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587B1 -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587B1
KR101465587B1 KR1020140101639A KR20140101639A KR101465587B1 KR 101465587 B1 KR101465587 B1 KR 101465587B1 KR 1020140101639 A KR1020140101639 A KR 1020140101639A KR 20140101639 A KR20140101639 A KR 20140101639A KR 101465587 B1 KR101465587 B1 KR 10146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earable device
brain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식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주)와이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브레인 filed Critical (주)와이브레인
Priority to KR1020140101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587B1/ko
Priority to JP2017526469A priority patent/JP2017524506A/ja
Priority to US15/500,262 priority patent/US10799133B2/en
Priority to PCT/KR2015/006971 priority patent/WO2016021839A1/ko
Priority to CN201580041993.XA priority patent/CN10657515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2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using finger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6Recognition of 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4Monitoring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웨어러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는 착용 확인부; 사용자의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사용자의 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전극부; 및 상기 착용 확인부에 의한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극부가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두개 직류 전기 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을 이용한 뇌 전기 자극 기술은 인지 능력 향상과, 우울증 및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등의 정신 질환 치료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검사 기술에 따르면, 두뇌 활동에 따른 두피의 전위 변화를 측정하여 두뇌 활동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뇌 전기 자극 기술을 일상 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다면, 뇌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신경 간의 연결을 활성화하거나 억제시킴으로써 지속적인 정신 질환의 치료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뇌파 검사 기술을 일상 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다면, 뇌의 기능적 이상이나 발작의 발생, 감염 또는 대사질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1-0064071호
그러나, 종래의 전기 자극 장치는 주로 패치(patch)를 연성의 스트랩(strap)이나 헤드 캡(head cap)에 직접 부착시킨 후, 수동으로 전기 자극 장치의 자극 강도를 조절하여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뇌파 측정 장치 역시 패치를 연성의 스트랩이나 헤드 캡에 직접 부착시킴으로써 뇌파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 자극 장치 및 뇌파 측정 장치는 전문가에 의해 간헐적으로만 이용되고 있을 뿐, 뇌의 구성과 위치, 그리고 허용 가능 전류량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은 오조작으로 인한 안전 사고의 위험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서 전기 자극 장치 및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할 수 없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안출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도 일상 생활에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식별함으로써 사용자별 데이터 관리가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웨어러블 장치의 올바른 착용이 확인된 이후에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을 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는 착용 확인부; 사용자의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사용자의 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전극부; 및 상기 착용 확인부에 의한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극부가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단게에서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의 뇌파를 측정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착용 상태를 확인한 후에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을 시작하기 때문에,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도 웨어러블 장치를 일상 생활에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되기 때문에,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를 여러명이 사용하더라도 개인 정보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를 정확히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착용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웨어러블 장치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되는 전극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웨어러블 장치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웨어러블 장치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1 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제2 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저장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적 구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그 일부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기능부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착용"은 본래의 뜻에서 확장되어 "부착" 또는 "장착"의 