위치할 때, 콜라겐(F)이 탄성복원용 실(300)로 모여들고, 그 콜라겐(F)이 피부(D)와 피하조직(E)에 부착된 상태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종래에 주름을 개선하기 위하여 직선형상의 실만을 사용할 때, 그 실이 두꺼우면 피하조직과의 결합력은 향상되나, 피부의 외부에서 실의 모양이 비추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실이 얇으면, 실이 외부에서 비추어지지는 않지만 피하조직과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을, 직선형상의 실(400)이 얇아도 탄성복원용 실(300)에 결합되는 콜라겐(F)으로 인하여 피하조직과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은 탄성복원력을 유지하면서도 피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탄성복원용 실의 내부에 피하조직과 결합,고정기능을 가지는 미늘이 구비된 직선형상의 실이 삽입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탄성복원용 실에 의한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직선형상의 실에 형성된 미늘에 의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주름개선용 실이 피부의 외부에서 비치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의 제2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복원용 실의 구조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먼저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탄성복원용 실의 구조만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탄성복원용 실(500)은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그물망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그물망 구조의 틈새로 직선형상의 실(400)의 외표면에 형성된 미늘(410)이 돌출된다. 이러한 그물망 구조를 갖는 탄성복원용 실을 피부에 매입하면, 그물망에 조직이 차오르는 현상{티슈 인그로스(Tissue ingrowth) 현상}으로 인하여 피부의 탄력을 복원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 주름개선용 실의 시술 상태 예시도이다.
도 14a에서는 나이가 든 얼굴의 연약하고 늘어진 부분의 피하조직에 주름개선용 실을 삽입한 후, 주름(C)을 잡아당기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시술용 바늘은 관자놀이 피부(D)에 구멍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리고 이 바늘은 미리 정해진 시술 선을 따라 코 입술 부근의 주름 영역에까지 옮겨진다. 바늘의 구멍을 통해서 주름개선용 실이 삽입된다.
도 14b는 바늘이 당겨지고, 주름개선용 실에 있는 미늘이 피하조직으로부터 주름개선용 실이 미끄러져 빠져나오는 것을 막기 때문에, 주름개선용 실은 피하조직에 남아서 피부(D)가 당겨진 그대로의 모습과, 주름개선용 실의 끝부분이 피부 밖까지 나와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도 14c 참조)
그 후, 주름개선용 실의 양쪽 끝부분이 피부(D) 표면 가까이서 잘려지고 피부 속으로 묻혀지게 된다. 이 경우, 주름(C)이 있던 연부 조직 전체가 균일하게 들어올려지고 따라서 주름살과 피부 주름이 부드럽게 펴지게 된다.
도 14c는 피부와 주름개선용 실이 고정된 연부 조직 영역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시술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주름개선용 실들을 여러 가닥 사용하여 주름진 안면 부분에 시술할 수 있다. 이런 주름개선용 실들을 사용하여 주름을 제거할 경우, 지방 흡입술이나 눈가 주름 제거술과 같은 외과적으로 심각한 수술들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주름개선용 실들로 시술하는 것은 간단하고 출혈이 없으며, 상처가 남지 않는다. 본 시술은 국부 마취 하에 입원하지 않고도 행해질 수 있고, 회복기간도 짧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복원용 실(300)(500)의 재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탄성복원용 실(300)(500)은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글리콜릭산
(polyglycolic acid, PGA),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코-락틱산(polyglyco-lactic acid:PGLA)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생분해성 고분자 재질로 형성되는데, 상기의 고분자는 내부에 방향적 분자 배열성을 지니며, 이것이 고분자의 높은 인장 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고분자는 체온으로 가열받는 경우 연성은 증가하나 수축변형이 일어나 분자 배열성을 상실하면서, 소성변형이 일어나서, 인장 강도를 상실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탄성력을 상실할 수가 있다.
따라서 고분자 재질의 탄성복원용 실(300)(500)이 체내에 있더라도 수축 변형하지 못하도록 양단을 고정하면 체온에 의하여 가열되더라도 연성은 증가하면서 소성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인장 강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체 내에서 고분자재질의 탄성복원용 실(300)(500)이 탄성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것처럼, 탄성복원용 실(300)(500)은 모두 수축변형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직선형상의 실(400)의 외표면에 형성된 미늘(410)에 의하여 양단이 고정되어 있어, 수축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므로, 고분자재질을 갖는 탄성복원용 실(300)(500)은 피부 속의 조직에서 체온에 의하여 가열되더라도, 인장강도를 상실하지 않는 것이어서, 결과적으로 탄성력 또한 상실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300: 탄성복원용 실 400: 직선형상의 실
410: 미늘 410a: 톱니모양
410b: 아치형베이스 411: 제1미늘
412: 제2미늘
A: 고정부 B: 탄성부
C: 주름 D: 피부
F: 콜라겐

Claims (6)

