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68899A1 -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68899A1
WO2013168899A1 PCT/KR2013/002975 KR2013002975W WO2013168899A1 WO 2013168899 A1 WO2013168899 A1 WO 2013168899A1 KR 2013002975 W KR2013002975 W KR 2013002975W WO 2013168899 A1 WO2013168899 A1 WO 20131688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arer
accident
helmet
input
hard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29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CN201380024087.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270979B/zh
Priority to JP2015508851A priority patent/JP6005843B2/ja
Priority to MYPI2014703232A priority patent/MY185294A/en
Priority to EP13787821.1A priority patent/EP2848138B1/en
Publication of WO20131688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68899A1/ko
Priority to US14/536,050 priority patent/US972388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42B3/0446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intended to light the way ahead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5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83Array of refle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2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working 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hat and an accident handling method using a hard h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rd hat containing a philosophy of respecting the life of the worker to the highest priority and an accident handling method using the hard hat.
  • This helmet serves to protect the wearer's head from external impacts.
  • the head lamp is not integrally provided, and the head lamp is fixed by using a fixing strap for fixing the head lamp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lmet. This i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helmet to normally wear so that the wearer does not feel the weight or discomfort due to the wearing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at can check the surroundings by the ambient light, even without using a headlamp.
  • LED is suitable as a lighting means that can emit high brightness light.
  • the hard hats with LED headlamps are listed i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0780 (announcement date 26 October 2010).
  •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0780 is installed so that the LED lights are accommodated inside the shade of the helmet in a rotatable state, so that the LED lights can be exposed as needed.
  • the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9911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a shock as a means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which is to detect the impact on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exhaustion, fainting or head of the user without an impact
  • a sensor for detecting a shock as a means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which is to detect the impact on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exhaustion, fainting or head of the user without an impact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afety helmet to form a head lamp using the LED integrally to the helmet, so that the wearer does not feel discomfort due to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ED.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helmet that can prevent the life of the LED applied to the headlamp of the safety helmet integrat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helmet that can continuously detect the conscious state of the wearer to detect accidents of various causes in addition to the direct impact.
  •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relates to an accident handling method using a hard hat and hard hat, and a hard hat body portion of the resin material to provide a hemispherical space to be worn on the head of the human body, and It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lmet body portion, and receives the substrate mounted with an LED to provide an illumination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wearer, and extends along the upper center from the front side of the helmet body portion to the rear side, part of the substrate
  • the accident handling method using the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ing the detection means to determine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when the state of the wearer's movement is longer than the set time, and b) confirming the accident occurrence judgment and the wearer's consciousness Outputting a voice signal through the consciousness checking means so as to check the status; and c) if the judgment result of step b) is unconscious, reporting the accident report content stored in memory to the rescue team through the reporting means. do.
  • the hard ha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heat dissipation part of the metal material to be combined with the hard hat body part made of resin through heterogeneous injection, thereby dissipat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ED used as the lighting part to the upper side of the hard hat, causing the wearer to suffer from heat generated from the LED. There is an effect that does not feel.
  • the hard ha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easily prevent the heat life of the LED by the heat by easily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L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 radiating portion.
  • the accident handling method using the helmet and the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ilosophy that puts the wearer's life as the highest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wearer's consciousness when the accident occurs, and if there is no consciousness, the accident occurrence position, the wearer's information to the rescue team automatically By making it possible to transmit,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responding irrespective of the cause of the accident.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rd 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FIG.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in FIG. 1.
  •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lighting unit applied to the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helmet body part 110 accommodation space part
  • heat radiation fin 220 protrusion
  • Substrate 420 LED
  •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570 Emergency signal generation unit
  • GPS module 597 proximity sensor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rd h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Figure 1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FIG.
  • the hard h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helmet body portion 100 of the resin material to provide a hemispherical space to be worn on the head of the human body, and the safety helmet body portion ( It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100, and receives the substrate 410 on which the LED 420 mounted to provide a light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wearer 400 and the front side of the helmet body portion 100 in the rear
  • the heat dissipation unit 200 extends along the upper center to the side and discharges heat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410, and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110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elmet body part 100.
  • a battery that is accommodat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500 and the battery compartment space 120 of the rear side of the helmet body portion 100 to supply power to the communication device 500 and the lighting unit 400 ( 300).
  • the helmet body portion 100 and the heat dissipation portion 200 is made of a resin material and a metal material, respectively, the heat dissipation portion 200 in the injection mold of the helmet body portion 100 in the injection molding state Inserted and manufactured in a state coupled with the helmet body portion 100.
  • the shape of the helmet body portion 100 is a structure that is provided with a hemispherical space on the inside, it is possible to wear on the head of the human body. If necessary, it is natural that the endothelial body, such as styrofoam, can b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helmet body part 100.