의미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wearable)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되고,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웨어러블 장치(1)의 예시적인 평면도가 개시되고,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웨어러블 장치(1)에 포함되는 전극부(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되고, 도 4를 참조하면, 도 2의 웨어러블 장치(1)를 머리(H)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개시되고, 도 5를 참조하면, 도 2의 웨어러블 장치(1)를 머리(H)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개시되고,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제1 센서 모듈(1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되고,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제2 센서 모듈(2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가 개시되고, 도 8을 참조하면, 도 1의 저장부(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U)의 머리(H)에 착용되어 사용자(U)의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 사용자(U)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는 필요에 따라 전기 자극 장치 또는 뇌파 측정 장치로서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U)가 웨어러블 장치(1)를 머리(H)에 착용하면, 전극부(30)에 부착된 패치(35)가 타겟이 되는 머리(H)의 특정 위치에 접할 수 있으며, 패치(35)를 통해 사용자(U)의 머리(H) 중 특정 위치에 전류가 흘러서 목표로 하는 뇌 영역에 전기 자극이 가해지거나, 패치(35)를 통해 사용자(U)의 머리(H) 중 특정 위치로부터 뇌파가 측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은, 사용자(U)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10)와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는 착용 확인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식별부(10)에 의해 사용자(U)가 식별되고, 착용 확인부(20)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1)가 정상적으로 착용되었음이 확인된 후에, 웨어러블 장치(1)가 사용자(U)의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사용자(U)의 뇌파를 측정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다만, 웨어러블 장치(1)가 사용자 식별부(10) 및 착용 확인부(20) 중 어느 하나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 사용자 식별부(10)에 의해 사용자(U)가 식별된 후에 또는, 착용 확인부(20)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1)가 정상적으로 착용되었음이 확인된 후에, 웨어러블 장치(1)가 사용자(U)의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사용자(U)의 뇌파를 측정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에 따르면, 식별된 사용자(U)에 대해 웨어러블 장치(1)의 사용 결과를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잘못된 착용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 식별부(10), 착용 확인부(20), 전극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저장부(50) 및 통신부(60), 입력 모듈(11), 제1 센서 모듈(12) 및 제2 센서 모듈(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1)를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웨어러블 장치(1)가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의 형상이 도 2에 도시된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는 머리(H)에 착용 가능한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웨어러블 장치(1)의 골격으로서, 웨어러블 장치(1)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가 프레임(100)에 결합하거나 프레임(100)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0)은 머리(H)와 대향하는 제1 면(100a)과 제1 면(100a)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면(10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사용자(U)의 머리(H)에 착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U)는 웨어러블 장치(1)를 머리(H)에 착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가 머리(H)에 착용할 수 있는 형상의 프레임(100)이라면, 프레임(100)의 형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일측이 개방된 고리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레임(100)의 일측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U)의 머리(H) 크기에 따라 프레임(100)이 양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사용자(U)의 머리(H)에 착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을 사용자(U)의 머리(H)에 착용하면, 프레임(100)이 머리(H)를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100)은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머리(H)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프레임(100)의 일부 영역이 사용자(U)의 귓바퀴에 지지됨으로써 프레임(100)이 머리(H)에 안정적으로 착용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 식별부(10)는 사용자(U)로부터 사용자(U)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11) 또는 사용자(U)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모듈(12)을 이용하여 사용자(U)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을 위해, 저장부(50)는 사용자(U)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 안면 형상이나 지문 등을 포함한 사용자(U)의 신체적인 정보 등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 식별부(10)는 입력 모듈(11)로부터 입력된 사용자(U)에 대한 정보 또는 제1 센서 모듈(12)을 통해 감지된 사용자(U)의 신체적인 정보를 저장부(50)에 저장된 사용자(U)에 대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U)를 인식하고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부(10)의 기능은 웨어러블 장치(1)에 대한 로그인(log-in)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에 따르면, 미리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U)에 대해서 웨어러블 장치(1)의 이용을 제약할 수 있으며, 사용자 식별을 통해 동일한 웨어러블 장치(1)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U)를 구분할 수 있다.