  1. 일정구간의 양단에 고정부(A)가 형성되고, 양 고정부(A) 사이의 구간에 탄성부(B)가 형성된 탄성복원용 실(300)(500),
    외표면에 미늘(410)이 돌출된 직선형상의 실(4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직선형상의 실(400)은 고정부(A)에 내삽되며,
    상기 탄성복원용 실(300)(500)은,
    권선된 코일모양, 길이 방향으로 좌우로 번갈아가며 지그재그로 절곡을 반복한, V형 모양, ㄷ형 모양, U형 모양, 표면에 홈(M)이 형성되면서 두 개의 주름개선용 실(100)을 꼬은 모양, 중공의 그물망 모양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양이며,
    상기 미늘(410)은 권선된 코일모양의 외측으로 돌출된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경사진 미늘(410)의 하단부는 권선된 코일 중 하나가 받치는 기능을 하고,
    상기 경사진 미늘(410)의 상단부는 상기 받치는 기능을 하는 코일에 인접한 권선된 코일이 눌러주는 기능을 하여, 미늘(410)이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탄성복원용 실(300)이 고정부(A)가 형성된 구간에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410)의 경사진 방향은, 한쪽 방향으로 동일하게 경사지거나,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불규칙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실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용 실(300)은,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글리콜릭산
    (polyglycolic acid, PGA),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코-락틱산(polyglyco-lactic acid:PGLA),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생분해성 고분자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실
  6.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개선용 실의 한쪽 끝 또는 양쪽 끝에 바늘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실
KR1020170085653A 2017-07-05 2017-07-05 주름개선용 실 KR101822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653A KR101822640B1 (ko) 2017-07-05 2017-07-05 주름개선용 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653A KR101822640B1 (ko) 2017-07-05 2017-07-05 주름개선용 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640B1 true KR101822640B1 (ko) 2018-01-26

Family

ID=6102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653A KR101822640B1 (ko) 2017-07-05 2017-07-05 주름개선용 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64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490B1 (ko) 2019-09-26 2020-05-18 주식회사 파인비엠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WO2020197104A1 (ko) * 2019-03-28 2020-10-01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봉합사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히알루론산이 코팅된 봉합사의 제조방법
KR20210033932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네오닥터 신축성 있는 가변부를 갖는 리프팅 실
WO2022196888A1 (ko) *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네오닥터 통증저감을 위한 가변형 리프팅 실
WO2023013982A1 (ko) * 2021-08-04 2023-02-09 주식회사 네오닥터 신축성 있는 가변부를 갖는 리프팅 실
RU2796886C1 (ru) * 2022-08-02 2023-05-29 Денис Анатольевич Груздев Медицинская нить для подтяжки мягких тканей лица и тела с амортизи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18B1 (ko) * 2012-06-07 2014-05-20 홍유리 매선용 탄성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18B1 (ko) * 2012-06-07 2014-05-20 홍유리 매선용 탄성실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104A1 (ko) * 2019-03-28 2020-10-01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봉합사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히알루론산이 코팅된 봉합사의 제조방법
KR20200114388A (ko) *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봉합사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히알루론산이 코팅된 봉합사의 제조방법
KR102230164B1 (ko) 2019-03-28 2021-03-22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봉합사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히알루론산이 코팅된 봉합사의 제조방법
KR102450523B1 (ko) * 2019-09-19 2022-10-05 주식회사 네오닥터 신축성 있는 가변부를 갖는 리프팅 실
KR20210033932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네오닥터 신축성 있는 가변부를 갖는 리프팅 실
CN114466622A (zh) * 2019-09-19 2022-05-10 创新医生株式会社 具有弹性可变部的提升线
KR102111490B1 (ko) 2019-09-26 2020-05-18 주식회사 파인비엠 생분해성 멀티 편직물 탄성체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WO2022196888A1 (ko) *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네오닥터 통증저감을 위한 가변형 리프팅 실
KR20220129407A (ko) *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네오닥터 통증저감을 위한 가변형 리프팅 실
KR102601290B1 (ko) * 2021-03-16 2023-11-10 주식회사 네오닥터 통증저감을 위한 가변형 리프팅 실
WO2023013982A1 (ko) * 2021-08-04 2023-02-09 주식회사 네오닥터 신축성 있는 가변부를 갖는 리프팅 실
KR102662158B1 (ko) 2021-08-04 2024-05-03 주식회사 네오닥터 신축성 있는 가변부를 갖는 리프팅 실
RU2796886C1 (ru) * 2022-08-02 2023-05-29 Денис Анатольевич Груздев Медицинская нить для подтяжки мягких тканей лица и тела с амортизи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640B1 (ko) 주름개선용 실
EP2051747B1 (en) Suture for wound closure, tissue approximation, tissue support, suspension and/ or fixation
US7468068B2 (en) Suture for wound closure, tissue approximation, tissue support, suspension and/or fixation
KR101701434B1 (ko) 신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
RU2139734C1 (ru) Хирургическая нить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US20080046094A1 (en) Linear tension material for plastic surgery
KR102114925B1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WO2007133103A1 (fr) Matériau de suture chirurgicale et procédé d'utilisation associé
JP2007532174A5 (ko)
WO2003103733A1 (en) Surgical thread "aptos" for cosmetic surgery
RU2664160C2 (ru) Самофиксирующиеся шовные нити, обладающие контурными микрошипами, обеспечивающими проход сквозь ткань, и увеличивающие прочность фиксации
KR101621759B1 (ko) 절곡형 미늘 봉합사
US20210361279A1 (en) Suture For Connecting A Human Or Animal Tissue, Soft Anchor And Method For Attaching A Tissue To A Bone
KR102450523B1 (ko) 신축성 있는 가변부를 갖는 리프팅 실
KR101397518B1 (ko) 매선용 탄성실
KR102205020B1 (ko) 실 삽입기
CN108784766A (zh) 一种带齿管悬提线
KR101435723B1 (ko) 성형 수술용 실
KR102632653B1 (ko) 피부 주름제거 성형용 실
KR101568995B1 (ko) 성형수술용 탄력실
KR102131154B1 (ko) 리프팅 실 및 실 삽입용 의료기기
KR102601290B1 (ko) 통증저감을 위한 가변형 리프팅 실
JP7415214B1 (ja) 美容手術用メッシュアセンブリ
US20220031316A1 (en) Barbed su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arbed suture
KR20240074470A (ko) 피부 리프팅 실 삽입기 및 그 피부 리프팅 실 삽입기를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