  • the side of the helmet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portion 110 which protrudes partially in a hemispherical structure and is not in contact with the wearer, the battery housing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battery 300 can be accommodated
  • the space part 120 is provided.
  • the front part is opened, the lighting unit case 450 provided with a groove to which the switch 460 is coupled to the top is also injection molded integrally with the helmet body portion 100.
  • one end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ighting unit case 450, and then the substrate 410 on which the LED 420 is mounted on the heat dissipation unit 200 located inside the lighting unit case 450.
  • the heat emitted from the LED 420 can be more effectively transferred to the heat radiating unit 200 to radiate heat.
  • FIG.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200.
  • the heat dissipation fins 210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20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220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thereof.
  • the heat dissipation fin 210 may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200 to increas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20 may be more firmly bonded to the helmet body portion 100.
  • heat dissipation fins 210 may serve as reinforcing ribs,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helmet body portion 100 while minimizing the increase in the overall weight.
  •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is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helmet body part 100 spaced apart from the heat dissipating part 200.
  •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20 provides a predetermined volume of space, and the battery 300 is accommodated therein to supply power to the substrate 41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500.
  • the lighting unit 400 is a power supply of the battery 300 is supplied to the substrate 410 by operating the switch 460 of the wearer to operate the LED 420, the reflector 430 limiting the emission angle of light And a lens 440 is provided to illuminate the light of the LED 420 at an appropriate angle.
  • the lens 440 may be used a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cover in consideration of light efficiency.
  • 5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lighting unit 400.
  • the ligh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420, and reflecting units 431 and 432 having different radiation angles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LEDs 420.
  • the LEDs 420 on the side of the reflectors 431 and 432 having a specific radiation angle can be selected to supply power. Therefore, a wide radiation angle and a narrow radiation angle can be selected. Can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wearer to select the focused light or the general light according to the work content,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device applied to a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munication device 500 applied to the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helmet body part 100, and specifically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adjacent communication device 500.
  •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510, the camera 520 for capturing the image,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520 are stored in the memory 54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stored images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ccident.
  • control unit 530 for controlling the accident processing when the determination of the accident
  •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30 570
  •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560 for communicating with the wearer's mobile phone 580 and performing a rescue reque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30 when an accident occurs
  • a radio receiver 590 for receiving a radio broadcast
  • the proximity sensor 597 is configured.
  •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520 is usually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at a short distan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51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work together or use it f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climbing. It can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leader, using the microphone 511 and the speaker 512 can be voice communication between the worker or between the manager and the worker, or people climbing together.
  •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510, the microphone 511, and the speaker 512 will be referred to as communication means.
  • the radio receiver 590 may receive a radio broadcast and listen through the speaker 512.
  • the howling sound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speakers 512 of other users.
  • the wearing state of the hard hat is detected by using the proximity sensor 597, and when the hard hat is removed, the pow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510 may be cut off to prevent howling from occurring.
  • the controller 530 stores the image of the camera 520 in the memory 540 as still image data at a specific period, and compares the still image data stored in the previous period with the still image data currently stored.
  • the first determination is made as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 the controller 530, the camera 520, and the memory 540 serve as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n accident, and a gyro sensor may be used in place of the camera 520.
  • the still image is stored in the memory 540 at intervals of 10 seconds, and when one minute elapse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each still image,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occurs.
  • Such a determination method can recognize that an accident occurs due to a wearer's usual disease or health condition or a specific gas leak in the workplace even without an external impact. This makes the life of the wearer a top prior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ard hat detecting the amount of impact transmitted directly to the hard hat.
  • the detection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wearer's condition as a result, and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sult rather than the cause of the accident.
  •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movement of a gyro sensor may be used. That is, when the state where there is no motion in the sensor that can detect the motion is longer than the set time, it can be determined as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 control unit 530 determines whether an actual accident has occurred or is the wearer not focusing on the work and does not move, and if the wearer is conscious, the memory 540 and the control unit 530. And through the consciousness confirmation means consisting of the speaker 512.
  • An example of the voice signal is, "Have you okay?" If the wearer presses or speaks a specific button of the input unit 550, the controller 530 determines that the wearer is conscious even if an accident does not occur or an accident occurs. .
  • the controller 530 outputs the voice signal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511 or an input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55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inputs or inputs the voice of the voice. If there is an input signal at, no accident occurs, or even if an accident occurs, the wearer is determined to be conscious.
  • the accident report When the wearer is conscious, the accident report is pressed by pressing the emergency button provided in the input unit 550. At this time, the accident report will operate in the same or similar flow as the unconscious stat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e explanation.
  • the controller 530 determines that the wearer is unconscious,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through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570, and also reports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 560 connects to the wearer's mobile phone 580 and makes a rescue request to the 119 rescue team.