입력 모듈(11)은 사용자(U)로부터 사용자(U)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U)는 입력 모듈(11)을 통해 사용자 계정(account)을 입력할 수 있다. 저장부(50)에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식별부(10)는 입력 모듈(11)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을 저장부(50)로부터 검색함으로써 사용자(U)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저장부(50)로부터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면 사용자 식별이 완료될 수 있으며, 저장부(50)로부터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지 않으면 사용자 식별이 실패할 수 있다. 다만, 입력 모듈(11)에 입력되는 정보는 사용자 계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U)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기만 하면 입력 모듈(11)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입력 모듈(11)은 사용자(U)로부터 직접적으로 입력받기 위해 터치 스크린 또는 입력 버튼 등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입력 모듈(11)은 웨어러블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 모듈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입력 모듈(11)은 사용자(U)로부터 사용자(U)에 대한 정보 이외에 조작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입력 모듈(11)은 전원 인가 여부에 대한 조작 정보와 전기 자극 시 전극부(3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대한 조작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는 입력 모듈(11)을 통해 필요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프레임(100)은 머리(H)와 대향하는 제1 면(100a)과 제1 면(100a)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면(100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입력 모듈(11)은 프레임(100)의 제1 면(100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입력 모듈(11)이 프레임(100)의 착용면인 제1 면(100a)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U)가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한 경우,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의 진행 중에 웨어러블 장치(1)의 조작이 방지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치(1)를 머리(H)에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만 웨어러블 장치(1)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의 오작동에 의한 부작용 및 안전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센서 모듈(12)은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 센서(13)와 지문 센서(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13)는 사용자(U)의 안면을 감지 하거나, 사용자(U)의 머리(H)에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1)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센서(13)는 이미지 처리(image processing)를 통해 사용자(U)의 안면을 인식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치(1)가 착용된 상태에서 인식되는 사용자(U)의 머리(H) 또는 안면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1)가 사용자(U)의 머리(H)에서 어느 위치에 착용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센서(14)는 사용자(U)의 지문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도 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U)의 안면을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는 웨어러블 장치(1)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 단말(80)과 같은 외부 기기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 식별부(10)는 통신부(60)를 통해 외부 기기의 카메라 센서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통신 단말(80)의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상된 사용자(U)의 이미지가 웨어러블 장치(1)로 전송되어 사용자 식별부(10)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식별부(10)는 감지된 사용자(U)의 안면 또는 지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U)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50)에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 안면 형상이나 지문 등을 포함한 사용자(U)의 신체적인 정보 등의 사용자(U)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식별부(10)는 제1 센서 모듈(12)을 통해 감지된 사용자(U)의 안면 또는 지문 등에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부(50)에 저장되어있는지 검색함으로써 사용자(U)를 식별할 수 있다.
만약, 저장부(50)로부터 대응되는 사용자(U) 정보가 검색되면 사용자 식별이 완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는 검색되는 사용자(U) 정보를 가진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U)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1)가 이용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착용 확인부(20)는 사용자(U)의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모듈(21)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 모듈(21)을 통해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1)가 올바른 방향으로 착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착용 확인부(20)는 사용자(U)가 프레임(100)의 좌우 또는 상하가 뒤집어진 상태로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하였는지 여부와, 전극부(30)가 목표로 하는 지점에 접하도록 웨어러블 장치(1)가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센서 모듈(21)은 도 7을 참조하면, 임피던스 측정 센서(22), 감압 센서(23), 가속도 센서(24), 조도 센서(25), 근접 센서(26) 및 카메라 센서(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13)는 필요에 따라 제1 센서 모듈(12) 및 제2 센서 모듈(21)에 이용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 센서(22)는 제2 센서 모듈(21)은 전극부(30)를 통해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U)가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한 경우, 패치(35)가 전극부(30)에 부착되어 머리(H)에 접하게 되기 때문에, 임피던스 측정 센서(22)는 전극부(30)를 통해 생체 임피던스 또는 전극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U)가 웨어러블 장치(1)를 올바르게 착용한 경우 예상되는 임피던스 값이 있기 때문에, 임피던스 측정 센서(22)의 측정 결과가 미리 정해진 수치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U)가 웨어러블 장치(1)를 올바르게 착용하여 패치(35)가 목표로 하는 위치에 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압 센서(23)는 웨어러블 장치(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U)가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한 경우, 프레임(100)이 머리(H)를 압박하여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U)의 머리(H)로부터 웨어러블 장치(1)에 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감압 센서(23)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에 가해지는 압력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인 경우, 사용자(U)가 웨어러블 장치(1)를 올바르게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는 웨어러블 장치(1)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를 통해 측정된 가속도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가 향하는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1)가 뒤집어진 채로 착용되었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조도 센서(25)는 웨어러블 장치(1)의 특정 면에 위치하여 외부의 조도를 측정함으로써 해당 면이 피부와 밀착되는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조도 센서(25)에 의하면 웨어러블 장치(1)의 피부 접촉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도 센서(25)에 의해 측정된 조도를 활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가 피부에 충분히 밀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의 정상적인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26)는 웨어러블 장치(1)의 특정 면에 위치하여 해당 면 가까이 피부의 근접 정도를 측정하여 정상적인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근접 센서(26)에 의하면 웨어러블 장치(1)의 피부 거리(웨어러블 장치(1)와 피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26)에 의해 측정된 근접 정도(근접 거리)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1)의 정상적인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13)는 사용자(U)가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한 상태를 촬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웨어러블 장치(1)가 의도된 정상적인 위치에 착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 확인부(20)는 측정된 임피던스, 측정된 압력, 측정된 가속도, 측정된 조도, 측정된 거리 및 촬상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향을 확인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다만, 도 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U)가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한 상태를 촬상하는 카메라 센서는 웨어러블 장치(1)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 단말(80)과 같은 외부 기기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 식별부(10)는 통신부(60)를 통해 외부 기기의 카메라 센서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통신 단말(80)의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상된 사용자(U)의 이미지가 웨어러블 장치(1)로 전송되어 착용 확인부(20)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극부(30)는 사용자(U)의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사용자(U)의 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극부(30)는 전도성 부재로 형성된 전극 내부(31)와 전극 내부(3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절연성 부재로 형성된 전극 외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부(30)의 일단은 프레임(10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극부(30)의 일단은 프레임(100)의 제1 면(100a)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전극 내부(31)는 전극부(30)의 내부 영역으로서 전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부재는 금속성 부재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전극 내부(31)는 프레임(100)의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으며, 인가받은 전류를 패치(35)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내부(31)는 패치(35)로부터 수신하는 뇌파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전극 외부(32)는 전극부(30)의 외부 영역으로서 절연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성 부재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전극 외부(32)는 절연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으며, 전극 외부(32)가 전극 내부(31)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전극 내부(31)에 전류가 흐르더라도 웨어러블 장치(1)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패치(35)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극부(30)에 탈착 가능하며, 전극부(30)에 부착되는 경우 머리(H)에 접하여, 뇌파 또는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패치(35)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전극부(30)에 부착하고 사용이 끝난 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패치(35)는 염소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치(35)가 머리(H)에 접하는 경우, 피부 계면의 임피던스를 낮춤으로써 전기 자극 시 통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패치(35)는 고체 상태 또는 젤 상태일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자극 시 별도로 두피에 전해질을 도포하지 않아도 되며, 도 5를 참조하면, 패치(35)의 형상이 머리(H)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굴종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웨어러블 장치(1)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용자 식별부(10)에 의한 식별 결과와 착용 확인부(20)에 의한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전극부(30)가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식별부(10)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사용자(U)가 식별되고, 착용 확인부(20)에 의한 확인 결과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상태가 정상적인 착용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는 전극부(30)를 제어하여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이 이루어진 후에 웨어러블 장치(1)가 작동하므로, 식별된 사용자(U)에 대하여 웨어러블 장치(1)의 사용 결과를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U)가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1)를 이용하더라도 개인 정보의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되지 않는 사용자(U)는 웨어러블 장치(1)를 이용하는데 제약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웨어러블 장치(1)의 오사용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과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상태 확인이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의 트리거(trigger)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1)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U)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저장부(50)는 웨어러블 장치(1)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저장부(50)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51)와 