  • the rescue request contents may be voice data pre-stored in the memory 540, or may be a text message or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data.
  • the rescue request contents may include a wearer's name, sex, blood type, age, usual illness, past medical history, and the like. It may includ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ccident using the GPS data received by the GPS module 595.
  • the wearer's information is stored in advance and transmitted to the rescue team, thereby obtaining accurate rescue measures.
  •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accident caused by various causes irrespective of the cause, and even if the accident is unconscious, by automatically reporting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can be handled, realizing the value of respect for life hav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lighting unit using the LED in the helmet, to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heat release of the LED, to determine whether the wearer's acciden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ake the 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afety of the wearer It provides industrial convenience by providing convenience and conveni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반구형의 공간을 제공하는 수지재의 안전모 바디부와, 상기 안전모 바디부의 전면측에 마련되며, 엘이디를 실장한 기판을 수용하여 착용자의 전면부에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와, 상기 안전모 바디부의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상부 중앙을 따라 연장되되, 일부가 상기 기판의 배면에 접하여 열을 방출하는 금속재의 방열부와, 상기 안전모 바디부에 수용되어, 통신 및 응급상황 발생을 처리하는 통신장치부와, 상기 안전모 바디부에 수용되어 상기 통신장치부와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금속재질의 방열부를 수지재인 안전모 바디부와 이종사출을 통해 결합되도록 하여, 조명부로 사용되는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을 안전모의 상부측으로 방출함으로써, 착용자가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생명을 최우선으로 존중한다는 철학을 담은 안전모와 그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조선소, 광산 등의 산업현장을 출입하는 자는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법제화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모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 안전모에는 헤드램프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지 않고, 필요에 따라 안전모의 외측 둘레에 헤드램프를 고정하는 고정끈을 이용하여 헤드램프를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평상시 안전모의 중량을 줄여 착용자가 안전모의 착용에 의한 중량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특별히 헤드램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주변의 조명에 의해 주변을 확인할 수 있는 환경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화재 등에 의해 정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별도의 헤드램프나 조명수단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는 어둠 속에서 방향을 잃을 수 있으며, 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착용자가 중량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중량을 가지는 헤드램프를 안전모에 고정설치할 필요성이 있다. 이처럼 가볍고, 배터리의 소모량이 적으며, 고휘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조명수단으로서 엘이디가 적합하다.
엘이디를 헤드램프로 적용한 안전모는 등록실용신안 20-0450780호(공고일자 2010년 10월 26일)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20-0450780호는 엘이디 조명을 회동가능한 상태로 안전모의 차양부 내측에 수용되도록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엘이디 조명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등록실용신안의 기재 내용에서는 안전모에 설치되는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구조가 없으며, 엘이디가 차양부의 하부측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경우 그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착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엘이디의 수명은 급격하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별도로 안전모에 착용자의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둔 선행기술들이 있으며, 그 예로 공개특허 10-2010-0089911호를 들 수 있다.
상기 공개특허 10-2010-0089911호에는 사고 발생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충격을 검출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는 충격이 없는 사고인 사용자의 탈진, 실신 또는 머리 이외의 인체 부분에 대한 충격을 감지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안전모의 기능성의 실현이라는 부분에서는 기술적인 의의가 있으나, 착용자의 안전과 생명을 최우선 가치로 하는 장치는 아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전모에 엘이디를 이용한 헤드램프를 일체로 형성하되, 착용자가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안전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안전모 일체형의 헤드램프에 적용되는 엘이디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모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착용자의 의식 상태를 지속적으로 판별하여 직접적인 충격 이외에 다양한 원인의 사고를 감지할 수 있는 안전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이 사고의 발생을 감지하면 착용자의 의식 여부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사고 발생 위치와, 착용자의 평소 지병이나 건강상태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송신할 수 있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안전모는, 본 발명은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반구형의 공간을 제공하는 수지재의 안전모 바디부와, 상기 안전모 바디부의 전면측에 마련되며, 엘이디를 실장한 기판을 수용하여 착용자의 전면부에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와, 상기 안전모 바디부의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상부 중앙을 따라 연장되되, 일부가 상기 기판의 배면에 접하여 열을 방출하는 금속재의 방열부와, 상기 안전모 바디부에 수용되어, 통신 및 응급상황 발생을 처리하는 통신장치부와, 상기 안전모 바디부에 수용되어 상기 통신장치부와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은, a) 검출수단을 사용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가 설정시간 이상 지속 되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사고 발생 판단의 확인 및 착용자의 의식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의식확인수단을 통해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의식이 없는 경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사고신고 내용을 구조대에 신고수단을 통해 신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 안전모는, 금속재질의 방열부를 수지재인 안전모 바디부와 이종사출을 통해 결합되도록 하여, 조명부로 사용되는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을 안전모의 상부측으로 방출함으로써, 착용자가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안전모는 상기 방열부를 통해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그 열에 의하여 엘이디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은, 착용자의 생명을 최우선 가치로 하는 철학을 담아 사고의 발생시 착용자의 의식 유무를 판단하고, 의식이 없는 경우 사고 발생위치, 착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구조대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의 원인에 무관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방열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모에 적용되는 조명부의 일실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장치부의 일실시 구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안전모 바디부 110:수용공간부