고유 아이디 저장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51)는 사용자(U)에 대한 정보가 저장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 안면 형상이나 지문 등을 포함한 사용자(U)의 신체적인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정보 저장부(51)는 전극부(30)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 자극 결과 또는 뇌파 측정 결과, 제1 및 제2 센서 모듈(21)에 의해 수행되는 감지 결과가, 식별된 사용자(U)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시간, 소음, 조도, 기온, 위치, 후면 카메라를 통한 주변 분석 정보, 주변 가전 기기의 동작 여부 정보 등이 웨어러블 장치(1)의 작동시에 자동 수집되어 웨어러블 장치(1)의 작동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정보 저장부(51)에는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신체적인 정보, 웨어러블 장치(1)의 사용 정보 등이 통합되어 관리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1)를 복수의 사용자(U)가 이용하더라도 개인 정보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극 결과 또는 뇌파 측정 결과가 제1 및 제2 센서 모듈(21)에 의해 수행되는 감지 결과 및 시간, 소음, 조도, 기온, 위치, 후면 카메라를 통한 주변 분석 정보, 주변 가전 기기의 동작 여부 정보 등과 함께 저장되기 때문에,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 시 사용자(U)의 과도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노이즈 정보로 판단할 수 있으며, 풍부한 정보가 의료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고유 아이디 저장부(52)는 웨어러블 장치(1)의 고유 아이디를 저장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의 고유 아이디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51)에 저장된 식별된 사용자(U)에 대한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때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어떠한 웨어러블 장치(1)를 통해 측정된 정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60)은 통신 단말(80)을 포함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통신부(60)에서 이용하는 통신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에 따르면, 사용자(U)의 착용 상태를 확인한 후에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을 시작하기 때문에,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U)도 웨어러블 장치(1)를 일상 생활에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를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는 통신부(60)와 경고 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0)는 통신 단말(80) 또는 관리 서버(90) 등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예컨대 식별된 사용자(U)에 대하여 저장부(50)에 저장된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2)의 고유 아이디와 함께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경고 모듈(70)은 착용 확인부(20)에 의한 확인 결과, 사용자(U)의 착용 상태가 올바르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사실을 사용자(U)에게 알릴 수 있다. 예컨대, 경고 모듈(70)은 스피커, 진동기 및 발광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40)는 스피커, 진동기 및 발광 소자 등의 경고 모듈(70)을 제어하여 사용자(U)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는 스피커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안내 음성을 통해 사용자(U)의 올바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진동기를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U)에게 오착용 상태임을 알릴 수 있으며, 오착용 알림에 따른 진동 형태는 미리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는 발광 소자를 제어하여 빛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U)에게 오착용 상태임을 알릴 수 있으며, 오착용 알림에 따른 발광 형태는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어부(40)는 통신부(60)를 제어하여 외부의 통신 단말(80)로 오착용 상태임을 알릴 수 있으며, 사용자(U)는 외부의 통신 단말(80)을 확인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2)의 착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에 따르면, 사용자(U)가 웨어러블 장치(2)의 착용 상태가 잘못된 것을 바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웨어러블 장치(2)의 오착용으로 인한 안전 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웨어러블 장치(2)의 오착용을 확인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에도 웨어러블 장치(2)가 올바르게 착용이 되지 않으면,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을 중단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3)를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3)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3)는 그 형상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형상의 웨어러블 장치(1)와 차이가 있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3)는 패치(patch)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U)의 머리(H)에 착용(부착)될 수 있다. 다만,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웨어러블 장치(3)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그 구성면에서는 웨어러블 장치(1)와 차이가 없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개시된다. 다만, 웨어러블 장치(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U)의 머리(H)에 착용되어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1)의 제어 방법은 우선, 사용자(U)로부터 사용자(U)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11) 또는 사용자(U)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모듈(12)을 이용하여 사용자(U)를 식별할 수 있다(S10).
사용자(U)를 식별하는 단계는 웨어러블 장치(1)에 대한 로그인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사용자 식별을 통해 동일한 웨어러블 장치(1)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U)를 구분할 수 있다.
입력 모듈(11) 또는 제1 센서 모듈(12)을 이용하여 사용자(U)를 식별하는 것은, 입력 모듈(11)을 통해 사용자(U)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U)에 대한 정보 또는 제1 센서 모듈(12)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U)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부(50)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 결과 대응되는 정보가 존재한다면, 해당 사용자(U)가 식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센서 모듈(12)은 카메라 센서(13)와 지문 센서(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제1 센서 모듈(12)을 통해 사용자(U)를 감지하는 것은 제1 센서 모듈(12)을 통해 사용자(U)의 안면 또는 지문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U)의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모듈(21)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20).