120:배터리 수용공간부 200:방열부
210:방열핀 220:돌출부
300:배터리 400:조명부
410:기판 420:엘이디
430:반사부 440:렌즈
450:조명부 케이스 460:스위치
500:통신장치부 510:통신모듈
511:마이크 512:스피커
520:카메라 530:제어부
540:메모리 550:입력부
560:블루투스 통신부 570:응급신호발생부
580:휴대전화 590:라디오 수신부
595:지피에스 모듈 597:근접센서
이하, 본 발명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는, 인체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반구형의 공간을 제공하는 수지재의 안전모 바디부(100)와, 상기 안전모 바디부(100)의 전면측에 마련되며, 엘이디(420)를 실장한 기판(410)을 수용하여 착용자의 전면부에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400)와, 상기 안전모 바디부(100)의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상부 중앙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기판(410)의 배면에 접하여 열을 방출하는 금속재의 방열부(200)와, 상기 안전모 바디부(100)의 측면측에 일부 돌출된 수용공간부(110)에 수용되는 통신장치부(500)와, 상기 안전모 바디부(100)의 후면측 배터리 수용공간부(120) 내에 수용되어 상기 통신장치부(500)와 조명부(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안전모 바디부(100)와 방열부(200)는 각각 수지재와 금속재로 이루어지면, 상기 방열부(200)는 일체 가공된 상태에서 안전모 바디부(100)의 사출성형시 그 사출금형 내에 삽입되어 그 안전모 바디부(100)와 결합된 상태로 제작된다.
상기 안전모 바디부(100)의 형상은 내측에 반구형의 공간이 마련되는 구조로, 인체의 머리에 착용함이 가능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안전모 바디부(100)의 내측에 스티로폼 등의 내피를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안전모 바디부(100)의 측면측에는 반구형의 구조에서 일부 돌출되어 착용자에게 접촉되지 않는 수용공간부(110)가 마련되어 있으며, 후면측에는 배터리(3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터리 수용공간부(12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스위치(460)가 결합되는 홈이 마련된 조명부 케이스(450)도 상기 안전모 바디부(10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조명부 케이스(450)의 내측에는 상기 방열부(200)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후 조명부 케이스(450) 내측에 위치하는 방열부(200)에 엘이디(420)가 실장된 기판(410)이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엘이디(420)에서 방출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열부(200)에 전달하여 방열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상기 방열부(200)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열부(200)의 길이방향으로는 방열핀(210)이 마련되어 있으며, 저면측에는 다수의 돌출부(2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방열핀(210)은 방열부(200)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방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다수의 돌출부(220)는 상기 안전모 바디부(100)와의 접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핀(210)은 보강리브의 역할을 하게 되어 전체적인 중량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안전모 바디부(100)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열부(200)와 이격되는 안전모 바디부(100)의 후면측에는 배터리 수용부(1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수용부(120)는 소정 부피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내측에 배터리(300)가 수용되어 상기 기판(410)과 통신장치부(5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조명부(400)는 착용자의 스위치(460) 조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300)의 전원이 기판(410)에 공급되어 엘이디(420)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광의 방출각을 제한하는 반사부(430)와 렌즈(440)가 마련되어 있어, 적당한 각도로 엘이디(420)의 광을 조사하여 조명하게 된다.
상기 렌즈(440)는 광효율을 고려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로 대체 사용함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상기 조명부(400)의 다른 실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엘이디(420)를 구비하며, 각 엘이디(420) 마다 서로 다른 방사각을 가지는 반사부(431,432)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스위치(460)의 조작에 의해 특정한 방사각을 가지는 반사부(431,432) 측의 엘이디(420)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방사각이 넓은 조명과 방사각이 좁은 조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자가 작업 내용에 따라 집중조명 또는 일반조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안전모에 적용되는 통신장치부의 일실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모에 적용되는 통신장치부(500)는 상기 안전모 바디부(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인접한 다른 통신장치부(5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모듈부(510)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520)와, 상기 카메라(5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정 주기로 메모리(540)에 저장함과 아울러 그 저장된 영상을 비교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하며, 사고의 판단시 사고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530)와, 착용자가 제어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부(550)와, 상기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응급신호를 발생시키는 응급신호발생부(570)와, 사고의 발생시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착용자의 휴대전화(580)와 통신하여 구조요청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부(560)와,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라디오 수신부(590)와, GPS 신호를 수신하는 지피에스 모듈(595)과, 안전모의 착용상태를 확인하여 착용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530)에 착용이 해제됨을 인식시켜 마이크(511)와 스피커(512)를 포함한 통신모듈부(510)를 정지시키는 근접센서부(5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통신장치부가 마련된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평상시에는 상기 카메라(5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통신모듈부(510)를 통해 근거리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어 작업 내용을 관리자가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거나, 등산 등 레저활동에 사용할 때 인솔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마이크(511) 및 스피커(512)를 이용하여 작업자간 또는 관리자와 작업자간, 또는 함께 등산하는 사람들과 음성 통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통신모듈부(510), 마이크(511) 및 스피커(512)를 통신수단으로 칭한다.
등산 등 레저활동을 할 때 상기 라디오 수신부(590)에 의해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여, 상기 스피커(512)를 통해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511)와 스피커(512)가 인접해 있어 상기 통신모듈부(510)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그 마이크(511)와 스피커(512)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경우, 즉 착용자가 안전모를 벋는 경우 하울링이 발생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스피커(512)를 통해 하울링음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근접센서(597)를 사용하여 안전모의 착용상태를 검출하여, 안전모를 벋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부(510)의 전원을 차단하여 하울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530)는 카메라(520)의 영상을 특정한 주기로 정지영상 데이터로 메모리(540)에 저장하며, 이전 주기에 저장한 정지영상 데이터와 현재 저장되는 정지영상 데이터를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시간 지속 되면 사고의 발생으로 1차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30)와 카메라(520) 및 메모리(540)는 사고발생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되며, 상기 카메라(520)를 대신하여 자이로 센서를 사용할 수 있음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즉, 정지영상을 10초 간격으로 메모리(540)에 저장하며, 각 정지영상의 비교결과 움직임이 없는 상태가 1분이 경과 하면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은 판단방법은 외부의 충격이 없어도 착용자의 평소 질환이나 건강상태 또는 작업장에서 특정한 가스의 유출 등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종래의 안전모가 안전모에 직접 전해지는 충격량을 검출하는 것에 비하여 보다 더 착용자의 생명을 최우선 가치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검출수단은 결과적으로 착용자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사고의 원인보다는 결과에 주목하여 사고 발생을 검출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520)를 이용한 사고 발생의 1차 판단방법 이외에 자이로 센서(도면 미도시) 등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에서 움직임이 없는 상태가 설정된 시간 이상이 되면 사고의 발생으로 1차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사고 발생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30)는 실제 사고가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착용자가 작업에 집중하여 미동도 하지 않은 것인지, 또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착용자가 의식이 있는지 메모리(540), 제어부(530) 및 스피커(512)로 이루어지는 의식확인수단을 통해 확인한다.
이는 메모리(540)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512)를 통해 재생하여, 착용자에게 응답을 요구한다. 상기 음성신호의 예로는 "주인님 괜찮으십니까?" 등의 질문일 수 있으며, 이때 착용자가 입력부(550)의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말을 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30)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사고가 발생하였더라도 착용자가 의식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제어부(530)는 음성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시간 동안 마이크(511)를 통한 음성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또는 입력부(550)를 통한 입력신호가 있는지 확인하여, 음성의 입력 또는 입력부(550)에서 입력신호가 있으면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사고가 발생하였더라도 착용자가 의식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착용자가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550)에 마련된 비상버튼을 눌러 사고 신고를 하게 된다. 이때의 사고 신고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의식이 없는 상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흐름의 동작을 하게 되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대로 상기 음성의 입력이나 입력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530)는 착용자가 의식이 없는 것으로 최종 판단하여, 응급신호발생부(570)를 통해 응급신호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신고수단인 블루투스 통신부(560)를 통해 착용자의 휴대전화(580)에 연결하여 119구조대 등에 구조요청을 하게 된다.