제2 센서 모듈(21)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제2 센서 모듈(21)을 통해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1)가 올바른 방향으로 착용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에 따라, 사용자(U)가 프레임(100)의 좌우 또는 상하가 뒤집어진 상태로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하였는지 여부와, 전극부(30)가 목표로 하는 지점에 접하도록 웨어러블 장치(1)가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센서 모듈(21)은 임피던스 측정 센서(22), 감압 센서(23) 및 가속도 센서(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측정된 임피던스, 측정된 압력 및 측정된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향을 확인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식별 단계에서의 식별 결과와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1)가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의 뇌파를 측정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
즉, 사용자(U)가 식별되고, 식별된 사용자(U)가 웨어러블 장치(1)를 올바르게 착용한 것이 확인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가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의 오착용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전기 자극 결과 또는 뇌파 측정 결과, 제1 및 제2 센서 모듈(21)에 의해 수행되는 감지 결과를 식별된 사용자(U)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S40).
다만, 저장되는 정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시간, 소음, 조도, 기온, 위치, 후면 카메라를 통한 주변 분석 정보, 주변 가전 기기의 동작 여부 정보 등이 웨어러블 장치(1)의 작동시에 자동 수집되어 웨어러블 장치(1)의 작동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 시 사용자(U)의 과도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노이즈 정보로 판단할 수 있으며, 풍부한 정보가 의료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U)를 식별하는 단계(S10) 및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20)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고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식별 단계(S10)에서의 식별 결과 또는 확인 단계(S20)에서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1)가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의 뇌파를 측정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2, 3: 웨어러블 장치 U: 사용자
H: 머리 10: 사용자 식별부
11: 입력 모듈 12: 제1 센서 모듈
13: 카메라 센서 14: 지문 센서
20: 착용 확인부 21: 제2 센서 모듈
22: 임피던스 측정 센서 23: 감압 센서
24: 가속도 센서 25: 조도 센서
26: 근접 센서 30: 전극부
31: 전극 내부 32: 전극 외부
35: 패치 40: 제어부
50: 저장부 51: 사용자 정보 저장부
52: 고유 아이디 저장부 60: 통신부
70: 경고 모듈 80: 통신 단말
90: 관리 서버 100: 프레임
100a, 100b: 제1 및 제2 면

Claims (12)

  1.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는 착용 확인부;
    사용자의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사용자의 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전극부; 및
    상기 착용 확인부에 의한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극부가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모듈은 상기 전극부를 통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더스 측정 센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감압 센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피부 접촉을 측정하는 조도 센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피부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 및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촬상하는 제1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 확인부는 측정된 임피던스, 측정된 압력, 측정된 가속도, 측정된 조도, 측정된 거리, 및 촬상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향을 확인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또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 확인부에 의한 확인 결과와 상기 사용자 식별부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극부가 전기 자극 또는 뇌파 측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모듈은 사용자의 안면을 감지하는 제2 카메라 센서와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지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부는 감지된 사용자의 안면 또는 지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미리 등록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계정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식별부는 입력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 자극 결과 또는 뇌파 측정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센서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감지 결과가,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식별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고유 아이디와 함께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센서는 외부 기기에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착용 확인부는 상기 제1 카메라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이용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9.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의 뇌파를 측정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모듈은, 사용자의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사용자의 뇌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전극부를 통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더스 측정 센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감압 센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피부 접촉을 측정하는 조도 센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피부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 및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촬상하는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측정된 임피던스, 측정된 압력, 측정된 가속도, 측정된 조도, 측정된 거리, 및 촬상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향을 확인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또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의 뇌파를 측정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및 상기 식별 단계에서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뇌로부터의 뇌파를 측정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것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전기 자극 결과 또는 뇌파 측정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센서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감지 결과를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 센서는 외부 기기에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식별부는 상기 제2 카메라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이용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KR1020140101639A 2014-08-07 2014-08-07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6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639A KR101465587B1 (ko) 2014-08-07 2014-08-07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7526469A JP2017524506A (ja) 2014-08-07 2015-07-06 ウェアラブル装置及びこの制御方法
US15/500,262 US10799133B2 (en) 2014-08-07 2015-07-06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5/006971 WO2016021839A1 (ko) 2014-08-07 2015-07-06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1580041993.XA CN106575157A (zh) 2014-08-07 2015-07-06 穿戴式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639A KR101465587B1 (ko) 2014-08-07 2014-08-07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587B1 true KR101465587B1 (ko) 2014-11-27

Family

ID=5229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639A KR101465587B1 (ko) 2014-08-07 2014-08-07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99133B2 (ko)
JP (1) JP2017524506A (ko)
KR (1) KR101465587B1 (ko)
CN (1) CN106575157A (ko)
WO (1) WO2016021839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916B1 (ko) * 2014-09-26 2015-07-24 (주)와이브레인 Eeg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특성의 변화를 예측하는 방법
WO2016190522A1 (ko) * 2015-05-26 2016-12-01 (주)와이브레인 피부 부착을 위한 신축성 있는 웨어러블 장치
WO2019045308A1 (ko) * 2017-08-30 2019-03-07 (주)와이브레인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190054051A (ko) * 2019-05-14 2019-05-21 (주)와이브레인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102000397B1 (ko) * 2018-05-21 2019-07-15 (재)대구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 설골상근 운동 시스템
US10791269B2 (en) 2016-02-05 2020-09-29 Hanwha Techwin Co., Ltd.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amera ope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JP2022033862A (ja) * 2016-02-29 2022-03-02 アクティブ プロテクティブ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個人衝撃保護システム用のカスタムバックルに取り付けられるエアバッグアクチュエー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2857A (ja) * 2017-02-28 2018-09-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06974647A (zh) * 2017-04-01 2017-07-25 南京阿凡达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脑电波头戴装置及遥控机器人和锻炼大脑的方法
US10219744B2 (en) * 2017-04-21 2019-03-05 Combobutronic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or receiving signals to or from biological tissues
US11172868B2 (en) * 2017-07-21 2021-11-16 Yi Zheng Screening of malignant glioma, brain tumors, and brain injuries using disturbance coefficient, differential impedance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US12066702B1 (en) 2018-09-25 2024-08-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user and an object
KR102200302B1 (ko) * 2019-01-24 2021-01-08 (주) 비비비 두뇌 자극 장치
CN110101394A (zh) * 2019-06-03 2019-08-09 张忠斌 一种用于检测神经系统状况的系统和方法
KR102423898B1 (ko) * 2020-04-16 2022-07-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2354083A (zh) * 2020-09-30 2021-02-12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佩戴状态检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2971788B (zh) * 2020-11-19 2023-03-31 首都医科大学宣武医院 一种分体下压多功能脑电帽
KR20230154396A (ko) * 2022-04-29 2023-11-08 ㈜이온인터내셔널 센서가 구비된 ems 운동기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7782A (ja) * 2005-08-31 2007-03-15 Softbank Mobile Corp 電子機器
KR20130125122A (ko) *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KR20140080053A (ko) * 2012-12-20 2014-06-30 (주)와이브레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5414B2 (ja) * 2008-07-11 2010-05-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脳波を用いた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脳波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JP4921621B2 (ja) * 2010-06-14 2012-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脳波計測システム、脳波計測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031507B1 (ko) * 2010-07-28 2011-04-29 (주)아이맥스 휴대용 뇌파 측정 및 제어 시스템