이때 구조요청 내용은 메모리(540)에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이거나, 문자 메시지 또는 미리 규약된 통신데이터일 수 있으며, 그 구조요청 내용에는 착용자의 이름, 성별, 혈액형, 나이, 평소 질병, 과거 병력 등을 포함하며, 상기 GPS 모듈(595)에 수신된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한 현재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착용자의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두고, 이를 구조대에 일괄 전송함으로써, 정확한 구조 조치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주변의 동료들에게 사고가 발생함을 알릴 수 있다. 이는 통신모듈부(510)를 통해 메모리(540)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송신하여 알릴 수 있으며, 저장된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일괄 전송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그 원인에 무관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사고자가 의식이 없는 경우에도 사고의 발생을 자동으로 신고하여 처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명 존중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응용 범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등산, 레프팅, 자전거 등의 레저활동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자동처리를 비롯하여, 군사용 안전모에 장착하여 작전 수행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사고의 처리도 자동으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독거노인들이 눈을 치우다 쓰러져 동사하는 등, 주변에 돌봐줄 사람이 없는 독거노인들의 사고발생여부 및 의식상태를 병원이나 119구조대에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어, 독거노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전모에 엘이디를 이용하는 조명부를 사용하되, 엘이디의 열방출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하고, 착용자의 사고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른 조치를 자동으로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착용자의 안전과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20)

  1. 인체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반구형의 공간을 제공하는 수지재의 안전모 바디부;
    상기 안전모 바디부의 전면측에 마련되며, 엘이디를 실장한 기판을 수용하여 착용자의 전면부에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
    상기 안전모 바디부의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상부 중앙을 따라 연장되되, 일부가 상기 기판의 배면에 접하여 열을 방출하는 금속재의 방열부;
    상기 안전모 바디부에 수용되어, 통신 및 응급상황 발생을 처리하는 통신장치부; 및
    상기 안전모 바디부에 수용되어 상기 통신장치부와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바디부와 상기 방열부는 이종사출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의 상부에는 다수의 방열핀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안전모 바디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엘이디는 둘 이상이며, 각 엘이디들의 광방출각이 상호 다르도록 광방출각을 제한하는 반사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부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
    사고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사고 발생시 사고자의 의식이 있는지 확인하는 의식확인수단; 및
    상기 의식확인수단에 의해 의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착용자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사고 신고를 수행하는 신고수단을 포함하는 안전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일정한 주기의 정지영상으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설정시간 동안 영상에 변화가 없으면 사고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식확인수단은,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고,
    소정 시간 동안 착용자의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 또는 입력부를 통한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부는,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라디오 수신부;
    지피에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지피에스 모듈; 및
    착용상태를 검출하여, 착용상태가 아니면 상기 통신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는 안전모.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으로서,
    a) 검출수단을 사용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가 설정시간 이상 지속 되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사고 발생 판단의 확인 및 착용자의 의식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의식확인수단을 통해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의식이 없는 경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사고신고 내용을 구조대에 신고수단을 통해 신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정 주기로 검출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메모리에 미리 입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착용자의 음성입력 또는 입력부를 통한 입력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여, 입력이 없으면 착용자가 의식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휴대전화에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하여, 사고 발생 신고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14. 제9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사고신고 내용은,
    착용자의 이름, 성별, 혈액형, 나이, 평소 질병, 과거 병력,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15. a) 검출수단을 사용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가 설정시간 이상 지속 되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사고 발생 판단의 확인 및 착용자의 의식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의식확인수단을 통해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의식이 없는 경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사고신고 내용을 구조대에 신고수단을 통해 신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정 주기로 검출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메모리에 미리 입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착용자의 음성입력 또는 입력부를 통한 입력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여, 입력이 없으면 착용자가 의식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휴대전화에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하여, 사고 발생 신고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20. 제15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사고신고 내용은,