US10045718B2 (en) * 2012-11-22 2018-08-14 Athe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transparent system control using bio-input
US20160008632A1 (en) * 2013-02-22 2016-01-14 Thync,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etworking neuromodulation of a group of individuals
CN103455746B (zh) * 2013-09-10 2016-10-0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头戴式显示设备
US10076279B2 (en) * 2013-10-22 2018-09-18 Neba Health, Llc System and method for a compact EEG heads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7782A (ja) * 2005-08-31 2007-03-15 Softbank Mobile Corp 電子機器
KR20130125122A (ko) *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KR20140080053A (ko) * 2012-12-20 2014-06-30 (주)와이브레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916B1 (ko) * 2014-09-26 2015-07-24 (주)와이브레인 Eeg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특성의 변화를 예측하는 방법
WO2016190522A1 (ko) * 2015-05-26 2016-12-01 (주)와이브레인 피부 부착을 위한 신축성 있는 웨어러블 장치
US10791269B2 (en) 2016-02-05 2020-09-29 Hanwha Techwin Co., Ltd.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amera ope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JP7459037B2 (ja) 2016-02-29 2024-04-01 アクティブ プロテクティブ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個人衝撃保護システム用のカスタムバックルに取り付けられるエアバッグアクチュエータ
JP2022033862A (ja) * 2016-02-29 2022-03-02 アクティブ プロテクティブ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個人衝撃保護システム用のカスタムバックルに取り付けられるエアバッグアクチュエータ
JP2020535852A (ja) * 2017-08-30 2020-12-10 ワイ−ブレイ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頭脳刺激装置の使用権限を設定する方法、及びこれを具現する装置
WO2019045308A1 (ko) * 2017-08-30 2019-03-07 (주)와이브레인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190023850A (ko) * 2017-08-30 2019-03-08 (주)와이브레인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101981942B1 (ko) 2017-08-30 2019-05-24 (주)와이브레인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US11657907B2 (en) 2017-08-30 2023-05-23 Y-Brain Inc Method for setting authority for use of brain stimulation device and device implementing same
KR102000397B1 (ko) * 2018-05-21 2019-07-15 (재)대구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 설골상근 운동 시스템
WO2019225769A1 (ko) * 2018-05-21 2019-11-28 (재)대구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 설골상근 운동 시스템
KR102173949B1 (ko) 2019-05-14 2020-11-04 (주)와이브레인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190054051A (ko) * 2019-05-14 2019-05-21 (주)와이브레인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4506A (ja) 2017-08-31
US20170215753A1 (en) 2017-08-03
CN106575157A (zh) 2017-04-19
WO2016021839A1 (ko) 2016-02-11
US10799133B2 (en)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587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318958B2 (en) Smart watch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200364992A1 (en) Methods and apparatus regarding electronic eyewear applicable for seniors
US9333334B2 (en) Methods for attaching and wearing a neurostimulator
US20080045806A1 (en) Method to transmit physiological and biometric data of a living being
KR101525450B1 (ko) 전기 자극 장치
US20150335877A1 (en) Cantilever electrodes for transdermal and transcranial stimulation
JP2008073462A (ja) 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KR20150060304A (ko) 착용형 모바일 기기, 및 착용형 모바일 기기의 생체신호의 선택적 활용 방법
US9391987B2 (en) Biometric personal authentication
CN105007808B (zh) 访问持续时间控制系统和方法
KR20200121797A (ko) 바이오메트릭을 감지하는 아이웨어
KR102173725B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27744A (ko) 와치타입 단말기
US10049184B2 (en) Software application transmission via body interface using a wearable device in conjunction with removable body sensor arrays system and method
KR20170012459A (ko) 생체 신호 검출 및 분석 시스템 및 장치
KR20160108967A (ko)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방법
US1185733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encephalogram monitoring
KR20160135410A (ko) 생체 신호를 이용한 착용형 인증 장치
JP2005006824A (ja) 個人認証装置
KR20170123133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감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646567B1 (ko) 생체 신호 측정 환경에서의 타투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66441A (ko) 통합형 호흡 측정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EP3148633B1 (en) Cantilever electrodes for transdermal and transcranial stimulation
US202201476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