    착용자의 이름, 성별, 혈액형, 나이, 평소 질병, 과거 병력,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PCT/KR2013/002975 2012-05-08 2013-04-09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WO2013168899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24087.XA CN104270979B (zh) 2012-05-08 2013-04-09 头盔和用于使用该头盔处置事故的方法
JP2015508851A JP6005843B2 (ja) 2012-05-08 2013-04-09 安全帽及び安全帽を用いた事故処理方法
MYPI2014703232A MY185294A (en) 2012-05-08 2013-04-09 Helmet and a method for dealing with an accident using the helmet
EP13787821.1A EP2848138B1 (en) 2012-05-08 2013-04-09 Helmet and a method for dealing with an accident using the helmet
US14/536,050 US9723887B2 (en) 2012-05-08 2014-11-07 Helmet and a method for dealing with an accident using the helm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632A KR101841287B1 (ko) 2012-05-08 2012-05-08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KR10-2012-0048632 2012-05-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536,050 Continuation US9723887B2 (en) 2012-05-08 2014-11-07 Helmet and a method for dealing with an accident using the helm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8899A1 true WO2013168899A1 (ko) 2013-11-14

Family

ID=4955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2975 WO2013168899A1 (ko) 2012-05-08 2013-04-09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23887B2 (ko)
EP (1) EP2848138B1 (ko)
JP (1) JP6005843B2 (ko)
KR (1) KR101841287B1 (ko)
CN (1) CN104270979B (ko)
CL (1) CL2014003033A1 (ko)
MY (1) MY185294A (ko)
WO (1) WO20131688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3127A (zh) * 2016-08-25 2016-12-21 国家电网公司 一种供配电系统电缆夹层作业监测保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4676B1 (en) * 2014-03-20 2015-10-06 Kranos Ip Corporation Video camera housing for football helmet
KR101465587B1 (ko) * 2014-08-07 2014-11-27 (주)와이브레인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4522927A (zh) * 2015-01-22 2015-04-22 黑河学院 一种安全帽
US20160286891A1 (en) * 2015-04-03 2016-10-06 Christopher Stramacchia Helmet system
AT517332B1 (de) * 2015-06-03 2017-01-15 Rosenbauer Int Ag Sicherheitsausrüstung für den menschlichen Kopf sowie damit durchgeführtes Einsatzunterstützungsverfahren
USD802189S1 (en) * 2015-12-08 2017-11-07 Coast Cutlery Co. Headlamp
USD804695S1 (en) * 2015-12-08 2017-12-05 Coast Cutlery Co. Headlamp
WO2017151645A1 (en) * 2016-02-29 2017-09-08 Active Protective Technologies, Inc. Airbag actuator mounted in a custom buckle for personal impact protection systems
USD812793S1 (en) * 2016-05-05 2018-03-13 Chia-Ling Huang Headlamp
US20180133060A1 (en) * 2016-11-16 2018-05-17 Illinois Tool Works Inc. Lighting attachment for welding helmets
JP2018119241A (ja) * 2017-01-26 2018-08-0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多機能ヘルメット
DE112017007464B4 (de) 2017-04-19 2023-06-29 Taiyo Corporation Am Kopf befestigbare Beleuchtungseinrichtung
IT201700094057A1 (it) * 2017-08-17 2019-02-17 Dna Srl Elmetto per vigile del fuoco e soccorso con dispositivi di allarme e di illuminazione e/o di segnalazione
CN110164575A (zh) * 2018-04-08 2019-08-23 新乡医学院三全学院 一种影像科医生防辐射服
WO2019239182A1 (en) * 2018-06-13 2019-12-19 Khadem Hosseini Ghasemi Alireza Intelligent helmets for mines
CN108813784B (zh) * 2018-07-24 2023-12-26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固原供电公司 一种智能安全头盔
KR102103221B1 (ko) * 2018-10-01 2020-04-23 김필립 마스크의 오염정보 알림 시스템
JP2020165687A (ja) * 2019-03-28 2020-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作業者の位置及び姿勢検知システム
CN110269305A (zh) * 2019-04-26 2019-09-24 天津红创针织有限公司 一种多方式照明安全帽
WO2021085675A1 (ko) * 2019-10-30 2021-05-06 주식회사 리텍 재난 현장용 대원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826432A1 (en) 2019-11-22 2021-05-26 Oberalp Spa Headlamp with an ai unit
KR102265948B1 (ko) * 2019-11-29 2021-06-16 엔텍엘이디 주식회사 안전모용 헤드랜턴
USD950160S1 (en) * 2020-07-27 2022-04-26 Steve Feher Air conditioned hard hat
RU2755856C1 (ru) * 2020-12-22 2021-09-22 Аркадий Олегович Загоровск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навес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US11350506B1 (en) 2021-05-03 2022-05-31 Ober Alp S.P.A. Adaptive illumination control via activity classification
KR102487934B1 (ko) * 2022-05-02 2023-01-13 베이스앤파워씨티 주식회사 태양광 에너지를 기반으로 조난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트,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01741B1 (ko) * 2023-08-03 2023-11-15 (주)대안기술단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323U (ja) * 1996-09-12 1997-05-16 株式会社セルコ 冷却装置をそなえたヘルメット又は帽子
KR200374906Y1 (ko) * 2004-10-29 2005-02-07 맹우승 휴대용 모션센서를 이용한 사고 감지 장치 및 이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KR20080031206A (ko) * 2005-05-26 2008-04-08 제프리 에이치 게르슈 전자 헬멧
KR20100089911A (ko) 2009-02-05 2010-08-13 김영봉 안전모를 이용한 인명 구조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115688A (ko) * 2009-04-20 2010-10-28 (주)아이블포토닉스 생체 신호 감지형 안전모 및 헤드 벤드
KR200450780Y1 (ko) 2010-04-13 2010-10-29 이호남 조명수단이 구비된 안전모
KR101050710B1 (ko) * 2010-11-03 2011-07-20 (주)텔레콤랜드 소방작업을 위한 스마트 웨어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9637A (en) * 1992-09-14 1994-07-19 Walker Joseph W Fireman's helmet with integral front and rear lights
US5847651A (en) * 1998-03-24 1998-12-08 Lu; Yao Safety helmet with alarm means for calling for help
JP3037323B1 (ja) 1999-03-02 2000-04-24 群馬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の冷却装置
US6798392B2 (en) * 2001-10-16 2004-09-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mart helmet
US20050174753A1 (en) * 2004-02-06 2005-08-11 Densen Cao Mining light
ITMI20041001A1 (it) 2004-05-19 2004-08-19 Massimiliano Luciani Sistema di sicurezza per casco di motociclo
US7721349B1 (en) * 2005-06-25 2010-05-25 Ted Nathan Strauss Flexible personal evaporative cooling system with warming potential
US20090040308A1 (en) 2007-01-15 2009-02-12 Igor Temovskiy Image orient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US8117676B1 (en) * 2008-12-01 2012-02-21 Jefferson Cardoso Hardhat with vent strip and lighting configuration
JP5376572B2 (ja) * 2008-12-25 2013-1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生体情報検出システム
KR101545876B1 (ko) * 2009-01-22 2015-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WO2010123188A1 (ko) * 2009-04-20 2010-10-28 (주)아이블포토닉스 생체신호 감지형 안전모 및 벤드
CA2793744C (en) * 2010-03-26 2017-09-12 National Oilwell Varco, L.P. Headgear and method of using same
CN201967775U (zh) * 2010-11-29 2011-09-14 广西玉柴重工有限公司 一种多功能头盔
CN201905294U (zh) * 2010-12-31 2011-07-27 台州远景体育用品有限公司 可发光运动头盔
CN201948059U (zh) * 2011-03-17 2011-08-31 海宁市技工学校 一种太阳能钢盔安全帽
ES2409480B1 (es) 2011-11-23 2014-06-10 Darío GARCÍA ROMERO Casco con sistema de seguridad electrónica integra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323U (ja) * 1996-09-12 1997-05-16 株式会社セルコ 冷却装置をそなえたヘルメット又は帽子
KR200374906Y1 (ko) * 2004-10-29 2005-02-07 맹우승 휴대용 모션센서를 이용한 사고 감지 장치 및 이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KR20080031206A (ko) * 2005-05-26 2008-04-08 제프리 에이치 게르슈 전자 헬멧
KR20100089911A (ko) 2009-02-05 2010-08-13 김영봉 안전모를 이용한 인명 구조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115688A (ko) * 2009-04-20 2010-10-28 (주)아이블포토닉스 생체 신호 감지형 안전모 및 헤드 벤드
KR200450780Y1 (ko) 2010-04-13 2010-10-29 이호남 조명수단이 구비된 안전모
KR101050710B1 (ko) * 2010-11-03 2011-07-20 (주)텔레콤랜드 소방작업을 위한 스마트 웨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3127A (zh) * 2016-08-25 2016-12-21 国家电网公司 一种供配电系统电缆夹层作业监测保护装置
CN106253127B (zh) * 2016-08-25 2017-10-27 国家电网公司 一种供配电系统电缆夹层作业监测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8138B1 (en) 2017-11-01
US20150061874A1 (en) 2015-03-05
MY185294A (en) 2021-04-30
KR101841287B1 (ko) 2018-03-22
JP2015515556A (ja) 2015-05-28
KR20130125122A (ko) 2013-11-18
US9723887B2 (en) 2017-08-08
EP2848138A1 (en) 2015-03-18
EP2848138A4 (en) 2016-06-01
JP6005843B2 (ja) 2016-10-12
CN104270979A (zh) 2015-01-07
CN104270979B (zh) 2017-08-01
CL2014003033A1 (es) 2015-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68899A1 (ko)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US8203458B2 (en) Safety helmet with gas-measuring device
WO2016076589A1 (en) Integrated overhead console assembly for vehicle
US7195362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13081387A1 (ko) 안전모
MXPA03011615A (es) Luz de tolerancia para vision nocturna.
WO2018124422A1 (ko) 다용도 재난안전용 랜턴
WO2019035535A1 (ko)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CN108851317A (zh) 头盔
KR20190000693U (ko) 탈착식 조명장치가 구비된 안전모
WO2011093549A1 (ko) 근접 위치식별 시스템
TW201427614A (zh) 具攝影功能的臉頰內襯
JP6533450B2 (ja) 監視センサ装置
CN217471340U (zh) 一种隧道电缆巡检用安全帽和智能管理系统
WO2015072695A1 (ko) 개인보호 영상감시 장치 및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개인보호 영상 시스템
KR101977017B1 (ko) 불법 촬영 방지 기기
KR200320716Y1 (ko) 발광과 발성장치가 내장된 신발
CN220088687U (zh) 一种智能型安全帽
CN113197383A (zh) 一种隧道电缆巡检用安全帽、智能管理系统及其应用
CN105654668A (zh) 多功能老年购物车
KR20040090370A (ko) 발광과 발성장치가 내장된 신발
CN213487185U (zh) 一种用于头盔的功能集成盒
JPH11265601A (ja) 通信機能付き非常灯装置
CN218327937U (zh) 一种新型aoi光源模组
CN209876870U (zh) 报警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878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0885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878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87821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